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870A -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장치 공유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장치 공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870A
KR20130043870A KR1020110108027A KR20110108027A KR20130043870A KR 20130043870 A KR20130043870 A KR 20130043870A KR 1020110108027 A KR1020110108027 A KR 1020110108027A KR 20110108027 A KR20110108027 A KR 20110108027A KR 20130043870 A KR20130043870 A KR 20130043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sharing
mobile terminal
termina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7610B1 (ko
Inventor
이강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8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610B1/ko
Priority to US13/647,927 priority patent/US20130100013A1/en
Priority to EP12189321.8A priority patent/EP2584428A3/en
Priority to CN201210404349.2A priority patent/CN103064818B/zh
Publication of KR20130043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6/00Detection of the display position w.r.t. other display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 휴대 단말기와 적어도 일부의 장치를 공유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장치 공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타 휴대 단말기와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타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타 휴대 단말기와 일부 장치를 공유하는 공유 모드를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공유함으로써, 동영상 재생 시 보다 큰 화면으로 시청할 수 있고, 공유 모드 시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는 조작 화면을 출력하고 다른 디스플레이에 상기 조작 화면을 통해 제어되는 실행 화면(예컨대 게임 화면, 문서 작성 화면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장치 공유 방법{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SHARING COMPONENT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 휴대 단말기와 적어도 일부의 장치를 공유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장치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동영상 재생, 게임 등 멀티미디어(Multimedia) 기능이 강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됨에 따라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Display) 크기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의 크기 증가에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연결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연결 기능은 휴대 단말기의 화면을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해주는 단순 기능만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연결 기능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를 휴대하고 다니거나, 타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유사한 폼 팩터(Form Factor)를 가지는 타 휴대 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공유하여 디스플레이를 확장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유사한 폼 팩터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들이 증가함에 따라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여 일부 장치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사한 폼 팩터(Form Factor)를 가지는 타 휴대 단말기와 적어도 일부 장치를 공유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장치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타 휴대 단말기와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타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타 휴대 단말기와 일부 장치를 공유하는 공유 모드를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장치 공유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타 휴대 단말기의 연결을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타 휴대 단말기의 연결 감지 시 상기 타 휴대 단말기와 일부 장치를 공유하는 공유 모드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장치 공유 방법은 휴대 단말기와 타 휴대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타 휴대 단말기가 일부 장치를 공유하는 공유 모드의 실행이 요청되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공유 모드 실행이 요청되면, 상기 공유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장치 공유 방법은 유사한 폼 팩터를 가지는 타 휴대 단말기와 일부 장치(예컨대 디스플레이, 배터리, 카메라 모듈, 센서 모듈 등)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공유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화면 크기 제약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운용하되, 각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동일한 화면을 각각 표시하거나, 각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연계하여 하나의 화면을 확장하여 표시하거나, 각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구분하여 다른 화면을 각각 표시하는 등과 같이 다양한 화면 운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들의 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공유하여 보다 큰 화면으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고, 게임 실행 시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게임 화면을 출력하고 다른 디스플레이에 게임 조작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문서 작성 시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가상 키패드를 포함하는 입력 화면을 출력하고, 다른 디스플레이에 문서 작성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를 공유함에 따라 연결된 어느 하나의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가 먼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 단말기들을 연결하여 디스플레이를 확장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장치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확장하여 동영상을 재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확장하여 게임을 수행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휴대 단말기 및 제2휴대 단말기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휴대 단말기(100) 및 제2휴대 단말기(200)는 유사한 폼 팩터(Form Factor)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 및 제2휴대 단말기(200)는 유사한 하드웨어 사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 및 제2휴대 단말기(200)는 풀 터치(Full-touch) 휴대 단말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및 바 타입 등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1휴대 단말기(100) 및 제2휴대 단말기(200)는 데이터 통신 채널 형성을 위한 제1인터페이스부(170/270) 및 제2인터페이스부(180/28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의 