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3123A - 배터리 스페이서, 배터리 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력 배터리 - Google Patents

배터리 스페이서, 배터리 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력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3123A
KR20130043123A KR1020127034356A KR20127034356A KR20130043123A KR 20130043123 A KR20130043123 A KR 20130043123A KR 1020127034356 A KR1020127034356 A KR 1020127034356A KR 20127034356 A KR20127034356 A KR 20127034356A KR 20130043123 A KR20130043123 A KR 20130043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pacer
electrical core
plates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4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4987B1 (ko
Inventor
루씨아 지앙
지안화 주
Original Assignee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쉔젠 비와이디 오토 알앤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쉔젠 비와이디 오토 알앤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43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배터리 스페이서가 제공된다. 배터리 스페이서(2)는 세로 방향으로 서로 정렬되고 이격된 제1 이격판(22) 및 제2 이격판(22')과, 가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고 이격된 다수의 빔(211)을 포함한다. 각각의 빔(211)은 세로 방향으로 제1 및 제2 이격판(22, 22') 사이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이격판(22, 22')의 뒷면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으로부터 밖으로 돌출된다. 빔(211)은 이웃하는 빔(211) 사이에 적어도 셀 코어의 탭을 고정적으로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배터리 보호 장치 및 동력 배터리가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배터리 스페이서, 배터리 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력 배터리{BATTERY SPACER, BATTERY PROTECTING DEVICE AND POWER BATTERY COMPRISING THE SAM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아래 출원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1) 2010년 5월 31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020213308.1호 및
2) 2010년 11월 30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 201020678517.3호.
상기 열거된 특허 출원은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고 문헌으로 인용된다.
본 개시 내용은 동력 배터리와 관련되고, 더 상세하게는 배터리 스페이서, 배터리 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력 배터리와 각각 관련된다.
현재, 동력 배터리는 통상적으로 양극, 음극, 다수의 가요성 전극판 층을 중첩시켜 형성된 전기 코어, 전해질, 배터리 덮개판 및 이를 수용하는 배터리 하우징을 포함한다. 그리고 또한 스페이서가 양/음극과 배터리 덮개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고용량 동력 배터리는 부피가 크다. 한편 전기 코어는 다수의 가요성 전극판 층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관 또는 운송 중에 파손 또는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동력 배터리 내에 둘 이상의 전기 코어가 있을 때, 배터리 하우징의 내부에 전기 코어를 배치하면 그 안에 담긴 전기 코어가 헐거워져 더 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은 진동 또는 단락에 내성이 있을 수 있고, 또한 조립이 매우 용이하며 쉽게 손상되지 않을 수 있는 신규한 배터리 스페이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배터리 보호 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내부에 담긴 전기 코어가 더 잘 보호될 뿐만 아니라 중량이 감소된 동력 배터리가 제공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스페이서가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 스페이서는 세로 방향으로 서로 정렬되고 이격된 제1 이격판 및 제2 이격판과, 가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고 이격된 다수의 빔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의 빔은 세로 방향으로 제1 및 제2 이격판 사이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이격판의 뒷면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으로부터 밖으로 돌출된다. 빔은 이웃하는 빔 사이에 적어도 전기 코어의 탭을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배터리 스페이서는 절연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또한 전기 코어의 상부, 특히 탭의 양호한 보호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포함하는 동력 배터리는 그에 따른 감소된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보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 보호 장치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측면판 및 상술한 바와 같은 한 쌍의 배터리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배터리 스페이서 중 하나는 두 개의 측면판의 한쪽 말단들을 연결하고 다른 스페이서는 한 쌍의 측면판의 다른 쪽 말단들을 연결한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 배터리가 제공될 수 있다. 동력 배터리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코어 및 상술한 바와 같은 보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 코어는 각각의 전기 코어의 탭이 배터리 스페이서의 이웃하는 빔 사이에 각각 수납되도록 한 쌍의 배터리 스페이서 사이에 제공된다.
