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767A - 선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767A
KR20130044767A KR1020110108987A KR20110108987A KR20130044767A KR 20130044767 A KR20130044767 A KR 20130044767A KR 1020110108987 A KR1020110108987 A KR 1020110108987A KR 20110108987 A KR20110108987 A KR 20110108987A KR 20130044767 A KR20130044767 A KR 20130044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roof
motor
control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3833B1 (ko
Inventor
박원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10108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383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5Control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선루프 제어 장치는 선루프를 개폐하는 선루프 모터부, 선루프를 선루프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조작 위치에 위치시키는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선루프의 이동 위치를 조작 위치와 비교하여 이동 위치를 조작 위치로 보정하는 위치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모터 제어 신호 및 위치 보정 신호에 따라 선루프 모터부를 제어하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이동 위치와 조작 위치의 차이에 대응되는 오차값을 이용하여 선루프 모터부에 대한 제어 방식을 지정하는 제어 방식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보정 신호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선루프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NROOF}
본 발명은 선루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선루프 제어 시 응답 성능을 개선하고 전류 리플을 줄이기 위한 선루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선루프에 대한 제어는 사용자의 스위치 입력을 받아 모터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이때, 차량의 주행 중 외부 부하가 급격하게 변동하는 경우, 이러한 변동이 모터의 토크, 속도 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선루프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루프 제어 시 제어 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선루프 제어에 따른 응답 성능을 향상시키고 전류 리플을 감소시키기 위한 선루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선루프 제어 장치는 선루프 모터부, 제어부, 및 모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선루프 모터부는 선루프를 개폐한다. 제어부는 선루프를 선루프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조작 위치에 위치시키는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선루프의 이동 위치를 조작 위치와 비교하여 이동 위치를 조작 위치로 보정하는 위치 보정 신호를 생성한다. 모터 구동부는 모터 제어 신호 및 위치 보정 신호에 따라 선루프 모터부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이동 위치와 조작 위치의 차이에 대응되는 오차값을 이용하여 선루프 모터부에 대한 제어 방식을 지정하는 제어 방식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보정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는 오차값이 설정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여 선루프 모터부에 대한 제어 방식을 제1 방식 또는 제2 방식으로 지정하는 제어 방식 지정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선루프 모터부는 에이치 브릿지(H Bridge) 회로로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는 오차값이 설정 범위에 포함되면 선루프 모터부에 대한 제어 방식을 유니폴라 방식으로 지정하는 제어 방식 지정 정보를 생성하고, 오차값이 설정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선루프 모터부에 대한 제어 방식을 바이폴라 방식으로 지정하는 제어 방식 지정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모터 구동부는 제어 방식 지정 정보에 따라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선루프 모터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선루프 제어 방법은 선루프 제어 장치가 모터를 이용하여 선루프에 대한 개폐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써, 선루프를 조작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선루프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선루프 조작 신호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 모터의 구동에 따른 선루프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이동 위치를 조작 위치와 비교하여 모터에 대한 제어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결정된 제어 방식에 따라 선루프를 이동 위치에서 조작 위치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모터에 대한 제어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이동 위치와 조작 위치간의 차이에 대응되는 오차값을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오차값을 이용하여 모터에 대한 제어 방식을 제1 방식 또는 제2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모터에 대한 제어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오차값이 설정 범위에 포함되는지에 따라 모터에 대한 제어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보정하는 단계는 결정된 제어 방식에 따라 에이치 브릿지(H Bridge) 회로를 이용하여 선루프를 이동 위치에서 조작 위치로 보정한다.
또한, 모터에 대한 제어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오차값이 설정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모터에 대한 제어 방식을 유니폴라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오차값이 설정 범위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모터에 대한 제어 방식을 바이폴라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선루프의 위치 보정 시 오차값에 따라 제어 방식을 달리함으로써 선루프 제어에 따른 응답 성능을 향상시키고 전류 리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모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바이폴라 PWM 방식의 모터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바이폴라 PWM 방식의 모터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니폴라 PWM 방식의 모터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니폴라 PWM 방식의 모터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고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제어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루프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선루프 조작 신호에 따라 선루프(10)에 대한 개폐를 제어하며, 조작 스위치(110), 제어부(120), 모터 구동부(130), 선루프 모터부(140), 및 센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작 스위치(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선루프 조작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120)는 조작 스위치(110)를 통해 선루프 조작 신호가 수신되면 선루프(10)가 수신된 선루프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조작 위치에 위치하도록 선루프 모터부(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센서부(150)를 통해 선루프(10)의 이동 위치가 감지되면 선루프(10)의 이동 위치를 선루프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조작 위치와 비교하여 선루프(10)의 이동 위치를 선루프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조작 위치로 보정하는 위치 보정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모터 제어 신호 또는 위치 보정 신호를 모터 구동부(130)로 전달하여 모터 구동부(130)를 제어한다.
