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8832A -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8832A
KR20130048832A KR1020110113691A KR20110113691A KR20130048832A KR 20130048832 A KR20130048832 A KR 20130048832A KR 1020110113691 A KR1020110113691 A KR 1020110113691A KR 20110113691 A KR20110113691 A KR 20110113691A KR 20130048832 A KR20130048832 A KR 20130048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plate
cam
cam shaft
groov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덕
Original Assignee
서정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덕 filed Critical 서정덕
Priority to KR1020110113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8832A/ko
Publication of KR20130048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손잡이는 상부덮개(210)와, 하부덮개(220), 상하부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판(230), 상기 슬라이드판(230)을 전, 후진 시키는 캠축(240), 상기 캠축(240)을 회전시키는 레버(25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 하부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판(230)은 슬라이드판 몸체(231)와, 그 전면에 하부덮개 파지구(222)와 대응되게 형성된 슬라이드판 파지구(232)로 구성되며, 또한 슬라이드판 몸체(231)에는 하부덮개에 형성된 슬라이드판 가이드봉(224)과 결합되어 슬라이드판(230)의 전, 후 이동을 가이드 및 제한하는 슬라이드판 이동홈(234)과, 캠돌기(242)가 하부덮개의 하부홈(223) 안에서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드판(230)을 전, 후진시키는 슬라이드판 작동홀(233)이 형성되고, 슬라이드판 몸체(231) 후부에는 후부스프링(261)이 삽입되고, 상기 캠축(240)의 외주면에는 상부덮개의 캠가이드편 안내부(211)를 따라 회전하는 캠가이드편(243)과, 캠돌기(242)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캠축(240)은 상부캠축(280)과, 상기 상부캠축(280) 하부에 탈부착되게 삽입장착되는 하부캠축(29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캠축(280)에는 외주에 두 개의 캠가이드편(243)이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캠축(290) 외주에는 캠돌기(242)가 형성되고, 하부캠축(290) 하단에는 하부스프링 삽입구멍(244)이 형성되어 하부스프링(271)이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캠축(280) 상면에는 레버(250)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레버(250)를 회전하면 레버(250)에 결합된 캠축(240)이 회전되어 캠돌기(242)가 상기 슬라이드판 작동홀(233) 내면에 힘을 가하게 되어 슬라이드판(230) 전체를 전, 후진시키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손잡이를 임의의 조리용기 몸체에 간단히 착탈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조리중 또는 조리완료후 뜨거운 상태의 조리용기를 원하는 곳으로 옮길 때에는 상기 손잡이를 그 조리용기에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시켜 사용하고 기타 조리용기를 오븐렌지와 같은 협소한 조리기구내에 넣어 조리를 행하거나 조리용기의 세척, 운반, 보관등의 경우에는 손잡이를 조리용기로부터 분리시켜 놓은 상태로 원하는 바를 간편히 행할 수가 있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경비가 저렴하며, 사용이 간편하여 사용자가 숙련되지 않아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조리용기에의 착탈이 확실하고, 캠축을 상부캠축과 하부캠축으로 분리제작한 후 결합함으로써, 조리용기를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A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손잡이를 그 조리용기 몸체에 간편하고 확실히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리용기취급 사용상의 편리와 안전을 크게 제고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남비나 후라이팬과 같은 각종 조리용기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해당 조리용기를 원하는 곳으로 들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가 설치제공되는데, 이러한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일반적으로 그 손잡이의 단부를 조리용기 몸체에 완전히 용접고정시키거나 스크류우조임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조리용기에 일체로 결합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종래의 조리용기는 그 조리용기 몸체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손잡이로 