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8692A - 배신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배신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8692A
KR20130048692A KR1020120118880A KR20120118880A KR20130048692A KR 20130048692 A KR20130048692 A KR 20130048692A KR 1020120118880 A KR1020120118880 A KR 1020120118880A KR 20120118880 A KR20120118880 A KR 20120118880A KR 20130048692 A KR20130048692 A KR 20130048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irmware
image forming
programs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5086B1 (ko
Inventor
히사시 나카모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8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8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Software or firmware update, e.g. device firmwar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1Computing infrastructure, e.g. computer clusters, blade chassis or hardware partit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6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 common memory, e.g. mailbo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4Client or server resources management
    • G06F3/1225Software update, e.g. print driver, modules, plug-ins, fo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일괄 갱신을 허가하는 펌웨어 프로그램 및 당해 펌웨어 프로그램의 구성 정보를, 펌웨어 그룹으로서 등록하여 관리하고,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펌웨어 프로그램의 정보를 수집한다. 복수의 펌웨어 프로그램의 수집된 정보가 관리된 펌웨어 그룹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의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펌웨어 프로그램의 수집된 정보의 특정한 펌웨어 프로그램의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된 펌웨어 그룹을 특정한다. 그리고,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복수의 펌웨어 프로그램의 수집된 정보를, 새로운 일괄 갱신 처리를 허가하는 새로운 조합의 펌웨어 그룹으로서 등록하여 관리한다.

Description

배신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DELIVERY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복수의 펌웨어 버젼을 관리하여 배신(配信)하는 배신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상 형성 장치의 펌웨어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또는 장해 등의 이유로 인해 펌웨어 프로그램을 갱신할 필요가 발생했을 경우에, 통상적으로, 인터넷을 통하는 배신 서버에 의해 또는 USB나 인트라넷을 통하는 갱신 툴을 사용함으로써 펌웨어 프로그램을 갱신한다.
배신 서버에 의해 펌웨어 프로그램의 갱신을 행할 경우, 화상 형성 장치는 펌웨어 프로그램의 구성 정보를 배신 서버에 통지하고, 배신 서버에서는 그 구성 정보를 기초로 하여 배신하는 펌웨어 프로그램을 결정하고 배신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에, 배신 서버는 화상 형성 장치의 펌웨어 구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클라이언트에 최적인 소프트웨어를 배신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개 2002-268932호 공보). 이 기술에 의하면,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에서, 서버가 개개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사용 가능한 마스터(소스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한다. 서버 컴퓨터는, 마스터를 갱신할 때, 마스터의 버젼 정보 중에 각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가동하는 기능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한 기능 식별 정보를 추가한다. 다음에, 서버 컴퓨터는, 각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통지된 버젼 정보를 포함하는 마스터 송신 요구와 자신이 유지하는 마스터의 버젼 정보를 비교한다. 그 다음, 서버 컴퓨터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기능에 따른 적절한 버젼의 마스터를 요구 소스로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배신한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기능의 집합체이며, 기능마다 펌웨어가 제공되고, 각각 버젼이 부여되어 있다(이후, 기능마다의 펌웨어 프로그램을 "기능별 펌웨어" 또는 "기능별 프로그램"이라 한다). 화상 형성 장치에 펌웨어 프로그램을 배신하는 배신 서버에서는, 복수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이 조합된 펌웨어 프로그램의 집합체를 등록한다(이후, 이 집합체를 "펌웨어 그룹"이라고 한다).
배신 서버에 등록하는 펌웨어 그룹에서는, 그 그룹에 관한 버젼을 발행해서 펌웨어 그룹을 등록한다(이후, 이 버젼을 "펌웨어 그룹 버젼"이라 한다). 펌웨어 그룹은 배신 서버에 의해 정의되고 등록되므로, 화상 형성 장치는 펌웨어 그룹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는다.
배신 서버가 펌웨어 프로그램을 그룹으로서 관리하는 이유는 화상 형성 장치의 펌웨어 프로그램을 안전하게 갱신하기 위해서이다. 펌웨어 그룹을 형성함으로써,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조합이 적절하게 유지된다.
화상 형성 장치에 펌웨어 프로그램의 처리의 갱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화상 형성 장치 내에 탑재되어 있는 클라이언트 모듈이 화상 형성 장치 내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정보를 배신 서버에 통지한다.
배신 서버는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를 자체에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펌웨어 그룹과 비교한다.
그리고, 배신 서버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신한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정보와 일치하는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펌웨어 그룹이 있으면, 그 그룹을 화상 형성 장치의 펌웨어 그룹 버젼으로서 인식한다.
일치하는 펌웨어 그룹이 없으면,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를 잘못된 것으로서 결정하고, 화상 형성 장치의 펌웨어 그룹 버젼을 "불명"(unknown)으로 설정한다.
배신 서버는, 화상 형성 장치의 펌웨어 그룹 버젼을 인식할 수 있으면 갱신 처리를 허가하지만, "불명"이면 처리를 허가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불명"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펌웨어 프로그램을 갱신하면, 화상 형성 장치가 오동작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배신 서버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펌웨어 프로그램을 갱신하기 위해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정보가, 배신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펌웨어 그룹 중 어느 것에 속하는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정보와 일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의 맞춤화를 행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USB/인트라넷을 통하는 갱신 툴을 사용한 개별적인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갱신 처리를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가 맞춤화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조합이 배신 서버상에서 관리되고 있는 펌웨어 그룹에 속하는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조합과 상이하여, 배신 서버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펌웨어 그룹 버젼이 "불명" 상태로 판정된다. 즉, 일부의 펌웨어 프로그램의 변경에 의해, 다른 펌웨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펌웨어 그룹의 배신 서버에 의한 일괄 갱신 처리가 불가능해진다. 일단 이러한 상태가 결정되면, 펌웨어의 갱신 처리는 사용자가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마다 행하지 않으면 안 되고, 프로세스의 효율성/편리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복수의 펌웨어 프로그램을 일괄에서 배신할 때, 복수의 펌웨어 프로그램의 구성이 인식될 수 없는 경우에도, 적절한 배신 처리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복수의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배신 처리를 제어하는 배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일괄 갱신 처리가 허가된 복수의 프로그램의 구성 정보를, 펌웨어 그룹으로서 보존하는 보존 수단;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 수단;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수집된 정보가 임의의 이전에 보존된 펌웨어 그룹의 구성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 상기 판정 수단이 상기 수집된 정보가 상기 임의의 이전에 보존된 펌웨어 그룹의 구성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수집된 정보의 특정 프로그램의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그 구성 정보에 포함하는 이전에 보존된 펌웨어 그룹을 특정하는 특정 수단; 및 상기 특정 수단이 상기 이전에 보존된 펌웨어 그룹을 특정하는 경우, 상기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된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정보를 새로운 펌웨어 그룹의 구성 정보로서 상기 보존 수단에 등록하는 등록 수단을 포함하는 배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복수의 펌웨어 프로그램이 개별적으로 갱신되고, 종래의 배신 서버에 의한 일괄 배신이 곤란할 경우에도, 배신 서버에 의한 일괄 갱신이 가능한 케이스가 증가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감시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감시 센터 호스트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감시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감시 장치의 다른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감시 센터 호스트 및 배신 서버에 있어서의 감시 시스템에 관한 부분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감시 장치에 있어서의 감시 시스템에 관한 부분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감시 시스템에 관한 부분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감시 센터 호스트, 배신 서버, 감시 장치, 또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의 메모리 맵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a는 배신 시스템에 의한 펌웨어 배신 처리의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b의 (1) 내지 (3)은 화상 형성 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c는 "불명 해소 처리"의 실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d는 "불명 해소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화상 형성 장치의 펌웨어를 배신하는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a 및 12b는 배신 서버에서 실행되는 등록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3은 단계 S1203의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4는 단계 S1207의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5는 단계 S1209의 처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6은 모듈을 결정하여 결정한 모듈을 송신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단지 예로서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
우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감시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 예를,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것 같이, 감시 시스템에는, 복수의 판매 회사의 시스템(101, 106)이 접속되어 있다. 관할 지역이나 고객의 판매 정보나 감시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축적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03, 108)도 시스템(101, 106)에 포함되어 있다.
