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397A - 천장패널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천장패널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397A
KR20130043397A KR1020110107475A KR20110107475A KR20130043397A KR 20130043397 A KR20130043397 A KR 20130043397A KR 1020110107475 A KR1020110107475 A KR 1020110107475A KR 20110107475 A KR20110107475 A KR 20110107475A KR 20130043397 A KR20130043397 A KR 20130043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panel
ceiling
support frame
opening
clos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0074B1 (ko
Inventor
조용선
Original Assignee
(주)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창 filed Critical (주)유창
Priority to KR1020110107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074B1/ko
Publication of KR20130043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패널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 내부에 설치된 구조물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천장 내부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천장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수단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천장패널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하 관통된 개구공이 형성된 지지프레임;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서로 접철되도록 경첩이 설치되되 상기 경첩을 중심으로 접철되면서 개구공을 개폐하는 한 쌍의 천장패널;상기 천장패널 중 경첩이 설치된 라인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에 위치된 이동단부와 상기 이동단부에 대응된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경첩을 중심으로 천장패널이 접철되는 과정에서 이동단부의 일단부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천장패널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장패널 개폐구조{Ceiling panel opening structure}
본 발명은 천장패널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 내부에 대한 개폐를 용이하게 하고 천장의 깔끔한 외관이 제공되도록 한 천장패널의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여러 가지 건축물 자재가 제공된다.
외관을 구성하기 위한 자재부터 마감 자재까지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 자재가 제공되는 실정이다.
이때, 건축물 천장의 내부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구조물 예컨대, 배선, 덕트 등이 설치되는데, 상기한 구조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천장에는 천장 마감을 위한 천장패널이 설치된다.
상기 천장패널은 천장의 내부를 차폐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건축물에 대한 심미감을 높일 수 있도록 최근에는 미려하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천장패널이 설치되기 위해서는 천장에 경량의 틀이 먼저 마련된다.
상기 천장 경량틀은 이미 공지된 기술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한 실용신안출원 20-2009-0006480에도 개시되어 있다.
천장의 슬래브로부터 하방을 향해 설치된 행거볼트와, 상기 행거볼트의 하단부에 설치된 행거클립과, 상기 행거클립에 결합된 캐링채널과, 이 캐링채널의 하부에 결합되어 천장 상에서 상기 캐링채널과 격자 형태를 유지하는 엠바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엠바의 저면에는 복수의 단위 천장패널이 고정이 된다.
단위 천장패널은 통상적으로 사각의 형태로 제공이 되며, 천장패널의 둘레에는 각각 엠바의 저면에 고정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된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단위 천장패널이 천장의 경량틀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천장패널 각각의 플랜지를 엠바의 저면에 밀착시킨 후,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해 천장패널의 플랜지를 관통하여 엠바의 저면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천장의 경량틀에 복수의 단위 천장패널이 고정됨으로써, 천장 내부가 차폐되어 천장 마감을 위한 시공이 완료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천장패널이 스크류에 의해 천장의 경량틀에 고정된 결합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전술한 바와 같이 천장패널에 의해 차폐된 천장의 내부에는 배선을 비롯한 덕트 등의 구조물이 설치되는바, 이들을 유지보수하는 것에 있어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구조물을 유지 보수하기 위해 천장의 일부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천장패널의 플랜지에 고정된 복수의 스크류를 풀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게다가, 스크류에 대한 체결 및 분해 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추후에는 스크류의 체결력이 느슨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천장패널이 낙하되어 안전사고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둘째, 천장패널의 플랜지를 따라 체결된 복수의 스크류는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최근의 천장패널 역할은 천장 내부를 단순히 차폐시키는 것에 그치지 않고 미려한 심미감을 제공하는 것에 있어서도 의미가 있는바, 상기와 같이 복수의 스크류 헤드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경우에는 천장의 전체적인 심미감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의 외관을 깔끔하게 제공함과 더불어, 천장에 대한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천장패널 개폐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하 관통된 개구공이 형성된 지지프레임;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서로 