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190A - 펠릿보일러용 버너 - Google Patents

펠릿보일러용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2190A
KR20130042190A KR1020110106353A KR20110106353A KR20130042190A KR 20130042190 A KR20130042190 A KR 20130042190A KR 1020110106353 A KR1020110106353 A KR 1020110106353A KR 20110106353 A KR20110106353 A KR 20110106353A KR 20130042190 A KR20130042190 A KR 20130042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pellet
drum
casing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진
이종필
이종준
정태이
Original Assignee
(주)히트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히트바이오 filed Critical (주)히트바이오
Priority to KR102011010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2190A/ko
Publication of KR20130042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00Burners for combustion of pulverulent fuel
    • F23D1/04Burners producing cylindrical flames without centrifugal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1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 F23B1/24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using rotating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2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by scattering over the fuel-suppor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23B60/0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with combustion air supplied through a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90/00Combustion method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F23B90/02Start-up techniq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0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adapted for use in water-tube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37Burners for solid or solidified fuel, e.g. metaldehyde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펠릿을 연소시켜 발생된 열에너지를 펠릿보일러의 열교환실로 방출하여 용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 펠릿이 투입되는 연소드럼을 회전동작시켜서 연료 펠릿의 완전연소를 도모하여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연소케이싱 내측으로 투입되는 연료 펠릿을 연소시키고, 펠릿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펠릿보일러의 열교환실 내부로 방출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연소케이싱 내측에 회전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소드럼과; 상기 연소드럼 내측에 연료 펠릿을 투입하는 펠릿공급관과; 상기 연소드럼 내측에 투입된 연료 펠릿을 발화시키는 점화장치와; 상기 연료 펠릿의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과; 상기 연료 펠릿의 연소시 상기 연소드럼을 회전동작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펠릿의 연소시 연소드럼을 회전동작시킴으로써, 연료 펠릿의 완전연소를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펠릿보일러용 버너{burner for pellet boiler}
본 발명은 연료 펠릿을 연소시켜 발생된 열에너지를 펠릿보일러의 열교환실로 방출하여 용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 펠릿이 투입되는 연소드럼을 회전동작시켜서 연료 펠릿의 완전연소를 도모하여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펠릿보일러는 산림에서 생산된 목재나 제재소에서 나오는 부산물을 톱밥으로 분쇄한 다음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압축하여 일정한 크기로 생산된 펠릿(pellet)을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펠릿보일러는 연료 펠릿이 저장된 호퍼와, 연료 펠릿을 연소시켜 열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버너(burner)와, 내부 열교환실에 용수가 순환되는 열교환파이프가 배관된 열교환탱크로 대분된다.
그리고, 호퍼에 저장된 연료 펠릿을 버너에 공급하기 위한 펠릿공급관과, 버너에 투입된 연료 펠릿을 발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 및, 연료 펠릿의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 등으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펠릿보일러는 버너에서 연료 펠릿을 연소시켜 발생된 열에너지를 펠릿보일러의 열교환실로 방출하여 용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펠릿보일러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127505호(2010.12.06)의 '산업용 보일러'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04637호(2010.12.22)의 '펠릿 보일러'가 개시된 바 있다.
