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553B1 -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553B1
KR101654553B1 KR1020110136100A KR20110136100A KR101654553B1 KR 101654553 B1 KR101654553 B1 KR 101654553B1 KR 1020110136100 A KR1020110136100 A KR 1020110136100A KR 20110136100 A KR20110136100 A KR 20110136100A KR 101654553 B1 KR101654553 B1 KR 101654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ortable terminal
area
reflection area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8749A (ko
Inventor
한성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6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553B1/ko
Priority to US13/713,893 priority patent/US8902187B2/en
Priority to ES12197274T priority patent/ES2746226T3/es
Priority to EP12197274.9A priority patent/EP2605119B1/en
Priority to JP2012274414A priority patent/JP6113490B2/ja
Priority to CN201810524228.9A priority patent/CN108733303B/zh
Priority to CN201210548373.3A priority patent/CN103164156B/zh
Publication of KR20130068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의 일부 영역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 전체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터치스크린의 분할된 다수의 터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에서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상기 다수의 터치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가 반영되는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상기 결정된 터치 반영 영역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OUCH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의 일부 영역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 전체 영역에 대하여 터치 입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통화 기능, 음악 재생 기능,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능,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동영상 재생, 게임 등 멀티미디어(Multimedia) 기능이 강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됨에 따라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Display) 크기가 증가하고 있으며, 입력의 편의성으로 인하여 터치스크린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손가락과 같은 터치입력장치로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여 터치 입력을 수행해야만 한다. 하지만, 상기 터치스크린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한 손으로 터치스크린의 모든 영역을 터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상기 휴대 단말기를 그립(Grip)한 손으로 터치스크린의 모든 영역을 터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양손을 이용하거나, 휴대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사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한 손으로 터치스크린의 모든 영역에 대하여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를 잡고있는 손으로 터치스크린의 모든 영역을 터치할 수 없는 상황에서 터치스크린의 일부 영역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 전체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은 터치스크린의 분할된 다수의 터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에서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상기 다수의 터치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가 반영되는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상기 결정된 터치 반영 영역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는 다수의 터치 영역들로 분할되는 터치스크린;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다수의 터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상기 다수의 터치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가 반영되는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터치가 감지된 터치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상기 결정된 터치 반영 영역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로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는 터치스크린을 다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통해 터치스크린 전체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손가락이 닿지 않는 영역을 직접 터치하지 않고도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센서부(170), 무선 통신부(150), 입력부(140), 터치스크린(130), 저장부(120) 및 제어부(11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표시 패널(131) 및 터치 패널(13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10)는 기울기 감지부(111), 터치 반영 영역 결정부(112), 좌표 변환부(113), 기능 수행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기지국과 통화(음성 통화 및 화상 통화 포함)를 위한 통신 채널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통신 채널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미도시),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미도시) 및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를 분리하는 송수신 분리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0)는 숫자 또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력부(140)는 한손 터치 모드를 온/오프(ON/OFF)하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40)는 버튼식 키패드(Key Pad), 볼 조이스틱(Ball Joystick), 옵티컬 조이스틱(Optical Joystick), 휠 키(Wheel Key), 터치 키(Touch key),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스크린(130) 등과 같은 입력 수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입력 기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 패널(131) 및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패널(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31)은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상기 표시 패널(131)은 휴대 단말기(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 화면(홈 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일정 관리 화면, 주소록 화면, 웹 페이지 출력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 패널(131)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다양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131)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132)은 표시 패널(131)의 전면에 장착되며, 터치 입력 장치 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등의 접촉에 따라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132)은 