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9597A - 차량용 공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9597A
KR20130049597A KR1020110114697A KR20110114697A KR20130049597A KR 20130049597 A KR20130049597 A KR 20130049597A KR 1020110114697 A KR1020110114697 A KR 1020110114697A KR 20110114697 A KR20110114697 A KR 20110114697A KR 20130049597 A KR20130049597 A KR 20130049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eat
driver
passenger
passeng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춘규
권정호
김성환
공동현
이창원
장기룡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4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9597A/ko
Publication of KR20130049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60H2001/00135Deviding walls for separate air f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19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left and right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스트루먼트 판넬 안쪽에 구비하고, 뒤쪽에 블로워 모터를 구비한 블로워 케이스; 상기 블로워 케이스의 앞쪽 일측에 구비하고, 조수석 부근의 공기를 유입하는 조수석 공기 흡입덕트; 상기 블로워 케이스의 앞쪽 타측에 구비하고,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외부 공기 흡입덕트; 및 상기 블로워 케이스의 측부에 연결하고, 운전석 부근의 공기를 유입하는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시스템{AIR-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객을 인식하여 공조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친환경 차량인 전기차는 항속거리 증대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공조장치 작동은 항속거리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에 공조 소모 동력 저감 기술의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즉, 기존 차량의 경우 탑승객 인원이나 탑승 위치와 관계 없이 실내 전체 온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공조 소모 동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 소모 동력을 저감하기 위해 1인 탑승 또는 다인 탑승에 따라 공조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기술인 개별공조 시스템이 개시된바 있다.
상기한 개별 공조 시스템은 운전자만 탑승한 경우 탑승객 인식 지향 공조를 통하여 블로워 풍량을 최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공조 소모 동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개별 공조 시스템은 내기 모드에서 실내 공기를 유입하여 사용하는데, 내기 유입구가 조수석 글로브 박스의 부근에 위치하여 겨울에는 조수석 부근의 찬 공기를 유입하고, 여름에는 조수석 부근의 뜨거운 공기를 유입함으로써 공조 소모 동력의 저감 효과를 감소시킨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운전석 부근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운전석 내기 유입 덕트를 포함한 공조 시스템를 구성함으로써 운전석만 탑승시 상기 운전석 내기 유입 덕트를 통해 운전석 부근의 공기를 유입함으로써 공조 소모 동력의 저감 효과를 증대시키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시스템은 인스트루먼트 판넬 안쪽에 구비하고, 뒤쪽에 블로워 모터를 구비한 블로워 케이스; 상기 블로워 케이스의 앞쪽 일측에 구비하고, 조수석 부근의 공기를 유입하는 조수석 공기 흡입덕트; 상기 블로워 케이스의 앞쪽 타측에 구비하고,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외부 공기 흡입덕트; 및 상기 블로워 케이스의 측부에 연결하고, 운전석 부근의 공기를 유입하는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석 1인 탑승시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를 통해 운전석 부근의 설정온도로 조절된 쾌적한 공기를 유입함으로써 블로워 풍량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공조 소모 동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이와 같은 목적과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차량용 공조시스템는 인스트루먼트 판넬 안쪽에 구비하고, 뒤쪽에 블로워 모터를 구비한 블로워 케이스; 상기 블로워 케이스의 앞쪽 일측에 구비하고, 조수석 부근의 공기를 유입하는 조수석 공기 흡입덕트; 상기 블로워 케이스의 앞쪽 타측에 구비하고,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외부 공기 흡입덕트; 및 상기 블로워 케이스의 측부에 연결하고, 운전석 부근의 공기를 유입하는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조수석, 외부 및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는 제1, 제2 및 제3 도어에 의해 각각 열림되거나 또는 닫힘된다.
운전석 1인 탑승시 내기 모드는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의 제3 도어를 열림하고, 조수석 및 외부 공기 흡입덕트의 제1 및 제2 도어를 닫힘하여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만을 통해 운전석 부근의 공기를 유입한다.
1인 이상 탑승시 내기 모드는 외부 및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의 제2 및 제3 도어를 닫힘하고, 조수석 공기 흡입덕트의 제1 도어를 열림하여 조수석 부근의 공기를 유입한다.
운전석 1인 탑승시 또는 1인 이상 탑승시 외기 모드는 상기 조수석 및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의 제1 및 제3 도어를 닫힘하고, 외부 공기 흡입덕트의 제2 도어를 열림하여 외부의 공기를 유입한다.
