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165B1 -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 Google Patents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165B1
KR100858165B1 KR1020070047242A KR20070047242A KR100858165B1 KR 100858165 B1 KR100858165 B1 KR 100858165B1 KR 1020070047242 A KR1020070047242 A KR 1020070047242A KR 20070047242 A KR20070047242 A KR 20070047242A KR 100858165 B1 KR100858165 B1 KR 100858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pipe
hole
nu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환
Original Assignee
김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환 filed Critical 김기환
Priority to KR1020070047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3/35Ohmic-resistance heating
    • F16L53/38Ohmic-resistance heating using elongate electric heating elements, e.g. wires or rib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003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tion of paste, powder, particl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6Casings, cover lids or ornamental panels, for radia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8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H05B3/52Apparatu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compressing insulating material in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10Heat storage materials, e.g. phase change materials or static water enclosed in a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보일러를 구성하는 온수관의 양단부를 밀폐하여 온수관 내부에 충진되는 열매체의 주입 및 주출이 가능하여 온수관 내부의 열매체가 가열되어 팽창하는 경우 온수관 및 그 온수관 단부의 파손 및 열매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양단에 제1 및 제2단부가 구비되고 그 중앙부에는 제3단부가 돌출구비되고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T"자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제1단부에 온수관의 기밀이 유지되게 고정하기 위한 온수관 고정부재와, 상기 몸체의 제2단부를 밀폐하는 단부 밀폐부재와, 상기 몸체의 제3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온수관으로 열매체를 주입하거나 주출하기 위해 개폐되는 용량 조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수관 내부에 충진되는 열매체를 용량조절수단을 통해 간단히 주입 및 주출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용량조절수단을 볼밸브로 구성함으로서 그 사용상에 있어서도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70047242
전열선, 온수관, 열매체

Description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 sealing apparatus of electric warm pipe }
도 1은 종래의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 단부의 밀폐장치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가 설치되는 전기보일러의 계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온수관 12: 전열선
20: 콘트롤 판넬 30: 열매체
100: 밀폐장치 110: 몸체
112: 제1단부 114: 제2단부
116: 제3단부 120: 온수관 고정부재
122: 제1너트 124: 링와셔
130: 단부 밀폐부재 132: 밀봉재
134: 제2너트 140: 용량 조절부재
142: 볼밸브 144: 마감구
본 발명은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기보일러를 구성하는 온수관의 양단부를 밀폐하여 온수관 내부에 충진되는 열매체의 주입 및 주출이 가능하여 온수관 내부의 열매체가 가열되어 팽창하는 경우 온수관 및 그 온수관 단부의 파손 및 열매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보일러는 난방을 위해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온수관 내부에 전열선을 구비하고 내부에 열매체를 주입하고, 그 양단부에 열매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밀폐장치를 구비하여 마감처리를 하고, 전열선에 전원을 투입하면 전열선이 가열되어 열매체의 온도가 상승되어 난방을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기보일러의 밀폐장치의 일 예가 도 1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2037호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난방용 온수관(1)의 전 길 이의 내부에 피복 전열선(2)이 삽입된 것에 있어서, 온수관(1)의 양단부(1a)측에 통공(3d)이 형성된 플럭(3)의 관접부(3a)를 관접하고 온수관(1)의 피복 전열선(2)이 통공(4h)으로 관통된 탄성질의 실리콘 마개(4)를 플럭의 중앙 요입부(3b)의 턱(3c)에 닿게 삽입하고 그 외부에 크라운 너트(5)의 나사부(5a)를 플럭(3)의 나사부(3e)에 체결하여 누수방지기능과 전열선의 고정기능을 유지하게 된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밀폐장치는 플럭(3)의 중앙 요입부(3b)에 탄성질의 실리콘 마개(4)를 삽입하고 크라운 너트(5)를 체결하여 주는 구성을 채택한 것으로 그 실리콘 마개(4)가 원통 형상으로서, 실제 온수관(1) 내부의 전열선(2)이 가열되어 온수관 내부의 물이 가열되는 경우 물의 부피가 증가되며, 이는 상기 실리콘 마개(4)의 테두리부분에 높은 압력을 가하게 되고, 실리콘 마개가 고열에 의해 연화되어 플럭(3)의 중앙요입부(3b)에 형성된 턱(3c)만으로 실리콘 마개(4)가 지탱하지 못하고 온수관(1) 내부로 밀려 들어가 누수가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특히,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온수관 내부의 물이 너무 많이 주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와 같은 누수량이 더욱 많아 지게 되고, 물이 부족한 경우에는 온수관 내부의 공기가 차게 되며 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실리콘 마개(4)를 고정시에 플럭(3)의 중앙 요입부(3b)에 삽입하고 크라운 너트(5)를 체결시에 실리콘 마개(4)와 크라운 너트(5)의 마찰계수가 서로 달라 실리콘 마개(4)의 전단부가 플럭의 중앙 요입부(3b)의 턱(3c)에 완전 밀착되도록 조립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기보일러의 온수관의 양단부를 밀폐하되 온수관 내부에 충진되는 열매체의 주입 및 주출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수관 내부의 열매체가 가열되어 부피가 팽창하여 그 압력이 전달되더라도 열매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단에 제1 및 제2단부가 구비되고 그 중앙부에는 