본 개시 내용의 배터리 보호 장치는 아래의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전기 코어(들)이 덮개 안에 수용될 때, 배터리 보호 장치는 전기 코어(들)을 단단히 지지하는 보호 프레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외력이 동력 배터리 내의 전기 코어(들)을 더 흔들거나 진동시키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보호 장치를 채택한 동력 배터리의 조립이 단순화되어 간결한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동력 배터리의 내부 공간 역시 절약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의 추가적인 태양 및 장점은 아래의 설명에서 일부 제공되거나,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명백해지거나, 또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의 실시로부터 학습될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태양 및 장점은 도면과 결부된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고 더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 전기 코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페이서의 개략 저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페이서의 정상부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 내용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 내의 측면판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 배터리의 전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 후의 동력 배터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보호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대한 참조가 상세히 이루어질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설명적이고, 예시적이며, 본 개시 내용을 일반적으로 이해하는데 사용된다. 실시예는 본 개시 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 및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요소는 본 설명 전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 전기 코어(1)의 개략 사시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기 코어(1)의 양극판 및 음극판은 그 세로 방향(A1)을 따라 한쪽에서 서로 정렬되는 반면 너비 방향(A2)으로는 엇갈리게 배열되어 어떤 전극 재료로도 코팅되지 않은 양극 및 음극의 탭 영역이 노출된다. 그리고 분리기(미도시)가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링 후, 전기 코어(1)가 이에 따라 얻어질 수 있다. 전기 코어(1)의 양쪽 말단에서 전극 재료를 위에 코팅하지 않고 양극 탭 영역과 음극 탭 영역의 중앙을 권취하고 압입함으로써 양극 탭(11) 및 음극 탭(11')이 각각 형성된다. 양극 탭(11)은 권취된 것이므로, 탭(11)의 가장자리가 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기 코어(1)의 만곡 부분이 눌리는 부정적인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전기 코어(1)의 양쪽 말단에 있는 만곡 부분이 여전히 유지된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탭(11)이 압축 부분(13) 및 압축 부분(13)의 양쪽 말단에 형성된 둥근 코너 부분(1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스페이서(2)가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 스페이서(2)는 세로 방향(B1)으로 서로 정렬되고 이격된 이격판(22) 및 이격판(22'); 및 가로 방향(B2)으로 서로 평행하고 이격된 다수의 빔(21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빔(211)은 세로 방향(B1)에서 이격판(22, 22') 사이에 연결되고, 이격판(22, 22')의 뒷면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으로부터 밖으로 돌출된다. 빔(211)은 이웃하는 빔(211) 사이에 적어도 전기 코어의 탭을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코어(1)의 탭(11)은 이웃하는 빔(211) 사이에 고정적으로 수납되고, 이에 따라 압축 부분(13)은 이웃하는 빔(211) 사이에 끼워질 수 있고 둥근 코너 부분(12)은 이격판(22, 22')에서 각각 수납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충분한 공간이 배터리 스페이서(2) 하에 보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립 중에 탭(11) 및 배터리 스페이서(2)는 조립 공정을 방해하거나 둥근 코너 부분(12)을 손상시키지 않을 것이다. 또한, 이에 따라 조립 공정이 단순화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페이서(2)의 개략 저부 사시도 및 정상부 사시도를 나타낸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터리 스페이서(2)는 전류 취출 영역(21) 및 전류 취출 영역(21)의 양쪽 말단에 위치한 기체 방출 영역(22)으로 분할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류 취출 영역(21)은 둘 이상의 평행한 빔(211)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인접한 빔(211)은 압축 부분(13)을 관통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이를 유지한다. 이러한 경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전기 코어(1)가 조립될 수 있고, 최외곽 측면에 있는 두 개의 빔(211)은 바람직하게는 두 측면을 따라 분배되어 스페이서(2)를 지지할 수 있다.