모터 구동부(130)는 펄스 폭 변조 신호(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이하에서는 'PWM 신호'라고도 함)를 통해 선루프 모터부(140)를 제어한다.
여기서, 모터 구동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모터 제어 신호가 전달되면 모터 제어 신호에 따라 비례 적분 제어(Proportinal Integral control, 이하에서는 'PI 제어'라고도 함)를 통해 선루프 모터부(14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터 구동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위치 보정 신호가 전달되면 위치 보정 신호에 따라 바이폴라 펄스 폭 변조(bipolar pulse width modulation, 이하에서는 '바이폴라 PWM'이라고도 함) 방식 또는 유니폴라 펄스 폭 변조(unipolar pulse width modulation, 이하에서는 '유니폴라 PWM'이라고도 함) 방식을 통해 선루프 모터부(14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선루프 모터부(140)는 모터 구동부(130)로부터 수신되는 PWM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를 통해 선루프(10)를 개폐한다.
센서부(150)는 선루프(10)의 위치를 감지한다.
다음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모터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모터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루프 모터부(140)는 에이치 브릿지(H Bridge) 회로로 구성되며, 제1 스위칭 소자(141), 제2 스위칭 소자(142), 제3 스위칭 소자(143), 제4 스위칭 소자(144), 및 모터(motor, 이하에서는 'M'이라고도 함)(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스위칭 소자(141)는 일단이 전원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스위치 소자(142) 및 모터(145)와 연결되며, 모터 구동부(130)로부터 PWM 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칭된다.
제2 스위칭 소자(142)는 일단이 제1 스위칭 소자(141) 및 모터(145)와 연결되고, 타단이 전원과 연결되며, 모터 구동부(130)로부터 PWM 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칭된다.
제3 스위칭 소자(143)는 일단이 전원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4 스위치 소자(144) 및 모터(145)와 연결되며, 모터 구동부(130)로부터 PWM 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칭된다.
제4 스위칭 소자(144)는 일단이 제3 스위칭 소자(143) 및 모터(145)와 연결되고, 타단이 전원과 연결되며, 모터 구동부(130)로부터 PWM 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칭된다.
모터(145)는 일단이 제1 스위칭 소자(141) 및 제2 스위칭 소자(142)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3 스위칭 소자(143) 및 제4 스위칭 소자(144)와 연결되며, 제1 스위칭 소자(141), 제2 스위칭 소자(142), 제3 스위칭 소자(143), 및 제4 스위칭 소자(144)의 스위칭 동작에 의한 전류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은,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구동부가 바이폴라 PWM 방식으로 선루프 모터부의 모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바이폴라 PWM 방식의 모터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구동부(130)가 바이폴라 PWM 방식으로 선루프 모터부(140)를 제어하는 경우, 모터 구동부(130)는 제1 스위칭 소자(141) 및 제4 스위칭 소자(144)에 4상의 PWM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141) 및 제4 스위칭 소자(144)에 4상의 PWM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스위칭 소자(141)는 온(on) 상태로 스위칭되고, 제4 스위칭 소자(144)는 온(on) 상태로 스위칭된다.
이때, 모터(145)에 흐르는 전류는 제1 스위칭 소자(141)에서 제4 스위칭 소자(142)의 방향으로 흐른다.
다음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모터 구동부가 바이폴라 PWM 방식으로 선루프 모터부의 모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바이폴라 PWM 방식의 모터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구동부(130)가 바이폴라 PWM 방식으로 선루프 모터부(140)를 제어하는 경우, 모터 구동부(130)는 제2 스위칭 소자(142) 및 제3 스위칭 소자(143)에 4상의 PWM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2 스위칭 소자(142) 및 제3 스위칭 소자(143)에 4상의 PWM 신호가 입력되면, 제2 스위칭 소자(142)는 온(on) 상태로 스위칭되고, 제3 스위칭 소자(143)는 온(on) 상태로 스위칭된다.
이때, 모터(145)에 흐르는 전류는 제3 스위칭 소자(143)에서 제2 스위칭 소자(142)의 방향으로 흐른다.
이와 같이, 바이폴라 PWM 방식은 에이치 브릿지(H Bridge) 회로에서 대각선에 위치하는 2개의 스위칭 소자를 쌍(pair)으로 동시에 스위칭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바이폴라 PWM 방식은 정방향 회전에서 역방향 회전으로의 전환이 연속적이며 부드럽다는 장점이 있지만, 전류 리플(ripple)이 유니폴라 PWM 방식보다 크고 스위칭 손실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다음은,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터 구동부가 유니폴라 PWM 방식으로 선루프 모터부의 모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유니폴라 PWM 방식의 모터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구동부(130)가 유니폴라 PWM 방식으로 선루프 모터부(140)를 제어하는 경우, 모터 구동부(130)는 제1 스위칭 소자(141)에 4상의 PWM 신호를 입력하고, 제4 스위칭 소자(144)에 1상의 PWM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141)에 4상의 PWM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스위칭 소자(141)는 온(on) 상태로 스위칭되고, 제4 스위칭 소자(144)에 1상의 PWM 신호가 입력되면 제4 스위칭 소자(144)는 온(on) 상태로 스위칭된다.
