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483A -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 - Google Patents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483A
KR20130044483A KR1020110108568A KR20110108568A KR20130044483A KR 20130044483 A KR20130044483 A KR 20130044483A KR 1020110108568 A KR1020110108568 A KR 1020110108568A KR 20110108568 A KR20110108568 A KR 20110108568A KR 20130044483 A KR20130044483 A KR 20130044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roove
slip member
torsion bar
stee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5591B1 (ko
Inventor
김동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10108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591B1/ko
Priority to DE102012020796.4A priority patent/DE102012020796B4/de
Priority to US13/659,476 priority patent/US8740712B2/en
Priority to CN201210408529.8A priority patent/CN103057580B/zh
Publication of KR20130044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24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 B62D1/26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mechanical, e.g. by a non-load-bearing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20Connecting steering column to steering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1/108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having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and acting by interengaging parts, i.e. positive coupling
    • F16D1/116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having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and acting by interengaging parts, i.e. positive coupling the interengaging parts including a continuous or interrupted circumferential groove in the surface of one of the coupl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16D3/26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 F16D3/38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 F16D3/382Hooke's joints or other joints with an equivalent intermediate member to which each coupling part is pivotally or slidably connected with a single intermediate member with trunnions or bearings arranged on two axes perpendicular to one another constructional details of other than the intermediate member
    • F16D3/387Fork construction; Mounting of fork on shaft; Adapting shaft for mounting of f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2001/103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the torque is transmitted via spline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00Special features for couplings or clutches
    • F16D2300/20Auxiliary indicators or ala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16Joints and connections with adjunctive protector, broken parts retainer, repair, assembly or disassembly feature
    • Y10T403/1616Position or guide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26Longitudinally splined or fluted r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 샤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샤프트가 요크에 삽입되어 조립될 때 오 조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STEERING SHAFT WITH MISS-ASSEMBLY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조향 샤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샤프트가 요크에 삽입되어 조립될 때 오 조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에 관한 것이다.
조향 샤프트는 동력 전달 부재로서 요크와 샤프트 등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요크와 샤프트를 결합시켜 조향 샤프트를 조립할 때, 정확하게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에 장착되면 조향 및 안전에 큰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더욱 치명적인 것은, 조향 샤프트 조립시, 오 조립되더라도 당장은 확인되지않고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거나 충격 발생 이후, 요크와 샤프트가 빠질 수 있다는 점인데, 만약 이러한 경우가 주행 중에 발생한다면 대단히 심각한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샤프트가 요크에 삽입되어 조립될 때 오 조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끝단에서 축 방향으로 토션바가 형성되고, 상기 토션바가 형성된 끝 지점부터 세레이션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세레이션이 형성된 끝 지점부터 요홈으로 그루브가 형성된 샤프트; 상기 토션바가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슬립 부재; 및 상기 슬립 부재가 결합된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에 형성된 세레이션과 치결합하기 위한 세레이션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와 볼트 결합을 하기 위한 볼트 조임 홀이 형성된 요크를 포함하는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를 제공한다.
상기 조향 샤프트에서, 상기 슬립 부재는 부쉬(Bush) 타입 또는 캡(Cap) 타입일 수 있다.
상기 조향 샤프트에서, 상기 슬립 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삽입되는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향 샤프트에서, 상기 슬립 부재는 축 방향으로 절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조향 샤프트에서, 상기 토션바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삽입되는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향 샤프트에서, 상기 토션바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삽입되는 링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슬립 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립 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과 상기 토션바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이 마주하여 만들어진 공간에 상기 링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조향 샤프트에서, 상기 토션바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삽입되는 링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슬립 부재의 내주면은 확경되되, 상기 토션바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이 형성된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서 확경될 수 있다.
상기 조향 샤프트에서, 상기 토션바에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립 부재에는 상기 홈과 대응되는 돌출부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향 샤프트에서, 상기 슬립 부재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스틸 재질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샤프트가 요크에 삽입되어 조립될 때 오 조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의 정조립 상태와 오조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는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는, 샤프트와 요크 등이 조립되어 만들어지는데, 샤프트와 요크가 오조립된 경우에는 샤프트와 요크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어느 한쪽이 헛돌게 하여 오조립 상태를 신속히 점검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는, 끝단에서 축 방향으로 토션바가 형성되고, 토션바가 형성된 끝 지점부터 세레이션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세레이션이 형성된 끝 지점부터 요홈으로 그루브가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토션바가 삽입되는 슬립 부재와, 슬립 부재가 끝단에 장착된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어 샤프트에 형성된 세레이션과 치결합하기 위한 세레이션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샤프트(110)와 볼트 결합을 하기 위한 볼트 조임 홀이 형성된 요크 등을 포함한다.