여기서, 펠릿을 연료로 사용하는 종래의 펠릿보일러는 버너에 투입되는 펠릿을 고정형 용기에 수용되도록 하여 연소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고정형 용기에 수용된 펠릿을 연소시키는 종래의 펠릿보일러용 버너에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65689호(2007.10.02)의 '목재칩 또는 펠릿을 연료로 하는 안전 버너'와,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131040호(2010.12.15)의 '고체연료 연소기용 역화방지장치'와,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66258호(2011.06.17)의 '펠릿 보일러용 펠릿 연소기'가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고정형 용기에서 펠릿을 연소시키는 형태의 펠릿보일러용 버너는 펠릿의 연소시 발생된 재(ashes)가 고정형 용기에 장기간 누적되어 석화(石化:petrifaction)됨으로써, 고정형 용기 내부의 변형을 초래하여 연소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펠릿의 불완전 연소로 인해 열효율이 저하되고, 연료 펠릿의 낭비와 함께 대기환경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펠릿의 연소시 발생된 재가 고정형 용기 내부에 석화되고, 불완전 연소가 연속됨으로써, 펠릿보일러의 고장율이 높고, 버너를 1주에 2회 정도의 청소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KR) 등록특허공보(B1) 등록번호 제10-0765689호 공개일자 2007.10.02. 목재칩 또는 펠릿을 연료로 하는 안전 버너. 대한민국특허청(KR) 공개특허공보(A) 공개번호 제10-2010-0131040호 공개일자 2010.12.15. 고체연료 연소기용 역화방지장치. 대한민국특허청(KR) 공개특허공보(A) 공개번호 제10-2011-0066258호 공개일자 2011.06.17. 펠릿 보일러용 펠릿 연소기.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펠릿보일러용 버너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연료 펠릿이 투입되는 연소드럼을 회전동작 가능하게 설치하여, 펠릿의 연소시 연소드럼 내측에 수용된 일정량의 펠릿이 뒤섞이면서 골고루 연소될 수 있도록 하고, 펠릿의 연소시 발생하는 재가 연소드럼 내측에 누적되어 석화되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펠릿보일러용 버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연소케이싱 내측으로 투입되는 연료 펠릿을 연소시키고, 펠릿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펠릿보일러의 열교환실 내부로 방출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에 있어서,
연소케이싱 내측에 회전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소드럼과;
연소드럼 내측에 연료 펠릿을 투입하는 펠릿공급관과;
연소드럼 내측에 투입된 연료 펠릿을 발화시키는 점화장치와;
연료 펠릿의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과;
연료 펠릿의 연소시 연소드럼을 회전동작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연소드럼 내측으로 투입되는 연료 펠릿을 연소시키고, 펠릿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펠릿보일러의 열교환실 내부로 방출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에 있어서,
내측에 연소드럼이 회전동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 연소드럼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가 열교환실 내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연소케이싱과;
개구된 전면이 연소케이싱의 후면에 결합되고, 내측에 외부공기가 주입되는 에어챔버가 형성된 에어공급케이싱과;
에어공급케이싱의 상면에서 연소케이싱의 후면으로 연결되어 연소드럼의 내측으로 연료 펠릿을 투입하는 펠릿공급관과;
연소케이싱 후면에 결합되어 연소드럼의 내측에 투입된 연료 펠릿을 발화시키는 점화장치와;
에어공급케이싱의 후면에 결합되어 에어챔버에 외부공기를 주입하는 송풍팬과;
에어공급케이싱의 후면에 결합되어 구동축과 연결된 연소드럼을 회전동작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연소드럼은 전, 후면이 개구된 원통형의 다공판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제1 스프로킷이 고정되며;
구동모터는 구동축 상에 제2 스프로킷이 고정되고;
제1 스프로킷과 상기 제2 스프로킷은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연소드럼이 회전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연소드럼은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간헐 회전동작하고, 간헐 회전동작은 30~35초 간격으로 1~3초 회전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연소드럼 내부에는 연소볼이 하나 이상 투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연소드럼은 전, 후측 외주면이 상기 연소챔버의 전, 후측 내벽에 축 설치된 롤러 상에 안착되어 회전동작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연료 펠릿을 투입하는 펠릿공급관은, 에어공급케이싱의 상면에서 에어챔버를 경유하여 연소케이싱의 후면으로 경사지게 연결되고;
에어챔버를 경유하는 펠릿공급관 상에는, 에어챔버에 주입된 공기가 펠릿공급관 내부로 유입되어 연소드럼 내측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역화방지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역화방지관은, 상단의 내경이 에어공급케이싱의 상면에 인접한 펠릿공급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공기 유입로가 형성되고, 하단이 연소케이싱의 후면에 인접한 펠릿공급관의 상단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역화방지관은 에어챔버를 경유하는 펠릿공급관 상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펠릿보일러용 버너는 구동모터에 의해 연소드럼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연소드럼 내측에 수용된 일정량의 펠릿이 뒤섞이면서 골고루 연소될 수 있도록 하고, 펠릿의 연소시 발생하는 재를 연소드럼 내측면에 누적되지 않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펠릿의 연소시 연소드럼을 회전동작시킴으로써, 연료 펠릿의 완전연소를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소시 발생하는 재가 연소드럼 내측에 누적되어 석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연료비 절감효과와 함께 펠릿보일러의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펠릿보일러용 버너의 내부구성을 보인 측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펠릿보일러용 버너의 내부구성을 보인 평면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펠릿보일러용 버너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펠릿보일러용 버너는 연소케이싱(10) 내측으로 투입되는 연료 펠릿을 연소시키고, 펠릿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펠릿보일러의 열교환실 내부로 방출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연소케이싱(10) 내측에 회전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소드럼(30)이 구비되고, 이 연소드럼(30) 내측에 연료 펠릿을 투입하는 펠릿공급관(50)이 구비된다.