접철되도록 경첩이 설치되되 상기 경첩을 중심으로 접철되면서 개구공을 개폐하는 한 쌍의 천장패널;상기 천장패널 중 경첩이 설치된 라인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에 위치된 이동단부와, 상기 이동단부에 대응된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경첩을 중심으로 천장패널이 접철되는 과정에서 이동단부의 일단부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천장패널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각 천장패널 이동단부의 일단부에 각각 설치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홈부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돌출부는 이동단부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된 가이드롤러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천장패널의 이동단부에는 각각, 가이드홈과 통하는 걸림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천장패널에는 천장패널의 접철을 구속하는 록커(locker)가 더 형성되되, 상기 록커는, 천장패널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된 회동부와, 상기 천장패널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있는 회동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회동부의 회동에 의해 걸림공과 가이드홈으로 삽입되거나 걸림공과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패널 개폐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한 쌍의 천장패널이 서로 접철되면서 천장의 내부와 통하는 지지프레임의 개구공을 개폐함으로써, 천장 내부에 대한 개폐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천장패널의 이동단부에는 가이드롤러가 설치되고, 가이드롤러에 대응된 지지프레임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가이드롤러에 대한 슬라이딩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경첩을 중심으로 천장패널의 접철작용이 유연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회동부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천장패널의 접철이 구속될 수 있는 록커가 설치됨으로써, 천장패널의 개폐를 위한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지지프레임에 대한 천장패널의 고정은, 지지프레임의 가이드홈에 천장패널의 가이드롤러가 삽입되어 지지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정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시공이 완료된 천장패널의 외관은 깔끔하게 제공되어 사람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개폐구조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개폐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개폐구조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개폐구조의 개폐작용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개폐구조가 천장의 경량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패널 개폐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천장패널 개폐구조는 천장에 복수로 설치되며, 이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단위 천장패널 개폐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천장패널 개폐구조는 천장 내부에 대한 개방을 용이하게 하고, 깔끔한 외관을 제공하여 심미감을 높이는 특징이 있다.
천장패널 개폐구조는 지지프레임(100)과, 천장패널(200)과, 슬라이딩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프레임(100)은 천장패널(200)이 설치되기 위한 틀을 구성하며, 천장에 설치된 경량틀을 의미하거나, 이 경량틀에 설치되는 별도의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천장의 경량틀에 설치되는 별도의 구성인 것을 예로 한다..
지지프레임(100)은 복수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사각틀의 형태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중앙에는 상,하 관통된 개구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개구공(110)은 천장 내부가 노출되는 부위이며, 천장패널(200)에 대한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개구공(110)을 통해 유지보수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천장패널(200)은 개구공(110)을 개폐, 즉 천장 내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천장패널(200)은 건축물의 천장을 마감하며, 천장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천장패널(200)은 지지프레임(100)에 설치되되, 개구공(110)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구공(11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천장패널(200)은 하나의 일체형이 아니라, 서로 접철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제공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천장패널(200)은 서로, 경첩(210)에 의해 결합 되어 상기 경첩(210)을 중심으로 접철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이때, 한 쌍의 천장패널(200)이 서로 접철되는 과정에서, 각 천장패널(200)의 양단부는 지지프레임(10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이 되는데, 이와 같이 이동되는 천장패널(200)의 양단부는 설명의 편의상 이동단부(220)라 한다.
이때, 천장패널(200)의 이동단부(220)는, 천장패널(200)의 경첩(210)이 설치된 라인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에 형성된 부위임을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한편, 각 천장패널(200)의 이동단부(220)에는 걸림공(221)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공(221)은 후술하는 록커와 함께 천장패널(200)에 대한 접철작용을 구속하기 위하여 형성된 부위이다.
이때, 걸림공(221)은 천장패널(200)의 이동단부(22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앞서 말한 록커(locker)(230)는 천장패널(200)의 접철 작용을 구속하는 역할을 하며, 천장패널(200) 상에 설치된다.
