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956A - Variable dimension palette - Google Patents

Variable dimension palet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956A
KR20130041956A KR1020137004328A KR20137004328A KR20130041956A KR 20130041956 A KR20130041956 A KR 20130041956A KR 1020137004328 A KR1020137004328 A KR 1020137004328A KR 20137004328 A KR20137004328 A KR 20137004328A KR 20130041956 A KR20130041956 A KR 20130041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board
base
deck
board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아키라 시오지마
Original Assignee
시오지마콘포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오지마콘포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오지마콘포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1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9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53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77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 B65D19/0089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93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 B65D19/0095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and each contact surface having a stringer-lik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53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77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 B65D19/0089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3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by means of additional elements, e.g. mod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29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49Materials for the base surface
    • B65D2519/00064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119Material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ements
    • B65D2519/00129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63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 B65D2519/00273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made of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8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29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made of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8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29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skelet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1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 B65D2519/0032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made of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1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 B65D2519/00328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shap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base
    • B65D2519/0033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shap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base contact surface having a stringer-lik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98Overall construction reinforcements
    • B65D2519/00432Non-integral, e.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57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 B65D2519/0056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chemical connection, e.g. glued, welded, sea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7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 separate auxiliary element, e.g. screws, nails, bayo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741Dimensional aspects of the pallet
    • B65D2519/00761Dimensional aspects of the pallet the surface being variable, e.g. extendable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65Collapsible, i.e. at least two constitutive elements remaining hinged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98Dismountab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싣는 면의 크기를 변경해도 짐을 실을 수 없는 데드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가 있는 치수 가변 팔레트를 제공한다. 복수의 데크 보드(10)를 병렬로 배치하여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싣는 면(R)을 가지는 데크 보드 유닛(1)과, 데크 보드 유닛(1)이 탑재되고 마루면에 놓이는 베이스 유닛(5)을 구비한 치수 가변 팔레트(P)로서, 데크 보드 유닛(1)은, 데크 보드(10)의 이면을 지지함과 아울러, Y 방향으로 신축하는 팬터그래프 기구(20)를 가지고, 팬터그래프 기구(20)를 신축시킴으로써, 각 데크 보드(10)의 방향을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Y 방향으로 데크 보드(10)를 이동시켜 인접하는 데크 보드(10)끼리의 간격을 바꾸어 싣는 면(R)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Provides a dimensional variable pallet that can reduce the dead space that cannot be loaded even if the size of the loading surface is changed. A deck board unit 1 having a rectangular loading surface R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deck boards 10 in parallel, and a base unit 5 on which the deck board unit 1 is mounted and placed on a floor surface. As one dimension variable pallet P, the deck board unit 1 has the pantograph mechanism 20 which supports the back surface of the deck board 10, and expands and contracts in a Y direction, and expands and contracts the pantograph mechanism 20. By moving the deck board 10 in the Y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s of the respective deck boards 10 are aligned, the size of the surface R on which the adjacent deck boards 10 are changed can be changed. It is supposed to be.

Description

치수 가변 팔레트{VARIABLE DIMENSION PALETTE}Dimensional variable palette {VARIABLE DIMENSION PALETTE}

본 발명은 치수 가변 팔레트(palette)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짐의 크기에 따라 싣는 면적을 조정할 수 있는 치수 가변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mensional variable pallet, and, for example, to a dimensional variable pallet capable of adjusting the loading area according to the size of a load.

종래부터, 짐의 크기에 따라 싣는 면의 크기(면적)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치수 가변 팔레트가 알려져 있고, 특허문헌 1에 그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dimensional variable pallet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size (area) of a surface to be load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a load is known, and its configuration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여기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치수 가변 팔레트에 대해서 도 2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Here, the dimension variable pallet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demonstrated based on FIG.

도시하듯이, 치수 가변 팔레트(200)는, 양단부의 이면에 횡목(216)을 부착한 복수의 판재(210)를 Y축 방향으로 평행하게 늘어놓고, 각 판재(210)의 사이에, 마찬가지로 양단부의 이면에 횡목(216)을 부착한 판재를 긴 방향(X축 방향)의 도중에서 2분할한 분할 판재(211a, 211b)를 개재시키고, 서로 이웃하는 판재(210)와 분할 판재(211a, 211b)를 각각 「く자상」의 링크 기구(212)에 의해 결합하여 종횡 방향(XY 방향)으로 변위가 자유롭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the dimensional variable pallet 200 arranges the several board | plate material 210 which attached the lumber 216 to the back surface of both ends in parallel in the Y-axis direction, and similarly between each board | plate material 210 between both ends The plate member 211a and 211b which divided the board | plate material which attached the board | substrate 216 to the back surface of 2 in the middl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direction) through the board | plate material 210 and the board | plate board 211a and 211b which adjoin each other. ) Is coupled to each other by a link mechanism 212 having a " shaped " shape, so that the displacement can be fre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XY directions).

또한, 「く자상」의 링크 기구(212)는 판재(210) 및 분할 판재(211a, 211b)의 X축 방향으로 소요 간격을 띄운 복수 개소에 부착되고, 서로 이웃하는 판재(210)와 분할 판재(211a, 211b)를 각각 결합하여 일체화시키고 있다.In addition, the link mechanism 212 of a "shaped" is attached to the several places which spaced apart the board | plate material 210 and the division board 211a, 211b by the required space | interval in the X-axis direction, and adjoins the board | plate material 210 and divided board material which adjoin each other. 211a and 211b are combined and integrated,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링크 기구(212)에 의해, 중앙에 배치된 판재(210)를 중심으로 하여, 양 겨드랑이의 판재(210)가 Y축 방향으로, 분할 판재(211a, 211b)가 X축 방향으로 각각 상대 변위가 자유롭게 동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And by the said link mechanism 212, the board | plate material 210 of both axles is centered on the board | plate material 210 arrange | positioned at the center, and the divided board | plate material 211a, 211b is the X-axis direction, respectively. The relative displacement can operate freely.

또, 치수 가변 팔레트(200)의 이면에는 미끄럼 접합 가능하게 인접된 내측 가로대(219)와 외측 가로대(220)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가로대(218)가 Y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pair of crossbars 218 which consists of the inner side crosspiece 219 and the outer side crosspiece 220 which adjoined so that sliding can be arrange |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variable-size pallet 200 is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with a Y direction.

또, 내측 가로대(219) 및 외측 가로대(220)에는 그 긴 방향으로 복수의 볼트공이 설치되고, 내측 가로대(219)의 임의의 볼트공과, 외측 가로대(220)의 임의의 볼트공에 볼트를 삽통하여 너트로 단단히 조임으로써 내측 가로대(219)와 외측 가로대(220)를 일체화시킬 수가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bolt holes are provided in the inner side rails 219 and the outer side rails 2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bolts are inserted into arbitrary bolt holes of the inner side rails 219 and arbitrary bolt holes of the outer side rails 220. The inner crosspiece 219 and the outer crosspiece 220 can be integrated by tightly tightening with a nut.

그리고, 판재(210)와 분할 판재(211a, 211b)를 신장(혹은 축소)시켰을 때에 내측 가로대(219)와 외측 가로대(220)의 임의의 볼트공에 볼트를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판재(210)와 분할 판재(211a, 211b)를 신장시킨 자세(혹은 축소시킨 자세)로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n, when the plate member 210 and the divided plate members 211a and 211b are elongated (or reduced), the plate member 21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an arbitrary bolt hole of the inner cross member 219 and the outer cross member 220. And the divided plate members 211a and 211b can be fixed in an elongated posture (or a reduced postur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치수 가변 팔레트(200)에 의하면, 짐의 크기에 따라 싣는 면의 크기를 조절할 수가 있고, 창고나 트럭의 짐받이 등의 공간에 효율 좋게 배치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치수 가변 팔레트(200)를 이용함으로써, 물류 공정의 에너지 절약화를 실현할 수가 있다(배송 횟수를 감소시켜 물류 비용(연료비나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dimensional variable pallet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ize of the surface to be loade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oad, and can be efficiently disposed in a space such as a warehouse or a truck rack. As a result, by using the dimensional variable pallet 200, energy saving of the logistics process can be realized (reduction of the number of times of delivery can reduce logistics costs (costs such as fuel costs and labor costs)).

또, 치수 가변 팔레트(200)에 의하면, 싣는 면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짐의 크기마다 팔레트를 준비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팔레트의 재사용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자원 절약화를 실현할 수가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e dimensional variable pallet 200, since the size of the loading surface can be changed (it is not necessary to prepare a pallet for each baggage size), the pallet can be reused efficiently (reduce resource savings). Number).

일본 특허공개 1996-217071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1996-217071

그렇지만, 상술한 종래 기술의 치수 가변 팔레트(도 28 참조)는 이하에 나타내는 기술적 과제를 가지고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imensional variable palette (refer FIG. 28) has the technical subject shown below.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치수 가변 팔레트(200)는, X 방향에 대해서, 판재(210)의 측면에 배치된 분할 판재(211a, 211b)만이 변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dimension variable pallet 200 of 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is comprised so that only the divided board materials 211a and 211b arrange | positioned at the side surface of the board | plate material 210 may be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X direction.

그 때문에, 도 28 (b)에 나타내듯이, 치수 가변 팔레트(200)는, 싣는 면을 확대한 경우에, 판재(200)에 대해서 분할 판재(211a, 211b)의 단부가 돌출한 상태로 되고(도시하는 좌우의 연변부(緣邊部)가 요철 형상으로 되고), 돌출한 분할 판재(211a, 211b)의 단부(도 중의 파선 W로 나타내는 영역)의 강성을 확보할 수 없다고 하는 기술적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28 (b), when the mounting surface is enlarged, the end portions of the divided plate members 211a and 211b protrude from the plate member 200 (see FIG. 28B). There was a technical problem that rigidity of the left and right edge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shown in the figure was uneven, and the rigidity of the end portions (regions indicated by broken lines W in the figure) of the divided plate members 211a and 211b that protruded could not be secured. .

그 결과, 치수 가변 팔레트(200)에서는, 싣는 면을 확대한 경우에 분할 판재(211a, 211b)의 단부(파선 W로 나타내는 영역)에 중량이 큰 짐을 실을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As a result, in the dimension-variable pallet 200, when the loading surface was enlarged, the heavy load could not be loaded in the edge part (the area | region shown with the broken line W) of the division board materials 211a and 211b.

또, 치수 가변 팔레트(200)에서는, 싣는 면을 확대시킨 상태(도 28 (b)에 나타내는 상태)로 하여, 소형의 짐을 다수 실으려고 해도, 상기 파선 W로 나타내는 영역에 짐을 실을 수 없었다.In addition, in the dimensional variable pallet 200, even if it tried to load many small loads in the state which expanded the loading surface (state shown in FIG.28 (b)), it was not able to load in the area | region shown by the said broken line W. As shown in FIG.

즉, 상기 치수 가변 팔레트(200)는, 싣는 면을 확대해도, 짐을 둘 수 없는 소위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나와 버려, 싣는 면의 유효 활용을 할 수 없었다.That is, even if the mounting surface is enlarged, the so-called dead space which cannot hold | maintains the load, and the loading surface could not be utilized effectively.

또, 상술한 치수 가변 팔레트(200)는, 싣는 면의 크기를 조정하는 경우에, 링크 기구(212)를 움직여 싣는 면의 크기를 변경한 후, 판재(210) 및 분할 판재(211a, 211b)의 이면에 설치된 가로대(218)(내측 가로대(219) 및 외측 가로대(220))의 볼트공에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하는 작업(이하, 「잠금 작업」이라고 한다)을 행할 필요가 있어, 그 수고가 귀찮음과 아울러, 조절 작업에 장시간이 걸려 사용 형편이 나빴다.In addition, in the dimension variable pallet 200 mentioned above, when adjusting the magnitude | size of a loading surface, after changing the size of the mounting surface by moving the link mechanism 212, the board | plate material 210 and the partition board 211a, 211b.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work of inserting and fastening a bolt into the bolt hole of the crossbar 218 (inner crossbar 219 and the outer crosspiece 220)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ross s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locking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inconvenience, the adjustment work took a long time, and the use was bad.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짐을 실어놓는 싣는 면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치수 가변 팔레트로서, 싣는 면의 크기를 변경해도, 짐을 실을 수 없는 데드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가 있는 치수 가변 팔레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mensional variable pallet that can change the size of a loading surface on which a load is loaded, and even if the size of the loading surface is changed, a dead space cannot be load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mensional variable palette capable of making the size small.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태양은, 복수의 판상의 데크 보드(deck board)를 병렬로 배치하여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싣는 면을 가지는 데크 보드 유닛과, 당해 데크 보드 유닛이 탑재되고 마루면에 놓이는 베이스 유닛(base unit)을 구비한 치수 가변 팔레트로서, 상기 데크 보드 유닛은, 상기 데크 보드를 지지하는 링크 기구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복수의 데크 보드 중 적어도 양단에 배치된 데크 보드를 고정하여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데크 보드의 짧은 방향으로 왕복 동작 가능한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링크 기구는, 복수의 판상 혹은 봉상의 암을 추축(樞軸)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링크 기구의 교차각을 바꿈으로써, 각 데크 보드의 방향을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상기 짧은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데크 보드 및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켜 인접하는 당해 데크 보드끼리의 간격을 바꾸어 상기 싣는 면의 크기의 변경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deck board unit having a rectangular mounting surfac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plate deck boards in parallel, and the deck board unit is mounted on the floor A dimensionally variable pallet having a base unit placed on a surface, wherein the deck board unit has a link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deck board, and the base unit is disposed at at leas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deck boards. The deck mechanism is fixed and supported, and has a support portion capable of reciprocating in a short direction of the deck board. The link mechanism is configured to rotatably connect a plurality of plate- or rod-shaped arms by an axis pin. And parallelizing the short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each deck board is aligned by changing the crossing angle of the link mechanism. The deck board and the support portion can be moved to change the size of the mounting surface by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deck board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태양의 치수 가변 팔레트는, 상기 링크 기구의 교차각을 바꿈으로써, 각 데크 보드의 방향을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상기 짧은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데크 보드 및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켜 인접하는 당해 데크 보드끼리의 간격을 바꾸어 상기 싣는 면의 크기의 변경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us, in the dimension variable pallet of the 1st aspect of this invention, the said deck board and the said support part are parallel with the said short direction in the state which aligned the direction of each deck board by changing the crossing angle of the said link mechanism. By moving and changing the space | interval of the said adjacent deck boards, it becomes possible to change the magnitude | size of the said mounting surface.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종래 기술(도 28 (b) 참조)과 같이 싣는 면의 크기를 바꾸어도 연변부가 요철 형상으로 되는 경우가 없고, 싣는 면을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유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싣는 면에 큰 데드 스페이스가 형성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싣는 면을 유효 활용할 수 있는 치수 가변 팔레트를 제공할 수가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ize of the surface to be loaded is changed as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see FIG. 28 (b)), the edge portion does not become uneven, and the surface to be loaded can be maintain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 Since a large dead space is not formed in a surface), a dimension-variable pallet which can utilize the surface to be loaded effectively can be provided.

또, 상기 링크 기구의 추축핀을 지지하는 제1잭(jack) 기구를 가지고, 상기 제1잭 기구는, 상기 지지하는 추축핀을 이동시키고, 당해 링크 기구의 교차 각도를 가변하여 상기 데크 보드 및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the said 1st jack mechanism has a 1st jack mechanism which supports the axial pin of the said link mechanism, The said 1st jack mechanism moves the said supporting axial pin, and changes the crossing angle of the said link mechanism, the said deck board and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said support par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태양에서는, 제1잭 기구(예를 들면, 나사식 잭이나 유압식 잭에 의해 구성된다)에 의해 링크 기구의 교차각을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제1잭 기구를 조작함으로써 링크 기구가 지지하고 있는 데크 보드를 이동시킬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rossing angle of the link mechanism can be changed by the first jack mechanism (for example, composed of a screw jack or a hydraulic jack), the first jack mechanism is operated. By doing this, the deck board supported by the link mechanism can be moved.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잭 기구에 의해 데크 보드(10)를 이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밀리미터 단위」에서의 데크 보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싣는 면의 크기의 설정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가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ck board 10 is moved by the first jack mechanism, the deck board can be moved in "millimeter units", and the size of the mounting surface can be set with high precision. have.

또, 제1태양에서는, 제1잭 기구에 의해 데크 보드를 이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데크 보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노력이 경감된다.In the first aspect, since the deck board is moved by the first jack mechanism, efforts to move the deck board are reduced.

또, 제1잭 기구에 의해 데크 보드를 이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데크 보드의 싣는 면에 짐을 실은 상태인 채로, 제1잭 기구를 조작하고 싣는 면의 크기를 미조정할 수가 있다(실은 짐을 치우지 않아도 미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부담이 경감된다).In addition, since the deck board is moved by the first jack mechanism, the siz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jack mechanism is operated and loaded can be finely adjusted while the load surface of the deck board is loaded. Because the adjustment can be made, the work load is reduced).

또, 제1잭 기구에 의하면, 데크 보드의 이동 동작과 고정 동작을 함께(같은 조작으로)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귀찮은 잠금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즉, 제1잭 기구를 조작하면, 링크 기구에 지지된 각 데크 보드를 짧은 방향으로 이동시켜 소망의 위치에 고정할 수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first jack mechanism, since the deck board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fixing operation (by the same operation), troublesome locking work as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s unnecessary. That is, when the first jack mechanism is operated, each deck board supported by the link mechanism can be moved in a short direction and fixed at a desired position.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2태양은, 복수의 판상의 데크 보드를 병렬로 배치하여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싣는 면을 가지는 데크 보드 유닛과, 당해 데크 보드 유닛이 탑재되고 마루면에 놓이는 베이스 유닛을 구비한 치수 가변 팔레트로서, 상기 데크 보드 유닛은, 상기 데크 보드를 지지함과 아울러, 당해 데크 보드의 짧은 방향으로 신축하는 팬터그래프(pantograph) 기구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복수의 데크 보드 중 적어도 양단에 배치된 데크 보드를 고정하여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데크 보드의 짧은 방향으로 왕복 동작 가능한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는, 복수의 판상 혹은 봉상의 암을 추축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를 신축시킴으로써, 각 데크 보드의 방향을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상기 짧은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데크 보드 및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켜 인접하는 당해 데크 보드끼리의 간격을 바꾸어 상기 싣는 면의 크기의 변경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Moreover, the 2nd aspect of this invention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is a deck board unit which has a rectangular mounting surface formed by arrange | positioning a plurality of plate-shaped deck boards in parallel, and the said deck board unit is mounted, and is provided in the floor surface. A dimensional variable pallet having a base unit to be laid, wherein the deck board unit has a pantograph mechanism that supports the deck board and expands and contracts in a short direction of the deck board, and the base unit includes the plurality of base units. While holding and supporting the deck boards arranged on at least both ends of the deck boards, the pantograph mechanism includes a plurality of plate-shaped or rod-shaped arms by axis pins. It is comprised by connecting rotatably, and expands and contracts the said pantograph mechanism, In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is aligned, the deck board and the support portion can be moved in parallel with the short direction to change the size of the mounting surface by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deck boards. Do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태양은, 데크 보드를 지지하는 팬터그래프 기구를 신축시킴으로써, 각 데크 보드의 방향을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데크 보드의 짧은 방향과 평행하게, 데크 보드 및 지지부를 이동시켜 인접하는 데크 보드끼리의 간격을 바꾸어 상기 싣는 면의 크기의 변경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us, the 2nd aspect of this invention expands and contracts the pantograph mechanism which supports a deck board, and moves the deck board and a support part in parallel with the short direction of the deck board in the state which aligned the direction of each deck board, and adjoins.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ize of the mounting surface by changing the spacing between deck boards.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제2태양에 의하면, 상기의 제1태양과 같이 싣는 면의 크기를 바꾸어도 연변부가 요철 형상으로 되는 경우가 없고, 싣는 면을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유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싣는 면을 유효 활용할 수 있는 치수 가변 팔레트를 제공할 수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ize of the surface to be loaded is chang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edge portion does not become uneven, and the surface to be loaded can be maintain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 surface to be loaded is effectively utiliz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ariable palette of dimensions.

