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972A - 펨토 셀 전개들에서 업링크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펨토 셀 전개들에서 업링크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972A
KR20130041972A KR1020137004726A KR20137004726A KR20130041972A KR 20130041972 A KR20130041972 A KR 20130041972A KR 1020137004726 A KR1020137004726 A KR 1020137004726A KR 20137004726 A KR20137004726 A KR 20137004726A KR 20130041972 A KR20130041972 A KR 20130041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network
parameters
access point
mitigating interference
transm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0762B1 (ko
Inventor
메흐메트 야부즈
파하드 메쉬카티
수미스 나가라자
얀 저우
비나이 찬데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4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4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with feedback of measurements to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82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for resource allocation, admission control or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0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optimising the interference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05PBS [Private Base St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네트워크에서 허용할 수 있는 업링크 서비스 품질을 달성하면서 업링크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이 제공된다.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송신 전력 보고들의 수, 프레임 에러 레이트, 세트포인트, 또는 디바이스의 업링크에 관련된 전력 제어 명령들, 디바이스에서의 수신된 파일럿 신호 세기, 디바이스에서의 업링크 스루풋 또는 버퍼 크기 등과 같은, 디바이스와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이 디바이스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평가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디바이스가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디바이스들과 잠재적으로 간섭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 정보가 추론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액세스 포인트는 디바이스를 핸드오버하는 것이 업링크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면서 이러한 업링크 간섭을 완화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디바이스를 핸드오버할 수 있다.

Description

펨토 셀 전개들에서 업링크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OF DEVICE TO MITIGATE UPLINK INTERFERENCE IN FEMTOCELL DEPLOYMENTS}
본 특허 출원은 "METHOD AND APPARATUS TO PROTECT FEMTO USER UPLINK PERFORMANCE VIA HAND-OVER TO MACRO"라는 명칭으로 2010년 7월 26일자 제출된 가출원 제61/367,782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가출원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이로써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백히 포함된다.
다음 설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통신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섭 관리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폭넓게 전개된다.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 가능한 시스템 자원들(예를 들어, 대역폭, 송신 전력, … )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시스템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time divisional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시스템들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ultra mobile broadband), EV-DO(evolution data optimized) 등과 같은 규격들에 따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 액세스 통신 시스템들은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 상의 송신들을 통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액세스 포인트들과 통신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들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모바일 디바이스들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들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한다. 게다가, 단일 입력 단일 출력(SISO: single-input single-output) 시스템들, 다중 입력 단일 출력(MISO: multiple-input single-output) 시스템들,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시스템들 등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통신들이 구축될 수 있다. 또한, 피어-투-피어 무선 네트워크 구성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과(그리고/또는 액세스 포인트들이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과) 통신할 수 있다.
종래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보완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더욱 확고한(robust)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도록 추가적인 제한적 액세스 포인트들이 전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진적 용량 증가, 더욱 풍부한 사용자 경험, 옥내(in-building) 또는 다른 특정 지리적 커버리지 등을 위해 (예를 들어, 집합적으로 H(e)NB들로 지칭되는 홈(Home) NodeB들 또는 홈 eNB들, 펨토 액세스 포인트들, 펨토 셀들, 피코 셀들, 마이크로 셀들 등으로 일반적으로 지칭될 수 있는) 무선 중계국들 및 저 전력 액세스 포인트들이 전개될 수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이러한 저 전력 액세스 포인트들은 모바일 운영자의 네트워크에 대한 백홀 링크를 제공할 수 있는 광대역 접속(예를 들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라우터, 케이블 또는 다른 모뎀 등)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광대역 접속을 통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디바이스들에 모바일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집들에 저 전력 액세스 포인트들이 전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러한 저 전력 액세스 포인트들의 전개는 많은 경우들에 무계획적이며,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들 및/또는 이들과 통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다른 저 전력 액세스 포인트들, 매크로 셀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주변의 다른 디바이스들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일례로, 어떤 저 전력 액세스 포인트들은 특정 디바이스들로부터의 통신들만을 허용하는 제한적 연관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사정거리 내에 있지만 저 전력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도록 허용되지 않는 디바이스들은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의 통신시 저 전력 액세스 포인트와 간섭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저 전력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디바이스들은 이러한 간섭을 막기 위해 송신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한 예에서는, 송신 전력의 증가 때문에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들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들과 간섭하는 것을 완화하도록, 저 전력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송신 전력의 한도가 정해질 수 있다. 그러나 송신 전력의 한도를 정하는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업링크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다음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양상들의 간단한 요약을 제시한다. 이 요약은 예측되는 모든 양상들의 포괄적인 개요가 아니며, 모든 양상들의 주요 또는 핵심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임의의 또는 모든 양상들의 범위를 기술하지는 않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 유일한 목적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의 일부 개념들을 뒤에 제시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론으로서 간단한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실시예들과 그에 대응하는 개시에 따르면, 저 전력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디바이스를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하여 디바이스의 업링크 통신들을 개선하는 것과 관련하여 다양한 양상들이 설명된다. 예를 들어, 저 전력 액세스 포인트는 디바이스의 통신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획득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핸드오버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은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 및/또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송신 전력 보고들, 디바이스의 업링크 통신들과 관련된 전력 제어 명령들, 프레임 에러 레이트(FER: frame error rate), 세트포인트, 업링크 스루풋 버퍼 크기, 디바이스에서의 다운링크 파일럿 Ec/Io,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업링크 로딩 또는 잡음 증가 등에 대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액세스 포인트들에 대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핸드오버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치는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임계값과 비교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임계값과 비교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양상에서,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되며, 이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임계값과 비교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한다.
더욱이, 한 양상에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 파라미터 컴포넌트 및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임계값과 비교하기 위한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핸드오버 컴포넌트를 더 포함한다.
앞서 언급된 그리고 관련된 목적들의 이행을 위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은 이후에 충분히 설명되며 청구항들에서 특별히 지적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다음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의 특정 예시적인 특징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들은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이 채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몇몇을 나타낼 뿐이며, 이러한 설명은 이러한 모든 양상들 및 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개시되는 양상들은 이하, 개시되는 양상들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기 위해 제공되는 첨부 도면들과 함께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동일 부호들은 동일 엘리먼트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의 한 양상의 블록도이다.
도 3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디바이스 통신들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한 양상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송신 전력 보고들의 수를 기초로 디바이스 통신들을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한 양상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디바이스 통신들을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한 양상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모바일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7은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8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디바이스 통신들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과 함께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환경의 일례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양상들이 구현될 수 있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2는 네트워크 환경 내에서 펨토 셀들의 전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의 일례이다.
