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349A -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349A
KR20130096349A KR1020120017719A KR20120017719A KR20130096349A KR 20130096349 A KR20130096349 A KR 20130096349A KR 1020120017719 A KR1020120017719 A KR 1020120017719A KR 20120017719 A KR20120017719 A KR 20120017719A KR 20130096349 A KR20130096349 A KR 20130096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ide key
hooks
coupling portion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준
김기원
이원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7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6349A/ko
Publication of KR20130096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후크들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들은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어 압축된 상태로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단말기의 내측벽에 결속되고, 상기 후크들 각각의 단부가 상기 단말기의 내부에 지지되어 상기 측면 키의 단부를 상기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 키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는 단말기의 외부로부터 관통홀에 강제로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함과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 {SIDE KEY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에 제공되는 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음성통화나 단문 메시지 전송과 같은 다른 사용자와의 통신 기능이나, 인터넷, 모바일 뱅킹, 멀티미디어 파일 전송과 같은 데이터 통신 기능, 게임이나 음악, 동영상 재생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기능, 게임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전자 수첩 기능 등 각각의 기능으로 특화된 기기가 일반적이었지만, 최근에는 전기/전자 기술과 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이동통신 단말기 하나만으로도 다양한 기능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들은 입력 장치로서 키패드와 마이크로 폰을 구비하며, 출력 장치로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스피커 폰을 구비한다. 최근에는 터치스크린 기능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되고,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되고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구현되는 가상의 키패드와 터치스크린 기능을 결합하여 물리적인 키패드를 대체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를 확대하면서도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를 이루게 되었다. 하지만, 주 화면으로의 복귀 기능을 제공하는 키, 음량 조절 키, 기능 잠금 키(hold key)와 같이 자주 사용되거나 물리적인 작동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전원 키 등은 물리적인 키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아울러,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키패드가 구현되므로, 이러한 물리적인 키는 대체로 단말기의 측면에 제공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1)의 측면 키(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측면 키(100)의 구조를 좀더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11)는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어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측면 키(100)는 키캡(key cap)(101)과, 상기 키캡(10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작동 돌기(115)를 구비한다. 상기 키캡(101)은 몸체(111)의 하단, 외주면의 둘레에 형성되는 지지 리브(113)를 구비하는데, 상기 키캡(101)의 내측면 중 일부는 상기 지지 리브(113)의 내측면이 된다. 즉, 상기 키캡(101)의 내측면 중 가장자리는 상기 지지 리브(113)의 내측면인 것이다. 상기 몸체(111)와 지지 리브(113)는 일체형으로 금속 재질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측면 키(100)는 상기 단말기(11)의 내부(13)로부터 상기 단말기(11)에 형성된 관통홀(미도시)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 키(100)의 상단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지지 리브(113)가 상기 단말기(11)의 내측벽에 지지되어 상기 측면 키(100)가 상기 단말기(11)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단말기(11)의 내부(13)에는 상기 측면 키(100)에 인접하게 스위치 부재, 예를 들면, 돔 스위치(dome switch)나 택트 스위치(tact switch)가 배치된다. 상기 단말기(11)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측면 키(100)의 상단을 사용자가 조작하면, 상기 작동 돌기(115)는 스위치 부재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측면 키는 단말기의 내부로부터 관통홀에 조립하는 구조로서, 조립 과정에서 작업자가 측면 키를 다룰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야만 한다. 따라서 측면 키가 배치되는 위치에서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활용하는데 제약이 따르고 있다. 휴대성을 고려할 때, 소형, 경량화, 슬림화가 반드시 요구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에서, 측면 키 조립만을 위한 공간을 단말기의 내부에 확보해야 하는 것이다. 이는 소형, 경량화, 슬림화된 단말기에서 내부 공간의 활용 효율을 저하시키고, 나아가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 경량화, 슬림화에 장애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측면 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 경량화,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는 측면 키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후크들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들은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어 압축된 상태로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단말기의 내측벽에 결속되고, 상기 후크들 각각의 단부가 상기 단말기의 내부에 지지되어 상기 측면 키의 단부를 상기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측면 키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 후크는 상기 결합부 삽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보다 돌출되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가 상기 단말기의 내측벽에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는 상기 후크를 수용하는 지지홈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후크의 단부가 상기 지지홈의 내벽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결합부와 함께 탄성체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후크는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에서 양단에 각각 형성되면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 키는 상기 후크들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작동 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후크는 상기 결합부 삽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보다 돌출되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가 상기 단말기의 내측벽에 결속된다.
