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2096A - 자성체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현악기용 피에조 픽업 - Google Patents
자성체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현악기용 피에조 픽업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42096A KR20130042096A KR1020110106201A KR20110106201A KR20130042096A KR 20130042096 A KR20130042096 A KR 20130042096A KR 1020110106201 A KR1020110106201 A KR 1020110106201A KR 20110106201 A KR20110106201 A KR 20110106201A KR 20130042096 A KR20130042096 A KR 201300420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trument
- piezo
- pickup
- piezo pickup
- r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1000405217 Viola <butterfly>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3514 Barrett esophagu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44565 Tremo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79 Neody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EFYFXOXNSNQGX-UHFFFAOYSA-N neodymium atom Chemical compound [Nd] QEFYFXOXNSNQ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48 scra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93 scrat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10—Force connections, e.g. clamping
- F16C2226/18—Force connections, e.g. clamping by magnets, i.e. magnetic attraction to hold parts together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16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string input, i.e. special characteristics in string composition or use for sensing purposes, e.g. causing the string to become its own sensor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 G10H2220/561—Piezoresistive transducers, i.e. exhibiting vibration, pressure, force or movement -dependent resistance, e.g. strain gauges, carbon-doped elastomers or polymers for piezoresistive drumpads, carbon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기 울림통 외부에 고정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악기 울림통 내부에서 장착하고 고정하는 방법을 자성체 또는 자성체를 이용하여 악기 울림통 내부에 Piezo 픽업을 장착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Piezo 픽업의 기능을 유지한다.
Piezo 픽업을 우수한 감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사실적 음향에 가까운 진동 특성을 가진 위치를 선정하여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었다.
Piezo 픽업은 악기 울림통에 고정하면서 발생 되는 하울링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악기 표면에 밀착할 때 누리는 힘이 필요하고 적정 하중을 가하지 못하면 하울링 현상이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자성체를 이용하여 2개의 자성체가 서로 끌어당기는 힘을 이용하여 외부 음향 출력되는 음압이 높아도 Piezo 픽업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고안하였다.
또한 Piezo 픽업의 진동을 받는 면적이 넓으면 진동 특성이 과대하여 소리가 변형되는 현상이 있어서 진동을 받는 면적이 다소 넓어도 실제 악기 울림통 표면과 닿는 면이 적게 하므로 해서 악기 내부와 외부에 각각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서 울림통 표면의 진동을 감쇄되므로 해서 아주 미약하지만 음향 특성이 왜곡되는 것을 최소화하였다.
따라서 Piezo 픽업은 악기 줄에서 발생 된 진동을 가장 먼저 지나가는 브리지 위치에 있기에 그 진동이 가장 최상의 진동이며 뚜렷하고 선명한 진동은 부정할 수 없다. Piezo 픽업에서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앰프에서 앞판을 부착하므로 인해서 외관적으로 만족할 수 있다.
Piezo 픽업 장치의 전체 높이를 6mm 이하로 제작하여야 한다. 이는 d-2를 통해서 내부에 투입해야 하기 때문이며 악기 제작자 혹은 제조회사별 그 규격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많은 종류의 악기에 적용하기 위하여 최소의 규격을 가진 제품에도 투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a-5의 지름이 20mm 원형이며, 두께는 0.2mm~0.3mm를 사용한다. a-4의 지름은 15mm이며 두께는 0.3mm를 제작되었으며 a-5와 접착되어 있다.
a-6은 악기 몸통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의 필요한 세기만 받고 울림통에서 흐르는 진동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 돌출되어 있으며 그 높이를 약 1mm이하로 한다. a-1의 하부에서 a-5와 접촉하는 표면을 바깥 테두리에서 걸쳐 있게 하여야 한다.
이는 a-4에 받아들이는 진동이 많으면 하울링 현상 및 음향적으로 진동이 특성이 왜곡되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서 접촉 면적을 축소하는 것이다.
