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145A - 국소 적용을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국소 적용을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145A
KR20130043145A KR1020137000078A KR20137000078A KR20130043145A KR 20130043145 A KR20130043145 A KR 20130043145A KR 1020137000078 A KR1020137000078 A KR 1020137000078A KR 20137000078 A KR20137000078 A KR 20137000078A KR 20130043145 A KR20130043145 A KR 20130043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f
topical
ssd
preparation
formul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7509B1 (ko
Inventor
크리슈나 모한 바드레뷰
벤카타 체리쉬 바부 펠루리
카제쉬 사르마
Original Assignee
브하라트 바이오테크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하라트 바이오테크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브하라트 바이오테크 인터내셔날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43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58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55Amidines (), e.g. guanidine (H2N—C(=NH)—NH2), isourea (N=C(OH)—NH2), isothiourea (—N=C(SH)—NH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5Nitrofur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555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e.g. hemin, hematin, melarsop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3Compounds containing para-N-benzenesulfonyl-N-groups, e.g. sulfanilamide, p-nitrobenzenesulfonyl hydrazide
    • A61K31/635Compounds containing para-N-benzenesulfonyl-N-groups, e.g. sulfanilamide, p-nitrobenzenesulfonyl hydrazide having a heterocyclic ring, e.g. sulfadiaz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18Iodine;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8Silver;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2Cyclic peptides, e.g. bacitracins; Polymyxins; Gramicidins S, C; Tyrocidins A, B or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08Epidermal growth factor [EGF] urogast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상, 화상 창상, 피부 이식, 압박 궤양, 및 당뇨병성 족부 궤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국소용 제제의 제조를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을 기술한다. 상승적 조성물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살균 및 정균제와 함께 미토겐성 단백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미토겐성 단백질은 재조합 인간 표피 성장인자 (Bharat Biotech International Limited의 rh-EGF) 및/또는 rh-PDGF-BB와 같은 그 밖의 다른 어떤 성장인자이며, 살균 및 정균제는 광범위 항생제 실버 설파다이아진 (SSD) 및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CHG)이다. 국소용 제제는 상승적 조성물 이외에도 또한 기제 성분, 담체, 보존제, 유화제, 피부 연화제 및 완화제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 밖의 다른 구성성분을 포함한다. 신규의 조성물은 더 넓은 항균 범위, rh-EGF에 의한 SSD의 은 효과의 반전, 화상 창상에서 은 저항성 미생물에 대한 유효성, 및 더 우수하고 더 빠른 창상 치유를 제공한다. 신규 조성물은 크림, 겔 또는 액체의 형태로 국소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신규 제제는 더 긴 저장 수명을 가지며, 2-8℃의 저장 온도에서 2 년 이상 동안 안정하다.