터치 입력 장치의 접촉에 따른 물리량(예컨대 정전 용량, 저항 등)의 변화를 통해 터치를 인식하고, 터치의 종류(탭(Tap), 드래그(Drag), 플릭(Flick), 더블 터치(Double-touch), 롱 터치(Long-touch), 멀티 터치(Multi-touch) 등) 및 터치된 위치 정보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터치 패널(132)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132)의 터치 영역은 한손 터치 모드 시 다수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패널(132)은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터치, 터치 이동, 터치 해제 등)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 이벤트를 상기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다양한 상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서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상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70)는 적어도 상하좌우 네 방향에 대한 기울기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70)는 한손 터치 모드에서 다수의 터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터치 감지 시 활성화되어,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센서값)를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70)는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ravity Sensor)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휴대 단말기(1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비롯하여,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방송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및 통신 시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20)는 터치스크린(130)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 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 맵, 쿼티 키 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동영상 파일, 게임 파일, 음악 파일, 영화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20)는 한손 터치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한손 터치 모드 응용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한손 터치 모드 응용프로그램은 한손 터치 모드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루틴, 상기 한손 터치 모드 온 시 다수의 터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터치 감지 시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변화를 검출하는 루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반영 영역을 결정하는 루틴, 상기 터치 감지된 영역에서 입력되는 터치 좌표를 상기 결정된 터치 반영 영역의 터치 좌표로 변환하는 루틴,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휴대 단말기(100)가 상하 좌우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값은 20도가 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은 절대값이 아닌 상대적인 값으로, 다수의 터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터치가 감지된 시점에서의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상태에서 변화된 정도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기능키 신호 또는 메뉴를 통한 선택 신호 입력에 따라 터치스크린(130) 상의 다수의 터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통해 터치스크린(130) 전체 영역에 대한 터치를 입력할 수 있는 한손 터치 모드를 온/오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한손 터치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기울기 감지부(111), 터치 반영 영역 결정부(112), 좌표 변환부(113), 기능 수행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울기 감지부(111)는 센서부(17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울기 감지부(111)는 터치가 감지되었을 때의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상태를 기준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상하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기울기가 기 설정된 기준값(예컨대 20도) 이상으로 변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상하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20도 이상 회전되는 경우 상기 기울기 감지부(111)는 기울기 변경을 알리는 신호(이하 기울기 변경 신호)를 터치 반영 영역 결정부(112)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반영 영역 결정부(112)는 상기 기울기 감지부(111)로부터 수신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다수의 터치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반영 영역 결정부(112)는 2행 2열로 배열된 터치 영역들 중 좌측 하단에 위치하는 터치 영역(예컨대 도 3의 제3영역(3))이 터치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터치 반영 영역 결정부(112)는 2행 2열로 배열된 터치 영역들 중 좌측 하단에 위치하는 터치 영역(예컨대 도 3의 제3영역(3))이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우측으로 기울여지는 경우 상기 터치된 영역(3)의 우측에 위치하는 영역(예컨대 도 3의 제4영역(4))을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상측으로 기울여지는 경우 상기 터치된 영역(3)의 상측에 위치하는 영역(예컨대 도 3의 제1영역(1))을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우측 및 상측으로 기울여지는 경우 상기 터치된 영역(3)의 대각선에 위치하는 영역(예컨대 도 3의 제2영역(2))을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반영 영역 결정부(112)는 기울기 변경 신호에 따라 결정된 터치 반영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터치 반영 영역 결정부(112)는 기울기 변경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이전의 결정된 터치 반영 영역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좌표 변환부(113)는 상기 터치 반영 영역이 결정되면, 상기 터치가 감지된 영역의 터치 좌표를 상기 결정된 터치 반영 영역의 터치 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의 터치 영역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하나의 터치 영역의 가로(X축) 크기 및 세로(Y축) 크기가 100 X 200의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면, 상기 좌표 변환부(113)는 상기 터치 반영 영역이 터치 감지 영역의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X축 좌표에 100을 더하여 좌표를 변환하고, 상기 터치 반영 영역이 터치 감지 영역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Y축 좌표에 200을 더하여 좌표를 변환하며, 상기 터치 반영 영역이 터치 감지 영역의 우상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X축 좌표에 100을 더하고, Y축 좌표에 200을 더하여 좌표를 변환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좌표 변환부(113)는 상기 터치 반영 영역이 터치 감지 영역의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 X축 좌표에 100을 감하여 좌표를 변환하고, 상기 터치 반영 영역이 터치 감지 영역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Y축 좌표에 200을 감하여 좌표를 변환하며, 상기 터치 반영 영역이 터치 감지 영역의 좌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X축 좌표에 100을 감하고, Y축 좌표에 200을 감하여 좌표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영역과 터치 반영 영역이 동일한 경우 상기 좌표 변환 과정은 수행되지 않는다.