도 13은 정의된 여러 개의 트래킹 영역들을 갖는 커버리지 맵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양상들이 설명된다. 다음 설명에서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을 목적으로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들 특정 세부 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도 있음이 명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이들과 통신하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과도한 간섭을 막기 위해 저 전력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디바이스를 핸드오버하는 것과 관련하여 다양한 양상들이 제시된다. 특히, 디바이스는 매크로 셀 액세스 포인트들(또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 및/또는 이들과 통신하는 디바이스들로부터의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저 전력 액세스 포인트와의 통신시 송신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이러한 전력 증가 역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한 예에서 저 전력 액세스 포인트는 잠재적으로 발생하는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업링크 통신들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은 디바이스가 송신 전력 한도의 임계 차에서 또는 그 이내에서 송신 전력을 달성 및/또는 지속적으로 달성하는지, 디바이스의 전력 제어 명령들, 프레임 에러 레이트(FER), 세트포인트 등, 업링크 스루풋 버퍼 크기, 다운링크 파일럿 세기,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관련된 업링크 로딩 또는 잡음 증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들 및/또는 유사한 파라미터들은 저 전력 기지국과 통신하는 디바이스의 업링크 서비스 품질뿐만 아니라 발생하는 업링크 간섭의 레벨도 표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업링크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면서 업링크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예를 들어, 동일한 또는 다른 주파수 내에서 그리고/또는 동일한 또는 서로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에 관련된)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의 용어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와 같은, 그러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닌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예시로,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컴퓨팅 디바이스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컴포넌트들이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가 하나의 컴퓨터에 집중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2개 또는 그보다 많은 컴퓨터들 사이에 분산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이 저장된 다양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컨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데이터 패킷들(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에서, 분산 시스템에서, 그리고/또는 신호에 의해 다른 시스템들과의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를 통해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 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을 갖는 신호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는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일 수 있는 단말과 관련하여 다양한 양상들이 설명된다. 단말은 또한 시스템, 디바이스,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모바일 디바이스, 원격국,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단말,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로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단말은 셀룰러 전화, 위성 전화, 코드리스(cordless)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 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접속 능력을 가진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는 기지국과 관련하여 다양한 양상들이 설명된다. 기지국은 무선 단말(들)과의 통신에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진화형 노드 B(eNB), H(e)NB, 또는 다른 어떤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더욱이, "또는"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또는"보다는 포괄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맥락상 명확하지 않다면,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라는 문구는 당연히 포괄적 치환들 중 임의의 치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라는 문구는 X가 A를 이용하는 경우; X가 B를 이용하는 경우; 또는 X가 A와 B를 모두 이용하는 경우 중 임의의 경우에 의해 충족된다. 또한, 본 출원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하나의"("a" 및 "an")라는 표현들은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맥락상 단일 형태로 지시되는 것으로 명확하지 않다면,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과 "네트워크"라는 용어들은 흔히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또한,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시스템은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진화형 UTRA(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플래시-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이다. 3GPP 롱 텀 에볼루션(LTE)은 다운링크에 대해서는 OFDMA를 그리고 업링크에 대해서는 SC-FDMA를 이용하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릴리스(release)이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추가로, cdma20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GPP2)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흔히 언페어드(unpaired) 비허가 스펙트럼들, 802.xx 무선 LAN, 블루투스 및 임의의 다른 단거리 또는 장거리 무선 통신 기술들을 이용하는 피어-투-피어(예를 들어, 모바일-투-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 시스템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들에 관하여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이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은 추가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되는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고 이해 및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접근 방식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설명된다. 시스템(100)은 무선 네트워크 및/또는 그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컴포넌트들에 대한 액세스를 수신하기 위해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와 통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102)를 포함한다. 시스템(100)은 또한 디바이스(102)가 잠재적으로 간섭할 수 있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106 및/또는 108)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들(106, 108)과 통신하며 디바이스(102)가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와의 통신시 추가로 간섭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들(110, 112)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들(102, 110 및/또는 112)은 각각 UE, 모뎀(또는 다른 테더링된 디바이스), 그 일부 등일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들(104, 106 및/또는 108)은 각각 (본 명세서에서는 집합적으로 H(e)NB로 지칭되는 홈 노드 B 또는 홈 진화형 노드 B와 같은) 펨토 셀 액세스 포인트, 피코 셀 액세스 포인트, 마이크로 셀 액세스 포인트, 모바일 기지국, 중계 노드, (예를 들어, 피어-투-피어 또는 애드 혹 모드로 통신하는) 디바이스, 그 일부 등일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디바이스(102)는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송신 전력으로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는 디바이스(102)에 송신 전력 한도를 전달할 수 있고, 디바이스(102)는 송신 전력 한도를 고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2)는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로부터의 신호 품질 저하 검출시,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이들과 통신하는 디바이스들로부터의 간섭 검출시 등에 송신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송신 전력 증가는 디바이스(102)가 액세스 포인트(106) 및/또는 이와 통신하는 디바이스들, 예컨대 디바이스(110), 액세스 포인트 108 및/또는 이와 통신하는 디바이스, 예컨대 디바이스(112) 등과 간섭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는 디바이스(102) 통신들을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할지 여부의 결정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업링크 통신 파라미터들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는 디바이스(102)의 송신 전력 및/또는 송신 전력이 디바이스(102)에 할당된 송신 전력 한도에 지속적으로 도달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송신 전력이 임계 레벨인 경우 및/또는 송신 전력이 한도(및/또는 그의 임계 레벨)에 도달하는 경우,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는 액세스 포인트(106 및/또는 108)와 같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액세스 포인트들로 디바이스(102)를 핸드오버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는 디바이스(102)와 관련된 전력 제어 명령들, FER, 세트포인트 등을 결정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메트릭들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2)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ER은 음성 및/또는 데이터 통신들에 관련될 수 있고, 패킷들이 성공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에 관해 디바이스(102)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데이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정되는 것, 디바이스(102)에 의해 수신되는 것 등 중에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FER과 임계 레벨의 비교는 디바이스(102)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표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더 높은 FER은 디바이스(102)가 매우 높은 송신 전력을 사용하고 있지는 않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예에서, FER이 예상되는지 여부 또는 FER이 낮은지 아니면 높은지를 결정하기 위해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에 대한 디바이스(102)의 위치 또는 거리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세트포인트는 일례로, 디바이스(102)가 특정 신호대 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를 달성하게 하는 전력에 대응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전력은 디바이스(102)에 수신되는 파일럿 신호의 측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세트포인트는 디바이스(102)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102)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거리를 고려하여 세트포인트가 예상된 것보다 더 높은지 아니면 더 낮은지를 결정하기 위해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에 대한 상대적 거리가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2)의 업링크 통신들과 관련된 전력 제어 명령들은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가 디바이스(102)에 의해 이용되는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가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는 송신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발생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디바이스(102)를 핸드오버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는 (예를 들어,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디바이스(102)로부터 수신되는 패킷들의 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디바이스(102)에 대응하는 업링크 스루풋, 및/또는 그의 업링크 버퍼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메트릭들은 스루풋이 낮거나(예를 들어, 임계 레벨 아래) 버퍼 크기가 큰(예를 들어, 임계 레벨을 넘어서는) 디바이스(102)에 대해 송신 전력 한도에 관한 헤드룸이 감소하고 있다는 표시일 수 있다. 이는 또한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디바이스(102)에 의한 잠재적 간섭을 표시할 수 있다. 이 파라미터는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에 의해 디바이스(102)에 제공되는 자원 승인에 상대적일 수 있으며, 따라서 디바이스(102) 송신 전력이 송신 전력 한도에 가까워지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승인 크기를 기초로 업링크 스루풋 및/또는 버퍼 크기가 임계치와 비교될 수 있다고 인식되어야 한다.
다른 예에서,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는 디바이스(102)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수신된 파라미터들을 평가할 수 있다. 일례로, 디바이스(102)는 디바이스(102)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파일럿 신호 Ec/Io(수신된 파일럿 에너지 대 총 잡음 비), 경로 손실 등을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에 전달할 수 있다.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는 이러한 파라미터들을 사용하여 디바이스(102)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더욱이, 일례로,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는 액세스 포인트(106)로부터 업링크 로딩 및/또는 잡음 증가 파라미터들을 수신할 수 있는데,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106)는 핸드오버시 디바이스(102)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한 후보이다.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는 디바이스(102)를 액세스 포인트(106)로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106)에서의 디바이스(102)의 예상 성능을 결정한다.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는 디바이스(102)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파라미터들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고 인식되어야 한다. 더욱이, 예를 들어 서빙 액세스 포인트(104)는 동일한 또는 다른 동작 주파수에서, 동일한 또는 다른 RAT 등과 관련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디바이스(102)를 핸드오버할 수 있다.
