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0740A -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0740A
KR20130050740A KR1020110115963A KR20110115963A KR20130050740A KR 20130050740 A KR20130050740 A KR 20130050740A KR 1020110115963 A KR1020110115963 A KR 1020110115963A KR 20110115963 A KR20110115963 A KR 20110115963A KR 20130050740 A KR20130050740 A KR 20130050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device
belt
belt conveyor
rotating shaft
drum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규호
양경식
이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15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0740A/ko
Publication of KR20130050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8Drums, rollers, or wheels with self-contained driving mechanisms, e.g. motors and associat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9Arrangements of bearing or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6Cleaning devices for gathering residue afte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6Hygienic features, e.g. easy to sanit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08Prot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Pulleys (AREA)

Abstract

미분광 및 분진 유입에 의한 케이크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는 회전축과, 회전축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회전축에 연결 설치되고 컨베이어 설비의 벨트 경로 상에 배치되어 벨트와 접촉하는 드럼 부재를 포함한다. 드럼 부재는 회전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심면과, 중심면의 양측에서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접촉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 {PULLEY DEVICE FOR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분광 및 분진 유입에 의한 케이크(cake)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는 많은 양의 원료 또는 자재 등을 단시간에 수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풀리는 벨트 컨베이어의 주요 구동 장치로서 구동 풀리, 스냅 풀리, 텐션 풀리, 텐션 밴드 풀리, 및 테일 풀리 등으로 구분된다.
제철 공장에 사용되는 벨트 컨베이어는 그 표면에 미분광과 분진 등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풀리 표면으로 미분광과 분진 등이 쉽게 유입된다. 이 경우 풀리 표면에 미분광과 분진 등이 압착된 케이크(cake)가 발생하고, 케이크로 인해 풀리와 닿은 벨트 표면이 돌출되면서 벨트의 사행 및 쏠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벨트 손상과 설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미분광 및 분진 유입에 의한 케이크 발생을 억제하여 벨트의 사행 및 쏠림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는 ⅰ) 회전축과, ⅱ) 회전축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회전축에 연결 설치되고, 컨베이어 설비의 벨트 경로 상에 배치되어 벨트와 접촉하는 드럼 부재를 포함한다. 드럼 부재는 회전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심면과, 중심면의 양측에서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접촉면을 포함한다.
복수의 접촉면은 중심면의 양측에서 같은 길이와 같은 폭으로 형성되고, 회전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과 드럼 부재 사이에 연결 부재가 위치하며, 연결 부재는 복수의 접촉면과 중첩되는 영역에 경사부를 형성할 수 있다.
경사부의 일측은 회전축과 접하고, 반대편 일측은 중심면의 가장자리와 접하며, 경사부의 직경은 중심면으로부터 회전축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경사부는 원뿔 모양으로 이루어지거나 사선 경판부가 복수개 조합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벨트에서 낙하된 미분광과 분진 등은 드럼 부재 표면에 부착되지 않고 한 쌍의 경사부를 통해 풀리 장치의 외측으로 배출되므로 드럼 부재의 케이크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벨트의 사행 및 쏠림 현상을 방지하여 벨트 손상과 설비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풀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컨베이어 설비의 벨트와 맞물린 풀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풀리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컨베이어 설비의 벨트와 맞물린 풀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100)는 회전축(10)과 연결 부재(20) 및 드럼 부재(30)를 포함한다.
회전축(10)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와 연결되어 구동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연결 부재(20)와 드럼 부재(30)는 회전축(10)에 결합되어 회전축(10)과 함께 회전한다. 드럼 부재(30)는 풀리 장치(100)에서 가장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컨베이어 설비의 벨트(50)(도 3 참조) 경로 상에 배치되어 벨트(50)와 접촉함으로써 벨트(50)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드럼 부재(30)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지 않고 가장자리에 복수의 개구부를 형성한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드럼 부재(30)는 벨트(50)와의 접촉 면적을 줄여 벨트(50)로부터 미분광과 분진 등이 유입될 때 미분광과 분진 등의 압착에 의한 케이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 부재(30)는 회전축(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중심면(31)과, 중심면(31)의 양측에서 회전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접촉면(32)으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접촉면(32)은 중심면(31)의 양측에서 같은 길이와 같은 폭으로 형성되고, 회전축(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드럼 부재(30)는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을 이루며, 회전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드럼 부재(30)에서 개구부는 복수의 접촉면들(32)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된다.
이와 같이 드럼 부재(30)는 그 중심에 폭이 좁은 중심면(31)을 배치하고, 중심면(31)의 좌우측에 복수의 접촉면(32)을 배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풀리 장치(100)는 중심면(31)과 접촉면(32)으로 벨트(50)의 부하를 견디면서 회전하여 벨트(50)를 구동시키며, 벨트(50)와의 접촉 면적을 줄여 미분광과 분진 등의 압착에 의한 케이크 발생을 최소화한다.
연결 부재(20)는 회전축(10)과 드럼 부재(3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축(10)과 드럼 부재(30)를 일체로 연결시킨다. 연결 부재(20)는 복수의 접촉면(32)과 중첩되는 영역에 경사부(21)를 형성하고, 한 쌍의 경사부(21) 사이에 직경이 일정한 원형부(22)를 배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한 쌍의 경사부(21)는 복수의 접촉면(32)과 중첩되고, 원형부(22)는 중심면(31)과 중첩된다.
한 쌍의 경사부(21) 각각에서 경사부(21)의 일측은 회전축(10)과 접하고, 반대편 일측은 중심면(31)의 가장자리와 접하며, 경사부(21)의 직경은 중심면(31)으로부터 회전축(10)을 향해 점진적으로 작아진다. 복수의 접촉면(32) 각각은 지지 부재(33)에 의해 경사부(21)와 연결된다.
한 쌍의 경사부(21)는 원뿔 모양으로 이루어지거나, 평평한 판재들이 복수개로 조합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한 쌍의 경사부(21)가 원뿔 모양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한 쌍의 경사부(21)는 벨트(50)의 이동으로 미분광과 분진 등이 풀리 장치(100)로 낙할 때 낙하된 이물질을 풀리 장치(100)의 바깥, 즉 회전축(10)이 위치하는 풀리 장치(100)의 좌우 측면 쪽으로 흐르게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벨트(50)에서 낙하된 미분광과 분진 등은 드럼 부재(30) 표면에 부착되지 않고 한 쌍의 경사부(21)를 통해 풀리 장치(100)의 외측으로 배출되므로 드럼 부재(30)의 케이크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른 풀리 장치(100)는 벨트(50)의 사행 및 쏠림 현상을 방지하여 벨트(50) 손상과 이에 따른 설비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풀리 장치 10: 회전축
20: 연결 부재 21: 경사부
22: 원형부 30: 드럼 부재
31: 중심면 32: 접촉면
33: 지지 부재 50: 벨트