상기와 같은 측면 키는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 결합하는 키캡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는 단말기의 외부로부터 관통홀에 강제로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용이함과 아울러, 조립 과정에서 측면 키를 다루기 위해 단말기의 내부에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측면 키와 인접하는 단말기의 내부 공간에서도 자이로 센서와 같은 부품을 탑재하거나, 단말기의 구조적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구조물 등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면 키를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내부에 확보된 공간에 별도의 부품이나 구조물을 배치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공간만큼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가 단말기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측면 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측면 키가 단말기에 조립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21)의 측면 키(200)는 결합부(213)와, 상기 결합부(213)에 형성된 후크(215)를 포함하고, 단말기(21)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부(213)를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3)는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은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며, 일 방향(이하에서는, '길이 방향'이라 함)으로 연장되면서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가지게 된다. 상기 결합부(213)가 연장된 길이에 따라 상기 측면 키(200)는 하나의 스위치 부재만을 조작하거나, 2개의 스위치 부재를 조작할 수 있는 2방향 키로 활용된다. 대체로, 전원 키나 촬영용 셔터 키 등은 하나의 스위치 부재만을 조작하며, 음량 조절이나 메뉴 이동 등에 이용되는 키는 독립된 2개의 스위치 부재를 조작하게 된다. 이러한 스위치 부재로는 돔 스위치나 택트 스위치가 활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3)는 상기 측면 키(200) 설치를 위해 단말기(21)에 형성되는 관통홀(29; 도 4에 도시됨)과 상응하는 길이와 폭,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후크(215)는 상기 결합부(213)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부(213)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부(213)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215) 또한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은 탄성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213)가 상기 관통홀(29)에 충분히 삽입되면, 상기 후크(215)가 상기 단말기(21)의 내측벽에 결속된다. 이로써, 상기 측면 키(200)는 상기 관통홀(29)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후크(215)는 상기 결합부(213)의 길이 방향에서 양단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213)의 양단,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형상의 곡면부(216)를 구비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결합부(213)의 길이 방향에서 양 측면에도 별도의 걸림 돌기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215)는 상기 결합부(213)의 내측면과 양단 외주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결합부(213)의 외주면으로부터 경사진 방향, 다시 말해서, 상기 결합부(213)가 상기 단말기(21)의 관통홀(29)로 삽입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곡면부(216)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후크(215)는 상기 결합부(213)의 외주면에 대하여 경사진 형상으로만 제작될 수도 있으나, 상기 후크(215) 각각의 단부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로써, 상기 결합부(215)를 상기 관통홀(29)에 삽입할 때 상기 후크(215)가 상기 관통홀(29)로 진입하기 용이하게 된다. 즉, 상기 결합부(213)가 상기 관통홀(29)로 삽입되는 동안 상기 후크(215)들이 상기 관통홀(29)에 간섭되기는 하나, 상기 후크(215)들의 단부는 상기 관통홀(29)의 내부에 진입할 수 있게 절곡된 형상인 것이다. 상기 단말기(21)의 내부로 완전히 진입한 후, 상기 후크(215)는 상기 결합부(213)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단말기(21)의 내측벽에 결속된다.
