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787B1 -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 Google Patents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787B1
KR100540787B1 KR1020050051728A KR20050051728A KR100540787B1 KR 100540787 B1 KR100540787 B1 KR 100540787B1 KR 1020050051728 A KR1020050051728 A KR 1020050051728A KR 20050051728 A KR20050051728 A KR 20050051728A KR 100540787 B1 KR100540787 B1 KR 100540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pipe
heat medium
sealing
electric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1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진호
Original Assignee
윤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진호 filed Critical 윤진호
Priority to KR1020050051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0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관의 양단을 확실하게 폐색하고, 열매체를 온수관에 주입하거나 주출할 수 있는 유량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온수관 내부의 압력을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열선에 의해 열매체가 가열되는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을 밀폐하는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T"자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와 온수관의 기밀이 유지되게 고정하기 위한 온수관 고정부재; 상기 몸체의 단부의 기밀이 유지되게 밀폐하기 위한 단부 밀폐부재; 상기 몸체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열매체를 온수관으로 주입하거나 주출하기 위한 유량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매체, 전기보일러, 온수관, 밀봉재, 유량조절부재,

Description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Apparatus for sealling warm pipe of electric boiler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개략적인 배관도.
도 2는 종래의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몸체 121 : 제 1나사부
122 : 제 2나사부 123 : 제 3나사부
124 : 돌출편 125 : 요홈
126, 127, 153 : 삽입공
128, 131, 151, 171, 181, 193 : 관통공
130 : 제 1너트 140 : 링와셔
141 : 절결부 150 : 외부캡
152, 173 : 걸림턱 160, 162, 190 : 밀봉재
161, 163, 191 : 가이드홈 170 : 제 2너트
180 : 제 3너트 192 : 부시
a : 경사부 b : 단턱
본 발명은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관의 양 단부를 확실하게 폐색하고, 열매체를 온수관에 주입하거나 온수관에서 주출할 수 있는 유량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온수관 내부의 압력을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매체 전기보일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에 배설되는 온수관(10)에 열매체(11)를 충진함과 동시에 전열선(12)을 온수관(10)의 양 끝단부로 관통되도록 설치하고, 전열선(12)을 전원선(15)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원에 의한 전열선(12)의 발열로서 온수관(10) 내의 물을 가열함에 따라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 전기보일러에 의한 난방장치로서, 온수관(10)의 양 단부는 밀폐부재(13A, 13B)에 의하여 폐색되어지고, 전열선(12)은 콘트롤 패널(14)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진다.
열매체 전기보일러는 온수관 내부의 열매체가 가열되면 이 열매체의 팽창으로 온수관 내부에 압력이 상승하게 되므로 온수관의 단부를 완전히 밀폐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이에 따라 온수관 단부의 밀폐를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에 대한 기술로서, 예를 들면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81433호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제 1나사부가 형성된 상부캡과 제 2나사부가 형성된 몸체결합부의 상부 함몰부 사이에 통공 형태로 된 와셔와 실리콘링이 끼워지고, 몸체결합부의 하부에 오링과 하부캡이 결합되어 밀폐되는 것이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49618호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파이프에 캡부재와 외부 결합부재 및 제 1오링을 고정하고, 캡부재의 함몰부에 제 2오링을 안치시킨 후, 외부 결합부재를 캡부재에 결합시키고 함몰부에 내부 결합부재를 결합시켜서 제 1 및 2오링이 압착되면서 파이프에 저장된 축열물질을 밀폐하도록 된 것이다.