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458A - 산화티타늄/금속나노입자/탄소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전극 - Google Patents

산화티타늄/금속나노입자/탄소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458A
KR20130043458A KR1020110107601A KR20110107601A KR20130043458A KR 20130043458 A KR20130043458 A KR 20130043458A KR 1020110107601 A KR1020110107601 A KR 1020110107601A KR 20110107601 A KR20110107601 A KR 20110107601A KR 20130043458 A KR20130043458 A KR 20130043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composite
metal nanoparticles
tio
tio2
nano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8759B1 (ko
Inventor
김학성
황현준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07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759B1/ko
Publication of KR20130043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H01G9/2031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comprising titanium oxide, e.g. TiO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ybrid Cel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TiO2 나노입자 또는 마이크로입자 또는 TiO2 전구체 또는 상기 입자와 상기 전구체의 혼합물; b) 탄소나노구조체 및 c) 금속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태양전지 전극으로 이용하면 금속나노입자의 표면 플라즈몬 효과와 전자이동도의 증가로 태양전지의 효율이 증대된다.

Description

산화티타늄/금속나노입자/탄소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전극{Nanocomposite comprising titanium oxide/metal nanoparticles/carbon nanostructures, and the preparing the nanocomposite, and DSSC electrode using the nanocomposite}
본 발명은 산화티타늄/금속나노입자/탄소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효율이 현저히 증가된 태양전지 전극에 관한 것이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광전기화학 태양전지, 즉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모방한 태양전지이다. 셀 변환 효율이 10~11%로서 사업화가 가능하며 전지의 발전단가를 5분의 1까지 낮출 수 있으며 플렉서블(flexible)하고 투명한 특성 덕분에 다양한 응용가능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차세대 태양전지로서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도 2에 일반적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제시하였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원리는 태양광이 DSSC의 투명전극을 통과하여 TiO₂ 나노입자에 흡착되어 있는 염료를 조사하게 되면 염료가 태양빛을 흡수하여 염료의 전자가 기저상태(Ground state)에서 여기상태(Excited state)로 변화, 즉 광여기(Photo excitation) 상태가 된다. 이때 들뜬 전자가 TiO₂의 전도대(conduction band)로 도약하게 되고 도약된 전자는 다공질의 TiO₂막을 통해 확산되어 투명전극까지 도달하게 된다. 전극에 도달한 전자는 외부회로를 통해 상대전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 전자를 TiO₂에 빼앗긴 염료는 전해질(iodide ion)로부터 전자를 얻어 환원되고 요오드화물(iodine)로 산화된다. 또한, 요오드는 상대전극으로부터 전자를 얻어 요오드화물로 역시 환원된다. 이러한 원리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하지만 종래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그 효율이 기존의 실리콘 기반 태양전지의 효율보다 낮아 실용화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이러한 이유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있어서 핵심기술은 TiO₂ 및 ZnO 등의 전극 물질의 합성 및 소결 공정이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대전극이나 전해액에 CNT를 적용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작동전극에는 TiO₂ 및 ZnO 만이 사용되어왔다.