시스템(101, 106)에는 데이터베이스(103, 108)에의 데이터 등록이나 수정의 제어를 행하는 퍼스널 컴퓨터(PC)(104, 109)도 포함되어 있다. PC(104, 109)는, 인터넷상의 서버인 감시 센터 호스트(111)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액세스해서 데이터의 열람을 행한다.
시스템(101, 106)에는 판매 회사 호스트(102, 107)가 포함되고, 이들 호스트는 각각 감시 센터 호스트(111)의 데이터를 사용해서 과금 처리나 서비스 맨 파견 처리 등의 판매 회사의 업무를 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들 호스트(102, 107)는 조작 유닛 및 표시 유닛을 갖고, PC(104, 109)의 역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판매 회사 호스트(102), 데이터베이스(103), 및 PC(104)는 LAN(105)을 통해 접속되고, 마찬가지로 판매 회사 호스트(107), 데이터베이스(108), 및 PC(109)도 LAN(110)을 통해 접속된다. 도 1에서는, 판매 회사의 시스템(101, 106)은, 복수의 장치로 구성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각 기능이 달성될 수 있는 한, 1개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03, 108)는 물리적으로 판매 회사 호스트(102, 107) 내에 포함될 수 있거나, 또는 판매 회사 호스트(102, 107)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액세스 가능하면, 원격 장소에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매 회사측과 고객측의 중간에 감시 센터 호스트(111)가 존재한다. 감시 센터 호스트(111)에는, 감시를 위한 정보나 고객측으로부터 수집된 화상 형성 장치의 카운터, 장해 이력 정보, 장해 패턴 테이블 등을 축적하는 이력 기억 장치로서 기능하는 데이터베이스(112)가 포함된다. 이 감시 센터 호스트(111)와 데이터베이스(112)는 LAN(113)을 통하여 접속되고, LAN(113)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112)는 감시 센터 호스트(111) 내에 물리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12)는 감시 센터 호스트(111)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한, 원격 장소에 존재할 수 있다.
감시 센터 호스트(111)는, (후술하는) 감시 장치(117, 122, 123, 131)로부터 감시 대상으로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 가동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 장해 정보 등을 수집, 축적, 가공하고, 경고 등을 외부에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감시 센터 호스트(111)는 판매 회사 호스트(102, 107)에 이것들의 정보를 배신하는 역할(기능)을 갖는다. 이들 정보로서, 토너 떨어짐, 도어 오픈, 드럼 교환, 카트리지 없음, 냉각 팬 이상, 기판 이상, 원고대 글래스 오물, 스테이플 떨어짐, 급지 센서 광량 부족 등을 예로서 예를 들 수 있다. 또한, 폰트 메모리 오버플로, 렌더링 에러, 정착기 이상, 카운터 이상, 양면 유닛 이상, 종이 걸림 등을 예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정보는 카운터 정보로서, 판매 회사의 과금 대상으로 되는 과금 카운터, 고객의 부문별로 집계된 부문 카운터, 용지 사이즈별로 집계된 사이즈별 카운터, 화상 형성 장치 내의 부품의 소모도를 표시하는 부품 카운터 등을 포함한다.
상술한 과금 카운터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인쇄 매수를 표시하고, 부문 카운터는 고객이 설정하고 있는 부문마다의 인쇄 매수를 표시한다. 부품 카운터는, 예를 들어, 드럼 등의 부품에서는 그 회전수를 카운터로 하고, 스캐너 램프 등의 부품에서는 시간(초)을 카운터로 한다. 이들 가동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가 가동 정보로서 이용된다.
또한, 판매 회사 호스트(102, 107)는 감시 대상으로 하고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나 감시에 관한 설정을 감시 센터 호스트(111)에 등록할 수 있다. 감시 센터 호스트(111)는 판매 회사 호스트(102, 107)로부터 등록된 감시 대상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정보나 감시에 관한 설정을 머지해서 이들을 일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센터 호스트(111)는 감시 장치(117, 122, 123)나 화상 형성 장치(131)에 대하여 감시에 관한 설정을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감시 시스템의 서비스는, 판매 회사와 고객 간의 계약을 기초로 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판매 회사가 계약을 기초로 하여 감시 대상으로 결정한 화상 형성 장치만을, 감시 시스템의 감시 대상으로 하고 있다. 감시 센터 호스트(111)는 인터넷을 통해서 접속된 PC에 데이터베이스(112)에 축적한 정보 또는 가공한 정보를 열람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있다. 이 웹 페이지에 의해 판매 회사별, 고객별, 사용자의 권한별로 열람 내용을 한정해서 제공하고 있다. 또한, 웹 페이지로부터 일부 데이터의 변경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판매 회사측과 고객측의 중간에 배신 서버(133)가 존재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34)에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펌웨어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라이센스 정보 등이 축적되어, 데이터베이스는 기억 장치로서 기능한다. 배신 서버(133)와 데이터베이스(134)는 LAN(135)을 통해 접속되고, LAN(135)을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134)는 배신 서버(133) 내에 물리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34)는, 배신 서버(133)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액세스 가능한 한, 원격 장소에 존재할 수 있다. LAN(113)과 LAN(135)은 단일 LAN일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134)와 데이터베이스(112)는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감시 센터 호스트(111), 데이터베이스(112), 배신 서버(133), 데이터베이스(134)가 각각 1개씩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많은 화상 형성 장치 및 감시 장치로부터의 정보 수집이나 펌웨어 배신의 부하 분산을 행하기 위해, 복수의 감시 센터 호스트 및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분산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배신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배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배신 서버(133) 및 배신 서버(133)와 통신 가능한 데이터베이스(134)를 총칭해서 "배신 시스템"이라 하고, 설명을 간이화한다.
고객측의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 이후 설명한다. 고객측의 환경으로서는, 다른 복수의 환경이 존재한다. 도 1에서는, 고객 시스템(114, 119, 129)이 도시되어 있다. 고객 시스템(114)(A사 X사업소)에서는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LAN(118)을 통해서 화상 형성 장치(115, 116)가 감시 장치(117)에 의해 감시되고, 감시 장치(117)는 인터넷을 통해 감시 센터 호스트(111)와 통신 가능하다.
한편, 고객 시스템(119)(A사 Y사업소)에서는 감시 장치(122, 123)에 의해 LAN(128)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120, 121, 124 내지 127)가 관리되고 있다. 이 예에서는, 감시 장치(122)가 화상 형성 장치(120, 121, 124, 125)를 관리하고, 감시 장치(123)가 화상 형성 장치(126, 127)를 관리하고 있다.
