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173A - 키패드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키패드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173A
KR20130062173A KR1020110128625A KR20110128625A KR20130062173A KR 20130062173 A KR20130062173 A KR 20130062173A KR 1020110128625 A KR1020110128625 A KR 1020110128625A KR 20110128625 A KR20110128625 A KR 20110128625A KR 20130062173 A KR20130062173 A KR 20130062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fixing
housing
fasten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상진
김봉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8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2173A/ko
Priority to US13/684,777 priority patent/US20130141337A1/en
Priority to CN2012105088895A priority patent/CN103139347A/zh
Publication of KR20130062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1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1Mounting on appliance
    • H01H2223/012Snap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3/00Key modules
    • H01H2233/03Key modules mounted on support plate or frame
    • H01H2233/04Key modules mounted on support plate or frame captur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패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에 구비되는 키패드; 및 상기 키패드 주변 둘레를 따라서 다수개 구비되어서, 상기 키패드를 상기 하우징 상에 결합하는 고정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 중, 상기 키패드의 주변부 중 일부에 위치되는 제1고정부에는 상기 키패드의 눌림에 따라 발생하는 수직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키패드 고정장치{KEYPAD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키패드를 고정하기 위한 키패드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음성통화나 메시지 전송 등의 통신 기능으로부터 각종 정보의 저장, 게임, 동영상 감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즐길 수 있게 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기기는 전자 수첩,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휴대용 게임기, 동영상/음악파일 재생기, 셀룰러 폰(cellular phone), 노트북 PC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최근에는 셀룰러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전자 수첩이나 멀티미디어 기능이 탑재되면서, 휴대용 단말기 하나만으로 음성 통화 등의 통신 기능으로부터 소액 결재와 같은 금융 업무, 게임/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의 다양한 콘텐츠(contents)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즉, 휴대용 단말기는 초기에 음성 통화나 단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쳤으나, 전자/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휴대용 단말기가 점차 소형화, 집적화되면서 휴대용 단말기 고유의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금융 업무를 가능하게 하는 보안 기능, 게임/동영상 등을 즐길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능, 인터넷이나 메일의 송수신을 포함하는 간단한 사무처리 기능 등이 탑재되고 있는 것이다.
통상의 휴대용 단말기는 숫자 입력을 위한 키들과, 통화/종료 키, 메뉴 호출 및 이동 키 등을 포함하는 키패드만으로도 음성통화나 단문 메시지 작성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었으나,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면서 키패드 확장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단순히 각각의 키를 작게 만들어 더 많은 수의 키들을 탑재할 수도 있지만, 키들이 작아지면 하나의 키를 조작할 때 그에 인접하는 다른 키를 잘못 조작하게 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두 개의 하우징을 결합하되 필요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단말기를 길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는 쿼티(qwerty) 키패드를 배치한 구조의 단말기도 등장하고 있다.
한편, 휴대성을 고려할 때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를 소형화하면서 충분한 키패드 면적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키패드에 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40915호(공개일: 2008. 05.09, 발명의 명칭: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결합 구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19546호(공개일: 2006. 11.24, 발명의 명칭: 보호용 돌기부를 구비하는 키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등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는 키패드(20)와, 키패드(20)가 안착되는 하우징(10)을 구비한다. 키패드(20)는 러버 재질로서, 키패드(20)의 상부에는 다수의 키 탑(21)이 배치되어 있으며, 바형의 휴대용 단말기(1)의 경우, 키패드(20)는 하우징(10)을 구성하는 전면 케이스(11)와 후면 케이스(12) 사이에 배치된다. 만약 슬라이드형이나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1)의 하우징(10)이라면, 두 개의 하우징(10)이 접철된 상태로 회전되거나 슬라이딩 이동되며, 전면 하우징에 디스플레이 장치(30)이 장착되고, 후면 하우징에 전면 키패드(20)가 장착된다. 특히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1)의 경우, 전면 하우징에 디스플레이 장치(30)만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전면 하우징에 디스플레이 장치(30) 및 일부 기능키를 갖는 키패드(10)가 구비되고, 후면 하우징에 키패드(20)가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는 바형, 또는 전면 하우징에 디스플레이 장치(30) 및 키패드(20)를 함께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1)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를 보면, 전면 케이스(11)에는 키패드(20), 더 구체적으로는 키 탑(21)들을 노출시키는 개구(13)와, 디스플레이 장치(30) 설치하기 위한 윈도우(14)를 구비한다. 전면 케이스(11)는 개구(13)의 둘레를 따라 키패드(20)의 가장자리 및 디스플레이 장치(30)의 가장자리를 감싸 하우징(10) 내에 고정하도록 프레임 형태이다. 전면 케이스(11)의 내측에는 개구(13)의 둘레를 따라 키패드(20)를 고정하는 장착돌기(11a)가 형성된다. 장착돌기들(11a)은 각각 전면 케이스(11)의 내측으로부터 후면 케이스(12)의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다.