또,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의 추축핀을 지지하는 제1잭 기구를 가지고, 상기 제1잭 기구는, 상기 지지하는 추축핀을 이동시키고, 당해 팬터그래프 기구의 교차 각도를 가변하여 당해 팬터그래프 기구를 상기 짧은 방향으로 신축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the said 1st jack mechanism has the 1st jack mechanism which supports the axis pin of the said pantograph mechanism, The said 1st jack mechanism moves the said support shaft pin, and changes the crossing angle of the said pantograph mechanism, and moves the said pantograph mechanism in the said short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expand and contract.

이와 같이 제2태양에서는, 제1잭 기구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제1태양과 같이 싣는 면의 크기의 설정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가 있다. 또, 데크 보드에 짐을 실은 상태인 채로 싣는 면의 크기를 미조정할 수가 있다. 또, 상술한 것처럼, 데크 보드의 이동 동작과 고정 동작을 함께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귀찮은 잠금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aspect, since the first jack mechanism is adopted, the size of the surface to be loaded can be set with high precision as in the first aspect. In addition, the size of the surface to be loaded with the load on the deck board can be finely adjuste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eck board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fixing operation, troublesome locking operations as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re unnecessary.

또,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치수 가변 팔레트의 중앙부에 배치된 제2잭 기구와, 상기 제2잭 기구의 양측에 부착된 한 쌍의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잭 기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가 상기 제2잭 기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데크 보드의 긴 방향을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데크 보드는, 상기 긴 방향의 도중에서 2분할되고, 당해 2분할된 일방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의 일방에 부착되고, 당해 2분할된 타방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의 타방에 부착되고, 상기 제2잭 기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를 상기 데크 보드의 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데크 보드의 짧은 측의 양단부를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당해 데크 보드를 상기 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싣는 면의 크기의 변경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the said base unit is equipped with the 2nd jack mechanism arrange | positioned at the center part of the said dimensional variable pallet, and a pair of base part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said 2nd jack mechanism, and the said The base portion of the pair is capable of reciproc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ck board with the second jack mechanism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plurality of deck boards are divided into two in the middl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ttaching to the pair of base part one side, the said two divided | divided other part is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said pair base part, and moving the said pair base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id deck board by the said 2nd jack mechanism.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ize of the loading surface by moving the deck board in the long direction in a state where both ends of the short sides of the plurality of deck boards are aligned. desirable.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싣는 면의 크기의 조절을 「데크 보드의 긴 방향」 및 「데크 보드의 짧은 방향」의 어느 것으로도 조절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귀찮은 작업을 하지 않고 조절한 싣는 면을 고정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ize of the loading surface can be adjusted by either the "long direction of the deck board" or the "short direction of the deck board", and the fixed loading surface can be fixed without any troublesome work. have.

또,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치수 가변 팔레트의 중앙부에 배치된 X자상의 제2링크 부재와, 당해 제2링크 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부착된 한 쌍의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링크 부재는, 한 쌍의 판상 혹은 봉상의 암을 X자상으로 교차시키고 그 교차부를 제3추축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킴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제2링크 부재의 교차부의 각도를 바꿈으로써,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가 당해 제2링크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데크 보드의 긴 방향을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데크 보드는, 상기 긴 방향의 도중에서 2분할되고, 당해 2분할된 일방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의 일방에 부착되고, 당해 2분할된 타방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의 타방에 부착되고, 상기 제2링크 부재의 교차부의 각도를 바꾸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를 상기 데크 보드의 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데크 보드의 짧은 측의 양단부를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당해 데크 보드를 상기 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싣는 면의 크기의 변경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se unit includes an X-shaped second link member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dimensional variable pallet and a pair of base portions respectively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link member. And a pair of plate- or rod-shaped arms intersecting in an X shape and rotatably connecting the intersection portions with a third axis pin, and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intersection por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the pair of base portions It is possible to reciproc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ck board via the said 2nd link member, The said several deck board is divided into 2 in the middle of the said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aid 2 part divided | segmented one of the said pair The other part divided into two said base part is attached to the other part of the said base part, The angle of the intersection part of a said 2nd link member is changed, and the said pair of base part is raised.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ck board, by moving the opposite ends of the short side of each deck board to align the state long the the art deck boards direction from preferably be able to change the size of the loading surface.

상기 구성에 의해, 싣는 면의 크기를 「데크 보드의 긴 방향」 및 「데크 보드의 짧은 방향」의 어느 것으로도 조절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the magnitude | size of the mounting surface can be adjusted with either of the "long direction of a deck board" and the "short direction of a deck board."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제2태양에 의하면, 싣는 대상인 짐의 형상에 맞추어 최적인 크기로 되도록 싣는 면을 조절할 수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2nd aspect of this invention, the surface to be loaded can be adjusted so that it may become an optimal siz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oad which is to be loaded.

또한, 상술한 종래 기술의 치수 가변 팔레트(200)(도 28 참조)에서는, 링크 기구(212)에 의해, 2방향(X―Y 방향)으로 동시에 신축하게 되어 있고, 1방향의 길이 치수만을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싣는 짐의 형상에 따라서는, 최적인 크기로 싣는 면을 조절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dimensional variable pallet 200 (refer FIG. 28), the link mechanism 212 expands and contracts simultaneously in two directions (X-Y direction), and changes only the length dimension of one direction. In some case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load to be loaded, the surface to be loaded at the optimum size could not be adjusted.

또, 상기 제2링크 부재를 구성하는 한 쌍의 암은, 긴 판상의 기부와, 당해 기부의 긴 측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절곡하여 뻗는 지지편을 가지고, 상기 지지편이, 상기 베이스 유닛 상에 부착되는 상기 데크 보드의 이면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air of arms constituting the second link member has a long plate-shaped base and a support piece that is bent upward from an end of the long side of the base, and the support piece is placed on the base unit. It is preferable to support the back surface of the deck board to be attached.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치수 가변 팔레트의 중앙부에 배치된 제2링크 부재의 암에, 데크 보드의 이면을 지지하는 지지편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치수 가변 팔레트의 싣는 면의 중앙부 근방의 강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said structure, since the support piece which supports the back surface of the deck board is formed in the arm of the 2nd link member arrange | positioned at the center part of a dimensional variable pallet, rigidity near the center part of the loading surface of a dimensional variable pallet is ensured. You can do it.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3태양은, 복수의 판상의 데크 보드를 병렬로 배치하여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싣는 면을 가지는 데크 보드 유닛과, 당해 데크 보드 유닛이 탑재되고 마루면에 놓이는 베이스 유닛을 구비한 치수 가변 팔레트로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치수 가변 팔레트의 중앙부에 배치된 제2잭 기구와, 상기 제2잭 기구의 양측에 부착된 한 쌍의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잭 기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가 상기 제2잭 기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데크 보드의 긴 방향을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의 상면에 상기 데크 보드 유닛이 걸쳐지고, 상기 데크 보드 유닛을 구성하는 복수의 데크 보드는 모두,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 중 어느 일방이고 또한 인접하여 배치된 데크 보드와 다른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잭 기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를 상기 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데크 보드를 상기 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싣는 면의 크기의 변경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Moreover, the 3rd aspect of this invention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is a deck board unit which has a rectangular mounting surface formed by arrange | positioning a plurality of plate-shaped deck boards in parallel, and the said deck board unit is mounted in the floor surface. A variable size pallet having a base unit to be laid, wherein the base unit includes a second jack mechanism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variable size pallet, and a pair of base part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jack mechanism, The second jack mechanism allows the pair of base portions to reciproc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ck board with the second jack mechanism therebetween, and the deck board unit extends over an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base portions. The plurality of deck boards constituting the deck board unit may be any one of the pair of base portions and a deck board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fixed to another base part, and by moving the said pair base part in the said long direction by the said 2nd jack mechanism, the deck board is moved in the said long direction, and the magnitude | size of the loading surface is changed. It is characterized by.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태양에 의하면, 제2잭 기구(예를 들면, 팬터그래프 잭)에 의해 데크 보드를 긴 방향으로 이동시켜 싣는 면의 크기의 변경을 할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싣는 면의 크기의 설정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싣는 면의 조절 작업의 노력을 경감할 수가 있다.Thus, according to the 3rd aspect of this invention, since the deck board can be ch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2nd jack mechanism (for example, a pantograph jack), the size of the mounting surface can be changed. The setting of the size can be performed with high accuracy, and the effort of adjusting the loading surface can be reduced.

본 발명에 의하면, 짐을 실어놓는 싣는 면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치수 가변 팔레트로서, 싣는 면의 크기를 변경해도, 짐을 실을 수 없는 데드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가 있는 치수 가변 팔레트를 제공할 수가 있다.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as a dimensional variable pallet which can change the magnitude | size of the loading surface on which a load is loaded, the dimension variable pallet which can reduce the dead space which a load cannot be loaded even if the size of a loading surface is changed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치수 가변 팔레트를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치수 가변 팔레트를 전개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치수 가변 팔레트의 싣는 면의 크기를 X 방향으로 넓히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치수 가변 팔레트의 싣는 면의 크기를 Y 방향으로 넓히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을 상면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을 구성하는 베이스 가이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의 다리부를 구성하는 모서리 토막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의 다리부를 구성하는 둥근 토막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의 하부 베이스 및 슬라이딩판의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의 하부 베이스와 슬라이딩판의 끼워맞춤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의 팬터그래프 잭을 하면측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의 팬터그래프 잭의 암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팬터그래프 잭의 나사식 잭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팬터그래프 잭의 나사식 잭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둥근 토막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둥근 토막부와 포크(fork)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데크 보드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데크 보드 유닛의 제1외측 데크 보드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데크 보드 유닛의 제1내측 데크 보드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데크 보드 유닛의 잭 기구의 모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데크 보드 유닛의 잭 기구의 모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데크 보드 유닛을 구성하는 팬터그래프 기구와 잭 기구의 접속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데크 보드 유닛을 구성하는 팬터그래프 기구와 잭 기구의 접속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6은 본 실시 형태의 데크 보드 유닛을 구성하는 팬터그래프 기구의 모식도이다.
도 27은 본 실시 형태의 치수 가변 팔레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8은 종래 기술의 치수 가변 팔레트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a)는 치수 가변 팔레트를 최소 치수로 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b)는 치수 가변 팔레트를 최대 치수로 한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the perspective view which looked at the dimension variable palle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rom the upper side.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expands and shows the dimensional variable palle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ate which spreads the magnitude | size of the loading surface of the dimension variable palle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n the X direc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ed the state which expanded the magnitude | size of the loading surface of the dimension variable palle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n the Y direc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looked at the base uni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rom the upper surface.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5. FIG.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base guide which comprises the base uni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corner part which comprises the leg part of the base uni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round part which comprises the leg part of the base uni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lower base and sliding plate of the base uni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fitting structure of the lower base and sliding plate of the base uni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looked at the pantograph jack of the base uni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rom the lower surface side.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arm of the pantograph jack of the base uni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screw jack mechanism of the pantograph jack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screw jack mechanism of the pantograph jack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position of the round part which mov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base uni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round part and fork which mov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ase uni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deck board uni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1st outer deck board of the deck board uni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1st inner deck board of the deck board uni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jack mechanism of the deck board uni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jack mechanism of the deck board uni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antograph mechanism and jack mechanism which comprise the deck board uni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antograph mechanism and jack mechanism which comprise the deck board uni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antograph mechanism which comprises the deck board unit of this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modification of the dimensional variable pallet of this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dimensional variable pallet of the prior art, (a) is the schematic diagram which showed the state which made the dimensional variable palette the minimum dimension, (b) is the schematic diagram which showed the state which made the dimensional variable palette the maximum dimension. to b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치수 가변 팔레트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dimensional variable palle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drawing.

먼저, 본 실시 형태의 치수 가변 팔레트(P)의 개략 구성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First, the schematic structure of the dimensional variable pallet P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using FI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치수 가변 팔레트를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또,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치수 가변 팔레트를 전개하여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 (a)는 본 실시 형태의 치수 가변 팔레트를 구성하는 제1유닛의 모식도이고, 도 2 (b)는 본 실시 형태의 치수 가변 팔레트를 구성하는 제2유닛의 모식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the perspective view which looked at the dimension variable palle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rom the upper sid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expansion of the dimensional variable palett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a) is a schematic view of the first unit constituting the dimensional variable palette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2nd unit which comprises the dimensional variable pallet of this embodiment.

또,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치수 가변 팔레트의 싣는 면의 크기를 X 방향으로 넓히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또,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치수 가변 팔레트의 싣는 면의 크기를 Y 방향으로 넓히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ed the state which expanded the magnitude | size of the loading surface of the dimension variable palle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n the X direc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ed the state which expanded the magnitude | size of the loading surface of the dimension variable pallet of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n the Y direction.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치수 가변 팔레트(P)(이하, 단지 「팔레트(P)」라고 한다)는 짐이 실리는 싣는 면(R)을 가지는 데크 보드 유닛(1)과, 데크 보드 유닛(1)이 탑재되는 베이스 유닛(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 유닛(5)이 마루면이나 지면에 놓이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dimension-variable pallet P (henceforth only called "pallet P") is the deck board unit 1 which has the loading surface R on which a load is loaded, and the deck board A base unit 5 on which the unit 1 is mounted is provided. The base unit 5 is also placed on the floor or the ground.

또, 상기 싣는 면(R)은, 도시하는 Y 방향에 따라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긴 판상의 데크 보드(10)에 의해 평면시(平面視)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said mounting surface R is formed in planar rectangular shape by the several long plate-like deck board 10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along the Y direction shown.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시하는 「X 방향」을 「팔레트(P)의 길이 방향(또는 데크 보드(10)의 긴 방향)」이라고 하고, 「Y 방향」을 「팔레트(P)의 폭 방향(또는 데크 보드(10)의 짧은 방향)」이라고 한다.In addition, below, the "X direction"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s calle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llet P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ck board 10)", and the "Y direction" is called the "width direction of the pallet P". (Or the short direction of the deck board 10) ”.

또, 데크 보드 유닛(1)은, 도 2 (a)에 나타내듯이,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데크 보드(10)와, 당해 데크 보드(10)의 짧은 방향(Y 방향)으로 배치되고 또한 데크 보드(10)의 이면을 지지하는 한 쌍(2개)의 팬터그래프 기구(20a, 20b)와, 팬터그래프 기구(20a, 20b)에 부착되고 당해 팬터그래프 기구(20a, 20b)를 상기 짧은 방향(Y 방향)으로 신축시키는 잭 기구(30)를 구비하고 있다.Moreover, the deck board unit 1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hort direction (Y direction) of several deck boards 10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and the said deck board 10, as shown in FIG. The pantograph mechanisms 20a and 20b supporting the back surface of the board 10 and the pantograph mechanisms 20a and 20b are attached to the pantograph mechanisms 20a and 20b in the short direction (Y direction). The jack mechanism 30 which expands and contracts is provided.

또한, 한 쌍의 팬터그래프 기구(20a, 20b)는 데크 보드(10)의 이면에 있어서 병렬로 배치되고, 잭 기구(30)에 의해 싱크로(동기)하여 신축 동작을 하게 되어 있다. 또, 팬터그래프 기구(20a)와 팬터그래프 기구(20b)는 마찬가지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pantograph mechanisms 20a and 20b are arranged in parallel on the back surface of the deck board 10, and are synchronized (synchronized) with the jack mechanism 30 to expand and contract. Moreover, the pantograph mechanism 20a and the pantograph mechanism 20b are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상기 구성에 의해, 팬터그래프 기구(20(20a, 20b))를 신축 동작시킴으로써, 팬터그래프 기구(20)가 지지하는 각 데크 보드(10)를 도시하는 Y 방향으로 동작시킬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antograph mechanisms 20 (20a and 20b) can be stretched and operated to operate the deck boards 10 supported by the pantograph mechanism 20 in the Y direction.

또, 베이스 유닛(5)은, 도 2 (b)에 나타내듯이, 중앙부에 배치된 팬터그래프 잭(50)과, 팬터그래프 잭(50)의 양측에 부착된 한 쌍의 베이스부(60)를 구비하고, 한 쌍의 베이스부(60)가 팬터그래프 잭(50)을 사이에 두고 데크 보드(10)의 긴 방향(X 방향)을 왕복 동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베이스부(6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일방의 베이스부(60)는 타방의 베이스부와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Moreover, the base unit 5 is equipped with the pantograph jack 50 arrange | positioned at the center part and a pair of base part 60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pantograph jack 50 as shown to FIG. 2 (b). A pair of base portions 60 are formed to reciprocate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X direction) of the deck board 10 with the pantograph jack 50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pair of base portions 60 are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one base portion 60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ther base portion).

또, 베이스부(60)의 상면에는, 데크 보드 유닛(1)을 구성하는 데크 보드(10)가 놓여 부착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베이스부(60)의 상기 왕복 동작에 따라 상기 상면에 부착된 데크 보드(10)를 이동(도시하는 X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Moreover, the deck board 10 which comprises the deck board unit 1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60, and is attached. Thereby, the deck board 10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can be moved (moved in the X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ciprocating operation of the base portion 60.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듯이, 팔레트(P)는 베이스 유닛(5)에 설치된 팬터그래프 잭(제2잭 기구)(50)을 조작함으로써, 팬터그래프 잭(50)의 중심부(X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도 중의 Sx선))를 사이에 두고, 팔레트(P)의 긴 방향(X 방향)으로 데크 보드(10)를 이동시켜 싣는 면(R)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pallet P operates the pantograph jack (second jack mechanism) 50 provided in the base unit 5, thereby providing the center of the pantograph jack 50 (the center in the X direction (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ize of the surface R to which the deck board 10 is moved and mou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pallet P across the (X line | wire) in FIG.