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일반적인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열매체(11)가 충진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전열선(12)이 내장되어 있는 온수관(10)의 양 끝단으로 끼워넣어져서 고정되며, 내측에 관통공(20a)이 형성됨과 동시에 외측에 제 1 및 제 2나사부(21a, 21b)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몸체(20), 몸체(20)의 제 1 및 제 2나사부(21a, 21b)에 각각 체결되는 제 1 및 제 2너트(30, 50), 제 1나사부(21a)와 제 1너트(30)의 사이에 개재되는 링와셔(40), 제 2나사부(21b)의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공(20a)에 끼워 넣어져 제 2나사부(21b)와 제 2너트(50)의 체결력에 의해 긴밀하게 고정되는 밀봉캡(60), 제 2너트(50)와 밀봉캡(60)의 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한 부시 등의 마찰저감부재(70), 제 2너트(50)의 바깥쪽에서 끼워 맞추어지는 외부캡(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는, 밀폐부재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밀폐부재간의 밀폐력이 다소 개선되었으나, 내측에 전열선이 끼워넣 어지는 밀봉캡이 몸체의 관통공에 밀착되어지는 힘이 약하여 온수관 내부에서 열매체가 지나치게 팽창하게 되면 이로 인해 누설의 우려가 있어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는, 전열선에 의해 가열되는 열매체에 의하여 온수관의 내부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지게 되면, 온수관의 팽창으로 인해 온수관이 파열되게 되거나 온수관이 매설된 바닥면이 갈라지는 등의 균열현상이 생기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열매체가 가열됨에 따라 온수관 내부의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지게 되어 온수관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량 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열매체를 주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온수관 내부 압력을 적정하게 감압시키고, 지나치게 열매체가 적게 주입되면 온수관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게 되고, 이 공간부에 노출된 전열선이 과열되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량 조절부재를 이용하여 열매체를 주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온수관 내부 압력을 적정하게 조절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열선에 의해 열매체가 가열되는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을 밀폐하는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T"자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와 온수관의 기밀이 유지되게 고정하 기 위한 온수관 고정부재; 상기 몸체의 단부의 기밀이 유지되게 밀폐하기 위한 단부 밀폐부재; 상기 몸체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열매체를 온수관으로 주입하거나 주출하기 위한 유량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일단에 상기 온수관 고정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돌출편과 제 1나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단부 밀폐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제 2나사부가 형성되며, 중앙의 돌출부에는 상기 유량 조절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제 3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수관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돌출편에 끼워넣어져 요홈에 밀착된 온수관을 고정하기 위하여 온수관의 외측에 절결부가 형성된 링와셔가 개재되어 상기 몸체의 제 1나사부에 체결되는 제 1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부 밀폐부재는, 상기 몸체의 단부 내측에 형성된 삽입공에 끼워지는 제 1밀봉재와, 상기 제 1밀봉재와 밀착 설치되는 제 2밀봉재와, 상기 제 2밀봉재가 삽입되는 외부캡과, 상기 외부캡의 외측에서 끼워넣어져 상기 외부캡을 상기 몸체에 결합하는 제 2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량 조절부재는, 상기 몸체의 제 3나사부 내면에 끼워지는 제 3밀봉재와, 상기 제 3밀봉재를 외부에서 밀착 고정시키는 제 3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부 밀폐부재의 제 1밀봉재와 제 2밀봉재 사이에 위치되는 가이드홈에는 전열선과 전원선이 연결 결합되는 접속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량 조절부재의 제 3밀봉재와 제 3너트의 사이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부시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제 2, 제 3밀봉재는 하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단턱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중심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를 나타낸분리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는, 통상의 방식으로 바닥에 적절하게 배설된 온수관의 양 끝단부에 장착되어 온수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열선과 콘트롤 패널로 연결되는 경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온수관의 양 단부로부터 열매체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밀폐부재로서 구현된다.