상기 기능 수행부(114)는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한손 터치 모드 상태에서 상기 기능 수행부(114)는 상기 좌표 변환부(113)로부터 전달되는 좌표에 링크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능 수행부(114)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상기 터치 감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반영 영역에 링크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위치 정보 수신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및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 통신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201 단계에서 한손 터치 모드가 실행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한손 터치 모드는 상기 터치스크린(130)의 터치 영역을 다수의 터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다수의 터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130)의 전체 영역에 대한 터치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드이다.
상기 한손 터치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203 단계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음악 재생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종래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130)의 터치 영역을 분할하지 않는 일반 터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한손 터치 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5 단계에서 상기 다수의 터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서 터치가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터치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215 단계로 진행한다. 반면에 상기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207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가 상하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170)를 활성화하고, 상기 센서부(170)로부터 입력되는 기울기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터치가 감지된 시점에서의 휴대 단말기(100) 기울기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기준값(예컨대 20도) 이상 기울어져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211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터치 반영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기울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상기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가 감지된 영역의 특정 위치에서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위치에서의 터치 해제 이벤트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된 영역의 특정 위치에서 터치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롱 터치 이벤트로 인식하고, 상기 특정 위치에서의 롱 터치 이벤트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 이동 이벤트에 따라 웹 페이지를 이동시키거나, 스트레치 제스처(Stretch Gesture) 및 핀치 제스처(Pinch Gesture)에 따라 웹 페이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반면에, 2행 2열로 터치 영역이 분할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우측으로 기울어진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된 영역의 우측 영역을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상측으로 기울어진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된 영역의 상측 영역을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터치 반영 영역의 결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3 단계에서 터치 감지된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상기 결정된 터치 반영 영역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로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좌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표 변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 감지된 영역에서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 해제된 위치의 좌표를 상기 결정된 터치 반영 영역의 좌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좌표에서의 터치 해제 이벤트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감지된 영역에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좌표를 상기 결정된 터치 반영 영역의 좌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좌표에서의 롱 터치 이벤트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이벤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215 단계에서 한손 터치 모드가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한손 터치 모드가 종료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205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한손 터치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한손 터치 모드 제어를 종료하고, 일반 터치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웹 페이지가 출력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터치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든 화면에서 적용 가능함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2행 2열 즉, 4개의 터치 영역으로 구분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3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30) 상에 웹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 부호 3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4개의 터치 영역들(1, 2, 3, 4)을 구분하는 점선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화면 상에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110)는 상기 점선의 표시 여부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점선의 표시를 온/오프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웹 페이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4개의 터치 영역들(1, 2, 3, 4) 중 어느 하나의 영역 예컨대 제4영역(4)을 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영역(4)이 터치된 시점에서의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상태에서 상기 기준값 이상으로 기울기 상태가 변화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가 감지된 제4영역(4)을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변경없이 터치 해제 이벤트, 롱 터치 이벤트 또는 터치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 해제 이벤트, 롱 터치 이벤트 또는 터치 이동 이벤트를 제4영역(4)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에 링크(Link)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링크된 기능을 수행하고, 롱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다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팝업창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터치 이동에 대응하여 터치스크린(130)에 출력된 웹 페이지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터치된 제4영역(4)이 아닌 타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를 특정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부호 32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영역(1) 방향으로 휴대 단말기(100)를 기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임은 롱 터치 이벤트 인식을 위하여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영역(1) 방향으로의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변경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제1영역(1)을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하고, 제4영역(4)의 터치 입력을 제1영역(1)의 터치 입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좌표 변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변환된 좌표에 링크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링크가 선택되었음을 알리기 위하여 상기 링크를 하이라이트(Highlight)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32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보" 링크를 하이라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33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보" 링크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 부호 32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일정 시간 이상 터치가 유지되는 롱 터치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롱 터치 이벤트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34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속보" 링크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다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창(3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속보" 링크의 롱 터치 이벤트 인식을 위한 일정 시간은 제4영역(4)의 터치 시점이 아닌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변경이 감지된 시점부터 카운트될 수 있다.
