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810A - 도자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자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2810A
KR20130042810A KR1020110106911A KR20110106911A KR20130042810A KR 20130042810 A KR20130042810 A KR 20130042810A KR 1020110106911 A KR1020110106911 A KR 1020110106911A KR 20110106911 A KR20110106911 A KR 20110106911A KR 20130042810 A KR20130042810 A KR 20130042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celain
article
set temperature
pottery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5499B1 (ko
Inventor
김춘수
Original Assignee
김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수 filed Critical 김춘수
Priority to KR1020110106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499B1/ko
Publication of KR20130042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with glaze or engobe or enamel or varn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6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with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e.g. sanding of shaped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63Cooling, e.g. free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도자기 제조방법은, 도자기 기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화장토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화장토에 포함된 수분이 얼음 결정을 이루도록 상기 도자기 기물을 급랭시키는 단계; 상기 도자기 기물을 제1 설정온도에서 소성시키는 단계; 상기 도자기 기물을 유약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도자기 기물을 상기 제1 설정온도보다 높은 제2 설정온도에서 소성시키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상기 도자기 기물에 도포된 상기 화장토의 수축 작용을 통해 도자기 표면에 무늬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자기 표면에 마치 얼음꽃과 같은 미적으로 뛰어나면서도 자연스러운 무늬를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자기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CERAMICS}
본 발명은, 도자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자기 표면에 인위적인 무늬가 아니라 자연스러운 무늬 혹은 문양을 생성하는 독창적인 기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자기 표면에 무늬나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도자기 제조방법이 있는데, 예를 들어 도자기 표면에 각인하여 유약을 덧칠하는 상감청자 등의 일반적인 도자기 제조방법이 있고, 또 다른 방법으로는 유약의 재료를 다양하게 혼합하여 도자기 무늬를 입체화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위와 같이 도자기 표면에 인위적인 무늬를 생성하는 방법 이외에도 도자기 균열 또는 유약의 균열 등을 이용하여 도자기 표면에 비정형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자기 표면에 미적으로 뛰어나면서도 자연스러운 무늬를 생성할 수 있는 도자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도자기 기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화장토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화장토에 포함된 수분이 얼음 결정을 이루도록 상기 도자기 기물을 급랭시키는 단계; 상기 도자기 기물을 제1 설정온도에서 소성시키는 단계; 상기 도자기 기물을 유약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도자기 기물을 상기 제1 설정온도보다 높은 제2 설정온도에서 소성시키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상기 도자기 기물에 도포된 상기 화장토의 수축 작용을 통해 도자기 표면에 무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자기 기물을 마련하는 단계는, 성형 과정, 건조 과정, 초벌구이 과정, 시유 과정 및 재벌구이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도자기 기물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급랭 단계는, 상기 도자기 기물을 -15℃ 이하의 냉동실에서 상기 화장토에 포함된 수분이 얼 때까지 보관할 수 있다.
상기 급랭 단계는, 드라이 아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도자기 기물을 급랭시킬 수 있다.
상기 유약 처리 단계는, 상기 제1 설정온도에서 소성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도자기 기물이 60℃ 내지 120℃ 범위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도자기 기물을 유약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유약 처리 단계는, 상기 도자기 기물을 60℃ 내지 12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도자기 기물을 유약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1 설정온도는 800℃ 내지 1000℃ 범위를 갖고, 상기 제2 설정온도는 1100℃ 내지 1300℃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성형 과정, 건조 과정, 초벌구이 과정, 시유 과정 및 재벌구이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마련된 도자기 기물에 대하여 하기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도자기 표면에 무늬를 생성하는 도자기 제조방법으로, 상기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화장토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화장토에 포함된 수분이 얼음 결정을 이루도록 상기 도자기 기물을 급랭시키는 단계; 상기 도자기 기물을 800℃ 내지 1000℃ 범위의 온도에서 소성시키는 단계; 상기 도자기 기물을 유약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도자기 기물을 1100℃ 내지 1300℃ 범위의 온도에서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화장토를 도포하고 이를 급랭시킨 다음, 화장토에 대한 초벌구이, 시유 및 재벌구이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함으로써, 화장토의 수축 작용을 통해 도자기 표면에 마치 얼음꽃과 같은 미적으로 뛰어나면서도 자연스러운 무늬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도 1의 도자기 제조방법이 적용된 도자기 기물 혹은 도자기를 각 단계별로 촬영한 사진으로,