이때, 모터(145)에 흐르는 전류는 제1 스위칭 소자(141)에서 제4 스위칭 소자(142)의 방향으로 흐른다.
다음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모터 구동부가 유니폴라 PWM 방식으로 선루프 모터부의 모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유니폴라 PWM 방식의 모터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구동부(130)가 유니폴라 PWM 방식으로 선루프 모터부(140)를 제어하는 경우, 모터 구동부(130)는 제2 스위칭 소자(142)에 4상의 PWM 신호를 입력하고, 제4 스위칭 소자(144)에 1상의 PWM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2 스위칭 소자(142)에 4상의 PWM 신호가 입력되면 제2 스위칭 소자(142)는 온(on) 상태로 스위칭되고, 제4 스위칭 소자(144)에 1상의 PWM 신호가 입력되면 제4 스위칭 소자(144)는 온(on) 상태로 스위칭된다.
이때, 모터(145)에 흐르는 전류는 제2 스위칭 소자(141)에서 제4 스위칭 소자(142)의 방향으로 흐른다.
이와 같이, 유니폴라 PWM 방식은 에이치 브릿지(H Bridge) 회로의 모든 스위칭 소자를 독립적으로 스위칭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유니폴라 PWM 방식은 전류 리플과 스위칭 손실이 작다는 장점이 있지만, 작은 출력 전압을 만들기 힘들기 때문에 정방향 회전에서 역방향 회전으로의 전환이 불연속적이고 응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다음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제어 장치가 선루프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선루프 제어 장치(100)는 조작 스위치(110)를 통해 입력되는 선루프 조작 신호를 수신한다(S100).
다음, 선루프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선루프(10)가 선루프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조작 위치에 위치하도록 선루프 모터부(1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선루프 조작 신호를 이용하여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105).
이후, 선루프 제어 장치(100)의 모터 구동부(130)는 모터 제어 신호에 따라 비례 적분 제어(Proportinal Integral control, 이하에서는 'PI 제어'라고도 함)를 통해 선루프 모터부(140)를 구동한다(S110).
다음, 선루프 제어 장치(100)의 센서부(150)는 선루프 모터부(140)의 구동에 따른 선루프(10)의 이동 위치를 감지한다(S115).
이후, 선루프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감지된 이동 위치를 선루프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조작 위치와 비교하여, 이동 위치와 조작 위치간의 차이에 대응되는 오차값(error value, 이하에서는 'Error'라고도 함)을 산출한다(S120).
다음, 선루프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오차값(Error)이 제1 임계값(first critical value, 이하에서는 'CV1'이라고도 함) 이상이고 제2 임계값(second critical value, 이하에서는 'CV2'이라고도 함) 미만에 해당하는 설정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S125).
만약, 오차값(Error)이 설정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선루프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유니폴라 PWM 방식을 통해 선루프(10)의 이동 위치를 선루프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조작 위치로 보정하기 위해서, 선루프 모터부(140)에 대한 제어 방식을 유니폴라 PWM 방식으로 지정하는 제어 방식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위치 보정 신호를 생성한다(S130). 여기서, 선루프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선루프(10)의 이동 위치 및 선루프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조작 위치를 이용하여 제1 위치 보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선루프 제어 장치(100)의 모터 구동부(130)는 제1 위치 보정 신호에 따라 유니폴라 PWM 방식으로 선루프 모터부(140)를 제어한다(S135).