만약, 록커(230)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패널(200)의 특성상, 천장패널(200)의 자중에 의해 천장패널(200)의 접철작용이 저절로 이루어짐에 따라 천장패널의 개폐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천장패널(200)의 접철 작용이 저절로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구속해야 하는 것이다.
상기 록커(230)는 천장패널(200) 상에 설치되되, 각 이동단부(220)의 걸림공(2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므로, 그의 개수는 각 천장패널(200)당 2개씩 총 4개가 설치됨을 이해할 수 있다.
록커(230)는 회동부(231)와, 걸림편(232)으로 구성된다.
회동부(231)는 천장패널(20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천장패널(200) 상에서 회동이 되면서 걸림편(232)을 걸림공(221)에 삽입시키거나 걸림공(221)에 삽입되어 있는 걸림편(232)을 빼내는 역할을 한다.
이때, 회동부(231)에 대한 회동 작용은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도 무방하나, 열쇠를 이용하여 회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작업자가 회동부(231)를 손으로 직접 회동하려면 파지의 용이함을 위해 회동부(231)가 천장패널(200)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이상으로 돌출되어야 하는데, 이는 천장패널(200)의 미관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천장패널(200)의 노출면 즉, 외측면에 위치한 회동부(231)의 튀어나온 부위를 최소화하고 그 튀어나온 회동부(231)에 열쇠홈(231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232)은 천장패널(200)의 비노출면 즉, 천장패널(200)의 내측면에 위치한 회동부(231)에 설치되며, 회동부(23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걸림편(232)의 두께는 걸림공(221)에 대한 삽입 및 이탈이 무리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걸림공(232)에 대응되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슬라이딩수단(300)은 천장패널(200)의 접철 작용을 유연하게 하는 역할과 더불어, 천장패널(200)을 지지프레임(100)에 결합시키는 결합 매개체 역할을 한다.
슬라이딩수단(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천장패널(200)의 이동단부(220) 중, 걸림공(221)이 형성된 부위의 반대편에 각각 설치된 돌출부(310)와, 이 돌출부(310)에 대응된 지지프레임(100)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부(320)로 구성된다.
돌출부(310)는 지지프레임(100)의 가이드홈부(320)에 걸려, 지지프레임(100)으로부터 천장패널(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과 더불어, 천장패널(200)의 접철 작용시 가이드홈부(32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천장패널(200)의 접철작용을 유연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돌출부(310)의 일단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패널(200)의 이동단부(220)로부터 가이드홈부(320)를 향해 돌출된 형태이면 무방하며, 돌출부(310)의 타단부는 상기 이동단부(220)에 너트로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돌출부(310)의 일단부는 가이드홈부(320)를 따라 더욱 유연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돌출부(310)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롤러형태(이하, '가이드롤러')로 제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이드홈부(3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부(310)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하며, 지지프레임(100)의 내측면에 지지프레임(100)의 길이 방향으로 요홈 형태로 형성이 된다.
이때, 가이드홈부(320)의 너비는 돌출부(310)의 일단부 직경에 대응되며, 가이드홈부(320)의 깊이는 돌출부(310)의 일단부 길이에 대응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천장패널 개폐구조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지지프레임(100)의 개구공(110)에 한 쌍의 천장패널(200)이 설치되도록, 상기 천장패널(200)의 이동단부(220)에 설치된 돌출부(310)를 지지프레임(100)의 가이드홈부(320)에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패널(200)의 돌출부(210)는 지지프레임(100)의 각 코너 부위에 배치되며, 천장패널(200)은 돌출부(210)에 의해 지지프레임(100)에 매달려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천장패널(200)의 이동단부(220)에 형성된 걸림공(221)은 지지프레임(100)에 형성된 가이드홈부(320)에 대응된 상태가 된다.
이때, 천장패널(200)은 자중에 의해 접철작용이 저절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록커(230)로 하여금 상기 천장패널(200)의 접철 작용을 구속시킨다.
이를 위해, 열쇠(미도시)를 열쇠홈(231a)에 삽입하여 회동부(231)를 회전시키면, 천장패널(20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걸림편(232)은 회동부(231)와 연동되면서 천장패널(200)의 걸림공(221)에 삽입이 된다.