또한, 고객 시스템(129)(B사)에서는,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LAN(130)을 통해서 화상 형성 장치(131) 자신이 직접, 그리고 인터넷을 통해 감시 센터 호스트(111)와 통신가능하다. 화상 형성 장치(131)는 감시 장치(117, 122, 123)와 동일한 기능을 갖고, 자신의 정보(예를 들어, 카운터 정보나 장해 등의 발생)을 감시 센터 호스트(111)에 적극적으로 송신한다.
또한, 이하의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1)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의 인터넷을 통한 통신에서, HTTP/SOAP 프로토콜이 이용 가능하다. SOAP은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의 약칭이다. SOAP은, XML(eXtended Markup Language)을 기초로 하여, 어떤 컴퓨터로부터 다른 컴퓨터로의 데이터나 서비스를 호출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본 예에서는, SOAP은 HTTP 상에서 구현된다. SOAP 통신은, XML 문서에 부가 정보를 붙인 SOAP 메시지를 교환함으로써 행해진다.
따라서, 이 SOAP을 서포트하는 컴퓨터에는, SOAP 메시지를 작성하는 SOAP 메시지 작성 유닛과, SOAP 메시지를 해석하는 SOAP 메시지 해석 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 정보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SOAP 메시지를 이용하여 감시 센터 호스트(111)에 송신된다.
(2) A사에 있어서의 각 화상 형성 장치는 감시 장치를 통해서 감시 센터 호스트(111)와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설명했다. 그러나, 설정의 변경에 의해, 이들 화상 형성 장치는 B사에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131)와 마찬가지로 감시 장치를 통하지 않고 감시 센터 호스트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하드웨어 구성>
다음에, 감시 센터 호스트(111)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배신 서버(133) 및 판매 회사 호스트(102, 107)의 하드웨어 구성은 감시 센터 호스트(111)의 구성과 마찬가지인 점에 유의한다.
도 2에 있어서, 제1 CPU(201), 제2 CPU(202)는 감시 센터 호스트(111)의 각 처리를 담당한다. 재기입 불가능한 ROM(203)은 각 처리에 관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204)은 각 처리에 관한 일시적인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기억할 수 있고, 재기입 가능하다.
제1 HDD(205), 제2 HDD(206)는 각 처리에 관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일시적인 데이터, 감시 대상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정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집한 정보 등을 기억한다. 예를 들어, 부품 카운터, 과금 카운터, 부문 카운터 등이 HDD에 보존된다.
감시 센터 호스트(111)의 경우, (후술하는) 도 6에 도시하는 처리 프로그램을 제1 HDD(205)에 기억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실행시 RAM(204)을 일시 보존 영역으로서 사용하여 제1 CPU(201) 또는 제2 CPU(202)에 의해 판독된다. 배신 서버(133)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도 6에 도시하는 처리 프로그램을 제1 HDD(205)에 기억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실행시 RAM(204)을 일시 보존 영역으로서 사용하여 제1 CPU(201) 또는 제2 CPU(202)에 의해 판독된다.
조작 유닛(207)은 감시 센터 호스트(111)에의 지시 입력을 접수하는 키보드 및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로서 기능한다. 표시 유닛(208)은 감시 센터 호스트(111)의 동작 상황이나,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출력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네트워크 I/F(209)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LAN이나 인터넷에 접속하고, 외부와 정보 교환을 행한다. 외부 기기 I/F(210)는 외부 기억 기기 등을 접속한다. 이들 요소는 시스템 버스(211)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데이터를 교환한다.
다음에, 감시 장치(117, 122, 123)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PC(104, 109)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3에 도시하는 하드웨어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CPU(301)는 감시 장치상의 각 처리를 담당한다. ROM(302)은 각 처리에 관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하고, 재기입 불가능하다. RAM(303)은 각 처리에 관한 일시적인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기억할 수 있고, 재기입 가능이다. 감시 장치(117)에서는, 각 처리에 관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일시적인 데이터, 감시 대상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정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집된 정보 등을 HDD(304)에 기억한다. PC(104, 109)에서는, 웹 페이지 등을 HDD(304)에 기억한다.
입력 장치(305)는 감시 장치에의 지시 입력을 접수하는 키보드 및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표시 유닛(306)은 감시 장치의 동작 상황이나 장치상에서 동작하는 각 프로그램이 출력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네트워크 I/F(307)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LAN이나 인터넷에 접속하고, 외부와 정보 교환을 행한다. 외부 기기 I/F(308)는 외부 기억 기기 등을 접속한다. 이들 요소는 시스템 버스(309)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데이터를 교환한다.
이후, 감시 장치(117, 122, 123)의 다른 하드웨어 구성을,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CPU(401)는 감시 장치상의 각 처리를 담당한다. ROM(402)은 각 처리에 관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하고, 재기입 불가능하다. 플래시 ROM(403)은 각 처리에 관한 데이터, 일시적인 데이터, 감시 대상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정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집된 정보 등을 기억한다. 감시 장치상의 프로그램이 에러나 로그를 출력하고, 시리얼 I/F(404)는 시리얼 케이블을 이용하여 단말을 접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 I/F(405)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LAN이나 인터넷에 접속하고, 외부와 정보 교환을 행한다. 이들 요소는 시스템 버스(406)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데이터를 교환한다.
다음에, 화상 형성 장치(115, 116, 120, 121, 124 내지 127, 131)에 있어서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구체적으로는, 프린터 및 팩시밀리 기능이 통합적으로 설치된 MFP(복합기), PC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쇄하는 프린터(전자 사진 방식 및 잉크제트 방식을 포함함), 스캐너, 팩시밀리 등을 포함한다. 도 5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 MFP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미지 리더(502)는 원고 급송부(501)를 이용하여 원고를 판독한다. 이미지 리더(502) 및 화상 형성 유닛(503)은 판독한 원고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인쇄 화상으로 변환하여 인쇄 출력한다. 종이 배출 유닛(504)은 인쇄 출력한 종이를 배출하고, 소트나 스테이플링 등의 처리를 실시한다. 네트워크 I/F(505)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LAN이나 인터넷에 접속하고, 외부와 정보 교환을 행한다.
CPU(506)는 화상 형성 장치상의 각 처리를 담당한다. CPU(506)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상태를 감시한다. 장해 등의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CPU(506)는 그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한 수신처에 송신한다. 수신처는, 예를 들어, 감시 센터 호스트(111)나 감시 장치 등이다. 불휘발성 기억 장치인 ROM(507)은 각 처리에 관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한다. 재기입 가능한 RAM(508)은 각 처리에 관한 일시적인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기억한다. HDD(509)는 각 처리에 관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일시적인 데이터, 화상 형성 장치에 송신된 사용자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갱신 대상으로 되는 펌웨어 프로그램은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하고, 또한 빈 영역에의 기입이 가능한 불휘발성 기억 장치(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인 점에 유의한다. 또한, 저장되어 있는 각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과 관련된 버젼 정보도 판독 가능하게 저장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펌웨어의 갱신 순차는 HDD 디스크(509)에 저장한 프로그램 파일의 갱신 순차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는 (후술하는) 도 8의 처리 프로그램을 HDD(509)에 기억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실행시 RAM(508)을 일시 보존 영역으로서 사용하여 CPU(506)에 의해 판독된다.