상기 온수관 단부 밀폐부재는, "T"자 형상으로서 내측에 관통공(127)이 형성되고, 각 관로의 외측에 나사부를 형성한 몸체(120)와 몸체(120)와 온수관(10)을 몸체(120)의 제 1나사부(121)에 기밀이 유지되게 연결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온수관 고정부재와 전열선(10)의 경로를 제공하되, 몸체(120) 단부의 제 2나사부(122)가 기밀이 유지되게 밀폐하기 위한 단부 밀폐부재와 몸체(120)의 제 3나사부(123)를 기밀이 유지되게 밀폐함과 더불어 열매체를 온수관(10)으로 주입하거나 온수관(10)에서 주출하기 위한 유량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20)는, 내측에 몸체(120)와 동일한 형상의 관통공(128)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각 단부의 외측 바깥둘레에는 제 1, 제 2 및 제 3나사부(121, 122, 123)가 각각 형성되고, 제 1나사부(121)의 단부에서 돌출하여 돌출편(124)이 형성 되며, 제 1나사부(121)와 돌출편(124)의 사이에는 온수관(10)의 단부가 돌출편(124)에 긴밀하게 끼워넣어져 요홈(125)에 안착되게 된다. 그리고 몸체(120)의 제 2 및 제 3나사부(122, 123)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공(126, 127)은 그 내부가 단부에서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로 형성됨으로써 밀봉부재(160, 190)가 삽입될 때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고, 밀봉부재(160, 190) 중앙부에 형성된 가이드홈(161, 191) 외부에서 압입되는 힘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누설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온수관 고정부재는, 내측에 관통공(131) 및 나사공(132)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제 1나사부(121)와 나사 결합되는 제 1너트(130)와, 몸체(120)의 돌출편(124)에 긴밀하게 끼워 넣어지는 온수관(10)의 외측, 즉 제 1너트(130)와 돌출편(124) 사이에 놓이는 링와셔(140)로 구성되는데, 링와셔(140)는 절결부(141)가 형성되어 있어서 제 1너트(130)와 제 1나사부(121)가 나사 체결됨에 따라 그 가압력에 의해 요홈(125)에 긴밀하게 끼워넣어진 온수관(10)이 돌출편(124)에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단부 밀폐부재는, 온수관(10) 내부의 열매체(11)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으로 내측에 관통공(171)과 나사공(172)이 형성된 제 2너트(170)가 제 2나사부(122)와 나사 결합되는데, 제 2나사부(122)의 내면에 형성된 삽입공(126)에 제 1밀봉재(160)가 끼워지고, 상기 제 1밀봉재와 대응되게 제 2밀봉재(162)가 내부에 삽입공(153)이 형성된 외부캡(150)에 끼워져 밀착 고정되게 되는데, 상기 외부캡(150)은 제 2너트(170)에 의해 제 2나사부(122)에 체결됨으로써 제 1밀봉재(160)와 제 2밀봉재(162)가 가압되어 밀착 고정되게 된다. 이때, 제 1밀봉재(160)와 제 2밀봉재(162)는 고무, 합성수지, 실리콘 등과 같이 신축성과 탄성이 좋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제 1밀봉재(160)와 제 2밀봉재(162) 내부를 통과하는 전열선(12)과 전원선(15)에 대한 밀착력을 높이게 된다.
상기 제 1, 제 2밀봉재(160, 162)는, 몸체(120)의 단부 내측에 형성된 관통공(126)에 밀착하는 제 1밀봉재(160)와 외부캡(150)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공(153)에 밀착하는 제 2밀봉재(162)로 각각 분리된 형상을 갖는데, 제 1밀봉재(160)는 일단부의 외주면이 관통공(126)의 측벽과 밀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단부가 관통공(126)의 단부 내측 직경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며, 제 2밀봉재(162)는 일단부의 외주면이 외부캡(150)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공(153)의 측벽에 밀착되게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단부가 삽입공(153)의 단부 내측 직경 이상의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 1밀봉재(160)와 제 2밀봉재(162)는 서로 맞닿는 중앙부에 각각 일정 직경과 일정 깊이를 갖는 가이드홈(161, 163)이 형성되는데, 온수관(10)에 배설되는 전열선(12)은 제 1밀봉재(160)에서 가이드홈(161)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구멍을 뚫어 억지로 관통되게 삽입되어지고, 콘트롤 패널에서 연장되는 전원선(15)은 제 2밀봉재(163)에서 가이드홈(163)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구멍을 뚫어 억지로 관통되게 삽입되어진다. 이렇게 삽입된 전열선(12)과 전원선(15)은 접속관(164)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전열선(12)과 전원선(15)을 접속관(164)의 양단부에서 내측 중앙으로 삽입한 후, 접속관(164)을 펀치 등으로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여 일그러뜨림으로써 내부에 삽입 된 전열선(12)과 전원선(15)을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전열선(12)과 전원선(15)이 결합되는 접속관(164)은 제 1밀봉재(160)와 제 2밀봉재(162)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홈(161, 163)에 삽입되어 설치되어지므로 접속관(164)이 안정되게 위치하게 되며, 단락의 방지와 누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열선(12)과 전원선(15)이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접속관(164)과 제 1밀봉재(16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전열선(12) 및 제 2밀봉재(16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전원선(15)은 제 2너트(170)가 제 2나사부(122)에 체결됨에 따라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제 1밀봉재(160)와 제 2밀봉재(162)에는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제 1밀봉재(160)와 제 2밀봉재(162) 그리고 각각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접속관(164), 전열선(12) 및 전원선(15) 사이의 틈이 좁아지게 되므로 열매체(11)가 누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일반적으로 전열선(12) 또는 전원선(15)의 경로는 제공하되, 열매체(11)의 누출을 차단하는 밀봉재는 하나만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 1밀봉재(160)와 제 2밀봉재(162)로 구분하여 설치함으로써 접속관(164)에 의한 전열선(12)과 전원선(15)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전열선(12), 전원선(15) 및 접속관(164)에 가하는 밀착력을 강화함으로써 그 밀폐력이 월등하게 향상되게 된다.