키패드(20)의 가장자리에는 결속리브(23a)가 연장되고, 결속리브(23a)에는 장착돌기(11a)에 걸려 고정되는 결속홀(23b)이 형성된다. 키패드(20)가 전면 케이스(11)에 조립되면, 장착돌기(11a)들이 결속홀(23b)을 관통한 상태로 결속된다. 이로써, 키패드(20)는 전면 케이스(11)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에 조립되며, 개구(13) 내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개구(13)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키 탑(21)에는 숫자키나, 문자키 등은 물론 종료키, 취소키, 통화키 등의 보조키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실행하거나 서치하는 등의 4-방향 키(21a)가 설치된다. 4-방향 키(21a)의 경우 사용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결속리브(23a)와 숫자키 사이에 배치되며, 회전하거나 또는 상, 하, 좌, 우 방향의 눌림에 의해 다양한 기능을 실행한다.
이러한, 키패드(20)나 디스플레이 장치(30) 외부에 노출되도록 전면 케이스(11)에 설치되기 위해서, 전면 케이스(11)는 키패드(20)의 주변둘레와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주변둘레를 체결하기 위한 일정 폭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일정한 크기를 갖는 전면 케이스(11)에 디스플레이 장치(30) 및 키패드(20)가 최대한의 크기를 가지기 위해, 키패드(20)나 디스플레이 장치(30)가 장착되기 위한 전면 케이스(11)의 폭은 최소한의 폭을 형성할 수 밖에 없다. 특히, 4-방향 키(21a)의 경우, 결속리브(23a)에 근접하게 형성됨으로써, 4-방향 키(21a)에 근접한 장착돌기(11a)에 장착된 결속홀(23b)의 결합력은 저하될 수 밖에 없게 된다. 더욱이 결속홀(23b)은 하방에서 상방의 수직방향으로 장착돌기(11a)에 인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4-방향 키(21a)의 다방향 눌림에 따라, 4-방향 키(21a)와 근접하게 형성된 결속리브(23a)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누르는 힘에 의해, 4-방향 키(21a)에 근접하게 체결된 결속홀(23b)은 장착돌기(11a)에서 이탈이 용이해지는 문제점(도 3의 아래쪽 그림 참조)이 발생한다. 즉, 키패드(20)가 전면 케이스(11)에 체결되는 폭이 좁아짐으로써, 사용자가 체결되는 면 근처에 일정한 힘을 가함에 의해, 키패드(20)가 전면 케이스(11)와 체결을 쉽게 분리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에 장착되는 키패드의 체결 폭이 협소해 짐으로써, 키패드 체결 위치에 근접한 키 탑을 일정 힘으로 누를 경우, 키패드와 하우징 간의 체결이 용이하게 풀려, 키패드가 하우징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키패드 고정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에 구비되는 키패드; 및 상기 키패드 주변 둘레를 따라서 다수개 구비되어서, 상기 키패드를 상기 하우징 상에 결합하는 고정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 중, 상기 키패드의 주변부 중 일부에 위치되는 제1고정부에는 상기 키패드의 눌림에 따라 발생하는 수직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패드는 다각형상으로 구성되어, 다수개의 모서리들을 가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패드는 대략적으로 사각 형상의 4-방향 키를 포함하며, 네 군데에 모서리들을 각각 구비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키패드의 주변부 중 버튼부와 근접한 상부 측 양단에 배치된 상기 제1고정부에 각각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고정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상기 키패드 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부재; 및 상기 제1체결부재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상기 고정부재가 포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키패드의 장착부에 걸리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체결된 상기 키패드의 수직 방향 이탈을 제한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키패드의 최외각에 배치되는 상기 버튼부에 근접한 상기 제1고정부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키패드 고정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에 구비되는 표시부; 상기 하우징 상에 구비되며, 상기 표시부와 이웃하는 키패드; 및 상기 표시부와 상기 키패드 사이를 따라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키패드를 상기 하우징 상에 체결하는 고정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 중, 상기 키패드의 주변부 중 일부에 위치되는 제1고정부에는 상기 키패드의 눌림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키패드의 주변부 중 버튼부와 근접한 상부 측 양단에 배치된 상기 제1고정부에 각각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패드는 대략적으로 사각 형상의 4-방향 키를 포함하며, 네 군데에 모서리들을 각각 구비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4-방향 키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제1고정부에 각각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고정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상기 키패드 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부재; 및 상기 제1체결부재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상기 고정부재가 포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키패드의 장착부에 걸리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체결된 상기 키패드의 수직 방향 이탈을 제한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키패드의 최외각에 배치되는 버튼부에 근접한 상기 제1고정부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키패드 고정장치는, 슬라이딩 형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하우징;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 상에 구비되는 