인해 예컨대 오븐레인지에 그 조리용기를 넣어 조리를 행하기가 곤란하게 되거나 조리완료된 음식물이 수용되어 있는 조리용기를 식탁에 바로 올려 식사하기가 곤란하게 되는 것 등의 불편이 초래되는 일이 많고, 또한 조리용기의 보관, 운반등의 취급이나 세척시에도 많은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인 등록번호 20-0214193(2000.12.08), 등록 제20-0303457호, 등록 10-0716595호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들은, 착탈식 손잡이의 파지상태가 안정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조리용기가 착탈식 손잡이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짐으로써 뜨거운 음식물이 사방으로 튀어서 화상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또한, 착탈식 손잡이의 작동을 위한 구조가 전반적으로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작경비가 비싸며, 착탈 작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특허공개번호 10-2010-54770호의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는 캠축이 수평에서 기울어지거나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등에는 주위 부재와의 마찰력 등에 의하여 조리용기를 파지한 뒤에도, 레버와 연결된 캠축의 캠가이드편이 상승되지 않아, 사용자가 레버를 부주의하게 돌릴 경우 예기치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경비가 저렴하며, 사용이 간편하여 사용자가 숙련되지 않아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조리용기에의 착탈이 확실하고, 캠축을 상부캠축과 하부캠축으로 분리제조한 후 결합함으로써, 조리용기를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조리용기용 착탈식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손잡이는 상부덮개(210)와, 하부덮개(220), 상하부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판(230), 상기 슬라이드판(230)을 전, 후진 시키는 캠축(240), 상기 캠축(240)을 회전시키는 레버(25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 하부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판(230)은 슬라이드판 몸체(231)와, 그 전면에 하부덮개 파지구(222)와 대응되게 형성된 슬라이드판 파지구(232)로 구성되며, 또한 슬라이드판 몸체(231)에는 하부덮개에 형성된 슬라이드판 가이드봉(224)과 결합되어 슬라이드판(230)의 전, 후 이동을 가이드 및 제한하는 슬라이드판 이동홈(234)과, 캠돌기(242)가 하부덮개의 하부홈(223) 안에서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드판(230)을 전, 후진시키는 슬라이드판 작동홀(233)이 형성되고, 슬라이드판 몸체(231) 후부에는 후부스프링(261)이 삽입되고, 상기 캠축(240)의 외주면에는 상부덮개의 캠가이드편 안내부(211)를 따라 회전하는 캠가이드편(243)과, 캠돌기(242)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캠축(240)은 상부캠축(280)과, 상기 상부캠축(280) 하부에 탈부착되게 삽입장착되는 하부캠축(29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캠축(280)에는 외주에 두 개의 캠가이드편(243)이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캠축(290) 외주에는 캠돌기(242)가 형성되고, 하부캠축(290) 하단에는 하부스프링 삽입구멍(244)이 형성되어 하부스프링(271)이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캠축(280) 상면에는 레버(250)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레버(250)를 회전하면 레버(250)에 결합된 캠축(240)이 회전되어 캠돌기(242)가 상기 슬라이드판 작동홀(233) 내면에 힘을 가하게 되어 슬라이드판(230) 전체를 전, 후진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잡이를 임의의 조리용기 몸체에 간단히 착탈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조리중 또는 조리완료후 뜨거운 상태의 조리용기를 원하는 곳으로 옮길 때에는 상기 손잡이를 그 조리용기에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시켜 사용하고 기타 조리용기를 오븐렌지와 같은 협소한 조리기구내에 넣어 조리를 행하거나 조리용기의 세척, 운반, 보관등의 경우에는 손잡이를 조리용기로부터 분리시켜 놓은 상태로 원하는 바를 간편히 행할 수가 있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경비가 저렴하며, 사용이 간편하여 사용자가 숙련되지 않아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조리용기에의 착탈이 확실하고, 캠축을 상부캠축과 하부캠축으로 분리제작한 후 결합함으로써, 조리용기를 파지한 후 캠축이 용이하게 상승되어 고정됨으로 조리용기를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평면도
도 3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정면도
도 4는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착탈상태도
도 5는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상부덮개 상세도