제1인터페이스부(170)를 제2휴대 단말기(200)의 제2인터페이스부(280)에 삽입하여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와 제2휴대 단말기(20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170/270)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170/270)는 평상 시 휴대 단말기(100/2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제2휴대 단말기(200)와 연결 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170/270)는 다수의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연결부(171) 및 제2인터페이스부(180/280)에 삽입되는 삽입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71)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172)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170/270)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170/270)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분리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 및 제2휴대 단말기(200)가 제1인터페이스부(170) 및 제2인터페이스부(280)를 통해 서로 연결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휴대 단말기(100) 및 제2휴대 단말기(200)는 공유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공유 모드는 적어도 일부 장치를 공유하는 모드이다. 상기 일부 장치는 휴대 단말기 및 타 휴대 단말기 각각에 포함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일부 장치는 동일 또는 유사한 사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부 장치는 디스플레이(예컨대 터치스크린), 배터리, 카메라 모듈 및 센서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공유 모드 시 다수의 디스플레이(예컨대 터치스크린, 130/230)를 공유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처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와 제2휴대 단말기(200)는 배터리를 공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170/270) 및 제2인터페이스부(180/280)는 적어도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라인 및 배터리 공유를 위한 배터리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디스플레이처럼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 및 제2휴대 단말기(200)는 BM 영역(10)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휴대 단말기(100)와 제2휴대 단말기(200)가 연결되었을 때, 터치스크린(130/23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와 제2휴대 단말기(200)를 고정하기 위한 클립(310, 32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클립(310, 320)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 클립(310)과 소정의 각도로 꺽여진 꺽임 클립(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들(310, 320)은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와 제2휴대 단말기(200)의 바디에 억지끼움되어 제1휴대 단말기(100)와 제2휴대 단말기(200)가 유동되지 않도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자형 클립(310)은 제1휴대 단말기(100)와 제2휴대 단말기(200)를 일자 형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일자형 클립(310)은 동영상 재생 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꺽임 클립(320)은 제1휴대 단말기(100)와 제2휴대 단말기(200)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꺽임 클립(320)은 공유 모드에서 게임 실행, 문서 작성 등과 같이 조작 화면과 실행 화면으로 분리된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클립들(310, 320)은 액세서리(Accessory)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립들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이 클립을 이용하여 제1휴대 단말기(100)와 제2휴대 단말기(200)를 고정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거치대를 이용하여 제1휴대 단말기(100)와 제2휴대 단말기(200)를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 및 제2휴대 단말기(200) 는 서로 고정할 수 있는 체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체결부(미도시)는 암수 체결 구조를 가지며, 제1휴대 단말기(100)의 암 체결부와 제2휴대단말기(200)의 수 체결부의 연결에 의해 고정되거나, 이와 반대로 제2휴대 단말기(200)의 암 체결부와 제1휴대 단말기(100)의 수 체결부의 연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170/270) 및 제2인터페이스부(180/280)가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라인 및 배터리 공유를 위한 배터리 라인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170) 및 제2인터페이스부(280)는 타 휴대 단말기의 연결 감지를 위한 검출 라인, 카메라 모듈 공유를 위한 카메라 라인, 각종 센서 모듈을 공유하기 위한 센서 라인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170/270) 및 제2인터페이스부(180/280)는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구분하기 위한 ID(IDentification)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제1휴대 단말기(100)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와 제2휴대 단말기(200)가 유사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휴대 단말기(100)는 제1인터페이스부(170), 제2인터페이스부(180), 체결부(190), 근거리 무선 통신부(160), 무선 통신부(150), 입력부(140), 터치스크린(130), 저장부(120) 및 제어부(11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표시 패널(131) 및 터치 패널(13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10)는 공유 모드 제어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기지국과 통화(음성 통화 및 화상 통화 포함)를 위한 통신 채널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통신 채널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미도시),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미도시) 및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를 분리하는 송수신 분리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가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0)는 숫자 또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력부(140)는 공유 모드 상태에서 입력되는 다양한 제어 신호(예컨대 동영상 재생 요청 신호, 게임 실행 신호)를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40)는 버튼식 키패드(Key Pad), 볼 조이스틱(Ball Joystick), 옵티컬 조이스틱(Optical Joystick), 휠 키(Wheel Key), 터치 키(Touch key),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스크린(130) 등과 같은 입력 수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입력 기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 패널(131) 및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패널(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31)은 제1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상기 표시 패널(131)은 제1휴대 단말기(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 화면(홈 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일정 관리 화면, 주소록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 패널(131)은 공유 모드에서 동영상 재생 시 분할된 제1동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동영상 