표시부;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 상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와 이웃하는 키패드; 및 상기 표시부와 상기 키패드 사이를 따라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키패드를 상기 하우징 상에 체결하는 고정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 중, 상기 키패드의 주변부 중 일부에 위치되는 제1고정부에는 상기 키패드의 눌림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가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키패드의 주변부 중 상단부에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고정부에 배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패드에는 대략적으로 사각 형상의 4-방향 키를 포함하며, 네 군데에 모서리들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표시부와 상기 키패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4-방향 키의 네 군데 모서리들 중 상부 측 양 모서리에 배치된 상기 제1고정부에 각각 구비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살펴보면, 장착홀은 돌기에 인입되고, 고정돌기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키패드의 눌림에 따른 수직방향 힘에 의한 장착홀이 돌기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패드가 하우징에 체결되는 폭이 협소해진 상태에서, 장착홀이 돌기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어도, 고정돌기에 의해 장착홀이 고정됨으로써, 체결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튼부가 체결부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버튼부의 눌림에 의해 버튼부와 근접한 장착홀이 돌기의 단부로 이동되어도 고정돌기에 의해 이탈이 방지됨으로써, 키패드가 하우징에서 체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돌기는 돌기의 단부에 절곡되는 형상으로, 간단한 구조 만으로 키패드가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키패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추가 재료비 등의 발생을 방지하며, 키패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우징에 키패드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선 단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면 프레임에 키패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전면 프레임의 키패드 장착부, 구체적으로 상측 장착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선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고정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이나, 제2 등과 같은 서수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동일한 명칭의 대상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그 순서는 임의로 정할 수 있으며, 후순위의 대상에 대해 선행하는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고정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분리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전면에 배치되는 표시부(30, 이하 디스플레이 장치)와, 키패드(120)와, 키패드(120)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표시부 브라켓 등을 포함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키패드(120) 고정장치는 키패드(120)를 하우징(110)에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키패드(1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전면 프레임(110a)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30)와 키패드(120)가 하나의 하우징(110)에 형성되는 바형 단말기나, 슬라이딩형 단말기 중, 전면 하우징(110)에 디스플레이 장치(30) 및 키패드(120)가 설치되는 하우징(200, 슬라이딩 형 단말기에서는 슬라이딩형 하우징(110, 이하 슬라이딩형 하우징(110)도 하우징(110)이라 함)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하우징(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더형의 단말기에서 키패드(120)만이 장착되는 하우징(110)이나, 슬라이딩형 단말기에서 키패드(120) 만이 장착되는 후면 하우징(110) 같이, 키패드(120)만 장착되는 하우징(110)일 수도 있는 등, 키패드(120)가 구비되도록 개구(113)가 형성된 하우징(110)이라면 얼마든지 다양한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면 프레임(110a)에는 디스플레이 장치(30) 또는 키패드(120)를 노출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개구(111)와 윈도우(112)가 형성된다. 개구(111)와 윈도우(112)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30)와 키패드(120)를 분리하며, 키패드(120)의 일면을 체결하는 분리 프레임(113)이 형성된다. 만약 하우징(110)에 키패드(120)만이 구비되는 구성이라면, 개구(111)의 주변 둘레를 따라 전면 프레임(110a)의 내측면에 키패드(120)의 주변 둘레가 체결된다. 전면 프레임(110a)은 후술하는 표시부 브라켓(미도시)과의 장착에 의해 그 내부가 폐쇄되는 구조를 갖는다. 전면 프레임(110a)에는 후면 케이스(110b)가 체결되며, 전면 프레임(110a)과 후면 케이스(110b)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30), 키패드(120), 표시부 브라켓 및 인쇄회로기판(40) 등이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상측에는 수화부(미도시) 구비되고, 키패드(120)의 하측에는 송화부(미도시)가 구비된다
개구(111)의 주변 둘레를 따라 전면 프레임(110a)의 내측면에는 키패드(120)의 주변 둘레를 안착시켜, 키패드(120)를 체결하는 체결부(210, 210a)가 구비된다. 체결부(210, 210a)는 키패드(120)와 전면 프레임(110a)을 체결하도록 전면 프레임(110a)에 구비되는 고정부(200)의 일 구성으로 이는 후술하는 고정부(200)의 설명 시 함께 설명한다.