또한, 상기 데크 보드(10)의 이동은 각 데크 보드(10)의 짧은 측의 양단부를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deck board 10 is moved in a state where both ends of the short side of each deck board 10 are aligned.

또, 도 4에 나타내듯이, 팔레트(P)는 데크 보드 유닛(1)에 설치된 잭 기구(제1잭 기구)(30)를 조작함으로써, 각 데크 보드(10)의 긴 방향의 방향을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팬터그래프 기구(20)의 중심부(Y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도 3에 나타내는 Sy선)를 사이에 두고, 팔레트(P)의 폭 방향(Y 방향)으로 각 데크 보드(10)를 이동시켜 싣는 면(R)의 크기의 변경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pallet P prepares th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deck board 10 by operating the jack mechanism (1st jack mechanism) 30 provided in the deck board unit 1.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each deck board 10 is placed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pallet P with the center (the Sy line shown in FIG. 3) in the center of the pantograph mechanism 20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ize of the surface R to be moved.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팔레트(P)는 각 데크 보드(10)의 짧은 측의 양단부를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길이 방향(X 방향)으로 데크 보드(10)를 이동시켜 싣는 면(R)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팔레트(P)는 각 데크 보드(10)의 긴 방향의 방향을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폭 방향(Y 방향)으로 데크 보드(10)를 이동시켜 싣는 면(R)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us, the pallet P of this embodiment of the surface R which moves and mounts the deck board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in the state which prepared the both ends of the short side of each deck board 10 was carried out. You can change the size. Moreover, the pallet P of this embodiment of the surface R which moves and mounts the deck board 10 in the width direction (Y direc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deck board 10 was prepared. You can change the size.

즉, 본 실시 형태의 팔레트(P)는 상술한 종래 기술(도 29 (b) 참조)과 같이, 싣는 면(R)의 크기를 변경한 경우에, 싣는 면(R)의 연변부가 요철 형상으로 되는 경우가 없이 싣는 면(R)이 직사각형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데드 스페이스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싣는 면(R)을 유효 활용할 수가 있다.That is, when the pallet P of this embodiment changes the magnitude | size of the loading surface R like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refer FIG. 29 (b)), the edge part of the loading surface R has an uneven | corrugated shape. Since the mounting surface R is held in a rectangular shape without any case (since no dead space is formed), the mounting surface R can be effectively utilized.

또, 본 실시 형태의 팔레트(P)는 싣는 면(R)의 크기를 「데크 보드의 긴 방향(X 방향)」 및 「데크 보드의 짧은 방향(Y 방향)」의 어느 것으로도 조절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팔레트(P)에 의하면, 싣는 짐의 형상에 대응시킨 최적인 크기로 되도록 싣는 면(R)을 조절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pallet P of this embodiment can adjust the magnitude | size of the surface R to be mounted in any of "long direction of a deck board (X direction)" and "short direction of a deck board (Y direct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 pallet P of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surface R can be adjusted so that it may become the optimal siz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ading.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치수 가변 팔레트(P)의 다리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leg part of the dimensional variable pallet P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detail.

먼저, 베이스 유닛(5)의 구성을 도 5 내지 도 1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base unit 5 is demonstrated based on FIGS. 5-18.

여기서,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을 상면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또,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고, 도 6 (a)는 베이스부 상의 슬라이딩판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6 (b)는 베이스부 상의 슬라이딩판이 Y 방향 외측으로 열린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5 is the schematic diagram which looked at the base unit of this embodiment from the upper surface.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 and FIG. 6 (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sliding plate on the base part is closed, and FIG. 6 (b) shows a state where the sliding plate on the base part is opened outward in the Y direc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n.

도 7은 도 5의 B-B 단면도이고, 도 7 (a)는 베이스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7 (b)는 베이스부가 X 방향 외측으로 열린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 FIG. 7 (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base portion, and FIG. 7 (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base portion is opened outward in the X direction.

또,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의 베이스 가이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또,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의 다리부를 구성하는 모서리 토막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8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base guide of the base unit of this embodiment. 9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corner part which comprises the leg part of the base unit of this embodiment.

또,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의 다리부를 구성하는 둥근 토막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또,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의 하부 베이스 및 슬라이딩판의 모식도이다. 또, 도 12는 본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의 하부 베이스와 슬라이딩판의 끼워맞춤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10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round part which comprises the leg part of the base unit of this embodiment. 1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lower base and the sliding plate of the base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12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fitting structure of the lower base and sliding plate of the base unit of this embodiment.

또, 도 13은 본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의 팬터그래프 잭을 하면측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또, 도 14는 본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의 팬터그래프 잭의 암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또, 도 15 및 도 16은 본 실시 형태의 팬터그래프 잭의 나사식 잭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13 is a schematic diagram seen from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pantograph jack of the base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14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arm of the pantograph jack of the base unit of this embodiment. 15 and 16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crew jack mechanism of the pantograph jack of the present embodiment.

또, 도 17은 본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둥근 토막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또, 도 18은 본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둥근 토막부와 포크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17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position of the round part which mov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ase unit of this embodiment. 18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relationship of the round part and fork which mov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ase unit of this embodiment.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듯이, 베이스 유닛(5)은 팬터그래프 잭(50)과 한 쌍의 베이스부(60)를 구비하고 있다. 또, 팬터그래프 잭(50) 및 베이스부(60)는 마루면(또는 지면)에 놓이는 다리부(70)(둥근 토막부(중앙 다리부)(70a), 모서리 토막부(70b), 중간 토막부(70c))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5 to 7, the base unit 5 includes a pantograph jack 50 and a pair of base portions 60. In addition, the pantograph jack 50 and the base part 60 are leg parts 70 (rounded part (center leg part) 70a, corner part 70b, middle part part) which are placed on a floor surface (or ground). 70c).

또, 베이스 유닛(5)은 그 중앙부에 배치되는 팬터그래프 잭(50)이, 그 중심부에 있어서 둥근 토막부(70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Moreover, the pantograph jack 50 arrange | positioned at the center part of the base unit 5 is supported by the round part 70a in the center part.

또, 팬터그래프 잭(50)을 사이에 두고 그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부(60)(베이스부(60)를 구성하는 하부 베이스(61))는, 각각 그 양단부(Y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가 모서리 토막부(70b)에 지지되고, 2개의 모서리 토막부(70b) 사이의 중심부(Y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부)가 중간 토막부(70c)(도 6 참조)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Moreover, the pair of base part 60 (lower base 61 which comprises the base part 60) arrange | positioned at the both ends across the pantograph jack 50 is the both ends (in the Y direction), respectively. Both ends are supported by the edge part 70b, and the center part (center part in a Y direction) between two edge parts 70b is supported by the intermediate part 70c (refer FIG. 6).

이와 같이 팔레트(P)는 모서리 토막부(70b)와 중간 토막부(70c)(및 둥근 토막부(70a)) 사이의 공간부에 지게차의 포크(fork)를 끼워넣을 수가 있게 되어 있다(도 6 참조). 즉, 팔레트(P)의 Y 방향측의 측면(P1, P2)(도 5 참조)에 포크를 끼워넣어 팔레트(P)를 운반할 수가 있게 되어 있다.Thus, the pallet P can insert the fork of a forklift truck into the space part between the edge part 70b and the middle part 70c (and the round part 70a) (FIG. 6). Reference). That is, the pallet P can be transported by inserting a fork into the side surfaces P1 and P2 (refer FIG. 5) of the pallet P in the Y-direction side.

또, 도 7에 나타내듯이, 모서리 토막부(70b)와 둥근 토막부(70a) 사이의 공간부에 지게차의 포크를 끼워넣을 수가 있게 되어 있다. 즉, 팔레트(P)의 X 방향측의 측면(P3, P4)(도 5 참조)에 포크를 끼워넣어 팔레트(P)를 운반할 수가 있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fork of the forklift truck can be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corner part 70b and the round part 70a. That is, the pallet P can be transported by inserting a fork into the side surfaces P3 and P4 (refer FIG. 5) of the pallet P in the X direction side.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팔레트(P)는 포크의 삽입구가 전후좌우의 4방향에 형성된 4방향 꽂이 팔레트의 사양으로 되어 있다.Thus, the pallet P of this embodiment is a specification of the 4-way rack pallet provided with the insertion opening of a fork in 4 directions of front, back, left, and right.

이하, 베이스부(60) 및 팬터그래프 잭(50)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base part 60 and the pantograph jack 50 is demonstrated.

먼저, 베이스부(60)의 구성을 설명한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base part 60 is demonstrated.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듯이, 각 베이스부(60)는 그 일단부가 팬터그래프 잭(50)에 보지(保持)되는 하부 베이스(61)와, 하부 베이스(61)의 상면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Y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한 쌍(2매)의 슬라이딩판(지지부)(62)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6 and 7, each base portion 60 is freely slidab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ase 61 and the lower base 61 whose one end is held by the pantograph jack 50 (Y). A pair (two pieces) of sliding plates (support part) 62 are supported so that sliding in a direction can be carried out freely.

또한, 하부 베이스(61) 및 슬라이딩판(62)은 예를 들면 목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base 61 and the sliding plate 62 are made of, for example, wood.

또, 도 5에 나타내듯이, 각 베이스부(60)는 일단부(X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에 하부 베이스(61)에 고정된 외측 베이스 가이드(81)가 설치되고, 타단부(X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팬터그래프 잭(50)측))에 내측 베이스 가이드(82)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each base portion 60 is provided with an outer base guide 81 fixed to the lower base 61 at one end (outer side in the X direction), and on the other end (in the X direction). The inner base guide 82 is provided in the inner side (pantograph jack 50 side).

또, 외측 베이스 가이드(81)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듯이, 슬라이딩판(62)(및 후술하는 블록재(65))의 외측면(X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면)에 맞닿는 L형 금구(金具)(철,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 L형 금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7 and 8, the outer base guide 81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uter surface in the X direction) of the sliding plate 62 (and the block member 65 to be described later). It is formed by a metal tool (L-shaped metal tool formed of metal, such as iron and stainless steel).

또, 한 쌍의 베이스(60)의 일방에 부착되는 외측 베이스 가이드(81)는, 그 상면의 대략 중앙부에 판상의 데크 보드 스토퍼(83)가 입설되어 있다.Moreover, in the outer base guide 81 attached to one of the pair of bases 60, the plate-shaped deck board stopper 83 is locat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part of the upper surface.

또한, 도 8에 나타내듯이, 외측 베이스 가이드(81)의 양단부에는 절결(切缺)(81a)이 형성되고, 이 절결(81a)에 모서리 토막부(70b)의 외주부에 부착되는 L형 지지 금구(71)(도 9 참조)가 맞닿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notch 81a is formed in the both ends of the outer base guide 81, and the L-shaped support bracket attached to the notch 81a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edge part 70b. 71 (refer FIG. 9) abuts.

또, 내측 베이스 가이드(82)는 슬라이딩판(62)(및 후술하는 블록재(65))의 내측면(X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면)에 맞닿는 L형 금구(철, 스테인리스강 등으로 형성된 L형 금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ner base guide 82 is formed of an L-shaped bracket (iron formed of stainless steel or the like) which abuts against the inner surface (inner surface in the X direction) of the sliding plate 62 (and the block member 65 described later). Mold).

또, 한 쌍의 베이스(60) 중의 일방에 부착되는 내측 베이스 가이드(82)는, 그 상면의 대략 중앙부에 판상의 데크 보드 스토퍼(84)가 입설되어 있다.Moreover, in the inner base guide 82 attached to one of a pair of base 60, the plate-shaped deck board stopper 84 is locat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part of the upper surface.

그리고, 상기의 외측 베이스 가이드(81) 및 내측 베이스 가이드(82)에 의해, 하부 베이스(61)의 상면에 놓인 슬라이딩판(62)의 X 방향의 동작(하부 베이스(61) 상에서의 동작)이 제한되게 되어 있음과 아울러, 데크 보드 유닛(1)의 단부를 지지하고, 그 하중을 받을 수가 있게 되어 있다.And the said outer base guide 81 and the inner base guide 82 operate | move the X direction (operation on lower base 61) of the sliding plate 62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ase 61. In addition to being limited, the end of the deck board unit 1 can be supported and subjected to the load.

또, 상기의 데크 보드 스토퍼부(83, 84)는 X 방향(즉 데크 보드(10)의 긴 방향)과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고, 베이스 유닛(5)에 부착되는 데크 보드(10)의 동작(긴 방향의 동작)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The deck board stopper portions 83 and 84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X direction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ck board 10), and the operation of the deck board 10 attached to the base unit 5 ( Guides the operation in a long direction).

또, 상기 데크 보드 스토퍼부(83, 84)에 의해, 팔레트(P)의 중심부로부터 Y 방향을 외측으로 슬라이딩판(62)이 이동한 경우라도, 팔레트(P)의 Y 방향의 중심의 위치에 항상 중간 토막부(70c)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Moreover, even when the sliding board 62 is moved outward from the center of pallet P by the said deck board stopper parts 83 and 84, it is in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pallet P in the Y direc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intermediate portion 70c at all times.

또한, 데크 보드 스토퍼부(83, 84)는 철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되고,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외측 베이스 가이드(81)(또는 내측 베이스 가이드(82))에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deck board stopper parts 83 and 84 are formed of metal, such as iron, and are attached to the outer base guide 81 (or inner base guide 82) by welding, for example.

또, 슬라이딩판(62)에는 각각 모서리 토막부(70b)(도 6, 도 9 참조)가 부착되고, 하부 베이스(61)의 중심(Y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에 중간 토막부(70c)(도 6 참조)가 부착되어 있다.Moreover, the edge part 70b (refer FIG. 6, FIG. 9) is attached to the sliding plate 62, respectively, and the middle part 70c (center) in the center (center in a Y direction) of the lower base 61 ( 6) is attached.

또, 도 9에 나타내듯이, 모서리 토막부(70b)의 외주부에는 L형 지지 금구(71)가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the L-shaped support bracket 71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part of the edge part 70b.

또한, 모서리 토막부(70b), 중간 토막부(70c) 및 상술한 둥근 토막부(70a)는 예를 들면 목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edge part 70b, the intermediate part 70c, and the above-mentioned round part 70a are formed of wood, for example.

또,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듯이, 하부 베이스(61)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일방면(상면)의 중앙부(도시하는 X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Y 방향으로 뻗는 제1가이드 레일(64)이 설치되어 있다.11 and 12, the lower base 61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extends in the Y direction to the center portion (center portion in the X direction) of one surface (upper surface) in the Y direction. (64) is installed.

또, 하부 베이스(61)는, 도시하는 Y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로서 제1가이드 레일(64)의 양측에, 각각 직방체의 블록재(65)가 부착되어 있다. 이 블록재(65)는, 팔레트(P)의 중심부로부터 Y 방향을 외측으로 슬라이딩판(62)이 이동한 경우에, 데크 보드 유닛(1)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 근방의 하중을 받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In addition, the lower base 61 is a block member 65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guide rail 64 as a center portion in the Y direction shown. The block material 65 receives a loa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portion in the Y direction of the deck board unit 1 when the sliding plate 62 is moved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pallet P in the Y direction. Is in charge of.

또, 블록재(65)는 예를 들면 목재에 의해 형성되고, 그 판 두께가 슬라이딩판(62)의 판 두께와 같은 크기 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베이스부(60)에 부착되는 다리부(70) 중 중간 토막부(70c)만을 나타내고, 모서리 토막부(70b)를 생략하고 있다.In addition, the block material 65 is formed of wood, for example, and the plate | board thickness is the size dimension same as the plate | board thickness of the sliding plate 62. As shown in FIG. 11, only the middle part 70c is shown among the leg parts 70 attached to the base part 60, and the edge part 70b is abbreviate | omitted.

또, 상기의 제1가이드 레일(64)은 중공의 사각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가이드 레일(64)의 일방면(상면)에는, 제1가이드 레일(64)의 긴 축 방향을 따라 개구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데크 보드(10)의 이면에 부착된 러너(runner)(15)(도 19 참조)가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삽입되게 되어 있다.Moreover, the said 1st guide rail 64 is formed in hollow square cylinder shape. In addition, an opening is formed in one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rail 64 along the longitudinal axis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rail 64, and a runner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eck board 10 described later. (15) (refer FIG. 19) is made to slide freely.

또, 제1가이드 레일(64)은 하부 베이스(61)의 상면부에, 그 중앙부(도시하는 Y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만이 고정되어 있다.Moreover, only the center part (center part in a Y direction shown) is being fixed to the upper surface part of the lower base 61 of the 1st guide rail 64. As shown in FIG.

그리고, 제1가이드 레일(64)은, 하부 베이스(61)와의 대향면 중 상기 고정된 중앙부 외에는, 하부 베이스(61)와의 사이에 미소한 간극이 형성되고, 그 간극에 슬라이딩판(62)의 제2가이드 레일(62b)의 저면이 삽입되게 되어 있다.The first guide rail 64 has a small gap formed between the lower base 6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liding plate 62, except for the fixed center portion of the opposing surface of the first guide rail 64. The bottom face of the 2nd guide rail 62b is inserted.

또한, 제1가이드 레일(64)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guide rail 64 is made of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for example.

또, 도 11에 나타내듯이, 슬라이딩판(62)은 그 중앙부(도시하는 X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Y 방향으로 뻗는 제2가이드 레일(62b)이 매설되어 있다.11, the 2nd guide rail 62b extended in the Y direction is embedded in the center part (center part in the X direction shown) in the sliding plate 62.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판(62)은 그 중앙부(도시하는 X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Y 방향으로 뻗는 단면 직사각형상의 홈(62a)(도 12 참조)이 형성되고, 그 홈(62a)에 중공의 사각통상으로 형성된 제2가이드 레일(62b)이 끼워져 있다.Specifically, as for the sliding plate 62, the groove | channel 62a (refer FIG. 12) of cross-sectional rectangular shape extended in a Y direction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center part in the X direction shown in figure), and is hollowed in the groove 62a. The second guide rail 62b formed in the square cylindrical shape of is fitted.

또, 제2가이드 레일(62b)은 그 내통면(內筒面)이 제1가이드 레일(64)에 바깥으로 끼워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방면(상면)에 제2가이드 레일(62b)의 긴 축 방향을 따라 개구(62b1)(도 1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2nd guide rail 62b is formed in the shape which the inner cylinder surface is fitted to the 1st guide rail 64 outside, and the 2nd guide rail 62b is in the one surface (upper surface). The opening 62b1 (refer FIG. 12) is formed along the long axis direction of.

또한, 제2가이드 레일(62b)은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guide rail 62b is made of metal such as stainless steel, for example.

또, 슬라이딩판(62)은 그 일단부에, 제2가이드 레일(62a)의 단부를 막는 판재(63)(도 11 참조)가 부착되어 있다.Moreover, the plate 63 (refer FIG. 11) which blocks the edge part of the 2nd guide rail 62a is attached to the one end of the sliding plate 62. As shown in FIG.