상기 후크들(215) 사이에서 상기 결합부(213)의 내측면에는 작동 돌기(217)가 형성된다. 상기 작동 돌기(217)는 상기 결합부(213)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측면 키(200)가 조작될 때 상기 단말기(21)의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 부재를 직접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측면 키(200)는 상기 결합부(213)의 외측면에 제공되는 키캡(21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3) 자체로서 단말기(21)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도 있다. 다만, 일반적인 단말기(21)의 외장, 다시 말해서, 하우징이 합성수지나 금속 재질로 제작되는 반면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13)는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어 단말기(21)의 하우징과 색상의 조화를 이루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외관 디자인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 상기 측면 키(200)는 상기 키캡(211)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키캡(211)은 합성수지나 금속 재질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부(213)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이로써, 상기 측면 키(200)가 상기 단말기(21)의 외관과 조화를 이루기 용이해진다.
상기 키캡(211)을 상기 결합부(213)에 결합하는 것은 이중 사출에 의해 가능하다. 즉, 상기 키캡(211)을 성형한 후, 상기 결합부(213)를 성형하는 금형에 상기 키캡(211)을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213)를 성형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상기 결합부(213)의 성형과 동시에 상기 키캡(211)이 상기 결합부(213)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213)가 단말기(21)의 외부로부터 관통홀(29)을 통해 삽입되면서, 사용자가 상기 측면 키(200)를 조작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측면 키(200)의 일부분이 단말기(21)의 외부로 노출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따라서 단말기(21)의 내부에는 상기 측면 키(200), 더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213)가 일정한 위치에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구조물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결합부(213)가 일정한 위치에서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구조물로서 상기 키캡(211)과 상기 관통홀(29)을 활용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13)보다 더 큰 폭 또는 길이로 상기 키캡(211)을 제작하고, 상기 관통홀(29)의 내측단에서는 단차면(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부(213)만을 통과할 수 있게 한다면, 상기 키캡(211)이 상기 관통홀(29)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는 높이가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키캡(211)은 상기 관통홀(29)에 형성되는 단차면의 외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결합부(213)의 일부분은 상기 관통홀(29)에 형성되는 단차면을 지나 단말기(2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캡(211)이 상기 관통홀(29)에 형성된 단차면과 접촉하여 소음 등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면, 상기 결합부(213)의 일부분으로 하여금 상기 키캡(211)의 내측면을 완전히 감싸게 형성할 수 있다. 즉, 탄성체 재질의 상기 결합부(213)가 키캡(211)과 상기 관통홀(29) 내의 단차면이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키(200)를 조립하는 것은 단말기(21)의 외부로부터 상기 관통홀(29)을 통해 삽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후크(215)들은 그의 단부가(29) 상기 관통홀(29)에 진입하게 되며, 상기 관통홀(29)의 내부를 진행하는 동안에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축, 변형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관통홀(29)의 내부를 진행하는 동안, 상기 곡면부(216)가 상기 관통홀(29)의 내벽과 마찰하며, 상기 후크(215)들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213),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크(215)들이 단말기(21)의 내부로 완전히 진입하면, 상기 후크(215)들은 초기의 형상, 즉, 도 4에 도시된 형상으로 복원되고, 상기 곡면부(216)들이 상기 단말기(21)의 내측벽에 결속,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측면 키(200)는 단말기(21)의 외부에서 삽입하는 과정만으로 조립이 완료되므로, 조립 과정에서 단말기(21)의 내부에서는 별도로 측면 키(200)를 다루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에 단말기(21)의 내부에서 측면 키(200) 조립을 위해 확보해야 했던 공간을 활용하여 자이로 센서와 같은 부품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21)의 내부(23)에는 상기 후크(215)들을 수용하는 지지홈(25)들이 제공된다. 상기 지지홈(25)들은 상기 후크(215)들 중 하나를 수용하되, 상기 후크(215)들의 단부는 각각 상기 지지홈(25)의 내벽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후크(215)들은 일정 정도의 탄성력을 축적한 상태를 유지하며, 이러한 탄성력은 상기 측면 키(200)를 상기 단말기(21)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후크(215)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곡면부(216)가 상기 단말기(21)의 내측벽에 결속, 지지됨으로써, 상기 측면 키(200)는 상기 관통홀(29)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측면 키(200)를 조작했을 때, 상기 곡면부(216)는 상기 단말기(21) 내측벽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단말기(21)의 내측으로 더 진행하며, 따라서 상기 후크(215)들이 축적한 탄성력은 더 증가된다. 사용자가 상기 측면 키(200)를 조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후크(215)들이 축적하고 있는 탄성력이 작용하면서, 상기 측면 키(200),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키캡(211)이 상기 단말기(21)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통상적인 측면 키들의 경우, 대체로 돔 스위치나 택트 스위치와 같은 스위치 부재 자체에서 제공되는 탄성력만으로 단말기의 외측에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측면 키(200)는 스위치 부재 자체에서 제공되는 탄성력과 아울러, 측면 키(200)에 형성된 후크(215)의 탄성력이 추가로 제공되므로, 측면 키(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조작 감도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200: 측면키 211: 키캡