그리고, 연소드럼(30) 내측에 투입된 연료 펠릿을 발화시키는 점화장치(70)와, 연료 펠릿의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80) 및, 연료 펠릿의 연소시 연소드럼(30)을 회전동작시키는 구동모터(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보일러용 버너는 구동모터(40)에 의해 연소드럼(30)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연소드럼(30) 내측에 수용된 일정량의 펠릿이 뒤섞이면서 골고루 연소될 수 있도록 하고, 펠릿의 연소시 발생하는 재를 연소드럼(30) 내측면에 누적되지 않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연소드럼(30) 내측으로 투입되는 연료 펠릿을 연소시키고, 펠릿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펠릿보일러의 열교환실 내부로 방출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펠릿보일러용 버너는, 내측에 연소드럼(30)이 회전동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 연소드럼(30)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가 열교환실 내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공(12)이 형성된 연소케이싱(10)이 구비된다.
그리고, 개구된 전면이 연소케이싱(10)의 후면에 결합되고, 내측에 외부공기가 주입되는 에어챔버(21)가 형성된 에어공급케이싱(2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펠릿보일러의 열교환실 내부에 위치되는 연소케이싱(10)과 열교환실 외부에 위치되는 에어공급케이싱(20)이 구비된 본 발명은, 에어공급케이싱(20)의 상면에서 연소케이싱(10)의 후면으로 연결되어 연소드럼(30)의 내측으로 연료 펠릿을 투입하는 펠릿공급관(50)이 구비된다.
그리고, 연소케이싱(10) 후면에 결합되어 연소드럼(30)의 내측에 투입된 연료 펠릿을 발화시키는 점화장치(70)가 구비된다.
또한, 에어공급케이싱(20)의 후면에 결합되어 에어챔버(21)에 외부공기를 주입하는 송풍팬(80)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펠릿보일러용 버너는 에어공급케이싱(20)의 후면에 결합되어 구동축(41)과 연결된 연소드럼(30)을 회전동작시키는 구동모터(40)가 구비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펠릿보일러용 버너에 있어서, 연소드럼(30)은 전, 후면이 개구된 원통형의 다공판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제1 스프로킷(31)이 고정된다.
그리고, 구동모터(40)는 구동축(41) 상에 제2 스프로킷(42)이 고정되며, 제1 스프로킷(31)과 제2 스프로킷(42)은 체인(43)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모터(40)의 작동에 의해 연소드럼(30)이 회전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연소드럼(30)은 구동모터(40)의 작동에 의해 간헐 회전동작하고, 간헐 회전동작은 30~35초 간격으로 1~3초 회전동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소드럼(30) 내부에는 철재 등으로 제작된 연소볼(32)이 하나 이상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소드럼(30)은 전, 후측 외주면이 연소챔버(11)의 전, 후측 내벽에 축 설치된 롤러(13) 상에 안착되어 회전동작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편, 연료 펠릿을 투입하는 펠릿공급관(50)은, 에어공급케이싱(20)의 상면에서 에어챔버(21)를 경유하여 연소케이싱(10)의 후면으로 경사지게 연결된다.