상기 외부캡(150)은, 제 2밀봉재(16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 직경이 단부에서 그 깊이방향으로 점차 협소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의 일단부는 제 2너트(170)의 내측을 관통 가능한 외부직경을 갖고, 타단부는 제 2너트(170)에 형성된 걸림턱(173)에 걸려서 이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일단부의 외부직경보다 더 큰 외부직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일단부의 중앙에는 콘트롤 패널(14)로 연결되는 전원선(15)의 경로를 제공하는 관통공(151)이 형성된다.
상기 유량 조절부재는, 온수관(10)에 적정량의 열매체(11)를 유지하기 위하여 온수관(10)에 열매체를 주입하거나 주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몸체(120)에 형성된 제 3나사부(123)에 형성된 삽입공(127)에 끼워넣어지는 제 3밀봉재(190)와 상기 제 3밀봉재(190)를 가압하여 밀폐시키는 제 3너트(180)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제 3너트(180)로 제 3밀봉재(190)를 가압하기 위하여 제 3너트(180)를 회전할 때 탄성이 있는 제 3밀봉재(190)와 제 3너트(18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제 3밀봉재(190)의 비틀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시(192)가 삽입되어진다.
상기 제 3밀봉재(190)는, 일단 부위가 몸체(120)의 삽입공(127) 측벽에 밀착되도록 경사지게 경사부(a)가 형성되고, 타단 부위가 관통공(127)의 단부 내측 직경 이상의 크기를 갖는 단턱(b)으로 형성되며, 상기 타단부의 중앙에는 가이드홈(191)이 형성되어 열매체(11)를 온수관(10)으로부터 주출하거나 온수관(10)으로 주입하기 위한 소정의 유량조절기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량조절기는 예컨대, 주사기 형상으로서 가이드홈(191)을 따라 제 3밀봉재(190)를 관통하면서 몸체(120)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여 열매체(11)를 밖으로 주출하거나 내부로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밀봉재(190)는 상기 유량조절기가 꽂아지게 되면 그 경로를 제공하지만 빼내어지게 되면 상기 유량조절기에 의해 형성되었던 경로를 기밀이 유지되게 폐색시킴으로써 열매체가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를 이용하여 열매체 전기보일러를 설치 하고 유지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여 보면, 최초 설치시에는 온수관(10) 내부에 전열선(12)을 설치한 후 온수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몸체(120)의 일단부에 온수관(10) 양단부를 기밀 유지되게 고정한다. 이어서, 제 1밀봉재(160)를 관통한 전원선(12)과 제 2밀봉재(162)를 관통한 전원선(15)은 접속관(164)을 이용하여 연결한 다음 제 1, 제 2밀봉재(160, 162)가 기밀이 유지되게 설치한다. 이어서 몸체(120)의 제 3너트(180) 내부의 삽입공(127)을 통해 열매체(11)를 주입한다. 열매체(11)가 온수관(10)에 일정량이 주입되면 제 3밀봉재(190)와 제 3너트(180)를 몸체(120)의 중앙 돌출부에 형성된 제 3너트(123)에 결합한 다음 상기 유량 조절기를 이용하여 온수관(10)에 열매체(11)를 충분히 주입하여 전기보일러를 작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열매체 전기보일러를 작동시키는 도중에 사용자는 온수관(10) 내부의 압력을 체크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온수관(10)에 충진된 열매체(11)의 양이 부족하여 온수관(10) 내부의 압력이 일정 이하로 내겨가게 되면 전열선(12)이 과열되는 등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유량 조절기를 이용하여 온수관(10) 내부로 열매체(11)를 주입하게 되고, 온수관(10)에 충진된 열매체(11)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 온수관(10) 내부의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면 온수관(10)이 파열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유량 조절기를 이용하여 온수관(10)에서 열매체(11)를 주출함으로써 열매체 전기보일러를 이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에 의하면, 열매체 및 전열선이 내장된 온수관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열매체를 주출하여 내부 압력을 적정하게 감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온수관 내부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지게 됨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열매체 누설이나 온수관 파열 또는 바닥면의 균열 등을 