또한 a-1의 재질은 고무와 같이 탄력이 있는 재질 적용한다. 이는 강한 진동을 순화하는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이다.
a-2는 네오디늄 영구자석을 자기력이 가장 우수하고 견고한 것으로서 Piezo 픽업을 악기 몸통 내부에서 얼마나 안전하게 고정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최적은 규격은 지름이 12mm~15mm이며 두께는 3mm ~ 5mm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d-11에 적용되는 c-2도 이 규격과 동일하게 제작한다.
a-7는 지름6mm이며 두께는 0.2mm로 하는 동판을 사용한다. 그리고 a-4와 접착게 되며 이때 사용하는 접착제는 전도성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외부의 충격 또는 휨 등에 해당하는 부정적인 환경에 대응하고 전기적 안전성과 접촉 불량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강화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a-8는 실드 전선을 사용한다. 이는 외부의 전기적 잡음을 상쇄하기 위한 것으로서 높은 품질의 음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c-1의 재질은 a-1의 재질과 동일한 것으로 적용한다. 악기를 몸통을 보호하고 높은 위치에서 떨어졌을 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c-3은 d-10의 고정 및 위치를 이동하기 위해 끌어야 하기 때문에 악기 몸통 표면의 칠 부분을 긁힘 등 오염 및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이를 방지하기 용이한 재료를 적용한다. 예를 부직포 같이 부드럽고 얇은 재질이 적합하다.
기존에 개발된 현악기용 Piezo 픽업의 공통된 특징은 브리지에 걸치거나 브리지 하부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채택하여 왔다.
브리지는 현악기의 줄을 받치는 역할과 줄에서 울리는 진동을 악기 울림통에 전달하는 객체로서 진동의 왜곡이 가장 적고 강한 진동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고 또한 고정하기 용이한 부분이다.
그러나 브리지에서 받은 진동을 Piezo 픽업을 통해서 앰프로 통해서 증폭되어 만들어진 소리는 사실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현악기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 베이스와 같은 악기 내부에 사운드 포스트와 악기 울림통 뒤판과 만나는 지점에 Piezo 픽업을 설치한 경우도 있다.
이것은 Piezo 픽업을 악기 브리지에 설치했을 때 소리 보다 음향이 풍부하다고 볼 수 있으나 이 또한 악기 울림통 앞판, 뒤판 사이에서 악기 줄이 누르는 하중을 담당하는 기능적 특징으로 인해서 진동의 특성이 사실적 음향에 가까운 진동이라 할 수 없다.
이와 같이 Piezo 픽업을 클래식 현악기에 부착해서 사용하는 사용자는 현악기의 사실적인 소리를 높은 음량으로 공연하기를 희망한다.
현악기의 울림통의 진동이 사실적 소리에 가까운 진동이 발생하는 장소가 다수가 있다. 이곳에 픽업을 설치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접근하기에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자석을 활용하여 Piezo 픽업을 감싸고 있는 케이스 내부에 자석을 삽입하고 Piezo 픽업을 악기 울림통 내부에 삽입한 후 악기 울림통 뒤판 면에 다른 자성체를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면 서로 끌어당기는 힘으로 Piezo 픽업을 몸통 내부에서 흔들림 없이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음향적 진동이 우수한 위치를 찾아서 쉽게 픽업을 악기 울림통 외부에 부착된 자성체를 밀고 당기면서 내부의 Piezo 픽업을 이동시킬 수 있다. 원하는 픽업의 위치에 누구나 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현악기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 베이스의 경우 악기 울림통에서 일어난 공명이 일어나며 외부로 나온 소리는 사람의 귀에 전달된다.
악기에서 울리는 소리와 울림통 뒤판에서 울리는 진동이 상당히 유사하게 접근하는 것을 확인되었다. 이런 진동을 픽업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고정해야 하고, 고정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픽업의 형상도 뒤따라야 한다.
바이올린, 비올라 경우 어깨받침의 발은 악기 몸통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깨받침을 흔들림 없도록 밀착되어 있다. 본 고안의 Piezo 픽업의 가장 최적의 설치 장소가 어깨받침과 중복되는 지점이다.