도 6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상부덮개의 캠축구멍 상세도
도 7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하부덮개 상세도
도 8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캠축 사시도
도 9는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캠축 상세도
도 10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착탈작동정면상세도
도 11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착탈작동상세도
도 12는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착탈작동설명도
도 13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착탈작동개략도
도 14는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레버 상세도
도 15는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캠축 작동도
도 16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상부캠축 사시도
도 17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상부캠축 저면도
도 18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하부캠축 사시도
도 19는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상, 하부캠축이 결합된 상태도
도 20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상, 하부캠축이 결합된 상태의 저면도
도 21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사시도
도 22는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저면도
본발명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손잡이는 상부덮개(210)와, 하부덮개(220), 상하부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판(230), 상기 슬라이드판(230)을 전, 후진 시키는 캠축(240), 상기 캠축(240)을 회전시키는 레버(25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 하부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판(230)은 슬라이드판 몸체(231)와, 그 전면에 하부덮개 파지구(222)와 대응되게 형성된 슬라이드판 파지구(232)로 구성되며, 또한 슬라이드판 몸체(231)에는 하부덮개에 형성된 슬라이드판 가이드봉(224)과 결합되어 슬라이드판(230)의 전, 후 이동을 가이드 및 제한하는 슬라이드판 이동홈(234)과, 캠돌기(242)가 하부덮개의 하부홈(223) 안에서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드판(230)을 전, 후진시키는 슬라이드판 작동홀(233)이 형성되고, 슬라이드판 몸체(231) 후부에는 후부스프링(261)이 삽입되고, 상기 캠축(240)의 외주면에는 상부덮개의 캠가이드편 안내부(211)를 따라 회전하는 캠가이드편(243)과, 캠돌기(242)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캠축(240)은 상부캠축(280)과, 상기 상부캠축(280) 하부에 탈부착되게 삽입장착되는 하부캠축(29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캠축(280)에는 외주에 두 개의 캠가이드편(243)이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캠축(290) 외주에는 캠돌기(242)가 형성되고, 하부캠축(290) 하단에는 하부스프링 삽입구멍(244)이 형성되어 하부스프링(271)이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캠축(280) 상면에는 레버(250)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레버(250)를 회전하면 레버(250)에 결합된 캠축(240)이 회전되어 캠돌기(242)가 상기 슬라이드판 작동홀(233) 내면에 힘을 가하게 되어 슬라이드판(230) 전체를 전, 후진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덮개(220)는 하부덮개 몸체(221) 전면에 조리용기를 파지할 수 있게 하부덮개 파지구(2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덮개 몸체(221) 후부에 상부덮개(210)와 나사로 결합할 수 있게 하부덮개 나사체결구멍(228)과 손잡이를 걸 수 있게 하부덮개 걸이구멍(227)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하부덮개(220)의 내면에는 슬라이드판 이동홈(234)과 결합되어 슬라이드판(230)의 전, 후 이동을 가이드 및 제한하는 슬라이드판 가이드봉(224), 상기 슬라이드판 가이드봉(224)에 형성된 결합나사(226), 캠돌기(242)가 삽입되는 하부홈(223), 상기 하부홈(223)의 저면에 형성되어 하부스프링(271)이 안치되는 하부스프링홈(272), 슬라이드판(230)이 안치되어 슬라이드판(230)이 전, 후 이동되게 하는 슬라이드판 하부덮개 안치홈(225), 후부스프링(261)이 안치되는 후부스프링 하부덮개 홈(22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210)는, 상부덮개 몸체(214) 후부에 하부덮개(220)의 나사체결구멍과 대응되게 상부덮개 나사체결구멍(215)이 형성되고, 하부덮개 걸이구멍(227)에 대응되게 상부덮개 걸이구멍(216)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상부덮개(210) 