Description

국소 적용을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A NOVEL SYNERGIS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S}
본 발명은 국소 적용을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창상, 화상 창상, 피부 이식, 압박 궤양, 당뇨병성 족부 궤양 및 그 밖의 다른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국소용 제제의 제조를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한 제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상승적 활성성분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상승적 활성성분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살균성 및 정균성 약제와의 상승적 조합으로 미토겐성 단백질 (성장인자)을 포함한다. 더욱 특히, 상승적 활성성분은 재조합 인간 표피성장인자 (rh-EGF) (Bharat Biotech International Limited의 REGEN-D™) 및/또는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rh-PDGF-BB), 실버 설파다이아진 (SSD) 및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CHG)를 포함하는 반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활성 성분은 담체, 보존제, 유화제, 피부 연화제 (emollients) 및 완화제 (soothers),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 밖의 다른 구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의 조성물은 크림 또는 겔 또는 액체 형태의 형태로 창상, 화상 창상, 피부 이식, 압박 궤양, 당뇨병성 족부 궤양 및 그 밖의 다른 피부 질환에 적용하기 위한 국소용 제제의 제조를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화상은 열, 냉기, 전기, 화학물질, 마찰 또는 방사선에 의해서 야기되는 피부가 경험하는 모든 극한이다. 화상 손상은 일반적으로 조직 체액 및 전해질 불균형, 화상 영역의 감속된 치유, 대사 장애, 근육 분해, 및 그 밖의 다른 생명 기관의 다양한 합병증과 연관되며, 또한 세균 및/또는 미생물에 의한 감염과 같은 이차적인 합병증을 더 가질 수 있다. 이들 합병증은 각각 생명을 구하는데 있어서의 포괄적인 화상 관리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이한 약제/약물을 필요로 한다.
화상 관련된 손상 및 사망은 동남 아시아, 특히 인도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 주된 문제이다. WHO 보고에 따르면, 동남 아시아 지역이 세계적인 부담의 10%에 기여하며, 인도 단독으로 매년 35,000의 화상 관련된 사망을 차지한다. USA와 같은 선진국에서조차도, 210만 명으로 예상되는 미국인이 매년 화상에 대한 의학적 치료를 추구한다. 화상 환자에게 있어서의 사망률의 주된 원인 중의 하나는 극심한 전신 감염이다. 이들 감염의 침투의 일차적 경로는 다양한 세균 및 병원체에 대한 처리되지 않은 화상 표면의 노출이다. 피부 장벽의 붕괴, 큰 피부 세균 부하량, 정상적인 세균총이 기회성 병원체로 전환될 가능성, 및 면역계의 심각한 억제와 같은 인자들이 화상 피해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패혈증에 기여한다 [1]. 창상 폐쇄에 의한 화상 표면 및 조기 재-상피화의 적절한 창상 관리는 화상 환자의 치료 및 예후에 극히 중요한 단계이다.
감염 제어는 이차 감염의 예방에 있어서, 및 또한 적절한 화상 창상 치유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국소 항미생물제의 사용이 화상 창상에서의 세균 균형을 확립하는데 필수적이지만, 이것은 피부 증식 및 콜라겐 침착의 과정이 주된 역할을 하는 화상 창상의 치유의 지연과 연관되었다 [2]. 일부의 연구는, 2도 및 3도 화상에서 중요한 창상 치유과정이 그들의 수용체를 사용하는 재조합 인간 표피 성장인자 (rh-EGF) 또는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rh-PDGF-BB)와 같은 성장 촉진인자의 지연되거나 더 적은 생산에 기인하여 지연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재조합 인간 표피 성장인자 rh-EGF는 표적 세포 상의 수용체 키나제에 대한 결합을 통해서 세포 증식, 이동 및 분화를 조절하는 성장인자의 패밀리에 속한다 [3]. rh-EGF는 강력한 미토겐으로서, 및 또한 평활근 세포를 포함한 다수의 세포 타입에 대한 분화인자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동물에서의 실험적 연구는 rh-EGF의 국소 적용이 부분적 두께의 창상 및 2도 화상의 표피 재생율을 가속화시키는 것을 입증하였다 [5]. rh-EGF는 6.2 kDa의 분자량을 갖는 53 아미노산 단백질이며, 재조합 유전자 기술에 의해서 수득된다. 이. 콜라이 (E. coli) 내에서 과발현되고, 정제되어 >98% 순도의 단백질을 수득하는 합성 rh-EGF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코드화한 신규의 벡터가 제작되었다 [6].
창상 치유의 과정에서, 세포 증식에 대한 시그날은 EGF 수용체를 통해서 rh-EGF 펩타이드에 의해 제공된다. EGF 수용체는 rh-EGF 결합에 수반되는 세포질 영역 및 세포외 영역과 함께 티로신 키나제 경막 (transmembrane) 영역을 갖는다. 이것은 EGF 수용체 다이머화, 수용체의 자가포스포릴화 및 그 밖의 다른 단백질의 티로신 포스포릴화를 초래한다. 이것은 미토겐 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MAP 키나제) 경로를 활성화시키고, 궁극적으로 C-Fs와 같은 전사인자의 포스포릴화를 야기하여 증식에 기여하는 AP-1 및 ELK-1을 생성시킨다. rh-EGF에 대한 반응으로 JAK 키나제에 의한 STAT-1 및 STAT-3 전사인자의 활성화는 증식성 시그날링에 기여한다. 또한, rh-EGF 활성 단백질 키나제 C에 의해서 유도된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시그날링 및 칼슘 방출은 EGF 시그날링의 또 다른 성분이다. 상기의 과정은 세포를 창상 내로 유인하여, 그들의 증식을 자극하고, 과립화 조직의 형성율을 증진시키고, 콜라겐 생산을 증가시킨다 [7, 8].
비록 rh-EGF와 같은 성장인자가 화상 창상을 치유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화상 창상 관리 중에 야기된 감염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콜라이 내에서 클로닝되고, 과발현된 재조합 인간 표피 성장인자 rh-EGF (REGEN-D, Bharat Biotech International Limited)는 치유의 지속기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화상 창상의 증진된 치유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화상 창상과 연관된 위험은 미생물에 의한 감염의 침습이다. 이것은 항미생물제가 화상 창상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이다.
선행기술에서는, 바시트라신 (Bacitracin), 폴리믹신 (Polymyxin) B 설페이트, 네오마이신 (Neomycin), 포비돈-요오드 (Povidone-iodine), 마페나이드 (Mafenide) 아세테이트 크림, 니트로푸라존 (Nitrofurazone), 겐타마이신 (Gentamicin) 등과 같은 다양한 국소 항균제/항바이러스제가 창상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
바시트라신은 그람-양상 구균 및 간균에 대해서 효과적인 폴리펩타이드 항생제이다. 바시트라신은 또한 창상의 재상피화를 증진시킬 수 있지만, 이것은 각질세포 증식에는 효과가 없다. 바시트라신은 세균의 원형질막의 특성에 작용하지만 분자 합성에는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저항성 균주의 발생은 증가할 것 같지 않다 [9].
폴리믹신 B 설페이트는 그람-음성 유기체에 대해서 효과적인 단순한 염기성 펩타이드 항생제이다. 폴리믹신 B 설페이트는 각질세포 증식의 더 큰 감소를 야기한다 [10].
네오마이신은 광범위 항생제이며, 특히 그람-음성 유기체에 대해서 효과적이다. 그러나, 과민성 반응, 특히 피부 발진과 같은 부작용이 네오마이신에 의해서 더욱 빈번하게 일어난다 [11].
포비돈-요오드는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 세균에 대해서 효과적인 살균제이다. 임상적 농도에서 포비돈-요오드는 시험관내에서 인간 섬유아세포 및 각질세포에 대해서 독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포비돈-요오드는 또한, 창상 삼출물에 의해서 불활성화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 국소용 약제는 창상 건조가피를 연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경화시키며, 따라서 창상 괴사조직제거의 곤란성 및 불편함을 증가시킬 수 있다 [1].
마페나이드 아세테이트는 메틸화된 국소용 설폰아미드 화합물이다. 이 약물은 대부분의 그람-음성 및 그람-양성 병원체에 대한 광범위 항균활성을 갖는다. 그러나, 마페나이드의 사용은 재상피화에 대해서 억제성일 수 있다. 마페나이드는 다형핵 백혈구 (PMN) 및 림프구 활성을 억제한다 [16].
니트로푸라존 화합물은 에스 아우레우스 (S. aureus), 엔테로박터 (Enterobactor) 및 이. 콜라이 (E. coli)에 대해서 효과적인 광범위 항균제이지만, 이것은 피. 에루기노사 (P. aeruginosa)에 대해서는 덜 효과적이며, 상당한 살진균 활성을 갖지 않는다. 니트로푸라존은 배양물에서 각질세포의 성장 및 이동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17]. 니트로푸라존은 미국에서는 화상 센터들에서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
겐타마이신은 그람-음성 미생물에 대해서 매우 효과적이다. 겐타마이신에 대한 저항성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 저항성은 확실히 이 의약의 사용을 제한한다. 겐타마이신은 PMNs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 과민성이 겐타마이신에 의해서 보고되었다 [20].
실버 설파다이아진 (SSD)은 1% 수혼화성 크림으로 제조된 질산은과 나트륨 설파다이아진의 국소용 설폰아미드 화합물이다. 실버 설파다이아진은 광범한 세균총, 특히 이. 콜라이 (E. coli), 엔테로박터 (Enterobacter), 클렙시엘라 종 (Klebsiella species), 피. 에루기노자 (P. aeruginosa)와 같은 그람-음성 세균, 및 에스. 아우레우스 (S. aureus) 및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와 같은 그람-양성 세균에 대해서 효과적이다.
화상 창상에 대해서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국소용 항미생물제 (이들 중의 일부는 상기에 명시됨) 중에서, 설폰아미드 유도체는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 세균 감염에 의해서 감염된 다양한 정도의 화상 창상의 치료를 위해서뿐만 아니라 효모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것으로 최근에 정평이 나 있다. 설폰아미드 중에서, 대부분의 화상 환자에게서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 선택되는 약물은 실버 설파다이아진 (SSD)이었다. SSD는 화상 창상에 대해서 사용된 국소용 크림에 통상적으로 혼입되는 효과적인 광범위 항미생물제이다. 실제로, 지난 50년 이래로 SSD는 미생물에 의해서 감염된 다양한 정도의 화상 창상의 치료를 위해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과거의 연구들은 SSD가 다른 항미생물제에 대해서 저항성인 세균을 억제하며, 이 화합물은 다수의 다른 항미생물제보다 탁월함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미생물의 세포막 및 세포벽에 대해서 작용하여 그의 살균 효과를 제공한다. 은은 세균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독성인 농도로 제제로부터 느리게 방출된다. 은은 또한 세균 세포의 DNA를 손상시킨다. 다른 설폰아미드와 마찬가지로 설파다이아진은 파라-아미노벤조산 (PABA)와 경쟁함으로써 디하이드로엽산의 세균 합성을 억제한다. 이것은 인간 세포에 대해서는 작용하지 않는다.
또 다른 항미생물제, 즉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CHG)는 현재 임상실습에서 광범하게 승인되어 있는 강력하며 비교적 비-독성인 방부제이다 [18]. CHG는 중요한 방부제, 소독제, 항균성 구강 청결제 (dental rinse) 및 보존제이다. 이것은 광범한 항미생물 스펙트럼을 가지며, 그람-양성, 그람-음성 세균, 바이러스 및 진균에 대해서 효과적이다. CHG는 세균 세포벽 및 세포질 성분에 결합하여 변화된 삼투 평형 및 또한 세포질 성분의 침전을 초래한다. 저농도에서, 클로르헥시딘은 정균성이며; 더 고농도에서 이것은 살균성이다.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는 각질층에 결합하여 지속적인 살균 및 살진균 활성을 제공하는 비스비구아나이드이다. 이것은 전혈과 같은 유기물질의 존재 하에서 그의 유효성을 상실하지 않는다. CHG는 미생물의 세포벽 상에 흡착되어 광범한 세균으로부터의 흡수성 물질의 누출을 야기하며, 단백질의 구조에 영향을 미쳐 예를 들어, 막-결합된 ATPase를 억제하며 [19], 단백질의 배열을 변화시키고, 세포에 의한 폴리믹신의 흡수를 촉진시킨다.
비록 SSD가 지난 50년 동안 화상 창상에 대한 표준 치료제이지만, 일부의 연구는 화합물이 그들의 수용체를 사용한 성장 촉진인자의 지연되거나 더 적은 생산에 기인하여, 2도 및 3도 화상에 중요한 창상 치유 과정을 지연시키는 것을 나타내었다. 또한, 화상 창상으로부터의 은의 흡수는 은 독성을 초래하여 피부 재생의 장해 및 피부 조직의 감소된 기계적 강도를 유도한다.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를 사용한 몇 가지의 시험관내 연구는 SSD 및 마페나이드 아세테이트의 증가하는 농도에 의해서 점진적인 세포성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동일한 연구에서, EGF,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또는 혈소판-유래 성장인자에 대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전-노출이 SSD의 효과로부터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세포보호를 제공하였다 [29].
은에 대한 세균 저항성의 사례가 또한 보고되었다. 카슨 (Cason) 등은 이미 1966년에 화상 창상에서의 그람-음성 간균에서 이것을 보고하였다 [21]. 1970년대 후기에는 SSD에 대해 저항성인 그람-음성 분리체 (엔테로박터 클로아세 (Enterobacter cloacae), 프로비덴시아 스투아르티 (Providencia stuartii) 및 피. 에루기노자 (P. aeruginosa))에 의한 화상 창상 감염 또는 콜로니화의 발생에 대한 몇 가지 보고가 있었다. 은에 대한 노출은 저항성 미생물을 선택할 것이며, 이것은 은이 광범하게 사용되는 본질적으로 은-저항성인 세균의 우위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리 (Li) 등은 시험관내에서 증가하는 농도에 대한 반복적인 노출에 의한 고농도의 은 (>1024 ppm)에 대한 세균 저항성의 발생을 보고하였다 [27].
화상 창상의 치료를 위한 SSD의 사용과 관련된 결점은 Bharat Biotech International Limited (BBIL)에 의한 SSD와 rh-EGF를 포함하는 제제의 개발을 유도하였다. 이 조합은 장시간 동안의 rh-EGF의 방출 및 최적의 창상 치유 효과에 필요한 은의 송달의 제한을 돕는다. 이 SSD 및 rh-EGF 조합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SSD로부터의 rh-EGF의 세포보호 효과 및, 또한 EGF의 공동-보충에 의해서 손상된 화상 창상 치유 과정의 가역성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결과들은 이 조합이 화상 환자에게서 창상 치유 과정을 촉진시킴으로써 거기에서 은의 세포독성 효과를 반전시키는데 도움을 준다고 입증하였다. 그러나, SSD에 대한 세균 저항성의 발생에 대한 잠재력 및 투과성 장벽에 기인하여 임상적 샘플에서 보고된 은-저항성 유기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BBIL의 rh-EGF 및 SSD 조합을 사용한 EGF의 혈류 내로의 투과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BBIL에서 생산된 rh-EGF가 혈류 내로 들어가지 않음을 명백하게 나타낸 결과는 음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화상 환자에게서의 BBIL 실험의 rh-EGF와 SSD의 조합은 정상 피부와 동일한 외관, 탄성 및 색상을 갖는 피부를 제공하여 피부 및 피하 화상의 반흔화 과정의 가속화에 대한 rh-EGF의 적용의 유효성을 나타내었으며, 주된 달성은 비후성 반흔이 없는 것이다. 이들 증거는 아마도 그의 미토겐성 효과에 기인하는 반흔화에 대한 rh-EGF의 효과를 나타낸다.
비록 rh-EGF와 SSD의 조합이 SSD 효과의 반전에 의한 지연된 창상 치유 문제에 주의하였지만, 이 제제의 가장 중요한 결점은 SSD의 불투과 능력에 기인하여 설폰아미드 저항성이 빈번하게 인지된다는 것이다. 감염을 관리하기 위해서 이온성 은을 사용하는 것의 의학적 이점에도 불구하고, 세균 저항성의 발생에 대한 잠재력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었으며, 항생제에 대한 교차-저항성과의 관계가 시사되었다. 은-저항성 유기체는 임상 및 환경 샘플에서 보고되었다. SSD와 EGF의 조합은 단지 은에 기인한 세포독성 효과를 방지할 수 있으며, 손상된 창상 치유 과정의 반전에 도움을 준다. 그러나, 이 조합은 투과성 장벽에 기인하여 SSD에 대해서 저항성인 미생물에 대해서 효과적일 수 없다. 이 조합은 은에 대해서 저항성인 미생물에 대한 예방에 충분하지 않으며, 이것은 창상 치유 과정을 지연시킬 수 있고, 또한 화상 창상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는 이차 감염의 원인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선행기술에서는, 다수의 항미생물제를 시험하고 사용하였다. 이들 중에서 가장 통상적인 약제 중의 하나는 단독으로, 또는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CHG)와의 조합, 또는 Bharat Biotech International Limited에 의해서 사용된 것과 같은 SSD와 rh-EGF의 조합으로 사용되는 실버 설파다이아진 (SSD)이었다.
