KR101167024B1 - 삼중관 전열 난방파이프 - Google Patents

삼중관 전열 난방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024B1
KR101167024B1 KR1020120016097A KR20120016097A KR101167024B1 KR 101167024 B1 KR101167024 B1 KR 101167024B1 KR 1020120016097 A KR1020120016097 A KR 1020120016097A KR 20120016097 A KR20120016097 A KR 20120016097A KR 101167024 B1 KR101167024 B1 KR 101167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pipe
pipe
heating
triple
hea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수
Original Assignee
이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수 filed Critical 이인수
Priority to KR1020120016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7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면과 외면에 합성수지층(101,103)이 수지접착된 알루미늄관(102)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축열물질이 충전된 삼중관 난방파이프(10), 상기 난방파이프(10) 단부에 압입되는 탄성마개(20), 상기 탄성마개(20)의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난방파이프(10) 내부에 배치되는 전열선(11), 상기 난방파이프(10) 단부에 씌워지는 알루미늄캡(30), 상기 탄성마개(20)가 난방파이프(10)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알루미늄캡(30)의 일정부위가 프레싱에 의해 압착되어 압착부(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관 전열 난방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삼중관 전열 난방파이프{ Heating pipe with triple layer}
본 발명은 전열 난방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관을 내외로 피복한 삼중관으로 난방파이프를 형성하여 시공성 및 내압력성,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축열물질과 전열선이 내장된 난방파이프의 양 끝단에 비회전체결식 밀봉구조를 결합시킨 삼중관 전열 난방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열 난방파이프는 파이프에 채워진 온수나 축열물질을 외부전원과 연결된 전열선으로 가열시켜 난방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통상적으로 상기 난방파이프 양 끝단에는 내부 물질이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구성을 체결시킨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들을 아래에서 살펴본다.
선행기술 실용 제281433호(전기 난방장치의 파이프 밀폐구조)는,
내부에 축열물질이 저장되는 파이프의 각 끝단에 결합되어 축열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시키며, 내부의 피복된 열선이 밀폐구조로 인해 편중 가압되지 않도록 하여 피복 열선을 보호하고 체결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기술이다.
그에는 파이프 끝단에 체결되는 밀봉구조로서 상부캡과 하부캡이 구비되고, 그 사이에는 함몰부, 관통공 등이 형성된 몸체결합부, 와셔 및 실리콘 링, 오링 등이 개재되어 전체로서 밀봉구조가 완성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밀봉구조는 다수의 체결 부품들이 구비되어야 하는 구조의 복잡성과 체결작업공정의 복잡성을 동시에 안고 있고, 또한 내부 전열선 교체, 온수 보충 등을 위해 체결상태 분리를 전제로 각 부품이 회전결합되어 있는 구조라서 파이프 내부의 압력이 높을 경우 밀봉성에 문제가 생길 소지를 항상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특허 제511058호(전열온수 난방파이프)는,
온수 팽창으로 인해 온수파이프 끝에 결합된 밀봉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서, 그에는 고정너트, 압착링, 내통과 외통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 밀봉부재, 압착부재, 결합너트 등의 구성이 결합하여 밀봉을 이루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기술 역시 다수의 체결 부품들이 구비되어야 하는 구조의 복잡성과 체결작업공정의 복잡성을 동시에 안고 있고, 또한 내부 전열선 교체, 온수 보충 등을 위해 체결상태 분리를 전제로 각 부품이 회전결합되어 있는 구조라서 파이프 내부의 압력이 높을 경우 밀봉성에 문제가 생길 소지를 항상 가지고 있다.