따라서 외부에 지지대를 설치되어야 함에도 설치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 된다. 이런 외적으로도 불편해 보이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본 고안으로 소형의 형상 간단한 방법으로 부착 및 탈착이 용이하도록 고안되는 것이다.
Piezo 픽업을 악기 외부에 부착하므로 해서 편리하게 탈착 및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지만 상황에 따라서 이행하지 못하는 변수에 대응하기 위해서 픽업을 악기 울림통 내부에 삽입하고 외부에 자성체의 자력을 이용하여 악기 울림통 내부에 있는 Piezo 픽업을 자력의 힘으로 당기고 있으므로 해서 픽업는 악기의 울림통과 밀착되고 또한 큰 진동에도 떨림 현상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악기에 따라서 진동 특성이 달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 진동을 찾아서 픽업의 위치를 쉽게 이동시켜서 악기 연주자만의 음향을 찾고 만들 수 있어서 진정한 자신만의 악기를 탄생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악기의 형상 특징상 곡면이 많고 또한 악기 외부에 장치를 추가적 고정하기 매우 어려운 구조를 띠고 있다. Piezo 픽업 개발자에게도 상당히 어려운 과제였을 것이다. 이로 인해서 브리지를 중심에 두고 개발되었고 때로는 F자 홀(소리 구멍)에 Piezo 픽업을 끼우는 경우도 있다.
또한 브리지 내부에 Piezo 픽업을 심은 제품도 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Piezo 픽업을 설치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었다.
또한 악기 내부에 사운드 포스트 하단에 Piezo 픽업을 부착하여 완성한 제품을 출시한 제품도 있다. 이는 생산 과정에서 내부에 장착하는 것이었다.
이미 사용 중에 있는 악기에 설치가 어려운 뿐 아니라 악기를 분해해야 하므로 해서 수리비가 추가 발생되어 진다.
본 고안의 효과로 악기 몸통 외부에 별도의 지지대가 필요하지 않고, 악기 울림통 내부에 삽입한 픽업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켜서 원하는 음향 진동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진동의 균일하고 사실적 악기의 원음을 재현하므로 해서 악기용 콘데서 마이크로폰을 대체할 수 있다.
악기용 콘덴서 마이크로폰은 악기 울림통에 고정하는 제품이 있다. 고정 위치에 따라서 수음하는 감도가 획일적이지 못한 점과 마이크로폰의 특성상 스피커의 소리 출력이 높으면 마이크로폰으로 유입되어 하울링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소리를 높이는 것에 한계가 있다.
또한 마이크 거치대 이용하여 고정하기도 하지만 연주자의 동작과 위치에 따라서 수음하는 감도가 다르게 된다.
이런 단점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Piezo 픽업은 악기의 소리를 수음하는 것이 아니고 진동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하울링 현상에 대응이 쉽다. Piezo 픽업이라 하여도 울림통에 부착식은 울림통에 강한 소리가 전달되어 진동하게 된다. 이때 하울링 현상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강력한 자성체의 자력을 통해서 강하게 밀착되어 하울링 현상이 발생 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Piezo 픽업을 사용하지 않을 때 탈착하기도 용이하다.
외부에 부착된 자성체 하나를 제거하면 울림통 내부에 삽입한 Piezo 픽업은 쉽게 울림통 외부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Piezo 픽업의 고정 위치를 악기의 울림통 내부에 외부로 변경이 가능하며 이 또한 연주자의 의도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 악기의 측면을 보여주고 있고 악기 전체를 반투명으로 처리하여 내부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고, 악기의 구조와 d-10과 d-11가 고정되는 위치와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악기의 위치를 아래에서 위를 향하여 보는 각도이며 d-10과 d-11의 고정하는 위치와 형상 a-8의 형상은 d-10이 악기 울림통 내부로 들어간 경로를 시각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도 4)악기의 표면을 반투명으로 처리하여 악기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고 악기를 d-10과 d-11를 고정 및 형상을 입체적으로 시각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도면 2) a-1 : 지판, a-2 : 에프홀( 소리 구멍), a-3 : 브리지, a-4 : 울림통 앞판, a-5 : 텔피스(줄 걸이 틀), a-6 : 엔드 핀, a-7 : 울림통 뒤판, a-8 : 신호 케이블, a-9 : 사운드 포스트, a-10 : Piezo 픽업, a-11 : 자석 홀드
Claims (3)
- 현악기 울림통 내부 및 외부 표면에 고정하는 Piezo 픽업으로서 내부에 자성체를 포함되어 다른 자성체를 밀거나 끌어당기는 기능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Piezo 픽업.