배터리 스페이서(2)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가로 방향(B2)에 수직인 이격판(22, 22')의 대응되는 측면 사이에 연결된 차단판(212, 212')을 포함하여 빔(211)을 각각 보호 및 지지할 수 있다. 차단판(212)이 제공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서, 차단판(212)에는 각각 최외곽 빔(211)이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최외곽 빔(211)을 향하는 차단판(212)의 안쪽 면은 대응되는 최외곽 빔(211)과 함께 전기 코어(1)의 탭(11)을 적어도 수납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탭(11)은 차단판(212)의 안쪽 면 및 최외곽 빔(211)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관통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이때에 차단판(212)은 전기 코어(1)의 탭(11)에 들어맞도록 빔(211)에 대향하는 대응되는 전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차단판(212)은 최외곽 빔(2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단판(212)은 최외곽 빔(211)을 보호하고 전체 스페이서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차단판(212)은 가로 방향(B2)으로는 미리 결정된 두께를 갖고 세로 방향(B1)으로는 전기 코어(1)의 너비보다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코어(1)의 최외곽 둥근 코너 부분(12)을 위한 공간이 보존될 수 있고, 조립 중에 둥근 코너 부분(12)에 대한 압착이 방지될 수 있다.
이격판(22, 22')은 다수의 관통 구멍(via hole)(222)을 갖도록 형성되어 유체 고갈 또는 주입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고, 따라서 기체 방출 영역(22)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빔(211)은 주요 부분(2111) 및 주요 부분(2111)과 이격판(22, 22')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 부분(2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류 취출 영역(21)은 주요 부분(2111)에 의해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고, 전기 코어(1)의 탭(11)의 압축 부분(12)은 각각 이웃하는 주요 부분(2111)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고정적으로 끼워진다. 연결 부분(2112)은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각의 빔(211)은 세로 방향(B1)에서 전기 코어(1)의 탭(11)의 너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 빔(211)의 길이는 세로 방향(B1)에서 전기 코어(1)의 탭(11)의 너비의 약 10% 내지 90%일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빔(211)의 길이는 세로 방향(B1)에서 전기 코어(1)의 탭(11)의 너비의 약 30% 내지 80%일 수 있다. 흔히 사용되는 5 내지 300 Ah의 전기 코어(1)의 경우, 이것의 탭(11)은 약 30 내지 350 mm의 너비를 가질 수 있고, 전기 코어(1)의 압축 부분(12)은 약 20 내지 280 mm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류 취출 영역(21)은 전기 코어(1)의 너비의 약 25% 내지 75%의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 탭(11)의 둥근 코너 부분(12) 및 분리기는 배터리 스페이서(2)에 의해 휨 또는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둥근 코너 부분(12)의 조립의 방해를 방지하지만 그에 따라 배터리 스페이서(2)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빔(211)의 길이는 전기 코어(1)의 너비의 약 30% 내지 70%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빔(211)은 이격판(22)의 뒷면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두께 방향(B3)으로 감소하는 너비를 갖는다. 즉, 빔(211)의 접촉면(2113)은 전기 코어(1)의 탭(11)의 한쪽 면과 합치된다. 빔(211)은 전기 코어(1)를 향하는 둥근 표면(2114)을 갖는데, 이는 전기 코어(1)의 압축 부분(13)에 대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빔(211)의 주요 부분(2111)은 전기 코어(1)의 상부의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너비에 합치되는 공간을 형성하여, 빔(211)의 부분적으로 날카로운 코너가 전기 코어(1)를 훼손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우수한 장착 성능, 용이한 조립 및 내부에 담긴 전기 코어(1)의 단단한 고정과 같은 다수의 장점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전기 코어(1)는 진동, 이동 또는 흔들림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빔(211)의 주요 부분(2111)은 세로 방향(B1)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빔(211)은 이격판(211)의 뒷면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을 향하는 면 위에 V자형 홈을 갖도록 형성되어, 전해질 주입을 위한 공간을 절약하고 또한 배터리 스페이서(2)의 사출 성형 중의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된 재료가 감소될수록, 비용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중량도 그에 따라 감소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강화 리브(24)는 각각의 