조작 유닛(510)은 화상 형성 장치에의 지시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 유닛(511)은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상황이나 조작 유닛(510)과의 조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들 요소는 시스템 버스(512)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데이터를 교환한다.
화상 형성 장치 자신이 감시를 위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131)에서는, ROM(507) 또는 HDD(509) 내에, 감시 데이터 출력 처리에 관련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소프트웨어>
다음에, 감시 센터 호스트(111) 및 배신 서버(133)에 있어서의 감시 시스템에 관한 부분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SOAP 통신유닛(601)은 감시 장치(117, 122, 123) 또는 화상 형성 장치(131)로부터 네트워크I/F(209)를 통해서 수신한 SOAP 데이터를 SOAP 메시지 해석 유닛(602)에 보낸다. 또한, SOAP 통신유닛(601)은 SOAP 메시지 작성 유닛(603)에 의해 작성한 SOAP 데이터를 네트워크 I/F(209)를 통해서 감시 장치(117, 122, 123) 또는 화상 형성 장치(131)에 송신한다.
수집 정보 처리 유닛(604)에서는, 감시를 행하고 있는 감시 장치(117, 122, 123)나 화상 형성 장치(131)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그대로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유닛(606)을 통해서 데이터베이스(112, 134)에 저장한다. 또는 처리 유닛(604)은 그 정보를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112, 134)에 저장한다.
또한, 수집 정보 처리 유닛(604)은 원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기능을 실현한다. 수집 정보 처리 유닛(604)은, 감시를 행하고 있는 감시 장치(117, 122, 123)나 화상 형성 장치(131)로부터 수신한 정보, 데이터베이스(112, 134)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카운터 정보의 집계, 에러 정보, 최신 펌웨어 정보를 담당 서비스 맨이나 고객측 관리자에게 통지한다.
감시 제어 유닛(605)은 감시 장치(117, 122, 123)나 화상 형성 장치(131)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스케줄 관리, 감시 내용, 방법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감시 제어 유닛(605)은, 필요에 따라, 감시를 행하고 있는 감시 장치(117, 122, 123)나 화상 형성 장치(131)에 SOAP 메시지 작성 유닛(603), SOAP 통신 유닛(601), 네트워크I/F(209)를 통해서 지시를 송신한다.
다음에, 감시 장치(117, 122, 123)에 있어서의 감시 시스템에 관한 부분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SOAP 통신 유닛(701)은 감시 센터 호스트(111)로부터 네트워크 I/F(307, 405)를 통해서 수신한 SOAP 데이터를 SOAP 메시지 해석 유닛(703)에 보낸다. 또한, SOAP 통신 유닛(701)은 SOAP 메시지 작성 유닛(702)이 작성한 SOAP 데이터를 네트워크 I/F(307, 405)를 통해서 감시 센터 호스트(111)나 배신 서버(133)에 송신한다.
감시 제어 유닛(704)은 (후술하는) 감시 센터 호스트(111)로부터의 감시 설정에 따라, 정보 축적 유닛(706)에 유지하는 감시 화상 형성 장치 정보를 갱신하고, 화상 형성 장치(115, 116)의 정보를 취득하여, 스케쥴 관리를 행한다.
디바이스 정보 처리 유닛(705)은, 감시 제어 유닛(704)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15, 116)로부터 적극적으로 수집된 카운터 정보, 서비스 콜, 잼, 토너 떨어짐 등의 정보를, 정보 축적 유닛(706)에 축적한다. 이 축적 동작은 화상 형성 장치(115, 116)의 상태에 따라 행해진다.
정보 축적 유닛(706)에 축적된 데이터는 디바이스 정보 처리 유닛(705)을 통해서 그대로 SOAP 메시지 작성 유닛(702)에 보내져서, 감시 센터 호스트(111)에 송신된다. 또는, 그 데이터는 디바이스 정보 처리 유닛(705) 내에서 해석 및 가공되고 나서 SOAP 메시지 작성 유닛(702)에 보내져서 감시 센터 호스트(111)에 송신되는 경우도 있다.
다음에, 화상 형성 장치(115, 116, 120, 121, 124 내지 127, 131)에 있어서의 감시 시스템에 관한 부분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SOAP 통신 유닛(801)은 감시 센터 호스트(111)나 배신 서버(133)로부터 네트워크 I/F(505)를 통해서 수신한 SOAP 데이터를 SOAP 메시지 해석 유닛(803)에 보낸다. 또한, SOAP 통신 유닛(801)은 SOAP 메시지 작성 유닛(802)이 작성한 SOAP 데이터를 네트워크 I/F(505)를 통해서 감시 센터 호스트(111)나 배신 서버(133)에 송신한다.
네트워크 정보 취득 유닛(804)은, DHCP 환경의 경우, IP 어드레스, DNS 서버, 게이트웨이 어드레스를 자동으로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네트워크 정보 취득 유닛(804)은 조작 유닛(510)으로부터 입력되어 HDD(509)에 보존된 네트워크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정보를 취득한다.
디바이스 정보 수집 유닛(805)은 MFP 내부의 스케쥴에 의해, 또는, 감시 센터 호스트(111)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내부에 유지하는 카운터 정보를 취득하고, 또한, 내부에서 발생한 서비스 콜, 잼, 토너 떨어짐 등의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한 데이터는, 그대로 SOAP 메시지 작성 유닛(802)에 전달하고, 감시 센터 호스트(111)에 송신한다. 또한, 데이터를 디바이스 정보 수집 유닛(805) 내에서 축적, 해석, 가공하고 나서 SOAP 메시지 작성 유닛(802)에 전달하고, 감시 센터 호스트(111)에 송신한다.
다음에, 감시 센터 호스트(111), 배신 서버(133), 감시 장치(117, 122, 123), 또는 화상 형성 장치(115, 116, 120, 121, 124 내지 127, 131)에 있어서의 메모리 맵의 구조를,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감시 센터 호스트(111)에서는 RAM(204) 상에, 각 감시 장치(117, 122, 123)에서는 RAM(303) 또는 플래시 ROM(403) 상에, 각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RAM(508) 상에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메모리 맵을 도시한다.
메모리 맵은 기본 I/O 프로그램(901), 시스템 프로그램(902), 본 실시 형태의 처리 프로그램을 비롯한 각종 처리 프로그램(903), 관련 데이터(904), 및 프로그램의 워크 에어리어(905)로 구성된다. 기본 I/O 프로그램(901)은 본 장치상의 입출력을 담당한다. 시스템 프로그램(902)은 각 처리 프로그램에 동작 환경을 제공한다.
용량의 제약으로 인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워크 에어리어로서 이용하는 영역이 불충분해진 경우, 제1 HDD(205) 또는 제2HDD(206), HDD(304), 또는 HDD(509)를 RAM(204), RAM(303), 또는 RAM(508)의 영역의 일부로서 취급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배신 시스템이 화상 형성 장치의 복수의 펌웨어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화상 형성 장치에 펌웨어 프로그램을 배신할 때의 처리를 도 10a에 도시하는 개념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0a에 도시하는 것 같이, 배신 서버(1004)가 고객측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정보를 수집한다. 복수의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에 등록되어 있는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정보의 구성을 도 10b의 (1), (2), 및 (3)에 각각 도시한다.