그러나, 선행기술 제제 중의 어떤 것도 훨씬 더 넓은 스펙트럼 범위, 저항성 발생, 금속 이온 독성, 세포독성 등의 위험이 없이 더 빠른 창상 치유를 제공할 수 없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일차적인 목적은 창상, 화상 창상, 피부 이식, 압박 궤양, 당뇨병성 족부 궤양 및 그 밖의 다른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는 국소용 제제의 제조를 위한 광범위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더 넓은 항균/항미생물 스펙트럼을 가지며, 부작용이 없거나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면서 SDS 저항성 미생물에 대해서 효과적인, 항미생물/항균제와 미토겐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신규의 국소용 약제학적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성장인자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한 더 우수하고, 더 빠른 창상 치유 특성을 갖는 신규의 국소용 약제학적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더 긴 안정성 및 저장 수명 (shelf life)을 가지며, 크림, 겔 또는 액체의 형태인 신규의 광범위 국소용 약제학적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창상, 화상 창상, 피부 이식, 압박 궤양, 당뇨병성 족부 궤양 및 그 밖의 다른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국소용 제제의 제조를 위한 신규의 상승적 광범위 약제학적 조성물이 기술되며, 여기에서 상기의 제제는 크림, 겔 또는 액체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의 상승적 조성물은 적어도 3 개의 상승적 활성성분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상승적 활성성분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광범위 살균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광범위 정균제 및 미토겐성 성장인자를 포함한다.
비활성 성분은 제제에 기초, 투과성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담체, 보존제, 유화제, 피부 연화제 및 완화제,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 밖의 다른 구성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미토겐성 단백질은 Bharat Biotech International Limited에 의해서 개발된 재조합 인간 표피 성장인자 (rh-EGF) (REGEN-D™), 또는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rh-PDGF-BB)이다.
살균 및 정균제는 바시트라신, 실버 설파다이아진 (SSD), 니트로푸라존,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CHG), 폴리믹신 B 설페이트, 네오마이신, 포비돈-요오드, 마페나이드, 니트로푸라존 및 겐타마이신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광범위 살균제는 실버 설파다이아진 (SSD)이며, 광범위 정균제는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CHG)이다.
제제의 상승적 비활성 성분은 PEG-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이소헥사데칸,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이산화티탄,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알루미나, 황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소르비톨, 메틸파라벤 나트륨, 프로필파라벤 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디나트륨 EDTA,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VP 공중합체, 디팔미토일 하이드록시프롤린, 보이스 (Bois) II™, 세틸 알콜,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C13-14 이소파라핀, 에톡시디글리콜, 페녹시에탄올, 메틸, 부틸, 에틸 및 프로필파라벤, 트리에탄올아민, 경질 유동 파라핀, 페물렌 (pemulen) TR-1, 카보폴 울트레즈 (carbopol ultrez), 만니톨, 및 정제수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신규의 상승적 조성물은 지속적인 항균/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제제의 더 넓은 항미생물 및/또는 항균 스펙트럼 SSD 저항성 미생물에 대한 유효성, 더 우수하고 더 빠른 창상 치유, SSD 세포독성의 반전, 더 긴 안정성 및 저장수명과 같은 상승적 효과를 갖는다.
다양한 실험 및 시험 결과는, 이 조성물이 다양한 정도의 화상 창상에 가장 적합하며, 이 신규의 상승적 조성물은 또한 창상, 피부 이식, 압박 궤양 및 당뇨병성 족부 궤양과 같은 다른 적응증에 대해서 사용될 수도 있음을 나타내었다.
연구로부터의 결과는 신규의 제제가 다양한 정도의 화상에서, 및 또한 어떤 감염도 없는 화상의 빠른 치유에 매우 효과적이었음을 명백하게 나타내었다. 안정성 연구는 이들 신규의 제제에 대해서 수행되었으며, 이 신규 제제의 실시간 및 가속화 시간 안정성 연구 둘 다는 조합물이 안정하고, 어떤 감염도 없이 화상 창상의 빠른 치유에 더 효과적이었음을 나타내었다.
rh-EGF, 실버 설파다이아진 (SSD) 및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CHG)를 포함하는 제제의 신규의 상승적 조성물은 은에 대해 저항성인 미생물의 효과를 방지하고, 화상 창상에서의 은의 투과성을 돕는다. CHG는 제제 내에서 저농도에서 조차도 화상 창상에서의 은의 투과성을 도움으로써 저항성 미생물에 대한 은의 유효성을 증진시킨다.
BBIL의 rh-EGF, SSD 및 CHG의 이러한 상승적 조합물의 선택의 이론적 근거는 설폰아미드 저항성이 종종 투과성 장벽에 기인하며, 클로르헥시딘은 이 장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고, 이차적으로 상기의 조합물은 화상 치료에 있어서 SSD의 경우와 동등한 예방적 특성을 가지며, 저항성은 전자 중의 어떤 것에 대해서도 출현하지 않고, 창상 치유 과정은 rh-EGF+SSD 단독인 경우보다 제제의 3 가지 약제에 의해서 더 빠르다는 것이다.
이러한 신규의 상승적 조성물은 rh-EGF에 의해서 은 효과의 반전에 도움을 주며, 또한 은에 대해서 저항성인 광범한 스펙트럼에 대해서도 효과적이고, 여기에서 이러한 저항성은 저농도의 CHG의 첨가에 의해 은의 투과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방지된다. 상기 조성물의 상승적 결과는 CHG와 SSD 사이의 상승적 상호작용에 기인하여 수득된다. 제제의 CHG는 SSD의 항균 유효성을 증가시킨다. 더 나아가, 매우 고농도의 SSD에 대해 저항성인 미생물은 또한 SSD를 본 발명의 제제에서 CHG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멸될 수 있다. 슈도모나스 (Pseudomonas) 및 스타필로코커스 (Staphylococcus) 균주 중의 일부 종의 설폰아미드에 대한 저항성은 상기의 단락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벽 기전에 기인한다. 그러나, CHG와 SSD 조합에 의해서, CHG는 질소 염기, 뉴클레오타이드 또는 뉴클레오사이드의 유출을 허용하는데 충분하게 막을 변화시키지 않고, 상기의 변화는 설파다이아진 분자의 유입을 허용하기에는 충분하며, 이에 의해서 화상 창상에서 미생물의 완전한 감소를 허용하는 것으로 결론지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의 제제 내의 BBIL의 rh-EGF와 CHG 및 SSD의 상승적 효과는 국소적 예방 작용에 의해 화상 창상에서 감염의 가장 효과적인 제어뿐만 아니라 치료를 제공한다.
도 1은 제제 내의 다양한 농도의 rh-EGF를 사용하는 동물의 수에 관한 창상 치유의 백분율을 나타내는 기하학적 표현이다.
도 2는 제제 내의 다양한 농도의 rh-PDGF-BB를 사용하는 동물의 수에 관한 창상 치유의 백분율을 나타내는 기하학적 표현이다.
도 3은 다양한 제제 조성을 사용하여 화상 환자의 백분율을 나타내는 기하학적 표현이다.
도 4는 ELISA 방법에 의한 신규 제제 내의 rh-EGF 함량의 평가치를 나타내는 기하학적 표현이다.
도 5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신규 제제의 비교 동력학의 그래프적 표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제의 가속화 안정성 시험의 기하학적 표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제의 실시간 안정성 시험의 기하학적 표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구체예가 본 명세서에 기술되지만, 기술된 구체예는 단지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는 본 발명을 예시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술된 특정한 구조적 및 기능적 상세한 내용은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지 않으며, 단지 특허청구범위에 대하 기초로서 및 실질적으로 적절하게 모든 상세하게 기술된 구조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사용하도록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게 교시하기 위한 대표적 기초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 문구는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본 발명이 이해가능한 설명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창상, 화상 창상, 피부 이식, 압박 궤양, 당뇨병성 족부 궤양 및 그 밖의 다른 피부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크림 또는 겔 또는 액체 형태의 국소용 제제의 제조를 위한 신규의 상승적 광범위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의 상승적 조성물은 적어도 3 개의 상승적 활성성분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상승적 활성성분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광범위 살균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광범위 정균제, 및 미토겐성 성장인자를 포함한다.
비활성 성분은 제제에 기초, 투과성 및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담체, 보존제, 유화제, 피부 연화제 및 완화제,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그 밖의 다른 구성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미토겐성 단백질은 Bharat Biotech International Limited에 의해서 개발된 재조합 인간 표피 성장인자 (rh-EGF) (REGEN-D™) 또는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rh-PDGF-BB)와 같은 성장인자이다.
살균 및 정균제는 바시트라신, 실버 설파다이아진 (SSD), 니트로푸라존,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CHG), 폴리믹신 B 설페이트, 네오마이신, 포비돈-요오드, 마페나이드, 니트로푸라존 및 겐타마이신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선택된 광범위 살균제는 실버 설파다이아진 (SSD)이고, 광범위 정균제는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CHG)이다.
제제의 상승적 비활성 성분은 PEG-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이소헥사데칸,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이산화티탄,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알루미나, 황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소르비톨, 메틸파라벤 나트륨, 프로필파라벤 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디나트륨 EDTA,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VP 공중합체, 디팔미토일 하이드록시프롤린, 보이스 (Bois) II™, 세틸 알콜,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C13-14 이소파라핀, 에톡시디글리콜, 페녹시에탄올, 메틸, 부틸, 에틸 및 프로필파라벤, 트리에탄올아민, 경질 유동 파라핀, 페물렌 TR-1, 카보폴 울트레즈, 만니톨, 및 정제수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한가지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신규의 상승적 조성물은 지속적인 항균/항미생물 활성과 함께 더 광범한 미생물 및/또는 세균 범위, 은 저항성 미생물에 대한 유효성, 더 우수하고 더 빠른 창상 치유, SSD 세포독성의 반전, SSD의 은 효과의 반전, 및 제제의 더 긴 저장 수명과 같은 상승적 효과를 제공하는 바람직한 비율로 미토겐성 단백질 (rh-EGF), 살균제 (SSD) 및 정균제 (CHG)를 포함한다.
재조합 인간 표피 성장인자 (rh-EGF) (Bharat Biotech International Limited의 REGEN D)는 창상, 피부 이식, 화상 창상, 압박 궤양 및 당뇨병성 족부 궤양과 같은 적응증의 치료 및 관리를 위해서 사용되는 잘 알려진 성장인자이며. rh-EGF는 세포 증식, 이동 및 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성장인자의 패밀리에 속한다. rh-EGF는 미토겐으로서, 및 또한 다수의 세포 타입에 대한 분화인자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rh-EGF가 창상의 치유에 도움을 주지만, 화상 창상 관리 중에 감염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SSD는 화상에 대한 표준 치료제이다. 그러나, 일부의 연구는 상기의 화합물이 그들의 수용체를 사용한 성장 촉진인자의 지연되거나 더 적은 생산에 기인하여, 2도 및 3도 화상에 중요한 창상 치유 과정을 지연시키는 것을 나타내었다.
은 저항성 미생물의 효과를 방지하고, 저항성 미생물에 대한 은의 투과성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SSD와 rh-EGF의 조합에 추가의 약제인 CHG를 첨가한 본 발명의 신규의 제제가 개발되었다. 상기 조합의 배후의 이론적 근거는 CHG가 저농도에서조차도 화상 창상에서 저항성 미생물에 대한 은의 투과성을 도와줌으로써 저항성 미생물에 대한 은의 유효성을 도와준다는 것이다.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는 각질층에 결합하여 영역으로부터 씻어낸 경우에조차도 6 시간 이상 동안 지속적인 살균 및 살진균 활성을 제공하는 비스비구아나이드이다. 이것은 전혈과 같은 유기물질의 존재 하에서 그의 유효성을 상실하지 않으며, 이것은 중요한 방부제, 소독제, 항균성 구강 청결제 및 보존제이다. 이것은 그람-양성, 그람-음성 세균, 바이러스 및 진균에 대해서 항미생물 스펙트럼을 갖는다. CHG는 세균 세포벽 및 세포질 성분에 결합하여 변화된 삼투 평형 및 또한 세포질 성분의 침전을 초래한다.
이러한 신규의 상승적 조성물을 사용하여 확립된 결과는 rh-EGF의 첨가에 의해 은의 세포독성을 방지함으로써 은 효과의 반전을 나타내었다. CHG의 첨가는 저항성 미생물에 대한 은의 투과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미생물의 넓은 스펙트럼에 대해서 효과적인 이 신규의 조합물을 만들었다.
이러한 신규의 상승적 제제는 또한, 시험관내 분석에서의 이들의 조합에서 미생물의 감소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여기에서 이 상승적 조합물은 넓은 스펙트럼의 항생제 저항성 미생물에 대해서 효과적이었다. 결과는, 화상에 의해서 야기된 다양한 정도의 창상을 치료하기 위한, 및 또한 창상, 피부 이식, 압박 궤양 및 당뇨병성 족부 궤양과 같은 다른 적응증을 위한 국소용 약제학적 제제로 사용되는 이 신규의 상승적 조성물이 2 년 이상의 저장 수명을 갖는 것으로 매우 안정하였음을 입증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제 내의 각각의 성분은 이용할 수 있는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그의 농도에 대해서 측정하였다. rh-EGF의 효능은 SSD 및 CHG를 최적 농도에서 유지시키고 5 ㎍, 10 ㎍ 및 15 ㎍으로 출발하는 다양한 농도의 rh-EGF을 사용하는 동물 실험 [실시예 1] 및 화상 환자에게서의 실험 [실시예 3]을 수행함으로써 결정되었다.
rh-PDGF-BB의 효능은 SSD 및 CHG를 최적 농도에서 유지시키고 1 ㎍, 3 ㎍ 및 5 ㎍으로 출발하는 다양한 농도의 rh-PDGF-BB를 사용하는 동물 실험 [실시예 2]을 수행함으로써 결정되었다.
rh-EGF 농도는 인증된 ELISA 방법에 의해서 평가되었다 [실시예 4].
신규의 제제 내의 SSD의 평가를 위해서, 미국 약전에서 이용할 수 있는 시험방법을 기초로 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들 평가의 결과는 크림에 첨가된 SSD의 정확한 양이 평가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신규의 제제 내의 CHG의 평가를 위해서는, 영국 약전에서 이용할 수 있는 시험방법을 기초로 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5].
rh-EGF, SSD 및 CHG를 함유하는 이 신규의 상승적 제제는 또한, 시험관내 분석에서의 이들의 조합에서 미생물의 감소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여기에서 처음으로 이 상승적 조합의 동력학적 효과는 넓은 스펙트럼의 항생제 저항성 미생물에 대해서 효과적이다 [실시예 6].
본 발명에서는, 가속화 및 실시간 안정성 연구가 SSD, CHG 및 rh-EGF를 포함하는 신규의 제제에 대해서 수행되었으며, 결과는 3 가지 성분이 모든 제제의 첨가된 조성에서 어떤 감소나 증가가 없이도 안정하며, 이 신규의 제제는 2 년 이상 동안 안정함을 명백하게 나타내었다.
실시예
실시예 1: 동물 모델에서 효능을 시험하기 위한 다양한 농도의 rh - EGF 의 선택:
신규의 상승적 제제 조합 SSD, CHG 및 제3 약제의 첨가의 경우에, 제3의 약제 즉, BBIL의 rh-EGF를 5 ㎍, 10㎍ 및 15 ㎍으로 변화시켜 이들 3 가지 약제의 최상의 조합을 선택하였다. 안정성 연구는 이들 신규의 제제에 대해서 수행되었다. 안정한 제제를 이들 신규의 제제의 효능을 검사하기 위해서 디자인된 동물 모델에 적용하였다.
제제의 8 개의 조합을 신규 제제의 효능에 대해 동물 모델에서 시험하였다:
1. 1% 실버 설파다이아진 크림
2. 1% 실버 설파다이아진 + rh-EGF 10 ㎍/g 크림
3. 1% 실버 설파다이아진 + 0.02%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 rh-EGF 5 ㎍/g 크림
4. 1% 실버 설파다이아진 + 0.02%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 rh-EGF 10 ㎍/g 크림
5. 1% 실버 설파다이아진 + 0.02%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 rh-EGF 15 ㎍/g 크림
6. 1% 실버 설파다이아진 + 0.02%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 rh-EGF 5 ㎍/g 겔
7. 1% 실버 설파다이아진 + 0.02%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 rh-EGF 10 ㎍/g 겔
8. 1% 실버 설파다이아진 + 0.02%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 rh-EGF 15 ㎍/g 겔
총 96 마리의 랫트 [48 마리의 수컷 및 48 마리의 암컷]를 rh-EGF의 신규의 상승적 제제의 효능을 시험하기 위해서 선택하였다. 전체 동물 집단을 2 개의 주된 그룹, 즉 시험 그룹으로서 그룹 I 및 대조 그룹으로서 그룹 II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그룹을 8 개의 서브-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여기에서 8 개의 그룹에는 크림 및 겔의 g당 5 ㎍, 10 ㎍ 및 15 ㎍으로부터 출발하여 rh-EGF의 농도를 변화시킨 상기한 조합의 8 가지 상이한 제제를 적용하였다.
[표 1]
신규의 제제 및 동물 데이터의 수
Figure pct00001