한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금(Au) 또는 은(Ag) 나노입자와 같은 금속나노입자의 표면 플라스몬 효과를 작동전극에 적용한 연구가 진행되기도 하였다.(Powder Technology 194 (2009) 95-105) 그러나 금속나노판(metal nanoplatelet) 같은 형태는 적용된 적이 없고, 작동전극에 CNT와 함께 적용한 사례 또한 전무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나노복합체 전극 재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TiO2 나노입자 또는 마이크로입자 또는 TiO2 전구체 또는 상기 입자와 상기 전구체의 혼합물; b) 탄소나노구조체 및 c) 금속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탄소나노구조체를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 b) 상기 탄소나노구조체 분산액을 교반하면서 금속나노입자를 첨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금속나노입자가 첨가된 탄소나노구조체 분산액에 TiO2 나노입자 또는 마이크로입자 또는 TiO2 전구체 또는 입자와 전구체 혼합물을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용매를 증발시켜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금속나노입자는 Au, Ag, Cu, Ni, Zn, Pt, Pd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금속나노입자의 크기는 0.1 ~ 10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나노입자의 형태(morphology)는 아이소머릭(isomeric) 입자, 가늘고 긴(elongated) 입자, 판형(platelet) 입자 등 다양한 형태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탄소나노구조체는 예를 들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이중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그라핀 또는 플러렌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탄소나노구조체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 이 바람직하고, 금속 나노입자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TiO2의 함량은 90 내지 99.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TiO2 전구체는 TTIP, TTIE, TiCl4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페이스트를 기판에 코팅 또는 프린팅하여 건조 및 열소결시킴으로써 나노복합체 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소결 온도는 450℃ 내지 50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복합체 전극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적용하여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TiO₂/금속나노입자/CNT 복합체 작동전극은 금속나노입자의 표면 플라즈몬 효과로 인해 흡수하는 빛의 파장범위를 넓혀 더 많은 빛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CNT의 높은 전자이동도로 인해 TiO₂ 나노입자와 전해질 사이의 계면저항이 낮아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여준다. 이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상용화에 있어서도 매우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며, 기존의 실리콘 기반 태양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태양전지로 각광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TiO₂/금속나노입자/탄소나노구조체 복합체 전극을 이용한 DSSC 제작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와 밴드갭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한 CNT의 표면처리와 분산 과정에 대한 공정순서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TiO₂/금속나노입자(Ag)/CNT 복합체 페이스트 제조과정에 대한 공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체 페이스트를 이용한 DSSC 제조과정에 대한 공정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중 Ag의 표면 플라스몬 효과(surface plasmon effect)에 따른 UV-vis 스팩트럼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 중 TiO₂/CNT 복합체의 CNT 질량비(weight fraction)에 따른 EIS(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측정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와 표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TiO₂/금속나노입자/CNT 복합재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와 기존의 태양전지의 효율비교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및 표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작동전극으로 사용되는 TiO₂전극에 나노크기의 금속 입자 혹은 금속판과 탄소나노구조체를 적용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대시키는 방법과 조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복합체는 a) TiO2 나노입자 또는 마이크로입자 또는 TiO2 전구체 또는 상기 입자와 상기 전구체의 혼합물; b) 탄소나노구조체 및 c) 금속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a) 탄소나노구조체를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 b) 상기 탄소나노구조체 분산액을 교반하면서 금속나노입자를 첨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금속나노입자가 첨가된 탄소나노구조체 분산액에 TiO2 나노입자 또는 마이크로입자 또는 TiO2 전구체 또는 입자와 전구체 혼합물을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용매를 증발시켜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금속나노입자는 Au, Ag, Cu, Ni, Zn, Pt, Pd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금속나노입자의 크기는 0.1 ~ 10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100nm 이상의 크기에서는 금속나노입자의 표면 플라스몬 효과가 반감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금속나노입자의 형태(morphology)에 따라 흡수하는 빛의 파장범위가 다르므로 또한 금속나노입자의 형태는 아이소머릭(isomeric) 입자, 가늘고 긴(elongated) 입자, 판형(platelet) 입자인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탄소나노구조체는 예를 들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이중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그라핀 또는 플러렌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탄소나노구조체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 이 바람직하고, 금속 나노입자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TiO2의 함량은 90 내지 99.9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너무 높은 중량비의 금속 나노입자 혹은 탄소나노구조체의 함량은 내부저항을 증가시키고, 빛의 흡수도를 떨어뜨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효율의 감소를 야기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TiO2 전구체는 TTIP, TTIE, TiCl4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페이스트를 기판에 코팅 또는 프린팅하여 건조 및 열소결시킴으로써 나노복합체 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소결 온도는 450℃ 내지 50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TiO2 및 TiO2 전구체의 소결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복합체 전극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적용하여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존 TiO₂전극에 금속나노입자와 CNT와 같은 탄소나노구조체를 적정비율로 첨가하여 복합재료(TiO₂/금속나노입자/CNT 복합체)를 합성하고, 이를 작동전극으로 사용하여 고효율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이에 대한 개략도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먼저 CNT의 분산을 위해 HNO₃(16M)을 이용하여 표면처리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 및 중성화하였다. 표면처리된 CNT를 12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초음파처리하여 분산시켰다. 1차 분산된 CNT를 원심분리기 (centrifuge)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제거한 상청액만을 추출하였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처리 및 분산된 CNT 용액에 나노크기의 금속입자와 TiO₂나노입자를 순서대로 초음파처리를 이용하여 분산시켰다.