도 10b의 (1), (2), 및 (3) 각각에 있어서, "시리얼 넘버"는 화상 형성 장치의 고유의 식별자(ID)이다. 또한, 배신 서버가 인식하는 "펌웨어 그룹 버젼"은,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과 그 버젼의 조합을 표시하는 정보 "기능별 펌웨어: 버젼"으로부터, 배신 서버(1004)가 인식한 펌웨어 그룹 버젼이다.
그리고, 도 10a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배신 서버(1004)에 등록되어 있는 펌웨어 그룹 버젼 V22.2과 V22.3이다. V22.2과 V22.3의 상세를 도 10c의 펌웨어 그룹(1021, 1022)에 도시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1, 1002, 1003)는 클라이언트 모듈을 이용하여 배신 서버(1004)에 자신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정보를 송신한다. 이 타이밍은 도 12a 및 12b를 참조해서 후술한다. 배신 서버(1004)는, 수신한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정보를 자신에 등록되어 있는 펌웨어 그룹과 비교함으로써, 각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구성을 식별한다.
그 다음에, 배신 서버(1004)는, 각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버젼과, 자체에 등록되어 있는 펌웨어 그룹의 리스트(1014)에 포함되는 각 펌웨어 그룹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버젼을 비교하여, 완전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 결과, 화상 형성 장치(1001)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1011)은, 배신 서버(1004)의 버젼 V22.3의 펌웨어 그룹에 속하는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과 일치한다. "일치"한다는 것은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식별자와 버젼을 포함하는 정보가 펌웨어 그룹에 속하는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 전부와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0c의 펌웨어 그룹 리스트(1014)에 도시되는 대로, 배신 서버(1004)는 복수의 펌웨어 그룹을 화상 형성 장치의 상품 코드와 펌웨어 그룹 버젼을 이용하여 분류하고 관리한다. 이 경우, 펌웨어 그룹 버젼으로서, 메인 컨트롤러(MN_CONT)의 버젼이 이용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01)의 펌웨어 그룹 버젼이 "V22.2"로 식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장치(1002)의 펌웨어 그룹 버젼이 "V22.3"로 식별할 수 있다. 펌웨어 그룹 버젼을 식별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는, 배신 서버(1004)에 의한 펌웨어 프로그램의 일괄 갱신 처리가 가능하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1003)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구성은 도 10b의 (3)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1013)에 도시된 것과 같다. 이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1003)의 펌웨어 그룹은 배신 서버(1004)에 의한 펌웨어 그룹의 비교 처리(1015, 1016)에서는, 버젼 22.2 또는 버젼 22.3과 일치하지 않는다. 그 결과, 화상 형성 장치(1003)의 펌웨어 그룹 버젼은 "불명"으로 판단(1017) 된다. 도 10c의 화살표(1015 내지 1020)은 설명을 위한 기호로서, 반드시 데이터나 제어의 흐름을 표시하는 것은 아닌 점에 유의한다.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불명 해소 처리"(1018)를 배신 서버(1004)가 실행함으로써, 불명 상태를 해소한다. 이 "불명 해소 처리"는, 고객측 장해 대응에서 고객측의 화상 형성 장치를 긴급으로 갱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고, 또는 고객측의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 파악에 사용할 수 있다. 그 이외의 케이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불명 해소 처리"는,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의 펌웨어 프로그램을 갱신하는 조작을 행하는 클라이언트에 표시되고, 배신 서버를 조작하는 웹 화면으로부터 지정할 수 있고, 다른 방법을 트리거로서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d에 도시한 것 같이, 배신 서버(1004)에 의해 클라이언트에 제공되어 표시되는 웹 화면(1024)에 있어서 사용자가 불명 해소 처리 실행 버튼(1026)을 누름으로써, "불명 해소 처리"를 실행한다.
도 10a에 도시하는 것 같이, 사용자가 "불명 해소 처리"를 배신 서버(1004)의 웹 화면(1024)으로부터 지정하면, 배신 서버(1004)는 불명 상태로 된 화상 형성 장치(1003)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구성을 재검증한다. 이 "불명 해소 처리"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를 도 10c에 도시한다. "불명 해소 처리"(1018)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3)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과 버젼의 조합을 배신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펌웨어 그룹과 다시 비교한다. 도 10c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3)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정보(1013)에 기초하여 배신 서버의 펌웨어 그룹 리스트(1014) 중 어느 것과 일치하는지를 판정한다. 이 경우에, 기능별 펌웨어 정보(1013)와 펌웨어 그룹(102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코어 펌웨어로서 다른 버젼의 메인 컨트롤러(MN_CONT)를 포함하고, 그들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한다.
그 다음에, 기능별 펌웨어 정보(1013)와 펌웨어 그룹(1022)은 동일한 버젼의 MN_CONT, LANG, MEAP, RUI, FIN, 다른 버젼의 DCON, TRIM, TSP, NLS를 포함한다.
불명 해소 처리가 실행되어(1018), 체크의 결과, 차이가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상, 문제없다고 판단되면,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얻어진 기능별 펌웨어 정보를, 배신 서버(1004)에 새로운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조합 패턴으로서 등록한다(1019). 도 10c의 예에서는, 배신 서버(1004)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MN_CONT, LANG, MEAP, RUI, FIN) 및 그 버젼이 펌웨어 그룹(1022)과 동일하므로, 문제없다고 판단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요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을 미리 결정할 수 있다. 이 처리의 상세한 설명은, 도 14를 이용해서 또한 후술한다.
이와 같이, 배신 서버(1004)에서 검증한 결과, 문제없다고 판단되면, 기능별 펌웨어 정보(1013)를 펌웨어 그룹(1023)으로서 신규 등록한다. 이 경우에, MN_CONT의 버젼인 "22.3"이, 펌웨어 그룹 버젼으로서 부여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03)의 기능별 펌웨어 정보(1013)가 펌웨어 그룹(1023)으로서 등록되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1003)의 펌웨어 그룹 버젼의 인식이 가능해지고, 불명(1025)이 해소될 수 있다(1020). 그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1003)의 펌웨어 프로그램도, 배신 서버에 의해 일괄하여 갱신 가능하게 된다.
배신 시스템이 화상 형성 장치의 복수의 펌웨어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펌웨어 프로그램의 배신을 제어하는 처리를 도 11에 도시하는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배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하는 배신 서버(133)와 데이터베이스(134)로 구성되는 것이지만, 이하에서는, "배선 서버"로서 설명하는 점에 유의한다.
우선, 화상 형성 장치(1101)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신 I/F 유닛(1102)은 화상 형성 장치(1101)와 배신 서버(1108) 간의 통신을 담당한다. 통신 데이터 제어 유닛(1103)은 통신 I/F 유닛(1102)을 통해서 통신되는 데이터를 제어한다. 데이터 제어 유닛(1104)은 화상 형성 장치(1101) 내의 데이터의 제어를 담당한다.