내면에는 하부덮개의 결합나사(226)가 결합되는 결합구멍(212)이 형성되고, 캠축(240)이 삽입되는 캠축구멍(213)이 형성되고, 상기 캠축구멍(213)은 내면이 단차가 져서 회전하는 캠가이드편(243)을 지지할 수 있는 캠가이드편 안내부(211)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캠가이드편 안내부(211)는 전체적으로 그 수평 단면이 환형 모양이나 전, 후쪽에 각각 캠가이드편 안내부 절개홈(219)이 파여져 있어서, 상기 캠가이드편(243)이 손잡이의 전후방향에 위치했을때 캠가이드편(243)이 캠가이드편 안내부 절개홈(219)에 안치하게 되어 회전이 제한되게 되며, 슬라이드판 하부덮개 안치홈(225)과 대응되게 슬라이드판 상부덮개 안치홈(217)이 형성되며, 후부스프링 하부덮개 홈(229)에 대응되게 후부스프링 상부덮개 홈(21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250)는 레버몸체(251)와 레버파지부(252)로 이루어지고, 레버몸체(251)가 캠축(240)의 레버결합홈(24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캠축(280) 상면에는 레버결합홈(241)이 형성되며, 레버결합홈(241) 중앙에는 나사구멍(2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캠축(280)의 레버결합홈(241)에 결합되는 레버몸체(251) 하부에는 나사홈(256)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캠축(280) 하부에서부터 나사를 삽입하여 레버결합홈(241)의 나사구멍(246)을 관통하여 레버몸체(251)하면의 나사홈(256)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상부캠축(280) 상부에 레버(250)를 탈부착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평면도, 도 3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정면도, 도 4는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착탈상태도, 도 5는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상부덮개 상세도, 도 6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상부덮개의 캠축구멍 상세도, 도 7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하부덮개 상세도, 도 8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캠축 사시도, 도 9는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캠축 상세도, 도 10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착탈작동정면상세도, 도 11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착탈작동상세도, 도 12는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착탈작동설명도, 도 13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착탈작동개략도, 도 14는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레버 상세도, 도 15는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캠축 작동도, 도 16은 본발명 착탈식 손잡이의 상부캠축 사시도, 도 17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상부캠축 저면도, 도 18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하부캠축 사시도, 도 19는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상, 하부캠축이 결합된 상태도, 도 20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상, 하부캠축이 결합된 상태의 저면도, 도 21은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사시도, 도 22는 본발명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착탈식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손잡이는 상부덮개(210)와, 하부덮개(220), 상하부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판(230), 상기 슬라이드판(230)을 전, 후진 시키는 캠축(240), 상기 캠축(240)을 회전시키는 레버(2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덮개(220)는 하부덮개 몸체(221) 전면에 조리용기를 파지할 수 있게 하부덮개 파지구(2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덮개 몸체(221) 후부에 상부덮개(210)와 나사로 결합할 수 있게 하부덮개 나사체결구멍(228)과 손잡이를 걸 수 있게 하부덮개 걸이구멍(227)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하부덮개(220)의 내면에는 슬라이드판 이동홈(234)과 결합되어 슬라이드판(230)의 전, 후 이동을 가이드 및 제한하는 슬라이드판 가이드봉(224), 상기 슬라이드판 가이드봉(224)에 형성된 결합나사(226), 캠돌기(242)가 삽입되는 하부홈(223), 상기 하부홈(223)의 저면에 형성되어 하부스프링(271)이 안치되는 하부스프링홈(272), 슬라이드판(230)이 안치되어 슬라이드판(230)이 전, 후 이동되게 하는 슬라이드판 하부덮개 안치홈(225), 후부스프링(261)이 안치되는 후부스프링 하부덮개 홈(22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 하부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판(230)은 