재생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또는, 상기 표시 패널(131)은 공유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는 조작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131)은 게임 실행 시 게임 조작을 위한 게임 조작 화면을 출력하고, 문서 작성 모드 실행 시 문서 작성을 위한 가상 키보드 출력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131)은 공유 모드에서 게임 실행 시 게임 조작에 따른 게임 화면을 출력하고, 문서 작성 모드 실행 시 문서 작성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131)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132)은 표시 패널(131)의 전면에 장착되며, 터치 입력 장치 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등의 접촉에 따라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132)은 터치 입력 장치의 접촉에 따른 물리량(예컨대 정전 용량, 저항 등)의 변화를 통해 터치를 인식하고, 터치의 종류(탭(Tap), 드래그(Drag), 플릭(Flick), 더블 터치(Double-touch), 롱 터치(Long-touch), 멀티 터치(Multi-touch) 등) 및 터치된 위치 정보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터치 패널(132)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170)는 제2휴대 단말기(200)와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부로써, 평상 시 제1휴대 단말기(1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제2휴대 단말기(200)와 연결 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170)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170)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라인 및 배터리 공유를 위한 배터리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라인은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I2C(Inter Integrated Circuit) 등의 규격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170)는 카메라 모듈 공유를 위한 카메라 라인, 각종 센서 모듈 공유를 위한 센서 라인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170)는 연결된 휴대 단말기를 구분하기 위한 ID 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휴대 단말기(100)는 타 휴대 단말기들의ID 정보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 ID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각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IMEI, ESN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D라인을 구비하는 경우 본 발명은 연결된 휴대 단말기의 ID 정보를 인식한 후 인식된 ID 정보에 따라 공유 모드 시 제공되는 기능을 달리하거나, 공유되는 장치의 종류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180)는 제1인터페이스부(170)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180)는 제1휴대 단말기(100)에 타 휴대 단말기가 연결될 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의 제2인터페이스부(180)는 제2휴대 단말기(200)의 제1인터페이스부(27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60)는 근거리에서 휴대 단말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60)는 공유 모드 시 연결된 제2휴대 단말기(200)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한 공유 모드를 제공하는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한 후 사용자는 메뉴 또는 단축 키 등을 통해 공유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60)는 적어도 동영상 데이터를 지연없이 전송할 수 있는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가 유선 연결을 통한 공유 모드만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60)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90)는 제1휴대 단말기(100)와 제2휴대 단말기(200)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체결부(190)는 암수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휴대 단말기(100)의 수 체결부를 제2휴대 단말기(200)의 암 체결부에 삽입하여 제1휴대 단말기(100)와 제2휴대 단말기(200)를 체결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제2휴대 단말기(200)의 수 체결부를 제1휴대 단말기(100)의 암 체결부에 삽입하여 제1휴대 단말기(100)와 제2휴대 단말기(200)를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90)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부는 홈과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는 휴대 단말기(100, 200) 내부에 위치하고, 체결 시 사용자에 의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체결부는 휴대 단말기(100, 200)의 배면(표시부 반대 측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평판 막대와 상기 평판 막대가 삽입되는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1휴대 단말기(100)에서 평판 막대를 제거하고, 제1휴대 단말기(100)의 평판 막대가 삽입되는 홈에 제2휴대 단말기(200)의 평판 막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제2휴대 단말기(200)의 평판 막대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제1휴대 단말기(10)와 제2휴대 단말기(200)를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체결부(190)의 구조는 일 예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저장부(120)는 제1휴대 단말기(1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비롯하여,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방송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및 통신 시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20)는 터치스크린(130)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 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 맵, 쿼티 키 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동영상 파일, 게임 파일, 음악 파일, 영화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20)는 제1휴대 단말기(100)와 제2휴대 단말기(200)가 연결된 공유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공유 모드 응용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공유 모드 응용프로그램은 재생 요청된 동영상 데이터를 제1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30)에 표시할 제1동영상 데이터와 제2휴대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230)에 표시할 제2동영상 데이터로 분할하는 루틴, 게임 실행 시 게임 조작을 위한 게임 조작 화면을 제1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30)에 표시하고, 게임 실행 화면을 제2휴대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2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루틴, 문서 작성 모드 실행 시 문자 입력을 위한 가상 키보드 화면을 제1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30)에 표시하고, 문서 화면을 제2휴대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2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유 모드 응용프로그램은 카메라 모듈(미도시) 및 다양한 센서 모듈을 공유하여 사용하도록 제어하는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제1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제1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제2휴대 단말기(200)의 연결이 감지되는 경우 공유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제2휴대 단말기(200)의 연결을 감지하기 위한 