그리고, 도 11에 나타내듯이, 슬라이딩판(62)에 매설된 제2가이드 레일(62b)에, 하부 베이스(61)에 형성된 제1가이드 레일(64)이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삽입되게(도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되게) 되어 있다.And, as shown in FIG. 11, the 1st guide rail 64 formed in the lower base 61 is inserted in the 2nd guide rail 62b embedded in the sliding plate 62 so that sliding may be inserted freely (the arrow direction in FIG. To be inserted).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나타내듯이, 하부 베이스(61)에 형성된 제1가이드 레일(64)의 외통면에, 슬라이딩판(62)의 제2가이드 레일(62b)의 내통면이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맞춰지게 되어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2, the inner cylind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rail 62b of the sliding plate 62 slides freely on the outer cylinder surface of the first guide rail 64 formed on the lower base 61. It is supposed to be aligned.

이에 의해 슬라이딩판(62)은, 도 6에 나타내듯이, 하부 베이스(61)의 상면에 지지됨과 아울러, 도시하는 Y 방향(치수 가변 팔레트(P)의 폭 방향)을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reby, the sliding plate 62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ase 61, as shown in FIG. 6, and can slide freely in the Y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variable-dimension pallet P) shown. .

또한,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슬라이딩판(62)을 1매만 나타내고, 하부 베이스(61)의 일방측에만 부착되어 있지만, 하부 베이스(61)의 타방측에도 슬라이딩판(62)이 부착된다.In addition, in FIG. 11,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one sliding plate 62 is shown and attached only to one side of the lower base 61, but the sliding plate 62 is also attach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wer base 61. As shown in FIG.

다음에, 팬터그래프 잭(50)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pantograph jack 50 will be described.

도 13에 나타내듯이, 팬터그래프 잭(50)은 2개의 암(판상 혹은 봉상의 암)(51, 52)을 X자상으로 교차시킨 링크 부재(54)와, 링크 부재(54)의 양단부에 부착된 1조의 상자상의 케이스체(55, 56)와, 케이스체(55)에 설치된 잭 기구(57)를 구비하고 있다. 또, 케이스체(55, 56)에는 각각 하부 베이스(61)가 부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3, the pantograph jack 50 is attached to the both ends of the link member 54 and the link member 54 which crossed two arms (plate-shaped or rod-shaped arms) 51 and 52 in X shape. A set of box-shaped case bodies 55 and 56 and a jack mechanism 57 provided on the case body 55 are provided. In addition, the lower base 61 is attached to the case bodies 55 and 56, respectively.

또, 상기 케이스체(55)의 상하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케이스체(55)의 긴 방향(Y 방향)을 따라 뻗는 가이드홈(55a)이 형성되어 있다(도 15 참조). 또, 케이스체(56)의 하면에는 케이스체(56)의 긴 방향을 따라 뻗는 가이드홈(56a)이 형성되어 있다.Further, guide grooves 55a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case body 55 are formed at position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ase body 55 facing each other (see FIG. 15). Moreover, the guide groove 56a which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body 56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body 56. As shown in FIG.

또, 상기 링크 부재(54)는 2개의 암(51, 52)의 교차부를 추축핀(제3추축핀)(53a)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하여 구성되고, 그 교차부가 마루면에 놓이는 둥근 토막부(중앙 다리부)(70a)에 지지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ink member 54 is configured by freely rotating the intersection of the two arms 51, 52 by the axis pins (third axis pins) 53a, and the round portion of which the intersections are placed on the floor surface. It is supported by the part (center leg part) 70a.

또, 도 13에 나타내듯이, X자상의 링크 부재(54)의 일단측(도 중에 있어서의 하측)의 단부 중의 일방(암(51)의 일단부)에는 추축핀(53b1)이 부착되고, 당해 추축핀(53b1)이 케이스체(55)의 이면에 형성된 구멍(55d)(도 16 참조)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13, the axis | shaft pin 53b1 is affixed to one (one end of arm 51) among the edges of the one end side (lower side in the figure) of the X-shaped link member 54, and the said The pivot pin 53b1 is rotatably attached to a hole 55d (see FIG. 16)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55.

또, 상기 일단측의 단부 중의 일방(암(52)의 일단부)에 슬라이딩 핀(53c1)이 부착되고, 당해 슬라이딩 핀(53c1)이 케이스체(55)의 가이드홈(55a)에 슬라이딩 및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In addition, a sliding pin 53c1 is attached to one of the ends of the one end side (one end of the arm 52), and the sliding pin 53c1 slides and rotates in the guide groove 55a of the case body 55. This is inserted freely.

또, 도 13에 나타내듯이, 링크 부재(54)의 타단측(도 중의 상측)의 단부 중의 일방(암(52)의 타단부)에는, 추축핀(53b2)이 부착되고, 당해 추축핀(53b2)이 케이스체(56)의 이면에 형성된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13, the axis | shaft pin 53b2 is affixed to one (the other end part of the arm 52) in the edge part of the other end side (upper side in the figure) of the link member 54, and the said axis pin 53b2. ) Is freely attached to a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body 56.

또, 상기 타단측의 단부 중의 일방(암(51)의 타단부)에 슬라이딩 핀(53c2)이 부착되고, 당해 슬라이딩 핀(53c2)이 케이스체(56)의 가이드홈(56a)에 슬라이딩 및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되어 있다.Further, a sliding pin 53c2 is attached to one of the ends of the other end side (the other end of the arm 51), and the sliding pin 53c2 slides and rotates in the guide groove 56a of the case body 56. This is inserted freely.

상기의 구성에 의해, 링크 부재(54)의 교차부의 교차각을 변경시킴으로써, 링크 부재(54) 양단의 케이스체(55, 56)에 부착된 하부 베이스(61)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ower base 61 attached to the case bodies 55 and 56 at both ends of the link member 54 can be moved in the X direction by changing the intersection angle of the intersections of the link members 54. .

또,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듯이, 케이스체(55)에는 잭 기구(5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잭 기구(57)는 주지의 「나사식 잭」의 구조로 의해 실현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간략화하여 설명한다.15 and 16, a jack mechanism 57 is provided in the case body 55. In addition, since the jack mechanism 57 is implement |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a well-known "threaded jack", it demonstrates briefly below.

구체적으로는, 잭 기구(57)는 케이스체(55)에 짧은 측의 일방의 측면(55c)을 관통하여 케이스체(55)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크류 로드(봉상의 볼트)(57a)와, 상기 측면(55c)에 설치된 스크류 로드(57a)를 고정하는 링상의 고정 부재(57b)와, 스크류 로드(57a)에 삽통되고 또한 스크류 로드(57a)의 축방향(Y 방향)을 왕복 이동하는 가동(可動) 연결부(57c)를 가지고 있다.Specifically, the jack mechanism 57 is a screw rod (rod-shaped bolt) 57a which penetrates the side surface 55c of the short side to the case body 55, and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case body 55, A ring-shaped fixing member 57b for fixing the screw rod 57a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55c, and movable to be inserted into the screw rod 57a and to reciprocate in the axial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screw rod 57a. It has a connecting part 57c.

여기서, 스크류 로드(57a)는 봉상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일단부에 환상의 조작부(57a1)가 형성되고, 조작부(57a1)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Here, while the screw rod 57a is provided with the screw in the rod-shaped part, the annular operation part 57a1 is formed in the one end part, and it rotates about an axis line by rotating the operation part 57a1.

또, 가동 연결부(57c)는 스크류 로드(57a)가 삽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의 내주부에 봉상부의 나사에 나합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screw rod 57a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movable connection part 57c, and the screw part which matches with the screw of a rod-shaped part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part of the through-hole.

또, 가동 연결부(57c)의 양단부가 링크 부재(54)의 암(52)에 부착된 슬라이딩 핀(53c1)(도 13 참조)에 지지되어 있다(이에 의해 가동 연결부(57c)에 암(52)이 접속된 상태로 된다). 또한, 슬라이딩 핀(53c1)은 케이스체(55)에 형성된 가이드홈(55a)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삽통되어 있다.Moreover, the both ends of the movable connection part 57c are supported by the sliding pin 53c1 (refer FIG. 13) attached to the arm 52 of the link member 54 (the arm 52 by the movable connection part 57c). Will be connected). In addition, the sliding pin 53c1 slides freely through the guide groove 55a formed in the case body 55.

그리고, 가동 연결부(57c)는 스크류 로드(57a)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 로드(57a)의 축 상을 축선 방향(Y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되어 있다.And the movable connection part 57c is made to reciprocate along the axial direction (Y dir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crew rod 57a with rotation of the screw rod 57a.

상기의 구성에 의해, 잭 기구(57)의 조작부(57a1)를 회전시킴으로써(이에 의해 스크류 로드(57a)가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가동 연결부(57c) 및 가동 연결부(57c)에 접속된 링크 부재(54)의 암(52)을 이동시키고, 링크 부재(54)의 교차각을 변경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링크 부재(54)의 양단에 부착된 하부 베이스(61)를 X 방향으로 이동시켜 소망의 위치에 고정할 수가 있다.By the above structure, by rotating the operation part 57a1 of the jack mechanism 57 (the screw rod 57a rotates about an axis by this), it is connected to the movable connection part 57c and the movable connection part 57c. The arm 52 of the link member 54 can be moved, and the crossing angle of the link member 54 can be changed. Thereby, the lower base 61 attached to the both ends of the link member 54 can be moved to X direction, and can be fixed to a desired position.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팬터그래프 잭(50)에 의해 하부 베이스(61)를 이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하부 베이스(61)의 이동 및 고정을 동시에 행할 수가 있다.Thus,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lower base 61 is moved by the pantograph jack 50, the lower base 61 can be moved and fixed simultaneously.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귀찮은 잠금 작업(볼트를 체결하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고, 작업자의 부담이 경감됨과 아울러, 싣는 면(R)의 크기의 조절 작업에 소비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does not need to perform the troublesome locking operation (work which tightens a bolt) like 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the burden of an operator is reduced, and it consumes for adjustment work of the magnitude | size of the loading surface R. This can shorten the time requir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팬터그래프 잭(50)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한 쌍의 하부 베이스부(61)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구성의 것이라도 상관없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pantograph jack 50 shown in this embodiment is only an example to the last. Any configuration may be used as long as the pair of lower base portions 61 can be moved in the X direction.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팬터그래프 잭(50)의 암(51, 52)을 이하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팔레트(P)의 중심부 근방의 강성을 높이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arm 51, 52 of the pantograph jack 50 is comprised as follows, and the rigidity vicinity of the center part of the pallet P is improved.

구체적으로는, 도 14에 나타내듯이, 암(51)은 긴 판상(장방형의 판상)의 기부(51a)와, 기부(51a)의 긴 측의 일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하여 입설한 지지편(51b)을 가지고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4, the arm 51 is bent at right angles from the one end of the long plate-shaped (rectangular plate-like) base and the one end of the long side of the base 51a and placed in a vertical direction. It has a piece 51b.

또, 암(52)은 긴 판상(장방형의 판상)의 기부(52a)와, 기부(52a)의 긴 측의 일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하여 입설한 지지편(52b)을 가지고 있다.Moreover, the arm 52 has an elongate plate-shaped (rectangular plate-shaped) base 52a, and the support piece 52b which bend | folded and entered perpendicularly upward from the one end of the long side of the base 52a.

그리고, 상기의 지지편(51b, 52b)이, 베이스 유닛(5) 상에 놓이는 데크 보드(10)의 이면을 지지하게 되어 있고, 팔레트(P)의 중심부 근방의 하중을 받는 역할(팔레트(P)의 강성 확보의 기능)을 담당한다. 즉, 팔레트(P)의 싣는 면(R)(도 1 참조)의 중앙부의 하중을 받는 역할을 담당한다.And the said support piece 51b, 52b supports the back surface of the deck board 10 put on the base unit 5, and receives the loa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part of the pallet P (pallet P It is in charge of securing function of rigidity). That is, it plays the role which receives the load of the center part of the mounting surface R (refer FIG. 1) of the pallet P.

또한, 암(52)의 지지편(52b)은 암(51)의 교차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분리하여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iece 52b of the arm 52 is formed by isolate | separating to both sides through the crossing part of the arm 51 between them.

이와 같이 구성한 것은, 링크 부재(54)가 동작할 때(암(51, 52)의 교차각이 변화할 때)에, 암(51)의 지지편(51b)과 암(52)의 지지편(52b)이 간섭(충돌)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이다.In this way, when the link member 54 operates (when the crossing angle of the arms 51 and 52 changes), the support piece 51b of the arm 51 and the support piece of the arm 52 ( 52b) to avoid interference (collision).

또, 지지편(51b, 52b)은 상기의 역할(팔레트(P)의 강성 확보의 기능)을 담당하기 때문에, 그 길이 치수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since the support pieces 51b and 52b play the said role (function of ensuring rigidity of the pallet P),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dimension is large.

구체적으로는, 지지편(51b, 52b)의 길이 치수는, 하부 베이스(61)가 팔레트(P)의 길이 방향(X 방향)으로 펴지지 않은 상태(도 17 (a) 상태)에 있어서, 하부 베이스(61)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는 범위(도 중의 Yu선과 Yd선 사이의 범위)에서 최대의 길이 치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케이스체(55, 56)도 구조나 신축 동작상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최장의 길이 치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length dimension of the support pieces 51b and 52b is a lower base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base 61 is not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pallet P (FIG. 17 (a) stat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in the largest length dimension in the range which does not protrude from the both ends in the Y direction of (61) (range between Yu line and Yd line in FIG.). Simi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ase bodies 55 and 56 are also formed in the longest length dimension in the range which is satisfactory in a structure and a stretch operation.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 토막부(70c)의 Y 방향의 크기 치수(L1)」가, 「둥근 토막부(70a)의 직경 치수(L2)」에 「둥근 토막부(70a)의 최대 가동 거리(Δymax)」를 가산한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ize dimension L1 of the middle part 70c of the middle part 70c" is the "diameter dimension L2 of the round part 70a", and the maximum of the round part 70a.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size which added the movable distance (DELTA) ymax ".

또, 둥근 토막부(70a)가 중간 토막부(70c)의 양단(도 17에 나타내는 Ya선과 Yb선 사이)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게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round part 70a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not protrude from the both ends (between Ya line and Yb line shown in FIG. 17) of the middle part 70c.

또한, 상기의 「둥근 토막부(70a)의 최대 가동 거리(Δymax)」란, 팬터그래프 잭(50)의 조작에 의해 이동하는 둥근 토막부(70a)의 Y 방향에 있어서의 이동 거리의 최대치를 말한다.In addition, said "maximum movable distance (Dayymax) of the round part 70a" says the maximum value of the moving distance in the Y direction of the round part 70a which moves by operation of the pantograph jack 50. FIG. .

구체적으로는, 도 17에 나타내듯이, 팬터그래프 잭(50)에 의해 하부 베이스(61)를 이동시키면, 팬터그래프 잭(50)을 지지하고 있는 둥근 토막부(70a)가 이동한다(예를 들면, 도 17 (a) 내지 도 17 (b)에 나타내듯이, 둥근 토막부(70a)의 위치가 이동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7, when the lower base 61 is moved by the pantograph jack 50, the round part 70a which supports the pantograph jack 50 moves (for example, FIG. As shown in 17 (a) to 17 (b), the position of the round part 70a is moved).

그리고, 상기와 같이 중간 토막부(70c) 및 둥근 토막부(70a)를 구성함으로써, 팬터그래프 잭(50)의 조작에 의해 팔레트(P)의 크기를 조절해도(어느 크기로 설정해도), 반드시 지게차의 포크(90) 사이에 둥근 토막부(70a)를 배치시킬 수가 있음과 아울러, 팔레트(P)의 X 방향의 중심에 항상 둥근 토막부(70a)를 유지할 수가 있다.Then, by configuring the intermediate portion 70c and the round portion 70a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size of the pallet P is adjusted (set to any size) by the operation of the pantograph jack 50, it is always forklift. The rounded portion 70a can be disposed between the forks 90, and the rounded portion 70a can be always maintained at the center of the pallet P in the X direction.

다음에, 데크 보드 유닛(1)의 구성을 도 19 내지 도 2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deck board unit 1 is demonstrated based on FIGS. 19-26.

여기서, 도 19는 본 실시 형태의 데크 보드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또, 도 20은 본 실시 형태의 데크 보드 유닛의 제1외측 데크 보드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0 (a)는 제1외측 데크 보드를 이면으로부터 본 모식도이고, 도 20 (b)는 제1외측 데크 보드의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Here, FIG. 19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deck board unit of this embodiment. 20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1st outer deck board of the deck board unit of this embodiment, FIG. 20 (a)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looked at the 1st outer deck board from the back surface, and FIG.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cross section of an outer deck board.

또, 도 21은 본 실시 형태의 데크 보드 유닛의 제1내측 데크 보드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1 (a)는 제1내측 데크 보드를 이면으로부터 본 모식도이고, 도 21 (b)는 제1내측 데크 보드의 단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21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1st inner deck board of the deck board unit of this embodiment, FIG. 21 (a)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looked at the 1st inner deck board from the back surface, and FIG. (1)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ed the cross section of an inner deck board.

또, 도 22 및 도 23은 본 실시 형태의 데크 보드 유닛의 잭 기구의 모식도이다.22 and 23 are schematic views of the jack mechanism of the deck board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또, 도 24 및 도 25는 본 실시 형태의 데크 보드 유닛을 구성하는 팬터그래프 기구와 잭 기구의 접속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24 and 25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pantograph mechanism and the jack mechanism that constitute the deck board unit of the present embodiment.

또, 도 26은 본 실시 형태의 데크 보드 유닛을 구성하는 팬터그래프 기구의 모식도이다.26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antograph mechanism which comprises the deck board unit of this embodiment.

도 19에 나타내듯이, 데크 보드 유닛(1)은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데크 보드(10)와, 복수의 데크 보드(10)의 이면에 부착된 Y 방향(데크 보드(10)의 짧은 방향)으로 신축하는 팬터그래프 기구(20(20a, 20b))와, 팬터그래프 기구(20)를 신축 동작시키는 잭 기구(30)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9, the deck board unit 1 has the several deck boards 10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and the Y direction (short direction of the deck board 10)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veral deck boards 10. As shown in FIG. And a pantograph mechanism 20 (20a, 20b) to expand and contract, and a jack mechanism 30 to stretch and operate the pantograph mechanism 20.

이하, 「데크 보드(10)」, 「팬터그래프 기구(20)」, 「잭 기구(30)」의 순으로 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structure is explained in full detail in order of the "deck board 10", the "pantograph mechanism 20", and the "jack mechanism 30."

먼저, 복수의 데크 보드(10)의 구조를 설명한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some deck board 10 is demonstrated.

