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0006A -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0006A
KR20130050006A KR1020110115113A KR20110115113A KR20130050006A KR 20130050006 A KR20130050006 A KR 20130050006A KR 1020110115113 A KR1020110115113 A KR 1020110115113A KR 20110115113 A KR20110115113 A KR 20110115113A KR 20130050006 A KR20130050006 A KR 20130050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bracket
housing
portable termin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창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5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0006A/ko
Priority to US13/666,115 priority patent/US20130114233A1/en
Priority to EP12191469.1A priority patent/EP2590388A1/en
Priority to CN2012104416159A priority patent/CN103092355A/zh
Publication of KR20130050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04M1/0252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by means of a snap-on mechan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표시부 브라켓으로 구성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KEYPAD COUPLING DEVICE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중 하나인 키패드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음성통화나 메시지 전송 등의 통신 기능으로부터 각종 정보의 저장, 게임, 동영상 감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즐길 수 있게 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수첩이나 멀티미디어 기능들이 탑재되면서 휴대용 단말기 하나로 음성통화부터 금융업무, 게임/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숫자 입력을 위한 키들과, 통화/종료 키, 메뉴 호출 및 이동 키 등을 포함하는 키패드 만으로도 음성통화나 단문 메시지 작성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었으나,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면서 쿼티(qwerty)키와 같은 키패드를 배치한 구조의 단말기도 등장하고 있다.
한편, 휴대성을 고려할 때 단말기의 크기를 소형화하면서 충분한 키패드 면적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키패드에 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40915호(공개일: 2008. 05.09, 발명의 명칭: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19546호(공개일: 2006. 11.24, 발명의 명칭: 보호용 돌기부를 구비하는 키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등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조립체(1)는 키패드(11)와, 키패드(11)가 안착되는 하우징(20)이 구비된다. 키패드(11)는 러버 재질로서, 키패드(11)의 상부에는 다수의 키 탑(11a)이 구비되고, 키패드(11)의 둘레에는 전면 케이스(21)에 체결되도록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판(12)이 구비된다. 연장판(12)에는 홀(12a)이 형성되고, 홀(12a)에는 후술하는 돌출돌기(21d)가 삽입 고정된다.
키패드(11)는 하우징(20)의 전면 케이스(21)와 후면 케이스(22) 사이에 배치된다. 전면 케이스(21)에는 키패드(11)가 장착되는 키패드 안착부(21b) 및 디스플레이부(30)를 장착하기 위한 윈도우 장착부(21a)가 형성된다. 키패드 안착부(21b)에는 키패드(11)가 수용되도록 전면 케이스(21)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받침면(21c)과, 받침면(21c) 상에 돌출되어 홀(12a)에 삽입되는 돌출돌기(21d)로 구성된다. 키패드(11)가 키패드 안착부(21b)에 안착되면, 연장판(12)은 받침면(21c)에 놓여지고, 받침면(21c)에서 돌출된 돌출돌기(21d)는 홀(12a)에 관통된 상태로 결속된다.