슬립 부재는 축방향의 양측면이 뚫려있는 부쉬(Bush) 타입 또는 축방향의 한측면만 뚫려있는 캡(Cap) 타입일 수 있다.
압입 하중을 줄이기 위해, 슬립 부재는 축 방향으로 절개될 수 있다.
또한, 슬립 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된 경우, 조향 샤프트는 슬립 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의 토션바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된 경우, 조향 샤프트는 토션바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의 토션바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토션바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링이 삽입되되, 슬립 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홈이 더 형성되어, 슬립 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과 토션바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이 마주하여 만들어진 공간에 링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의 토션바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토션바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링이 삽입되되, 슬립 부재의 내주면은 확경될 수 있다. 여기서, 확경 지점과 관련하여, 토션바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이 형성된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서 확경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의 토션바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슬립 부재에는 토션바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돌출부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슬립 부재는, 일 예로, 플라스틱 재질 또는 스틸 재질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샤프트와 슬립 부재 간의 결합 구조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이러한 샤프트와 슬립 부재 간의 결합 구조 하에서 슬립 부재가 결합된 샤프트와 요크 간의 정조립 상태 및 오조립 상태를 도 9에 도시하여 오조립이 방지되는 원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a)는 조향 샤프트(1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조향 샤프트(100)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100)에서, 샤프트(110)의 끝단 부분이 슬립 부재(120)에 삽입됨으로써, 샤프트(110)와 슬립 부재(120)가 결합된다.
샤프트(110)는 끝단에서 축 방향으로 토션바(111)가 형성되고, 토션바(111)가 형성된 끝 지점부터 세레이션(112)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세레이션(112)이 형성된 끝 지점부터 요홈으로 그루브(Groove, 113)가 형성된다. 샤프트(110)와 요크 간의 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하여 그루브(113)에 이어 세레이션(114)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100)에서, 샤프트(110)의 토션바(111)가 삽입되는 슬립 부재(120)는 축방향의 양측면이 뚫려있는 부쉬 타입(120a) 또는 축방향의 한측면만 뚫려있는 캡 타입(120b)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는 조향 샤프트(2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조향 샤프트(200)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200)에서, 샤프트(210)의 끝단 부분이 슬립 부재(220)에 삽입됨으로써, 샤프트(210)와 슬립 부재(220)가 결합된다.
샤프트(210)는 끝단에서 축 방향으로 토션바(211)가 형성되고, 토션바(211)가 형성된 끝 지점부터 세레이션(212)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세레이션(212)이 형성된 끝 지점부터 요홈으로 그루브(213)가 형성된다. 샤프트(210)와 요크 간의 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하여 그루브(213)에 이어 세레이션(214)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200)에서, 슬립 부재(220)는, 압입 하중을 줄이기 위하여, 축 방향으로 절개(221)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조향 샤프트(3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조향 샤프트(300)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300)에서, 샤프트(310)의 끝단 부분이 슬립 부재(320)에 삽입됨으로써, 샤프트(310)와 슬립 부재(320)가 결합된다.
샤프트(310)는 끝단에서 축 방향으로 토션바(311)가 형성되고, 토션바(311)가 형성된 끝 지점부터 세레이션(312)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세레이션(312)이 형성된 끝 지점부터 요홈으로 그루브(313)가 형성된다. 샤프트(310)와 요크 간의 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하여 그루브(313)에 이어 세레이션(314)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샤프트(310)와 슬립 부재(3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슬립 부재(320)와 토션바(311) 사이에 진동이나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이나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 슬립 부재(320)의 내주면을 따라 홈(321)이 형성되고, 슬립 부재(32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321)에 삽입되는 링(330)이 조향 샤프트(300)에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링(330)이 원형 링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각형 링 또는 다른 어떠한 형태의 링도 가능할 수 있다.
링(330)의 재질은, 일 예로,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 재질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어떠한 재질로도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300)에서는, 슬립 부재(320)와 토션바(311) 사이에 링(330)을 추가로 삽입함으로써, 조향 샤프트(300)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조향 샤프트(4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조향 샤프트(400)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400)에서, 샤프트(410)의 끝단 부분이 슬립 부재(420)에 삽입됨으로써, 샤프트(410)와 슬립 부재(420)가 결합된다.