복수의 데크 보드(10)는 제1외측 데크 보드(10a)와, 제1내측 데크 보드(10b)와, 중앙 데크 보드(10c)와, 제2내측 데크 보드(10d)와, 제2외측 데크 보드(10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deck boards 10 includes a first outer deck board 10a, a first inner deck board 10b, a center deck board 10c, a second inner deck board 10d, and a second outer deck. It is comprised by the board 10e.

또, 상기 데크 보드(10)는 도시하는 Y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 제1외측 데크 보드(10a), 제1내측 데크 보드(10b), 중앙 데크 보드(10c), 제2내측 데크 보드(10d), 제2외측 데크 보드(10e)의 순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said deck board 10 is the 1st outer deck board 10a, the 1st inner deck board 10b, the center deck board 10c, and the 2nd inner side from the one end side in the Y direction to the other end side. The deck board 10d and the 2nd outer deck board 10e are arrange | positioned in parallel in order.

또한, 이들 데크 보드(10)는 예를 들면 목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se deck boards 10 are formed with wood, for example.

또,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듯이, 제1외측 데크 보드(10a)(또는 제2외측 데크 보드(10e))는, 평면시 장방형의 판재를 긴 방향(Y 방향)의 도중에서 2분할로 절단하여 형성된 평면시 L자 형상의 제1보드(10a1)(또는 제1보드(10e1))와, 평면시 L자 형상의 제2보드(10a2)(또는 제2보드(10e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19 and FIG.20, the 1st outer deck board 10a (or 2nd outer deck board 10e) divides a planar rectangular board | plate material in two direc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direction). Consists of a planar L-shaped first board 10a1 (or first board 10e1) formed by cutting, and a second board 10a2 (or second board 10e2) of L-shaped in plan view. It is.

또한, 「제1보드(10a1)(또는 제1보드(10e1))」 및 「제2보드(10a2)(또는 제2보드 10e2)」는 모두, 절단면이 단차상으로 형성되고, 서로의 절단면(단차부)을 맞닿게 하여 끼워맞춘 상태로 하면, 평면시 장방형으로 형성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s for "the 1st board 10a1 (or 1st board 10e1)" and the "2nd board 10a2 (or 2nd board 10e2)", the cut surface is formed in step shape, and the cut surface of each other ( When the step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formed in a planar rectangular shape.

또, 「제1보드(10a1)(또는 제1보드(10e1))」 및 「제2보드(10a2)(또는 제2보드 10e2)」는 모두, 이면에 직사각형 오목상의 가이드홈(10a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10a3)에는 팬터그래프 기구(20)의 자유단에 부착된 슬라이딩 핀(23)이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삽입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s for "the 1st board 10a1 (or 1st board 10e1)" and the "2nd board 10a2 (or 2nd board 10e2)", the rectangular recessed guide groove 10a3 is formed in the back surface. It is. The sliding pin 23 attached to the free end of the pantograph mechanism 20 is freely inserted in this guide groove 10a3.

또, 도 19 및 도 21에 나타내듯이, 제1내측 데크 보드(10b)(또는 제2내측 데크 보드(10d))는 평면시 장방형의 판재를 긴 방향(Y 방향)의 도중에서 2분할로 절단하여 형성된 평면시 L자 형상의 제1보드(10b1)(또는 제1보드(10d1))와, 평면시 L자 형상의 제2보드(10b2)(또는 제2보드(10d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19 and 21, the first inner deck board 10b (or the second inner deck board 10d) cuts a rectangular plate in planar view into two sections in the middl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direction). Formed by a planar L-shaped first board 10b1 (or first board 10d1) and a planar L-shaped second board 10b2 (or second board 10d2) have.

또한, 「제1보드(10b1)(또는 제1보드(10d1))」 및 「제2보드(10b2)(또는 제2보드(10d2))」는 모두, 절단면이 단차상으로 형성되고, 서로의 절단면(단차부)을 맞닿게 하여 끼워맞춘 상태로 하면, 평면시 장방형으로 형성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s for the "1st board 10b1 (or 1st board 10d1)" and "2nd board 10b2 (or 2nd board 10d2)", the cut surface is formed in step shape, and mutually When the cut surfaces (step portion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ut surfaces (steps) are formed in a planar rectangular shape.

또, 도 19에 나타내듯이, 「제1보드(10b1)(또는 제1보드(10d1))」 및 「제2보드(10b2)(또는 제2보드(10d2))」는 그 이면에, 팬터그래프 기구(20)의 암(21a, 21b)의 교차부를 연결한 제1추축핀(21c)이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게 되어 있다.19, the "first board 10b1 (or 1st board 10d1)" and "2nd board 10b2 (or 2nd board 10d2)" have a pantograph mechanism on the back surface thereof. Rotation is attached freely to the 1st axis pin 21c which connected the intersection part of the arm 21a, 21b of (20).

또한, 후술하지만, 제1추축핀(21c)의 단부(하단부)에는 러너(15)가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although mentioned later, the runner 15 is attached to the edge part (lower end part) of the 1st axis pin 21c.

또, 도 19에 나타내듯이, 중앙 데크 보드(10c)는, 평면시 장방형의 판재를 긴 방향(Y 방향)의 도중에서 2분할로 절단하여 형성된 평면시 장방형의 제1보드(10c1)와, 평면시 장방형의 제2보드(10c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9, the center deck board 10c is a planar rectangular 1st board 10c1 formed by cutting | disconnecting the planar rectangular plate | board material in 2 divis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 direction), and a plane It is comprised by the rectangular 2nd board 10c2.

또, 중앙 데크 보드(10c)와 상기 제1내측 데크 보드(10b) 사이에는 잭 기구(30)가 배치되어 있다.Moreover, the jack mechanism 30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center deck board 10c and the said 1st inner deck board 10b.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보드(10c1)의 긴 측의 측면에, 잭 기구(30)를 구성하는 케이스체(32)가 고정되어 있다. 또, 제2보드(10c2)의 긴 측의 측면에는, 잭 기구(30)를 구성하는 케이스체(33)가 고정되어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the case body 32 which comprises the jack mechanism 30 is being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long side of the 1st board 10c1. Moreover, the case body 33 which comprises the jack mechanism 30 is being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long side of the 2nd board 10c2.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케이스체(32, 33)는 Y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데크 보드 스토퍼(83)를 따라 X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such a configuration, the case bodies 32 and 33 do not move in the Y direction, but are movable only in the X direction along the deck board stopper 83.

또한, 케이스체(32, 33)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X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구성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보드(10c1), 제2보드(10c2)가 하부 베이스(61)에 고정되고, 케이스체(32, 33)가 슬라이드 레일(제1보드(10c1), 제2보드(10c2)에 부착된 슬라이드 레일) 등에 의해, X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도 좋다.In addition, the structure which makes it possible to move only in an X direction, without moving the case bodies 32 and 33 to a Y direc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structure. For example, the first board 10c1 and the second board 10c2 are fixed to the lower base 61, and the case bodies 32 and 33 are slide rails (the first board 10c1 and the second board 10c2). ) May be configured to slide in the X direction.

또, 제1외측 데크 보드(10a)를 구성하는 제1보드(10a1)는, 베이스 유닛(5)을 구성하는 한 쌍의 베이스부(60) 중의 일방의 베이스부(60)(슬라이딩판(62)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볼트,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Moreover, the 1st board 10a1 which comprises the 1st outer deck board 10a is one base part 60 (sliding board 62) among the pair of base parts 60 which comprise the base unit 5. End)) (fixed with bolts, screws, etc.).

또, 제1외측 데크 보드(10a)를 구성하는 제2보드(10a2)는, 베이스 유닛(5)을 구성하는 한 쌍의 베이스부(60)의 타방의 베이스부(60)(슬라이딩판(62)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볼트,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Moreover, the 2nd board 10a2 which comprises the 1st outer deck board 10a is the other base part 60 (sliding board 62) of the pair of base part 60 which comprises the base unit 5 End)) (fixed with bolts, screws, etc.).

또, 제2외측 데크 보드(10e)를 구성하는 제1보드(10e1)는, 베이스 유닛(5)을 구성하는 한 쌍의 베이스부(60) 중의 일방의 베이스부(60)(슬라이딩판(62)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볼트,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Moreover, the 1st board 10e1 which comprises the 2nd outer deck board 10e is one base part 60 (sliding board 62) among the pair of base parts 60 which comprise the base unit 5. As shown in FIG. End)) (fixed with bolts, screws, etc.).

또, 제1외측 데크 보드(10e)를 구성하는 제2보드(10e2)는, 베이스 유닛(5)을 구성하는 한 쌍의 베이스부(60) 중의 타방의 베이스부(60)(슬라이딩판(62)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볼트,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Moreover, the 2nd board 10e2 which comprises the 1st outer deck board 10e has the other base part 60 (sliding board 62) in the pair of base part 60 which comprises the base unit 5. As shown in FIG. End)) (fixed with bolts, screws, etc.).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데크 보드(10)(제1외측 데크 보드(10a), 제1내측 데크 보드(10b), 중앙 데크 보드(10c), 제2내측 데크 보드(10d), 제2외측 데크 보드(10e)) 중 양단(Y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배치된 데크 보드(10)(제1외측 데크 보드(10a), 제2외측 데크 보드(10e))가 베이스부(60)(슬라이딩판(62)의 단부)에 고정되게 되어 있다.Thus, in this embodiment, the some deck board 10 (1st outer deck board 10a, the 1st inner deck board 10b, the center deck board 10c, the 2nd inner deck board 10d, the 1st) The deck board 10 (the 1st outer deck board 10a, the 2nd outer deck board 10e) arrange | positioned at both ends (both ends in a Y direction) among the 2 outer deck boards 10e is a base part 60 (The end of the sliding plate 62).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슬라이딩판(62)이 지지부로서 기능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부는 슬라이딩판(6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liding plate 62 functions as a support part in the said structure, in this invention, the said support part is not limited to the sliding plate 62. As shown in FIG.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치수 가변 팔레트의 구성으로서는, 슬라이딩판(62) 그 자체가 없는 구성도 있을 수 있다. 그 경우, 예를 들면, 모서리 토막부(70b)에 고정된 L형 지지 금구(71)에, 상기 Y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 배치된 데크 보드(10)를 직접 부착하는 구성으로 되고, L형 지지 금구(71)(및 모서리 토막부(70b))가 지지부로서 기능하게 된다.For example, as a structure of the dimension variable palle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he structure which does not have the sliding plate 62 itself may be sufficient. In that case, it becomes the structure which directly attaches the deck board 10 arrange | positioned at the both ends in the said Y direction, for example to the L-shaped support bracket 71 fixed to the edge part 70b. The supporting bracket 71 (and the corner part 70b) will function as a supporting part.

또, 이 경우, 하부 베이스(61)는 데크 보드(10)와 L형 지지 금구(71)와 모서리 토막부(70b)의 적어도 어느 것인가와, 걸어맞춤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Y 방향으로만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걸어맞춰진다. 상기 걸어맞춤 수단은 예를 들면, 걸어맞춰지는 일방에 설치된 Y 방향으로 뻗는 레일(도시하지 않음)과, 타방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걸어맞춰지는 러너(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팬터그래프 잭(50)의 조작에 의해 한 쌍의 하부 베이스(61)를 데크 보드(10)의 긴 방향(X 방향)으로 이동시켰을(갈라놓았을) 때, 복수의 데크 보드(10)의 짧은 측(Y 방향)의 양단부를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싣는 면의 크기를 변경할 수가 있다.In this case, the lower base 61 is in the Y direction by at least one of the deck board 10, the L-shaped support bracket 71, and the corner chip portion 70b, and the engaging means (not shown). Only sliding freely engages. The engaging means is, for example, by a rail (not shown) extending in the Y direction provided on one side to be engaged, and a runner (not shown)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sliding freely along the rail. It can be configured. 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pair of lower bases 61 are moved (divided) in the long direction (the X direction) of the deck board 10 by the operation of the pantograph jack 50, the plurality of deck boards ( The size of the surface to be mounted can be changed in the state which aligned both ends of the short side (Y direction) of 10).

또, 제1내측 데크 보드(10b) 및 제2내측 데크 보드(10d)는 모두, 이면에 부착된 러너(15)가 베이스부(60)의 제1가이드 레일(64)(도 12 참조)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삽통됨으로써, 베이스부(60)에 부착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s for the 1st inner deck board 10b and the 2nd inner deck board 10d, the runner 15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is attached to the 1st guide rail 64 of the base part 60 (refer FIG. 12). By sliding freely, it is attached to the base part 60.

이와 같이, 제1내측 데크 보드(10b) 및 제2내측 데크 보드(10d)는 러너(15)를 개재하여 베이스부(60)의 제1가이드 레일(64)에 부착됨으로써, 베이스부(60)의 X 방향으로의 동작과 함께, X 방향으로 동작하게 되어 있다.As such, the first inner deck board 10b and the second inner deck board 10d are attached to the first guide rail 64 of the base part 60 via the runner 15, thereby providing the base part 60.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in the X direction, the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X direction.

또, 제1외측 데크 보드(10a), 제1내측 데크 보드(10b), 제2내측 데크 보드(10d), 및 제2외측 데크 보드(10e)의 긴 측의 양단부에는 각각, 단면 C자상의 데크 보드 가이드(11)가 맞닿아 있다.In addition, on both ends of the long side of the 1st outer deck board 10a, the 1st inner deck board 10b, the 2nd inner deck board 10d, and the 2nd outer deck board 10e, it is a C-shaped cross section, respectively. Deck board guide 11 abuts.

이 데크 보드 가이드(11)는 예를 들면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is deck board guide 11 is comprised by the metal, for example.

그리고, 각 데크 보드(제1외측 데크 보드(10a), 제1내측 데크 보드(10b), 제2내측 데크 보드(10d), 및 제2외측 데크 보드(10e))의 일방의 단부에 맞닿아 있는 데크 보드 가이드(11)는, 볼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제1데크 보드(10a1, 10b1, 10c1, 10e1)에 고정되어 있다.And one end part of each deck board (1st outer deck board 10a, 1st inner deck board 10b, 2nd inner deck board 10d, and 2nd outer deck board 10e) abuts, The deck board guide 11 which is present is fixed to the first deck boards 10a1, 10b1, 10c1, 10e1 by fixing means such as bolts.

또, 각 데크 보드(제1외측 데크 보드(10a), 제1내측 데크 보드(10b), 제2내측 데크 보드(10d), 및 제2외측 데크 보드(10e))의 타방의 단부에 맞닿아 있는 데크 보드 가이드(11)는, 볼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제2데크 보드(10a2, 10b2, 10c2, 10e2)에 고정되어 있다.Moreover, the other end part of each deck board (1st outer deck board 10a, 1st inner deck board 10b, 2nd inner deck board 10d, and 2nd outer deck board 10e) abuts The deck board guide 11 which is present is fixed to the second deck boards 10a2, 10b2, 10c2, and 10e2 by fixing means such as bolts.

또, 도 20 (b)에 나타내듯이, 제1데크 보드(10a1)(제2데크 보드(10a2)도 마찬가지)는 모두, 데크 보드 가이드(11)가 맞닿는 위치(긴 측의 양단부)에, 데크 보드 가이드(11)의 두께 치수분 오목한 끼워맞춤홈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to FIG. 20 (b), all the deck deck guides 10a1 (similarly to the 2nd deck board 10a2) have the deck in the position (both ends of a long side) which the deck board guide 11 abuts. The recessed fitting groove is formed in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board guide 11.

상기의 구성에 의해, 제1데크 보드(10a1)(제2데크 보드(10a2)도 마찬가지)는 모두, 데크 보드 가이드(11)가 맞닿아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면 및 양 측면이 평탄면을 형성한다(하나의 면으로 된다). 이에 의해 평탄한 싣는 면(R)을 가지는 팔레트(P)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both the first deck board 10a1 (the same as the second deck board 10a2) has a flat surface in the state where the deck board guide 11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One side) Thereby, the pallet P which has the flat loading surface R is provided.

또한, 「제1내측 데크 보드(10b), 제2내측 데크 보드(10d) 및 제2외측 데크 보드(10e)」는 모두, 제1외측 데크 보드(10a)와 마찬가지의 구조(데크 보드 가이드(11)의 부착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1st inner deck board 10b, the 2nd inner deck board 10d, and the 2nd outer deck board 10e" all have the structure similar to the 1st outer deck board 10a (deck board guide ( 11) an attachment structure).

다음에, 팬터그래프 기구(20)의 구조를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pantograph mechanism 20 is demonstrated.

도 19, 도 27에 나타내듯이, 팬터그래프 기구(20)는 한 쌍의 판상(또는 봉상)의 암(21a, 21b)을 X자상으로 교차시키고, 그 교차부를 제1추축핀(21c)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한 링크 부재(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암(21a) 및 암(21b)은 같은 판 두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19 and 27, the pantograph mechanism 20 crosses a pair of plate-shaped (or rod-shaped) arms 21a and 21b in an X-shape, and the intersection is rotated by the first axis pin 21c. It is comprised by the link member 21 connected freely. In addition, the arm 21a and the arm 21b are formed in the same plate | board thickness dimension.

구체적으로는, 팬터그래프 기구(20)는 데크 보드(10)의 짧은 방향(Y 방향)과 평행하게 2개의 링크 부재(21)를 늘어놓고 또한 인접하는 링크 부재(21)의 단부끼리(인접하는 단부끼리)를 제2추축핀(22)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pantograph mechanism 20 arranges two link members 21 in parallel with the short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deck board 10, and ends of adjacent link members 21 (adjacent ends). A structure in which rotation is free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axis pins 22 is adopted.

그리고, 팬터그래프 기구(20)는 일방면(이면)이 베이스 유닛(5)의 베이스부(60)의 상면에 놓이고, 타방면(표면)이 데크 보드(10)의 이면에 부착된다(팬터그래프 기구(20)는 데크 보드(10)와 베이스부(60) 사이에 끼인다).The pantograph mechanism 20 has one surface (rear surfa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60 of the base unit 5, and the other surface (surface)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eck board 10 (pantograph mechanism ( 20 is sandwiched between deck board 10 and base portion 60).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팬터그래프 기구(20)는, 도 27에 나타내듯이, 암(21b)을 상측(데크 보드(10)측)으로 하고, 암(21a)을 하측(베이스부(60)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암(21a) 및 암(21b)을 교차시키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antograph mechanism 20 of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27, the arm 21b is made into the upper side (the deck board 10 side), and the arm 21a is made into the lower side (base part 60 side). The arm 21a and the arm 21b are crossed | intersected in the state arrange | positioned at.

또, 팬터그래프 기구(20)는 양측의 자유단에 슬라이딩 핀(23)이 부착되고, 일방의 자유단에 부착된 슬라이딩 핀(23)이 제1외측 데크 보드(10a)의 이면의 가이드홈(10a3)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삽통되게 되어 있다.In the pantograph mechanism 20, sliding pins 23 are attached to free ends on both sides, and sliding pins 23 attached to one free end are guide grooves 10a3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outer deck board 10a. ) Is sliding freely.