사전에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수관 내부의 열매체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유량 조절부재에 의해 간편하게 열매체를 주입함으로써 온수관 내부의 공간부에 노출된 전열선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수관 단부에 밀봉재를 이중으로 설치함으로써 열매체의 누설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전열선에 의해 열매체가 가열되는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을 밀폐하는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관통공(127)이 형성된 "T"자 형상의 몸체(120);
    상기 몸체(120)와 온수관(10)의 기밀이 유지되게 고정하기 위한 온수관 고정부재;
    상기 몸체(120)의 단부의 기밀이 유지되게 밀폐하기 위한 단부 밀폐부재; 및
    상기 몸체(120)의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열매체를 온수관(10)으로 주입하거나 주출하기 위한 유량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유량 조절부재는 상기 몸체(120)의 제 3나사부(123) 내면에 끼워지는 제 3밀봉재(190)와, 상기 제 3밀봉재(190)를 외부에서 밀착 고정시키는 제 3너트(180)로 구성되고,
    상기 제 3밀봉재(190)와 제 3너트(180)의 사이에는 관통공(193)이 형성된 부시(192)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20)는, 일단에 상기 온수관 고정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돌출편(124)과 제 1나사부(12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단부 밀폐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제 2나사부(122)가 형성되며, 중앙의 돌출부에는 상기 유량 조절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제 3나사부(1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관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120)에 형성된 돌출편(124)에 끼워넣어져 요홈(125)에 밀착된 온수관(10)을 고정하기 위하여 온수관(10)의 외측에 절결부(125)가 형성된 링와셔(140)가 개재되어 상기 몸체(120)의 제 1나사부(121)에 체결되는 제 1너트(1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밀폐부재는, 상기 몸체(120)의 단부 내측에 형성된 삽입공(126)에 끼워지는 제 1밀봉재(160)와, 상기 제 1밀봉재(160)와 밀착 설치되는 제 2밀봉재(162)와, 상기 제 2밀봉재(162)가 삽입되는 외부캡(150)과, 상기 외부캡(150)의 외측에서 끼워넣어져 상기 외부캡(150)을 상기 몸체(120)에 결합하는 제 2너트(1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밀폐부재의 제 1밀봉재(160)와 제 2밀봉재(162) 사이에 위치되는 가이드홈(161, 163)에는 전열선(12)과 전원선(15)이 연결 결합되는 접속관(16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밀봉재(160, 162, 190)는 하부가 경사면(a)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단턱(b)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중심부에는 가이드홈(161, 163, 19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KR1020050051728A 2005-06-16 2005-06-16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KR100540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728A KR100540787B1 (ko) 2005-06-16 2005-06-16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1728A KR100540787B1 (ko) 2005-06-16 2005-06-16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0787B1 true KR100540787B1 (ko) 2006-01-11

Family

ID=37178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1728A KR100540787B1 (ko) 2005-06-16 2005-06-16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78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521B1 (ko) * 2006-01-25 2007-02-27 임희섭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100711289B1 (ko) 2006-01-02 2007-04-25 윤진호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전열선 삽입장치 및 그 방법