제3단부가 돌출구비되고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T"자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제1단부에 온수관의 기밀이 유지되게 고정하기 위한 온수관 고정부재와, 상기 몸체의 제2단부를 밀폐하는 단부 밀폐부재와, 상기 몸체의 제3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온수관으로 열매체를 주입하거나 주출하기 위해 개폐되는 용량 조절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제1단부는 그 외측 바깥둘레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부에는 돌출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출편에는 상기 온수관의 일단부가 긴밀하게 끼워져 안착되는 요홈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지고; 상기 온수관 고정부 재는 내측에 관통공과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단부의 제1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1너트와, 상기 몸체의 돌출편에 끼워지는 온수관의 외측에 끼워지는 링와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제2단부는 그 외측 바깥둘레에 제2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내면에 내부직경이 단부에서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점차 협소해지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지고; 상기 단부 밀폐부재는 상기 제2단부의 삽입공에 끼워지되 상기 삽입공의 형상과 동일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밀봉재와, 상기 제2단부의 제2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공이 형성되는 제2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너트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에는 마감캡이 끼워지고, 그 제2너트의 외부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커버체가 더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밀봉재는 고무, 합성수지, 실리콘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봉재와 제2너트 사이에는 마찰저감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용량 조절부재는 상기 제3단부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제3나사부가 관체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손으로 돌리기 용이한 노브가 그 관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볼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관체의 타단부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그 나사공에는 일단부에 상기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제4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타단부에는 사각헤드가 형성 되는 마감구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가 설치되는 전기보일러의 계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먼저,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100)는 전기보일러의 온수관(10) 양 끝단부에 장착되어 온수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열선(12)과 그 전열선(12)에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콘트롤 판넬(20)로 연결되는 경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온수관(10)의 양단부로부터 열매체(30)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장치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100)가 설치되는 열매체 전기보일러는 바닥에 배설되는 온수관(10)에 열매체(30)를 충진함과 동시에 전열선(12)을 온수관(10)의 양 끝단부로 관통되도록 설치하고, 전열선(12)에 전선(14)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전열선(12)이 발열되면 온수관(10) 내의 열매체(30)를 가열함에 따라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 난방장치로서, 온수관(10)의 양 단부에 본 발명에 따른 밀폐장치(100)가 각각 구비되고, 전열선(10)은 콘트롤 판넬(20)과 전기 적으로 결합되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100)는 도 3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100)는 "T"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내지 제3단부(112,114,116)가 각각 형성되고 그 내측에 상기 제1 내지 제3단부(112,114,116)와 연통되는 관통공(118)이 형성되는 몸체(110)와, 그 몸체(110)의 제1단부(112)에 온수관(10)의 단부를 기밀이 유지되게 연결 결합하여 고정하는 온수관 고정부재(120)와, 전열선(12)의 경로를 제공하되 상기 몸체(110)의 제2단부(114)가 기밀이 유지되도록 밀폐하는 단부 밀폐부재(130)와, 상기 몸체(110)의 제3단부(116)를 기밀이 유지되게 밀폐함과 더불어 열매체(30)를 온수관(10)으로 주입하거나 온수관(10)에서 주출시 개폐되는 용량 조절부재(14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몸체(110)는 내측에 관통공(118)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1 및 제2단부(112,114)의 외측 바깥둘레에는 제1 및 제2나사부(112a,114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3단부(116)의 내측에는 나사공(116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단부(112)에는 돌출편(113)이 돌출형성되고, 그 돌출편(113)과 제1단부(112)의 사이에는 요홈(113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단부(112)와 돌출편(113)의 사이에는 온수관(10)의 일단부가 상기 돌출편(113)에 긴밀하게 끼워 져 요홈(113a)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제2단부(114)의 내측에 형성되는 삽입공(114b)은 그 내부직경이 단부에서 몸체(110)의 내측방향으로 점차 협소해지는 테이퍼면이 형성됨으로써 밀봉재(132)가 삽입될 때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고, 외부에서 압입되는 힘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열매체(30)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온수관 고정부재(120)는 내측에 관통공(122a) 및 나사공(122b)이 형성되어 상기 제1단부(112)의 제1나사부(112a)와 나사 결합되는 제1너트(122)와, 상기 제1단부(112)의 돌출편(113)에 긴밀하게 끼워 넣어지는 온수관(10)의 외측에 끼워져 상기 제1너트(122)와 돌출편(113) 사이에 구비되는 링와셔(12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링와셔(124)는 일단부가 절개된 절결부(124a)가 형성되어 있어 제1너트(122)와 제1나사부(112a)가 나사 체결됨에 따라 그 가압력에 의해 요홈(113a)에 긴밀하게 끼워넣어진 온수관(10)의 표면을 가압하여 온수관(10)이 상기 돌출편(113)의 표면에 밀착되게 한다.