샤프트(410)는 끝단에서 축 방향으로 토션바(411)가 형성되고, 토션바(411)가 형성된 끝 지점부터 세레이션(412)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세레이션(412)이 형성된 끝 지점부터 요홈으로 그루브(413)가 형성된다. 샤프트(410)와 요크 간의 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하여 그루브(413)에 이어 세레이션(414)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샤프트(410)와 슬립 부재(4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슬립 부재(420)와 토션바(411) 사이에 진동이나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이나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 토션바(411)의 외주면을 따라 홈(4110)이 추가로 형성되고, 토션바(41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4110)에 삽입되는 링(430)이 조향 샤프트(400)에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링(430)이 각형 링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원형 링 또는 다른 어떠한 형태의 링도 가능할 수 있다.
링(430)의 재질은, 일 예로,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 재질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어떠한 재질로도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400)에서는, 슬립 부재(420)와 토션바(411) 사이에 링(430)을 추가로 삽입함으로써, 조향 샤프트(400)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5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조향 샤프트(5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조향 샤프트(500)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500)에서, 샤프트(510)의 끝단 부분이 슬립 부재(520)에 삽입됨으로써, 샤프트(510)와 슬립 부재(520)가 결합된다.
샤프트(510)는 끝단에서 축 방향으로 토션바(511)가 형성되고, 토션바(511)가 형성된 끝 지점부터 세레이션(512)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세레이션(512)이 형성된 끝 지점부터 요홈으로 그루브(513)가 형성된다. 샤프트(510)와 요크 간의 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하여 그루브(513)에 이어 세레이션(514)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샤프트(510)와 슬립 부재(5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슬립 부재(520)와 토션바(511) 사이에 진동이나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이나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 토션바(511)의 외주면을 따라 홈(5110)이 추가로 형성되고, 슬립 부재(520)의 내주면을 따라 홈(521)이 추가로 형성되어, 슬립 부재(52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521)과 토션바(51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5110)이 마주하여 만들어진 공간에 링(53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링(530)이 원형 링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각형 링 또는 다른 어떠한 형태의 링도 가능할 수 있다.
링(530)의 재질은, 일 예로,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 재질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어떠한 재질로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500)에서는, 슬립 부재(520)와 토션바(511) 사이에 링(430)을 추가로 삽입함으로써, 조향 샤프트(500)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6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는 조향 샤프트(6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조향 샤프트(600)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600)에서, 샤프트(610)의 끝단 부분이 슬립 부재(620)에 삽입됨으로써, 샤프트(610)와 슬립 부재(620)가 결합된다.
샤프트(610)는 끝단에서 축 방향으로 토션바(611)가 형성되고, 토션바(611)가 형성된 끝 지점부터 세레이션(612)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세레이션(612)이 형성된 끝 지점부터 요홈으로 그루브(613)가 형성된다. 샤프트(610)와 요크 간의 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하여 그루브(613)에 이어 세레이션(614)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샤프트(610)와 슬립 부재(6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슬립 부재(620)와 토션바(611) 사이에 진동이나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이나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 토션바(611)의 외주면을 따라 홈(6110)이 추가로 형성되고, 토션바(61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6110)에 링(630)이 추가로 더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슬립 부재(620)의 내주면은 확경될 수 있다. 여기서, 확경 지점과 관련하여, 토션바(61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6110)이 형성된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서 확경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링(630)이 원형 링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각형 링 또는 다른 어떠한 형태의 링도 가능할 수 있다.
링(630)의 재질은, 일 예로,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 재질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어떠한 재질로도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600)에서는, 슬립 부재(620)와 토션바(611) 사이에 링(630)을 추가로 삽입함으로써, 조향 샤프트(600)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7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는 조향 샤프트(7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조향 샤프트(700)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700)에서, 샤프트(710)의 끝단 부분이 슬립 부재(720)에 삽입됨으로써, 샤프트(710)와 슬립 부재(720)가 결합된다.