키패드(120)는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40) 상에 배치된다. 키패드(120)는 버튼부(121)와 작동부재(122)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부(121)는 전면 프레임(110a)의 개구(111)에 노출되어, 사용자의 눌림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버튼부(121)는 후술하는 작동부재(122, 도 7 및 도 9 참조.)의 상단에 안착된다. 버튼부(121)는 전면 프레임(110a)의 상면으로 개구(111)를 통해 노출된다. 또한, 작동부재(122)에서 연장된 주변 둘레가 개구(111)의 둘레를 따라 전면 프레임(110a)의 내측면에 체결된다. 키패드(120)에는 버튼부(121)는 전면으로 노출되는 복수개의3*4나 쿼티키와 같은 키와, 다각형의 4-방향 키(121a)를 포함한다.
사각 형상의 4-방향 키(121a)의 경우, 네 군데 모서리가 발생되며, 네 군데 모서리 중 상측부의 양 모서리 측으로, 후술하는 제1고정부(200a)가 배치된다. 이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 모서리에 근접한 제1고정부(200a)가 4-방향 키(121a)의 눌림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키패드(120)의 수직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버튼부(121) 중 키패드(120)의 가장 외측으로 형성되는 일부의 버튼부(121)나, 4-방향 키(121a)의 경우에는 체결부(210a, 210b)와 근접하게 배치된다. 후술하는 고정부재(212a)는 이러한 체결부(210a, 210b) 중 버튼부(121)나 4-방향 키(121a)에 근접하게 위치된 제1체결부(210a)에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작동부재(122)는 그 상단으로 다수개의 버튼부(121)가 장착되며, 그 하단으로 인쇄회로기판(40) 상의 키 스위치(미도시)에 눌림을 전달할 수 있도록 다수의 작동돌기(123)들이 형성된다. 작동부재(122)는 버튼부(121)의 눌림에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은 탄성을 갖는 연성의 재질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키패드(120)는 다각형상으로 구성되어, 다수개의 모서리들을 가지는 구성, 더 구체적으로는 키패드(120)에는 대략적으로 사각 형상의 4-방향 키(121a)를 포함하며, 네 군데에 모서리들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키패드(1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면 프레임(110a)에 구비되는 키패드(120)의 형상이나 4-방향 키(121a)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고정부(200)의 일 구성인 장착부(220a, 220b)가 작동부재(122)의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장착부(220a, 220b)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패드(120)의 형상이나 조립되는 구성물에 따라 장착부(220a, 220b)가 키패드(120) 단부의 주변 둘레에 연장 형성되어, 체결부(210a, 210b)에 체결되고, 체결부(210a, 210b)에 의해 수직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나 형상이라면, 키패드(120)의 구성이나 형태 등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 함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고정장치에서 고정부 중 체결부를 갖는 하우징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5및 도 6을 참조하면, 키패드(120)와 전면 프레임(110a)에는 키패드(120)를 전면 프레임(110a)에 체결하는 고정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200)는 키패드(120)를 전면 프레임(110a)에 체결하도록 키패드(120)와 전면 프레임(110a)에 각각 구비된다. 고정부(200)는 키패드(120)의 수직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더 구체적으로는 키패드(120)의 눌림에 따라 키패드(120)의 눌림 방향(상방에서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고정부(200) 중, 키패드(120)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 상의 고정부(200)를 제1고정부(200a)라 한다.