또한, 상기 단부 밀폐부재(130)는 밀봉재(132)와, 상기 온수관(10) 내부의 열매체(30)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내측에 관통공(134a)과 나사공(134b)이 형성된 제2너트(134)가 상기 제2단부(114)의 제2나사부(114a)와 나사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단부(114)의 내면에 형성된 삽입공(114b)에 밀봉재(132)가 끼워지고, 상기 제2너트(134)의 관통공(134)에는 마감캡(136)이 끼워지고, 그 마감 캡(136)이 끼워진 상태의 제2너트(134)의 외부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커버체(138)가 끼워진다.
한편, 상기 밀봉재(132)는 열에 강하고, 신축성과 탄성이 적정한 고무, 합성수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부(114)의 삽입공(114b)의 형상과 동일하게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후단부는 상기 제2단부(114)의 삽입공(114b)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걸림턱(13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밀봉재(132)의 걸림턱(132a)이 상기 제2단부(114)의 테두리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여 제2너트(134)가 제2나사부(114a)와 나사결합되며 몸체(110)의 내부로 가압되는 경우에도 더이상 밀려 들어가지 않도록 지지해주게 된다.
그리고, 그 밀봉재(132)의 중앙에는 구멍(132b)이 관통형성되어 온수관(10)에 설치되는 전열선(12)이 억지로 관통 삽입된다.
한편, 상기 밀봉재(132)는 그 재질의 특성상 상기 제2너트(134)와 밀봉재(132)의 마찰계수가 서로 달라 이와 같은 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부시와 같은 마찰저감부재(135)가 상기 밀봉재(132)와 제2네트(134)의 사이에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열선(12)에 전원이 투입되어 온수관(10)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면서 열매체(30)의 부피가 팽창하는 경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밀봉재(132)가 밀리더라도 경사진 형상에 의해 더욱 긴밀하게 제2단부(114)의 삽입공(114b)의 내주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온수관(10) 내부에 충진된 열매체(30)가 제2단부(114)를 통해 누수를 차단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용량조절수단(140)은 상기 온수관(10)에서 열매체(30)의 양을 적 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온수관(10)에 충진된 열매체(30)가 부족한 경우에는 외부에서 열매체(30)의 부족분을 더 주입이 가능하고, 열매체(30)가 과충진된 상태인 경우에는 온수관(10) 내부의 열매체(30)를 인위적으로 주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용량 조절부재(140)는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제3단부(116)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공(116a)에 체결되어 개폐기능을 하는 것으로, 손으로 돌리기 용이한 노브(142a)가 관체(142b)의 외부로 노출되는 볼밸브(ball valve)(14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관체(142b)의 일단부는 상기 몸체(110)의 제3단부(116)의 나사공(116a)에 나사결합되는 제3나사부(142c)가 형성되고, 상기 관체(142b)의 타단부에는 나사공(142d)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체(142b)의 나사공(142d)에는 마감구(144)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마감구(144)는 일단부에는 상기 나사공(142d)에 나사결합되는 제4나사부(144a)가 형성되고, 그 타단부에는 사각헤드(144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마감구(144)를 개폐하는 경우에는 렌치(미도시됨)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량 조절부재(144)는 상기 볼밸브(142)가 일측에 회전걸림턱(142e)이 형성되어 0 ~ 90°의 각도 이내에서만 노브(142a)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공지(公知)의 볼밸브(142)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물(water) 등의 열매체(30)의 주입 및 주출이 용이한 구성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량 조절부재(140)는 상기 볼밸브(142)와 마감구(144)를 함께 구비하거나 또는 볼밸브(142) 또는 마감구(144) 중에 어느 하나만을 사용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위해서는 상기 마감구(144)의 제4나사부(144a)는 상기 볼밸브(142)의 관체(142b)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3나사부(142c)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의 조립 및 작동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기보일러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건물 실내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온수관(10) 내부에는 전열선(12)을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온수관연결부재(100)를 이용하여 몸체(110)의 제1단부(112)에 온수관(10)의 단부를 기밀이 유지되게 고정한다. 