검출 수단(예컨대 인터럽트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유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메인 제어부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공유 모드 제어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유 모드 제어부(111)는 제1휴대 단말기(100)와 제2휴대 단말기(200)가 연결된 경우 활성화되고, 연결 해제 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공유 모드 상태에서 동영상 재생 요청 시 상기 공유 모드 제어부(111)는 동영상 데이터를 2개로 분할하고, 제1동영상 데이터를 터치스크린(130)에 출력되고, 제2동영상 데이터를 제2휴대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유 모드 제어부(111)는 공유 모드 실행 시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는 조작 화면을 터치스크린(130)에 출력하고, 상기 키 조작에 의해 제어되는 화면을 제2휴대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실행이 요청된 경우 상기 공유 모드 제어부(111)는 게임 조작을 위한 다수의 조작 키를 포함하는 조작 화면을 터치스크린(130)에 출력하고, 게임 실행 화면을 제2휴대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유 모드 제어부(111)는 배터리(미도시)를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공유 모드 제어부(111)는 배터리 잔량이 많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에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유 모드 제어부(111)는 배터리 잔량이 제1기준값 미만인 경우 제2휴대 단말기(200)에 배터리의 공유를 요청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휴대 단말기(200) 역시 배터리의 잔량이 제1기준값 미만인 경우 제1휴대 단말기(100)에 배터리의 공유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2휴대 단말기(200)로부터 배터리 공유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공유 모드 제어부(111)는 자신의 배터리의 잔량이 제2기준값 이상인지 확인하고, 상기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2휴대 단말기(200)와 배터리를 공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제2휴대 단말기(200)에도 적용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터치스크린 및 배터리를 공유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가속도 센서, 지자계 센서, 모션 센서 등과 같은 센서 모듈을 공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3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는 위치 정보 수신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및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 통신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제1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확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확장하여 동영상을 재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상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확장하여 게임을 실행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401 단계에서 제2휴대 단말기(200)의 연결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와 제2휴대 단말기(200)는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선 케이블(예컨대 FPCB)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감지를 위하여,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는 검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 수단은 인터럽트(Interrupt) 단자가 될 수 있다. 상기 인터럽트 단자를 이용한 외부 장치 연결 감지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사용자는 제1휴대 단말기(100)의 체결부(190)를 이용하여 제2휴대 단말기(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클립(310, 320)을 이용하여 제1휴대 단말기(100)와 제2휴대 단말기(200)를 원하는 형태(일자 형태 또는 소정의 각도로 꺽인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휴대 단말기(200)의 연결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403 단계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음악 재생 기능, 방송 수신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등을 수행하거나,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2휴대 단말기(200)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405 단계에서 공유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공유 모드는 연결된 제2휴대 단말기(200)와 일부 장치를 공유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상기 공유 모드는 연결된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모드이다. 상기 공유 모드가 실행 시 상기 제1휴대 단말기의 제어부(110)가 메인 제어부가 되고, 제2휴대 단말기(200)의 제어부(210)는 부제어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유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 및 제2휴대 단말기(200)는 배터리를 공유할 수 있다. 이는 제1휴대 단말기(100) 또는 제2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가 먼저 소모되어 터치스크린을 공유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의 배터리와 상기 제2휴대 단말기(200)의 배터리는 상기 유선 케이블(예컨대 FPCB)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407 단계에서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411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409 단계에서 제어 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는 공유모드 제어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유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동영상 재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의 공유모드 제어부(111)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된 2개의 터치스크린에 동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의 공유 모드 제어부(111)는 동영상 데이터를 2개로 분할하고, 제1동영상 데이터를 제1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30)에 전송하고, 제2동영상 데이터를 제2휴대 단말기(200)에 전송하여 제2휴대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230)에 상기 제2동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유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게임이 실행되면,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의 공유 모드 제어부(111)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바와 같이 제1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30)에 게임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키를 포함하는 게임 조작 화면을 출력하고, 제2휴대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230)에 게임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문서 작성 모드 시 상기 공유 모드 제어부(111)는 제1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30)에 가상 키패드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제2휴대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230)에 문서 작성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411 단계에서 연결이 해제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연결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407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10)는 