한편, 상기 1영역(1)이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 된 후 상기 일정 시간 이내에 터치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제4영역(4)에서의 터치 이동에 따라 제1영역(1)의 하이라이트를 상기 터치 이동 방향의 다음 링크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부호 35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제4영역(4)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동 이벤트에 따라 제1영역(1)의 "속보" 링크에 위치하는 하이라이트를 "정치" 링크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식별 부호 35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일정 시간 이내에 터치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36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정치" 링크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속보" 링크에서 "정치" 링크로 터치 이동한 후 일정 시간이상 터치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정치" 링크에 대하여 수행 가능한 다수의 메뉴를 포함하는 메뉴창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정치" 링크에 대한 롱 터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제4영역(4)에서 터치 이동이 멈춘 시점부터 터치 유지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에서는 제4영역(4)을 이용하여 제1영역(1)에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은 다수의 터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이용하여 타 영역에 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웹 페이지가 출력된 화면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화면에서 적용 가능함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2행 2열 즉, 4개의 터치 영역으로 구분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4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30) 상에 웹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 부호 4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4개의 터치 영역들(1, 2, 3, 4)을 구분하는 점선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화면 상에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110)는 상기 점선의 표시 여부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점선의 표시를 온/오프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웹 페이지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4개의 터치 영역들(1, 2, 3, 4) 중 어느 하나의 영역 예컨대 제4영역(4)을 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영역(4)이 터치된 시점에서의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상태에서 상기 기준값 이상으로 기울기 상태가 변화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가 감지된 제4영역(4)을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변경없이 터치 해제 이벤트, 롱 터치 이벤트 또는 터치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해제 이벤트, 롱 터치 이벤트 또는 터치 이동 이벤트를 제4영역(4)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된 제4영역(4)이 아닌 타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를 특정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부호 42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영역(1) 방향으로 휴대 단말기(100)를 기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임은 롱 터치 이벤트 인식을 위하여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영역(1) 방향으로의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변경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제1영역(1)을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하고, 제4영역(4)의 터치입력을 제1영역(1)의 터치 입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좌표 변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변환된 좌표에 그래픽 객체(Graphic Object, 40) 예컨대 화살표 모양의 이미지(40)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식별 부호 42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식별 부호 43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링크를 선택하기 위하여 제4영역(4)에서 터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4영역(4)에서 터치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1영역(1)의 그래픽 객체(40)를 이동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래픽 객체(40)가 링크 정보를 가지는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43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객체(40)의 모양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상태가 변화되어 터치 반영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객체(40)를 상기 변경된 터치 반영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과의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도 4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4영역(4)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상기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된 제1영역(1)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로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30)의 터치 영역은 3행 2열로 배열된 6개의 터치 영역들(11, 12, 13, 14, 15, 16)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도 5의 식별 부호 5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6개의 터치 영역들(11, 12, 13, 14, 15, 16) 중 제6영역(16)이 터치된 상태에서 상측 방향으로 휴대 단말기(100)가 기울어지는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제4영역(14)을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하고, 좌표 변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52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된 좌표에 그래픽 객체(40)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제4영역(14)에 그래픽 객체(40)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식별 부호 520과 같은 상태에서 상측 기울기가 기 설정된 일정 시간(예컨대 1초)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53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12)을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하고, 좌표 변환 절차를 수행한 후 그래픽 객체(40)를 제2영역(1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 부호 520과 같은 상태에서 좌측으로 휴대 단말기(100)가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54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영역(13)을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하고, 좌표 변환 절차를 수행한 후 그래픽 객체(40)를 제3영역(1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상태 변화에 따라 결정되는 터치 반영 영역으로 상기 그래픽 객체(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상태 감지를 통해 상기 터치 반영 영역의 선택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를 원래의 기울기(예컨대 제6영역(16)에서 터치가 감지되었을 때의 기울기)로 복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롱 터치 이벤트를 인식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가 복원된 시점부터 터치 유지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가 복원된 이후의 과정은 상기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유사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55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영역(16)에서의 터치 이동 이벤트에 따라 제4영역(14)의 그래픽 객체(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터치 해제 이벤트, 롱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른 기능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5에서는 그래픽 객체(40)의 이동을 통해 결정된 터치 반영 영역을 사용자가 인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결정된 터치 반영 영역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정된 터치 반영 영역을 타 영역과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선택되는 터치 반영 영역 전체를 하이라이트표시하고,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가 원상태로 돌아오는 경우 상기 터치 반영 영역의 하이라이트를 제거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선택되는 터치 반영 영역의 명암을 다르게 표시하고,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가 원상태로 돌아오는 경우 선택된 터치 반영 영역의 명암을 원래대로 복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 단말기 110 : 제어부