운전석 1인 탑승시 또는 1인 이상 탑승시 내기 및 외기 혼합모드는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의 제3 도어를 닫힘하고, 조수석 및 외부 공기 흡입덕트의 제1 및 제2 도어를 열림하여 외부 및 조수석 부근 공기를 각각 유입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은 운전석 부근의 공기를 유입하는 운전석 공기 유입덕트를 구비함으로써 운전석 1인 탑승시 운전석 부근의 여름에는 차가운 공기, 겨울에는 더운 공기를 유입하여 실내로 순환시킬 수 있어 공조 소모 동력을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판넬(10) 안쪽에 구비하고, 뒤쪽에 블로워 모터(110)를 구비한 블로워 케이스(100), 상기 블로워 케이스(100)의 앞쪽(자동차의 전방쪽) 일측에 구비하고, 조수석(20) 부근의 공기를 유입하는 조수석 공기 흡입덕트(200), 상기 블로워 케이스(100)의 앞쪽 타측에 구비하고, 외부(차량의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외부 공기 흡입덕트(300), 및 상기 블로워 케이스(100)의 측부에 연결하고, 공기 유입구를 운전석 부근에 배치하여 운전석(30) 부근의 공기를 유입하는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수석, 외부 및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200)(300)(400)는 제1, 제2 및 제3 도어(210)(310)(410)에 의해 각각 열림되거나 또는 닫힘된다.
즉, 상기 조수석 공기 흡입덕트(200)는 제1 도어(210)에 의해 열림되거나 닫힘되며, 이를 통해 조수석 부근의 공기를 유입하거나 또는 유입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외부 공기 흡입덕트(300)는 제2 도어(310)에 의해 열림되거나 닫힘되며, 이를 통해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 실내로 유입하거나 또는 유입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400)는 제3 도어(410)에 의해 열림되거나 닫힘되며, 이를 통해 운전석 부근의 공기를 유입하거나 또는 유입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도어(210)(310)(410)의 열림 또는 닫힘함에 따라 조수석 또는 운전석 또는 외부 공기를 유입함으로써 공조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시스템을 내기 모드, 외기 모드 및 혼합모드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1인 탑승시]
운전석 1인 탑승시 내기 모드를 설정하면, 차 실내의 센서(미도시)를 통해 운전자 혼자 탑승하였는지를 감지한 후,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400)의 제3 도어(410)를 열림함과 동시에, 조수석 및 외부 공기 흡입덕트(200)(300)의 제1 및 제2 도어(210)(310)를 닫힘한다.
즉, 조수석의 차가운 공기(겨울) 또는 뜨거운 공기(여름) 및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함과 동시에, 설정된 온도로 제어된 운전석 부근의 쾌적한 공기를 유입하여 공조 소모 동력을 감소시키고, 이에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한편, 운전석 1인 탑승시 외기 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조수석 및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200)(400)의 제1 및 제3 도어(210)(410)를 닫힘함과 동시에, 외부 공기 흡입덕트(300)의 제2 도어(310)를 열림하여 외부의 공기를 차 실내로 유입한다.
한편, 운전석 1인 탑승시 내기 및 외기 혼합모드를 설정하면,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400)의 제3 도어(410)를 닫힘하고, 조수석 및 외부 공기 흡입덕트(200)(300)의 제1 및 제2 도어(210)(310)를 열림하여 외부 및 조수석 부근 공기를 각각 차 실내로 유입한다.
[1인 이상 탑승시]
그리고 1인 이상 탑승시 내기 모드를 설정하면, 외부 및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400)(300)의 제2 및 제3 도어(310)(410)를 닫힘하는 한편, 조수석 공기 흡입덕트(200)의 제1 도어(210)를 열림하여 조수석 부근의 공기를 유입한다.
즉, 운전자 또는 조수자 등 다수의 인원이 탑승하였기에 조수석 부근의 공기 또한 설정된 온도로 제어되며, 이에 조수석 부근의 공기를 유입한다.
한편, 1인 이상 탑승시 외기 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조수석 및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200)(400)의 제1 및 제3 도어(210)(410)를 닫힘하고, 외부 공기 흡입덕트(300)의 제2 도어(310)를 열림하여 외부의 공기를 유입한다.