소프트웨어 인스톨 유닛(1105)은 배신 서버(1108)로부터 송신된 펌웨어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1101)에 인스톨한다. 이 경우에, [소프트웨어]에는,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나 펌웨어가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소프트웨어 기억 유닛(1106)은 화상 형성 장치(1101) 내의 소프트웨어 데이터를 기억한다. 소프트웨어 기억 유닛(1106)은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며, 펌웨어에 대해서는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그 다음에, PC(1107)는, 사용자가 배신 서버(1108)의 웹 화면을 조작하여, 펌웨어의 업로드를 가능하게 한다. 반대로, 배신 서버(1108)로부터 PC(1107)에 펌웨어를 다운로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신 서버(1108)의 기능에 대해 아래에 설명한다. 배선 서버(1108)의 통신I/F 유닛(1109)은 화상 형성 장치(1101)와 배신 서버(1108) 간의 통신을 담당한다. 통신 데이터 제어 유닛(1110)은 통신 I/F 유닛(1109)을 통해서 통신되는 데이터를 제어한다. 펌웨어 데이터 등록 유닛(1111)은 펌웨어에 관한 정보를 펌웨어 데이터 기억 유닛(1113)에 등록한다. 펌웨어 데이터 검색 유닛(1112)은 펌웨어 데이터 기억 유닛(1113)에 기억되어 있는 펌웨어에 관한 정보의 검색을 행한다. 펌웨어 데이터 기억 유닛(1113)은 화상 형성 장치(1101)에 배신하는 펌웨어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통신 I/F 유닛(1114)은 배신 서버(1108)와 PC(1107) 간의 통신을 담당한다. 데이터 제어 유닛(1115)은 배신 서버(1108) 내의 데이터의 제어를 담당한다. 상품 데이터 검색 유닛(1116)은 펌웨어에 관련되는 상품 코드나 시리얼 넘버 등의 데이터를 상품 데이터 기억 유닛(1117)으로부터 검색한다. 상품 데이터 기억 유닛(1117)은 펌웨어에 관련되는 상품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배신 서버(1108)에서 실행되는 등록 처리를 도 12a 및 12b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1201에서는, 서비스 맨이 고객측의 화상 형성 장치의 펌웨어 프로그램을 USB 또는 인트라넷을 통하여 재기입하는 툴을 이용하여,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마다 갱신한다. 단계 S1202에서는, 단계 S1201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펌웨어 구성이 변경된 타이밍에서,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배신 서버에 기능별 펌웨어 정보가 통지된다. 이 통지는 펌웨어 구성 정보가 변경되었을 때 화상 형성 장치의 클라이언트 모듈에 의해 행해진다.
단계 S1203에서는, 단계 S1202에서 송신된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별 펌웨어프로그램을 배신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펌웨어 그룹과 비교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펌웨어 그룹 버젼이 "불명"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처리의 상세한 것은, 도 13을 이용해서 또한 후술한다. 단계 S1204에서, 비교의 결과,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과 동일한 펌웨어 그룹이 배신 서버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펌웨어 그룹 버젼은 "불명"으로 판정해서, 단계 S1205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과 동일한 펌웨어 그룹이 배신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펌웨어 그룹 버젼은 "불명 아님"으로 판정하고, 이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205에서는, 상술한 불명 해소 처리가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의 결과, 불명 해소 처리가 실행된 경우에는 단계 S1206로 처리를 진행시키지만, 실행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불명 해소 처리가 실행될 때까지 대기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신 서버가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상의 웹 화면으로부터 "불명 해소 처리"를 사용자가 지정하고, 단계 S1205로부터 단계 S1206로 진행한다.
단계 S1206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과 버젼의 조합을 배신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펌웨어 그룹과 다시 비교한다. 우선, 화상 형성 장치의 메인 컨트롤러의 펌웨어에 대해서 비교한다. 그리고, 화성 형성 장치의 메인 컨트롤러와 동일한 펌웨어와 동일한 버젼을 포함하는 펌웨어 그룹을 찾아낸다. 그리고, 그 펌웨어 그룹에 대해서, 메인 컨트롤러가 아닌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들을 비교한다. 단계 S1206에서 비교한 결과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구성을 배신 서버에 등록할 때 문제 있는지 여부를 단계 S1207에서 판단한다. 이 처리의 상세한 것은, 도 14를 이용해서 또한 후술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구성을 배신 서버에 등록할 때 문제 없다면, 단계 S1208로부터 단계 S1209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그러나, 문제가 있다면, 이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209에서는, 배신 서버에 펌웨어 데이터와 구성 정보의 양쪽을 등록하거나, 구성 정보만을 등록할지를 판단한다. 이 처리의 상세한 것은, 도 15를 이용해서 또한 후술한다. 이 경우에, 구성 정보는 도 10c에 도시하는 각 펌웨어 그룹에 포함되는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식별 정보와 버젼의 조합 정보이다. 펌웨어 데이터는 펌웨어의 모듈 데이터를 표시한다.
배신 서버는, 고객측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구성을 단지 인식하는 경우에, 구성 정보만 가지고 있으면 된다. 그러나, 펌웨어 프로그램을 배신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펌웨어 데이터가 필요해진다. 그 때문에, 구성 정보와 함께 펌웨어 데이터도 더불어서 등록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도 있다.
단계 S1210에서, 구성 정보만 등록하는 경우에, 단계 S1214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 S1211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 S1214에서는, 배신 서버의 펌웨어 데이터 기억 유닛(1113)에 구성 정보만을 등록한다. 한편, 단계 S1211에서는, 배신 서버의 등록 데이터로부터, 구성 정보에 대응하는 펌웨어의 데이터를 검색한다. 단계 S1212에서, 구성 정보에 대응하는 펌웨어 데이터가 발견되면, 단계 S1213로 처리를 진행시키지만, 발견되지 않으면 단계 S121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 S1213에서는, 배신 서버에 구성 정보와 펌웨어 데이터를 등록한다. 단계 S1214와 단계 S1213 중 어느 것에서의 처리가 완료된 시점에서,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구성에 대응하는 펌웨어 그룹 버젼이 특정되므로, "불명" 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의 수순에 의해,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이 개별적으로 갱신된 화상 형성 장치를, 배신 서버에 의한 일괄 갱신 대상으로서 취급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10c에서는 버젼 22.3이 최신판이지만, 이에 덧붙여서 버젼 22.4의 펌웨어 그룹이 새롭게 제공되었을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13)도, 배신 서버에 의한 일괄 갱신 대상으로서 취급할 수 있다.
펌웨어 그룹 버젼이 상술한 "불명"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 단계(S1203)의 상세를, 도 13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1301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상품 코드 및 메인 컨트롤러의 버젼과 각각 동일한 상품 코드 및 메인 컨트롤러의 버젼을 포함하는 펌웨어 그룹을 배신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단계 S1302에서는, 해당하는 펌웨어 그룹이 검색의 결과 발견되었을 경우, 단계 S1303으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없는 경우, 단계 S130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 S1303에서는, 배신 서버에서 검색된 펌웨어 그룹에 포함되는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 및 각각의 버젼을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과 비교한다.
단계 S1304에서는, 단계 S1303에서 비교한 결과,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 및 버젼과 완전하게 일치하는 펌웨어 그룹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305에서, 펌웨어 그룹이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 및 버젼과 완전하게 일치했을 경우, 단계 S1306로 처리를 진행시키지만,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았을 경우, 단계 S130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 S1306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구성, 즉 펌웨어 그룹 버젼을, 배신 서버가 인식한다. 한편, 단계 S1307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의 구성을, 배신 서버가 인식할 수 없으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펌웨어 그룹 버젼을 "불명"으로 판정한다.