동물 모델에서 화상 창상 발생:
시험 및 대조 그룹 동물이 화상 창상의 발생을 위해서 사용되었다. 특별하게 만들어진 황동 막대가 랫트에서 화상 창상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되었다. 황동 막대는 15±1 분 동안 75±2℃의 열수욕 (heating water bath) 중에서 유지시켰다. 동물은 실험을 시작하기 전날에 2×2×2 ㎝ 크기의 면적을 면도하였다. 황동 막대를 수욕으로부터 꺼내고, 15-20 초의 단시간 동안 랫트의 피부에 놓고, 즉시 떼어내었다. 막대의 직경은 막대를 동물의 피부에 접촉시켰을 때, 약 1 ㎝의 창상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선택되었다. 각각의 동물에 대해서, 별개의 멸균 막대를 사용하여 동물에 존재할 수 있는 모든 감염 또는 하나의 동물로부터 다른 동물로의 감염의 전이를 방지한다. 랫트에 대한 화상 창상 발생의 30 분 후에, 상기 언급한 5 가지 신규의 크림 기본 제제를 적용하였다. 시험 제제 및 대조용은 모두 멸균 면봉을 사용하여 창상이 치유될 때까지, 또는 6 주일의 만료 시까지 화상 영역에 균일하게 발랐다. 적용하기 전에, 만약 있다면 기본적인 화상 창상 관리를 동물에서 수행하였다.
이 시험의 일차적인 목표는 그룹 I의 경우에 그룹 II에 비해 40% 이상만큼 유의적으로 감소된 치유의 지속기간이다. 상피화의 이차 종말점이 대조 그룹에 비해 신규의 제제 그룹에서 관찰되었다. 크림 제제와 겔 제제 사이에는 매우 적은 효능 차이가 있다. 크림 제제가 겔 제제에 비해서 더 효과적이며, 이들 크림 및 겔 제제는 둘 다 다른 두 가지 통상의 제제와 비교하여 탁월하다. 3부터 8까지의 신규의 제제 서브-그룹에서는 상당한 반흔 비후화 또는 어떤 색소침착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화상 창상 치유의 지속기간은 모든 신규의 제제 동물에서 유사하지 않았지만, 치유시간의 백분율은 대조 그룹 동물과 비교하여 50% 이상이었다.
[표 2]
신규 제제의 코호트 (cohort) 데이터
Figure pct00002