213: 결합부 215; 후크
217: 작동 돌기

Claims (9)

  1.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단말기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후크들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들은 탄성체 재질로 제작되어 압축된 상태로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단말기의 내측벽에 결속되고, 상기 후크들 각각의 단부가 상기 단말기의 내부에 지지되어 상기 측면 키의 단부의 단부를 상기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결합부 삽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보다 돌출되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가 상기 단말기의 내측벽에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후크를 수용하는 지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의 단부가 상기 지지홈의 내벽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결합부와 함께 탄성체 재질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에서 양단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들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들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작동 돌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결합부 삽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보다 돌출되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가 상기 단말기의 내측벽에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 결합하는 키캡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키.
KR1020120017719A 2012-02-22 2012-02-22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 KR20130096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719A KR20130096349A (ko) 2012-02-22 2012-02-22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719A KR20130096349A (ko) 2012-02-22 2012-02-22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349A true KR20130096349A (ko) 2013-08-30

Family

ID=4921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719A KR20130096349A (ko) 2012-02-22 2012-02-22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634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0280A (zh) * 2013-12-27 2014-04-16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一种按键及使用其的电子装置
WO2017105075A1 (ko) *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블루버드 외부 조립식 방수 사이드 키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1951687B1 (ko) * 2018-01-12 2019-02-26 (주)에이치케이티 방수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금속버튼 제조방법
WO2022080897A1 (ko) * 2020-10-16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0280A (zh) * 2013-12-27 2014-04-16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一种按键及使用其的电子装置
WO2017105075A1 (ko) * 2015-12-14 2017-06-22 주식회사 블루버드 외부 조립식 방수 사이드 키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1951687B1 (ko) * 2018-01-12 2019-02-26 (주)에이치케이티 방수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용 금속버튼 제조방법
WO2022080897A1 (ko) * 2020-10-16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6078A (ko)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
KR100834633B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JP5169777B2 (ja) 携帯端末装置
US8331107B2 (en) Key button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18994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
KR10173913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KR101914072B1 (ko) 측면 키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3009634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 키
US20090301854A1 (en) Side key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20151282A1 (en) Joystick for cellular phone
JPWO2007037405A1 (ja) 携帯端末装置
US8008592B2 (en) Side key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6125234B2 (ja) 携帯端末
WO2009002103A2 (en) Sliding module and sliding device having the same
KR2005005667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버튼
JP2007036051A (ja) 携帯電子機器
JP2010098674A (ja) サイドキーボタン実装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
US8124899B2 (en) Key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30114233A1 (en) Keypad coupl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JP2009193667A (ja) 電子機器
TWI476566B (zh) 按鍵及應用該按鍵之可攜式電子裝置
KR101097127B1 (ko) 배자 장치를 갖는 외장형 스피커 모듈
JP6220616B2 (ja) 通信機器
KR101221900B1 (ko) 키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그리고이의 제조 방법
KR100549927B1 (ko) 개방형 키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