샤프트(710)는 끝단에서 축 방향으로 토션바(711)가 형성되고, 토션바(711)가 형성된 끝 지점부터 세레이션(712)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세레이션(712)이 형성된 끝 지점부터 요홈으로 그루브(713)가 형성된다. 샤프트(710)와 요크 간의 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하여 그루브(713)에 이어 세레이션(714)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샤프트(710)와 슬립 부재(7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샤프트(710) 또는 슬립 부재(720)가 이탈하지 않도록, 토션바(711)의 외주면을 따라 홈(7110)이 형성되고, 슬립 부재(720)에는 토션바(71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7110)과 대응되는 돌출부(721)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8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는 조향 샤프트(80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조향 샤프트(800)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800)에서, 샤프트(810)의 끝단 부분이 슬립 부재(820)에 삽입됨으로써, 샤프트(810)와 슬립 부재(820)가 결합된다.
샤프트(810)는 끝단에서 축 방향으로 토션바(811)가 형성되고, 토션바(811)가 형성된 끝 지점부터 세레이션(812)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세레이션(812)이 형성된 끝 지점부터 요홈으로 그루브(813)가 형성된다. 샤프트(810)와 요크 간의 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하여 그루브(813)에 이어 세레이션(814)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샤프트(810)와 슬립 부재(8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샤프트(810) 또는 슬립 부재(820)가 이탈하지 않도록, 토션바(811)의 외주면을 따라 홈(8110)이 형성되고, 슬립 부재(820)에는 토션바(81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8110)과 대응되는 돌출부(821)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조향 샤프트(100,200, ... ,800)에 포함된 슬립 부재(120,220, ... ,820)는, 일 예로, 플라스틱 재질 또는 스틸 재질일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결합 구조의 예시에 따라, 슬립 부재(120,220, ... ,820)와 샤프트(110,210, ... ,8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슬립 부재(120,220, ... ,820)가 결합된 샤프트(110, 210, ... ,810)가 요크에 삽입되면서 치결합되고, 요크에 형성된 볼트 조임홀을 통해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조향 샤프트(100,200, ... ,800)가 조립된다.
이러한 조향 샤프트 조립시, 슬립 부재(120, 220, ... , 820)가 결합된 샤프트(110, 210, ... , 810)가 요크에 완전히 삽입되어 치결합되지 못한 채로 볼트를 체결하여 조립을 마무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오조립 상태를 차량 출고 이전에 확인하여 출고된 차량에서의 오조립을 방지하는 원리를 도 9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900)의 정조립 상태와 오조립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 조향 샤프트(900)는, 도 1 내지 도 8에서 예시된 8가지의 조향 사프트(100,200, ... ,800) 중 하나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 부호를 달리하여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조향 샤프트(900)는, 끝단에서 축 방향으로 토션바가 형성되고, 토션바가 형성된 끝 지점부터 세레이션(911)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세레이션(912)이 형성된 끝 지점부터 요홈으로 그루브(913)가 형성되고, 이어서 세레이션(914)이 형성된 샤프트(910)와, 토션바가 삽입되어 샤프트(910)와 결합하는 슬립 부재(920)와, 슬립 부재(920)가 끝단에 결합된 샤프트(910)가 삽입되어 샤프트(910)에 형성된 세레이션(912, 914)과 치결합하기 위한 세레이션(932)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샤프트(110)와 볼트 결합을 하기 위한 볼트 조임 홀(931)이 형성된 요크(930) 등을 포함한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샤프트(910)의 그루브(913)가 요크(930)의 볼트 조임 홀(931)이 있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샤프트(910)가 요크(930)의 홀에 삽입된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볼트를 볼트 조임 홀(931)에 체결하여 조립을 마무리한다.
이러한 조립 상태에서는, 샤프트(910)의 외주면에서 형성된 세레이션(912, 914)과 요크(9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세레이션(932)이 치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샤프트(910)와 요크(93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샤프트(910)가 조향휠과 연결된 컬럼 측 샤프트인 경우, 샤프트(910)를 회전시키면 요크(93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만약, 샤프트(910)가 피니언 축이고 요크(930)가 조향휠과 연결된 컬럼 측 샤프트와 결합된 경우, 요크(930)를 회전시키면 샤프트(91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조립 상태는 샤프트(910)가 요크(930)에 빠지지 않도록 삽입되어 체결되어 있고 샤프트(910)와 요크(93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는 정 조립 상태로서, 조향력이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는 상태이다.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900)가 오 조립 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샤프트(910)와 결합된 슬립 부재(920)만 요크(930)의 홀에 삽입된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볼트를 볼트 조임 홀(931)에 체결하여 조립을 마무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910)의 외주면에서 형성된 세레이션(912, 914)과 요크(9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세레이션(932)이 치결합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샤프트(910)가 조향휠과 연결된 컬럼 측 샤프트인 경우, 조향휠에 따라 샤프트(910)가 회전할 때, 요크(930)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즉, 샤프트(910)만 헛돌게 된다. 만약, 샤프트(910)가 피니언 축인 경우, 조향휠의 회전에 따라 요크(930)가 회전하면, 샤프트(910)는 회전하지 않는다. 즉, 요크(930)만 헛돌게 된다.