도 2는 통상의 성형, 건조, 초벌구이, 시유 및 재벌구이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마련된 도자기 기물의 일 예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3은 도 2의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화장토를 도포한 후에 촬영한 사진이며,
도 4는 도 3의 도자기 기물을 급랭시킨 후에 촬영한 사진이고,
도 5는 도 4의 도자기 기물을 제1 설정온도에서 소성시킨 후 촬영한 사진이며,
도 6은 도 5의 도자기 기물을 유약으로 처리한 후 촬영한 사진이고,
도 7은 도 6의 도자기 기물을 제2 설정온도에서 소성시켜 완성된 도자기를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자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도 1의 도자기 제조방법이 적용된 도자기 기물 혹은 도자기를 각 단계별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제조방법은, 통상의 성형 과정, 건조 과정, 초벌구이 과정, 시유 과정 및 재벌구이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마련된 도자기 기물에 대하여 화장토의 수축 작용을 통해 도자기 표면에 마치 얼음꽃과 같은 자연스런 무늬(도 7 참조)를 생성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도자기 기물을 마련하는 단계(S110), 화장토 도포 단계(S120), 급랭 단계(S130), 제1 소성 단계(S140), 유약 처리 단계(S150), 및 제2 소성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자기(陶瓷器)는 흙을 빚어 높은 온도의 불에서 구워낸 제품으로, 그릇이나 장식물은 물론, 건축자재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자기 기물을 마련하는 단계(S110)에서는, 도자기의 일반적인 제작 과정들을 거쳐 도자기 기물을 마련한다. 구체적으로, 통상의 성형 과정, 건조 과정, 초벌구이 과정, 시유 과정 및 재벌구이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도자기 기물을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성형 과정'은 점토를 포함한 원료를 가지고 원하는 도자기 기물의 형상을 만들어내는 과정으로, 물레 성형(jiggering), 주입 성형(casting), 압출 성형(plastic forming by extruding), 압착 성형(pressing) 등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건조 과정'은 성형된 도자기 기물이 굳어지도록 통상 상온에서 서서히 건조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초벌구이 과정'은 건조된 도자기 기물을 통상 800℃ 내지 950℃ 범위의 온도에서 소성시키는 과정으로, 도자기 기물의 흡수성과 강도를 증가시켜 이후 유약 처리 및 채색 작업 등을 수월하게 한다. '시유 과정'은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유약(釉藥)을 바르는 과정으로, 도자기 표면에 광택을 주어 더욱 아름답고 돋보이게 하여 미적 장식효과를 높이는 한편,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오염을 방지하고, 흡수성을 없애 물이나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재벌구이 과정'은 유약 처리된 도자기 기물을 통상 1100℃ 내지 1300℃ 범위의 온도에서 소성시키는 과정을 말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도자기 기물을 마련하는 단계(S110)는 전술한 성형, 건조, 초벌구이, 시유 및 재벌구이의 모든 과정을 반드시 다 포함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초벌구이 과정, 시유 과정 및 재벌구이 과정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예컨대, 도자기 기물은 성형 과정, 건조 과정 및 초벌구이 과정까지만 거쳐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도자기 기물을 마련하는 단계(S110)는 도자기 기물의 표면을 채색하는 과정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화장토 도포 단계(S120)에서는, 이전 단계(S110)에서 마련된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화장토를 도포한다. 화장토는 도자기 기물의 표면 전체에 도포되거나 도자기 기물의 표면 일부 영역에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토는 통상 도자기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도자기 표면의 미화, 표면상태의 개선, 장식 등을 목적으로 색깔을 변화시키거나 장식을 목적으로 점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이장(泥漿)을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발라 피복한 것으로, 슬립(slip) 또는 엔고베(engobe)라고도 한다. 구체적으로, 액상의 화장토를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붓으로 바르거나 도자기 기물을 액상의 화장토가 담긴 용기에 담그거나 또는 액상의 화장토를 스프레이 건으로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분무하는 방식 등으로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화장토를 도포할 수 있다. 도 3은 화장토 도포 단계(S120) 직후 도자기 기물을 촬영한 사진으로, 도자기 기물의 기본 색상이 짙은 청색인 것을 감안하여 이후 화장토의 수축 작용을 통해 생성되는 무늬가 잘 드러날 수 있도록 백색의 화장토를 사용하였으며, 도자기 기물의 바깥쪽 표면에만 화장토가 도포되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장토의 색상은 도자기 기물의 기본 색상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급랭 단계(S130)에서는, 화장토에 포함된 수분이 얼음 결정을 이루도록 화장토가 도포된 도자기 기물을 급랭시킨다. 