또한 복합체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공정은 도 4에 도시하였다. 용매인 에탄올을 증발시킨 후 얻어진 TiO₂/금속나노입자/CNT 복합체 페이스트는 닥터 블레이드 (doctor blade),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등의 방법으로 기판 위에 도포될 수 있다. 이때 TiO2 나노입자 뿐만 아니라 Ti(OC4H9)4:P123:HCl:EtOH:H2O:CH2 (COCH3)2를 몰(mol)비별로 혼합한 TiO2 전구체 또는 ZnO를 도포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판은 FTO(fluorine tin oxide) 기판, ITO(Indium tin Oxide) 기판, 고분자 기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기판 위에 도포된 복합체 페이스트를 열 소결시킨 후 염료 용액에 24시간 동안 담그고 작동전극을 제조한다. 상대전극은 Pt 코팅된 FTO 글라스가 사용된다. 두 전극을 이용하여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작하였으며, 이러한 DSSC 제작공정은 도 5 에 도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TiO₂/금속나노입자/CNT 복합체 페이스트를 이용한 DSSC를 제작하여 UV-vis 스팩트럼을 측정하여 금속나노입자의 wt%에 따른 표면 플라스몬 효과(surface plasmon effect)를 확인하였고(도 6), EIS(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를 측정하여 CNT의 wt%에 따른 전자이동도(electron mobility)의 증가를 확인하였다(도 7).
금속나노입자의 표면 플라즈몬(Surface plasmon)은 광파에 의해서 유전체와 금속의 경계면을 따라 존재하는 광자와 금속 표면의 고밀도 전하 분포에 의해 일어나는 상호 작용에 의해, 금속 표면에 형성되는 근접장을 말한다. 이러한 나노미터 크기의 금속 구조의 표면에 입사된 빛에 의해 들뜬 상태가 된 표면 플라스몬 상태가 되면, 금속나노입자가 흡수하는 빛의 파장 범위가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TiO₂ 전극에 Au, Ag와 같은 금속나노입자를 적정 비율로 섞어주면 더 많은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금속나노입자의 형태(morphology)에 따라 흡수하는 빛의 파장범위가 다르므로 아이소머릭(isomeric) 입자, 가늘고 긴(elongated) 입자, 판형(platelet) 입자인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CNT(Carbon nanotube)는 튜브 형태의 고유한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어 높은 전자이동도를 갖는다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TiO₂전극에 CNT를 적정 비율로 섞어주면 높은 전자이동도(electron mobility)로 인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장점들을 결합하여 금속나노입자와 CNT, 그리고 TiO₂의 복합재료를 작동전극에 적용하여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SSC)의 효율을 증대를 실현시켰다.