즉, 제1단부(112)와 돌출편(113)의 사이에 온수관(10)의 일단부를 끼워 요홈(113a)에 밀착시키고, 링와셔(124)를 끼우고 그 제1단부(112)의 제1나사부(112a)에 제1너트(122)를 나사결합시켜 주어 온수관(10)이 상기 돌출편(113)의 표면에 밀착시킴으로서 온수관(10)의 단부를 밀폐된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몸체(110)의 제2단부(114)에 형성되는 삽입공(114b)에 밀봉재(132)를 삽입하고, 그 후단에 마찰저감부재(135)인 부시를 구비하고 제2네트(134)를 제2단부(114)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나사부(114a)에 나사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너트(134)의 관통공(134a)에 마감캡(136)을 끼우고, 그 제2너 트(134)의 외부에 커버체(138)를 씌우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제3단부(116)에 형성되는 나사공(116a)에 용량조절수단(140)을 구비한다. 즉,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제3단부(116)의 나사공(116a)에 볼밸브(142)의 관체(142b)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3나사부(142c)를 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100)의 설치 및 조립을 완료한 상태에서 볼밸브(142)의 노브(142a)를 회전시켜 개방하고 관체(142b)의 타단부를 통해 열매체(30)를 주입한다. 열매체(30)가 온수관(10)에 일정량이 주입되면 노브(142a)를 개방시와는 반대방향으로 돌려 폐쇄시키고 전기보일러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전기보일러를 작동시키는 동안 사용자는 온수관(10) 내부의 압력을 체크하게 되며, 온수관(10) 내부에 충진된 열매체(30)의 양이 부족하여 온수관(10) 내부의 압력이 일정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전열선(12)이 과열되는 등 전기보일러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온수관(10) 내부의 압력이 일정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노브(142a)를 회전시켜 개방하고 관체(142b) 내로 열매체(30)를 더 주입하게 된다.
한편, 온수관(10)에 충진된 열매체(30)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 온수관(10) 내부의 압력이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온수관(10)의 파열 또는 그 온수관(10) 단부의 누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노브(142a)를 회전시켜 개방하고 관체(142b)를 통해 온수관(10) 내부에 과충진된 열매체(30)의 일정 량을 주출함으로써 열매체 전기보일러를 이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과정을 거쳐 온수관(10) 내부에 적정량의 열매체(30)를 충진한 경우에는 상기 관체(142b)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나사공(142d)에 마감구(144)의 제4나사부(144a)를 체결시키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는 온수관 내부에 충전되는 열매체를 용량조절수단을 통해 간단히 주입 및 주출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그와 같은 용향조절수단을 볼밸브로 구성함으로서 그 사용상에 있어서도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열선이 가열되어 온수관 내부의 열매체가 가열되는 경우 그 부피 증가로 인한 압력이 탄성재질의 밀봉재에 가해지더라도 그 경사진 형태의 밀봉재가 밀리면서 테이퍼면을 가지는 삽입공에 밀착되어 기밀성을 유지시켜 주어 마감부위의 누수를 원천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양단에 제1 및 제2단부(112,114)가 구비되고 그 중앙부에는 제3단부(116)가 돌출구비되고 내측에 관통공(118)이 형성되는 "T"자 형상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제1단부(112)에 온수관(10)의 기밀이 유지되게 고정하기 위한 온수관 고정부재(120)와,
    상기 몸체(110)의 제2단부(114)를 밀폐하는 단부 밀폐부재(130)와,
    상기 몸체(10)의 제3단부(116)에 구비되어 상기 온수관(10)으로 열매체를 주입하거나 주출하기 위해 개폐되는 용량 조절부재(1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제1단부(112)는 그 외측 바깥둘레에 제1나사부(112a)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부(112)에는 돌출편(113)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돌출편(113)에는 상기 온수관(10)의 일단부가 긴밀하게 끼워져 안착되는 요홈(113a)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지고;
    상기 온수관 고정부재(120)는 내측에 관통공(122a)과 나사공(122b)이 형성되어 상기 제1단부(112)의 제1나사부(112a)와 나사 결합되는 제1너트(122)와, 상기 몸체(110)의 돌출편(113)에 끼워지는 온수관(10)의 외측에 끼워지는 링와셔(1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제2단부(114)는 그 외측 바깥둘레에 제2나사부(114a)가 형성되고, 그 내면에 내부직경이 단부에서 몸체(110)의 내측방향으로 점차 협소해지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삽입공(114b)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지고;