그리고, 에어챔버(21)를 경유하는 펠릿공급관(50) 상에는, 에어챔버(21)에 주입된 공기가 펠릿공급관(50) 내부로 유입되어 연소드럼(30) 내측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역화방지관(60)이 구비된다.
여기서, 역화방지관(60)은 상단의 내경이 에어공급케이싱(20)의 상면에 인접한 펠릿공급관(5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공기 유입로(61)가 형성되고, 하단이 연소케이싱(10)의 후면에 인접한 펠릿공급관(50)의 상단과 접속된다.
이와 같은 역화방지관(60)은 에어챔버(21)를 경유하는 펠릿공급관(50) 상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펠릿보일러용 버너는 연소케이싱(10)이 펠릿보일러의 열교환실 내부로 장착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펠릿보일러용 버너를 작동과정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펠릿보일러용 버너는 연소케이싱(10)을 펠릿보일러의 열교환실 내부로 삽입시키고, 후단의 바깥둘레에 형성된 플랜지(부호생략)를 열교환실 외벽에 밀착시킨 후 볼트 등으로 고정하여 장착을 완료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콘트롤박스(도시생략)에서 펠릿 공급량과 연소드럼(30)의 회전수 등을 셋팅한 후 펠릿보일러를 가동시키면 호퍼(도시생략)에 저장된 펠릿이 펠릿공급관(50)을 통해 연소드럼(30) 내측으로 공급된다.
펠릿공급관(50)을 통해 낙하되는 펠릿은 호퍼의 하부에 설치된 정량공급장치(도시생략)에 의해 정량씩 연소드럼(30) 내측으로 공급된다.
연소드럼(30) 내부로 연료 펠릿이 일정량 투입된 후에는 점화장치(70)에 의해 점화가 이루어지면서 연소가 진행된다.
여기서, 작업자는 펠릿공급관(50)의 일단에 마련된 화염감시구(51)를 통해 펠릿의 발화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점화장치(70)는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고, 연소케이싱(10)의 후면에 결합된 점화관(71)을 통해 고온의 열을 연소드럼(30) 내측으로 전달하여 펠릿을 발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점화장치(70)는 연소챔버(11) 내측에 장착되는 온도감지센서(도시생략)가 설정된 발화온도를 감지하게 되면 작동을 멈추게 된다.
점화장치(70)의 ON/OFF 동작과 온도감지센서의 동작은 일반적인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소드럼(30) 내부에서 펠릿이 발화하여 연소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에어공급케이싱(20)의 후면에 결합된 송풍팬(80)에 의해 외부 공기가 에어챔버(21)로 공급된다.
에어챔버(21)에 주입된 공기는 연소케이싱(10)의 후면에 뚫린 통공(14)을 통해 연소챔버(11) 내부로 공급되고, 연소드럼(30)의 외면에 뚫린 다수개의 구멍을 통해 연소드럼(30) 내측으로 공급되어 펠릿의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에어챔버(21)에 주입된 공기는 점화장치(70)가 내장된 점화관(71)을 통해 연소드럼(30) 내측으로 공급되어 펠릿의 원활한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에어챔버(21)에 주입된 공기는 에어챔버(21)를 경유하는 펠릿공급관 (50) 상에 결합된 역화방지관(60)의 공기유입로(61)를 통해 연소드럼(30) 내측으로 공급된다.