이때, 걸림편(232)의 단부는 상기 걸림공(221)을 통해 지지프레임(100)의 가이드홈부(320)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천장패널(200)은 록커(230)의 걸림편(232)에 간섭이 되므로, 서로 접철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설치된 단위 천장패널 개폐구조는 천장의 크기에 맞게 복수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천장패널(200)에 대한 시공이 완료된 후, 천장 내부에 설치된 구조물의 유지보수를 위해 천장의 일측을 개방시키기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천장패널(200)이 천장 내부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는 열쇠를 이용하여 록커(230)의 회동부(231)를 회전시킨다.
이때, 천장패널(200)에 설치된 총 4개의 회동부(231) 모두를 회전시켜야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회동부(231)를 회전시키면, 걸림편(232)은 회동부(231)와 연동되면서 지지프레임(100)의 가이드홈부(320) 및 걸림공(221)으로부터 이탈이 된다.
이와 같이, 천장패널(200)의 접철작용에 대한 구속이 해제됨에 따라, 한 쌍의 천장패널(200)은 자중에 의해 경첩(210)을 중심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이 된다.
이때, 천장패널(200)의 이동단부(220)에 설치된 돌출부(210)는 지지프레임(100)의 가이드홈부(320)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지지프레임(100)의 중앙에 위치된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천장패널(200)은 지지프레임(10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모인 상태가 되고, 천장패널(200)은 지지프레임(100)에 매달려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천장의 내부는 천장패널(200)을 중심으로 양측이 개방된 상태이기는 하나, 천장패널(200)의 간섭으로 인해 작업의 편의성이 떨어지는바, 작업자는 접철된 한 쌍의 천장패널(200)을 지지프레임(100)의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천장패널(200)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0)의 일측으로 이동되어, 천장 내부를 완전하게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에도, 천장패널(200)에 설치된 돌출부(310)는 지지프레임(100)의 가이드홈부(320)를 따라 슬라이딩되므로, 천장패널(200)의 유연한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천장 일측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는 작업 수행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천장 내부에 대한 작업이 완료된 후 천장을 다시 폐쇄하기 위해서는, 천장패널 개방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반대로 수행하면 됨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천장의 경량틀에 한 쌍의 천장패널(200)이 직접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인 지지프레임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지지프레임의 구성이 천장의 경량틀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천장의 경량틀 중, 천장패널의 이동단부에 대응된 부위에 직접 가이드홈부를 형성하여 천장패널을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은 천장의 경량틀 역시, 본 출원인이 출원한 실용신안 출원 20-2007-0017019 등 다수 출원된 내용에 개시되어 있으며, 천장패널의 접철에 따른 천장의 개폐 작용은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패널 개폐구조는, 천장 내부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경첩을 중심으로 한 쌍의 천장패널이 접철되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때, 천장패널의 일측 단부는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홈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므로, 상기한 천장패널의 접철 작용은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천장패널에 대한 시공이 스크류 등에 의한 고정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시공이 완료된 천장패널은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천장 내부 구조물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 편리해지며, 천장에 대한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100 : 지지프레임 110 : 개구공
200 : 천장패널 210 : 경첩
220 : 이동단부 221 : 걸림공
230 : 록커 231 : 회동부
231a : 열쇠홈 232 : 걸림편
300 : 슬라이딩수단 310 : 돌출부
320 : 가이드홈부

Claims (4)

  1. 상,하 관통된 개구공이 형성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서로 접철되도록 경첩이 설치되되 상기 경첩을 중심으로 접철되면서 개구공을 개폐하는 한 쌍의 천장패널;
    상기 천장패널 중 경첩이 설치된 라인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에 위치된 이동단부와 상기 이동단부에 대응된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며, 경첩을 중심으로 천장패널이 접철되는 과정에서 이동단부의 일단부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천장패널 개폐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각 천장패널 이동단부의 일단부에 각각 설치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 개폐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이동단부의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된 가이드롤러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 개폐구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천장패널의 이동단부에는 각각, 가이드홈과 통하는 걸림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천장패널에는 천장패널의 접철을 구속하는 록커(locker)가 더 형성되되,
    상기 록커는,
    천장패널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된 회동부와, 상기 천장패널의 내측면에 위치하고 있는 회동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회동부의 회동에 의해 걸림공과 가이드홈으로 삽입되거나 걸림공과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패널 개폐구조.