슬라이드판 몸체(231)와, 그 전면에 하부덮개 파지구(222)와 대응되게 형성된 슬라이드판 파지구(232)로 구성되며, 또한 슬라이드판 몸체(231)에는 하부덮개에 형성된 슬라이드판 가이드봉(224)과 결합되어 슬라이드판(230)의 전, 후 이동을 가이드 및 제한하는 슬라이드판 이동홈(234)과, 캠돌기(242)가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드판(230)을 전, 후진시키는 슬라이드판 작동홀(233)이 형성되고, 슬라이드판 몸체(231) 후부에는 후부스프링(261)이 삽입되는 후부스프링 삽입돌기(23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덮개(210)는, 상부덮개 몸체(214) 후부에 하부덮개(220)의 나사체결구멍과 대응되게 상부덮개 나사체결구멍(215)이 형성되고, 하부덮개 걸이구멍(227)에 대응되게 상부덮개 걸이구멍(216)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상부덮개(210) 내면에는 하부덮개의 결합나사(226)가 결합되는 결합구멍(212)이 형성되고, 캠축(240)이 삽입되는 캠축구멍(213)이 형성되고, 상기 캠축구멍(213)은 내면이 단차가 져서 회전하는 캠가이드편(243)을 지지할 수 있는 캠가이드편 안내부(211)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캠가이드편 안내부(211)는 전체적으로 그 수평 단면이 환형 모양이나 전, 후 쪽에 각각 캠가이드편 안내부 절개홈(219)이 파여져 있어서, 상기 캠가이드편(243)이 손잡이의 전후방향에 위치했을때 캠가이드편(243)이 캠가이드편 안내부 절개홈(219)에 안치하게 되어 회전이 제한되게 되며, 슬라이드판 하부덮개 안치홈(225)과 대응되게 슬라이드판 상부덮개 안치홈(217)이 형성되며, 후부스프링 하부덮개 홈(229)에 대응되게 후부스프링 상부덮개 홈(21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캠축(240)의 외주면에는 캠가이드편(243)과 캠돌기(24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축(240) 하단에는 하부스프링 삽입구멍(244)이 형성되어 하부스프링이 삽입설치되고, 캠축(240) 상단에는 레버결합홈(241)이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레버(250)를 회전하면 레버(250)에 결합된 캠축(240)이 회전되어, 캠돌기(242)가 상기 슬라이드판 작동홀(233) 내면에 힘을 가하게 되어 슬라이드판(230) 전체를 전, 후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버(250)는 레버몸체(251)와 레버파지부(252)로 이루어지고, 레버몸체(251)가 캠축(240)의 레버결합홈(24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하부덮개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
Figure pat00001
’형상의 하부홈이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드판에는 대응되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
Figure pat00002
’형상의 슬라이드판 작동홀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레버를 돌려 캠이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하부홈 내에 위치한 캠돌기가 슬라이드판 작동홀에 압력을 가하게 되어 슬라이드 판이 전, 후진되는 것으로, 평소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슬라이드판 파지구가 전진상태로 있어서 슬라이드판 파지구와 하부덮개 파지구의 사이가 넓게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착탈식 손잡이로 조리용기를 집기위하여 착탈식 손잡이의 레버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레버 몸체에 연결된 캠축이 회전하게 되고 캠가이드편이 상부몸체의 캠가이드편 안내부를 따라 원활하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도 8, 9 참조), 캠돌기 역시 하부덮개의 하부홈 안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캠돌기가 회전하면서 슬라이드판 작동홀에 힘을 가하게 되어 슬라이드판이 후퇴하게 되며, 하부덮개에 형성된 슬라이드판 가이드봉(224) 역시 슬라이드판 몸체(231)에 형성된 슬라이드판 이동홈(234)과 상호운동하며 슬라이드판(230)의 전, 후 이동을 가이드한다(도 10 내지 13 참조).
슬라이드판이 후퇴하게 되면 슬라이드판의 파지구가 하부덮개 파지구(222)에 밀착되어 그 사이에 주방용기가 확실히 파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몸체의 캠가이드편 안내부를 따라 원활하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던 캠가이드편이 캠가이드편 안내부 절개홈(219)에 위치하게 된다(도 13 참조).
그러므로 사용자가 상기 조리용기를 집은 후 손잡이의 레버(250)에 더 이상 수직하부방향 힘을 가하지 않게 되거나 착탈식 손잡이를 놓게 되는 경우에는 하부스프링(271)의 위로 향하는 탄발력에 의해 캠가이드편이 상승되어 상부몸체의 캠가이드편 안내부 절개홈(219)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게 되고(레버 역시 상승된다) 사용자가 레버를 부주의에 의하여 돌리게 되더라도 레버와 연결된 캠가이드편이 캠가이드편 안내부 절개홈(219)에 고정되어 회전될 수 없으므로 레버가 결국 돌지 않게 되어 레버에 연결된 캠축, 캠돌기가 회전하지 않게 되며, 캠돌기에 의해 전, 후진하는 슬라이드판의 파지구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주방용기를 집은 상태가 계속 안전하고 확실하게 유지되는 것이다(도 10 내지 13 참조).