빔(211)이 이격판(22, 22')과 접합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배터리 스페이서(2)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강화 플랜지 부분(25)이 이격판(22, 22')의 주변을 따라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배터리 스페이서(2)의 강도 및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배터리 보호 장치(10)가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 보호 장치(1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측면판(3) 및 상술한 바와 같은 한 쌍의 배터리 스페이서(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배터리 스페이서(2) 중 하나는 두 개의 측면판(3)의 한쪽 말단들을 연결하고 다른 배터리 스페이서(2)는 측면판(3) 쌍의 다른 쪽 말단들을 각각 연결한다. 배터리 스페이서(2) 및 측면판(3)은 전해질 저항성 절연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우수한 사출 성형 성능 및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 배터리 보호 장치(4)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안에 담긴 전기 코어(1)를 위한 지지 골조를 제공할 수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보관, 운송 또는 사용 과정 중에, 이는 전기 코어(1)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하우징 (미도시)을 전기 코어(1) 위에 장착할 때, 배터리 하우징을 장착하는 방향으로 분리기가 주름지거나 수축할 위험이 낮아질 수 있고, 전기 코어(1)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이 어느 정도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셀의 진동 방지 성능 및 동력 배터리의 안전 성능이 그에 따라 개선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배터리 스페이서(2) 및 두 개의 측면판(3)은 기계적 구조 또는 용접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두 개의 사다리꼴형 함입부(27)는 가로 방향(B2)으로 배터리 스페이서(2)의 측면 위에 형성되고, 측면판(3)의 각 말단은 각각 사다리꼴형 함입부(27)에 들어맞는 대응되는 사다리꼴형 돌출부(31)를 갖도록 형성되어, 측면판(3)과 배터리 스페이서(2) 사이에서 각각 단단한 장착 관계가 얻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사다리꼴형 돌출부(31)는 용접, 예컨대 초음파 용접 및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사다리꼴형 함입부(27)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판(3)에 긴밀하게 장착되는 고정 홈(23)이 스페이서(2)의 주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측면판(3)은 고정 홈(23) 안으로 삽입되어 스페이서(2)에 합치되는 부분을 갖도록 형성된 말단을 가져 안정된 연결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배터리 스페이서(2)와 측면판(3) 사이의 장착 오류로 인해 우발적으로 전기 코어(1)가 배터리 덮개를 접촉할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측면판(3)은 신장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측면판(3)은 각각 배터리 스페이서(2) 또는 전기 코어(1)를 향하여 세로 방향(B1)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부분(32)을 자신의 각 코너에 갖도록 형성되고, 배터리 스페이서(2)는 각각 가이드 부분(32)을 수납하기 위한 대응되는 함입 부분(25)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부분(32)은 고정 홈(23)을 따라 배터리 스페이서(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부분(32)은 둥근 말단(3211)을 가질 수 있고, 둥근 말단(3211)은 함입된 또는 오목한 부분(32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함입 부분(25)은 오목 부분(321)에 들어맞는 돌기 또는 볼록 부분(26)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이드 부분(32)이 배터리 보호 장치(10)에 담긴 전기 코어(1)를 우발적으로 찌르거나 찢지 않을 수 있고, 측면판(3)은 요철 구조를 통해 배터리 스페이서(2)에 보다 긴밀하게 들어맞을 수 있다. 또한, 전기 코어(1)의 분리기 가장자리는 배터리 보호 장치(10) 안에서 보호될 수 있으므로, 전기 코어(1) 위에 배터리 쉘(미도시)의 장착 방향을 따라 주름이 생길 위험이 제한될 수 있다. 측면판(3)의 가이드 부분(32)을 사용함으로써 배터리 보호 장치(10)의 연결이 보다 안정적이고 확실할 수 있고, 따라서 연결의 강도가 그에 따라 향상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 스페이서(2)의 주변의 하부 표면은 측면판(3)의 가이드 부분(32)과 짝지어지는 고정 홈(23)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가이드 부분(32)의 측면이 배터리 스페이서(2)의 고정 홈(23) 안으로 삽입되고 스폿(spot) 용접, 초음파 용접 및 레이저 용접 등과 같은 임의의 공지된 용접 방법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사이의 연결이 안정적일 수 있고, 배터리 스페이서(2)와 측면판(3)의 장착 오류로 인해 전기 코어(1)가 배터리 덮개를 접촉할 위험이 제거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분(32)이 측면판(3)과 접합되는 곳에 둥근 코너가 형성되는데, 이는 전기 코어(1), 특히 둥근 코너 부분(12)과 매끄럽게 짝지어지도록 구성되어 그에 따라 내부에 담긴 전기 코어(1)가 그 주변 부분에서 손상되지 않을 수 있게 한다.