이러한 급랭 단계(S130)에 의해, 화장토에 포함된 수분은 건조되지 않고 화장토 내에서 얼음 결정 형태로 유지되므로, 화장토의 수축 작용이 일부 발생하고 이후 소성 단계들(S140 및 S160)에서 화장토의 수축 작용이 더욱 활발하게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자기 기물을 -15℃ 이하(더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의 냉동실에서 화장토에 포함된 수분이 얼 때까지(대략 15분 내지 30분 동안)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드라이 아이스를 사용하여 화장토가 도포된 도자기 기물을 급랭시킬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화장토에 포함된 수분이 대략 5분 내지 10분에서 얼음 결정으로 변환되므로, 상대적으로 급랭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급랭 단계(S130) 직후 도자기 기물을 촬영한 사진으로,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도포된 화장토에서 임의적이고 다양한 방향으로 크랙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소성 단계(S140)에서는, 급랭된 도자기 기물을 제1 설정온도에서 소성시킨다. 제1 소성 단계(S140)는 도자기 기물에 도포된 화장토에 대해 초벌구이를 행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이때, 제1 설정온도는 다양한 온도에서 실험해본 결과 800℃ 내지 1000℃ 범위(더 바람직하게는 900℃ 내지 950℃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제1 소성 단계(S140) 직후 도자기 기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유약 처리 단계(S150)에서는, 제1 소성 단계(S140)를 거친 도자기 기물을 유약으로 처리한다. 유약은 도자기 기물에서 화장토가 도포된 부분과 도포되지 않은 부분 모두에 발라질 수 있다. 도 6은 유약 처리 단계(S150) 직후 도자기 기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한편, 유약 처리 단계(S150)는 도자기 기물이 60℃ 내지 120℃ 범위(더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범위)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 단계(S150)가 궁극적으로 도자기 기물에 도포된 화장토를 유약 처리하기 위한 것이므로, 도자기 기물 마련 단계(S110)에서 이미 유약 처리된 도자기 기물의 부분, 즉 화장토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유약이 신속하게 건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유약 처리 단계(S150)는 이전 단계인 제1 소성 단계(S140)에서 높은 온도로 가열된 도자기 기물이 60℃ 내지 120℃ 범위의 온도로 떨어질 때까지 기다린 다음에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유약 처리 단계(S150)를 제1 소성 단계(S140)가 완료된 후 한참 뒤에 진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즉 제1 소성 단계(S140)에서 가열된 도자기 기물이 상온까지 식어버린 상황이라면, 유약 처리 단계(S150)는 도자기 기물을 60℃ 내지 12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진행될 수 있다.
제2 소성 단계(S160)에서는, 유약 처리된 도자기 기물을 제2 설정온도에서 소성시킨다. 제2 소성 단계(S160)는 도자기 기물에 도포된 화장토에 대해 재벌구이를 행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이때, 제2 설정온도는 제1 소성 단계(S140)의 제1 설정온도보다 높다. 구체적으로, 제2 설정온도는 다양한 온도에서 실험해본 결과 1100℃ 내지 1300℃ 범위(더 바람직하게는 1200℃ 내지 1250℃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소성 단계(S160)에 의해, 도자기 기물에 도포된 화장토에는 수축 작용이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급랭 단계(S130)에서 화장토에 발생한 크랙이 확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제2 소성 단계(S160)를 거쳐 최종적으로 완성된 도자기를 촬영한 사진으로, 도자기 표면에 마치 얼음꽃과 같은 자연스러운 무늬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제조방법은,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화장토를 도포하고 이를 급랭시킨 다음, 화장토에 대한 초벌구이, 시유 및 재벌구이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함으로써, 화장토의 수축 작용을 통해 도자기 표면에 마치 얼음꽃과 같은 미적으로 뛰어나면서도 자연스러운 무늬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S110 : 도자기 기물 마련 단계
S120 : 화장토 도포 단계
S130 : 급랭 단계
S140 : 제1 소성 단계
S150 : 유약 처리 단계
S160 : 제2 소성 단계

Claims (8)

  1. 도자기 기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화장토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화장토에 포함된 수분이 얼음 결정을 이루도록 상기 도자기 기물을 급랭시키는 단계;
    상기 도자기 기물을 제1 설정온도에서 소성시키는 단계;
    상기 도자기 기물을 유약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도자기 기물을 상기 제1 설정온도보다 높은 제2 설정온도에서 소성시키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상기 도자기 기물에 도포된 상기 화장토의 수축 작용을 통해 도자기 표면에 무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 기물을 마련하는 단계는,
    성형 과정, 건조 과정, 초벌구이 과정, 시유 과정 및 재벌구이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도자기 기물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랭 단계는,
    상기 도자기 기물을 -15℃ 이하의 냉동실에서 상기 화장토에 포함된 수분이 얼 때까지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랭 단계는,
    드라이 아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도자기 기물을 급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약 처리 단계는,