한편, 오차값(Error)이 설정 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하는 경우, 선루프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바이폴라 PWM 방식을 통해 선루프(10)의 이동 위치를 선루프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조작 위치로 보정하기 위해서, 선루프 모터부(140)에 대한 제어 방식을 바이폴라 PWM 방식으로 지정하는 제어 방식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위치 보정 신호를 생성한다(S140). 여기서, 선루프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20)는 선루프(10)의 이동 위치 및 선루프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조작 위치를 이용하여 제2 위치 보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선루프 제어 장치(100)의 모터 구동부(130)는 제2 위치 보정 신호에 따라 바이폴라 PWM 방식으로 선루프 모터부(140)를 제어한다(S145).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선루프
100: 선루프 제어 장치
110: 조작 스위치
120: 제어부
130: 모터 구동부
140: 선루프 모터부
150: 센서부
141-144: 스위칭 소자
145: 모터

Claims (10)

  1. 선루프를 개폐하는 선루프 모터부;
    상기 선루프를 선루프 조작 신호에 대응되는 조작 위치에 위치시키는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센서부를 통해 감지되는 상기 선루프의 이동 위치를 상기 조작 위치와 비교하여 상기 이동 위치를 상기 조작 위치로 보정하는 위치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모터 제어 신호 및 상기 위치 보정 신호에 따라 상기 선루프 모터부를 제어하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위치와 상기 조작 위치의 차이에 대응되는 오차값을 이용하여 상기 선루프 모터부에 대한 제어 방식을 지정하는 제어 방식 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위치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선루프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차값이 설정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선루프 모터부에 대한 제어 방식을 제1 방식 또는 제2 방식으로 지정하는 상기 제어 방식 지정 정보를 생성하는 선루프 제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 모터부는
    에이치 브릿지(H Bridge) 회로로 구성되는 선루프 제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차값이 설정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선루프 모터부에 대한 제어 방식을 유니폴라 방식으로 지정하는 상기 제어 방식 지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오차값이 상기 설정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선루프 모터부에 대한 제어 방식을 바이폴라 방식으로 지정하는 상기 제어 방식 지정 정보를 생성하는 선루프 제어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제어 방식 지정 정보에 따라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선루프 모터부를 제어하는 선루프 제어 장치.
  6. 선루프 제어 장치가 모터를 이용하여 선루프에 대한 개폐를 제어하는 선루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를 조작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선루프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루프 조작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른 상기 선루프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 위치를 상기 조작 위치와 비교하여 상기 모터에 대한 제어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제어 방식에 따라 상기 선루프를 상기 이동 위치에서 상기 조작 위치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루프 제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대한 제어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위치와 상기 조작 위치간의 차이에 대응되는 오차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오차값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에 대한 제어 방식을 제1 방식 또는 제2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루프 제어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대한 제어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차값이 설정 범위에 포함되는지에 따라 상기 모터에 대한 제어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루프 제어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제어 방식에 따라 에이치 브릿지(H Bridge)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선루프를 상기 이동 위치에서 상기 조작 위치로 보정하는 선루프 제어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대한 제어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차값이 설정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모터에 대한 제어 방식을 유니폴라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오차값이 설정 범위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모터에 대한 제어 방식을 바이폴라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루프 제어 방법.
KR1020110108987A 2011-10-24 2011-10-24 선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83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987A KR101283833B1 (ko) 2011-10-24 2011-10-24 선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987A KR101283833B1 (ko) 2011-10-24 2011-10-24 선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767A true KR20130044767A (ko) 2013-05-03
KR101283833B1 KR101283833B1 (ko) 2013-07-08

Family

ID=48657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987A KR101283833B1 (ko) 2011-10-24 2011-10-24 선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38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667A (ko)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용 선루프 동작 전압 보상 시스템 및 방법
CN115434600A (zh) * 2022-08-16 2022-12-06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窗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8043B2 (ja) * 1997-02-04 2007-07-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開閉機構のモータ制御装置
KR101155199B1 (ko) * 2005-04-29 2012-06-1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지역 내부 연결 네트워크 통신을 사용하는 차량용 선루프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0110084A (ja) * 2008-10-29 2010-05-13 Kyocera Corp Dcモータ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窓開閉装置
KR100996248B1 (ko) * 2009-04-16 2010-11-23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선쉐이드 선루프 제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667A (ko)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용 선루프 동작 전압 보상 시스템 및 방법
CN115434600A (zh) * 2022-08-16 2022-12-06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窗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CN115434600B (zh) * 2022-08-16 2024-01-26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窗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3833B1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0842B2 (en) Motor driving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phase current in motor driving device
CN102201768B (zh) 无刷电机的驱动装置及驱动方法
CN102224059B (zh) 电动动力转向装置
US9322410B2 (en) Electric pump device
US8193753B2 (en) Motor controller and electric power tool having the same
JP4957878B1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830737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CN103023395B (zh) 无刷电机的驱动装置
JP2007300749A (ja) モータ制御装置
JP4536133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9263976B2 (en) Motor control apparatus
WO2011142032A1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装置
KR101283833B1 (ko) 선루프 제어 장치 및 방법
JP3609931B2 (ja) モータ電流制御装置
JP2013094042A (ja) モータ駆動装置
JP6802674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制御方法
JP5584794B1 (ja) 電動機の駆動制御装置
JP4062228B2 (ja) 直流電動機の駆動装置
JP2004359197A (ja) 電動油圧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037536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6281573B2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11196378B2 (en) Motor control device
JP6123182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2006296116A (ja) モータ制御装置
JP2008056079A (ja) モ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