KR100756219B1 (ko) 2007-06-07 2007-09-06 이인수 사용시 압력에 안전한 열매체 보일러
KR100858165B1 (ko) 2007-05-15 2008-09-10 김기환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KR100875716B1 (ko) 2008-06-24 2008-12-26 이춘서 관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선 연결용 커플링
KR100928431B1 (ko) 2007-11-14 2009-11-24 문선기 전열 온수관용 열매체 및 전열 온수관
KR200449209Y1 (ko) 2008-02-14 2010-06-24 김용권 전열선이 내장된 온수관
KR200453767Y1 (ko) 2007-04-18 2011-05-27 임희섭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101076180B1 (ko) 2009-09-15 2011-10-21 이호용 전열형 온수파이프의 밀봉장치
KR101372468B1 (ko) 2012-07-06 2014-03-10 최재원 전열식 온수난방장치용 온수파이프 밀봉장치
KR101485130B1 (ko) * 2013-12-10 2015-01-23 주식회사 양지전자 섬유를 이용한 축열식 난방관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289B1 (ko) 2006-01-02 2007-04-25 윤진호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전열선 삽입장치 및 그 방법
KR100687521B1 (ko) * 2006-01-25 2007-02-27 임희섭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200453767Y1 (ko) 2007-04-18 2011-05-27 임희섭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KR100858165B1 (ko) 2007-05-15 2008-09-10 김기환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KR100756219B1 (ko) 2007-06-07 2007-09-06 이인수 사용시 압력에 안전한 열매체 보일러
KR100928431B1 (ko) 2007-11-14 2009-11-24 문선기 전열 온수관용 열매체 및 전열 온수관
KR200449209Y1 (ko) 2008-02-14 2010-06-24 김용권 전열선이 내장된 온수관
KR100875716B1 (ko) 2008-06-24 2008-12-26 이춘서 관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선 연결용 커플링
KR101076180B1 (ko) 2009-09-15 2011-10-21 이호용 전열형 온수파이프의 밀봉장치
KR101372468B1 (ko) 2012-07-06 2014-03-10 최재원 전열식 온수난방장치용 온수파이프 밀봉장치
KR101485130B1 (ko) * 2013-12-10 2015-01-23 주식회사 양지전자 섬유를 이용한 축열식 난방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787B1 (ko)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KR101881612B1 (ko) 압력구동식 분배 컨테이너를 위한 탄성 폐쇄장치
KR200424367Y1 (ko) 전열선이 삽입된 온수관의 구조
JP2021017888A (ja) 気体注入機能とシール剤注入機能とを切換えることができる空気圧縮機装置
KR100815261B1 (ko) 전열선 삽입 온수관의 마감장치
KR100517863B1 (ko)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US3798073A (en) Submersible battery vent plug
KR100865669B1 (ko)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KR20110074046A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셧오프 밸브장치
KR200433124Y1 (ko) 열매체 전기온수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장치
KR20220113802A (ko) 도통구와 배관 단부를 접속한 접속 구조, 개폐 밸브 장치 및 봉지부재의 제거 방법
JP2004191105A (ja) バルブ装置の気密検査用ガス漏れ検出孔
KR20040074210A (ko) 난방용 전열온수관
KR100858165B1 (ko)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장치
KR200331132Y1 (ko) 난방용 전열온수관
JP2004099180A (ja) エアゾール装置用の容器本体
ES2259972T3 (es) Disposicion de tapon para acumuladores.
KR100865668B1 (ko)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KR101622129B1 (ko) 충진밸브 어셈블리
KR200183128Y1 (ko) 파이프 커플링
KR20050032935A (ko) 수지제 매뉴얼 밸브의 밸브 본체 및 다이어프램 구조
KR20010036151A (ko) 히터파이프 제조방법과 진공밀봉을 위한 밸브 및 밀봉기
KR101909584B1 (ko) 용기 주입구 밀봉 및 주입장치
JP3138402B2 (ja) 液体燃料注入装置
JP6177354B2 (ja) 使い捨て型ガスライターのリザーバを充填してシールするためのシール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