이들 신규 제제로 시도된 96 마리의 동물 중에서, 화상 창상 치유의 지속기간은 모든 신규 제제 동물에서 유사하지 않았지만, 결과는 이들 제제가 그들의 대조 그룹보다 더 빠르게 치유시간을 촉진시키는 것을 명백하게 나타낸다.
[표 3]
신규 제제의 코호트 데이터
Figure pct00003

상기의 치유시간의 백분율을 기초로 하여, 1% SSD + 0.02% CHG + 10 ㎍/g rh-EGF 크림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국소용 제제가 화상 환자에게 사용될 가장 우수한 제제였던 것으로 결론지어졌다. 상기 제제는 상기의 조성을 사용하여 가속화 시간 동안 +25℃±2℃에서, 및 실시간 동안 5℃±3℃의 온도에서 각각 가속화 시간 및 실시간 안정성 시험 둘 다를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조합물이 2 년 이상 동안 +2℃ 내지 8℃의 저장 온도에서 매우 안정함을 입증하였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이것은 제제 내의 활성성분, 즉 rh-EGF, SSD 및 CHG의 다양한 조성물에 의한 동물에서의 창상 치유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크림 제제의 결과는, 단지 1% SSD만이 제제에 사용된 경우에 창상 치유 백분율이 단지 약 60%였음을 나타내었다. 창상 치유는 1% SSD와 10 ㎍/g의 rh-EGF의 조합에 의해서 약 78%까지 개선되었다. 창상 치유 백분율은 1% SSD, 0.02% CHG 및 5 ㎍/g의 rh-EGF의 조합에 의해서 약 95%였다. 반면에, 창상 치유 백분율은 1% SSD, 0.02% CHG 및 10 ㎍/g의 rh-EGF를 포함하는 제제에 의해서 거의 100%였다. 동일한 조성을 갖는 크림 및 겔 제제를 비교한 경우에, 결과는 크림 제제가 겔 제제보다 약간 더 큰 치유율을 가짐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동물 모델에서 효능을 시험하기 위한 다양한 농도의 rh - PDGF - BB 의 선택:
신규의 상승적 제제 조합 SSD, CHG 및 제3 약제의 첨가의 경우에, 제3의 약제, 즉 rh-PDGF-BB를 1 ㎍/g, 3 ㎍/g 및 5 ㎍/g으로 변화시켜 이들 3 가지 약제의 최상의 조합을 선택하였다. 이들 제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창상을 발생시킴으로써 이들 신규 제제의 효능을 검사하기 위해서 디자인된 동물 모델에 적용하였다.
제제의 5 개의 조합을 신규 제제의 효능에 대해 동물 모델에서 시험하였다:
1. 1% 실버 설파다이아진 크림
2. 1% 실버 설파다이아진 + rh-PDGF-BB 5 ㎍/g 크림
3. 1% 실버 설파다이아진 + 0.02%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 rh-PDGF-BB 1 ㎍/g 크림
4. 1% 실버 설파다이아진 + 0.02%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 rh-PDGF-BB 3 ㎍/g 크림
5. 1% 실버 설파다이아진 + 0.02%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 rh-PDGF-BB 5 ㎍/g 크림
총 60 마리의 랫트 [30 마리의 수컷 및 30 마리의 암컷]가 rh-PDGF-BB의 신규의 상승적 조성물의 효능을 시험하기 위해서 선택되었다. 전체 동물 집단을 2 개의 주된 그룹, 즉 시험 그룹으로서 그룹 I 및 대조 그룹으로서 그룹 II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그룹을 5 개의 서브-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여기에서 5 개의 그룹에는 크림의 g당 1 ㎍, 3 ㎍ 및 5 ㎍으로부터 출발하여 rh-PDGF-BB의 농도를 변화시킨 상기한 조합의 5 가지 상이한 제제를 적용하였다.
[표 4]
신규의 제제 및 동물 데이터의 수
Figure pct00004

이 시험의 일차적인 목표는 그룹 I의 경우에 그룹 II에 비해 30% 이상만큼 유의적으로 감소된 치유의 지속기간이다. 화상 창상 치유의 지속기간은 모든 신규의 제제 동물에서 유사하지 않았지만, 치유시간의 백분율은 대조 그룹 동물과 비교하여 30% 이상이었다.
[표 5]
신규 제제의 코호트 데이터
Figure pct00005

도 2를 참고로 하여, 이것은 제제 내의 활성성분, 즉 rh-PDGF-BB, SSD 및 CHG의 다양한 조성물에 의한 동물에서의 창상 치유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5 ㎍/g rh-PDGF-BB, SSD 및 CHG를 갖는 크림 제제의 결과는 다른 그룹과 비교한 경우에 더 우수한 창상 치유 백분율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화상 환자에게서 신규 제제의 안전성 및 효능:
EGF, FGF, 및 TGF와 같은 몇 가지 성장인자는 치유 과정을 조정하고, 세포 증식, 분화 및 기관 성장의 조절에 참여하는 조절성 단백질로서 확인되었다. 다양한 인간 시험은 수행하여 rh-EGF 연고의 국소 적용에 의한 화상 창상 치유의 가속화를 평가하였다. 제제의 5 개의 조합을 신규 제제의 효능에 대해 화상 환자에게서 시험하였다:
1. 1% 실버 설파다이아진 (대조)
2. 1% 실버 설파다이아진 + rh-EGF 10 ㎍/g (그룹 I)
3. 1% 실버 설파다이아진 + 0.02%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 rh-EGF 5 ㎍/g (그룹 II)
4. 1% 실버 설파다이아진 + 0.02%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 rh-EGF 10 ㎍/g (그룹 III)
5. 1% 실버 설파다이아진 + 0.02%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 rh-EGF 15 ㎍/g (그룹 IV)
본 시험에서는 신규의 상승적 제제 비교시험을 수행하여 화상 환자의 표재 (1도-단지 피부의 외부층에만 영향을 미침) 및 부분적 두께 (2도-피부의 외부층 및 기저층 둘 다에 영향을 미침)에서 대조 그룹에 대비한 이들 제제의 안전성 및 효능을 평가하였다. 남성 및 여성 둘 다를 포함하는 총 50 명의 환자를 2 가지의 그룹, 즉 40 명의 환자로 이루어진 그룹 I 내지 그룹 IV (신규 조합물) 및 10 명의 환자로 이루어진 대조 그룹으로 모집하였다. 대조 그룹에 대한 시험 그룹에서 완전한 창상 폐쇄가 있는 대상체의 비율을 평가 및 비교하기 위해서 화상 환자에게서 다음의 파라메터를 사용하였다:
(a) 치유율 (창상 치유의 측정에 의함).
(b) 완전한 창상 폐쇄에 필요한 시간 (일수).
멸균된 투명한 시트를 창상 위에 놓고, 그의 둘레를 영구적 메이커펜 (permanent marker pen)을 사용하여 추적하였다. 트레이싱 (tracing)은 상부 시트 상에 만들고; 창상과 접촉하는 하부 시트는 사용한 후에 폐기하였다. 투명도를 1 ㎟ 평방의 양을 계수하는 측량용 그래프 용지상에 놓았다. 연구 약물, 즉 시험 및 대조 약물을 크림 기제 내에 제공한다. 연구 약물 및 대조용 둘 다를 창상이 치유될 때까지, 또는 6 주일의 종료 시까지 1일 2 회, 멸균 면봉을 사용하여 화상 영역에 균일하게 발랐다. 적용하기 전에, 가피의 괴사조직제거 또는 고름 제거와 같은 기본적 화상 창상 관리 간호는 어떤 것이라도 수행되었다. 정량적 변수는 평균값 (±SD)으로 표시되며, 대조 그룹과 치료 그룹 사이의 그 밖의 다른 특징은 다른 방식으로 분석되었다.
총 50 명의 환자는 대조 및 시험 그룹 둘 다에 등록되었다. 연구 코호트 (cohort)는 표 6에 제시된다. 일차적인 목표는 즉, 치유의 지속기간은 그룹 III (SSD+CHG+rh-EGF 10 ㎍/g)에서 대조 그룹에 비해 50% 이상만큼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대조 및 시험 그룹 (SSD+CHG+rh-EGF 10 ㎍/g) 둘 다에서 모든 환자들에서 화상의 표면적은 총체표면적의 20% 이하였다. 시험 그룹에서의 평균 치유시간은 5일인 반면에 대조 그룹은 12일이었다.
두 번째 목표, 즉 상피화의 질은 대조 그룹에 비해 그룹 III (SSD+CHG+rh-EGF 10 ㎍/g 그룹)에서 더 나은 상피화를 나타내는, 완전한 치유 후에 수행된 창상 생검에 의해서 관찰되었다. 부속기 재생 및 콜라겐 성숙도 또한 대조 영역에 비해서 우수하였다. 그룹 III (SSD+CHG+rh-EGF 10 ㎍/g)에서는 창상 표면의 자극이 한 경우에 있었으며, 이것은 어떤 약물 치료도 없이 24 시가 이내에 해소되었다. 이 그룹에서는 유의적인 반흔 비후화 또는 색소침착 변화도 인지되지 않았다.
[표 6]
화상 환자 시험 코호트 데이터
Figure pct00006