도 2로 넘어가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통신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디바이스 통신들의 핸드오버를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200)이 설명된다. 시스템(200)은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에 대한 액세스를 수신하기 위해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와 통신하는 디바이스(202)를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200)은 디바이스(202)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통신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디바이스(202)가 핸드오버될 수 있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20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통신 파라미터들은 설명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202)에 의해 이용되는 송신 전력, 및 그에 따라 디바이스(202)가 액세스 포인트(206)와 같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액세스 포인트들 및/또는 이와 통신하는 디바이스들에 대해 잠재적으로 간섭을 일으키고 있는지 여부에 관련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202)는 UE, 모뎀 등일 수 있고,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와 액세스 포인트(206)는 각각 매크로 셀, 펨토 셀, 피코 셀, 또는 유사한 액세스 포인트, H(e)NB 등일 수 있다.
디바이스(202)는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송신 전력 보고 컴포넌트(208),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다른 파라미터들을 전달하기 위한 파라미터 제공 컴포넌트(21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202)는 또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핸드오버 컴포넌트(212)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는 디바이스 통신들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거나 아니면 획득하기 위한 통신 파라미터 컴포넌트(214),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디바이스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216), 및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핸드오버 컴포넌트(21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파라미터 컴포넌트(214)는 송신 전력을 보고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대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특정하기 위한 전력 보고 구성 컴포넌트(220), 및/또는 디바이스로부터 보고되는 송신 전력을 획득하기 위한 전력 보고 수신 컴포넌트(222)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파라미터 컴포넌트(214)는 또한 디바이스의 통신들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 계산 컴포넌트(224) 및/또는 디바이스로부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통신 파라미터들을 획득하기 위한 파라미터 수신 컴포넌트(226)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06)는 디바이스(202)를 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에 전달하기 위한 파라미터 제공 컴포넌트(228)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디바이스(202)는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수신하기 위해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와 통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202)는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와 통신하기 위해 송신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주변 액세스 포인트들 및/또는 이들과 통신하는 디바이스들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는 이러한 간섭을 피하도록 디바이스(202)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디바이스(202) 및/또는 디바이스(202)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통신 파라미터들을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통신 파라미터 컴포넌트(214)는 디바이스(202)에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거나 아니면 획득할 수 있고,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216)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액세스 포인트(206)로 디바이스(202)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216)가 디바이스(202)를 핸드오버하기로 결정한 경우, 핸드오버 컴포넌트(218)는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 컴포넌트(218)는 디바이스(202)로부터 이전에 측정 보고들을 수신했을 수 있으며, 측정 보고들을 기초로 디바이스(202)를 핸드오버할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가장 높은 신호대 잡음비(SNR)가 보고되는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 컴포넌트(218)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고려사항들, 예컨대 측정 보고 내의 액세스 포인트가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와 다른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는지,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와 다른 RAT를 사용하는지 등을 기초로 핸드오버를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여,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 및/또는 이들과 통신하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디바이스(202)로부터의 잠재적 간섭을 더 완화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예에서, 전력 보고 수신 컴포넌트(222)는 디바이스(202)로부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전력 보고들을 획득할 수 있고,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216)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전력 보고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디바이스(202)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송신 전력 보고 컴포넌트(208)는 주기적 송신 전력 보고들을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에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송신 전력 보고들의 전달에 관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수신된 또는 구성된 파라미터들, 예컨대 보고 주파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보고 이벤트들(예를 들어, 송신 전력이 송신 전력 한도 또는 송신 전력 한도와 관련된 혹은 송신 전력 한도와 무관한 다른 임계치를 초과하는 시점의 보고) 등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일례로, 전력 보고 구성 컴포넌트(220)는 디바이스(202)에 대해 송신 전력 보고들의 전달에 관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특정할 수 있다. 송신 전력 보고 컴포넌트(208)는 송신 전력 보고들을 언제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에 전달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획득 및 이용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전력 보고 수신 컴포넌트(222)는 그에 따라 디바이스(202)로부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전력 보고들을 획득할 수 있고,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216)는 송신 전력 보고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디바이스(202)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216)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전력 보고들 내의 정보, 예컨대 보고들에 표시된 송신 전력(예를 들어, 주어진 보고에서 전력이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 다수의 보고들에서는 다수의 보고들에 대한 평균 전력이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 등)을 기초로 디바이스(202)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송신 전력이 임계 레벨(예를 들어, 송신 전력 한도, 송신 전력 한도의 임계 차 이내 등)에 도달할 때 전력 보고 구성 컴포넌트(220)가 송신 전력 보고들을 전송하도록 디바이스(202)를 구성하는 다른 예에서,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216)는 일정 기간의 시간 내에 디바이스(202)로부터 수신되는 송신 전력 보고들의 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디바이스(202)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보고들의 수가 임계 개수를 초과한다면, 이는 디바이스(202)가 높은 송신 전력으로 인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액세스 포인트들과 통신하는 디바이스들이나 액세스 포인트와 간섭하고 있을 가능성이 더 많음을 표시할 수 있어,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216)가 디바이스(202) 통신들을 핸드오버하기로 결정하면 핸드오버 컴포넌트(218)가 그와 같이 디바이스(202) 통신들을 핸드오버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216)가 디바이스(202)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202) 통신들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파라미터 계산 컴포넌트(224)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 계산 컴포넌트(224)는 디바이스(202)에 관련된 FER, 세트포인트, 전력 제어 명령들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 계산 컴포넌트(224)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레임들이 적절히 수신되는지 여부(예를 들어, 디바이스(202)로부터의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요청(HARQ: hybrid automatic repeat/request) 피드백)에 관한 디바이스(202)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FER을 결정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216)는 설명된 바와 같이, FER과 임계 FER을 비교할 수 있다. 더욱이, 한 예에서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216)는 디바이스(202) 및/또는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 예컨대 디바이스(202)와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 간의 상대적 거리, 또는 디바이스(202)의 통신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임계 FER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216)는 디바이스(202)에서의 예상 임계 FER을 결정할 수 있고, FER을 예상 임계치와 비교하여 디바이스(202)에서의 송신 전력이 송신 전력 한도에 가까워지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더욱이,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는 디바이스(202)로부터 수신되는 파일럿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SNR을 달성하도록 디바이스(202)에 대한 세트포인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이 예에서,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216)는 마찬가지로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에 대한 디바이스(202)의 거리 또는 위치를 기초로 예상 임계 세트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세트포인트와 예상 임계치의 비교는 디바이스(202)가 송신 전력 한도 근처의 전력으로 전송하고 있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예를 들어, 더 높은 세트포인트는 세트포인트가 예상 임계치보다 더 낮은 경우보다 송신 전력이 송신 전력 한도에 더 가까움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파라미터 계산 컴포넌트(224)는 디바이스(202)에 전력 제어 명령들을 전달하는 것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에 의해 디바이스(202)로 전달되는 전력 제어 명령들의 수, 전력 제어 명령들이 전력 증가를 특정하는지 여부, 전력 제어 명령들을 기초로 한 총 전력 증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216)는 파라미터들을 수신된 또는 구성된 임계값들과 비교하여 디바이스(202)의 통신들을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파라미터 수신 컴포넌트(226)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 제공 컴포넌트(210)는 업링크 스루풋, 업링크 버퍼 크기, 디바이스(202)에 수신된 파일럿 신호의 세기, 디바이스(202)에서 경험하게 되는 경로 손실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결정하여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 제공 컴포넌트(210)는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로 전달되는 다수의 패킷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업링크 스루풋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파라미터 제공 컴포넌트(210)는 특정 시점에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 또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에 전송될, 업링크 버퍼 내의 패킷들의 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업링크 버퍼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더욱이, 예를 들어 파라미터 제공 컴포넌트(210)는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 및/또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액세스 포인트들,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206)로부터의 파일럿 신호의 Ec/Io 또는 다른 신호 품질 측정, 및/또는 파일럿 신호 또는 다른 신호들을 기초로 한 그에 대한 경로 손실을 결정할 수 있다.