    상기 제1 설정온도에서 소성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도자기 기물이 60℃ 내지 120℃ 범위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도자기 기물을 유약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약 처리 단계는,
    상기 도자기 기물을 60℃ 내지 120℃ 범위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도자기 기물을 유약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온도는 800℃ 내지 1000℃ 범위를 갖고,
    상기 제2 설정온도는 1100℃ 내지 1300℃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8. 성형 과정, 건조 과정, 초벌구이 과정, 시유 과정 및 재벌구이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마련된 도자기 기물에 대하여 하기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도자기 표면에 무늬를 생성하는 도자기 제조방법으로,
    상기 도자기 기물의 표면에 화장토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화장토에 포함된 수분이 얼음 결정을 이루도록 상기 도자기 기물을 급랭시키는 단계;
    상기 도자기 기물을 800℃ 내지 1000℃ 범위의 온도에서 소성시키는 단계;
    상기 도자기 기물을 유약으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도자기 기물을 1100℃ 내지 1300℃ 범위의 온도에서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KR1020110106911A 2011-10-19 2011-10-19 도자기 제조방법 KR101295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911A KR101295499B1 (ko) 2011-10-19 2011-10-19 도자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911A KR101295499B1 (ko) 2011-10-19 2011-10-19 도자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810A true KR20130042810A (ko) 2013-04-29
KR101295499B1 KR101295499B1 (ko) 2013-08-09

Family

ID=4844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911A KR101295499B1 (ko) 2011-10-19 2011-10-19 도자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4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144B1 (ko) * 2018-07-18 2019-03-13 김상대 도예토 또는 점토를 이용한 3중 벽면체 기능성 도자기 제조방법
CN113682075A (zh) * 2021-09-22 2021-11-23 周群红 一种多层剔刻花制作方法
KR20220042524A (ko) * 2020-09-28 2022-04-05 이희복 벽돌무늬 도자기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679A (ja) * 1993-02-17 1994-08-30 Marufuji Touen:Kk 陶磁器用釉薬及び陶磁器
KR100512601B1 (ko) 2003-05-28 2005-09-02 김진학 도자기 표면에 물방울 형상을 형성시키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에 의한 도자기 제조방법
KR101172635B1 (ko) 2011-10-14 2012-08-09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원심성형 피에이치씨 파일용 초고강도 콘크리트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144B1 (ko) * 2018-07-18 2019-03-13 김상대 도예토 또는 점토를 이용한 3중 벽면체 기능성 도자기 제조방법
KR20220042524A (ko) * 2020-09-28 2022-04-05 이희복 벽돌무늬 도자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93055A (ko) * 2020-09-28 2022-07-05 이희복 도자기 표면의 벽돌무늬 형성 작업을 간소화한 벽돌무늬 도자기 및 그 제조 방법
CN113682075A (zh) * 2021-09-22 2021-11-23 周群红 一种多层剔刻花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499B1 (ko) 201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88528B (zh) 仿树纹效果的陶瓷制品及其制备工艺
CN104193417B (zh) 哥釉与弟釉相结合的青瓷烧制工艺方法
CN106565212B (zh) 多彩陶瓷花瓶的制作方法及多彩陶瓷花瓶
CN101823395A (zh) 一种陶瓷制品的制作方法
KR101295499B1 (ko) 도자기 제조방법
KR101692878B1 (ko) 흑자유 도자기 제조방법
KR20100138230A (ko) 자개 문양이 형성된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도자기
KR20100138750A (ko) 칠보장식을 갖는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칠보장식 도자기
KR100320400B1 (ko) 도자기 제조방법
CN106083200A (zh) 龙泉宋代哥窑青瓷釉及用该釉制作龙泉宋代哥窑青瓷产品的方法
KR20060104458A (ko) 도자기 표면장식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도자기
CN105367079A (zh) 一种氧化物与青瓷结合装饰的制备工艺
CN105523782A (zh) 一种漆瓷制品的制作方法
KR102067209B1 (ko) 청자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13010A (ko) 도자기 제조방법
KR101083757B1 (ko) 철분이 함유된 사토 배합 분장토기법을 사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KR101692879B1 (ko) 백회령유 도자기 제조방법
KR100837882B1 (ko) 식물 내지 곤충을 이용한 조형물의 프레싱 조각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된 조형물
KR101628137B1 (ko) 한지 질감을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JP2011051838A (ja) 人造星砂等の飾りをちりばめた陶磁器の製造方法
KR101883451B1 (ko) 은의 균열 및 떨어짐을 억제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EP0664773B1 (en) Treating earthenware bodies
JP3575377B2 (ja) 陶磁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367044A (zh) 一种年轮装饰融入青瓷造型的制备工艺
KR20180131204A (ko) 도자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