[표 7]
화상 치유의 화상 환자 시험 데이터
Figure pct00007

[표 8]
시험에서 화상 환자의 창상 치유의 백분율 범위
Figure pct00008

상기의 결과로부터, 신규의 상승적 제제 (SSD+CHG+rh-EGF 10 ㎍/g)가 표재 및 부분적 두께 화상에서 상피화를 가속화시켜 화상 환자에게서 더 빠른 화상 창상 폐쇄, 감소된 병원 체류 및 더 우수한 예후를 초래하는 것이 명백하다. 증가하는 증거는 외인성 성장인자가 조직 수복에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들은 내인성 성장인자 및 이들의 유전자 발현에 대한 유도제로서 작용할 수 있거나 창상 치유를 가속화시키는데 있어서의 조직 수복 세포에 대한 자극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화상 사건의 거의 유행성으로 증가하는 시나리오에서, 임상적 치유를 증가시키는 rh-EGF와 같은 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정교한 치료법은 미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대된다.
도 3은 화상 환자에게서 창상 치유의 백분율 (인간 데이터)을 보여주는 표 8에 나타낸 결과의 기하학적 표현이다. 도 3의 기하학적 표현은 최상의 창상 치유 결과가 서로의 항미생물 및 창상 치유 특성을 증진시키는 성분들의 상승적 상호작용으로 인해서 SSD + CHG + rh-EGF를 포함하는 제제에 의해서 수득되었음을 확인한다.
이러한 신규의 상승적 제제 조합의 주된 이점은 화상 창상에서 세균의 침입에 기인하여 야기된 감염을 방지하고, 동시에 rh-EGF가 세균 감염의 침입이 없이 화상을 치유하여 화상의 빠른 치유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감염을 방지하는 이외에도, 가장 중요한 이점은 성장인자 rh-EGF의 존재 하에서 최적 레벨로 조직을 재생시키도록 세포를 노출시킴으로써 SSD의 효과에 기인하여 손상된 창상 치유를 반전시키는 것이었다. 제제의 이 신규의 상승적 조성물은 감염의 감소에 더 중요하며, 이에 의해서 빠른 창상 치유율 및 화상에 의해서 야기된 창상의 치유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조합의 배후의 이론적 근거는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가 저농도에서조차도 화상 창상에서 은의 투과성을 도와줌으로써 저항성 미생물에 대한 은의 유효성을 도와준다는 것이다.
실시예 4: 신규 제제에서 rh - EGF 의 평가
rh-EGF는 고체상 샌드위치 효소 결합된-면역-흡착시험 (ELISA)을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인간 rh-EGF에 대해서 특이적인 폴리클로날 항체를 미량역가 스트립 (microtiter strips)의 웰 상에 코팅하였다. rh-EGF의 표준품, 대조용을 포함하는 샘플을 이들 웰에 피펫팅한다. 주된 원리는 일차 배양 중에 rh-EGF 항원이 한 부위 상의 고정화된 (포획) 항체에 결합하는 것이다. 세척한 후에, rh-EGF에 대해서 특이적인 비오티닐화된 모노클로날 항체를 첨가하였다. 이차 배양 중에, 이 항체는 일차 배양 중에 포획된 고정화된 rh-EGF에 결합한다. 과량의 이차 항체를 제거한 후에, 스트렙타비딘-퍼옥시다제 (효소)를 첨가한다. 이것은 비오티닐화된 항체에 결합한다. 3차 배양하고, 세척하여 모든 비결합된 효소를 제거한 후에, 결합된 효소에 의한 작용으로 색을 발생시키는 기질 용액을 첨가한다. 이 착색된 생성물의 강도는 원래의 검체 내에 존재하는 rh-EGF의 농도에 정비례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rh-EGF의 함량을 상기 언급된 신규 제제에서 평가하였다. 결과는 rh-EGF의 첨가된 함량이 명시된 바와 동일하고, 단백질은 활성이 있음을 명백하게 나타낸다.
도 4는 상기 단락에서 실시예 3에서 설명된 ELISA 방법에 의한 신규 제제 내의 rh-EGF 함량의 평가를 나타내는 기하학적 표현이다.
실시예 5: 신규 제제 내의 실버 설파다이아진의 평가 및 신규 제제 내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의 평가
SSD 시험은 USP 27 면 No: 1740-1741에 명시된 방법에 따라 수행되었다. 이들 평가의 결과는 크림에 첨가된 SSD의 정확한 양이 평가될 수 있었음을 나타내었다.
CHG 시험도 또한 BP 2005, BP volume III (Formulation preparations: Specific Monographs Lidocaine and Chlorhexidine gel)에 명시된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다. 이들 평가의 결과는 크림에 첨가된 CHG의 정확한 양이 평가될 수 있었음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신규 제제에 의한 상승작용의 동력학
BBIL의 rh-EGF와 SSD 및 CHG의 상승작용은 시험 유기체의 성장 배양물에 대한 이 신규 조성물의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시험관내에서 시험하였다.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의 밤새 배양물을 0.1 내지 0.2의 OD600 값으로 사용하였다. 완전한 실험 절차는 온도 조건을 37℃에서 유지시킴으로써 수행되었다. 3 가지 성분, 즉 BBIL의 rh-EGF, SSD 및 CHG를 갖는 신규의 상승적 조성물을 BBIL의 rh-EGF와 SSD 조합물과 비교하였다. 접종 시간을 시간 0으로 채택하고, 조합물을 배양물에 첨가한 후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판독치를 구하였다. 그래프는 신규의 상승적 제제의 동력학의 측정을 위한 시간 대비 배양물 광학 밀도로 도시하였다. 결과로부터, 3 가지 성분, 즉 BBIL의 rh-EGF, SSD 및 CHG를 갖는 신규의 조성물이 BBIL의 rh-EGF 및 SSD 조합과 비교하여 미생물 수의 감소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이 내려진다. 이 결과는 화상 창상에 사용될 수 있는 BBIL의 rh-EGF, SSD 및 CHG의 이 신규의 상승적 조합물의 이점을 명백하게 나타낸다.
도 5에 대한 언급은 대조용 제제 (1% SSD), BBIL의 rh-EGF + SSD의 조합, 및 BBIL의 rh-EGF + SSD + CHG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예 6에 설명된 바와 같이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신규 제제의 동력학을 비교한 그래프적 표현이다.
실시예 7: 실버 설파다이아진 ,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rh - EGF 의 조합을 사용한 신규 제제의 안정성 시험
SSD,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및 rh-EGF 크림을 함유하는 신규 제제의 안정성은 실시간 및 가속화 안정성 조건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실시간 시험은 24 개월 동안 +2℃ 내지 +8℃의 저장 온도에서 수행되었으며, 가속화 시험은 6 개월 동안 +25℃±2℃의 저장 온도 및 60% RH±5%에서 수행되었다. 이 안정성 시험의 뒤에 있는 이론적 근거는 2-8℃의 저장 온도에서 24 개월 동안SSD,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및 rh-EGF 크림을 함유하는 신규 제제의 저장 수명을 확립하는 것이다.
결과로부터, 화상 창상에서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된 신규 제제는 2-8℃의 저장 온도에서 2 년 이상 동안 안정한 것으로 결론이 내려진다.
도 6은 SSD + CHG + rh-EGF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신규 조성의 제제에 의한 가속화 안정성 시험을 나타내는 기하학적 표현이다. 가속화 안정성 시험은 본 발명의 신규 조성을 갖는 제제가 6 개월의 종료 후에조차도 95% rh-EGF 활성을 가졌음을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는 신규 제제가 상기 실시예 7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가속화 시험 조건 하에서 95% 또는 그 이상의 rh-EGF 활성으로 안정하였음을 입증하였다.
도 7에 대한 언급은 제제 내의 SSD + CHG + rh-EGF의 신규 조성을 사용하여 수행된 실시간 안정성 시험의 기하학적 표현이다. 시험 결과는 신규 제제가 상기 실시예 7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저장 조건 하에서 24 개월 후에조차도 95% 또는 그 이상의 rh-EGF 활성을 갖는 것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신규 제제는 더 안정하고, 더 긴 저장 수명을 갖는다.
실시예 8: 본 발명의 신규 조성물을 사용하는 국소 적용을 위한 다양한 제제의 제조
다양한 국소용 크림 제제는 창상, 화상 창상, 피부 이식, 압박 궤양, 당뇨병성 족부 궤양에 적용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이전 단락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rh-EGF, SSD 및 CHG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신규 조성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신규 조성물은 국소용 제제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다른 성분들이 필요에 따라 기제, 담체, 보존제, 유화제, 피부 연화제, 완화제 및 피부 유연제 등으로 첨가될 수 있다. 이하의 것은 본 발명의 신규 조성물과 함께 다양한 성분들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는 크림 제제의 예이다.
이하의 표에 제시된 크림 제제는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한 것뿐만 아니라, 단지 본 발명의 다양한 구체예를 보여주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다. 몇 가지 다른 크림 제제도 또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신규 조합으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단지 이들 크림 제제로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크림 제제-1
Figure pct00009