또, 타방의 자유단에 부착된 슬라이딩 핀(23)이 제2외측 데크 보드(10e)의 가이드홈(10a3)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삽통되게 되어 있다.Moreover, the sliding pin 23 attached to the other free end is made to slide freely through the guide groove 10a3 of the 2nd outer deck board 10e.

또한, 도 27에 나타내듯이, 팬터그래프 기구(20a)의 자유단 중 암(21a)의 자유단에는, 암(21b)과 동일한 판 두께 치수의 스페이서(판상 부재)(25)가 부착된 다음 슬라이딩 핀(23)이 삽통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7, the free end of the arm 21a among the free ends of the pantograph mechanism 20a is provided with a spacer 25 having the same plate thickness as the arm 21b, and then a sliding pin. (23) is inserted.

상기 스페이서(25)에 의해, 베이스부(60)의 맞닿음부(암(21b), 슬라이딩 핀(23)의 두부, 스페이서(25))의 수직 방향(도 20 (b)에 나타내는 Z 방향)의 위치를 가지런히 할 수가 있다(하나의 면으로 할 수 있다).By the spacer 25,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butting portion (arm 21b, head of sliding pin 23, spacer 25) of base portion 60 (Z direction shown in Fig. 20 (b)) The position of can be aligned (one side).

이에 의해 팬터그래프 기구(20)와 외측 데크 보드(제1외측 데크 보드(10a), 제2외측 데크 보드(10e)) 사이의 덜거덕거림이 방지된다.This prevents rattling between the pantograph mechanism 20 and the outer deck board (the first outer deck board 10a and the second outer deck board 10e).

또, 팬터그래프 기구(20a)를 구성하는 링크 부재(21)의 교차부를 연결한 제1추축핀(21c)은, 그 일단부(상단부)가 제1내측 데크 보드(10b)(및 제2내측 데크 보드(10d))의 이면에 회전이 자유롭게 삽입된다.In addition, one end portion (upper end) of the first axis pin 21c connecting the intersection of the link members 21 constituting the pantograph mechanism 20a has a first inner deck board 10b (and a second inner deck). Rotation is freely inser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oard 10d.

또, 제1추축핀(21c)은 타단부측(하단부측)이 상기 교차부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 러너(15)가 부착되어 있다.Moreover, the 1st axis pin 21c is formed so that the other end side (lower end side) may protrude from the said intersection part, and the runner 15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part.

그리고, 상기 러너(15)는 상술한 베이스부(60)의 슬라이딩판(62)에 끼워맞춰져 있는 제1가이드 레일(64)(도 12 참조)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삽통되게 되어 있다.The runner 15 slides freely through the first guide rail 64 (see FIG. 12) fitted to the sliding plate 62 of the base portion 60 described above.

또, 팬터그래프 기구(20)를 구성하는 링크 부재(21)의 단부끼리를 연결한 2개의 제2추축핀(22)이 잭 기구(30)에 부착되어 있다.In addition, two second axis pins 22 which are connected to end portions of the link members 21 constituting the pantograph mechanism 20 are attached to the jack mechanism 30.

구체적으로는, 도 19에 나타내듯이, 팬터그래프 기구(20)의 링크 부재(21)의 단부끼리를 연결한 2개의 제2추축핀(22)의 일방이 잭 기구(30)의 케이스체(32)(또는 케이스체(33))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9, one of the two second axis pins 22 that connects the ends of the link members 21 of the pantograph mechanism 20 is the case body 32 of the jack mechanism 30. (Or rotation is freely attached to the case body 33).

또, 상기 제2추축핀(22)의 타방이 잭 기구(30)의 케이스체(32)(또는 케이스체(33))의 하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32a)(또는 가이드홈(33a))에 회전 및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삽통되고, 또한 잭 기구(30)의 가동 연결부(34)(또는 가동 연결부(35))에 연결되어 있다.Moreover, the guide groove 32a (or guide groove 33a) formed in the lower surface part of the case body 32 (or the case body 33) of the jack mechanism 30 in the other side of the said 2nd axis pin 22. As shown in FIG. Rotation and sliding are inserted freely, and are connected to the movable connection part 34 (or the movable connection part 35) of the jack mechanism 30.

상기의 구성에 의해, 잭 기구(30)의 가동 연결부(34, 35)를 이동시킴으로써, 데크 보드(10)의 이면에 부착된 팬터그래프 기구(20)를 Y 방향으로 신축시킬 수가 있다.By the above structure, the pantograph mechanism 20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eck board 10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in the Y direction by moving the movable connection parts 34 and 35 of the jack mechanism 30.

상기 신축 동작에 의해, 각 데크 보드(10)의 방향(긴 방향(X 방향)의 방향)을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짧은 방향(Y 방향)과 평행하게 데크 보드(10)를 이동시킬 수가 있다. 즉, 상기의 신축 동작에 의해, 인접하는 데크 보드(10)끼리의 간격을 변경할 수가 있다(넓히거나 좁히거나 할 수가 있다).By the stretching operation, the deck board 10 can be moved in parallel with the short direction (Y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deck board 10 (the direction of the long direction (the X direction)) is aligned. . That is, by the above-mentioned stretching operation,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deck boards 10 can be changed (it can be made wider or narrowed).

다음에, 잭 기구(30)의 구조를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jack mechanism 30 is demonstrated.

또한, 잭 기구(30)는 상술한 잭 기구(57)와 마찬가지로, 주지의 「나사식 잭」의 구성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간략화한다.In addition, since the jack mechanism 30 is realized by the structure of a well-known "screw type jack" similarly to the jack mechanism 57 mentioned above, the description is simplified.

도 19, 도 22, 도 23에 나타내듯이, 잭 기구(30)는 중앙 데크 보드(10c)의 측면에 부착된 케이스체(32) 및 케이스체(33)와, 케이스체(32) 및 케이스체(33) 사이에 배치된 중공 각통상의 연결부(36)와, 케이스체(32)를 관통하는 스크류 로드(봉상의 볼트)(31a)와, 케이스체(33)를 관통하는 스크류 로드(봉상의 볼트)(31b)를 가지고 있다.As shown to FIG. 19, FIG. 22, FIG. 23, the jack mechanism 30 has the case body 32 and the case body 33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center deck board 10c, and the case body 32 and the case body. Hollow cylindrical connecting portion 36 disposed between the 33, screw rod (rod-shaped bolt) 31a penetrating the case body 32, and screw rod (rod-shaped) penetrating the case body 33 Bolt) 31b.

또한, 도시하는 케이스체(32) 및 케이스체(33)는 편의상 덮개가 설치되지 않지만, 특히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덮개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ver is not provided in the case body 32 and the case body 33 shown in figure for convenience, it is not limited to this especially (the cover may be provided).

또, 스크류 로드(31a)에는 스크류 로드(31a)의 축 상을 당해 축 방향(X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가동 연결부(34)가 삽통되어 있다. 또, 스크류 로드(31b)에는 스크류 로드(31b)의 축 상의 당해 축 방향(X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가동 연결부(35)가 삽통되어 있다.Moreover, the movable connecting part 34 which reciprocates on the axial direction (X direction) of the screw rod 31a is inserted in the screw rod 31a. Moreover, the movable connection part 35 which reciprocates in the said axial direction (X direction) on the shaft of the screw rod 31b is inserted in the screw rod 31b.

또한, 케이스체(32)에는 스크류 로드(31a)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37)(도 23 참조)가 부착되어 있다. 또, 케이스체(33)에는 스크류 로드(31b)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37)(도 22 참조)가 부착되어 있다.The case body 32 is also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37 (see FIG. 23) for fixing the screw rod 31a. In addition, a fixing member 37 (see FIG. 22) that fixes the screw rod 31b is attached to the case body 33.

구체적으로는,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듯이, 케이스체(32) 및 케이스체(33)는 모두 중공의 상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술한 것처럼, 케이스체(32)는 제1보드(10c1)의 측면에 부착되고, 케이스체(33)는 제2보드(10c2)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2 and FIG. 23, both the case body 32 and the case body 33 are formed in a hollow box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case body 32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first board 10c1, and the case body 33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second board 10c2.

또,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내듯이, 케이스체(32)(또는 케이스체(33))는 그 하면부에 가이드홈(32a)(또는 가이드홈(33a))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4 and FIG. 25, the guide body 32a (or guide groove 33a)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part of the case body 32 (or case body 33).

또, 스크류 로드(31a)와 스크류 로드(31b)가 중공 각통상의 연결부(36)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Moreover, the screw rod 31a and the screw rod 31b are connected through the hollow square cylindrical connection part 36. As shown in FIG.

또, 도 23에 나타내듯이, 스크류 로드(31a)는 케이스체(32)의 일단측(도 중의 하단측)의 측면(짧은 측 측면)으로부터 타단측(도 중의 상단측)의 측면(짧은 측 측면)을 관통하고, 또한 케이스체(32)의 타단측의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한 연결부(36)의 통 내에 삽통되어 있다(스크류 로드(31a)의 상단부가 연결부(36)의 통 내까지 뻗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23, the screw rod 31a has the side surface (short side side) from the side surface (short side side) of the one end side (lower side side in figure) of the case body 32 to the other end side (upper side in figure). ) Is penetrated into the cylinder of the connection part 36 arrange | positioned adjacent to the side surface of the other end side of the case body 32 (the upper end part of the screw rod 31a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of the connection part 36). ).

또, 스크류 로드(31a)는 봉상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일단부측이 케이스체(32)의 짧은 측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그 돌출한 일단부에 환상의 조작부(31a1)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while the screw rod 31a has a screw formed in the rod-shaped part, one end part protrudes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short side of the case body 32, and the annular operation part 31a1 is formed in the one end which protruded. It is.

또, 스크류 로드(31a)의 상단부(도 중에 있어서의 상단부)에는, 연결부(36)의 통 내에 끼워지고(맞닿고) 또한 연결부(36)의 축 방향을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동작하는 끼워맞춤부(31a2)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fitting part 31a2 which fits (abuts) in the cylinder of the connection part 36, and slides freely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36 to the upper end part (the upper part in a figure) of the screw rod 31a. ) Is formed.

그리고, 스크류 로드(31a)는 조작부(31a1)를 회전 조작하면 축선(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 상기와 같이 스크류 로드(31a)가 회전하면, 그 회전에 맞추어, 스크류 로드(31a)의 끼워맞춤부(31a2)가 끼워진 연결부(36)가 회전하게 되어 있다.And when the screw rod 31a rotates the operation part 31a1, it rotates about an axis line (rotation shaft). Moreover, when the screw rod 31a rotates as mentioned above, the connection part 36 with which the fitting part 31a2 of the screw rod 31a was fitted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또, 도 22에 나타내듯이, 스크류 로드(31b)는 케이스체(33)의 일단측(도 중의 하단측)의 측면(짧은 측 측면)을 관통하여 타단측(도 중의 상단측)의 측면(짧은 측 측면)까지 연설(延設)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2, the screw rod 31b penetrates the side surface (short side surface) of the one end side (lower side side in figure) of the case body 33, and the side surface (short side of the upper end side in FIG.) Is short. Side to side).

또, 스크류 로드(31b)는 그 일단측(도 중의 하단측)이 케이스체(32)의 일단측의 측면에 인접시켜 배치한 연결부(36)의 통 내에 삽통하고 있다(도 22에 나타내는 하단부가 연결부(36)의 통 내까지 뻗어 있다).Moreover, the screw rod 31b penetrates into the barrel of the connection part 36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one end side (lower end side in FIG.) May be adjacent to the side surface of the one end side of the case body 32 (the lower end part shown in FIG. 22). Extending into the barrel of the connecting portion 36).

또, 스크류 로드(31b)의 하단부(도 중에 있어서의 하단부)에는, 연결부(36)의 통 내에 끼워져 있는 끼워맞춤부(31b2)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fitting part 31b2 fitted in the cylinder of the connection part 36 is formed in the lower end part (lower part in the figure) of the screw rod 31b.

이 구성에 의해, 스크류 로드(31a)를 회전시키면, 그에 따라 회전하는 연결부(36)의 회전에 맞추어, 스크류 로드(31b)가 회전하게 되어 있다.By this structure, when the screw rod 31a is rotated, the screw rod 31b is made to rotate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connection part 36 which rotates accordingly.

또한, 연결부(36)의 타단부(도 22에 있어서의 상단부)는 케이스체(33)의 일단측의 측면(짧은 측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Moreover, the other end part (the upper end part in FIG. 22) of the connection part 36 is being fixed to the side surface (short side surface side) of the one end side of the case body 33. As shown in FIG.

또 가동 연결부(34)(및 가동 연결부(35))는 스크류 로드(31a)(및 스크류 로드(31b))가 삽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의 내주부에 상기 봉상부의 나사에 나합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ovable connection part 34 (and the movable connection part 35) is provided with the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screw rod 31a (and the screw rod 31b) are inserted, and screwed into the screw of the said rod part in the inner peripheral part of the through-hole. The thread part is formed.

또, 가동 연결부(34)(도 23, 도 24 참조)는 케이스체(32)의 내부에 배치되고, 케이스체(32)의 가이드홈(32a)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삽통된 제2추축핀(22)(인접하는 링크 부재(21)끼리를 연결한 제2추축핀(22))이 부착되어 있다.Further, the movable connecting portion 34 (see FIGS. 23 and 24) is disposed inside the case body 32, and the second pivot pin 22 in which the sliding groove is free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2a of the case body 32. (The 2nd axis pin 22 which connected the adjacent link members 21 comrades) is attached.

또, 가동 연결부(35)(도 22, 도 25 참조)는 케이스체(33)의 내부에 배치되고, 케이스체(33)의 가이드홈(33a)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삽통된 제2추축핀(22)이 부착되어 있다.Moreover, the movable connecting part 35 (refer FIG. 22, FIG. 25) is arrange | positioned inside the case body 33, and the 2nd axis pin 22 in which sliding slidingly inserted in the guide groove 33a of the case body 33 is carried out. ) Is attached.

상기의 구성에 의해, 잭 기구(30)의 조작부(31a1)에 의해 스크류 로드(31a)를 회전시킴으로써, 연결부(36)를 개재하여 스크류 로드(31b)가 회전한다.By the above structure, the screw rod 31b is rotated via the connection part 36 by rotating the screw rod 31a by the operation part 31a1 of the jack mechanism 30. As shown in FIG.

이에 의해 스크류 로드(31a)에 나합한 가동 연결부(34)(및 스크류 로드(31b)에 나합한 가동 연결부(35))를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가동 연결부(34, 35)에 접속된 제2추축핀(22)을 이동시키고(X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팬터그래프 기구(20a, 20b)의 마름모 틀을 신축시킬 수가 있다(링크 부재(21)의 교차각을 바꾸어 팬터그래프 기구(20a, 20b)를 Y 방향으로 신축시킬 수가 있다).Thereby, the movable connection part 34 (and the movable connection part 35 which matched with the screw rod 31b) screwed to the screw rod 31a is moved, and the 2nd axis connected to the movable connection parts 34 and 35 by this is carried out. The pin 22 is moved (moved in the X direction), and the lozenges of the pantograph mechanisms 20a and 20b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the cross angle of the link members 21 is changed so that the pantograph mechanisms 20a and 20b are Y Direction can be stretched).

그리고, 잭 기구(30)를 조작함으로써, 각 데크 보드(10)의 방향(긴 방향(X 방향)의 방향)을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팬터그래프 기구(20)의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데크 보드(10)의 짧은 방향(Y 방향)으로, 팬터그래프 기구(20)가 지지하는 각 데크 보드(10)를 이동시키고 인접하는 데크 보드(10)끼리의 간격을 바꾸고 싣는 면(R)의 크기를 변경할 수가 있다.And by operating the jack mechanism 30, the deck board is sandwiched between the center part of the pantograph mechanism 20, in the state which prepared the direction (direction of a long direction (X direction)) of each deck board 10. In the short direction (Y direction) of (10), each deck board 10 supported by the pantograph mechanism 20 is moved, and the space | interval of adjacent deck boards 10 is changed, and the magnitude | size of the mounting surface R is changed. There is a number.

또한, 상기의 경우, 「제1외측 데크 보드(10a) 및 제1내측 데크 보드(10b)」는 팬터그래프 기구(20)의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제2내측 데크 보드(10d) 및 제2외측 데크 보드(10e)의 이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case, the "first outer deck board 10a and the 1st inner deck board 10b" have the center part of the pantograph mechanism 20 between "the 2nd inner deck board 10d and the 2nd inside deck board 10b."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uter deck board 10e "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종래 기술(도 28 (b) 참조)과 같이 싣는 면(R)의 크기를 변경했을 때에, 싣는 면(R)의 연변부가 요철 형상으로 되는 경우가 없이 싣는 면(R)이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데드 스페이스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싣는 면(R)을 유효 활용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ize of the surface R to be loaded is changed as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 (see FIG. 28 (b)), the edge portion of the surface R to be loaded does not become uneven. Since the mounting surface R is kept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no dead space is formed), the mounting surface R can be effectively utilized.

또, 본 실시 형태의 팔레트(P)는, 잭 기구(30) 및 팬터그래프 잭(50)에 의해, 데크 보드(10)를 이동시키고, 복수의 데크 보드(10)에 의해 형성되는 싣는 면(R)의 크기를 가변하도록 하고 있다.Moreover, the pallet P of this embodiment moves the deck board 10 with the jack mechanism 30 and the pantograph jack 50, and the mounting surface R formed by the some deck board 10 is carried out. ) Size is variable.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나사식 잭(잭 기구(30), 팬터그래프 잭(50))에 의해 데크 보드를 이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밀리미터 단위」에서의 데크 보드(1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팔레트(P)의 싣는 면(R)의 크기의 설정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가 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deck board is moved by the screw type jack (jack mechanism 30 and pantograph jack 50), the deck board 10 can be moved in "millimeter unit." . That is, the size of the mounting surface R of the pallet P can be set with high precision.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나사식 잭(잭 기구(30), 팬터그래프 잭(50))에 의해 데크 보드(10)를 이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이 수작업으로 데크 보드(1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비해, 데크 보드(10)를 이동시키기 위한 노력이 들지 않는다(작업자의 부담이 경감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deck board 10 is moved by the screw type jack (jack mechanism 30 and the pantograph jack 50), the deck board 10 is moved by hand like a conventional technique. In comparison, no effort is required to move the deck board 10 (the burden on the operator is reduced).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나사식 잭(잭 기구(30), 팬터그래프 잭(50))에 의해 데크 보드(10)를 이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데크 보드(10)의 싣는 면(R)에 짐을 실은 상태인 채로, 상기 나사식 잭을 조작하여 싣는 면(R)의 크기를 변경할 수가 있다. 즉, 팔레트(P)의 싣는 면(R)에 짐을 실은 채로, 싣는 면의 크기를 미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부담이 경감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deck board 10 is moved by the screw type jack (jack mechanism 30 and the pantograph jack 50), the load surface R of the deck board 10 was loaded. In the state, the size of the mounting surface R can be changed by operating the screw jack. That is, since the size of the surface to be loaded can be finely adjusted while carrying the load on the surface R of the pallet P, the work load is reduced.