Claims (6)

  1.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회전축에 연결 설치되고, 컨베이어 설비의 벨트 경로 상에 배치되어 벨트와 접촉하는 드럼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 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중심면; 및
    상기 중심면의 양측에서 상기 회전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접촉면
    을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면은 상기 중심면의 양측에서 같은 길이와 같은 폭으로 형성되는 벨트 컨베이용 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면은 상기 회전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드럼 부재 사이에 연결 부재가 위치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접촉면과 중첩되는 영역에 경사부를 형성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일측은 상기 회전축과 접하고, 반대편 일측은 상기 중심면의 가장자리와 접하며,
    상기 경사부의 직경은 상기 중심면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원뿔 모양으로 이루어지거나 평평한 사선 경판부가 복수개 조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
KR1020110115963A 2011-11-08 2011-11-08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 KR20130050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963A KR20130050740A (ko) 2011-11-08 2011-11-08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963A KR20130050740A (ko) 2011-11-08 2011-11-08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740A true KR20130050740A (ko) 2013-05-16

Family

ID=48661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963A KR20130050740A (ko) 2011-11-08 2011-11-08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07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693B1 (ko) * 2013-07-15 2015-06-18 진영기계(주) 유기질비료 제조용 교반 이송장치의 이송 컨베이어용 드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693B1 (ko) * 2013-07-15 2015-06-18 진영기계(주) 유기질비료 제조용 교반 이송장치의 이송 컨베이어용 드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1325B2 (en) Diverter for transferring conveyor
JP6338891B2 (ja) 重機で動作するふるいスクリーンバケット
KR100844179B1 (ko) 컨베이어용 롤러의 베어링 시일장치
JP6170547B2 (ja) 垂直コンベア
JP2006289840A (ja) オガ粉製造装置及び同オガ粉製造装置に用いられるスパイラルカッター
EP3056279A1 (en) Solid fuel crush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id fuel crushing device
KR20130083595A (ko) 벨트 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JP2007261808A (ja) 円形ワーク送出装置
KR20130050740A (ko) 벨트 컨베이어용 풀리 장치
KR20160071692A (ko) 로터리 밸브
CN104891139B (zh) 一种与输送带直接对接的咪头上料机构
KR20130021946A (ko) 나사부 가공용 바이트
KR20030038242A (ko) 영구자석 기어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컨베이어
KR101299869B1 (ko)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풀리 샤프트 절손 방지장치
BR112019023247A2 (pt) Moinho de rolo para rações e produtos alimentícios
US10668964B2 (en) Running device
CN107208759B (zh) 具有增加的速度比覆盖范围的无级变速器和用于这种变速器的速度比控制方法
JP6811148B2 (ja) 搬送装置
US10974250B2 (en) 3D-slanted roll crusher
CN113460606A (zh) 排料辊筒
KR20130098747A (ko) 물류 컨베이어의 저동력을 이용한 자유 롤러
JP2017223363A (ja) ウエイト装置
US11396924B2 (en) Belt element for vehicular transmission belt
JP4587203B2 (ja) ローラコンベヤ
US1196921A (en) Elevating-pull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