120 : 저장부 130 : 터치스크린
140 : 입력부 150 : 무선통신부
170 : 센서부 111 : 기울기 감지부
112 : 터치 반영 영역 결정부 113 : 좌표 변환부
114 : 기능 수행부 131 : 표시패널
132 : 터치패널 40 : 그래픽 객체

Claims (20)

  1.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의 분할된 다수의 터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에서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상기 다수의 터치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가 반영되는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상기 결정된 터치 반영 영역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반영 영역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로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가 감지된 영역의 터치 좌표를 상기 결정된 터치 반영 영역의 터치 좌표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반영 영역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로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된 터치 좌표에 링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링크를 하이라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가 감지된 터치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동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하이라이트를 타 링크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반영 영역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로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변환된 터치 좌표에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객체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 변화에 따라 결정되는 터치 반영 영역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반영 영역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로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터치가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해제되는 경우 상기 변환된 터치 좌표에서의 터치 이벤트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터치가 상기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변환된 터치 좌표에서의 롱 터치 이벤트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 영역을 상기 다수의 터치 영역으로 분할하여 터치 입력을 제어하는 한손 터치 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한손 터치 모드 활성화 시 상기 한손 터치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한손 터치 모드 비활성화 시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 영역을 분할하지 않는 일반 터치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가 감지된 시점에서의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 변경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터치 반영 영역을 타 터치 영역들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가 변경된 후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가 이전 상태로 복원되는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11.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터치 영역들로 분할되는 터치스크린;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다수의 터치 영역들 중 어느 하나의 터치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상기 다수의 터치 영역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터치가 감지된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가 반영되는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터치가 감지된 터치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상기 결정된 터치 반영 영역에서 발생한 터치 이벤트로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반영 영역 결정 시 상기 터치가 감지된 터치 영역의 터치 좌표를 상기 결정된 터치 반영 영역의 터치 좌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터치 좌표에 링크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링크를 하이라이트하고, 상기 터치가 감지된 터치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동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하이라이트를 타 링크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터치 좌표에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 변화에 따라 결정되는 터치 반영 영역으로 상기 그래픽 객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반영 영역 결정 후 상기 감지된 터치가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해제되는 경우 상기 변환된 터치 좌표에서의 터치 이벤트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감지된 터치가 상기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변환된 터치 좌표에서의 롱 터치 이벤트에 할당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 영역을 상기 다수의 터치 영역으로 분할하여 터치 입력을 제어하는 한손 터치 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한손 터치 모드 활성화 시 상기 한손 터치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한손 터치 모드 비활성화 시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 영역을 분할하지 않는 일반 터치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가 감지된 시점에서의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기 설정된 기준값 이상 변경되는 경우 상기 터치 반영 영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결정된 터치 반영 영역을 타 터치 영역들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가 변경된 후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가 이전 상태로 복원되었을 때 상기 변경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상태에 매핑된 터치 영역을 상기 터치 반영 영역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장치.
KR1020110136100A 2011-12-16 2011-12-16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654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100A KR101654553B1 (ko) 2011-12-16 2011-12-16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US13/713,893 US8902187B2 (en) 2011-12-16 2012-12-13 Touch input method and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ES12197274T ES2746226T3 (es) 2011-12-16 2012-12-14 Procedimiento de entrada táctil y aparato de terminal portátil