이 예에서,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216)는 마찬가지로 디바이스(202)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구성된 또는 수신된 임계값들과 비교하여 디바이스(202)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비교는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다른 값들에 상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 크기에 대해 업링크 스루풋이 측정되어 디바이스(202) 송신 전력이 송신 전력 한도에 가까운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예를 들어, 관련된 자원 승인 크기에 대해) 낮은 스루풋 또는 높은 버퍼 크기는 스루풋을 상승시켜 버퍼 크기를 낮추도록 높은 송신 전력 또는 송신 전력의 가능한 증가를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202)에서 수신되는 파일럿 신호의 낮은 Ec/Io는 송신 전력의 가능한 증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206)는 디바이스(202)에서의 업링크 통신들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예를 들어, 핸드오버 프로시저의 일부로서)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로부터의 요청을 기초로 또는 다른 식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일례로, 파라미터 제공 컴포넌트(228)는 액세스 포인트(206)에서의 업링크 로딩 및/또는 잡음 플로어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을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라미터 제공 컴포넌트(228)는 백홀 링크 또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통해 성능 파라미터들을 서빙 액세스 포인트(204)에 전달할 수 있다. 파라미터 수신 컴포넌트(226)는 그에 따라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을 획득할 수 있고,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216)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을 비교하여 액세스 포인트(206)로 디바이스(202)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업링크 로딩 및/또는 잡음 플로어에 관련된 성능 파라미터들이 액세스 포인트(206)와의 통신시 디바이스(202)의 예상 성능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을 성능 임계값들(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액세스 포인트들로 핸드오버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임계 업링크 로딩, 잡음 플로어 등)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216)가 성능 파라미터들이 적어도 임계 레벨이라고 결정한다면, 핸드오버 컴포넌트(218)는 설명된 바와 같이,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이들과 통신하는 디바이스들에 대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디바이스(202)를 액세스 포인트(206)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도 3 -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핸드오버하는 것과 관련된 예시적인 방법들이 설명된다.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방법들은 일련의 동작들로서 도시 및 설명되지만,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 일부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도시 및 설명되는 것과 다른 순서들로 그리고/또는 다른 동작들과 동시에 일어날 수 있으므로 방법들은 동작들의 순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고 이해 및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방법은 대안으로 상태도에서와 같이 일련의 상호 관련 상태들이나 이벤트들로서 표현될 수 있다고 인식되어야 한다. 더욱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실시예들에 따라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예시되는 모든 동작들이 필요한 것은 아닐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핸드오버 수행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300)이 도시된다. 302에서,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업링크 스루풋, 업링크 버퍼 크기, 수신된 파일럿 신호의 세기, 경로 손실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이는 디바이스와의 통신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송신 전력 보고들의 수, FER, 세트포인트,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전력 제어 명령들에 관련된 파라미터들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304에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이 임계값과 비교될 수 있다. 306에서,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로의 디바이스의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이 디바이스가 임계값을 기초로 다른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디바이스들과 간섭할 수 있음을 표시한 경우, 디바이스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다른 동작 주파수를 통해 그리고/또는 다른 RAT를 사용하여 통신한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위해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선택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핸드오버할지 여부의 결정을 용이하게 하는 예시적인 방법(400)이 도시된다. 402에서, 디바이스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준들을 기초로 송신 전력 보고들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에서의 송신 전력이 임계 레벨(예를 들어, 송신 전력 한도, 송신 전력 한도로부터의 임계 레벨 등)에 도달할 때 송신 전력 보고들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기준들을 기초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송신 전력 보고들을 전달할 수 있다. 404에서,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송신 전력 보고들의 수가 결정될 수 있다. 406에서, 송신 전력 보고들의 수를 기초로 디바이스를 핸드오버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의 송신 전력 보고들의 수가 임계치를 초과한다면, 이는 디바이스가 송신 전력 한도에 관한 전력 헤드룸을 다 써버리고 있고 따라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디바이스들과 간섭하고 있을 수도 있다고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로 핸드오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500)이 설명된다. 502에서,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스루풋, 업링크 버퍼 크기, 수신된 파일럿 신호의 세기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이는 디바이스와의 통신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송신 전력 보고들의 수, FER, 세트포인트,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전력 제어 명령들에 관련된 파라미터들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504에서,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은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업링크 로딩,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잡음 증가 등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들은 액세스 포인트에서 디바이스의 예상 성능을 표시할 수 있거나 그 예상 성능을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506에서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 및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디바이스를 핸드오버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가 높은 업링크 로딩 또는 잡음 증가를 갖는다면, 핸드오버를 위해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고려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아니면 액세스 포인트로의 핸드오버가 금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에 따르면, 설명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 액세스 포인트의 성능 파라미터들 등을 기초로 디바이스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에 관해 추론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인식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추론하다" 또는 "추론"에 대한 용어는 일반적으로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에 의해 포착되는 한 세트의 관측들로부터 시스템, 환경 및/또는 사용자의 상태들에 관해 판단하거나 추론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추론은 특정 콘텍스트나 동작을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상태들에 대한 확률 분포를 생성할 수 있다. 추론은 확률적일 수 있는데, 즉 데이터 및 이벤트들의 고찰에 기초한 관심 있는 상태들에 대한 확률 분포의 계산일 수 있다. 추론은 또한 한 세트의 이벤트들 및/또는 데이터로부터 상위 레벨 이벤트들을 구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기술들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추론은 이벤트들이 시간상 밀접하게 상관되든 그렇지 않든, 그리고 이벤트들과 데이터가 하나 아니면 여러 이벤트 및 데이터 소스들로부터 나오는지 간에, 한 세트의 관측된 이벤트들 및/또는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로부터의 새로운 이벤트들 또는 동작들의 구성을 야기한다.
도 6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송신 전력 또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의 보고를 용이하게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600)의 예시이다.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수신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대해 통상의 동작들을 수행(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 변환 등)하고,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획득하는 수신기(602)를 포함한다. 수신기(602)는 수신된 심벌들을 복조하여 이들을 채널 추정을 위해 프로세서(606)에 제공할 수 있는 복조기(6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06)는 수신기(602)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고 그리고/또는 송신기(608)에 의해 전송할 정보를 생성하는 데 전용되는 프로세서, 모바일 디바이스(600)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수신기(602)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고 송신기(608)에 의해 전송할 정보를 생성하며 모바일 디바이스(600)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추가로, 프로세서(606)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송될 데이터, 수신된 데이터, 이용 가능한 채널들과 관련된 정보, 간섭 세기 및/또는 분석된 신호와 연관된 데이터, 할당된 채널, 전력, 레이트 등과 관련된 정보, 그리고 채널을 추정하고 채널을 통해 전달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당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61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10)는 채널의 추정 및/또는 이용과 연관된 프로토콜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예를 들어, 성능 기반, 용량 기반 등)을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데이터 저장소(예를 들어, 메모리(61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고 인식될 것이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프로그램 가능 ROM(PROM: programmable 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램 가능한 ROM(EPROM: 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PROM(EEPROM: electrically erasable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 역할을 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RAM은 동기식 RAM(SRAM: synchronous RAM), 동적 RAM(DRAM: dynamic RAM), 동기식 DRAM(SDRAM: synchronous DRAM), 2배속 SDRAM(DDR SDRAM: double data rate SDRAM), 확장 SDRAM(ESDRAM: enhanced SDRAM), 싱크링크 DRAM(SLDRAM: Synchlink 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RAM(DRRAM: direct Rambus RAM)과 같은 많은 형태들로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메모리(610)는 이러한 그리고 임의의 다른 적당한 타입들의 메모리(이에 한정된 것은 아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프로세서(606)는 송신 전력 보고 컴포넌트(208)와 유사할 수 있는 송신 전력 보고 컴포넌트(612), 파라미터 제공 컴포넌트(210)와 유사할 수 있는 파라미터 제공 컴포넌트(614), 및/또는 핸드오버 컴포넌트(212)와 유사할 수 있는 핸드오버 컴포넌트(616)에 선택적으로 동작 가능하게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송신기(608)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등으로 전송할 신호들을 변조하는 변조기(618)를 더 추가로 포함한다. 더욱이,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설명된 바와 같이, 다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다수의 송신기들(608)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06)와 별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송신 전력 보고 컴포넌트(612), 파라미터 제공 컴포넌트(614), 핸드오버 컴포넌트(616), 복조기(604) 및/또는 변조기(618)는 프로세서(606) 또는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프로세서들의 일부일 수 있다고 인식되어야 한다.