도 8 에 도시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SSC)의 효율 측정 결과, TiO₂/Ag 복합체 작동전극과 TiO₂/CNT 복합체 작동전극이 기존의 pure TiO₂전극보다 높은 효율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본 발명에 따른 TiO₂/Ag/CNT 복합재료 작동전극을 사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SSC)는 기존의 DSSC의 효율보다 2배 정도 높은 효율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기판으로 사용할 FTO 글라스(
Figure pat00001
)를 소니케이터를 이용하여 에탄올과 증류수로 10분간 세척하였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MWCNT)를 16M의 HNO₃를 이용하여 표면처리한 후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표면처리된 MWCNT를 24시간동안 120℃에서 건조시켜 정제된 MWCNT를 얻었다. 이 MWCNT를 에탄올에 분산시킨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제거한 상청액(supernatant)만을 추출하여 표면처리 및 분산된 0.1 ~ 5wt%의 MWCNT 용액을 얻었다. 이 MWCNT 용액에 0.1 ~ 10wt%의 비율로 Ag 나노입자(platelets)을 소니케이터 안에서 첨가한 후, TiO₂ 나노입자(13nm)를 90~99.9wt%의 비율로 순서대로 넣어 분산시킨 후 에탄올을 증발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TiO₂/Ag 나노입자(platelets) /MWCNT 페이스트를 FTO 글라스(
Figure pat00002
) 위에 스핀코팅 또는 프린팅하였다. 도포된 필름은 충분한 시간동안 상온에서 건조되며 이후 약 50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열소결(thermal sintering)시켜 TiO₂/Ag 나노입자(platelets) /MWCNT 복합재료 전극을 제조하였다. TiO₂/Ag 나노입자 /MWCNT 복합재료 전극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가 기존의 순수 TiO₂전극을 갖는 태양전지의 효율보다 더 높은 효율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기판으로 사용할 FTO 글라스(
Figure pat00003
)를 소니케이터를 이용하여 에탄올과 증류수에 10분간 세척하였다. HNO₃(16M)을 이용하여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를 표면처리하였다. 표면처리한 SWCNT를 증류수에 3번에 걸쳐 세척한 후 12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정제된 SWCNT를 에탄올에 소니케이터를 이용하여 분산시킨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제거한 상청액만을 추출하여 표면처리 및 분산된 SWCNT 용액을 얻었다. 소니케이터 안에서 SWCNT 용액에 Au 입자(40 ~ 60nm)과 TiO₂ 나노입자(13nm)를 순서대로 투입하여 분산시킨 후 용매인 에탄올을 날려 TiO₂/Au/SWCNT 복합체 페이스트 (SWCNT 0.1~1wt%, Au 1~5wt%, TiO2 95~99wt%)를 제조하였다. 에탄올, 증류수, 유기 바인더가 포함된 TiO₂/Au /SWCNT 페이스트를 매직 스카치 테이프와 단면도를 이용하여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 방법으로 FTO 글라스(
Figure pat00004
) 위에 프린팅하였다. 이 패턴을 500℃에서 30분간 열소결하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촉매로 사용될 수 있는 소결된 TiO₂/Au /SWCNT 복합재료 전극이 형성된다. 상대전극으로는 Pt 코팅(380℃, 20min)된 FTO 글라스를 사용하여 두 전극을 멜팅시트(melting sheet; 60 microns thick)로 붙였다. 두 전극 사이에 전해질 I-/I3 를 주입하여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완성시켰다. 복합체 페이스트의 Au와 SWCNT의 wt%는 각각 0.1 ~ 10%, 0.1 ~ 5%였다.