크림 제제-2
Figure pct00010

크림 제제-3
Figure pct00011

크림 제제-4 (SLVRGEN™, rh-EGF + SSD + CHG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신규 조성을 갖는 크림 제제의 예)
Figure pct00012

참고문헌:
1. Kucan JO. Robson MC, Heggers JP. et al. Comparison of silver sulfadiazine, povidoneiodine and physiologic saline in the treatment of chronic pressure ulcers. J Am Geriatr Soc . 1981:29:232-235.
2. McCauley RL, Li YY, Chopra V, Herndon DN, Robson MC. Cytoprotection of human dermal fibroblasts against silver sulfadiazine using recombinant growth factors. J Surg Res . 1994 Apr;56(4):378-84.
3. Vijay Viswanathan, MD, PhD; Sharad Pendsey, MD, MDDG; N. Sekar, MS, MNAMS, MCh, FICS; G.S.R. Murthy, PhD. A Phase III Study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GEN-D™ 150) in healing Diabetic Foot ulcers. Wounds 2006; 18(7): 186-196.
4. Lev-Ran A, Hwang DL: Epidermal growth factor and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in blood in diabetes mellitus. Acta Endocrinol (copenh) 1990; 123(3) (September): 326-330.
5. Brown G L, Nannoy L B, Gritten J, Cramer A B, Yancey JM, Curtsinger LJ 3rd et al. Enhancement of wound healing by topical treatment with Epidermal growth factor. N Eng J Med 1989; 321(2) (July (13)): 76-9.
6. K. Sharma, P.V. Cherish Babu, P. Sasidhar, V. K. Srinivas, V. Krishna Mohan, Ella Krishna.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inclusion body solubilization and refolding at large scale using expanded-bed adsorption chromatography from Escherichia coli , Protein Expression and Purification, 2008, 60, 7-14.
7. Greenhalgh, DG. The Role of Growth Factors in Wound Healing. Journal of Trauma-Injury Infection & Critical Care 1996; 41(1): 159-7.
8. Buckley A, Davidson JM, Kamerath CD, Woodward SC. Epidermal growth factor increases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dose dependently. J. Surg Res. 1987; 43(4) 322-328.
9. Eaglstein WH, Mertz PM, Alvarez OM. Effect of topically applied agents on healing wounds. Clin Dermatol . 1984;2: 112-115.
10. Brown MRW, Wood SM. Relation between cation and lipid content of cell walls of Pseudomonas aen ~ ginosa ,P roteus ~' trlgaris . and KlebsieNa aerogenes and their sensitivity to polymyxin B and other antibacterial agents. JPharm Pharmacol . 1972;24:215-228.
11. Cooper ML, Boyce ST, Hansbrough JF, et al. Cytotoxicity to cultured human keratinocytes of topical antimicrobial agents. J Surg Res . 1990;48:190-195,
12. Monafo WW, West MA. Current treatment recommendations for topical bum therapy. Drugs . 1990;40:364-373.
13. Lineaweaver W, McMorris S, Soucy D, Howard R. Cellular and bacterial toxicities of topical antimicrobials. Plast Reconstr Sulg . 1985:75:394-j96.
14. Cooper ML. Laxer JA, Hansbrough JF. The cytotoxic effects of commonly used topical antimicrobial agents on human fibroblasts and keratinocytes. J Trauma . 1991;31:775-784.
15. McCauley RL, Linares HA, Pelligrini V, et al. In vitro toxicity of topical antimicrobial agents to human fibroblasts. J SUT Res . 1989; 46:267-274.
16. Lindberg RB, Moncrief JA, Mason AD Jr. Control of experimental and clinical burn wound sepsis by topical application of sulfamylon compounds. Ann NY Acad Sci. 1968; 150:950-960.
17. Taddonio TE, Thomson PD, Smith DJ Jr, Prasad JK. A survey of wound monitoring and topical antimicrobial therapy practices in the treatment of burn injury. J Bum Care Rehabil . 1990;11:423-427.
18. LOWBURYE,. J. L., LILLEYH, . A. & BULL,J . P. 1960 Disinfection of the skin of operation sites. British Medical Journal 2, 1039-1044.
19. HAROLD, F. M., BAARDAJ, . R., BARON,C . & ABRAMS, A . 1969 Dio 9 and chlorhexidine; Inhibition of membrane-bound ATPase and of cation transport in Streptococcus faecalis . Biochemica et Biophysica Acta 183, 129-136.
20. Hansbrough JF, Zapata-Sirvent RL, Cooper ML. Effects of topical antimicrobial agents on the human neutrophil resp~ratoryb urst. Arch Sulg . 1991;126:603-608.
21. Cason JS, Jackson DM, Lowbury EJ, Ricketts CR. Antiseptic and aseptic prophylaxis for burns: use of silver nitrate and of isolators. Br Med J 1966; 2(525): 1288-94.
22. Gayle WE, Mayhall CG, Lamb VA, Apollo E, Haynes BW. Resistant Enterobacter cloacae in a burn center: the ineffectiveness of silver sulfadiazine. J Trauma 1978; 18(5): 317-23.
23. Wenzel RP, Hunting KJ, Osterman CA, Sande MA. Providencia stuartii, a hospital pathogen: potential factors for its emergence and transmission. Am J Epidemiol 1976; 104(2): 170-80.
24. Klasen HJ. A historical review of the use of silver in the treatment of burns. II. Renewed interest for silver. Burns 2000; 26(2): 131-8.
25. Bridges K, Lowbury EJ. Drug resistance in relation to use of silver sulphadiazine cream in a burns unit. J Clin Pathol 1977; 30(2): 160-4.
26. Silver S. Bacterial silver resistance: molecular biology and uses and misuses of silver compounds. FEMS Microbiol Rev 2003; 27(2-3): 341-53.
27. Li XZ, Nikaido H, Williams KE. Silver-resistant mutants of Escherichia coli display active efflux of Ag+ and are deficient in porins. J Bacteriol 1997; 179(19): 6127-32.
28. Fuller FW, Parrish M, Nance FC. A review of the dosimetry of 1% silver sulfadiazine cream in burn wound treatment. J Burn Care Rehabil 1994;15(3):213-23
29. Ae-Ri Cho Lee, Hyunju Leem, Jaegwan Lee, Kyung Chan Park. Reversal of silver sulfadiazine- impaired wound healing by epidermal growth factor. Biomaterials 2005;26:4670-4676
30. HUGO,W . B. & LONGWORTHA,. R. 1964 Some aspects of the mode of action of chlorhexidine.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16,655-662.
31. Annear DI, Mee BJ, Bailey M. Instability and linkage of silver resistance, lactose fermentation, and colony structure in Enterobacter cloacae from burn wounds. J Clin Pathol .1976;29(5):441-443.
32. Carr HS, Rosenkranz HS. R factor in Enterobacter cloacae resistant to silver sulfadiazine. Chemotherapy . 1975;21(1):41-44.
33. Belly RT, Kydd GC. Silver resistance in microorganisms. Develop Industrial Microbiol . 1982;23:567-577.
34. Choudhury P, Kumar R. Multidrug- and metal-resistant strains of Klebsiella pneumoniae isolated from Penaeus monodon of the coastal waters of deltaic Sundarban. Can J Microbiol . 1998;44(2):186-189.
35. Robb EC, Fitz DG, Nathan P. Delivery of topical antimicrobial agents silver sulfadiazine, gentamicin and nystain to infected burn wounds in rats from preloaded synthetic dressings. Trans Am Soc Artif Inter Organs 1980;26:533-6.
36. Robb EC, Nathan P. Control of experimental burn wound infection: comparative delivery of antimicrobial agent (silver sulfadiazine) either from a cream base or from a solid synthetic dressing. J Trauma 1981;21:889-93.
선행하는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한 구체예를 설명하는 수반된 도면, 실시예 및 표에 관한 것이다. 상이한 제제 및 조성물을 갖는 그 밖의 다른 구체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용어 "본 발명" 등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출원인의 발명의 다수의 대체 관점 또는 구체예의 특정한 구체적 실시예에 관하여 사용되며, 그의 사용도 그의 부재도 본 출원인의 발명의 범주 또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는 단지 독자의 편의를 위해서 항목별로 나누어진다. 제목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정의는 본 발명의 설명의 일부분으로서 의도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상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변화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더구나, 상기 "참고문헌" 및 설명은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2)