KR1020110107475A 2011-10-20 2011-10-20 천장패널 개폐구조 KR101310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475A KR101310074B1 (ko) 2011-10-20 2011-10-20 천장패널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475A KR101310074B1 (ko) 2011-10-20 2011-10-20 천장패널 개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397A true KR20130043397A (ko) 2013-04-30
KR101310074B1 KR101310074B1 (ko) 2013-09-24

Family

ID=4844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475A KR101310074B1 (ko) 2011-10-20 2011-10-20 천장패널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0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87105A (zh) * 2014-10-23 2016-05-18 深圳市中建南方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设于天花板上的抽屉式检修口
CN106320861A (zh) * 2016-11-01 2017-01-11 新昌县丰泽机械有限公司 一种检修口的连接锁合装置
CN107700740A (zh) * 2017-10-31 2018-02-16 广州康普顿至高建材有限公司 一种折叠收纳天花
CN108487533A (zh) * 2018-06-30 2018-09-04 广州康普顿至高建材有限公司 一种滑动对开式天花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826A (ko) * 2003-05-16 2004-11-26 표근섭 천장검사구용 지지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87105A (zh) * 2014-10-23 2016-05-18 深圳市中建南方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设于天花板上的抽屉式检修口
CN106320861A (zh) * 2016-11-01 2017-01-11 新昌县丰泽机械有限公司 一种检修口的连接锁合装置
CN106320861B (zh) * 2016-11-01 2017-08-29 新昌县丰泽机械有限公司 一种检修口的连接锁合装置
CN107700740A (zh) * 2017-10-31 2018-02-16 广州康普顿至高建材有限公司 一种折叠收纳天花
CN107700740B (zh) * 2017-10-31 2023-06-16 广州康普顿至高建材有限公司 一种折叠收纳天花
CN108487533A (zh) * 2018-06-30 2018-09-04 广州康普顿至高建材有限公司 一种滑动对开式天花板
CN108487533B (zh) * 2018-06-30 2023-08-18 广州康普顿至高建材有限公司 一种滑动对开式天花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0074B1 (ko) 201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074B1 (ko) 천장패널 개폐구조
CN106955049B (zh) 一种淋浴门框架及淋浴门
EP3180487B1 (en) Pocket door
US20190323275A1 (en) Folding barn style door and hardware
JP6682187B2 (ja) 建具
KR20170106850A (ko) 폴딩도어 구조
JP4018699B2 (ja) 建具の取付構造
KR200438578Y1 (ko) 단차 없는 미닫이문
JP2015025290A (ja) 障子保持部材、及び、建具
KR20100104169A (ko) 천장 점검구
JP2011127373A (ja) 室内のブース構造
JP2021085291A (ja) 開閉体
JP2007191928A (ja) 引戸装置
JP6867911B2 (ja) 引き戸装置および引き戸装置の組み込み方法
TWM552532U (zh) 三片式連動門
TWI638088B (zh) Three-piece linkage
JP2542976Y2 (ja) 引き戸付き間仕切り壁
JP3085644B2 (ja) 浴室戸の上部取付構造
JPH0752930Y2 (ja) 網戸付き折畳み扉装置
JP2019190012A (ja) 二開口部対応ドアユニット
JP2023173823A (ja) ドア装置におけるドア枠構造およびドア枠の点検カバー開放方法
KR20230174374A (ko) 여닫이문의 손끼임 방지장치
JP3182894U (ja) 室内のブース構造
KR101641556B1 (ko) 투명 커튼
JPH078760Y2 (ja) 間仕切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