또, 잭 기구(30) 및 팬터그래프 잭(50)에 의하면, 데크 보드(10)의 이동 동작과 고정 동작을 함께(같은 조작으로) 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귀찮은 잠금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jack mechanism 30 and the pantograph jack 50, since the movement operation | movement and the fixing operation | movement of the deck board 10 can be performed together (in the same operation), the troublesome locking operation like 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is unnecessary. Done.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싣는 면(R)의 크기를 「데크 보드의 긴 방향(X 방향)」 및 「데크 보드의 짧은 방향(Y 방향)」의 어느 것으로도 조절할 수가 있다.Moreov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magnitude | size of the mounting surface R can be adjusted also in any of "long direction (the X direction) of a deck board", and "short direction (the Y direction) of a deck board".

구체적으로는, 데크 보드 유닛(1)의 잭 기구(30)를 조작함으로써, 싣는 면의 크기 치수를 「데크 보드(10)의 짧은 방향(Y 방향)」으로만 싣는 면(R)을 신축시키고 고정할 수가 있다.Specifically, by operating the jack mechanism 30 of the deck board unit 1, the size R of the surface to be loaded is stretched and stretched so that the surface R is placed only in the "short direction (the Y direction) of the deck board 10". Can be fixed

또, 베이스 유닛(5)의 팬터그래프 잭(50)을 조작함으로써, 「데크 보드의 긴 방향(X 방향)」으로만 싣는 면(R)을 신축시키고 고정할 수가 있다.Moreover, by operating the pantograph jack 50 of the base unit 5, the surface R mounted only in the "long direction (the X direction) of a deck board" can be expanded and fixed.

또, 잭 기구(30) 및 팬터그래프 잭(50)의 양자를 조작함으로써, 싣는 면(R)을 「데크 보드의 긴 방향」 및 「데크 보드의 짧은 방향」의 양방향으로 싣는 면을 신축시키고 고정할 수가 있다.In addition, by operating both the jack mechanism 30 and the pantograph jack 50, the mounting surface R can be stretched and fixed in both directions of "long direction of the deck board" and "short direction of the deck board". There is a number.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싣는 대상인 짐의 형상에 맞추어 최적인 크기로 되도록 싣는 면(R)을 조절할 수가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surface R can be adjusted so that it may become an optimal siz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oad which is to be loaded.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mbodiment mentioned above, A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is possible in the range of the summary.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데크 보드 유닛(1)의 팬터그래프 기구(20)에 의해, 데크 보드(10)를 Y 방향으로 변위시키고, 베이스 유닛(5)의 팬터그래프 잭(50)에 의해 데크 보드(10)를 X 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있지만(2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있지만), 특히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eck board 10 is displaced in the Y direction by the pantograph mechanism 20 of the deck board unit 1 and the deck board 10 by the pantograph jack 50 of the base unit 5. ) Is displaced in the X direction (displaced in two directions),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예를 들면, 도 27에 나타내듯이, 데크 보드 유닛(1)에 팬터그래프 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베이스 유닛(5)의 팬터그래프 잭(50)만으로 데크 보드(10)를 X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1방향으로만 변위시키도록 해도 좋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7, the deck board 10 may be displaced in the X direction only by the pantograph jack 50 of the base unit 5 without providing the pantograph mechanism in the deck board unit 1. (It may be displaced in only one direction).

또한, 도 27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조 및 상당하는 구조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In addition, in FIG. 27,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tructure similar to embodiment mentioned above, and an equivalent structu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시하듯이, 팔레트(P)는 복수의 판상의 데크 보드(10)를 병렬로 배치하여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싣는 면을 가지는 데크 보드 유닛(2)과, 데크 보드 유닛(2)이 탑재되는 베이스 유닛(6)을 구비하고 있다.As illustrated, the pallet P includes a deck board unit 2 having a rectangular loading surfac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plate-like deck boards 10 in parallel, and a base unit on which the deck board unit 2 is mounted ( 6) is provided.

또, 베이스 유닛(6)은 팔레트(P)의 중앙부에 배치된 팬터그래프 잭(50)과, 팬터그래프 잭(50)의 양측에 부착된 한 쌍의 베이스부(60)를 구비하고 있다.Moreover, the base unit 6 is equipped with the pantograph jack 50 arrange | positioned at the center part of the pallet P, and the pair of base part 60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pantograph jack 50. As shown in FIG.

그리고, 팬터그래프 잭(50)에 의해, 한 쌍의 베이스부(60)가 팬터그래프 잭(50)을 사이에 두고 데크 보드(10)의 긴 방향(X 방향)을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pantograph jack 50 enables the pair of base portions 60 to reciprocate in the long direction (the X direction) of the deck board 10 with the pantograph jack 50 interposed therebetween.

또한, 베이스부(60)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하부 베이스(61), 슬라이딩판(62), 가이드 레일(제1가이드 레일(64), 제2가이드 레일(62b)) 등으로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단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In addition, the base part 60 may be comprised from the lower base 61, the sliding plate 62, the guide rail (the 1st guide rail 64, the 2nd guide rail 62b), etc. like embodiment mentioned above. It does not need to be sufficient, but just needs to be formed in rectangular plate shape.

또, 한 쌍의 베이스부(60)의 상면에는, 복수의 데크 보드(10)에 의해 구성되는 데크 보드 유닛(2)이 걸쳐 있다. 또, 복수의 데크 보드(10)는 모두, 한 쌍의 베이스부 중 어느 일방이고 또한 인접하여 배치된 데크 보드(10)와는 다른 베이스부(60)에 고정되어 있다.Moreover, the deck board unit 2 comprised by the several deck board 10 hangs on the upper surface of a pair of base part 60. Moreover, all the some deck boards 10 are fixed to the base part 60 different from the deck board 10 arrange | positioned adjacent to any one of a pair of base parts.

상기 구성에 의해, 팬터그래프 잭(50)으로 베이스부(60)를 상기 긴 방향(X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당해 이동에 따라 데크 보드(10)가 긴 방향(X 방향)을 이동한다(즉, 각 데크 보드(10)는 인접하는 데크 보드(10)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싣는 면의 크기가 변경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base portion 60 is moved in the long direction (X direction) with the pantograph jack 50, the deck board 10 moves in the long direction (X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Each deck board 10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djacent deck board 10). As a result, the size of the surface to be loaded is changed.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병렬하여 배치한 복수의 데크 보드(10)를 팬터그래프 기구(20)로 지지하고, 이 팬터그래프 기구(20)를 신축시킴으로써, 데크 보드(10)의 위치를 변위시키고 있었지만, 특히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eck board 10 is displaced by supporting the plurality of deck boards 10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pantograph mechanism 20 and by stretching the pantograph mechanism 20. In particular, it is not limited to this.

예를 들면, 짐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데크 보드(10)의 개수를 줄이고, 인접하는 데크 보드(10)의 간격을 크게 해도 좋은 경우, 데크 보드(10)의 수에 따라(데크 보드(10)의 수가 2, 3매인 경우), 팬터그래프 기구(20) 대신에, X자상의 링크 기구에 의해 데크 보드(10)의 위치를 변위시키도록 해도 좋다.For example, if the size of the load is large, the number of deck boards 10 may be reduced and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deck boards 10 may be increas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deck boards 10 (deck board 10 ), The position of the deck board 10 may be displaced by the X-shaped link mechanism instead of the pantograph mechanism 20.

이 경우, 예를 들면, 상기 링크 기구에는, 한 쌍의 판상 혹은 봉상의 암을 X자상으로 교차시키고 그 교차부를 제1추축핀(21c)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 것을 이용할 수가 있다.In this case, for example, the link mechanism may be one in which a pair of plate- or rod-shaped arms are crossed in an X shape and the intersection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axis pin 21c.

그리고, 상기 링크 기구의 일방의 자유단이 제2추축핀(22)을 개재하여 일방측에 배치된 데크 보드(10)에 부착된다(데크 보드(10)의 긴 방향으로 적어도 1개소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부착된다). 또, 상기 링크 기구의 타방의 자유단이 당해 제2추축핀(22)을 개재하여 타방측에 배치된 데크 보드(10)에 부착된다(데크 보드(10)의 긴 방향으로 적어도 1개소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부착된다).Then, one free end of the link mechanism is attached to the deck board 10 arranged on one side via the second pivot pin 22 (sliding at least one pl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ck board 10 freely). Attached). In addition, the other free end of the link mechanism is attached to the deck board 10 arranged on the other side via the second axis pin 22 (at least one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ck board 10 Freely attached).

또, 데크 보드(10)가 3매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가이드홈(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는 중앙 데크 보드(10c2)를 베이스 유닛(5)에 고정하고, 상기 링크 기구의 제1추축핀(21c)을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삽통해도 좋다.When the deck board 10 is three pieces, for example, the center deck board 10c2 having a guide groove (not shown) is fixed to the base unit 5, and the first pivot pin of the link mechanism is provided. Sliding 21c may be free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또, 양측의 데크 보드(10)는 베이스 유닛(5)의 지지부에 고정된다.Moreover, the deck boards 10 of both sides are fixed to the support part of the base unit 5.

상기의 구성에 의해, 상기 링크 기구의 교차각을 변경함으로써, 데크 보드(10)의 방향을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데크 보드(10)의 짧은 방향과 평행하게 데크 보드(10)를 이동시켜 인접하는 당해 데크 보드(10)끼리의 간격을 바꾸어 상기 싣는 면(R)의 크기를 변경할 수가 있다.By changing the crossing angle of the said link mechanism by the said structure, in the state which made the direction of the deck board 10 aligned, the deck board 10 is moved in parallel with the short direction of the deck board 10, and is adjacen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ize of the mounting surface R by changing the interval between the deck boards 10, respectively.

또한, 상기 링크 기구에 잭 기구(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은 나사식 잭 기구)를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잭 기구에 의해 제2추축핀(22)을 지지한다.Moreover, you may make it attach a jack mechanism (for example, a screw jack mechanism like embodiment mentioned above) to the said link mechanism. In this case, the second spindle pin 22 is supported by the jack mechanism.

그리고, 상기 잭 기구에 의해 제2추축핀(22)을 이동시킴으로써, 당해 링크 기구의 교차 각도를 가변할 수가 있다(이에 의해 데크 보드(10)가 이동한다).Then, by moving the second axis pin 22 by the jack mechanism, the crossing angle of the link mechanism can be varied (the deck board 10 is moved).

또, 상술한 것 같은 암을 X자상으로 교차시켜 구성된 링크 기구는 아니고, 복수(4개)의 암을 마름모상으로 연결하여 구성된 링크 기구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It is also possible to use a link mechanism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arms in a rhombus shape instead of a link mechanism formed by crossing the above-described arms in an X shape.

이 경우, 판상 혹은 봉상의 암을 4개 준비하고, 4개의 암에 의해 마름모를 형성한다(설명의 편의상, 마름모상의 4개 각부(角部)가 상하좌우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In this case, four arm | plate-shaped or rod-shaped arms are prepared, and a rhombus is formed by four arms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ur rhombus-shaped parts shall be formed up, down, left, and right).

또, 4개의 암에 의해 마름모를 형성하면, 좌우의 한 쌍의 대각부(對角部)를 제1추축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하의 한 쌍의 대각부를 제2추축핀(22)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When four diamonds are used to form the rhombus, the pair of left and right diagonal parts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axis pin, and the pair of upper and lower diagonal parts are connected to the second axis pin 22. Connect rotatably.

그리고, 상기 링크 기구의 좌우의 대각부의 일방이, 제1추축핀을 개재하여, 복수의 데크 보드 중 일단측에 배치된 데크 보드(10)에 부착되고, 좌우의 대각부의 타방이, 제1추축핀을 개재하여, 복수의 데크 보드 중 타단측에 배치된 데크 보드(10)에 부착되게 되어 있다.One of the left and right diagonal portions of the link mechanism is attached to the deck board 10 disposed on one end side of the plurality of deck boards via the first axis pin, and the other of the left and right diagonal portions is the first axis. It is attached to the deck board 10 arrange | positioned at the other end side among a plurality of deck boards via a pin.

또, 상기 마름모상의 링크 기구에 잭 기구를 부착하고, 상기 잭 기구에 의해 제2추축핀(22)을 이동시키고, 당해 링크 기구의 교차 각도를 가변하도록 해도 좋다(이에 의해 데크 보드(10)가 이동한다).In addition, a jack mechanism may be attached to the rhombus link mechanism, the second pivot pin 22 may be moved by the jack mechanism, and the crossing angle of the link mechanism may be varied (the deck board 10 may thereby be provided). Move).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팔레트(P)는, 「데크 보드(10)의 수, 길이 폭 및 형상」과, 「팬터그래프 기구나 링크 기구의 수, 길이 폭 및 형상」을 조합함으로써, 「기본으로 되는 팔레트(P)」의 싣는 면(R)의 크기, 인접하여 배치되는 데크 보드(10)의 간극(폭), 가변할 수 있는 거리 치수를 선택할 수가 있다.Thus, the pallet P of this embodiment combines "the number, length width, and shape of the deck board 10", and "the number, length width, and shape of a pantograph mechanism and a link mechanism", and becomes "basic" The size of the mounting surface R of the pallet P ", the gap (width) of the deck board 10 arrange | positioned adjacently, and a variable distance dimension can be selected.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팬터그래프 기구(20a, 20b)가 데크 보드(10)의 이면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지만 특히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oreover, in embodiment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antograph mechanism 20a, 20b is made to support the back surface of the deck board 10, i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o this.

예를 들면, 팬터그래프 기구(20)는 복수의 데크 보드(10)의 이면 이외의 위치(데크 보드(10)의 상면이나 데크 보드(10)의 내부(판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내부))에 부착되고, 당해 데크 보드(10)의 위치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For example, the pantograph mechanism 20 is attached to a position other than the back surface of the deck board 10 (upper surface of the deck board 10 or inside of the deck board 10 (inside of the board thickness direction)). 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ce the position of the deck board 10.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데크 보드 유닛(1)의 팬터그래프 기구(20)에 잭 기구(30)를 부착하고, 그 잭 기구(30)에 의해 데크 보드(10)의 Y 방향의 이동 및 고정을 행하고 있었지만, 특히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jack mechanism 30 is attached to the pantograph mechanism 20 of the deck board unit 1, and the jack mechanism 30 moves and fixes the deck board 10 in the Y direction. Although it was performed, it is not limited to this in particular.

예를 들면, 데크 보드 유닛(1)에 잭 기구(30)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싣는 면적을 바꾸어도 데드 스페이스가 형성되지 않는 치수 가변 팔레트를 실현할 수가 있다.For example, the jack mechanism 30 may not be provided in the deck board unit 1. Even in this case, a dimensional variable pallet in which dead spaces are not formed even if the loading area is changed can be realized.

또한, 잭 기구(30)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정 작업이 필요하게 되지만, 이 경우 작업자가 수동으로, 팬터그래프 기구(20)의 마름모 틀을 신축시키고, 데크 보드(10)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그 후 볼트 등에 의해 데크 보드(10)를 고정하면 좋다.In addition, when the jack mechanism 30 is not installed, a fixing operation is required, but in this case, the operator manually stretches the lozenge of the pantograph mechanism 20, moves the position of the deck board 10, After that, the deck board 10 may be fixed by a bolt or the like.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유닛(5)이 한 쌍의 베이스부(60)를 팬터그래프 잭(50)에 의해 이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었지만, 특히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lthough the base unit 5 employ | adopted the structure which moves the pair of base part 60 by the pantograph jack 50, i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o this.

상술한 팬터그래프 잭(50)으로부터 잭 기구(57)의 구성만을 제외한 구성(링크 기구)을 채용해도 좋다. 이 경우도, 싣는 면적을 바꾸어도 데드 스페이스가 형성되지 않는 치수 가변 팔레트를 실현할 수가 있다.You may employ | adopt the structure (link mechanism) remove | excluding only the structure of the jack mechanism 57 from the pantograph jack 50 mentioned above. Also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realize a dimensional variable pallet in which dead space is not formed even if the loading area is changed.

또한, 잭 기구(57)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정 작업이 필요하게 되지만, 이 경우 작업자가 수동으로 링크 부재(54)의 교차각을 변경하여 베이스부(60) 상의 데크 보드(10)를 이동시킨다(고정은 볼트, 나사 등에 의해 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jack mechanism 57 is not installed, a fixing operation is required, but in this case, the operator manually changes the crossing angle of the link member 54 to move the deck board 10 on the base portion 60. (Fixing is performed by bolts, screws, etc.).

또, 상술한 실시 형태의 베이스 유닛(5)에서는, 베이스부(60)를 구성하는 하부 베이스(61) 상에 지지부로서의 슬라이딩판(62)을 부착하고, 슬라이딩판(62)에 의해 데크 보드(10)를 지지하고 있었지만, 상술한 것처럼 어디까지나 이는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Moreover, in the base unit 5 of embodiment mentioned above, the sliding board 62 as a support part is affixed on the lower base 61 which comprises the base part 60, and the deck board (the sliding board 62) is attached. 10), but as described above, this is only an example.

베이스부(60)는 데크 보드(10)를 지지함과 아울러, 데크 보드(10)의 짧은 방향(Y 방향)으로 당해 지지한 데크 보드(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조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슬라이딩판(62)을 생략하고, L형 지지 금구(71)에, 직접적으로 Y 방향 양단에 배치된 데크 보드(10)를 고정하여 데크 보드(10)를 지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이 경우 L형 지지 금구(71)가 지지부로서 기능한다).The base portion 60 may be any structure as long as it supports the deck board 10 and can move the supported deck board 10 in the short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deck board 10. . For example, the sliding plate 62 may be omitted, and the deck board 10 directly disposed at both ends in the Y direction may be fixed to the L-shaped support bracket 71 to support the deck board 10 ( In this case, the L-shaped support bracket 71 functions as a support part).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데크 보드 유닛(1)의 잭 기구(30) 및 베이스 유닛(5)의 팬터그래프 잭(50)은 모두 나사식 잭의 구성을 이용하고 있지만, 특히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lthough the jack mechanism 30 of the deck board unit 1 and the pantograph jack 50 of the base unit 5 all use the structure of a screw type jack, it is limited to this especially. no.

예를 들면, 베이스 유닛(5)의 베이스부(60)(혹은 데크 보드 유닛(1)의 팬터그래프 기구(20))가 유압식 잭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For example, the base 60 of the base unit 5 (or the pantograph mechanism 20 of the deck board unit 1) may be comprised so that a hydraulic jack may be moved.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잭 기구(30)의 케이스체(32, 33)가 중앙 데크 보드(10c2)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특히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oreover, although the case where the case bodies 32 and 33 of the jack mechanism 30 were attached to the center deck board 10c2 was shown in embodiment mentioned above, i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o this.