Claims (21)

  1. a) TiO2 나노입자 또는 마이크로입자 또는 TiO2 전구체 또는 상기 입자와 상기 전구체의 혼합물; b) 탄소나노구조체 및 c) 금속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나노입자는 Au, Ag, Cu, Ni, Zn, Pt, Pd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나노입자의 크기는 0.1 ~ 1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나노입자의 형태는 아이소머릭(isomeric) 입자, 가늘고 긴(elongated) 입자, 판형(platelet) 입자인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구조체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이중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그라핀 또는 플러렌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구조체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입자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iO2의 함량은 90 내지 99.9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iO2 전구체는 TTIP, TTIE, TiCl4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10. a) 탄소나노구조체를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
    b) 상기 탄소나노구조체 분산액을 교반하면서 금속나노입자를 첨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금속나노입자가 첨가된 탄소나노구조체 분산액에 TiO2 나노입자 또는 마이크로입자 또는 TiO2 전구체 또는 입자와 전구체 혼합물을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용매를 증발시켜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나노입자는 Au, Ag, Cu, Ni, Zn, Pt, Pd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나노입자의 크기는 0.1 ~ 1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나노입자의 형태는 아이소머릭(isomeric) 입자, 가늘고 긴(elongated) 입자, 판형(platelet) 입자인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구조체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이중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그라핀 또는 플러렌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구조체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입자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TiO2의 함량은 90 내지 99.9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TiO2 전구체는 TTIP, TTIE, TiCl4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의 제조 방법.
  19. a) 탄소나노구조체를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
    b) 상기 탄소나노구조체 분산액을 교반하면서 금속나노입자를 첨가하는 단계; 및
    c) 상기 금속나노입자가 첨가된 탄소나노구조체 분산액에 TiO2 나노입자 또는 마이크로입자 또는 TiO2 전구체 또는 입자와 전구체 혼합물을 첨가하여 분산시킨 후 용매를 증발시켜 페이스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페이스트를 기판에 코팅하여 건조 및 열소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전극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열소결 온도는 450℃ 내지 500 ℃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복합체 전극의 제조 방법.
  21. 제1항에 따른 나노복합체 전극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KR1020110107601A 2011-10-20 2011-10-20 산화티타늄/금속나노입자/탄소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전극 KR101458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601A KR101458759B1 (ko) 2011-10-20 2011-10-20 산화티타늄/금속나노입자/탄소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전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601A KR101458759B1 (ko) 2011-10-20 2011-10-20 산화티타늄/금속나노입자/탄소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전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458A true KR20130043458A (ko) 2013-04-30
KR101458759B1 KR101458759B1 (ko) 2014-11-14

Family

ID=48441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601A KR101458759B1 (ko) 2011-10-20 2011-10-20 산화티타늄/금속나노입자/탄소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전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75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683B1 (ko) * 2012-07-06 2014-06-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광 산란과 표면 플라즈몬의 협력효과를 나타내는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위치한 이산화티타늄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산화전극의 제조방법
KR101420983B1 (ko) * 2013-07-24 2014-07-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그래핀 양자점, 은나노입자가 도입된 가시광 활성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제조방법
CN104357788A (zh) * 2014-10-30 2015-02-18 安徽鼎恒再制造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Ni-Gr-B纳米涂层及其制备方法
RU2550472C1 (ru) * 2014-03-26 2015-05-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Радий"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ермостойких нанокомпозитов, содержащих платиновые металлы
CN107952433A (zh) * 2017-12-27 2018-04-24 浙江工商大学 一种纳米金属/碳纳米管/二氧化钛催化剂的制备方法和装置
WO2023140456A1 (ko) * 2022-01-18 2023-07-27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CN117160544A (zh) * 2023-09-04 2023-12-05 山东金阳光医药包装有限公司 一种基于二氧化钛的三维有序大孔复合光催化剂及其在药包材中的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45277B (zh) * 2016-05-17 2018-02-09 中国工程物理研究院激光聚变研究中心 洋葱状富勒烯包覆金属钯核壳结构纳米粒子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318B1 (ko) * 2009-08-11 2016-04-22 한국세라믹기술원 탄소나노판 복합체 제조방법
KR101091186B1 (ko) * 2009-12-29 2011-12-09 한국전기연구원 저전압 구동용 탄소나노튜브 전자 방출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전자 방출원