EP12197274.9A EP2605119B1 (en) 2011-12-16 2012-12-14 Touch input method and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JP2012274414A JP6113490B2 (ja) 2011-12-16 2012-12-17 携帯端末機のタッチ入力方法及び装置
CN201810524228.9A CN108733303B (zh) 2011-12-16 2012-12-17 便携式终端的触摸输入方法和设备
CN201210548373.3A CN103164156B (zh) 2011-12-16 2012-12-17 便携式终端的触摸输入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100A KR101654553B1 (ko) 2011-12-16 2011-12-16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749A KR20130068749A (ko) 2013-06-26
KR101654553B1 true KR101654553B1 (ko) 2016-09-07

Family

ID=47563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100A KR101654553B1 (ko) 2011-12-16 2011-12-16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02187B2 (ko)
EP (1) EP2605119B1 (ko)
JP (1) JP6113490B2 (ko)
KR (1) KR101654553B1 (ko)
CN (2) CN103164156B (ko)
ES (1) ES274622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95799A1 (en) 2009-05-21 2010-11-2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Touch screen disambiguation based on prior ancillary touch input
JPWO2012161237A1 (ja) * 2011-05-24 2014-07-31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14123261A1 (ko) * 2013-02-07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CN104583903B (zh) * 2013-11-26 2018-08-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防止触摸误操作的方法、系统和终端
KR20150069801A (ko) * 2013-12-16 2015-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342184B2 (en) * 2013-12-23 2016-05-17 Lenovo (Singapore) Pte. Ltd. Managing multiple touch sources with palm rejection
JP6408241B2 (ja) * 2014-04-18 2018-10-1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CN104298462A (zh) * 2014-09-22 2015-01-2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单手操作智能终端的方法及装置
CN104820536A (zh) * 2015-03-02 2015-08-05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终端中触发元素的处理方法及装置
JP6696737B2 (ja) 2015-06-26 2020-05-20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168895B2 (en) 2015-08-04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put control on a touch-sensitive surface
JP6569546B2 (ja) * 2016-01-28 2019-09-04 富士通コネクテッド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11381760B (zh) * 2018-12-27 2022-05-17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5922B2 (ja) * 1992-05-29 1997-02-26 日立ソフトウエア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子黒板装置
US7800592B2 (en) * 2005-03-04 2010-09-21 Apple Inc.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touch sensing devices
US6798429B2 (en) * 2001-03-29 2004-09-28 Intel Corporation Intuitive mobile device interface to virtual spaces
US6847351B2 (en) * 2001-08-13 2005-01-25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bile, Llc Tilt-based pointing for hand-held devices
EP1903425A4 (en) * 2005-07-08 2010-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SENSITIVE PANEL DISPLAY DEVICE AND PORTABLE APPARATUS
US8462109B2 (en) * 2007-01-05 2013-06-11 Invensense, Inc. Controlling and accessing content using motion processing on mobile devices
US20090262074A1 (en) * 2007-01-05 2009-10-22 Invensense Inc. Controlling and accessing content using motion processing on mobile devices
JP4412737B2 (ja) * 2007-09-06 2010-02-10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JP2009169820A (ja) * 2008-01-18 2009-07-30 Panasonic Corp 携帯端末
KR101359233B1 (ko) * 2008-07-01 201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488532B1 (ko) * 2008-08-26 201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US20100146460A1 (en) * 2008-12-10 2010-06-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a plurality of key input regions based on detected tilt and/or rate of tilt of an electronic device
JP5423686B2 (ja) * 2008-12-25 2014-02-19 富士通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WO2010110550A1 (en) * 2009-03-23 2010-09-30 Core Logic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keyboard
KR20110058182A (ko) * 2009-11-26 2011-06-01 정기현 움직임 감지 센서를 사용한 휴대용 단말기 구동방법
CN102279647A (zh) * 2011-06-20 2011-12-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实现光标移动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05119A2 (en) 2013-06-19
US8902187B2 (en) 2014-12-02
EP2605119B1 (en) 2019-09-04
CN103164156B (zh) 2018-06-22
KR20130068749A (ko) 2013-06-26
ES2746226T3 (es) 2020-03-05
EP2605119A3 (en) 2017-07-12
CN108733303A (zh) 2018-11-02
JP6113490B2 (ja) 2017-04-12
CN103164156A (zh) 2013-06-19
JP2013127790A (ja) 2013-06-27
US20130154975A1 (en) 2013-06-20
CN108733303B (zh)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553B1 (ko) 휴대 단말기의 터치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995278B1 (ko) 터치 디바이스의 ui 표시방법 및 장치
KR102089447B1 (ko) 전자 기기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101710418B1 (ko) 휴대 단말기의 멀티 터치 인터렉션 제공 방법 및 장치
AU20202028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icture on portable device
KR101673068B1 (ko) 텍스트 선택 및 엔터
AU2013276998B2 (en) Mouse function provision method and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20140149905A1 (en) Electronic device and page navigation method thereof
US201403517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icture on portable device
AU20172008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US20150169216A1 (en) Method of controlling scree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102793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unit of a portable terminal
KR101504310B1 (ko)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인터페이싱 방법
EP27874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ext in electronic device having touchscreen
KR20130034747A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821160B1 (ko) 휴대단말에서 사용자 키패드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30239032A1 (en) Motion based screen control method in a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for the same
EP26853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device
KR101714549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191951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