도 7은 무선 통신들을 이용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시스템(700)의 예시이다. 시스템(700)은 (예를 들어, 설명된 다수의 네트워크 기술들과 같을 수 있는)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706)을 통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모바일 디바이스들(704)로부터 신호(들)를 수신하는 수신기(710), 및 (예를 들어, 설명된 다수의 네트워크 기술들과 같을 수 있는)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708)을 통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모바일 디바이스들(704)로 전송하는 송신기(728)를 갖는 기지국(702)을 포함하며, 기지국(702)은 실질적으로 임의의 기지국(예를 들어, 펨토 셀, 피코 셀 등과 같은 소형 기지국, 모바일 기지국 … ), 중계기 등일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송신기(728)는 유선 프런트 링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들(704)에 전송할 수 있다. 수신기(710)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수신 안테나들(706)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를 복조하는 복조기(712)와 동작 가능하게 연관된다. 또한, 일례로 수신기(710)는 유선 백홀 링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더욱이, 별개의 안테나들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송신 안테나(708)가 적어도 하나의 수신 안테나(706)와 단일 안테나로서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복조된 심벌들은 프로세서(714)에 의해 분석되는데, 이 프로세서(714)는 도 6에 관해 위에서 설명된 프로세서와 유사할 수 있으며, 신호(예를 들어, 파일럿) 세기 및/또는 간섭 세기의 추정에 관련된 정보, 모바일 디바이스(들)(704)(또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기지국)로 전송될 또는 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의 수행과 관련된 임의의 다른 적당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716)에 연결된다.
프로세서(714)는 통신 파라미터 컴포넌트(214)와 유사할 수 있는 통신 파라미터 컴포넌트(718),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216)와 유사할 수 있는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720), 핸드오버 컴포넌트(218)와 유사할 수 있는 핸드오버 컴포넌트(722), 및/또는 파라미터 제공 컴포넌트(228)와 유사할 수 있는 파라미터 제공 컴포넌트(724)에 추가로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더욱이, 예를 들어 프로세서(714)는 전송될 신호들을 변조기(726)를 사용하여 변조할 수 있고, 변조된 신호들을 송신기(728)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송신기(728)는 송신(Tx) 안테나들(708)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들(704)로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더욱이, 프로세서(714)와 별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통신 파라미터 컴포넌트(718),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720), 핸드오버 컴포넌트(722), 파라미터 제공 컴포넌트(724), 복조기(712) 및/또는 변조기(726)는 프로세서(714) 또는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프로세서들의 일부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프로세서(714)에 의한 실행을 위해 메모리(716)에 명령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고 인식되어야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디바이스에 대한 송신 전력 한도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800)이 설명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800)은 액세스 포인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시스템(800)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예를 들어, 펌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들일 수 있는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표현된다고 인식되어야 한다. 시스템(800)은 결합하여 작동할 수 있는 전기 컴포넌트들의 로직 그룹(802)을 포함한다. 예컨대, 로직 그룹(802)은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8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업링크 스루풋, 업링크 버퍼 크기, 수신된 파일럿 신호의 세기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이는 디바이스와의 통신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송신 전력 보고들의 수, FER, 세트포인트, 디바이스에 전달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전력 제어 명령들에 관련된 파라미터들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직 그룹(802)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임계값과 비교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80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는 설명된 바와 같이,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로직 그룹(802)은 또한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전기 컴포넌트(80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설명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들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컴포넌트(804)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통신 파라미터 컴포넌트(214), 및/또는 그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한 양상에서 전기 컴포넌트(806)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216)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전기 컴포넌트(808)는 설명된 바와 같은 핸드오버 컴포넌트(218)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시스템(800)은 전기 컴포넌트들(804, 806, 808)과 연관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보유하는 메모리(81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10)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전기 컴포넌트들(804, 806, 808)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전기 컴포넌트는 메모리(810) 내부에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일례로, 전기 컴포넌트들(804, 806, 808)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거나, 각각의 전기 컴포넌트(804, 806, 808)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대응 모듈일 수 있다. 더욱이,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예에서, 전기 컴포넌트들(804, 806, 808)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일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전기 컴포넌트(804, 806, 808)는 대응하는 코드일 수 있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900)이 설명된다. 시스템(900)은 다수의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할 수 있는 기지국(9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들(904, 906)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그룹은 안테나들(908, 9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 그룹은 안테나들(912, 914)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 2개의 안테나들이 예시되지만, 각각의 그룹에 대해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안테나들이 이용될 수 있다. 기지국(902)은 추가로 송신기 체인과 수신기 체인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인식되는 바와 같이, 이들 각각은 차례로 신호 송신 및 수신과 연관된 다수의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프로세서들, 변조기들, 멀티플렉서들, 복조기들, 디멀티플렉서들, 안테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902)은 모바일 디바이스(916) 및 모바일 디바이스(922)와 같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지만, 기지국(902)은 모바일 디바이스들(916, 922)과 비슷한, 실질적으로 임의의 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고 인식되어야 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들(916, 922)은 예를 들어, 셀룰러폰들, 스마트폰들, 랩톱들, 핸드헬드 통신 디바이스들,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들, 위성 라디오들, 글로벌 위치 결정 시스템들, PDA들,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900)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당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916)는 안테나들(912, 914)과 통신하는데, 여기서 안테나들(912, 914)은 순방향 링크(918)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916)에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92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9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더욱이, 모바일 디바이스(922)는 안테나들(904, 906)과 통신하는데, 여기서 안테나들(904, 906)은 순방향 링크(924)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922)에 정보를 전송하고 역방향 링크(926)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9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918)는 역방향 링크(920)에 의해 사용되는 것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고, 순방향 링크(924)는 역방향 링크(926)에 의해 이용되는 것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시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시스템에서는, 순방향 링크(918) 및 역방향 링크(920)가 공통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고, 순방향 링크(924) 및 역방향 링크(926)가 공통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다.
