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395A - 잔디 깍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잔디 깍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395A
KR20130040395A KR1020110105124A KR20110105124A KR20130040395A KR 20130040395 A KR20130040395 A KR 20130040395A KR 1020110105124 A KR1020110105124 A KR 1020110105124A KR 20110105124 A KR20110105124 A KR 20110105124A KR 20130040395 A KR20130040395 A KR 20130040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cutting device
sensing
cutting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2550B1 (ko
Inventor
장효선
황근배
정창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5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55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0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6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1Casings;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101/00Lawn-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01D34/6806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82Other details
    • A01D34/828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18Safety devices for parts of the machines
    • A01D75/182Avoiding overloa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20Devices for protecting men or animals
    • A01D75/206Devices for protecting men or animals for mowers carried by op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디 깍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잔디 깍기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잔디를 절삭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커팅 장치; 상기 케이싱을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커팅 장치의 유동을 감지하는 센싱 장치; 상기 센싱 장치가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케이싱의 유동을 감지하면, 상기 커팅 장치의 동작의 정지 및 상기 이동 장치의 동작의 정지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커팅 장치, 이동 장치, 센싱 장치 및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느 충전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안전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잔디 깍기 및 그 제어 방법{Lawn Mow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잔디 깍기에 관한 것이다.
잔디 깍기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사용하여 잔디를 깍는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구동원으로는, 충전지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 모터 또는 가솔린 엔진 등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잔디 깍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잔디 깍기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잔디 깍기의 외관을 케이싱(10)의 형상한다. 상기 케이싱(10)에는 잔디를 절삭하기 위한 커팅 장치(20) 및 케이싱(10)의 이동을 위한 이동 장치(30)가 구비된다.
상기 커팅 장치(20)는, 커팅 모터(21) 및 블레이드(23)를 포함한다. 상기 커팅 모터(21)는, 잔디를 절삭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팅 모터(21)로는 전기 모터 또는 가솔린 엔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23)는, 상기 커팅 모터(21)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잔디를 절삭한다. 상기 블레이드(23)는, 상기 케이싱(10)의 저면을 통하여 하방으로 노출된다.
상기 이동 장치(30)는, 상기 케이싱(1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 장치(30)는, 상기 케이싱(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이동 바퀴(33)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잔디 깍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예를 들면, 상기 블레이드(23)가 자갈이나 나뭇가지 등과 같은 이물질과 접촉하거나, 작업자 등의 신체와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이물질이나 작업자 등의 신체가 상기 블레이드(23)와 접촉하는 경우에도 상기 커팅 장치(20)의 동작이 정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물질에 의한 상기 블레이드(23) 및 커팅 모터(21)의 손상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상기 블레이드(23)에 의하여 타격되어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또한 작업자 등의 신체가 접촉한 후에도 상기 블레이드(23)가 계속적으로 회전하면, 작업자 등의 부상이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커팅 모터(21)에 작용하는 부하가 정상 부하 이상인 비정상 부하 경우에는, 상기 커팅 장치(20)가 정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커팅 장치(20)의 제어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잔디를 절삭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정상 부하와 비정상 부하와의 구별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정밀한 제어가 불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정상 상태에서 커팅 장치를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잔디 깍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잔디 깍기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잔디를 절삭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커팅 장치; 상기 케이싱을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커팅 장치의 유동을 감지하는 센싱 장치; 상기 센싱 장치가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케이싱의 유동을 감지하면, 상기 커팅 장치의 동작의 정지 및 상기 이동 장치의 동작의 정지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커팅 장치, 이동 장치, 센싱 장치 및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느 충전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잔디 깍기 제어 방법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제어부가, 케이싱이 이동하면서 잔디를 절삭하도록 이동 장치 및 커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감지 장치가,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커팅 장치의 유동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 장치가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커팅 장치의 유동을 감지하면, 상기 커팅 장치 및 이동 장치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잔디 깍기 및 그 제어 방법의 실시예에서는, 예상하지 못하게 작용하는 외력에 의하여 블레이드가 케이싱에 대하여 상대 유동하면, 이를 감지하여 커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안전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잔디 깍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잔디 깍기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잔디 깍기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잔디 깍기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잔디 깍기의 제1실시예에서 비정상상황시 동작상태를 보인 제어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잔디 깍기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잔디 깍기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잔디 깍기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잔디 깍기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잔디 깍기(100)의 외관을 케이싱(110)이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10)의 저면에는 관통 개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 개구(111)는, 상기 케이싱(110)의 저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 개구(111)의 내주연에 해당하는 상기 케이싱(110)의 저면 상에는 연결 부재(113)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 부재(113)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고,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 부재(113)는, 후술할 커팅 장치(130)가 상기 케이싱(110)에 대하여 유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113)는, 상기 케이싱(110)에 대하여 커팅 장치(130)가 과도하게 유동하는 경우에 이를 흡수하는 완충 작용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를 위하여 도 3에는 상기 연결 부재(113)가 다수회 밴딩된 사형인 종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연결 부재(113)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113)는, 고정 홀더(115)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110)의 저면 상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10)에는, 잔디를 절삭하기 위한 커팅 장치(130)가 설치된다. 