한편, 1인 이상 탑승시 내기 및 외기 혼합모드를 설정하면,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400)의 제3 도어(410)를 닫힘하고, 조수석 및 외부 공기 흡입덕트(200)(300)의 제1 및 제2 도어(210)(310)를 열림하여 외부 및 조수석 부근 공기를 각각 유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시스템은 1인 이상 탑승시에는 기존 공조 시스템과 동일하게 작동하는 한편, 운전석 1인 탑승시는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400)를 통해 운전석 부근의 설정온도로 조절된 쾌적한 공기를 유입함으로써 블로워(110) 풍량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공조 소모 동력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블로워 케이스 200: 조수석 공기 흡입덕트
300: 외부 공기 흡입덕트 400: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

Claims (6)

  1. 인스트루먼트 판넬 안쪽에 구비하고, 뒤쪽에 블로워 모터를 구비한 블로워 케이스;
    상기 블로워 케이스의 앞쪽 일측에 구비하고, 조수석 부근의 공기를 유입하는 조수석 공기 흡입덕트;
    상기 블로워 케이스의 앞쪽 타측에 구비하고,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외부 공기 흡입덕트;
    상기 블로워 케이스의 측부에 연결하고, 운전석 부근의 공기를 유입하는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수석, 외부 및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는 제1, 제2 및 제3 도어에 의해 각각 열림되거나 또는 닫힘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운전석 1인 탑승시 내기 모드는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의 제3 도어를 열림하고, 조수석 및 외부 공기 흡입덕트의 제1 및 제2 도어를 닫힘하여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만을 통해 운전석 부근의 공기를 유입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1인 이상 탑승시 내기 모드는 외부 및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의 제2 및 제3 도어를 닫힘하고, 조수석 공기 흡입덕트의 제1 도어를 열림하여 조수석 부근의 공기를 유입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운전석 1인 탑승시 또는 1인 이상 탑승시 외기 모드는 상기 조수석 및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의 제1 및 제3 도어를 닫힘하고, 외부 공기 흡입덕트의 제2 도어를 열림하여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운전석 1인 탑승시 또는 1인 이상 탑승시 내기 및 외기 혼합모드는 운전석 공기 흡입덕트의 제3 도어를 닫힘하고, 조수석 및 외부 공기 흡입덕트의 제1 및 제2 도어를 열림하여 외부 및 조수석 부근 공기를 각각 유입하는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20110114697A 2011-11-04 2011-11-04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130049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697A KR20130049597A (ko) 2011-11-04 2011-11-04 차량용 공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697A KR20130049597A (ko) 2011-11-04 2011-11-04 차량용 공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597A true KR20130049597A (ko) 2013-05-14

Family

ID=4866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697A KR20130049597A (ko) 2011-11-04 2011-11-04 차량용 공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95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4840B2 (en) 2019-12-20 2023-07-04 Hitachi Energy Switzerland Ag Transformer arrang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94840B2 (en) 2019-12-20 2023-07-04 Hitachi Energy Switzerland Ag Transformer arran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15183B (zh) 具有控制局部气流的吸力面的汽车hvac系统
US20170291467A1 (en) Vehicle headliner assembly for zonal comfort
CN204757270U (zh) 三温区空调控制系统
KR2013006439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기토출 시스템
JP2014180985A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JP2014141236A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20104942A (ko) 차량 공조 장치
CN103260916A (zh) 车辆用空调系统
KR20110021074A (ko) 차량용 공조장치
US10766333B2 (en) Interchangeable operable duct with blocking component for a driver-only function
CN211641761U (zh) 汽车空调机构
KR2012002114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49597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2663207B1 (ko) 차량의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2192867A (ja) 車両用蓄電体冷却システム
CN110065360A (zh) 具有可移除车顶和侧门的机动车辆的气候控制系统和方法
CN211641760U (zh) 汽车空调
CN208263926U (zh) 一种客车及其客车空调系统
KR20140101085A (ko) 공간 분할을 이용한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7579521U (zh) 一种电控隐藏式出风口防尘装置
KR101694041B1 (ko) 개별공조를 위한 후석 통합도어를 갖는 차량공조장치
JP2009286169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5349854A (ja) 車両換気装置
CN205292198U (zh) 一种汽车空调导流结构
JP6233085B2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