전면 케이스(21)에는 키패드(11)를 안착시키고 고정시키는 받침면(21d)과 돌출돌기(21d)의 수용공간이 확보된다. 따라서, 받침면(21c)과 돌출돌기(21d)의 두께를 최소화하여도, 전면 케이스(21)의 둘레에는 키패드(11)를 안착, 고정시키기 위한 수용공간만큼의 두께(D2)가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키패드 장착부(21b) 측에 구비되는 외곽 프레임(21)의 두께(D2)는 윈도우 장착부(21a) 측에 구비되는 외곽 프레임(21)의 두께(D1)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키패드(11)의 둘레에도 연장판(12)이 구비됨으로써, 연장판(12)이 차지하는 공간만큼 키패드(11) 상에서 키 탑부(11a)의 실장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윈도우 장착부(21a) 측 외곽 프레임(21)의 두께(D1)와 키패드 장착부(21b) 측 외곽 프레임(21)의 두께(D2) 차이로 인하여 전면 케이스(21)의 외곽 라인에 굴곡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디자인 상으로 통일성이 저하되며, 전면 케이스(21)의 디자인 설계에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키패드가 체결되는 공간의 두께를 최소화함은 물론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키패드의 크기를 넓힐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 체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윈도우 장착부 측에 구비되는 외곽 프레임과 키패드 장착부 측에 구비되는 외곽 프레임과의 두께 차이 발생을 방지하여 전면 케이스의 디자인을 미려하게 하고, 다양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는 키패드 체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표시부 브라켓으로 구성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패드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 상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표시부 브라켓에 고정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키패드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키패드에는 상기 장착부에 결속되는 절곡부가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는 상기 키패드의 외측둘레에서 연장 절곡되어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는 상기 장착부와 갭을 가지도록 이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외측부에는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하우징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하우징 결합부에 걸리는 결속부가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와 상기 장착부가 간격지게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 결합부가 상기 결속부에 걸려 상기 하우징과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조립 후, 상기 키패드를 일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상기 절곡부를 상기 장착부에 체결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은 대체적으로 평탄한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 내부를 폐쇄하는 구조로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표시부 브라켓; 상기 표시부 브라켓 상에 배치되며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와 상기 표시부 브라켓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부를 상기 표시부 브라켓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부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외측둘레에 구비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입력부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를 감싸며 배치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부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한 인입홈; 및 상기 인입홈에서 돌출되는 결속돌기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는, 상기 입력부의 외측 둘레에서 연장 절곡되고, 상기 인입홈에 안착되는 절곡리브; 및 상기 절곡리브에 형성되고, 상기 결속돌기부와 맞물리는 결속홀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 및 상기 표시부 브라켓이 순차적으로 장착 시, 상기 절곡리브는 상기 인입홈에 안착되며, 상기 결속홀은 상기 결속돌기부에 이격되어 갭을 형성하며 배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을 상기 하우징에 체결 후, 상기 입력부를 밀거나 당겨 상기 절곡리브를 상기 인입홈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결속홀로 상기 결속돌기부와 걸려 상기 입력부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브라켓의 상측에 위치되는 전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프레임 중 상기 입력부가 위치되는 프레임의 두께는 디스플레이부가 위치되는 윈도우 프레임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속돌기부에는 상기 결속홀에 삽입 후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더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부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양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장착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입력부의 양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상, 하측면에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입력부의 상, 하측면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걸려 고정되게 다단 절곡되는 걸림부를 더 형성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내에는 키 스위치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입력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탑을 구비하는 조작부재;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따라 변형되어 상기 키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조작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는 상기 결속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연장 절곡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측면을 감싸며 상기 장착부와 이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는 탄성력을 갖는 연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상에 배치되는 데이터 출력장치 및 데이터 입력장치; 및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를 상기 브라켓에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는 표시부 브라켓에 체결되어 하우징의 외곽 프레임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패드의 가장자리에서 절곡 연장된 키패드가 표시부 브라켓의 장착부를 감싸며 안착되어, 키패드, 브라켓 및 하우징의 결합시 절곡부나 장착부에 의한 간섭 발생을 방지함은 물론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곡부 및 장착부에 의해, 하우징에 키패드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절곡부와 장착부가 차지하는 공간의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패드가 구비되는 키패드 프레임의 두께를 최소화함으로써, 윈도우 프레임의 두께와 키패드 프레임의 두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면 프레임의 두께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전면 프레임의 제작이 용이해짐은 물론 전면 프레임의 디자인을 설계시 다양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미려함을 증가시킴은 물론 고급스러움을 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일한 하우징에 장착되는 키패드의 넓이가 기존의 키패드보다 넓어 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키 탑이 장착되는 공간을 기존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패드를 안착한 표시부 브라켓을 하우징에 장착한 후 키패드를 한쪽 방향으로 밀거나 당김으로써, 키패드가 표시부 브라켓에 고정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조립이 용이해 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2에 도시된 키패드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 결합도.
도 3은 도 2의 A-A' 선 단면 사시도.
도 4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면 케이스의 디스플레이부 측과 키패드 측 측면부 두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 체결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키패드 및 표시부 브라켓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표시부 브라켓 및 키패드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표시부 브라켓 및 키패드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표시부 브라켓 및 키패드의 체결상태에서 키패드를 당기거나 밀어 결속홀이 결속돌기에 결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결속돌기부에 이탈방지부가 더 형성되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표시부 브라켓 및 키패드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하우징(130)과, 하우징(130)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30)와, 입력부(120) 및 입력부(120)가 장착되는 표시부 브라켓(110)을 포함한다.