제1고정부(200a)의 구성은 나머지 고정부(200b, 이하 ‘제2고정부’라 함) 와 그 형태나 기능은 거의 동일하다. 다만, 제1고정부(200a)와 제2고정부(200b)가 다른 것은 고정부재(212a)의 유무이다. 즉, 제1고정부(200a)에는 고정부재(212a)가 구비되며, 제2고정부(200b)에는 고정부재(212a)가 구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키패드(120)를 고정하는 고정부(200)는 체결부((220a, 220b)와 장착부(210a, 210b)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제1고정부(200a)는 제1체결부(210a)와 제1장착부(220a)를 포함하고, 제2고정부(200b)는 제2체결부(210b)와 제2장착부(220b)를 포함한다. 제1장착부(220a)와 제2장착부(220b)는 키패드(120)의 주변 둘레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어느 위치에 배치된 체결부(210a, 210b)에 장착되는지의 위치 상의 차이로 인해 그 명칭에 ‘제1’또는 ‘제2’라는 서수만을 붙였을 뿐, 제1, 2장착부(220a, 220b)의 구성이나 형태, 형상 등은 동일하다.
다만, 제1체결부(210a)와 제2체결부(210b)는 차이가 있는 구성이다. 제1체결부(210a)와 제2체결부(210b)는 전면 프레임(110a)의 내측면에 구비된 구성이나, 고정부재(212a)의 유무에 따라 제1체결부(210a)와, 제2체결부(210b)로 나뉜다. 즉, 제2체결부(210b)는 체결부재(210b) 만으로 구성되나, 제1체결부(210a)는 제1체결부재(211a) 및 제1체결부재(211a)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고정부재(212a)를 구비한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면 프레임의 내측으로 키패드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및 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했듯이, 고정부(200)는 체결부(210a, 210b)와 장착부(220a, 220b)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210a, 210b)는 전면 프레임(110a)에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체결부(210a, 210b)는 개구(111)의 주변 둘레를 따라 전면 프레임(110a)의 내측면에 다수개 구비되고, 전면 프레임(110a)의 내측면에서 키패드(12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체결부(210a, 210b)에는 키패드(120)의 장착부(220a, 220b)가 체결된다. 체결부(210a, 210b) 중 키패드(120)의 모서리에 위치되는 체결부(210a, 이하 ‘제1체결부’라 함)에는 키패드(120)의 눌러짐에 의해 발생되는 수직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고정부재(212a)가 구비된다. 제1체결부(210a)나 제2체결부(210b)는 모두 전면 프레임(110a)의 내측면에서 돌출된다. 그러나, 제2체결부(210b)의 경우에는 전면 프레임(110a)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체결부재(210b)만이 구비되고, 제1체결부(210a)의 경우에는 전면 프레임(110a)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제1체결부재(211a)뿐만 아니라, 제1체결부재(211a)에서 절곡 연장된 고정부재(212a)를 포함한다. 여기서 키패드(120)의 모서리에 위치되는 제1체결부(210a)란, 버튼부(121)가 고정부(200)에 근접하여 버튼부(121)와 고정부(200) 사이 거리가 거의 붙어 있는 경우-예들 들어, 버튼부(121) 중 4-방향 키(121a)는 고정부(200)에 가장 근접하게 배치되어, 키패드(120)가 전면 프레임(110a)에 장착 후 4-방향 키(121a)의 단부가 전면 프레임(110a)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과 같이-즉, 버튼부(121)의 위치와 체결부(210a, 210b)의 위치가 매우 근접하여 버튼부(121)의 눌림에 따라 체결부(210a, 210b)의 체결에 영향을 미치는 위치를 일컫는다.
만약 버튼부(121)가 고정부(200)에 근접하긴 하나, 키패드(120)가 전면 프레임(110a)에 체결되는 폭이 상대적으로 넓어 버튼부(121)의 눌림에 고정부(200)가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에는, 키패드(120) 모서리부에 해당되지만 제2체결부(210b)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212a)를 포함하는 제1체결부(210a)는 전면 프레임(110a) 중 분리 프레임(113) 또는 4-방향 키(121a)와 근접하게 형성되는 상측의 전면 프레임(110a)에만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언급된 키패드(120)의 가장 양측면에 형성되는 버튼부(121)가 고정부(200)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버튼부(121)의 눌림에 의해 고정부(200)에 영향을 미친다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면 프레임(110a)의 양측면에도 고정부재(212a)를 갖는 제1체결부(210a)가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체결부(210a)의 경우, 키패드(120)의 모서리에 위치되어 키패드(120)의 눌림에 따라 수직방향 이탈 가능성을 있는 경우라면 키패드(120)가 장착되는 체결부(210a, 210b) 모두가 고정부재(212a)를 갖는 제1체결부(210a)로 구비될 수도 있고, 체결부(210a, 210b) 중 일부 만이 고정부재(212a)를 갖는 제1체결부(210a)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키패드(120) 모서리와 근접한 제1체결부(210a)는 전면 프레임(110a)에 구비되는 체결부(210a, 210b) 중 어느 위치에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체결부(210a)는 제1체결부재(211a)와 제1고정부재(212a)를 포함하고, 제2체결부(210b)는 제1체결부재(210b)만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부(210a)와 제2체결부(210b)는 개구(111)의 주변 둘레를 따라 전면 프레임(110a)의 내측면에서 키패드(120)를 향해 연장된다.