- 현악기용 Piezo 픽업으로서 내부에 자성체를 포함하는 Piezo 픽업이 악기 울림통 전체 면적에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다른 자성체를 사용하며 자성체가 내장된 Piezo 픽업과 함께 다른 극성을 이용하여 끌어당기는 힘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Piezo 픽업.
- Piezo 픽업을 자기력으로 고정하고 악기 울림통 앞 판, 뒤 판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향 진동 발생지를 선택적으로 지정하여 자유롭게 고정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Piezo 픽업.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6201A KR20130042096A (ko) | 2011-10-18 | 2011-10-18 | 자성체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현악기용 피에조 픽업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6201A KR20130042096A (ko) | 2011-10-18 | 2011-10-18 | 자성체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현악기용 피에조 픽업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2096A true KR20130042096A (ko) | 2013-04-26 |
Family
ID=4844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6201A Ceased KR20130042096A (ko) | 2011-10-18 | 2011-10-18 | 자성체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현악기용 피에조 픽업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4209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49746A1 (zh) * | 2016-09-18 | 2018-03-22 | 深圳市海星王科技有限公司 | 一种打击乐器的拾音器 |
KR101866162B1 (ko) | 2018-03-06 | 2018-06-08 | 김남운 | 듀얼 채널 부저 시스템을 갖는 어쿠스틱 프리앰프 장치 |
-
2011
- 2011-10-18 KR KR1020110106201A patent/KR20130042096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49746A1 (zh) * | 2016-09-18 | 2018-03-22 | 深圳市海星王科技有限公司 | 一种打击乐器的拾音器 |
KR101866162B1 (ko) | 2018-03-06 | 2018-06-08 | 김남운 | 듀얼 채널 부저 시스템을 갖는 어쿠스틱 프리앰프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48044B2 (en) | Vibration-sensing music instrument mountable device | |
US20060021495A1 (en) | Electric percussion instruments | |
US10650792B2 (en) | Percussion device and system for stringed instrument | |
US7504578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usical instrument having a monitor therein | |
US20070084335A1 (en) | Musical instrument with bone conduction monitor | |
JP4369847B2 (ja) | 弦楽器に於ける音の処理方法とそのピックアップ装置 | |
WO201512315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sound augmentation of acoustic musical instruments | |
CN110036649A (zh) | 音响装置 | |
US7514626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sta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
JP4967048B2 (ja) | 変換装置 | |
CN107836021B (zh) | 乐器用拾音装置 | |
CN112837666A (zh) | 电子弦乐器 | |
KR20130042096A (ko) | 자성체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현악기용 피에조 픽업 | |
JP2009139730A (ja) | 楽音信号出力装置および弦楽器 | |
JP2015215458A (ja) | 弦楽器 | |
JPH09247779A (ja) | 加振装置及び音響装置 | |
JP3197962U (ja) | 電気弦楽器の出力増大器 | |
JP3159576U (ja) | 低音自動ヴァイオリン族楽器 | |
JP2015079272A (ja) | 楽器 | |
US9966054B1 (en) | Pickup for stringed instruments | |
WO2016152929A1 (ja) | 振動供給装置及び楽器 | |
RU2282316C1 (ru) |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ь с управляемыми резонансами | |
KR200411709Y1 (ko) | 음향 진동자가 구비된 현악기 | |
WO2014087390A1 (en) | Vibration-sensing music instrument mountable device | |
Gough | Electric guitar and viol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5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