입력부(120)는 표시부 브라켓(110) 상에 배치된 상태로 표시부 브라켓(11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해, 입력부(120)와 표시부 브라켓(110) 사이에는 입력부(120)를 표시부 브라켓(110)에 고정하도록 체결부(150, 16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체결부(150,160)는 표시부 브라켓(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입력부(110)를 고정하는 장착부(160)와, 장착부(160)에 결속되도록 입력부(120)에 구비되는 절곡부(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에에서 입력부(120)는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로서, 입력부(120)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0)를 포함한다.)와 별개로 구비되거나,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와 함께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키패드(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부(120)는 키패드(12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키패드(120)는 키 탑(key top)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눌림에 따라 입력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키패드(120)나, 터치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조작을 인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키패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2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를 입력하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형태의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하우징(130)은 개구(131a, 132a)가 형성되는 전면 프레임(130)을 포함하며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30) 또는 키패드(120)를 노출 가능하게 개구(131a, 132a)가 구비된다. 하우징(130)은, 전면 프레임은(130)은 후술하는 표시부 브라켓(110)과 장착에 의해 그 내부가 폐쇄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전면 프레임(130)에는 후면 케이스(미도시)가 체결된다. 전면 프레임(130)과 후면 케이스 사이에는 키패드(120), 디스플레이부(30), 표시부 브라켓(110) 및 인쇄회로기판(140) 등이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30)와 키패드(120)는 표시부 브라켓(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140)에 연결되고, 표시부 브라켓(110)과, 키패드(120) 및 인쇄회로기판(140)은 전면 프레임(130)에 체결된다. 디스플레이부(30) 상측에는 수화부(미도시)가 구비되고, 키패드(120)의 하측에는 송화부(미도시)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100)는 바형 단말기의 형태를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더 형, 슬라이드 형 단말기와 같이, 키패드(120)가 구비되는 단말기라면 다른 형태의 단말기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체결장치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별도의 하우징(130)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30)의 후면에 결합시키는 슬라이드 형 단말기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딩 하우징의 형태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120) 및 표시부 브라켓(110)이 상부 하우징(130)의 디스플레이부(30) 하측과 및 후면 하우징에 각각 설치되거나, 또는 전면 하우징(130)에는 디스플레이부(30)만 구비되고, 후면 하우징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120) 및 표시부 브라켓(110)이 구비될 수 있다.
전면 프레임(13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표시부 브라켓(110)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는 하우징 결합부(111)와 장착되도록 결속부(133)가 구비된다(도 9 및 도 10 참조). 전면 프레임(130)은 키패드(120)가 안착된 표시부 브라켓(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하우징 결합부(111)는 결속부(133)에 결속되어 표시부 브라켓(110)이 전면 프레임(130)의 내측에 고정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키패드(120)와 표시부 브라켓(110)의 체결 구조에 의해 전면 프레임(130)의 측면부의 두께(D3, D4)는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도 12 참조). 즉, 디스플레이부(30)가 장착되는 개구(131a) 상에 구비된 윈도우 프레임(131)의 두께(D3)와, 키패드(120)가 장착되는 개구(132a) 상에 구비된 키패드 프레임(132)의 두께(D4)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휴대용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30)의 크기를 최대로 하여, 윈도우 프레임(131)의 두께(D3)가 최소한의 두께를 가진 경우, 키패드 프레임(132)의 두께(D4)도 최소한의 두께를 가지며 윈도우 프레임(131)과 동일한 두께(D3=D4)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디자인 설계 시 다양한 변형을 가능하게 하며, 디자인의 통일성을 확보할 수 있고, 고급스러운 외장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도 7은 표시부 브라켓 및 키패드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표시부 브라켓 및 키패드의 체결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며, 도 9는 표시부 브라켓 및 키패드가 체결된 상태에서 키패드를 당기거나 밀어 결속홀이 결속돌기부에 결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 브라켓(110)은 인쇄회로기판(140)의 상면으로 전면 프레임(130)의 내측에 구비된다. 