KR101255217B1 (ko) * 2010-12-07 2013-04-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683B1 (ko) * 2012-07-06 2014-06-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광 산란과 표면 플라즈몬의 협력효과를 나타내는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위치한 이산화티타늄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산화전극의 제조방법
KR101420983B1 (ko) * 2013-07-24 2014-07-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그래핀 양자점, 은나노입자가 도입된 가시광 활성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제조방법
RU2550472C1 (ru) * 2014-03-26 2015-05-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Радий"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ермостойких нанокомпозитов, содержащих платиновые металлы
CN104357788A (zh) * 2014-10-30 2015-02-18 安徽鼎恒再制造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Ni-Gr-B纳米涂层及其制备方法
CN107952433A (zh) * 2017-12-27 2018-04-24 浙江工商大学 一种纳米金属/碳纳米管/二氧化钛催化剂的制备方法和装置
CN107952433B (zh) * 2017-12-27 2024-02-20 浙江工商大学 一种纳米金属/碳纳米管/二氧化钛催化剂的制备方法和装置
WO2023140456A1 (ko) * 2022-01-18 2023-07-27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CN117160544A (zh) * 2023-09-04 2023-12-05 山东金阳光医药包装有限公司 一种基于二氧化钛的三维有序大孔复合光催化剂及其在药包材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759B1 (ko) 2014-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odoo-Arhin et al. Inkjet-printed graphene electrod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KR101458759B1 (ko) 산화티타늄/금속나노입자/탄소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전극
Yue et al. A counter electrode of multi-wall carbon nanotubes decorated with tungsten sulfide used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Poudel et al. Carbon nanostructure counter electrodes for low cost and stable dye-sensitized solar cells
Chang et al. Enhancing performance of ZnO dye-sensitized solar cells by incorporation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Yen et al. Preparation of graphene/multi-walled carbon nanotube hybrid and its use as photoanodes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Lee et al. Fabrication of dye sensitized solar cell using TiO2 coated carbon nanotubes
Chen et al. Reduction of graphene oxide by an in-situ photoelectrochemical method in a dye-sensitized solar cell assembly
Golobostanfard et al. Hierarchical porous titania/carbon nanotube nanocomposite photoanode synthesized by controlled phase separation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
Zhi et al. Efficient highly flexible dye sensitized solar cells of three dimensional graphene decorated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on plastic substrate
Neo et al. Graphene oxide as auxiliary binder for TiO2 nanoparticle coating to more effectively fabricate dye-sensitized solar cells
Ahmad et al. Carbon nanomaterial based counter electrodes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s
Koli et al. A simple strategy for the anchoring of anatase titania on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for solar energy harvesting
Ubani et al. Application of graphene in dye and quantum dots sensitized solar cell
Lu et al. Hierarchical nickel sulfide/carbon nanotube nanocomposite as a catalytic material toward triiodine reduction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Jayabal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ZnO/graphene nanocomposite for improved photovoltaic performance
Kandasamy et al. Plasmonic Ag nanoparticles anchored ethylenediamine modified TiO2 nanowires@ graphene oxide composit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Chew et al. Performance studies of ZnO and multi walled carbon nanotubes-based counter electrodes with gel polymer electrolyt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Amini et al. Hybrid 1D/2D carbon nanostructure-incorporated titania photoanodes for perovskite solar cells
Moakhar et al. Sunlight driven photoelectrochemical light-to-electricity conversion of screen-printed surface nanostructured TiO2 decorated with plasmonic Au nanoparticles
Kumar et al. Functionalized graphite platelets and lead sulfide quantum dots enhance solar conversion capability of a titanium dioxide/cadmium sulfide assembly
Chang et al. Application of TiO2 nanoparticles coated multi-wall carbon nanotube to dye-sensitized solar cells
Wu et al. Bridging TiO2 nanoparticles using graphene for use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Siwach et al. Effect of carbonaceous counter electrodes on the performance of ZnO-graphene nanocomposites based dye sensitized solar cells
Bae et al. Efficiency improvement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using Cu, Co/TiO2 photoelectrodes doped by applying ultrasonic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