특허 제611609호(난방용 전열온수관)는,
난방파이프의 양측 끝단을 밀봉하기 위한 밀폐수단을 개선하여 열에 의한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하고 축열물질의 누수를 예방하기 위한 기술로서,
그에 사용되는 밀폐구조는, 밀폐관체, 잠금링, 체결너트 1, 마개, 체결너트 2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시공 후 파이프 내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수단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위 기술 역시 다수의 체결 부품들이 구비되어야 하는 구조의 복잡성과 체결작업공정의 복잡성을 동시에 안고 있고, 또한 내부 전열선 교체, 온수 보충 등을 위해 체결상태 분리를 전제로 각 부품이 회전결합되어 있는 구조(내부 전열선 교체, 온수 보충)라서 파이프 내부의 압력이 높을 경우 밀봉성에 문제가 생길 소지를 항상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선행기술들에 사용되는 온수파이프는 모두 합성수지재이다. 따라서 현장 시공시 또는 보관 및 취급부주의로 인해 파이프 형상변형이나 손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해 파이프 내부에 배치된 열선이 손상되거나 파이프 표면에 눈에 띠지 않는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며, 파이프 내 온수 팽창으로 인해 파이프 자체가 파손되는 현상도 배제할 수 없다. 간혹 강재 파이프가 사용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강재 파이프의 유연성이 약해 시공성이 떨어지고 시공 잘못 또는 취급부주의로 인해 내부 열선 손상과 누수 발생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만 하는 실정이다.
위와 같은 이유로 선행기술들은 모두 밀폐구조의 체결 분리를 전제로 하는 구성을 택하고 있다. 왜냐하면 내부의 파손된 전열선을 교체하고 누수 발생시 온수를 보충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들은 온수파이프 내부의 열이 높아짐에 따라 온수가 팽창하면서 파이프가 파손되거나 밀봉부재가 외측으로 밀려 이탈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를 완화시키기 위해 온수파이프 내부의 축열물질 충전량을 줄이거나 별도로 압력조절장치를 구비하기도 하는데, 축열물질 충전량을 줄이게 되면 동일 규격의 온수파이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난방효과가 저하될 수 밖에 없고 압력조절장치를 별도로 마련하기 위해서는 구조의 복잡성과 제조 설치비용의 증가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 내부 전열선 교체, 온수 보충 등을 위해 체결상태 분리를 전제로 각 부품이 회전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프레싱 방법으로 개선하여 축열물질의 누설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 회전체결을 위해 소요되던 다수의 체결부품들과 압력조절장치 같은 별도의 구성이 필요치 않아 구조가 단순해지고 제조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난방파이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난방파이프 재질로 알루미늄관을 채택하여 재질의 유연성에 따른 굴곡 시공성을 높이고 파이프 내부에서 발생하는 축열물질의 고온 팽창을 지탱할 수 있고, 난방파이프 내면에 폴리에틸렌층을 형성하여 축열물질 성분에 대한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외면에 역시 폴리에틸렌층을 형성하여 외부 요인에 대한 내충격성과 내식성이 향상된 난방파이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난방파이프 내의 축열물질이 온도에 의해 팽창하더라도 파이프가 손상되지 않으며, 난방파이프 내에 축열물질를 충전할 때 충전량을 줄일 필요가 없이 제조 당시부터 충분히 채워넣어 동일 규격의 종래 난방파이프에 비해 난방효과가 상대적으로 증대되는 난방파이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삼중관 전열 난방파이프는, 내면과 외면에 합성수지층이 수지접착된 알루미늄관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축열물질가 충전된 삼중관 난방파이프, 상기 난방파이프 단부에 압입되는 탄성마개, 상기 탄성마개의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난방파이프 내부에 배치되는 전열선, 상기 난방파이프 단부에 씌워지는 알루미늄캡, 상기 탄성마개가 난방파이프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알루미늄캡의 일정부위가 프레싱에 의해 압착되어 압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루미늄캡은 일측에 난방파이프 수용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탄성마개 밀림방지용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난방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난방파이프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가진다.