본 개시 내용의 배터리 보호 장치(4)는 단일 셀 또는 다수의 셀에 적합할 수 있다. 다수의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의 경우, 조립 중에 전극이 배터리 쉘에 수용된다. 종래 기술에서, 전기 코어는 접착 테이프에 의해 미리 고정되고, 배터리 쉘을 전기 코어 위에 장착하는 동안에 전기 코어 및 탭이 흔들릴 수 있다. 또한, 전기 코어 위의 최외곽 절연 재료가 손상 또는 파괴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배터리 보호 장치(10)는 테이프로 미리 고정하는 과정이 불필요할 수 있고, 따라서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코어 및 탭 또는 집전체(current collector)의 흔들림이 감소되거나 심지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덮개를 전기 코어 위에 장착하는 동안 최외곽 절연 재료에 가해지는 손상이 그에 따라 감소 또는 제거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력 배터리가 제공될 수 있다. 동력 배터리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코어 및 상술한 바와 같은 보호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코어(1)는 한 쌍의 배터리 스페이서(2) 사이에 제공되는데, 각 전기 코어(1)의 탭(11)은 각각 배터리 스페이서(2)의 이웃하는 빔(211) 사이에 고정적으로 수납된다.
본 기술 분야의 접착 테이프 고정 방법과 비교할 때, 본 개시 내용의 동력 배터리는 전기 코어 사이의 제한된 상대적인 이동만이 존재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그에 따라 전기 코어에 대한 진동의 효과를 감소시키고 동력 배터리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동력 배터리의 중량이 본 개시 내용의 배터리 보호 장치로 인해 감소될 수 있다.
설명적인 실시예가 도시 및 기술되었으나,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개시 내용의 사상과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그러한 실시예에서 변경, 대체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변경, 대체 및 변형은 모두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9)

  1. 세로 방향으로 서로 정렬되고 이격된 제1 이격판 및 제2 이격판; 및
    가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고 이격된 다수의 빔 - 각각의 빔은 상기 세로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 이격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이격판의 뒷면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으로부터 밖으로 돌출됨 -
    을 포함하고,
    상기 빔은 이웃하는 빔 사이에 적어도 전기 코어의 탭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스페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각각은 U자형 구성을 갖는 배터리 스페이서.
  3.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관통 구멍이 상기 제1 및 제2 이격판 위에 각각 형성되는 배터리 스페이서.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빔은 상기 세로 방향에서 상기 전기 코어의 탭의 너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스페이서.
  5.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빔의 길이는 상기 세로 방향에서 상기 전기 코어의 탭의 너비의 약 10% 내지 90%인 배터리 스페이서.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빔의 길이는 상기 세로 방향에서 상기 전기 코어의 탭의 너비의 약 30% 내지 70%인 배터리 스페이서.
  7.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빔은 상기 제1 및 제2 이격판의 뒷면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두께 방향으로 감소하는 너비를 갖는 배터리 스페이서.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빔은 상기 제1 및 제2 이격판의 뒷면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을 향하는 면 위에 V자형 홈을 갖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스페이서.