    상기 단부 밀폐부재(130)는 상기 제2단부(114)의 삽입공(114b)에 끼워지되 상기 삽입공(114b)의 형상과 동일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밀봉재(132)와, 상기 제2단부(114)의 제2나사부(114a)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공(134b)이 형성되는 제2너트(1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너트(134)의 중앙에는 관통공(134a)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에는 마감캡(136)이 끼워지고, 그 제2너트(134)의 외부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커버체(138)가 더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132)는 고무, 합성수지, 실리콘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132)와 제2너트(134) 사이에는 마찰저감부재(13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 조절부재(140)는 상기 제3단부(116)의 나사공(116a)에 나사결합되는 제3나사부(142c)가 관체(142b)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손으로 돌리기 용이한 노브(142a)가 그 관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볼밸브(1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142b)의 타단부는 나사공(142d)이 형성되고, 그 나사공(142d)에는 일단부에 상기 나사공(142d)에 나사결합되는 제4나사부(144a)가 형성되고 그 타단부에는 사각헤드(144b)가 형성되는 마감구(144)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 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KR1020070047242A 2007-05-15 2007-05-15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KR100858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242A KR100858165B1 (ko) 2007-05-15 2007-05-15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242A KR100858165B1 (ko) 2007-05-15 2007-05-15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8165B1 true KR100858165B1 (ko) 2008-09-10

Family

ID=40022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242A KR100858165B1 (ko) 2007-05-15 2007-05-15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1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807B1 (ko) 2012-02-24 2013-10-04 김영렬 전열온수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132Y1 (ko) 2003-07-29 2003-10-22 장찬식 난방용 전열온수관
KR100517863B1 (ko) 2005-07-14 2005-09-28 김기환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KR100540787B1 (ko) 2005-06-16 2006-01-11 윤진호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KR200433124Y1 (ko) 2006-09-29 2006-12-11 윤진호 열매체 전기온수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132Y1 (ko) 2003-07-29 2003-10-22 장찬식 난방용 전열온수관
KR100540787B1 (ko) 2005-06-16 2006-01-11 윤진호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KR100517863B1 (ko) 2005-07-14 2005-09-28 김기환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KR200433124Y1 (ko) 2006-09-29 2006-12-11 윤진호 열매체 전기온수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807B1 (ko) 2012-02-24 2013-10-04 김영렬 전열온수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787B1 (ko)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US20070034820A1 (en) Drain valve
KR100815261B1 (ko) 전열선 삽입 온수관의 마감장치
KR100858165B1 (ko)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KR100611609B1 (ko) 난방용 전열온수관
KR100517863B1 (ko)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KR200331132Y1 (ko) 난방용 전열온수관
KR101402003B1 (ko)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KR101129472B1 (ko) 전기온수 방열관 내압유지 안전장치
CN210068048U (zh) 一种具有保护结构的热采井口
KR101077548B1 (ko) 전열온수관의 열매체 누수방지 및 압력유지장치
KR200433124Y1 (ko) 열매체 전기온수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
KR100865669B1 (ko)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KR100342005B1 (ko) 히터파이프 제조방법과 진공밀봉을 위한 밸브 및 밀봉기
CN206504005U (zh) 具有防水功能的电热水龙头
CN210830556U (zh) 燃气开关装置的阀塞内部的过热封闭装置
KR100865668B1 (ko)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CN206320927U (zh) 一种内窥镜保温装置
CN101329107B (zh) 电热温水管的端部密封装置
ES2690331T3 (es) Conjunto de conexión de suministro de gas, un método para conectar una conducción de suministro de gas a un orificio de entrada de gas, y un aparato de cocina a gas
KR101167025B1 (ko) 전열 난방파이프 제조방법
KR101167024B1 (ko) 삼중관 전열 난방파이프
CN215062316U (zh) 一种管道断流装置
CN106641433A (zh) 具有防水功能的电热水龙头
CN211299135U (zh) 用在水池的充水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