안테나들의 각각의 그룹 및/또는 이들이 통신하도록 지정된 영역은 기지국(902)의 섹터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그룹들은 기지국(902)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들의 섹터에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들(918, 924)을 통한 통신에서, 기지국(902)의 송신 안테나들은 모바일 디바이스들(916, 922)에 대한 순방향 링크들(918, 924)의 신호대 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해 빔 형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902)이 연관된 커버리지 도처에 랜덤하게 흩어져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들(916, 922)에 전송하기 위해 빔 형성을 이용하는 동안, 인근 셀들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단일 안테나를 통해 자신의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전송하는 기지국에 비해 더 적은 간섭을 받을 수 있다. 더욱이, 모바일 디바이스들(916, 9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피어-투-피어 또는 애드 혹 기술을 사용하여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시스템(900)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902)은 설명된 바와 같이, 업링크 통신들 또는 그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기초로 디바이스(916 및/또는 922)를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00)을 보여준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0)은 간결성을 위해 하나의 기지국(1010)과 하나의 모바일 디바이스(1050)를 도시한다. 그러나 시스템(1000)은 1개보다 많은 수의 기지국 및/또는 1개보다 많은 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추가 기지국들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아래에 설명되는 예시적인 기지국(1010) 및 모바일 디바이스(1050)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거나 상이할 수 있다고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기지국(1010)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05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시스템들(도 1 - 도 2 및 도 7 - 도 9), 모바일 디바이스들(도 6) 및/또는 방법들(도 3 - 도 5)을 이용하여 이들 사이의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고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의 컴포넌트들이나 기능들은 뒤에서 설명되는 메모리(1032 및/또는 1072) 또는 프로세서들(1030 및/또는 1070)의 일부일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개시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들(1030 및/또는 107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기지국(1010)에서는,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1012)로부터 송신(TX) 데이터 프로세서(1014)로 제공된다. 일례에 따르면,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TX 데이터 프로세서(1014)는 트래픽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코딩 방식을 기초로 해당 데이터 스트림을 포맷화, 코딩 및 인터리빙하여 코딩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코딩된 데이터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기술들을 이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다중화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파일럿 심벌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시분할 다중화(TDM) 또는 코드 분할 다중화(CDM)될 수 있다. 파일럿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되는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며 모바일 디바이스(1050)에서 채널 응답을 추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다중화된 파일럿 및 코딩된 데이터는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선택된 특정 변조 방식(예를 들어,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binary phase-shift keying), 직교 위상 시프트 키잉(QPSK: quadrature phase-shift keying), M-위상 시프트 키잉(M-PSK: M-phase-shift keying), M-직교 진폭 변조(M-QAM: 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을 기반으로 변조(예를 들어, 심벌 맵핑)되어 변조 심벌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프로세서(1030)에 의해 수행 또는 제공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변조 심벌들은 TX MIMO 프로세서(1020)에 제공될 수 있고, TX MIMO 프로세서(1020)는 (예를 들어, OFDM을 위해) 변조 심벌들을 추가 처리할 수 있다. 그 다음, TX MIMO 프로세서(1020)는 N T 개의 변조 심벌 스트림들을 N T 개의 송신기들(TMTR; 1022a-1022t)에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TX MIMO 프로세서(1020)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벌들 및 안테나에 빔 형성 가중치들을 적용하는데, 이 안테나로부터 심벌이 전송되고 있다.
각각의 송신기(1022)는 각각의 심벌 스트림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며, 아날로그 신호들을 추가 조정(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상향 변환)하여 MIMO 채널을 통한 송신에 적합한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송신기들(1022a-1022t)로부터의 N T 개의 변조된 신호들은 N T 개의 안테나들(1024a-1024t)로부터 각각 전송된다.
모바일 디바이스(1050)에서, 전송된 변조 신호들은 N R 개의 안테나들(1052a-10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1052)로부터의 수신 신호는 각각의 수신기(RCVR; 1054a-1054r)에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1054)는 각각의 신호를 조정(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하향 변환)하고, 조정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제공하며, 샘플들을 추가 처리하여 대응하는 "수신" 심벌 스트림을 제공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060)는 특정 수신기 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N R 개의 수신기들(1054)로부터 N R 개의 수신 심벌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N T 개의 "검출된" 심벌 스트림들을 제공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060)는 각각의 검출된 심벌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하여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RX 데이터 프로세서(1060)에 의한 처리는 기지국(1010)에서의 TX MIMO 프로세서(10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1014)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와 상보적이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통신 링크 및/또는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다양한 타입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데이터 소스(1036)로부터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도 또한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1038)에 의해 처리되고, 변조기(1080)에 의해 변조되고, 송신기들(1054a-1054r)에 의해 조정되어, 다시 기지국(10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10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050)에 의해 전송된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050)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이 안테나들(10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1022)에 의해 조정되며, 복조기(1040)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1042)에 의해 처리된다. 또한, 프로세서(1030)는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하여, 빔 형성 가중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어떤 프리코딩 행렬을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1030, 1070)은 각각 기지국(1010) 및 모바일 디바이스(1050)에서의 동작을 지시(direct)(예를 들어, 제어, 조정, 관리 등)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세서들(1030, 1070)은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032, 1072)와 연관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1030, 1070)은 디바이스(1050)의 업링크 통신들 및/또는 그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디바이스(1050) 통신들을 핸드오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은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며 본 명세서의 사상들이 구현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1100)을 나타낸다. 시스템(1100)은 예를 들어, 매크로 셀(1102A - 1102G)과 같은 다수의 셀들(1102)에 대한 통신을 제공하는데, 각각의 셀은 대응하는 액세스 노드(1104)(예를 들어, 액세스 노드(1104A - 1104G))에 의해 서비스된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액세스 단말들(1106)(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들(1106A - 1106L))은 시간에 따라 시스템 전역의 다양한 위치들에 분산될 수 있다. 각각의 액세스 단말(1106)은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106)이 액티브 상태인지 여부 그리고 액세스 단말(1106)이 소프트 핸드오프 중인지 여부에 따라, 주어진 순간에 순방향 링크(FL) 및/또는 역방향 링크(RL)를 통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액세스 노드들(1104)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100)은 넓은 지리적 영역에 걸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네트워크 환경 내에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펨토 노드들이 전개되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1200)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시스템(1200)은 비교적 작은 스케일의 네트워크 환경에(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사용자 거주지들(1230)에) 설치된 다수의 펨토 노드들(1210A, 1210B)(예를 들어, 펨토 셀 노드들 또는 H(e)NB)을 포함한다. 각각의 펨토 노드(1210)는 (도시되지 않은)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라우터, 케이블 모뎀, 무선 링크 또는 다른 접속 수단을 통해 광역 네트워크(1240)(예를 들어, 인터넷) 및 모바일 운영자 코어 네트워크(1250)에 연결될 수 있다. 뒤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펨토 노드(1210)는 연관된 액세스 단말들(1220)(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220A)) 및 선택적으로 외부(alien) 액세스 단말들(1220)(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220B))을 서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주어진 액세스 단말(1220)은 한 세트의 지정된(예를 들어, 홈) 펨토 노드(들)(1210)에 의해 서빙될 수 있지만 지정되지 않은 임의의 펨토 노드들(1210)(예를 들어, 이웃의 펨토 노드)에 의해서는 서빙되지 않을 수도 있도록 펨토 노드들(1210)에 대한 액세스가 제한될 수 있다.