  9.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빔은 상기 전기 코어를 향하는 둥근 표면을 갖는 배터리 스페이서.
  10.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빔이 상기 제1 및 제2 이격판과 접합되는 부분에 강화 리브가 각각 형성되는 배터리 스페이서.
  11. 제1항에 있어서,
    각각 상기 가로 방향에 수직인 상기 제1 및 제2 이격판의 대응되는 측면 사이에 연결된 제1 측면 차단판 및 제2 측면 차단판을 더 포함하는 배터리 스페이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차단판은 각각 최외곽 빔과 일체로 형성되는 배터리 스페이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차단판은 개별적으로 제공되고, 그 안쪽 면은 각각 대응되는 최외곽 빔과 함께 상기 전기 코어의 탭을 적어도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스페이서.
  14.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측면판; 및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한 쌍의 배터리 스페이서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스페이서 중 하나는 상기 두 개의 측면판의 한쪽 말단들을 연결하고 다른 배터리 스페이서는 상기 한 쌍의 측면판의 다른 쪽 말단들을 연결하는 배터리 보호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의 각 말단은 적어도 하나의 사다리꼴형 돌출부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이격판의 측면은 각각 상기 사다리꼴형 돌출부에 들어맞는 적어도 하나의 사다리꼴형 함입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보호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 각각은 각각 상기 배터리 스페이서를 향하여 상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부분을 자신의 각 코너에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 스페이서는 각각 상기 가이드 부분을 수납하기 위한 대응되는 함입 부분을 갖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보호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분은 그 자유 말단에 둥근 코너를 갖고, 상기 가이드 부분은 각각 그 위에 형성된 요철 구조를 통해 상기 대응되는 함입 부분과 연결되는 배터리 보호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분이 상기 측면판과 접합되는 곳에 둥근 코너가 형성되고, 상기 둥근 코너는 상기 전기 코어와 매끄럽게 짝지어지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보호 장치.
  19. 적어도 하나의 전기 코어; 및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호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코어는 각각의 전기 코어의 탭이 상기 배터리 스페이서의 이웃하는 빔 사이에 각각 고정적으로 수납되도록 상기 한 쌍의 배터리 스페이서 사이에 제공되는 동력 배터리.
KR1020127034356A 2010-05-31 2011-04-27 배터리 스페이서, 배터리 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력 배터리 KR101454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20213308 2010-05-31
CN201020213308.1 2010-05-31
CN201020678517.3 2010-11-30
CN2010206785173U CN201936935U (zh) 2010-05-31 2010-11-30 一种电池隔圈、电芯保护结构及动力电池
PCT/CN2011/073397 WO2011150727A1 (en) 2010-05-31 2011-04-27 Battery space, battery protecting device and power battery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123A true KR20130043123A (ko) 2013-04-29
KR101454987B1 KR101454987B1 (ko) 2014-10-27

Family

ID=4444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4356A KR101454987B1 (ko) 2010-05-31 2011-04-27 배터리 스페이서, 배터리 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력 배터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62181B2 (ko)
EP (1) EP2577767A4 (ko)
JP (1) JP5746329B2 (ko)
KR (1) KR101454987B1 (ko)
CN (1) CN201936935U (ko)
WO (1) WO20111507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6409A1 (ko) * 2018-08-17 2020-02-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듈형 한류 저항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179967U (zh) * 2013-04-09 2013-09-04 东莞乔登节能科技有限公司 锂电池结构
KR101909616B1 (ko) 2014-07-31 2018-10-18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배터리 스페이서, 전기 코어 보호 어셈블리 및 파워 배터리
CN105336900B (zh) * 2014-07-31 2018-06-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隔圈、电芯保护组件及动力电池
US10103367B2 (en) 2014-09-26 2018-10-1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ithium ion battery module with free floating prismatic battery cells
US10020534B2 (en) 2014-09-26 2018-07-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Free floating battery cell assembly techniques for lithium ion battery module