사용자가 주방용기와의 결합을 해제하려 할 경우에는 상기 레버의 상단을 누르게 되면, 레버몸체와 연결된 캠가이드편이 하강되어 상부몸체의 캠가이드편 안내부 절개홈(219)에서 이탈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레버 역시 하강한다), 상기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레버 몸체에 연결된 캠축이 회전하게 되고 캠가이드편이 상부몸체의 캠가이드편 안내부를 따라 원활하게 회전하되 앞서 결합때와는 달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도 8, 9 참조), 캠돌기 역시 하부덮개의 하부홈 안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캠돌기가 회전하면서 슬라이드판 작동홀에 힘을 가하게 되어 슬라이드판이 전진하게 되며, 하부덮개에 형성된 슬라이드판 가이드봉(224) 역시 슬라이드판 몸체(231)에 형성된 슬라이드판 이동홈(234)과 상호운동하며 슬라이드판(230)의 전, 후 이동을 가이드 한다(도 10 내지 13 참조).
슬라이드판이 전진하게 되면 슬라이드판의 파지구가 하부덮개 파지구(222)에서 벌어지게 되어 그 사이에 있던 주방용기의 파지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또한 슬라이드판의 파지구와 하부덮개 파지구는 후부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벌어짐을 계속 유지하게 되어, 다음 사용시에 별도로 하부덮개 파지구에서 슬라이드판 파지구를 별도로 이격시킬 필요가 없는 것이다.
한편, 본발명은 캠축을 상부캠축과 하부캠축으로 별개로 제작한 후 이를 결합하는 것이며, 상부캠축과 하부캠축이 서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면, 상부캠축과 하부캠축의 접촉면적이 넓고 또한 일체화되어 있지 않아 서로 유동할 수 있으므로, 조리용기를 파지한 후 캠축 하부의 하부스프링 힘에 의한 상승력외에 상승을 저해하는 불필요한 방향의 힘들은 분산되므로, 캠축이 용이하게 상승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리용기를 파지한 후 상, 하부캠축이 수평에서 기울어지거나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등에도 용이하게 상승되어 캠축이 용이하게 상승되어 고정됨으로 조리용기를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자세한 구성을 기재하면, 캠축(240)은 상부캠축(280)과, 상기 상부캠축(280) 하부에 탈부착되게 삽입장착되는 하부캠축(29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캠축(280)에는 외주에 두 개의 캠가이드편(243)이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캠축(290) 외주에는 캠돌기(242)가 형성되고, 하부캠축(290) 하단에는 하부스프링 삽입구멍(244)이 형성되어 하부스프링(271)이 삽입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캠축은 상부에 하부캠축 삽입돌기(292)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캠축 삽입돌기(292)가 상부의 상부캠축에 형성되는 하부캠축 삽입홈(281)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하부캠축 삽입홈(281) 내부에는 상기 나사의 머리부가 위치해 있으므로 상기 하부캠축 삽입돌기(292)의 표면에는 홈을 형성하여 상부캠축과 하부캠축의 결합에 지장이 없게 한다.
그리고 본발명은 상기 상부캠축(280) 상면에는 레버(250)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레버(250)를 회전하면 레버(250)에 결합된 캠축(240)이 회전되어 캠돌기(242)가 상기 슬라이드판 작동홀(233) 내면에 힘을 가하게 되어 슬라이드판(230) 전체를 전, 후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곧, 상기 상부캠축(280) 상면에는 레버결합홈(241)이 형성되며, 레버결합홈(241) 중앙에는 나사구멍(2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캠축(280)의 레버결합홈(241)에 결합되는 레버몸체(251) 하부에는 나사홈(256)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캠축(280) 하부에서부터 나사를 삽입하여 레버결합홈(241)의 나사구멍(246)을 관통하여 레버몸체(251)하면의 나사홈(256)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상부캠축(280) 상부에 레버(250)를 탈부착하게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잡이를 임의의 조리용기 몸체에 간단히 착탈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조리중 또는 조리완료후 뜨거운 상태의 조리용기를 원하는 곳으로 옮길 때에는 상기 손잡이를 그 조리용기에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시켜 사용하고 기타 조리용기를 오븐렌지와 같은 협소한 조리기구내에 넣어 조리를 행하거나 조리용기의 세척, 운반, 보관등의 경우에는 손잡이를 조리용기로부터 분리시켜 놓은 상태로 원하는 바를 간편히 행할 수가 있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경비가 저렴하며, 사용이 간편하여 사용자가 숙련되지 않아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조리용기에의 착탈이 확실하고, 캠축을 상부캠축과 하부캠축으로 분리제작한 후 결합함으로써, 조리용기를 파지한 후 캠축이 용이하게 상승되어 고정됨으로 조리용기를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210 : 상부덮개 220 : 하부덮개