표시부 브라켓(110)의 상단에는 디스플레이부(30)와 키패드(120)가 위치된다(도 5참조). 표시부 브라켓(110)은 전면 프레임(130)에 일몸체로 결합되어 전면 프레임(130) 내부를 폐쇄한다. 표시부 브라켓(110)의 외측 둘레에는 장착부(160) 및 하우징 결합부(111)가 구비된다. 장착부(160)는 인입홈(161) 및 인입홈(161)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결속돌기부(162)를 포함한다. 하우징 결합부(111)는 전면 프레임(130)의 결속부(133)에 장착되며, 하우징 결합부(111)는 인입홈(161)과 서로 이웃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 결합부(111)는 전면 프레임(130) 측으로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결속부(133)는 고리 형상의 하우징 결합부(111)를 체결하거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홀 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부 브라켓(110)과 전면 프레임(130)을 체결하거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인입홈(161)에는 후술하는 키패드(120)의 절곡리브(151)가 장착된다. 인입홈(161)은 표시부 브라켓(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서로 이웃하여 복수개 형성되며, 후술하는 키패드(120)의 절곡리브(151)와 맞물리는 위치에 형성된다. 인입홈(161)은 표시부 브라켓(110)의 외측 둘레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인입되는 구성이다. 키패드(120)가 표시부 브라켓(110) 상에 위치되면, 후술하는 절곡리브(151)는 인입홈(161)의 내측으로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입홈(161)은 표시부 브라켓(110)의 양측면에 구비되고, 표시부 브라켓(110)의 상, 하측면에는 키패드(120) 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163)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걸림부(153)와 체결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키패드(120)가 표시부 브라켓(110)에 체결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입홈(161)은 표시부 브라켓(110)의 외측둘레를 따라 상, 하, 좌, 우측면에 모두 구비되도록 하여 키패드(120)의 절곡리브(151)가 체결될 수 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인입홈(161)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절곡리브(151) 방향으로 결속돌기부(16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속돌기부(162)의 최대 돌출길이는 인입홈(161)의 내측에서 외측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진다. 이는, 키패드(120)가 표시부 브라켓(110)에 안착되어, 절곡리브(151)가 인입홈(161)의 내측에 위치되는 경우, 결속홀(152)이 결속돌기부(162)와 이격되어 갭(G)을 형성한다. 이는, 표시부 브라켓(110)과 키패드(120) 및 전면 프레임(130) 간의 체결 시, 각 구성들 사이에 체결에 따른 간섭을 방지하고, 조립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키패드(120)와 표시부 브라켓(110)의 체결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게한다.
도 10은 결속돌기부에 이탈방지부가 더 형성되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결속돌기부(162)에는 결속홀(152)에 인입된 후, 결속돌기부(162)에서 결속홀(152)이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부(164)가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탈방지부(164)는 결속홀(152)과 결속돌기부(162)의 결속력을 상승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즉, 결속홀(152)과 결속돌기부(162)가 서로 걸려 고정되면, 전면 프레임(130)과 표시부 브라켓(110)의 체결 및 전면 프레임(130)과 표시부 브라켓(110) 사이의 공간 제약 등으로 인해 결속홀(152)과 결속돌기부(162)의 체결력은 유지된다. 이탈방지부(164)는 이를 더하여, 사용자의 환경 등에 의한 결속홀(152)과 결속돌기부(162)의 체결된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고, 결속홀(152)과 결속돌기부(162)의 체결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탈방지부(164)는 상기 결속돌기부(162)의 단면부에서 인쇄회로기판(140)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속홀(152)이 결속돌기부(162)에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키패드(120)는 복수개의 키 탑(121a) 및 절곡부(150)를 구비하며, 표시부 브라켓(110) 상에 위치된다(도 5 내지 도 9참조). 