KR101943542B1 (ko) * 2015-09-21 2019-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223514B1 (ko) 2015-12-29 2021-03-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WO2018120732A1 (zh) * 2016-12-30 2018-07-0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电池组的保护装置、电池组及车辆
CN107170943A (zh) * 2017-07-05 2017-09-15 江西优特汽车技术有限公司 隔板及具有其的软包动力电池
KR102354401B1 (ko) * 2018-04-25 2022-01-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8899441A (zh) * 2018-06-01 2018-11-27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分离式止动架盖板结构
CN108963120A (zh) * 2018-08-13 2018-12-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池芯保护结构及电池
CN109285973A (zh) * 2018-12-06 2019-01-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芯固定装置及电池
CN113764791B (zh) * 2020-05-18 2023-04-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芯组件、电池、电池包及汽车
CN212587691U (zh) * 2020-05-18 2021-02-2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芯组件、电池、电池包及汽车
CN113948821B (zh) * 2020-07-17 2023-06-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隔圈、电池及电池包
CN113794036B (zh) * 2021-09-29 2024-02-13 欣旺达动力科技股份有限公司 极耳支架及单体电池
CN114824669B (zh) * 2022-05-23 2024-04-30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电池模组的电连接组件、电池模组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4220B2 (en) 2005-03-31 2009-06-09 Medtronic, Inc. Wel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batteries
CN201022084Y (zh) 2006-10-24 2008-02-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盖板及具有该盖板的二次电池
CN101662045B (zh) 2008-08-26 2013-07-2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极芯组件及含有该电极芯组件的电池
CN201430167Y (zh) * 2009-05-13 2010-03-2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隔圈、电芯保护结构以及动力电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6409A1 (ko) * 2018-08-17 2020-02-2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듈형 한류 저항기
KR20200020401A (ko) * 2018-08-17 2020-02-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듈형 한류 저항기
CN112567485A (zh) * 2018-08-17 2021-03-26 Ls电气株式会社 模块型限流电阻器
US11355268B2 (en) 2018-08-17 2022-06-07 Ls Electric Co., Ltd. Modular current limiting resis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77767A1 (en) 2013-04-10
KR101454987B1 (ko) 2014-10-27
CN201936935U (zh) 2011-08-17
US8962181B2 (en) 2015-02-24
US20130122346A1 (en) 2013-05-16
JP5746329B2 (ja) 2015-07-08
EP2577767A4 (en) 2014-12-03
WO2011150727A1 (en) 2011-12-08
JP2013533578A (ja)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987B1 (ko) 배터리 스페이서, 배터리 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력 배터리
JP2013533578A5 (ko)
JP6444064B2 (ja) 二次電池
JP5592221B2 (ja) 二次電池
JP5230666B2 (ja) コネクタ組立体とこれを備えたバッテリーパック
CN106876621B (zh) 可再充电电池模块
JP5260565B2 (ja) 二次電池
JP5547805B2 (ja) 電池スペーサー、電気コア用の保護アセンブリ、およびパワーバッテリー
CN111106304B9 (zh) 二次电池
KR101261729B1 (ko) 배터리 팩
EP2400578B1 (en) Secondary Battery
KR20130030285A (ko) 이차전지 팩
EP3742522B1 (en) Connection member and rechargeable battery
KR20130050616A (ko) 전극 탭 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JP5197684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JP6488812B2 (ja) 電池モジュール
CN115472897B (zh) 电池、电池模组、电池包及用电设备
KR101049011B1 (ko)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92822B1 (ko) 단일 프레임 구조의 전지팩
KR101285961B1 (ko) 리튬 이차전지
KR101966352B1 (ko) 셀 고정 부재가 구비되는 배터리
CN220774530U (zh) 一种电池及电池组
KR20230010247A (ko) 배터리, 배터리 팩, 및 자동차
JP2016197501A (ja) 蓄電装置
KR200474833Y1 (ko) 커버케이스결합부를 갖는 접속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결합구조가 단순화된 배터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