도 13은 여러 개의 트래킹 영역들(1302)(또는 라우팅 영역들이나 위치 영역들)이 정의되는 커버리지 맵(1300)의 일례를 나타내는데, 이러한 영역들 각각은 여러 개의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들(1304)을 포함한다. 여기서, 트래킹 영역들(1302A, 1302B, 1302C)과 연관된 커버리지의 영역들은 굵은 선들로 그려지고,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들(1304)은 육각형들로 표현된다. 트래킹 영역들(1302)은 또한 펨토 커버리지 영역들(1306)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펨토 커버리지 영역들(1306) 각각(예를 들어, 펨토 커버리지 영역(1306C))은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1304)(예를 들어,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1304B)) 내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펨토 커버리지 영역(1306)은 완전히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1304) 내에 있지 않을 수도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실제로, 상당수의 펨토 커버리지 영역들(1306)이 주어진 트래킹 영역(1302) 또는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1304)에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피코 커버리지 영역들이 주어진 트래킹 영역(1302) 또는 매크로 커버리지 영역(1304) 내에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펨토 노드(1210)의 소유자가 모바일 운영자 코어 네트워크(1250)를 통해 제공되는, 예를 들어 3G 모바일 서비스와 같은 모바일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단말(1220)은 매크로 환경들 및 더 작은 스케일(예를 들어, 거주지)의 네트워크 환경들에서 모두 작동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액세스 단말(1220)의 현재 위치에 따라, 액세스 단말(1220)은 액세스 노드(1260)에 의해 또는 한 세트의 펨토 노드들(1210)(예를 들어, 대응하는 사용자 거주지(1230) 내에 상주하는 펨토 노드들(1210A, 1210B)) 중 임의의 펨토 노드에 의해 서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입자가 자신의 집 외부에 있을 때, 가입자는 표준 매크로 셀 액세스 노드(예를 들어, 노드(1260))에 의해 서빙되고, 가입자가 집에 있을 때, 가입자는 펨토 노드(예를 들어, 노드(1210A))에 의해 서빙된다. 여기서, 펨토 노드(1210)는 기존 액세스 단말들(1220)과 하위 호환(backward compatible) 가능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펨토 노드(1210)는 단일 주파수 상에 또는 대안으로 다수의 주파수들 상에 전개될 수 있다. 특정 구성에 따라, 단일 주파수 또는 다수의 주파수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주파수가 매크로 셀 액세스 노드(예를 들어, 노드(1260))에 의해 사용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주파수들과 중첩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액세스 단말(1220)은 우선적인 펨토 노드(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220)의 홈 펨토 노드)로의 접속이 가능할 때마다 이러한 접속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1220)이 사용자의 거주지(1230) 내에 있을 때마다, 액세스 단말(1220)은 홈 펨토 노드(1210)와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액세스 단말(1220)이 모바일 운영자 코어 네트워크(1250) 내에서 작동하지만 (예를 들어, 우선적인 로밍 리스트에 정의된 것과 같은) 자신의 최우선 네트워크에 상주하고 있지 않다면, 액세스 단말(1220)은 더 나은 시스템 재선택(BSR: Better System Reselection)을 이용하여 계속해서 최우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펨토 노드(1210))를 탐색할 수 있으며, 이는 더 나은 시스템들이 현재 이용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이용 가능한 시스템들의 주기적 스캔, 및 이러한 우선적인 시스템들에 연관시키기 위한 차후의 노력들을 수반할 수 있다. 일례로, (예를 들어, 우선적인 로밍 리스트에서) 포착 테이블 엔트리를 사용하여, 액세스 단말(1220)은 특정 대역 및 채널의 탐색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우선 시스템의 탐색은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펨토 노드(1210)와 같은 우선적인 펨토 노드의 발견시, 액세스 단말(1220)은 우선적인 펨토 노드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캠핑(camping)하기 위해 펨토 노드(1210)를 선택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펨토 노드는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어진 펨토 노드는 특정 액세스 단말들에 대해서만 특정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소위 제한적(또는 폐쇄적) 연관성을 갖는 전개들에서, 주어진 액세스 단말은 매크로 셀 모바일 네트워크 및 정의된 한 세트의 펨토 노드들(예를 들어, 대응하는 사용자 거주지(1230) 내에 상주하는 펨토 노드들(1210))에 의해서만 서빙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펨토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단말에 대해, 시그널링, 데이터 액세스, 등록, 페이징 또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지 않도록 제한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폐쇄형 가입자 그룹 H(e)NB로도 또한 지칭될 수 있는) 제한적 펨토 노드는 제한적으로 제공되는 한 세트의 액세스 단말들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펨토 노드이다. 이 세트는 필요에 따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폐쇄형 가입자 그룹(CSG)은 액세스 단말들의 공통 액세스 제어 리스트를 공유하는 액세스 노드들(예를 들어, 펨토 노드들)의 세트로서 정의될 수 있다. 영역 내의 모든 펨토 노드들(또는 모든 제한적 펨토 노드들)이 작동하는 채널은 펨토 채널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펨토 노드와 주어진 액세스 단말 사이에 다양한 관계들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단말의 관점에서, 개방형 펨토 노드는 제한적 연관성이 없는 펨토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제한적 펨토 노드는 어떤 방식으로 제한되는(예를 들어, 연관 및/또는 등록이 제한되는) 펨토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홈 펨토 노드는 액세스 단말에 액세스 및 작동에 대한 권한이 부여되는 펨토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게스트 펨토 노드는 액세스 단말에 액세스 또는 작동에 대한 권한이 일시적으로 부여되는 펨토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외부 펨토 노드는 가능하다면 긴급 상황들(예를 들어, 911 전화들)을 제외하고, 액세스 단말에 액세스 또는 작동에 대한 권한이 부여되지 않는 펨토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제한적 펨토 노드의 관점에서, 홈 액세스 단말은 제한적 펨토 노드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부여된 액세스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게스트 액세스 단말은 제한적 펨토 노드에 임시 액세스하는 액세스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외부 액세스 단말은 가능하다면 긴급 상황들, 예를 들어, 911 전화들을 제외하고, 제한적 펨토 노드에 대한 액세스 허가를 받지 않은 액세스 단말(예를 들어, 제한적 펨토 노드에 등록하기 위한 자격 증명들이나 허가를 받지 않은 액세스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편의상, 본 명세서의 개시는 펨토 노드와 관련하여 다양한 기능을 설명한다. 그러나 더 큰 커버리지 영역을 제외하고는, 피코 노드가 펨토 노드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주어진 액세스 단말에 대해 홈 피코 노드가 정의될 수 있고, 피코 노드가 제한될 수 있는 식이다.
무선 다중 액세스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무선 액세스 단말들에 대한 통신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각의 단말은 순방향 및 역방향 링크들 상의 송신들을 통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순방향 링크(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들로부터 단말들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하고, 역방향 링크(또는 업링크)는 단말들로부터 기지국들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한다. 이러한 통신 링크는 단일 입력 단일 출력 시스템, MIMO 시스템, 또는 다른 어떤 타입의 시스템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로직 블록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위에서 설명된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양상들에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도 있다. 추가로,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에서, 설명된 기능들, 방법들 또는 알고리즘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이 기능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 통합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 또는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들은 보통 데이터를 레이저들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상기의 개시는 예시적인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을 논의하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설명된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더욱이, 설명된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엘리먼트들은 단수로 설명 또는 청구될 수 있지만, 단수로의 한정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다수가 고려된다. 추가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임의의 양상 및/또는 실시예의 일부 또는 전부가 임의의 다른 양상 및/또는 실시예의 일부 또는 전부와 함께 이용될 수도 있다.

Claims (40)

  1.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다수의 송신 전력 보고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다수의 송신 전력 보고들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도달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송신 전력 보고들을 전송하도록 상기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의 업링크 통신들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전력 제어 명령들의 파라미터들, 프레임 에러 레이트 또는 세트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스루풋, 업링크 버퍼 크기, 수신된 파일럿 신호의 세기, 또는 경로 손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과 성능 임계값과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기초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업링크 로딩 또는 잡음 증가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또는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동작한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핸드오버를 위해 상기 측정 보고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
  9.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임계값과 비교하고; 그리고
    상기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다수의 송신 전력 보고들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은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다수의 송신 전력 보고들의 결정된 개수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도달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송신 전력 보고들을 전송하도록 상기 디바이스를 구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디바이스의 업링크 통신들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전력 제어 명령들의 파라미터들, 프레임 에러 레이트 또는 세트포인트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 스루풋, 업링크 버퍼 크기, 수신된 파일럿 신호의 세기, 또는 경로 손실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과 성능 임계값과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업링크 로딩 또는 잡음 증가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또는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동작한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핸드오버를 위해 상기 측정 보고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17.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임계값과 비교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다수의 송신 전력 보고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다수의 송신 전력 보고들의 수로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도달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송신 전력 보고들을 전송하도록 상기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디바이스의 업링크 통신들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전력 제어 명령들의 파라미터들, 프레임 에러 레이트 또는 세트포인트로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 스루풋, 업링크 버퍼 크기, 수신된 파일럿 신호의 세기 또는 경로 손실로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을 더 수신하고,
    상기 비교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을 성능 임계값과 비교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업링크 로딩 또는 잡음 증가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또는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동작한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25.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임계값과 비교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다수의 송신 전력 보고들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은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다수의 송신 전력 보고들의 결정된 개수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도달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송신 전력 보고들을 전송하도록 상기 디바이스를 구성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디바이스의 업링크 통신들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전력 제어 명령들의 파라미터들, 프레임 에러 레이트 또는 세트포인트로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 스루풋, 업링크 버퍼 크기, 수신된 파일럿 신호의 세기, 또는 경로 손실에 대응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0.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수행하게 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과 성능 임계값과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업링크 로딩 또는 잡음 증가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측정 보고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또는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동작한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핸드오버를 위해 상기 측정 보고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3.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기 위한 통신 파라미터 컴포넌트;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임계값과 비교하기 위한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 및