413 단계에서 공유 모드를 종료하고, 일반 모드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공유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타 휴대 단말기 각각에 포함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일부 장치를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부 장치는 동일 또는 유사한 사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은 듀얼 카메라를 이용하여 3D(Dimension)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거나, 듀얼 카메라를 통해 해상도가 큰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각 카메라에서 입력되는 영상 중 중복되는 영상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 지자계 센서, 모션 센서 등을 공유함에 따라 좀 더 정확한 센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휴대 단말기(100) 및 제2휴대 단말기(200)가 3축 가속도 센서를 가지는 경우 본 발명은 공유 모드 시 6축 가속도 센서를 가지는 것과 유사한 효과 즉,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유선으로 휴대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과 같이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휴대 단말기(100)와 제2휴대 단말기(200)가 연결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공유 모드의 실행이 요청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공유 모드 실행이 요청되면, 상기 공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공유 모드의 실행은 기 설정된 메뉴 또는 단축키 등을 통해 요청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2 개의 휴대 단말기를 연결하여 디스플레이를 확장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2개 이상의 휴대 단말기들이 연결된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장치 공유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장치 공유 방법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제어부
120 : 저장부 130 : 터치스크린
140 : 입력부 170 : 제1인터페이스부
180 : 제2인터페이스부 111 : 공유 모드 제어부
190 : 체결부

Claims (21)

  1. 타 휴대 단말기와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타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타 휴대 단말기와 일부 장치를 공유하는 공유 모드를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장치는
    터치스크린, 배터리, 카메라 모듈 및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타 휴대 단말기 각각에 포함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타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제1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와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며, 타 휴대 단말기가 연결되는 제2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영상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라인 및 배터리 공유를 위한 배터리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카메라 모듈을 공유하기 위한 카메라 라인, 센서 모듈을 공유하기 위한 센서 라인 및 상기 타 휴대 단말기의 연결 감지를 위한 검출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모드 상태에서 동영상 재생 요청 시 동영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제1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고, 제2동영상 데이터를 상기 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타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유 모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는 조작 화면을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 조작에 의해 제어되는 화면을 상기 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여 상기 타 휴대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 휴대 단말기와 고정을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타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는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일자형 클립 및 소정의 각도로 꺽여진 꺽임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타 휴대 단말기는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타 휴대 단말기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일부 장치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휴대 단말기의 장치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타 휴대 단말기의 연결을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타 휴대 단말기의 연결 감지 시 상기 타 휴대 단말기와 일부 장치를 공유하는 공유 모드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장치 공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장치는
    터치스크린, 배터리, 카메라 모듈 및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장치 공유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타 휴대 단말기 각각에 포함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모드에서 동영상 재생이 요청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가 동영상 데이터를 제1동영상 데이터 및 제2동영상 데이터로 분할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제1동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제2동영상 데이터를 연결된 타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타 휴대 단말기가 제2동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장치 공유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모드 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는 조작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타 휴대 단말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에 의해 제어되는 화면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장치 공유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타 휴대 단말기가 배터리 잔량이 제1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타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배터리 공유를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장치 공유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타 휴대 단말기가 배터리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배터리 잔량이 제2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타 휴대 단말기가 상기 타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배터리를 공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장치 공유 방법.
  20. 휴대 단말기의 장치 공유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와 타 휴대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타 휴대 단말기가 일부 장치를 공유하는 공유 모드의 실행이 요청되는지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공유 모드 실행이 요청되면, 상기 공유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장치 공유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타 휴대 단말기 각각에 포함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장치 공유 방법.