230 : 슬라이드판 240 : 캠축
250 : 레버 211 : 캠가이드편 안내부
212 : 결합구멍 213 : 캠축구멍
214 : 상부덮개 몸체 215 : 상부덮개 나사체결구멍
216 : 상부덮개 걸이구멍 217 : 슬라이드판 상부덮개 안치홈
218 : 후부스프링 상부덮개 홈 219 : 캠가이드편 안내부 절개홈
221 : 하부덮개 몸체 222 : 하부덮개 파지구
223 : 하부홈 224 : 슬라이드판 가이드봉
225 : 슬라이드판 하부덮개 안치홈 226 : 결합나사
227 : 하부덮개 걸이구멍 228 : 하부덮개 나사체결구멍
229 : 후부스프링 하부덮개 홈 231 : 슬라이드판 몸체
232 : 슬라이드판 파지구 233 : 슬라이드판 작동홀
234 : 슬라이드판 이동홈 235 : 후부스프링 삽입돌기
241 : 레버결합홈 242 : 캠돌기
243 : 캠가이드편 244 : 하부스프링 삽입구멍
251 : 레버몸체 252 : 레버파지부
261 : 후부스프링 271 : 하부스프링
272 : 하부스프링 홈
246 : 나사구멍 256 : 나사홈
280 : 상부캠축 281 : 하부캠축 삽입홈
290 : 하부캠축 292 : 하부캠축 삽입돌기

Claims (5)

  1.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손잡이는 상부덮개(210)와, 하부덮개(220), 상하부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판(230), 상기 슬라이드판(230)을 전, 후진 시키는 캠축(240), 상기 캠축(240)을 회전시키는 레버(25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 하부 덮개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판(230)은 슬라이드판 몸체(231)와, 그 전면에 하부덮개 파지구(222)와 대응되게 형성된 슬라이드판 파지구(232)로 구성되며, 또한 슬라이드판 몸체(231)에는 하부덮개에 형성된 슬라이드판 가이드봉(224)과 결합되어 슬라이드판(230)의 전, 후 이동을 가이드 및 제한하는 슬라이드판 이동홈(234)과, 캠돌기(242)가 하부덮개의 하부홈(223) 안에서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드판(230)을 전, 후진시키는 슬라이드판 작동홀(233)이 형성되고, 슬라이드판 몸체(231) 후부에는 후부스프링(261)이 삽입되고, 상기 캠축(240)의 외주면에는 상부덮개의 캠가이드편 안내부(211)를 따라 회전하는 캠가이드편(243)과, 캠돌기(242)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캠축(240)은 상부캠축(280)과, 상기 상부캠축(280) 하부에 탈부착되게 삽입장착되는 하부캠축(29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캠축(280)에는 외주에 두 개의 캠가이드편(243)이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캠축(290) 외주에는 캠돌기(242)가 형성되고, 하부캠축(290) 하단에는 하부스프링 삽입구멍(244)이 형성되어 하부스프링(271)이 삽입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캠축(280) 상면에는 레버(250)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레버(250)를 회전하면 레버(250)에 결합된 캠축(240)이 회전되어 캠돌기(242)가 상기 슬라이드판 작동홀(233) 내면에 힘을 가하게 되어 슬라이드판(230) 전체를 전, 후진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220)는 하부덮개 몸체(221) 전면에 조리용기를 파지할 수 있게 하부덮개 파지구(2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덮개 몸체(221) 후부에 상부덮개(210)와 나사로 결합할 수 있게 하부덮개 나사체결구멍(228)과 손잡이를 걸 수 있게 하부덮개 걸이구멍(227)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하부덮개(220)의 내면에는 슬라이드판 이동홈(234)과 결합되어 슬라이드판(230)의 전, 후 이동을 가이드 및 제한하는 슬라이드판 가이드봉(224), 상기 슬라이드판 가이드봉(224)에 형성된 결합나사(226), 캠돌기(242)가 삽입되는 하부홈(223), 상기 하부홈(223)의 저면에 형성되어 하부스프링(271)이 안치되는 하부스프링홈(272), 슬라이드판(230)이 안치되어 슬라이드판(230)이 전, 후 이동되게 하는 슬라이드판 하부덮개 안치홈(225), 후부스프링(261)이 안치되는 후부스프링 하부덮개 홈(22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210)는, 상부덮개 몸체(214) 후부에 하부덮개(220)의 나사체결구멍과 대응되게 상부덮개 나사체결구멍(215)이 형성되고, 하부덮개 걸이구멍(227)에 대응되게 상부덮개 