본 발명은 난방파이프 단부의 체결구조를 프레싱 방법으로 대체함으로써 종래 회전체결을 위해 소요되던 다수의 체결부품들과 압력조절장치 같은 별도의 구성이 필요치 않아 구조가 단순해지고 제조 설치비용이 절감되며 밀봉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난방파이프 재질로 알루미늄관을 채택함으로써 재질의 유연성에 따른 굴곡 시공성을 높이고 파이프 내부에서 발생하는 축열물질의 고온 팽창을 지탱할 수 있으며, 또한 난방파이프 내면에 폴리에틸렌층을 형성하여 축열물질 성분에 대한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외면에 역시 폴리에틸렌층을 형성하여 외부 요인에 대한 내충격성과 내식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난방파이프 내의 축열물질이 온도에 의해 팽창하더라도 파이프가 손상되지 않으며, 난방파이프 내에 축열물질를 충전할 때 충전량을 줄일 필요가 없이 제조 당시부터 충분히 채워넣어 동일 규격의 종래 난방파이프에 비해 난방효과가 상대적으로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 부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알루미늄캡 사시도
도 3은 프레싱 공정 전 난방파이프 단부 단면도
도 4는 프레싱 공정 후 난방파이프 단부 단면도
도 5는 프레싱 공정 후 난방파이프 측단면도
도 6은 프레싱 공정 후 난방파이프 단부 측단면도
도 7은 프레싱 공정 후 난방파이프 사시도
도 8은 프레싱 공정의 다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과 외면에 합성수지층(103, 101)이 수지접착된 알루미늄관(102)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축열물질이 충전된 삼중관 난방파이프(10), 상기 난방파이프(10) 단부에 압입되는 탄성마개(20), 상기 탄성마개(20)의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난방파이프(10) 내부에 배치되는 전열선(11), 상기 난방파이프(10) 단부에 씌워지는 알루미늄캡(30), 상기 탄성마개(20)가 난방파이프(10)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알루미늄캡(30)의 일정부위가 프레싱에 의해 압착되어 압착부(40)가 형성된 삼중관 전열 난방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삼중관 난방파이프(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관(102)으로 이루어지되 내면과 외면에 폴리에틸렌 합성수지층(103, 101)이 수지접착되어 있다. 난방파이프(10)에 충전되는 축열물질은 물 또는 작동유 또는 발열제를 첨가하는 혼합매체 등이 주로 사용되며, 전열선(11)의 열을 축적하여 난방파이프(10)의 발열상태를 유지하는 공지의 매체이다.
종래 합성수지제 난방파이프는 온도와 압력에 약하여 파이프에 구멍이 생기거나, 내부에 충전된 축열물질의 종류에 따라 화학적 반응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강재 파이프를 사용할 경우 역시 축열물질의 종류에 따라 부식되거나 자체 강도로 인해 굴곡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는 바,
본 발명은 알루미늄관(102)을 채택하여 재질의 유연성에 따른 굴곡 시공성을 높이고 알루미늄 강도로 인해 파이프 내부에서 발생하는 축열물질의 고온 팽창에도 충분히 견뎌낼 수 있는 내압성을 갖추고 있다. 뿐만 아니라 내면에 폴리에틸렌층을 형성하여 축열물질 성분에 대한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외면에 역시 폴리에틸렌층을 형성하여 외부 요인에 대한 내충격성과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난방파이프 내의 축열물질이 온도에 의해 팽창하더라도 파이프가 손상될 염려가 없다. 따라서 난방파이프 내부의 온도 증가에 따른 축열물질 팽창문제가 해소되어 처음에 난방파이프 내에 축열물질를 충전할 때 충전량을 줄일 필요가 없이 충분히 채워넣을 수 있으므로 동일 규격의 종래 난방파이프에 비해 난방효과가 상대적으로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관의 내압성으로 인해 기존의 난방파이프에 병설되는 압력조절장치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 제조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탄성마개(20)는 상기 난방파이프(10) 단부에 압입되어 난방파이프(10) 내에 충전된 축열물질의 누출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실리콘과 같은 탄력있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입을 위해서 상기 탄성마개(20)의 직경은 난방파이프(10)의 직경과 거의 같거나 약간 작게 하고, 탄성마개(20)의 선단부를 테이퍼 형상으로 하여 난방파이프(1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탄성마개(20)가 탄성력을 갖춤으로 인해, 후술하는 알루미늄캡(30)의 일정부위를 프레싱 압착할 때 난방파이프(10) 직경이 감소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마개(20)가 상기 난방파이프(10)에 보다 긴밀한 삽입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선(11)은 상기 탄성마개(20)의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난방파이프(10) 내부에 배치되며 일측단은 제어콘트롤러(미도시)에 연결되는데 이는 통상적인 구성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난방파이프(10) 단부에 씌워지는 캡은 알루미늄캡(30)이다(도 2). 상기 알루미늄캡(30)의 재질은 알루미늄 재질의 난방파이프(10)와 같은 재질이므로 후술하는 프레싱 작업시 압착력에 의해 알루미늄캡(30)의 직경이 먼저 축소되고 이어서 같은 재질의 상기 난방파이프(10)에도 압착력이 전달되어 난방파이프(10)의 직경 역시 축소된다. 이 때 상기 알루미늄캡(30)과 난방파이프(10)의 직경 수축 정도는 내부에 위치한 탄성마개(20)의 직경방향 수축정도가 2-3%될 때까지 프레싱을 하는 것이 좋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의 알루미늄캡(30), 난방파이프(10), 탄성마개(20)는 강력한 압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축열물질가 가열되면 탄성마개(20)가 직경방향으로 팽창하면서 상기 압착상태에 추가 압착을 더하는 셈이 되어 축열물질 누설의 여지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탄성마개(20)가 난방파이프(10)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알루미늄캡(30)의 일정부위를 프레싱에 의해 압착한다. 그로 인해 상기 알루미늄캡(30) 표면에는 압착부(40)가 형성된다. 도 3은 프레싱 전이고 도 4는 프레싱 후의 형상이다.