본 실시예에서 키패드(120)는 탄성력을 지닌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패드(120)를 안착한 표시부 브라켓(110)을 전면 프레임(130)에 체결 후, 키패드(120)를 한쪽 방향으로 밀거나 당겼을 때, 절곡부(150)를 표시부 브라켓(11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재질이라면 탄성력을 갖는 연성재질뿐만 아니라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키패드(120)는 하우징(130) 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140) 상에 배치되는 작동부재(122)와, 결속부재(123) 및 조작부재(121)를 구비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키패드(12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키 스위치 대신에 터치 감시 센서 등이 배치되는 경우, 키패드(120)는 단지 하나의 평판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절곡부(150)는 평판 형태의 키패드(120)의 가장 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키 탑(121a)을 구비하며 인쇄회로기판(140) 상으로 키 탑(121a)의 입력을 인지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키패드(120)의 구조 등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작동부재(122), 결속부재(123) 및 조작부재(121) 중 조작부재(121)가 탄성력을 가진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조작부재(121)에는 다수의 키 탑(121a)이 구비된다. 결속부재(123)는 조작부재(121)와 작동부재(122)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절곡부(150)는 결속부재(123)의 가장자리에서 절곡 연장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절곡부(150)가 키 탑(121a)이 구비된 조작부재(12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조작부재(1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 절곡되는 것도 가능한 것과 같이, 키패드(120)의 어느 구성이든 표시부 브라켓(110) 측으로 연장되어 절곡되는 형상을 갖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작동부재(122)는 조작부재(121)의 조작에 따라 변형되어 인쇄회로기판(140) 상에 배치되는 키 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킨다. 키 스위치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예를 들면 돔 스위치 등과 같은 형태의 키 스위치가 인쇄회로기판(140)상에 다수 배치되어 작동부재(122)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키 스위치는 조작부재(121)의 변형에 따라 키 스위치 등이 조작되는 것이다. 작동부재(122)는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은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어 조작부재(121)의 조작에 따라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부(150)는 키패드(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표시부 브라켓(110) 측으로 절곡된다. 전면 프레임(130)과 키패드(120) 및 표시부 브라켓(110)을 순차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절곡부(150)는 표시부 브라켓(110)의 외측둘레와 이격되어 갭(G)을 형성한다(도 8 참조). 본 실시에에서 키패드(120)의 외측둘레 중 양측면에는 절곡부(150)가 서로 이웃하게 복수개 구비되고, 키패드(120)의 외측둘레 중 상, 하측면에는 고정돌기(163)에 맞물리도록 걸림부(153)가 서로 이웃하게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키패드(120)의 상, 하, 좌, 우측면 모두에 절곡부(150)가 형성될 수도 있는 등 키패드(120)의 양측면으로 표시부 브라켓(110)과의 체결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형태라면, 절곡부(150) 및 걸림부(153)의 형태는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걸림부(153)는 키패드(120)의 외측둘레를 따라 구비되되. 상, 하측면에 구비된다. 걸림부(153)는 'L' 형상으로, 키패드(120)에서 표시부 브라켓(110) 측으로 하향 절곡되되, 다단으로 절곡된다. 다단 절곡된 걸림부(153)의 일면에는 고정돌기(163)가 절속되도록 홀(154)이 형성된다.
절곡부(150)는 절곡리브(151)와 결속홀(152)을 포함한다. 절곡리브(151)는 키패드(120)의 외측 둘레에서 표시부 브라켓(110) 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표시부 브라켓(110)의 인입홈(161)의 내측에 위치된다. 특히, 절곡리브(151)는 결속부재(123)의 가장자리에서 연장 절곡되어 작동부재(122)의 측면 및 표시부 브라켓(110)의 외측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결속홀(152)은 절곡리브(151)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키패드(120)가 표시부 브라켓(110) 상에 놓인 경우, 결속돌기부(162)와 이격되어 일정한 간격의 갭(G)을 형성하며 서로 대향하게 구비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전면부를 일부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키패드(120)가 안착된 표시부 브라켓(110)을 전면 프레임(130)에 체결된 상태에서 결속홀(152)과 결속돌기부(162)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갭(G)을 갖는다(도 8참조). 이 상태에서 키패드(120)를 한쪽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 결속홀(152)은 결속돌기부(162)에 체결되고(도 9참조), 키패드(120)의 탄성력 및 전면 프레임(130)과의 공간이나 마찰 등으로 인해 결속홀(152)은 결속돌기부(162)에 체결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체결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면을 살펴보면, 전면 프레임(130) 중 디스플레이부(30) 측 윈도우 프레임(131)의 두께(D3)나 키패드(120) 측의 키패드 프레임(132)의 두께(D4)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조립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키패드(120)는 표시부 브라켓(110) 상에 안착된다. 이때, 절곡부(150)는 표시부 브라켓(110)의 외측둘레를 커버하는 형태로 놓인다. 즉, 절곡리브(151)는 인입홈(161)의 내측에 위치되고, 결속홀(152)은 결속돌기부(162)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갭(G)을 형성한다. 또한, 키패드(120)의 상, 하측면에 걸림부(153)에 고정돌기(163)가 맞물려 장착된다.