    상기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핸드오버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파라미터 컴포넌트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다수의 송신 전력 보고들을 수신하기 위한 전력 보고 수신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일정 기간의 시간 동안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다수의 송신 전력 보고들의 수로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결정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파라미터 컴포넌트는 상기 디바이스의 송신 전력에 도달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송신 전력 보고들을 전송하도록 상기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전력 보고 구성 컴포넌트를 더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파라미터 컴포넌트는 상기 디바이스의 업링크 통신들과 관련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전력 제어 명령들의 파라미터들, 프레임 에러 레이트 또는 세트포인트로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 계산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파라미터 컴포넌트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업링크 스루풋, 업링크 버퍼 크기, 수신된 파일럿 신호의 세기, 또는 경로 손실로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기 위한 파라미터 수신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38.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파라미터 컴포넌트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기 위한 파라미터 수신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오버 결정 컴포넌트는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을 성능 임계값과 추가로 비교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성능 파라미터들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업링크 로딩 또는 잡음 증가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40.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컴포넌트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또는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여 동작한다는 결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
KR1020137004726A 2010-07-26 2011-07-26 펨토 셀 전개들에서 업링크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510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778210P 2010-07-26 2010-07-26
US61/367,782 2010-07-26
US13/190,282 2011-07-25
US13/190,282 US9661545B2 (en) 2010-07-26 2011-07-25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of device to mitigate uplink interference in femtocell deployments
PCT/US2011/045426 WO2012018646A1 (en) 2010-07-26 2011-07-26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of device to mitigate uplink interference in femtocell deploy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972A true KR20130041972A (ko) 2013-04-25
KR101510762B1 KR101510762B1 (ko) 2015-04-10

Family

ID=44534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726A KR101510762B1 (ko) 2010-07-26 2011-07-26 펨토 셀 전개들에서 업링크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61545B2 (ko)
EP (1) EP2599347B1 (ko)
JP (1) JP5680753B2 (ko)
KR (1) KR101510762B1 (ko)
CN (1) CN103026757B (ko)
AR (1) AR082351A1 (ko)
TW (1) TW201210364A (ko)
WO (1) WO20120186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2930B1 (en) * 2010-09-13 2015-05-26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forward link transmission power
US9008015B2 (en) * 2011-03-11 2015-04-14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assisted reverse link interference management
JP5902817B2 (ja) 2011-09-30 2016-04-13 京セラ株式会社 小セルの上りリンクの干渉を緩和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EP2795964B1 (en) * 2011-12-19 2019-0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and method in a network node
JP5793252B2 (ja) * 2011-12-20 2015-10-14 京セラ株式会社 小セル上りリンク干渉軽減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30237233A1 (en) * 2012-03-08 2013-09-1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offloading devices in femtocell coverage
US10039116B1 (en) 2012-04-02 2018-07-3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Long term evolution scheduler to mitigate interference
US9553680B1 (en) 2012-04-02 2017-01-24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Uplink interference mitigation
GB2494754B (en) * 2012-07-30 2013-09-04 Renesas Mobile Corp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CN103596216B (zh) * 2012-08-17 2017-01-18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小区容量可提升能力的确定方法及装置
US8537715B1 (en) * 2012-10-30 2013-09-17 Aruba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 failover and network selection with multi-mode modem in remote access points
US20140247733A1 (en) * 2013-03-04 2014-09-04 Qualcomm Incorporated Buffer size reporting for irat measurements in high speed data networks
US20150119046A1 (en) * 2013-10-29 2015-04-30 Qualcomm Incorporated Backhaul management of a small cell
US9913191B2 (en) * 2013-12-20 2018-03-06 Intel IP Corporatio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early handover using uplink channel characteristics
US9674755B2 (en) 2014-01-15 2017-06-06 Qualcomm Incorporated Intra and inter-frequency handover in LTE with uplink and downlink metrics
JP6497726B2 (ja) * 2014-03-14 2019-04-10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基地局、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357458B2 (en) * 2014-04-30 2016-05-31 Aruba Networks, Inc. Distributed method for client optimization
EP3143803B1 (en) * 2014-05-16 2018-07-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nodes of a wireless network for deciding on switching off of a network node
US9974086B2 (en) * 2015-06-26 2018-05-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used in control node and radio node and associated devices
CN105357727B (zh) * 2015-10-16 2017-10-24 深圳市安拓浦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网络和局域网络自动切换方法
US10560978B2 (en) * 2016-02-04 2020-02-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 plane connectivity for wireless devices
WO2018032483A1 (en) * 2016-08-19 2018-0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measurement based mobility management
WO2018053753A1 (zh) * 2016-09-22 2018-03-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切换的方法和设备
US11606158B2 (en) 2017-01-19 2023-03-14 Qualcomm Incorporated Event triggering and reporting with multiple reference signals
CN111034317B (zh) * 2017-08-07 2023-08-11 Lg电子株式会社 在支持免授权频带的无线通信系统中在终端和基站之间发送/接收信号的方法以及支持该方法的装置
CN111246531B (zh) * 2018-11-28 2021-11-30 中国移动通信集团浙江有限公司 切换方法和基站
US11129073B2 (en) 2020-02-18 2021-09-2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communication handover responsive to uplink interference at a serving cell
US11356911B1 (en) 2020-08-10 2022-06-07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communication handover control based on user equipment (UE) throughput
US11917554B2 (en) * 2021-03-09 2024-02-27 Juniper Networks, Inc. Orientation based transmission pow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7630A (ja) 2001-02-20 2002-08-30 Nec Corp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の輻輳制御方式
US6615044B2 (en) 2001-06-06 2003-09-02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of WCDMA coverage based handover triggering
CN101695185B (zh) 2003-06-12 2013-10-16 富士通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和无线通信系统
EP1648100A4 (en) * 2003-07-18 2012-01-18 Nec Corp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TRAILING OF EMISSION POWER CONTROL
US7778657B2 (en) * 2006-03-28 2010-08-17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perform power control in a wireless network
DE102006036006A1 (de) * 2006-08-02 2008-02-07 Schaeffler Kg Abgedichtetes Wälzlager
US20090023448A1 (en) * 2007-02-21 2009-01-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system handover
JP2008211645A (ja) 2007-02-27 2008-09-11 Kyocera Corp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基地局
WO2008147268A1 (en) 2007-05-31 2008-12-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rference avoidance in a wcdma system
US9066306B2 (en) * 2007-09-21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utilizing power control
GB2462587B (en) 2008-08-01 2013-01-02 Vodafone Plc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8515353B2 (en) 2008-09-29 2013-08-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radio base st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US8180368B2 (en) * 2008-11-11 2012-05-15 Trueposition, Inc. Femto-cell location by direct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10364A (en) 2012-03-01
CN103026757B (zh) 2016-05-11
EP2599347A1 (en) 2013-06-05
JP5680753B2 (ja) 2015-03-04
US20120021788A1 (en) 2012-01-26
US9661545B2 (en) 2017-05-23
WO2012018646A1 (en) 2012-02-09
KR101510762B1 (ko) 2015-04-10
AR082351A1 (es) 2012-11-28
JP2013538490A (ja) 2013-10-10
CN103026757A (zh) 2013-04-03
EP2599347B1 (en)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762B1 (ko) 펨토 셀 전개들에서 업링크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97064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femtocell deployments
US88861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ells in the presence of interference
US8903413B2 (en) Hybrid cell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US86003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tra closed subscriber group handover
US886214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ployment and control of small cells
US919813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ployment and control of base stations
US90655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rise-over-thermal threshold
US90087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a rise-over-thermal or noise rise threshold
KR20150130505A (ko) 소형 셀들에서의 동적 전력 조절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25891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femtocell deployments
KR20130033477A (ko) 무선 통신들에서의 디바이스 전송 전력 캐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40821A (ko) 기지국들의 계획되지 않은 전개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