알루미늄캡(30)에 대한 프레싱 부위는, 도 5, 6, 7에서와 같이 상기 난방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압착부(40)가 형성되도록 하여 압착면적을 크게 하거나, 난방파이프 내부 압력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도 8에서와 같이 난방파이프(10)의 원주방향으로 압착부(4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루미늄캡(30)은 일측에 난방파이프 수용부(3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턱(32)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턱(32)은 프레싱 작업시 탄성마개(20)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도 2).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 난방파이프는 내면과 외면에 합성수지층(103, 101)이 수지접착된 알루미늄관(102)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축열물질이 충전된 삼중관 난방파이프(10)로 이루어지고, 상기 난방파이프(10) 단부에 탄성마개(20)가 압입되며, 상기 탄성마개(2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전열선(11)이 상기 난방파이프(10) 내부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난방파이프(10) 단부에 알루미늄캡(30)이 씌워진다.
이어서 상기 탄성마개(20)가 난방파이프(10)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알루미늄캡(30)의 일정부위를 프레싱에 의해 압착하게 되면 알루미늄캡(30), 난방파이프(10), 탄성마개(20)는 강력한 압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축열물질이 가열되면 탄성마개(20)가 직경방향으로 팽창하면서 상기 압착상태에 추가 압착을 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들을 통해, 종래의 다수의 부품을 이용한 체결구조를 대체하여 구조의 단순화와 조립공정을 간소화하였으며,
또한 종래 내부 전열선 교체, 온수 보충 등을 위해 체결상태 분리를 전제로 각 부품이 회전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프레싱 방법으로 개선하여 축열물질의 누설 여지를 근본적으로 해소하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종래 난방파이프는 파이프 내부의 열이 높아짐에 따라 축열물질이 팽창하면서 파이프가 파손되거나 밀봉부재가 외측으로 밀려 이탈될 수 있는 문제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완화시키기 위해 온수파이프 내부의 축열물질 충전량을 줄이거나 별도로 압력조절장치를 구비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은 알루미늄 삼중관 난방파이프를 채택함으로써 축열물질을 충분히 충전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동일 규격의 난방파이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난방효과가 증대되며, 압력조절장치 같은 별도의 구성이 필요치 않아 구조가 단순해지고 제조 설치비용이 감소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난방파이프 11 전열선
20 탄성마개
30 알루미늄캡 31 수용부 32 걸림턱
40 압착부
101 폴리에틸렌 합성수지층 102 알루미늄관
103 폴리에틸렌 합성수지층

Claims (4)

  1. 내면과 외면에 합성수지층(103, 101)이 수지접착된 알루미늄관(102)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축열물질이 충전된 삼중관 난방파이프(10),
    상기 난방파이프(10) 단부에 압입되는 탄성마개(20),
    상기 탄성마개(20)의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난방파이프(10) 내부에 배치되는 전열선(11),
    상기 난방파이프(10) 단부에 씌워지는 알루미늄캡(30),
    상기 탄성마개(20)가 난방파이프(10)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알루미늄캡(30)의 일정부위가 프레싱에 의해 압착되어 압착부(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관 전열 난방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캡(30)은 일측에 난방파이프 수용부(31)가 형성되고 타측은 걸림턱(3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관 전열 난방파이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40)는 상기 난방파이프(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관 전열 난방파이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40)는 상기 난방파이프(10)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중관 전열 난방파이프.