새로운 펌웨어 그룹을 등록할 때 문제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처리 단계 (S1207)의 상세를, 도 14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1401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과 단계 S1206에서 찾아낸 펌웨어 그룹에 포함되는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 간의 차이 체크를 행한다. 단계 S1206에서 찾아낸 펌웨어 그룹에서, 그 상품 코드 및 메인 컨트롤러의 버젼이, 각각 화상 형성 장치의 상품 코드 및 메인 컨트롤러의 버젼과 일치한다.
단계 S1402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매립형 어플리케이션의 플랫폼(도 10b의 (1) 내지 (3)의 MEAP)의 버젼이 다른 경우, 단계 S1406으로 처리를 진행시키지만, 동일하면, 단계 S1403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 S1403에서는, 문서나 화상을 인쇄할 때 비트맵 이미지를 작성하기 위한 페이지 기술 언어(도 10b의 (1) 내지 (3)의 LANG)의 버젼이 다른 경우, 단계 S1406으로 처리를 진행시키지만, 동일하면, 단계 S140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 S1404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액세스하고, 현재의 상황이나 각종 정보를 표시하여 관리하기 위한 리모트 유저 인터페이스(RUI)의 버젼이 다른 경우, 단계 S1406로 처리를 진행시키지만, 동일하면 단계 S1405로 진행시킨다.
단계 S1405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고, 3절(three-folding) 또는 새들 스티칭(saddle stitching) 등의 후처리를 행하는 피니셔(FIN)의 버젼이 다른 경우, 단계 S1406으로 처리를 진행시키지만, 동일하면, 단계 S140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 S1406에서는, "펌웨어 그룹이 등록될 때 문제 있음"으로 판정한다. 한편, 단계 S1407에서는, "펌웨어 그룹이 등록될 때 문제 없음"으로 판정한다. 즉, 도 14에서 판정 대상으로 되는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 전부에 대해서 버젼이 일치하면, 펌웨어 그룹은 등록 가능으로 판정된다.
상술한 단계 S1403 내지 S1406에서의 판정 대상으로 되는 펌웨어 프로그램과 메인 컨트롤러는 주요 펌웨어 프로그램들의 조합이므로, 이것들의 버젼이 배신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펌웨어 그룹의 버젼과 다르면, 등록될 때 문제 있음으로 판정한다. 어떤 펌웨어 프로그램을 주요 펌웨어로서 사용할지는, 제품에 따라 다르다는 점에 유의한다.
그 다음에, 구성 정보만 등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 단계(S1209)의 상세를, 도 15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1501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상품 코드 및 메인 컨트롤러와 각각 같은 상품 코드 및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펌웨어 그룹의 갱신 이력을 검색한다. 단계 S1502에서는, 최후의 갱신 이력이 오늘(처리의 당일)보다 거슬러 올라가 미리 정해진 기간(예를 들어, 3개월)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3개월 이내이면 단계 S1503으로 처리를 진행시키지만, 3개월보다 전이면, 단계 S150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 S1503에서는, 배신 서버의 펌웨어 데이터 기억 유닛(1113)에 구성 정보 및 대응하는 펌웨어 데이터를 등록한다. 그 처리의 결과, 단계 S1505에서 펌웨어 데이터 기억 유닛(1113)은, "구성 정보: 있음, 펌웨어 데이터: 있음" 상태로 된다. 갱신 이력은, 배신 서버에 의한 펌웨어 그룹의 갱신 때마다 기록되고,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의 상품 코드와, 메인 컨트롤러의 기능별 펌웨어의 식별자 및 그 버젼과, 펌웨어 그룹 버젼과, 갱신일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펌웨어 데이터의 등록은 펌웨어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파일 또는 데이터 파일과 펌웨어 구성 정보 간의 관련 정보를 작성해서 보존하는 것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단계 S1504에서는, 배신 서버의 펌웨어 데이터 기억 유닛(1113)에 구성 정보만을 등록한다. 그 처리의 결과, 단계 S1506에서 펌웨어 데이터 기억 유닛(1113)은, "구성 정보: 있음, 펌웨어 데이터: 없음"의 상태로 된다. 즉, 3개월 이내에 갱신한 기록이 있는 펌웨어 그룹에 있으면 배신용으로 사용하게 되고, 그 구성 정보와 펌웨어 데이터를 등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3개월보다 전에 갱신된 펌웨어 그룹이 있으면, 배신용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의 펌웨어 구성만을 인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구성 정보만의 등록으로 충분하다. 그러므로, 배신 서버의 데이터량의 삭감도 도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배신 서버가 배신하는 모듈을 결정하여, 화상 형성 장치에 배신하는 배신 방법을, 도 16에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계 S1601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상품 코드 및 기능별 펌웨어 정보와 버젼을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단계 S1602에서는, 수신한 상품 코드 및 기능별 펌웨어 정보와 버젼을, 펌웨어 데이터 기억 유닛(1113)에 기억한 펌웨어 그룹에 포함되는 각각의 정보와 비교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펌웨어 그룹과 버젼을 특정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펌웨어 그룹과 버젼이 성공적으로 특정되면, 일괄 갱신 처리가 실행될 수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처리를 단계 S1603으로 진행시킨다.
단계 S1603에서는, 펌웨어 데이터 기억 유닛(1113)의 구성 정보와 펌웨어 데이터의 양쪽이 있는 펌웨어 그룹으로부터, 배신하는 모듈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펌웨어 그룹의 버젼이 새로워져도, 모든 기능별 펌웨어 프로그램이 갱신된다고는 할 수 없다. 그러므로, 갱신의 대상이며 다운로드해야 할 펌웨어 프로그램들을 다운로드 모듈로서 통합한다. 단계 S1604에서는, 단계 S1603에서 결정한 모듈을 화상 형성 장치에 배신한다.
다른 실시 형태들
본 발명의 국면은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들)의 기능을 행하도록 메모리 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는 시스템의 컴퓨터 또는 기기(또는 CPU 또는 MPU 등)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들)의 기능을 행하도록 메모리 장치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하는 시스템의 컴퓨터 또는 기기에 의해 행해지는 단계들인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메모리 장치로서 기능하는 각종 형태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대해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는 모든 이러한 변형 및 등가적인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에 따른다.