이러한 조립 상태는 샤프트(910)와 요크(930)가 함께 회전하지 않는 오 조립 상태로서, 조향력이 전달될 수 없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오 조립 상태에서 샤프트(910) 또는 요크(930)가 헛돌게 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설계 조건을 만족하여야만 한다(도 9 참조).
설계조건:
1. D > d
2. R > r
첫 번째 설계 조건은, 샤프트(910)의 토션바가 삽입되는 슬립 부재(920)의 축방향 길이 D는, 요크(930)에서 샤프트(910)가 삽입되는 입구에서 볼트 조임홀(931)까지의 길이 d보다 길게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 설계 조건은, 샤프트(910)의 토션바가 삽입되는 슬립 부재(920)의 반경 R은, 요크(930)의 중심축에서 볼트 조임홀(931)까지의 거리 r보다 길게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샤프트(910)가 요크(930)에 삽입되어 조립될 때 오 조립되더라도, 샤프트(910) 또는 요크(930)가 헛돌게 하여 오 조립 사실을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는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900)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조향 샤프트는 동력 전달 부재로서 요크와 샤프트 등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요크와 샤프트를 결합시켜 조향 샤프트를 조립할 때, 샤프트의 그루부가 요크의 볼트 조임 홀과 대응되는 위치까지 삽입되지 못하고 샤프트의 세레이션만 요크의 세레이션과 치결합된 상태(완전하지 못한 조립 상태)에서, 볼트를 볼트 조임 홀에 체결하여 조립을 마무리하게 되면, 샤프트와 요크가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샤프트의 그루부가 요크의 볼트 조임 홀과 대응되는 위치까지 삽입되지 못한 채로 볼트를 볼트 조임 홀에 체결하여 조립을 했다는 것을 당장 확인할 수 없게 된다. 즉, 종래의 조향 샤프트는, 오 조립되더라도 오 조립 사실을 확인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거나 충격 발생 이후, 요크와 샤프트가 빠져서, 요크 또는 샤프트가 헛돌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주행 중에 발생한다면 대단히 심각한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조향 샤프트(900)는 오 조립되더라도 샤프트(910)와 요크(930)가 함께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오조립 방지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출하 전에 조향휠만 회전시켜 보면, 오 조립 상태를 간단히 점검해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끝단에서 축 방향으로 토션바가 형성되고, 상기 토션바가 형성된 끝 지점부터 세레이션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세레이션이 형성된 끝 지점부터 요홈으로 그루브가 형성된 샤프트;
    상기 토션바가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슬립 부재; 및
    상기 슬립 부재가 결합된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에 형성된 세레이션과 치결합하기 위한 세레이션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와 볼트 결합을 하기 위한 볼트 조임 홀이 형성된 요크
    를 포함하는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부재는,
    축방향의 양측면이 뚫려있는 부쉬(Bush) 타입 또는 축방향의 한측면만 뚫려있는 캡(Cap)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부재는,
    축 방향으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삽입되는 링을 더 포함하는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바의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삽입되는 링을 더 포함하는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립 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과 상기 토션바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이 마주하여 만들어진 공간에 상기 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부재의 내주면은 확경되되,
    상기 토션바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이 형성된 지점과 대응되는 지점에서 확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바에 외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립 부재에는 상기 홈과 대응되는 돌출부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부재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스틸 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


KR1020110108568A 2011-10-24 2011-10-24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 KR101405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568A KR101405591B1 (ko) 2011-10-24 2011-10-24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
DE102012020796.4A DE102012020796B4 (de) 2011-10-24 2012-10-23 Lenkspindel mit einer Falschzusammenbauverhinderungsstruktur
US13/659,476 US8740712B2 (en) 2011-10-24 2012-10-24 Steering shaft with misassembly prevention structure
CN201210408529.8A CN103057580B (zh) 2011-10-24 2012-10-24 具有防止错装结构的转向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568A KR101405591B1 (ko) 2011-10-24 2011-10-24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483A true KR20130044483A (ko) 2013-05-03
KR101405591B1 KR101405591B1 (ko) 2014-06-10

Family

ID=4805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568A KR101405591B1 (ko) 2011-10-24 2011-10-24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40712B2 (ko)
KR (1) KR101405591B1 (ko)
CN (1) CN103057580B (ko)
DE (1) DE102012020796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159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6852B2 (en) * 2013-05-02 2015-12-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haft coupling assembly and method