역화방지관(60)의 공기유입로(61)를 통해 연소드럼(30) 내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펠릿의 원활한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연소드럼(30) 내측에서 발생하는 화염이 펠릿공급관(50) 내부로 역화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역화방지관(60)은 에어챔버(11)를 경유하는 펠릿공급관(50) 상에 하나 이상 결합하여 에어챔버(11)에 주입된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연소드럼(30)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연소드럼(30) 내측에서 펠릿의 연소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연소케이싱(10) 내측에 회전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연소드럼(30)이 구동모터(40)에 의해 적정 회전수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소드럼(30)의 회전비는 펠릿보일러의 콘트롤박스에서 임의로 셋팅할 수 있는 것으로, 연소드럼(30)은 구동모터(40)의 작동에 의해 간헐 회전동작하게 된다.
연소드럼(30)의 간헐 회전동작은 30~35초 간격으로 1~3초 회전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초 간격으로 1초 회전동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연소드럼(30)의 간헐 회전동작은 연소드럼(30) 내측에 수용된 일정량의 펠릿이 뒤섞이면서 골고루 연소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펠릿의 연소시 발생하는 재를 연소드럼(30) 내측면에 누적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여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연소드럼(30) 내측에 투입된 연소볼(32)에 의해 펠릿의 재가 연소드럼(30)의 하부에 적층되어 연소가 방해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소드럼(30) 내측에서 발생되는 입자형태의 재는 연소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연소드럼(3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연소케이싱(10)의 전면에 뚫린 배출공(12)을 통해 펠릿보일러의 열교환실 내부로 배출된다.
펠릿보일러의 열교환실 내부로 배출되는 재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열교환실의 바닥에 구비된 청소배출공을 통해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소드럼(30)은 구동모터(40)의 구동축(41)이 회전하여 제2 스프로킷(42)과 체인(43)에 의해 연결된 제1 스프로킷(31)에 회전력이 전달됨으로써, 연소드럼(3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연소드럼(30)에 의해 연소드럼(30) 내측에 투입된 일정량의 펠릿이 뒤섞이면서 골고루 연소되고, 펠릿의 연소시 발생하는 재가 연소드럼(30) 내측에 누적되지 않게 됨으로써, 펠릿의 완전연소를 도모하여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펠릿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너지는 연소드럼(30)의 배출공(12)을 통해 펠릿보일러의 열교환실로 이동하여 열교환파이프와 접촉하게 되고, 열교환파이프 내부의 용수에 열에너지가 전달됨으로써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펠릿보일러용 버너를 상기한 설명과 첨부되는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연소케이싱, 11:연소챔버, 12:배출공, 13:롤러, 14:통공
20:에어공급케이싱, 21:에어챔버
30:연소드럼, 31:제1 스프로킷, 32:연소볼
40:구동모터, 41:구동축, 42:제2 스프로킷, 43:체인
50:펠릿공급관, 51:화염감시구
60:역화방지관, 61:공기유입로
70:점화장치, 71:점화관
80:송풍팬

Claims (9)

  1. 연소케이싱 내측으로 투입되는 연료 펠릿을 연소시키고, 펠릿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펠릿보일러의 열교환실 내부로 방출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에 있어서,
    상기 연소케이싱 내측에 회전동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소드럼과;
    상기 연소드럼 내측에 연료 펠릿을 투입하는 펠릿공급관과;
    상기 연소드럼 내측에 투입된 연료 펠릿을 발화시키는 점화장치와;
    상기 연료 펠릿의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과;
    상기 연료 펠릿의 연소시 상기 연소드럼을 회전동작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
  2. 연소드럼 내측으로 투입되는 연료 펠릿을 연소시키고, 펠릿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펠릿보일러의 열교환실 내부로 방출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에 있어서,
    내측에 상기 연소드럼이 회전동작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에 상기 연소드럼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가 상기 열교환실 내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연소케이싱과;
    개구된 전면이 상기 연소케이싱의 후면에 결합되고, 내측에 외부공기가 주입되는 에어챔버가 형성된 에어공급케이싱과;
    상기 에어공급케이싱의 상면에서 상기 연소케이싱의 후면으로 연결되어 상기 연소드럼의 내측으로 연료 펠릿을 투입하는 펠릿공급관과;