표시부 브라켓(110)과 키패드(120)의 조립 후, 표시부 브라켓(110) 상에 전면 프레임(130)이 놓이면, 전면 프레임(130)의 내측에 구비되는 결속부(133)는 표시부 브라켓(110)의 외측둘레에 구비되는 하우징 결합부(111)에 맞물려 표시부 브라켓(110)과 전면 프레임(130)이 고정된다.
이후, 키패드(120)의 좌측면은 우측 방향으로 당기거나 밀고, 키패드(120)의 우측면은 좌측 방향으로 당기거나 밀면(도 8의 화살표 참조), 키패드(120)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절곡리브(151)는 인입홈(161)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되고, 결속돌기부(162)는 결속홀(152)에 걸려 고정된다. 이때. 전면 프레임(130)과 표시부 브라켓(110)의 결합이나, 전면 프레임(130)과 표시부 브라켓(110) 사이의 한정된 공간 및 전면 프레임(130)과 키패드(120) 사이의 마찰력 등으로 인해 결속홀(152)은 결속돌기부(162)에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키패드(120)는 표시부 브라켓(110)에 고정되고, 전면 프레임(130), 키패드(120) 및 표시부 브라켓(11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30)와 키패드(120)가 별개로 구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최근 스마트 폰과 같은 형태의 바형 단말기의 경우, 하나의 평판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데이터의 입, 출력장치가 함께 형성되는 데이터입출력장치가 구비되고, 하우징에는 하우징과 결합되어 일몸체로 형성되는 브라켓(110)이 구비된다. 이때, 체결부(150, 160)는 데이터입출력장치(120)의 둘레 구비되어 데이터입출력장치(120)를 상기 브라켓(11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키패드(120)와 표시부 브라켓(110) 양측면의 체결 공간이 얇아질 수 있어, 전면 프레임(130)의 두께를 슬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프레임(131)의 두께(D3)와 키패드 프레임(132)의 두께(D4)를 동일하게 할 수 있어 전면 프레임(130)의 디자인 설계를 다양화 할 수 있게 된다.
100: 휴대용 단말기 110: 표시부 브라켓
111: 하우징 결합부 120: 키패드
130: 하우징, 전면 프레임 131: 윈도우 프레임
132: 키패드 프레임 133: 결속부
140: 인쇄회로기판 150: 절곡부
151; 절곡리브 152: 결속홀
153: 걸림부 154: 홀
160: 장착부 161: 인입홈
162: 결속돌기부 163: 고정돌기

Claims (20)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표시부 브라켓으로 구성된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 상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표시부 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기 키패드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키패드에는 상기 장착부에 결속되는 절곡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키패드의 외측둘레에서 연장 절곡되어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장착부와 갭을 가지도록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외측부에는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하우징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하우징 결합부에 걸리는 결속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와 상기 장착부가 간격지게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 결합부가 상기 결속부에 걸려 상기 하우징과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조립 후, 상기 키패드를 일방향으로 밀거나 당겨 상기 절곡부를 상기 장착부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브라켓은 대체적으로 평탄한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 내부를 폐쇄하는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9.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표시부 브라켓;
    상기 표시부 브라켓 상에 배치되며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와 상기 표시부 브라켓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부를 상기 표시부 브라켓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외측둘레에 구비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입력부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를 감싸며 배치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한 인입홈; 및
    상기 인입홈에서 돌출되는 결속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입력부의 외측 둘레에서 연장 절곡되고, 상기 인입홈에 안착되는 절곡리브; 및
    상기 절곡리브에 형성되고, 상기 결속돌기부와 맞물리는 결속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및 상기 표시부 브라켓이 순차적으로 장착 시, 상기 절곡리브는 상기 인입홈에 안착되며, 상기 결속홀은 상기 결속돌기부에 이격되어 갭을 형성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 브라켓을 상기 하우징에 체결 후, 상기 입력부를 밀거나 당겨 상기 절곡리브를 상기 인입홈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결속홀로 상기 결속돌기부와 걸려 상기 입력부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브라켓의 상측에 위치되는 전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프레임 중 상기 입력부가 위치되는 프레임의 두께는 디스플레이부가 위치되는 윈도우 프레임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돌기부에는 상기 결속홀에 삽입 후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양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장착부에 맞물리도록 상기 입력부의 양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표시부 브라켓의 상, 하측면에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입력부의 상, 하측면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걸려 고정되게 다단절곡되는 걸림부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는 키 스위치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고,