FR3006400B1 (fr) * 2013-05-29 2015-06-19 Zf Systemes De Direction Nacam Sas Assemblage securise de deux pieces par vissage
US9581205B2 (en) * 2013-08-05 2017-02-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upling element with non-regular shaft interface
CN103387002A (zh) * 2013-08-16 2013-11-13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中间轴与转向器输入轴防错接结构
CN104494686B (zh) * 2014-12-03 2016-08-03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转向器总成以及汽车
US20180118259A1 (en) * 2016-10-31 2018-05-03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Torsion bar for a steering system assembly
WO2019049882A1 (ja) * 2017-09-07 2019-03-14 日本精工株式会社 トルク伝達軸
US11020827B2 (en) * 2018-03-08 2021-06-01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Torsion bar active length contr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1305808B2 (en) * 2020-06-22 2022-04-19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teering shaft clamp yoke with bolt blocking component
KR20220014527A (ko) * 2020-07-29 2022-02-07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4681A (en) 1952-08-28 1955-03-22 R fischer
US4124318A (en) 1978-03-23 1978-11-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Splined assembly with retaining rings
US4464137A (en) * 1982-12-21 1984-08-07 Sperry Corporation Clutch mechanism
FR2547372B1 (fr) * 1983-06-13 1985-08-30 Nacam Dispositif de detection de la position d'un arbre dans un element d'accouplement notamment une machoire de joint de cardan
JPS60102524U (ja) 1983-12-19 1985-07-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IT214267Z2 (it) 1988-02-18 1990-04-24 Fiat Auto Spa Anello di sicurezza per corretto collegamento dell albero inferiore comando sterzo al pignone scatola guida
JPH0740839A (ja) * 1993-07-29 1995-02-10 Fuji Kiko Co Ltd 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及びその製造方法
CA2219918A1 (en) * 1995-05-31 1996-12-05 David Thomas Wormall Shaft coupling
KR100764158B1 (ko) 2001-10-25 2007-10-05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 시스템의 슬라이딩장치
EP1338813B1 (en) * 2002-02-25 2006-11-0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Shaft coupling, preferably screw-less steering shaft coupling
CN101939206B (zh) * 2009-04-07 2013-02-13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轴结合结构
KR20110108568A (ko) 2010-03-29 2011-10-06 코지텍 주식회사 다단계 수위 조절이 가능한 사이펀여수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159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020796A1 (de) 2013-04-25
CN103057580B (zh) 2015-06-24
DE102012020796B4 (de) 2022-01-13
KR101405591B1 (ko) 2014-06-10
US20130102399A1 (en) 2013-04-25
CN103057580A (zh) 2013-04-24
US8740712B2 (en) 201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591B1 (ko)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
US8974140B2 (en) Rotational assembly
KR101686206B1 (ko) 자동차의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JP5402045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3263937B1 (en) Joint for torque transmission and worm reduction gear
US9863479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steering column to a steering gear housing
EP3763959B1 (en) Power transmitting shaft
WO2015146225A1 (ja) 動力伝達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60109016A1 (en) Joining structure of power source and transmission
EP3026274A1 (en) Tunable torque transmitting shaft
US20150167747A1 (en) Shaft-to-universal joint coupling structure
JP2006189095A (ja) 弾性継手及び自動車用ホイールの連結構造
JP2009281487A (ja) クランクシャフトと回転部材との連結構造
KR101411180B1 (ko)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
KR101631509B1 (ko) 유니버셜 조인트의 결합 구조체
JP2018016128A (ja) 伸縮シャフト
KR20130090177A (ko) 오조립 방지 구조를 구비한 조향 샤프트
JP2009299776A (ja) ウォーム減速機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3018370B1 (en) Torque transmitting shaft
JPWO2017033571A1 (ja) 動力伝達装置
JP6893614B2 (ja) 鋼管継手構造
KR102241990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
KR20170079711A (ko)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의 웜휠
KR102481279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중간축
JP5915375B2 (ja) トルク伝達用継手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