KR1020120016097A 2012-02-17 2012-02-17 삼중관 전열 난방파이프 KR101167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097A KR101167024B1 (ko) 2012-02-17 2012-02-17 삼중관 전열 난방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097A KR101167024B1 (ko) 2012-02-17 2012-02-17 삼중관 전열 난방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7024B1 true KR101167024B1 (ko) 2012-07-24

Family

ID=46717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097A KR101167024B1 (ko) 2012-02-17 2012-02-17 삼중관 전열 난방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494B1 (ko) * 2014-02-17 2015-01-21 옥 자 윤 전열난방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0602A (ja) 2000-03-03 2001-09-14 Nichifu Co Ltd 防水コネクタ
KR100848867B1 (ko) 2007-01-31 2008-07-29 성신하이텍(주) 제상용 시스히터의 실링구조
KR100884328B1 (ko) 2008-12-02 2009-02-18 이춘서 열매체오일과 미세발열체를 이용한 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0602A (ja) 2000-03-03 2001-09-14 Nichifu Co Ltd 防水コネクタ
KR100848867B1 (ko) 2007-01-31 2008-07-29 성신하이텍(주) 제상용 시스히터의 실링구조
KR100884328B1 (ko) 2008-12-02 2009-02-18 이춘서 열매체오일과 미세발열체를 이용한 난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494B1 (ko) * 2014-02-17 2015-01-21 옥 자 윤 전열난방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81624B (zh) 一种超导电缆波纹管的端件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404247Y1 (ko) 난방용 전열온수관의 밀폐장치
KR101167024B1 (ko) 삼중관 전열 난방파이프
KR200424367Y1 (ko)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CN101126543A (zh) 插入有电热线的温水管的结构
KR101167025B1 (ko) 전열 난방파이프 제조방법
KR100884328B1 (ko) 열매체오일과 미세발열체를 이용한 난방장치
KR100517863B1 (ko)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KR101314807B1 (ko) 전열온수관
KR20100089628A (ko) 전열온수관의 열매체 누수방지장치
CN105402596B (zh) 一种用于卫星电推进系统氙气加注的中转装置
RU91130U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фитинга с полипропиленовой трубой и комплект деталей для его сборки
CN201462300U (zh) 水暖连接结构
KR100865669B1 (ko)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CN204099767U (zh) 一种暖气阀中阀体和接头的连接结构
KR100875715B1 (ko) 발열선이 삽입된 관의 과열 방지용 밀폐장치
KR100881801B1 (ko)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밀폐구조
CN210483554U (zh) 一种防渗漏油井三通
KR101185486B1 (ko) 온수관 밀폐장치
CN210424135U (zh) 一种排水管伸缩节连接结构
RU2408814C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и штуцер для него
KR20130131219A (ko) 압력분산 장치가 구비된 온수관
KR101198112B1 (ko)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밀폐 및 압력조절장치
CN214579620U (zh) 一种燃气管道用钢塑转换管件
KR100985792B1 (ko)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 구조 및 전열 온수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