예를 들면, 케이스체(32, 33)가 중앙 데크 보드(10c2)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For example, the case bodies 32 and 33 may have the shape similar to the center deck board 10c2.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유닛(5)을 구성하는 하부 베이스(61) 및 슬라이딩판(62)이 목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특히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lthough the lower base 61 and the sliding plate 62 which comprise the base unit 5 are comprised by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i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to this.

예를 들면, 하부 베이스(61)가 파이프재(금속제의 환관)에 의해 직사각형의 틀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틀상의 가장자리에, 상술한 Y 방향을 왕복이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기구(지지부)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For example, the lower base 61 may be formed in the rectangular frame shape by the pipe material (metal round tube). Moreover, you may make it provide the slide mechanism (support part) which reciprocally moves freely in the above-mentioned Y direction at the said frame-shaped edge.

P  팔레트
1, 2  데크 보드 유닛
10  데크 보드
10a  제1외측 데크 보드(데크 보드)
10b  제1내측 데크 보드(데크 보드)
10c  중앙 데크 보드(데크 보드)
10d  제2내측 데크 보드(데크 보드)
10e  제2외측 데크 보드(데크 보드)
10a1, 10b1, 10d1, 10e1  제1보드(데크 보드)
10a2, 10b2, 10d2, 10e2  제2보드(데크 보드)
10c1  제1보드(데크 보드)
10c2  제2보드(데크 보드)
10a3  가이드홈(데크 보드)
11  데크 보드 가이드
15  러너
20, 20a, 20b  팬터그래프 기구
21  링크 부재(팬터그래프 기구)
21a, 21b  암(링크 부재(팬터그래프 기구))
21c  제1추축핀(링크 부재(팬터그래프 기구))
22  제2추축핀(팬터그래프 기구)
23  슬라이딩 핀(팬터그래프 기구)
25  스페이서(팬터그래프 기구)
30  잭 기구
31a, 31b  스크류 로드(잭 기구)
31a1  조작부
31a2, 31b2  끼워맞춤부
32, 33  케이스체(잭 기구)
34, 35  가동 연결부(잭 기구)
37  고정 부재(잭 기구)
36  연결부(잭 기구)
5, 6  베이스 유닛
50  팬터그래프 잭(제2잭 기구)
51, 52  암(팬터그래프 잭)
51a, 51b  기부(암(팬터그래프 잭))
51b, 52b  지지편(암(팬터그래프 잭))
53a  추축핀(팬터그래프 잭)
53b1, 53b2  추축핀(팬터그래프 잭)
53c1, 53c2  슬라이딩 핀(팬터그래프 잭)
54  링크 부재(팬터그래프 잭)
55, 56  케이스체(팬터그래프 잭)
55a, 56a  가이드홈(팬터그래프 잭)
55d  구멍(팬터그래프 잭)
57  잭 기구(팬터그래프 잭)
57a  스크류 로드(팬터그래프 잭)
57b  고정 부재(팬터그래프 잭)
57c  가동 연결부(잭 기구(팬터그래프 잭))
60  베이스부
61  하부 베이스(베이스부)
64  제1가이드 레일(하부 베이스)
65  블록재(하부 베이스)
62  슬라이딩판(지지부, 베이스부)
62a  홈(슬라이딩판)
62b  제2가이드 레일(슬라이딩판)
62b1  개구(제2가이드 레일(슬라이딩판))
63  판재(베이스부)
70  다리부(베이스부)
70a  둥근 토막부(다리부)
70b  모서리 토막부(다리부)
70c  중간 토막부(다리부)
71  L형 지지 금구(지지부, 베이스부)
81  외측 베이스 가이드(베이스부)
81a  절결(외측 베이스 가이드)
82  내측 베이스 가이드
83  데크 보드 스토퍼
84  데크 보드 스토퍼
P pallet
1, 2 deck board unit
10 deck board
10a first outer deck board (deck board)
10b 1st inside deck board (deck board)
10c center deck board (deck board)
10d 2nd inside deck board (deck board)
10e Second outer deck board (deck board)
10a1, 10b1, 10d1, 10e1 first board (deck board)
10a2, 10b2, 10d2, 10e2 2nd board (deck board)
10c1 first board (deck board)
10c2 2nd board (deck board)
10a3 guide groove (deck board)
11 deck board guide
15 runner
20, 20a, 20b pantograph instrument
21 Link member (pantograph mechanism)
21a, 21b arm (link member (pantograph mechanism))
21c 1st axis pin (link member (pantograph mechanism))
22 2nd axis pin (pantograph mechanism)
23 Sliding pin (pantograph mechanism)
25 spacer (pantograph mechanism)
30 jack apparatus
31a, 31b screw rod (jack mechanism)
31a1 control panel
31a2, 31b2 fitting
32, 33 case body (jack mechanism)
34, 35 movable connection (jack mechanism)
37 Fastening Member (Jack Mechanism)
36 Connections (Jack Mechanism)
5, 6 base units
50 pantograph jack (2nd jack mechanism)
51, 52 female (pantograph jack)
51a, 51b base (arm (pantograph jack))
51b, 52b support piece (female (pantograph jack))
53a axis pin (pantograph jack)
53b1, 53b2 axis pins (pantograph jack)
53c1, 53c2 sliding pins (pantograph jack)
54 Link member (pantograph jack)
55, 56 case body (pantograph jack)
55a, 56a guide groove (pantograph jack)
55 d hole (pantograph jack)
57 Jack mechanism (pantograph jack)
57a screw rod (pantograph jack)
57b fixing member (pantograph jack)
57c movable connection (jack mechanism (pantograph jack))
60 base parts
61 Lower base (base)
64 First guide rail (lower base)
65 block material (lower base)
62 Sliding Plate (Support, Base)
62a Groove (Sliding Plate)
62b 2nd guide rail (sliding plate)
62b1 opening (2nd guide rail (sliding plate))
63 plate (base)
70 leg parts (base part)
70a round part (leg)
70b corner part (leg)
70c middle stub (leg)
71 L type support bracket (support part, base part)
81 Outer Base Guide (Base)
81a notch (outside base guide)
82 Inner Base Guide
83 deck board stopper
84 deck board stopper

Claims (8)

복수의 판상의 데크 보드를 병렬로 배치하여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싣는 면을 가지는 데크 보드 유닛과, 당해 데크 보드 유닛이 탑재되고 마루면에 놓이는 베이스 유닛을 구비한 치수 가변 팔레트로서,
상기 데크 보드 유닛은, 상기 데크 보드를 지지하는 링크 기구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복수의 데크 보드 중 적어도 양단에 배치된 데크 보드를 고정하여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데크 보드의 짧은 방향으로 왕복 동작 가능한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링크 기구는, 복수의 판상 혹은 봉상의 암을 추축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링크 기구의 교차각을 바꿈으로써, 각 데크 보드의 방향을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상기 짧은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데크 보드 및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켜 인접하는 당해 데크 보드끼리의 간격을 바꾸어 상기 싣는 면의 크기의 변경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 가변 팔레트.
A deck board unit having a rectangular loading surfac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plate-like deck boards in parallel, and a dimensional variable pallet having a base unit on which the deck board unit is mounted and placed on a floor surface,
The deck board unit has a link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deck board,
The base unit, while holding and supporting the deck board disposed on at leas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deck board, and has a support portion capable of reciprocating in the short direction of the deck board,
The link mechanism is configured by rotatably connecting a plurality of plate-shaped or rod-shaped arms with a pivot pin,
By changing the intersection angle of the link mechanism, the deck board and the support portion are moved in parallel with the short direction in the state where the direction of each deck board is aligned, and the space between the adjacent deck boards is changed and placed. Dimensional variable palette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change the size of the 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의 추축핀을 지지하는 제1잭 기구를 가지고,
상기 제1잭 기구는, 상기 지지하는 추축핀을 이동시키고, 당해 링크 기구의 교차 각도를 가변하여 상기 데크 보드 및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 가변 팔레트.
The method of claim 1,
Having a first jack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pivot pin of the link mechanism,
The first jack mechanism is configured to move the supporting pin, and to vary the crossing angle of the link mechanism to move the deck board and the support part.
복수의 판상의 데크 보드를 병렬로 배치하여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싣는 면을 가지는 데크 보드 유닛과, 당해 데크 보드 유닛이 탑재되고 마루면에 놓이는 베이스 유닛을 구비한 치수 가변 팔레트로서,
상기 데크 보드 유닛은, 상기 데크 보드를 지지함과 아울러, 당해 데크 보드의 짧은 방향으로 신축하는 팬터그래프 기구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복수의 데크 보드 중 적어도 양단에 배치된 데크 보드를 고정하여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데크 보드의 짧은 방향으로 왕복 동작 가능한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는, 복수의 판상 혹은 봉상의 암을 추축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를 신축시킴으로써, 각 데크 보드의 방향을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상기 짧은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데크 보드 및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켜 인접하는 당해 데크 보드끼리의 간격을 바꾸어 상기 싣는 면의 크기의 변경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 가변 팔레트.
A deck board unit having a rectangular loading surfac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plate-like deck boards in parallel, and a dimensional variable pallet having a base unit on which the deck board unit is mounted and placed on a floor surface,
The deck board unit has a pantograph mechanism that supports the deck board and expands and contracts in the short direction of the deck board.
The base unit, while holding and supporting the deck board disposed on at leas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deck board, and has a support portion capable of reciprocating in the short direction of the deck board,
The pantograph mechanism is configured by rotatably connecting a plurality of plate-shaped or rod-shaped arms with an axis pin,
By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pantograph mechanism, the deck board and the supporting portion are moved in parallel with the short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of each deck board is aligned to change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deck boards so as to change the size of the mounting surface. Dimensional variable palette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chan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의 추축핀을 지지하는 제1잭 기구를 가지고,
상기 제1잭 기구는, 상기 지지하는 추축핀을 이동시키고, 당해 팬터그래프 기구의 교차 각도를 가변하여 당해 팬터그래프 기구를 상기 짧은 방향으로 신축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 가변 팔레트.
The method of claim 3,
Having a first jack mechanism for supporting the pivot pin of the pantograph mechanism,
The first jack mechanism is configured to move the supporting pin, and to vary the crossing angle of the pantograph mechanism to stretch the pantograph mechanism in the short direct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치수 가변 팔레트의 중앙부에 배치된 제2잭 기구와, 상기 제2잭 기구의 양측에 부착된 한 쌍의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잭 기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가 상기 제2잭 기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데크 보드의 긴 방향을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데크 보드는, 상기 긴 방향의 도중에서 2분할되고, 당해 2분할된 일방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의 일방에 부착되고, 당해 2분할된 타방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의 타방에 부착되고,
상기 제2잭 기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를 상기 데크 보드의 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의 데크 보드의 짧은 측의 양단부를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당해 데크 보드를 상기 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싣는 면의 크기의 변경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 가변 팔레트.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base unit includes a second jack mechanism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variable pallet and a pair of base part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jack mechanism. The base portion is capable of reciprocating the long direction of the deck board with the second jack mechanism therebetween,
The plurality of deck boards are divided into two in the middle of the long direction, and one of the two divided parts is attached to one of the pair of base parts, and the other of the two divided parts is attached to the other of the pair of base parts. ,
By moving the pair of base par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ck board by the second jack mechanism, the deck board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the both ends of the short sides of the plurality of deck boards are aligned. Dimensional variable pallet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change size of loading surfac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치수 가변 팔레트의 중앙부에 배치된 X자상의 제2링크 부재와, 당해 제2링크 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부착된 한 쌍의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링크 부재는, 한 쌍의 판상 혹은 봉상의 암을 X자상으로 교차시키고 그 교차부를 제3추축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킴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제2링크 부재의 교차부의 각도를 바꿈으로써,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가 당해 제2링크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데크 보드의 긴 방향을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데크 보드는, 상기 긴 방향의 도중에서 2분할되고, 당해 2분할된 일방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의 일방에 부착되고, 당해 2분할된 타방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의 타방에 부착되고,
상기 제2링크 부재의 교차부의 각도를 바꾸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를 상기 데크 보드의 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각 데크 보드의 짧은 측의 양단부를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당해 데크 보드를 상기 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싣는 면의 크기의 변경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 가변 팔레트.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base unit includes an X-shaped second link member dispos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dimensional variable pallet and a pair of base portions respectively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link member,
The second link member is configured by intersecting a pair of plate- or rod-shaped arms in an X-shape and rotatably connecting the crossing portions with a third axis pin.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intersection por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the pair of base portion can be reciprocated in the long direction of the deck board with the second link member between,
The plurality of deck boards are divided into two in the middle of the long direction, and one of the two divided parts is attached to one of the pair of base parts, and the other of the two divided parts is attached to the other of the pair of base parts. ,
By moving the pair of base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ck board by changing the angle of the intersec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s, the deck board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tate where both ends of the short side of each deck board are aligned. A variable size pal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mounting surface can be chang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 부재를 구성하는 한 쌍의 암은, 긴 판상의 기부와, 당해 기부의 긴 측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절곡하여 뻗는 지지편을 가지고,
상기 지지편이, 상기 베이스 유닛 상에 부착되는 상기 데크 보드의 이면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 가변 팔레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air of arms constituting the second link member has a long plate-shaped base and a support piece that is bent upward from an end of the long side of the base,
The support piece is adapted to support the back surface of the deck board attached on the base unit.
복수의 판상의 데크 보드를 병렬로 배치하여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싣는 면을 가지는 데크 보드 유닛과, 당해 데크 보드 유닛이 탑재되고 마루면에 놓이는 베이스 유닛을 구비한 치수 가변 팔레트로서,
상기 베이스 유닛은, 상기 치수 가변 팔레트의 중앙부에 배치된 제2잭 기구와, 상기 제2잭 기구의 양측에 부착된 한 쌍의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잭 기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가 상기 제2잭 기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데크 보드의 긴 방향을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의 상면에 상기 데크 보드 유닛이 걸쳐지고,
상기 데크 보드 유닛을 구성하는 복수의 데크 보드는 모두,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 중 어느 일방이고 또한 인접하여 배치된 데크 보드와 다른 베이스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잭 기구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베이스부를 상기 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데크 보드를 상기 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싣는 면의 크기의 변경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수 가변 팔레트.
A deck board unit having a rectangular loading surfac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plate-like deck boards in parallel, and a dimensional variable pallet having a base unit on which the deck board unit is mounted and placed on a floor surface,
The base unit includes a second jack mechanism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variable pallet and a pair of base part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jack mechanism. The base portion is capable of reciprocating the long direction of the deck board with the second jack mechanism therebetween,
The deck board unit is spread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base portions,
The plurality of deck boards constituting the deck board unit are all fixed to one of the pair of base parts and the base board different from the deck board arranged adjacently,
By moving the pair of base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second jack mechanism, the deck board can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hange the size of the loading surface. .
KR1020137004328A 2010-08-04 2011-07-29 Variable dimension palette KR2013004195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75314 2010-08-04
JP2010175314 2010-08-04
PCT/JP2011/067391 WO2012017929A1 (en) 2010-08-04 2011-07-29 Variable dimension palet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956A true KR20130041956A (en) 2013-04-25

Family

ID=4555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328A KR20130041956A (en) 2010-08-04 2011-07-29 Variable dimension palett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61351B2 (en)
KR (1) KR20130041956A (en)
CN (1) CN103038139A (en)
WO (1) WO201201792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58925A (en) * 2013-04-16 2013-06-19 上海齐兴包装材料有限公司 Novel plastic tray
CN104229261B (en) * 2013-06-21 2017-08-25 艾默生网络能源有限公司 A kind of bearing base
JP2015042563A (en) * 2013-07-22 2015-03-05 塩島梱包株式会社 Dimension-variable pallet
GB2526384A (en) * 2014-05-22 2015-11-25 Synergy Health Plc An Adjustable Carrier
CN104495010B (en) * 2014-11-04 2016-09-1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composite pallet
CN106477137B (en) * 2016-10-18 2018-05-18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A kind of adjustable support structure and pallet
CN107054831B (en) * 2017-04-28 2019-01-15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pallet
DE102017123491B4 (en) * 2017-10-10 2023-12-28 Deutsche Post Ag Vehicle for autonomously transporting an object
DE102018100448A1 (en) * 2018-01-10 2019-07-11 Deutsche Post Ag Shipment warehouses and procedures for taking over, interim storage and delivery of consignments
CN110815937A (en) * 2018-08-08 2020-02-21 盐城市瑞彩纸品包装材料有限公司 Nailing device is used in carton processing
CN110329656A (en) * 2019-07-29 2019-10-15 蜂井包装工业无锡有限公司 Hoarding box, which is matched, applies case li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91218A (en) * 1974-06-12 1977-11-09 British Steel Corp Stillages
JPS5318762U (en) * 1976-07-28 1978-02-17
JPS60148451A (en) * 1983-12-24 1985-08-05 宇佐川 貢 Pallet
JPS60171777U (en) * 1984-04-24 1985-11-14 神田 耕而 Dolly for transporting and lifting materials
JPH0720019Y2 (en) * 1989-06-08 1995-05-10 敏雄 大西 Variable area pallet
JPH0474627U (en) * 1990-11-14 1992-06-30
JPH08217071A (en) * 1995-02-21 1996-08-2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Dimensionally variable pallet
JP3939742B1 (en) * 2005-12-15 2007-07-04 興国運輸株式会社 pale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38139A (en) 2013-04-10
JP5961351B2 (en) 2016-08-02
JP2012051648A (en) 2012-03-15
WO2012017929A1 (en)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1956A (en) Variable dimension palette
JP6777950B2 (en) Variable dimensional palette
CN107719515B (en) Vehicle body assembling system
TWI383467B (en) Stage device
JP2012051648A5 (en)
TWI431713B (en) Stage device
RU2582429C2 (en) System and method for geometrical arrangement of mechanical assembly
KR101648977B1 (en) Jig device for floor frame assembling of special vehicle loading box
CN110526175A (en) The pallet grippers of integrated fork
JP4150411B2 (en) Stage equipment
JPH08217071A (en) Dimensionally variable pallet
KR20130002157A (en) Panel centering jig that adjusts slope
KR102275198B1 (en) Loader for transfer of vehicle parts
JPH0712919B2 (en) Forklift side shift device
JP2009147291A (en) Stage device
CN219837680U (en) Fixed subassembly and fixed frock
KR20130117605A (en) An automatic moving type of trailer with variable structure forward and backward
US20050110204A1 (en) Reconfigurable mechanical fixturing pallets for assembly lines
CN218891842U (en) Multi-axis translation type workbench
CN107584265A (en) A kind of part quickly overturns assembling device
CN218781999U (en) Operation stability test frame body that four-way shuttle car was used
KR100405712B1 (en) Pallet die for pallet setting
KR101072324B1 (en) Align device for part loading
KR100587498B1 (en) Lateral and longitudinal movement and rotation apparatus
CN210525001U (en) Telescopic supporting surfac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