    상기 입력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탑을 구비하는 조작부재;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따라 변형되어 상기 키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와 상기 조작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결속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연장 절곡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측면을 감싸며 상기 장착부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20.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상에 배치되는 데이터 출력장치 및 데이터 입력장치; 및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를 상기 브라켓에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KR1020110115113A 2011-11-07 2011-11-07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KR20130050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113A KR20130050006A (ko) 2011-11-07 2011-11-07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US13/666,115 US20130114233A1 (en) 2011-11-07 2012-11-01 Keypad coupl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EP12191469.1A EP2590388A1 (en) 2011-11-07 2012-11-06 Keypad coupl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CN2012104416159A CN103092355A (zh) 2011-11-07 2012-11-07 用于便携式终端的键盘结合装置和输入单元结合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113A KR20130050006A (ko) 2011-11-07 2011-11-07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006A true KR20130050006A (ko) 2013-05-15

Family

ID=47189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113A KR20130050006A (ko) 2011-11-07 2011-11-07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114233A1 (ko)
EP (1) EP2590388A1 (ko)
KR (1) KR20130050006A (ko)
CN (1) CN1030923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06868A1 (de) * 2019-03-18 2020-09-24 Minimax Viking Research & Development Gmbh Trägerkomponente eines Gehäuses einer Gefahrenmelderzentrale und eine Gefahrenmelderzentrale, vorzugsweise einer Einbruch-, Brandmelder- und/oder Löschsteuerzentrale
CN116149432B (zh) * 2023-04-19 2023-10-03 荣耀终端有限公司 翻盖式笔记本电脑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05373C2 (de) * 1996-02-14 1998-11-19 Bosch Gmbh Robert Gerät mit einer Anzeigevorrichtung
ATE222673T1 (de) * 1999-02-01 2002-09-15 Ericsson Telefon Ab L M Kommunikationsstation
KR100670192B1 (ko) 2005-05-20 2007-01-16 한성엘컴텍 주식회사 보호용 돌기부를 구비하는 키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34633B1 (ko) 2006-11-06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US8046032B2 (en) * 2008-01-16 2011-10-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anel construction for housing keypads of mobile computing device
CN101651723A (zh) * 2008-08-11 2010-02-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CN102118927A (zh) * 2009-12-30 2011-07-0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壳体装配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14233A1 (en) 2013-05-09
CN103092355A (zh) 2013-05-08
EP2590388A1 (en)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6286B2 (en) Mobile terminal having speaker
JP6945311B2 (ja) カバー
KR20150081213A (ko) 보호 커버
KR10173913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KR101914072B1 (ko) 측면 키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850150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1030408B1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보스 보강 장치
KR1018994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
KR20130050006A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체결장치
KR20170116485A (ko) 스마트 워치
US20010019947A1 (en) Casing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equipment comprising it
JP5019231B2 (ja) 防水構造、及び電子機器
KR20110092915A (ko) 휴대용 단말기
KR2013009634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
JP4309732B2 (ja) 情報機器
JP5432870B2 (ja) 携帯端末
KR20130062173A (ko) 키패드 고정장치
JP5057085B2 (ja) 筐体構造、及び電子機器
KR101695989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1861366B1 (ko) 고정부용 덮개 장치
JP2013168890A (ja) 携帯端末
KR101300277B1 (ko) 휴대 단말기
KR10065275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버튼 지지용 브라켓 설치구조
KR20090034146A (ko) 휴대용 통신 장치
JP2007059346A (ja) スイッチ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通信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