Claims (10)

  1. 화상 형성 장치의 복수의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배신(delivery) 처리를 제어하는 배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일괄 갱신 처리가 허가된 복수의 프로그램의 구성 정보를, 펌웨어 그룹으로서 보존하는 보존 수단;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 수단;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수집된 정보가 임의의 이전에 보존된 펌웨어 그룹의 구성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
    상기 판정 수단이 상기 수집된 정보가 상기 임의의 이전에 보존된 펌웨어 그룹의 구성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수집된 정보의 특정 프로그램의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구성 정보에 포함하는 이전에 보존된 펌웨어 그룹을 특정하는 특정 수단; 및
    상기 특정 수단이 상기 이전에 보존된 펌웨어 그룹을 특정하는 경우, 상기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된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정보를 새로운 펌웨어 그룹의 구성 정보로서 상기 보존 수단에 등록하는 등록 수단
    을 포함하는, 배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수집된 정보의 상기 특정 프로그램의 정보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메인 컨트롤러의 버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신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수단은 상기 새로운 펌웨어 그룹의 구성 정보와 관련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정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도 상기 보존 수단에 등록하는, 배신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이 상기 수집된 정보가 상기 임의의 이전에 보존된 펌웨어 그룹의 구성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수집된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의 버젼, 페이지 기술 언어, 리모트 유저 인터페이스, 및 피니셔와 일치하는 정보를 구성 정보에 포함하는 상기 이전에 보존된 펌웨어 그룹을 특정하고,
    상기 등록 수단은, 상기 특정 수단이 상기 이전에 보존된 펌웨어 그룹(1022)을 특정하는 경우, 상기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된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정보를 상기 새로운 펌웨어 그룹의 구성 정보로서 상기 보존 수단에 등록하는, 배신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신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들의 상품 코드 및 펌웨어 그룹 버젼을 이용하여 상기 보존 수단 내의 복수의 펌웨어 그룹을 분류하고 관리하는, 배신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펌웨어 그룹의 구성 정보는 펌웨어의 종별 및 버젼을 포함하는, 배신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신 시스템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프로그램들이 개별적으로 갱신된 후 상기 수집 수단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와, 상기 판정 수단이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수집된 정보의 상기 특정 프로그램의 정보가 상기 등록 수단에 의해 상기 보존 수단에 등록된 펌웨어 그룹의 구성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일괄 갱신 처리를 위한 갱신 프로그램을 배신하는, 배신 시스템.
  8. 화상 형성 장치의 복수의 프로그램의 배신 처리를 관리하는 배신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배신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수집된 정보가, 일괄 갱신 처리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허가된 복수의 프로그램의 구성 정보를 펌웨어 그룹으로서 보존하는 보존 수단에 보존된 임의의 이전에 보존된 펌웨어 그룹의 구성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가 상기 임의의 이전에 보존된 펌웨어 그룹의 구성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수집된 정보의 특정 프로그램의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구성 정보에 포함하는 이전에 보존된 펌웨어 그룹을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전에 보존된 펌웨어 그룹이 특정되는 경우, 상기 수집하는 단계에서 수집된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정보를 새로운 펌웨어 그룹의 구성 정보로서 상기 보존 수단에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신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수집된 정보의 상기 특정 프로그램의 정보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메인 컨트롤러의 버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신 관리 방법.
  10.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로서,
    컴퓨터 상에서 실행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복수의 프로그램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수집된 정보가, 일괄 갱신 처리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허가된 복수의 프로그램의 구성 정보를 펌웨어 그룹으로서 보존하는 보존 수단에 보존된 임의의 이전에 보존된 펌웨어 그룹의 구성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정보가 상기 임의의 이전에 보존된 펌웨어 그룹의 구성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수집된 정보의 특정 프로그램의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구성 정보에 포함하는 이전에 보존된 펌웨어 그룹을 특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전에 보존된 펌웨어 그룹이 특정되는 경우, 상기 수집하는 단계에서 수집된 상기 복수의 프로그램의 정보를 새로운 펌웨어 그룹의 구성 정보로서 상기 보존 수단에 등록하는 단계
    를 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
KR1020120118880A 2011-11-02 2012-10-25 배신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101555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41524 2011-11-02
JP2011241524A JP2013097678A (ja) 2011-11-02 2011-11-02 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8692A true KR20130048692A (ko) 2013-05-10
KR101555086B1 KR101555086B1 (ko) 2015-09-22

Family

ID=47088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880A KR101555086B1 (ko) 2011-11-02 2012-10-25 배신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111459A1 (ko)
EP (1) EP2590070A1 (ko)
JP (1) JP2013097678A (ko)
KR (1) KR101555086B1 (ko)
CN (1) CN1031979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7856B2 (en) 2002-12-12 2022-10-11 Flexiworld Technologies, Inc. Portable USB device for internet access service
US7908401B2 (en) 2002-12-12 2011-03-15 Flexiworld Technology, Inc.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uting devices
CN107797953B (zh) * 2003-04-11 2021-10-08 富意科技公司 一种可实现自动运行的集成电路存储设备或方法
US9223564B2 (en) * 2012-01-26 2015-12-29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Update systems responsive to ongoing processing at a storage system
US9110761B2 (en) 2012-06-27 2015-08-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ource data structures for firmware updates
US9235404B2 (en) 2012-06-27 2016-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irmware update system
US8972973B2 (en) 2012-06-27 2015-03-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irmware update discovery and distribution
US9032423B2 (en) 2013-06-21 2015-05-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pendency based configuration package activation
JP6173123B2 (ja) * 2013-08-23 2017-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配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27779B1 (ko) * 2014-01-13 2015-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효율적인 차량용 리프로그래밍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410478B2 (ja) * 2014-05-29 2018-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
JP2018156375A (ja) * 2017-03-17 2018-10-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009909B2 (ja) * 2017-10-26 2022-01-2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管理システム
JP7119443B2 (ja) * 2018-03-13 2022-08-17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電子機器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10543318A (zh) * 2019-08-30 2019-12-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控制设备程序更新方法、装置、存储介质及控制设备
JP7467074B2 (ja) 2019-11-05 2024-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831419B1 (en) 2020-01-21 2020-11-10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Firmware upgrade system for printing devices having a component
US11048496B1 (en) * 2020-01-21 2021-06-29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Firmware upgrade system for printing devices using failure rate
US10963195B1 (en) 2020-01-21 2021-03-30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Firmware upgrade system and methods for printing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7703B1 (en) * 1999-06-29 2002-11-05 Hewlett-Packard Company Software patch selection tool
JP2002268932A (ja) 2001-03-14 2002-09-20 Toshiba Corp クライアント/サーバシステムとこのシステムにおけるマスタのバージョン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128516B2 (ja) * 2002-11-18 2008-07-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更新方法
US20040167906A1 (en) * 2003-02-25 2004-08-26 Smith Randolph C. System consolidation tool and method for patching multiple servers
US9112891B2 (en) * 2007-02-02 2015-08-1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Remote firmware management for electronic devices
JP5213428B2 (ja) * 2007-12-13 201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監視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ファームウェア変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61113B2 (ja) * 2008-09-29 2013-08-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サーバ、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11459A1 (en) 2013-05-02
EP2590070A1 (en) 2013-05-08
CN103197938A (zh) 2013-07-10
JP2013097678A (ja) 2013-05-20
KR101555086B1 (ko) 201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086B1 (ko) 배신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US7953901B2 (en) Distribution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monitor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870508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5812840B2 (ja) 画像形成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5669431B2 (ja) 情報処理装置、ファームウェア適用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0020829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8515981B2 (en) Program distribution server, image forming apparatus, program distribution system, and contract document integration method
JP200917588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953746B2 (ja) 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9558095B (zh) 管理系统和控制方法
JP2015138297A (ja) 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518816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2006294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network system,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90065706A1 (en) Management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10167144A1 (en) Network system, data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90065707A1 (en) Management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020111911A1 (en) Documen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with consolidated document services management
JP2010079849A (ja) 画像形成装置管理システム
US2015010068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ite monitor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2221197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配信サーバでの配信設定方法
US10152697B2 (en) Monitoring apparatus, monito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2012221200A (ja) 画像形成装置管理システム
US20020198842A1 (en) Document services management including availability reporting of document distribution services
JP6141083B2 (ja) 拠点監視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4164553A (ja) 配信システム、配信システムの配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