    상기 연소케이싱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연소드럼의 내측에 투입된 연료 펠릿을 발화시키는 점화장치와;
    상기 에어공급케이싱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챔버에 외부공기를 주입하는 송풍팬과;
    상기 에어공급케이싱의 후면에 결합되어 구동축과 연결된 상기 연소드럼을 회전동작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드럼은 전, 후면이 개구된 원통형의 다공판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제1 스프로킷이 고정되며;
    상기 구동모터는 구동축 상에 제2 스프로킷이 고정되고;
    상기 제1 스프로킷과 상기 제2 스프로킷은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연소드럼이 회전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드럼은,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간헐 회전동작하고, 간헐 회전동작은 30~35초 간격으로 1~3초 회전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드럼 내부에는 연소볼이 하나 이상 투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드럼은 전, 후측 외주면이 상기 연소챔버의 전, 후측 내벽에 축 설치된 롤러 상에 안착되어 회전동작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
  7. 제 2 항에 있어서,
    연료 펠릿을 투입하는 상기 펠릿공급관은, 상기 에어공급케이싱의 상면에서 상기 에어챔버를 경유하여 상기 연소케이싱의 후면으로 경사지게 연결되고;
    상기 에어챔버를 경유하는 펠릿공급관 상에는, 상기 에어챔버에 주입된 공기가 상기 펠릿공급관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연소드럼 내측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역화방지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역화방지관은, 상단의 내경이 상기 에어공급케이싱의 상면에 인접한 펠릿공급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공기 유입로가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연소케이싱의 후면에 인접한 펠릿공급관의 상단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역화방지관은 상기 에어챔버를 경유하는 펠릿공급관 상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보일러용 버너.
KR1020110106353A 2011-10-18 2011-10-18 펠릿보일러용 버너 KR20130042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353A KR20130042190A (ko) 2011-10-18 2011-10-18 펠릿보일러용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353A KR20130042190A (ko) 2011-10-18 2011-10-18 펠릿보일러용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190A true KR20130042190A (ko) 2013-04-26

Family

ID=48440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353A KR20130042190A (ko) 2011-10-18 2011-10-18 펠릿보일러용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21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9017A (zh) * 2022-02-14 2022-05-10 江苏旭润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可充分燃烧的燃烧器及其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9017A (zh) * 2022-02-14 2022-05-10 江苏旭润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可充分燃烧的燃烧器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832Y1 (ko) 목재 펠릿 보일러
KR101061765B1 (ko) 축열식 무화염 혼합연소장치
JP2007132588A (ja) 木質系材料の燃焼室構造
KR101163655B1 (ko) 보일러
KR20130042190A (ko) 펠릿보일러용 버너
KR20120012041A (ko) 온수보일러의 연소장치
KR100792276B1 (ko)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열풍기
KR101113403B1 (ko) 폐기물 건류 소각 열회수장치
KR101287818B1 (ko) 펠렛보일러
KR200408326Y1 (ko) 연소기의 연소실 내 공기 공급장치
KR100668464B1 (ko) 고형연료의 정량공급장치
KR100954280B1 (ko) 펠렛보일러
KR101272380B1 (ko) 펠릿연료 연소장치
KR20140071589A (ko) 톱밥 및 펠릿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KR20120130920A (ko) 펠렛보일러용 버너
JP5490956B1 (ja) 焼却装置
KR20120123879A (ko) 고체연료 연소장치
KR101093408B1 (ko) 폐기물을 연료로 하는 연소장치
KR100666043B1 (ko) 연소기의 연소실 내 공기 공급장치
KR101043070B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버너
KR20110129177A (ko) 농업 난방기용 펠릿연료 연소장치
KR20100107146A (ko) 열효율이 향상된 연소장치
JP3142548U (ja) バイオマス燃焼装置
KR200419316Y1 (ko) 혼합유와 고형연료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한 연소장치
KR101134350B1 (ko) 고형연료 연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