  1. 미토겐성 단백질,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살균성 약제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균성 약제를 포함하며,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성분을 포함하는 창상, 화상 창상, 피부 이식, 압박 궤양 및 당뇨병성 족부 궤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국소용 제제의 제조를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토겐성 단백질이 재조합 인간 표피 성장인자 (rh-EGF), AA 및/또는 BB의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rh-PDGF-AA 및/또는 BB) 또는 그 밖의 다른 모든 성장인자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성장인자인, 국소용 제제의 제조를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살균 및 정균제가 바시트라신, 실버 설파다이아진 (SSD), 니트로푸라존,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CHG), 폴리믹신 B 설페이트, 네오마이신, 포비돈-요오드, 마페나이드, 니트로푸라존 및 겐타마이신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국소용 제제의 제조를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토겐성 단백질이 재조합 인간 표피 성장인자 (rh-EGF)인, 국소용 제제의 제조를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토겐성 단백질의 농도가 1 ㎍/g 내지 15 ㎍/g wt/wt인, 국소용 제제의 제조를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제의 농도가 0.0001% 내지 10%인, 국소용 제제의 제조를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균제의 농도가 0.0001% 내지 5%인, 국소용 제제의 제조를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
  8. 제 1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의 살균제가 광범위 항생제 실버 설파다이아진 (SSD)인, 국소용 제제의 제조를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
  9. 제 1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의 정균제가 광범위 항생제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CHG)인, 국소용 제제의 제조를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제의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성분이 PEG-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이소헥사데칸,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이산화티탄,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알루미나, 황산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소르비톨, 메틸파라벤 나트륨, 프로필파라벤 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디나트륨 EDTA, 암모늄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VP 공중합체, 디팔미토일 하이드록시프롤린, 보이스 (Bois) II™, 세틸 알콜, C12-15 알킬 벤조에이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C13-14 이소파라핀, 에톡시디글리콜, 페녹시에탄올, 메틸, 부틸, 에틸 및 프로필파라벤, 트리에탄올아민, 경질 유동 파라핀, 페물렌 TR-1, 카보폴 울트레즈, 만니톨 및 정제수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국소용 제제의 제조를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국소용 제제가 크림 및/또는 겔 및/또는 액체의 형태인, 국소용 제제의 제조를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그람-양성 세균, 그람-음성 세균, 은 저항성 세균, 혐기성균, 효모 및 진균에 대해서 효과적이며, 더 우수하고 더 빠른 창상 치유를 제공하고, 2-8℃의 저장 온도에서 2 년 이상 동안 안정한, 창상, 화상 창상, 피부 이식, 압박 궤양 및 당뇨병성 족부 궤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국소용 제제의 제조를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37000078A 2010-06-03 2010-07-14 국소 적용을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 KR1014575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1534CH2010 2010-06-03
IN1534/CHE/2010 2010-06-03
PCT/IN2010/000468 WO2011151835A1 (en) 2010-06-03 2010-07-14 A novel synergis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145A true KR20130043145A (ko) 2013-04-29
KR101457509B1 KR101457509B1 (ko) 2014-11-05

Family

ID=43466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078A KR101457509B1 (ko) 2010-06-03 2010-07-14 국소 적용을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427459B2 (ko)
EP (1) EP2575861B1 (ko)
JP (1) JP5824513B2 (ko)
KR (1) KR101457509B1 (ko)
CN (1) CN102939097B (ko)
AU (1) AU2010354681C1 (ko)
BR (1) BR112012030261B1 (ko)
CA (1) CA2800417C (ko)
CO (1) CO6650416A2 (ko)
MX (1) MX338611B (ko)
RU (1) RU2571506C2 (ko)
WO (1) WO20111518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7429B2 (en) 2007-06-20 2017-06-27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Antimicrobial compositions containing low concentrations of botanicals
EP2166840B1 (en) 2007-06-20 2017-01-11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Bio-film resistant surfaces
US9511040B2 (en) 2007-06-20 2016-12-06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Skin and surface disinfectant compositions containing botanicals
US9981069B2 (en) 2007-06-20 2018-05-29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Bio-film resistant surfaces
WO2013067150A2 (en) 2011-11-03 2013-05-10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Composition with sustained antimicrobial activity
US9968101B2 (en) 2011-11-03 2018-05-15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Botanical antimicrobial compositions
TW201330856A (zh) 2011-12-06 2013-08-01 Univ Columbia 廣效性的天然防腐組成物
CN103182070B (zh) * 2013-04-12 2014-02-12 江苏迪沃生物制品有限公司 一种外用组合物、制剂及其应用
CN103784463B (zh) * 2014-01-28 2015-04-22 滨州医学院附属医院 一种新复方磺胺嘧啶银混悬剂及其制备方法
EP3340792A1 (en) 2015-08-24 2018-07-04 Smith & Nephew, Inc Synergistic antibacterial activity of medium polarity oils in combination with antibacterial agents on bacterial biofilms
WO2017045060A1 (en) * 2015-09-15 2017-03-23 The Governors Of The University Of Alberta Combinational therapy for synergistic inhibition of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CN105251011B (zh) * 2015-11-13 2018-12-28 广州骏思知识产权管理咨询有限公司韶关分公司 一种用于浅度烧伤的喷膜剂及其制备方法
CN105214093B (zh) * 2015-11-16 2016-10-26 马文学 一种复方微胶愈伤护理液
CN110167516B (zh) 2017-01-31 2022-08-30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包含苯甲酸酯的抗细菌组合物及利用该组合物抑制细菌生长的方法
CN107625725B (zh) * 2017-09-08 2021-11-16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基于氨基酸的含纳米银的抗菌水凝胶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1518288B (zh) * 2020-05-13 2022-06-24 福州大学 一种复合水凝胶伤口敷料及其制备方法
CN113813283B (zh) * 2020-06-19 2023-12-12 中山大学附属第六医院 一类化合物促皮肤损伤修复的用途
CN113599506B (zh) * 2021-05-31 2023-07-21 长沙理工大学 一种铂纳米酶/葡萄糖氧化酶@透明质酸复合抗菌材料及其制备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3461B2 (en) * 2002-02-07 2009-07-21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Zinc salt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of dermal and mucosal irritation
AU2003303783A1 (en) 2003-01-16 2004-08-13 Xylos Corporation Microbial-derived cellulose amorphous hydrogel wound dressing
CN101217938A (zh) * 2005-05-27 2008-07-09 博哈拉特生物技术国际有限公司 表皮生长因子组合物,其方法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354681B2 (en) 2014-08-28
US9427459B2 (en) 2016-08-30
CA2800417C (en) 2018-08-28
EP2575861A1 (en) 2013-04-10
KR101457509B1 (ko) 2014-11-05
CN102939097A (zh) 2013-02-20
RU2571506C2 (ru) 2015-12-20
CO6650416A2 (es) 2013-04-15
EP2575861B1 (en) 2015-11-04
CA2800417A1 (en) 2011-12-08
AU2010354681A1 (en) 2012-12-20
WO2011151835A1 (en) 2011-12-08
JP5824513B2 (ja) 2015-11-25
AU2010354681C1 (en) 2015-02-05
US20130085103A1 (en) 2013-04-04
CN102939097B (zh) 2016-05-11
BR112012030261B1 (pt) 2019-12-03
RU2012156266A (ru) 2014-07-20
BR112012030261A2 (pt) 2017-10-31
MX338611B (es) 2016-04-25
JP2013527229A (ja) 2013-06-27
MX2012014051A (es) 201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509B1 (ko) 국소 적용을 위한 신규의 상승적 약제학적 조성물
US10471122B2 (en) Composition for use in promoting wound healing
Otvos Jr et al. Therapeutic utility of antibacterial peptides in wound healing
EP2736486B1 (en) Wound-healing compositions and method of use
Sabatini et al.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known potent S. aureus NorA efflux pump inhibitors on the staphylococcal biofilm formation
Marquardt et al. Evaluation of the tissue toxicity of antiseptics by the hen's egg test on the chorioallantoic membrane (HETCAM)
KR20120022930A (ko) 은 설파디아진 및 키토산을 사용하여 제조한 약용 크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9517374A (ja) プロスタグランジンeおよび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の投与による創傷治癒の促進
JP2015537000A (ja) カルシウムフラックスアゴニスト及びその方法
US20170232064A1 (en) Formulations for histatin therapeutics
EP3413881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hronic wounds
Lu et al. Shiunko and acetylshikonin promote reepithelialization, angiogenesis, and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in wounded skin
Wang et al. Wound healing mechanism of antimicrobial peptide cathelicidin-DM
US2023012725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rombin derived peptides and use thereof
WO2018015976A1 (en) A novel formulation for rapid wound healing and control of infection
KR102096257B1 (ko)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유니티올을 포함하는 방부제 조성물 및 조성물의 용도
KR20210031466A (ko) 상승 작용량의 붕산을 이용한 뎁시펩타이드 항생제의 항균 작용 증진
US20240156860A1 (en) Method of treating infected and noninfected burn wounds
US20230226106A1 (en) A Novel formulation for rapid wound healing and control of infection
Arnke The role of MIF-2 in obesity-induced wound healing disorder
Fumakia Topical nanomedicine for the combination delivery of immuno-modulatory peptides for accelerated chronic wound healing and anti-bacterial activity
GB2415903A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 which promotes wound healing
WO2006014518A2 (en) Promotion of wound healing
KR20180109285A (ko) Crif1을 함유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