제1체결부재(211a)는 전면 프레임(110a)의 내측면으로 인입되도록 돌출되는 돌기(211a)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제1장착홀(222a)에 관통 체결된다.
상기 고정부재(212a)는 버튼부(121)가 제1고정부(200a)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버튼부(121)의 눌림에 따라 돌기(211a)에 체결된 장착홀(222a)이 돌기(211a)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기(211a)의 단부에 구비된다. 고정부재(212a)는 돌기(211a)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돌기(212a)로 이루어진다. 버튼부(121)의 눌림에 따라 제1장착홀(222a)이 돌기(211a)를 따라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되어도, 절곡돌기(212a)에 장착홀(222a)이 걸려 수직방향 이탈되는 것이 제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고정장치에서 키패드가 전면 프레임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C-C’선 단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장착부(220a, 220b)는 키패드(120)의 주변둘레에 연장 형성되어, 돌출 형성된 체결부(210a, 210b)가 관통되어 수직방향으로 체결된다. 장착부(220a, 220b)는 장착편(221a, 221b)과, 장착홀(222a, 222b)을 포함한다.
상술했듯이, 장착부(220a, 220b)는 제1장착부(220a)와 제2장착부(220b)로 나뉘나, 이는 단지, 제1체결부(210a) 또는 제2체결부(210b)에 체결되는 지에 따라, 그 명칭에 ‘제1’또는 ‘제2’라는 서수만을 붙였을 뿐, 제1, 2장착부(220a, 220b)의 구성이나 형태, 형상 등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장착부(210a)를 예를 들어 설명을 하고 있으나, 제2장착부(220b)는 제1장착부(210a)와 키패드(120)에 배치되는 위치만 다를 뿐 다른 것은 모두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장착편(221a, 221b)은 키패드(120)의 주변 둘레, 더 구체적으로는 작동부재(122)의 주변 둘레를 따라 작동부재(122)의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장착편(221a, 222b)은 체결부(210a, 210b)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후술하는 장착홀(222a, 222b)이 돌기(211a, 210b)를 인입하여 체결되면, 장착편(221a, 222b)은 전면 프레임(110a)의 내측벽에 평행한 상태로 밀착되고, 키패드(120)는 전면 케이스에 체결된다. 장착홀(222a, 222b)은 장착편(221a, 222b)에 형성된다. 돌기(211a, 210b)가 장착홀(222a, 222b)에 끼워져, 장착홀(222a, 222b)이 돌기(211a, 210b)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체결됨으로써, 돌기(211a, 210b)는 장착홀(222a, 222b)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장착부(220a, 220b) 중 4-방향 키(121a)와 근접한 장착부(220a, 이하 ‘제1장착부’라 함)는 제1체결부(210a)에 체결된다. 제1장착부(220a)는 제1장착편(221a)과 제1장착홀(222a)을 포함한다(제2장착부(220b)의 경우, 제2장착편(221b)과 제2장착홀(222b)을 포함한다.). 즉, 제1장착부(220a)의 장착편 (221a, 이하, ‘제1장착편’이라 함)은 제1체결부(210a)와 체결된다. 제1장착편(221a)에 형성된 장착홀(222a, 이하 ‘제1장착홀’이라 함)은 절곡돌기(212a)를 통해 돌기(211a)와 체결된다. 돌기(211a)는 제1장착홀(222a)에 관통되어, 제1장착편(221a)을 전면 프레임(110a)의 내측벽에 평행하게 배치되게 체결한다. 제1장착편(222a)은 절곡돌기(212a)에 의해 저면이 걸려,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즉, 제1장착편(222a)에 근접하게 형성된 4-방향 키(121a)의 눌림에 의해 제1장착홀(222a)은 돌기(211a)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된다. 돌기(211a)를 따라 이동되던 제1장착홀(222a)은 절곡돌기(212a)에 의해 더 이상 하향이동이 제한된다. 그러므로, 4-방향 키(121a)가 눌리거나 사용자가 키패드(120)에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등의, 사용자가 4-방향 키(121a) 근방에 많은 힘을 가하여 눌러도 수직 방향 이탈이 제한되어, 제1장착홀(222a)이 찢어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는 한, 제1장착부(220a)와 제1체결부(210a)의 체결은 풀리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2장착편(221a, 221b)은 연성의 작동부재(122)에서 연장된 구성으로, 제1, 2장착편(221a, 221b) 또한 탄성을 갖는 연성재질이다. 이로 인해, 제1장착홀(222a)이 절곡돌기(212a)를 관통하여 돌기(211a)에 체결 될 때, 제1장착홀(222a)의 크기가 탄성적으로 늘어났다가 원래 크기로 복구된다. 제1장착홀(222a)이 절곡돌기(212a)를 통해 돌기(211a)와 체결되며, 제1장착편(221a)은 전면 프레임(110a)의 내측벽에 평행한 상태로 밀착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키패드(120)가 전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전면 프레임(110a)의 개구(111)로 버튼부(121)가 노출되도록 키패드(120)를 위치시킨다. 개구(111)의 주변 둘레를 따라 전면 프레임(110a)의 내측벽에 체결부에 장착부가 맞물려 장착된다.