KR1020110108027A 2011-10-21 2011-10-21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장치 공유 방법 KR101897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027A KR101897610B1 (ko) 2011-10-21 2011-10-21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장치 공유 방법
US13/647,927 US20130100013A1 (en) 2011-10-21 2012-10-09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of sharing a component thereof
EP12189321.8A EP2584428A3 (en) 2011-10-21 2012-10-19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of sharing a component thereof
CN201210404349.2A CN103064818B (zh) 2011-10-21 2012-10-22 便携式终端和共享其组件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027A KR101897610B1 (ko) 2011-10-21 2011-10-21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장치 공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870A true KR20130043870A (ko) 2013-05-02
KR101897610B1 KR101897610B1 (ko) 2018-09-12

Family

ID=47598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027A KR101897610B1 (ko) 2011-10-21 2011-10-21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장치 공유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100013A1 (ko)
EP (1) EP2584428A3 (ko)
KR (1) KR101897610B1 (ko)
CN (1) CN103064818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8862A1 (ko) * 2013-06-24 2014-12-31 Kwon O-Hyeong 디바이스들 간 자원 공유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디바이스
WO2016072635A1 (en) * 2014-11-03 2016-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20160082282A (ko) * 2014-12-29 2016-07-08 김호철 화면 결합을 이용한 확장성을 갖는 스마트 디바이스
KR101682819B1 (ko) * 2015-07-06 2016-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센서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8365B2 (en) * 2012-11-22 2016-05-24 John Archie Gillis Modular computer units
US20150092328A1 (en) * 2013-09-30 2015-04-02 Yi-Ting Chen Mobile appliance with an extendable second display
CN105611010B (zh) * 2016-03-25 2018-08-24 银隆新能源股份有限公司 移动通信终端
CN107479822B (zh) * 2017-09-08 2020-05-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输入方法和终端
CN111367571B (zh) * 2020-02-27 2024-09-10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设备的组装方法及装置
CN113419615A (zh) * 2021-06-21 2021-09-21 重庆立讯时刻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科技信息共享终端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393A (ko) * 2005-01-07 2007-10-25 애플 인크. 전자 장치에 대한 액세서리 인증
US20110230178A1 (en) * 2010-03-17 2011-09-22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ple, interchangeable second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095B1 (ko) * 2001-04-06 2003-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CN1316388C (zh) * 2003-02-12 2007-05-16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适用于电脑对电脑传输的usb控制电路及其作业方法
FR2875030B1 (fr) * 2004-09-08 2006-11-24 Canon Kk Procede de visualisation d'une sequence de partage de donnees et dispositif de partage correspondant
KR20070034767A (ko) * 2005-09-26 2007-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표시영역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간의 데이터 표시 방법
US8300022B2 (en) * 2009-01-09 2012-10-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ally reconfigurable touch screen displays
KR101606707B1 (ko) * 2009-01-30 2016-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9213480B2 (en) * 2010-04-08 2015-12-1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joining the displays of multiple devices
US20120086658A1 (en) * 2010-10-08 2012-04-12 Payam Moradian Tablet computer with option for one or two screens
US8823640B1 (en) * 2010-10-22 2014-09-02 Scott C. Harris Display reconfiguration and expansion across multiple devices
US10033718B2 (en) * 2011-01-05 2018-07-24 Lenovo (Singapore) Pte. Ltd. Pairing of base and detachabl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393A (ko) * 2005-01-07 2007-10-25 애플 인크. 전자 장치에 대한 액세서리 인증
US20110230178A1 (en) * 2010-03-17 2011-09-22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ple, interchangeable second device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8862A1 (ko) * 2013-06-24 2014-12-31 Kwon O-Hyeong 디바이스들 간 자원 공유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디바이스
WO2016072635A1 (en) * 2014-11-03 2016-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9766849B2 (en) 2014-11-03 2017-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10353656B2 (en) 2014-11-03 201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KR20160082282A (ko) * 2014-12-29 2016-07-08 김호철 화면 결합을 이용한 확장성을 갖는 스마트 디바이스
KR101682819B1 (ko) * 2015-07-06 2016-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센서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64818B (zh) 2018-06-05
EP2584428A3 (en) 2016-01-06
KR101897610B1 (ko) 2018-09-12
US20130100013A1 (en) 2013-04-25
CN103064818A (zh) 2013-04-24
EP2584428A2 (en) 2013-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61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장치 공유 방법
US10712938B2 (en)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of portable device
KR101789332B1 (ko) 휴대단말기에서 홈 스크린을 표시하는 방법
KR102131257B1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멀티윈도우 제어방법
KR101990567B1 (ko) 외부 입력 장치와 결합된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01288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hat window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102022288B1 (ko) 터치 입력 방법 및 휴대 단말
US10642408B2 (en) Mobile terminal having an underwater mode
KR101654553B1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30053185A (ko) 전자기기들 간의 상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50606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서 독서 실행 방법 및 장치
US20150160731A1 (en) Method of recognizing gesture through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WI559759B (zh) 進度指示列的顯示方法和相關裝置
JP6027694B2 (ja) スライド操作応答方法、スライド操作応答装置、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40281962A1 (en) Mobile device of executing action in display unchecking mod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90114133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lurality of displays and control method
US20150128031A1 (en) Contents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20140134088A (ko) 전자장치의 사용 방법 및 장치
KR20150002312A (ko)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US10331325B2 (en) Mobile device having parallax scroll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06354B1 (ko) 전자장치에서 터치 입력을 이용한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40195990A1 (en) Mobile device system providing hybrid widget and associated control
KR20140007607A (ko) 휴대 단말기의 부가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2425957B1 (ko) 종료 효과를 표시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5118483A (ja) 表示装置、表示連携システム、表示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