걸이구멍(216)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상부덮개(210) 내면에는 하부덮개의 결합나사(226)가 결합되는 결합구멍(212)이 형성되고, 캠축(240)이 삽입되는 캠축구멍(213)이 형성되고, 상기 캠축구멍(213)은 내면이 단차가 져서 회전하는 캠가이드편(243)을 지지할 수 있는 캠가이드편 안내부(211)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캠가이드편 안내부(211)는 전체적으로 그 수평 단면이 환형 모양이나 전, 후쪽에 각각 캠가이드편 안내부 절개홈(219)이 파여져 있어서, 상기 캠가이드편(243)이 손잡이의 전후방향에 위치했을때 캠가이드편(243)이 캠가이드편 안내부 절개홈(219)에 안치하게 되어 회전이 제한되게 되며, 슬라이드판 하부덮개 안치홈(225)과 대응되게 슬라이드판 상부덮개 안치홈(217)이 형성되며, 후부스프링 하부덮개 홈(229)에 대응되게 후부스프링 상부덮개 홈(21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250)는 레버몸체(251)와 레버파지부(252)로 이루어지고, 레버몸체(251)가 캠축(240)의 레버결합홈(24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캠축(280) 상면에는 레버결합홈(241)이 형성되며, 레버결합홈(241) 중앙에는 나사구멍(2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캠축(280)의 레버결합홈(241)에 결합되는 레버몸체(251) 하부에는 나사홈(256)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캠축(280) 하부에서부터 나사를 삽입하여 레버결합홈(241)의 나사구멍(246)을 관통하여 레버몸체(251)하면의 나사홈(256)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상부캠축(280) 상부에 레버(250)를 탈부착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20110113691A 2011-11-03 2011-11-03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130048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691A KR20130048832A (ko) 2011-11-03 2011-11-03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691A KR20130048832A (ko) 2011-11-03 2011-11-03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832A true KR20130048832A (ko) 2013-05-13

Family

ID=48659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691A KR20130048832A (ko) 2011-11-03 2011-11-03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88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656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EP2976976B1 (en) Cookware including lid having handle with utensil rest
KR101092735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US11986124B2 (en) Cookware assembly
US9125514B1 (en) Cooking vessel with lid and handle device
US11517135B2 (en) Cookware assembly
US10165893B2 (en) Cookware item with spoon receiving recess
US20090158940A1 (en) Kitchen appliance for heating foodstuff
KR20150064336A (ko)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KR20130006887U (ko) 조리용기 손잡이
JP5266425B1 (ja) 調理用鍋の着脱把手
KR20130048832A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EP3213664A2 (en) Cooking vessel having detachable handle
KR20120110802A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JP2012080995A (ja) 調理容器用片手ハンドル
KR200439871Y1 (ko) 접이식 테이블
KR20110007035U (ko) 조리용기용 탈부착 손잡이
KR101146368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1520321B1 (ko) 조리용기용의 착탈식 손잡이
KR20120126483A (ko) 탈부착식 손잡이
KR101413463B1 (ko) 교체형 조리기구
JP2008284027A (ja) スタッキング構造を有する電気調理器
KR101261280B1 (ko) 집게형 착탈 손잡이용 주방용기
KR101241419B1 (ko) 뜨거운 뚝배기를 쉽게 옮기기 위한 뚝배기받침
CN214128092U (zh) 一种便于蒸汽烹饪容器快速定位的蒸汽饭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