즉, 전면 프레임(110a)의 내측벽에서 키패드(120)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211a, 210b)에 장착홀(222a, 222b)이 끼워져, 돌기(211a, 210b)는 장착홀(222a, 222b)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이때, 제1장착홀(222a)은 그 크기가 탄성적으로 늘어나게 되어, 절곡돌기(212a)를 지나 돌기(211a)에 체결되고, 원 크기로 복구된다. 따라서, 제1장착홀(222a)은 절곡돌기(212a)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제1체결부(210a)가 제1장착부(220a)에 체결됨은 물론 제2체결부(210b)가 제2장착부(220b)와 체결됨으로써, 키패드(120)는 전면 프레임(110a)에 장착된다.
전면 프레임(110a)의 개구(111)로 노출된 버튼부(121)를 누를 경우(특히, 고정부(200)에 근접한 버튼부(121)의 잦은 누름), 버튼부(121)의 눌림에 영향을 받는 제1장착부(220a)는 절곡돌기(212a)로 인하여 제1체결부(210a)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양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절곡돌기(212a)는 키패드(120)의 장착 시, 체결 폭이 좁아 버튼부(121)의 눌림에 따라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위치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키패드 고정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뿐만 아니라, 버튼부(121)와 같이 데이터를 입력하는 장치가 키패드(120)의 외측면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키패드(120)와 전면 프레임(110a)의 체결되는 폭이 매우 좁게 형성됨으로써, 데이터 입력 장치가 하우징(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전자기기, 예를 들어 전자 사전이나, 전자 수첩 등에도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휴대용 단말기 110: 하우징
111: 개구 120: 키패드
121: 버튼부 121a: 4-방향 키
122: 작동부재 200: 고정부
200a: 제1고정부 210: 체결부
210a: 제1체결부 211a: 제1체결부재, 돌기
212a: 고정부재, 절곡돌기 210b: 제2체결부, 제2체결부재
220: 장착부 220a: 제1장착부
221a: 제1장착편 222a: 제1장착홀
220b: 제2장착부

Claims (17)

  1.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에 구비되는 키패드; 및
    상기 키패드 주변 둘레를 따라서 다수개 구비되어서, 상기 키패드를 상기 하우징 상에 결합하는 고정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 중, 상기 키패드의 주변부 중 일부에 위치되는 제1고정부에는 상기 키패드의 눌림에 따라 발생하는 수직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다각형상으로 구성되어, 다수개의 모서리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대략적으로 사각 형상의 4-방향 키를 포함하며, 네 군데에 모서리들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키패드의 주변부 중 버튼부와 근접한 상부 측 양단에 배치된 상기 제1고정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상기 키패드 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부재; 및
    상기 제1체결부재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상기 고정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키패드의 장착부에 걸리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체결된 상기 키패드의 수직 방향 이탈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고정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키패드의 최외각에 배치되는 상기 버튼부에 근접한 상기 제1고정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고정장치.
  8.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에 구비되는 표시부;
    상기 하우징 상에 구비되며, 상기 표시부와 이웃하는 키패드; 및
    상기 표시부와 상기 키패드 사이를 따라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키패드를 상기 하우징 상에 체결하는 고정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 중, 상기 키패드의 주변부 중 일부에 위치되는 제1고정부에는 상기 키패드의 눌림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고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키패드의 주변부 중 버튼부와 근접한 상부 측 양단에 배치된 상기 제1고정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고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대략적으로 사각 형상의 4-방향 키를 포함하며, 네 군데에 모서리들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고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4-방향 키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상기 제1고정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고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상기 키패드 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부재;및
    상기 제1체결부재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상기 고정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고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키패드의 장착부에 걸리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체결된 상기 키패드의 수직 방향 이탈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고정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키패드의 최외각에 배치되는 버튼부에 근접한 상기 제1고정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고정장치.
  15. 슬라이딩 형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고정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하우징;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 상에 구비되는 표시부;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 상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와 이웃하는 키패드; 및
    상기 표시부와 상기 키패드 사이를 따라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키패드를 상기 하우징 상에 체결하는 고정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들 중, 상기 키패드의 주변부 중 일부에 위치되는 제1고정부에는 상기 키패드의 눌림에 의해 발생하는 수직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고정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키패드의 주변부 중 상단부에 근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고정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고정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에는 대략적으로 사각 형상의 4-방향 키를 포함하며, 네 군데에 모서리들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표시부와 상기 키패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4-방향 키의 네 군데 모서리들 중 상부 측 양 모서리에 배치된 상기 제1고정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고정장치.

KR1020110128625A 2011-12-02 2011-12-02 키패드 고정장치 KR20130062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625A KR20130062173A (ko) 2011-12-02 2011-12-02 키패드 고정장치
US13/684,777 US20130141337A1 (en) 2011-12-02 2012-11-26 Keypad fastening apparatus
CN2012105088895A CN103139347A (zh) 2011-12-02 2012-12-03 键盘紧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625A KR20130062173A (ko) 2011-12-02 2011-12-02 키패드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173A true KR20130062173A (ko) 2013-06-12

Family

ID=4849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625A KR20130062173A (ko) 2011-12-02 2011-12-02 키패드 고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141337A1 (ko)
KR (1) KR20130062173A (ko)
CN (1) CN1031393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7986A (zh) * 2016-05-27 2016-08-24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壳体和移动终端
DE102019106868A1 (de) * 2019-03-18 2020-09-24 Minimax Viking Research & Development Gmbh Trägerkomponente eines Gehäuses einer Gefahrenmelderzentrale und eine Gefahrenmelderzentrale, vorzugsweise einer Einbruch-, Brandmelder- und/oder Löschsteuerzentrale
CN111403211B (zh) * 2020-05-06 2022-03-11 光宝科技(常州)有限公司 键盘框架及键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90553A (zh) * 2007-04-17 2008-10-22 索尼(中国)有限公司 具有显示屏的电子设备
TWI373288B (en) * 2008-02-14 2012-09-21 Asustek Comp Inc Electrical device with detachable keypad module
TWM394523U (en) * 2010-08-12 2010-12-11 Elitegroup Computer Sys Co Ltd Structure for assembling/disassembling keyboard from a portable device
US8538496B2 (en) * 2011-08-11 2013-09-17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41337A1 (en) 2013-06-06
CN103139347A (zh)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3470B1 (ja) 電子機器
US6995975B2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keyboard-mounted housing
JP2008287422A (ja) キーボードの結合構造及び電子機器
KR10173913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WO2012165603A1 (ja) 携帯型電子機器、携帯型電子機器群、及び携帯型電子機器の製造方法
JP2006086099A (ja) ボタン構造、携帯型電子装置
JP2018120060A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6798648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flat box shaped housing
KR20130062173A (ko) 키패드 고정장치
US20070188452A1 (en) Input device for computer
US8035051B2 (en) Electronic device
JP4843740B2 (ja) 電子機器
US20110211306A1 (en) Electronic device
US9651986B2 (en) Electronic apparatus
US8218307B2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JP4843741B2 (ja) 電子機器
JP2010080209A (ja) 小型電子機器
US20130114233A1 (en) Keypad coupl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7642477B2 (en) Button fixing mechanism
JP2012009074A (ja) 電子機器
JP5779409B2 (ja) 電子機器
JP5445010B2 (ja) 電子機器
JP2008009904A (ja) 電子機器
US8227717B2 (en) Key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5731286B2 (ja) 携帯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