상기 커팅 장치(130)는, 모터 하우징(121), 커팅 모터(122), 블레이드(125) 및 블레이드 하우징(128)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모터 하우징(121)이 상기 관통 개구(111)의 상방에 설치된다. 상기 모터 하우징(121)은, 대략 상기 관통 개구(111)의 직경 미만의 직경을 가지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12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팅 모터(122)는, 상기 블레이드(125)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커팅 모터(122)는, 상기 모터 하우징(121)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커팅 모터(122)에는 모터 샤프트(123)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 샤프트(123)는 상기 커팅 모터(12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모터 샤프트(123)의 선단에는 상기 블레이드(125)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커팅 모터(122)의 하단에는 모터 브라켓(124)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 브라켓(124)은, 실질적으로 상기 커팅 모터(122)가 상기 모터 하우징(121)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샤프트(123)는 상기 모터 브라켓(124)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싱(110)의 하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125)는, 상기 커팅 모터(122)에 의하여 회전하여 잔디를 절삭한다. 상기 블레이드(125)는 상기 모터 샤프트(123)의 선단에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블레이드(125)는, 샤프트 커플러(126)에 의하여 상기 모터 샤프트(12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128)은 대략 저면이 개방되는 납작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128)은, 상기 블레이드(125)가 상기 케이싱(110)의 저면에 접촉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128)의 테두리에는 안전 리브(129)가 구비된다. 상기 안전 리브(129)는,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128)의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안전 리브(129)는, 상기 블레이드(125)의 선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커팅 장치(130)에는, 상기 커팅 장치(130)를 상기 케이싱(110)에 대하여 상하로 승/하강시키기 위한 회전 링(131) 및 조절 핸들(13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링(131) 및 조절 핸들(135)은 별개로 부품의 구성되어 서로 결합하거나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링(131)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121)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링(131)의 내주면에는, 상기 모터 하우징(121)의 나사사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링(131)은, 상기 연결 부재(11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에는, 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를 들면, 상기 회전 링(131)의 하단에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 부재(113)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 핸들(135)은 상기 회전 링(131)의 상단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 핸들(135) 및 회전 링(131)이 상기 연결 부재(113)에 대하여 회전하면, 실질적으로 상기 커팅 장치(130)가 상기 케이싱(1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10)에는 이동 장치(130)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 장치(130)는, 상기 케이싱(11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 장치(130)는, 상기 케이싱(110)에 설치되는 이동 바퀴(133) 및 상기 이동 바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동 모터(13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장애물 등에 의한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케이싱(110)에 대하여 상기 커팅 장치(130)의 유동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는 센싱 장치(140)가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커팅 장치(130)가 상기 케이싱(110)에 대하여 이동하는 경우를 비정상 상황이라고 칭한다. 상기 센싱 장치(140)는, 센싱부(141) 및 구동 레버(145)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부(141)는, 상기 케이싱(110)에 대한 상기 커팅 장치(130)의 유동, 특히, 상기 케이싱(110)에 대한 상기 커팅 장치(130)의 상하방향으로의 유동을 감지한다. 상기 센싱부(141)는, 상기 커팅 장치(130)에 인접하는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 링(131)에 인접하는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 브라켓(144)이 구비되고, 상기 센싱부(141)가 상기 설치 브라켓(144)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센싱부(141)로는, 상기 케이싱(11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상기 커팅 장치(130)에 의하여 온/오프 동작되는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레버(145)는, 상기 케이싱(110)에 대한 상기 커팅 장치(130)의 유동여부에 따라서 상기 센싱부(141)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킨다. 상기 구동 레버(145)는, 상기 회전 링(131)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센싱부(141)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 레버(145)의 선단 일부는, 상기 센싱부(141)와 상하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레버(145)는, 상기 회전 링(131)에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 링(13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110)에는 다수개의 센서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싱(110)에 감지 센서(150)가 구비된다. 상기 감지 센서(150)는, 상기 케이싱(110)과 지면 사이의 거리를 감지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장애물 감지 센서 등과 같은 다른 센서가 상기 케이싱(110)에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잔디 깍기(100)는 입력부(160) 및 표시부(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60)는, 상기 잔디 깍기(100)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잔디 깍기(100)의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시부(170)는, 예를 들면, 문자나 그림, 비프음, 음성 등으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부(170)가 비정상 상황 발생시 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 상기 케이싱(110)의 외면, 및 상기 잔디 깍기(100)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나 상기 케이싱(110)이 도킹되는 도킹 스테이션(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잔디 깍기(100)는, 상기 입력부(160)가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서 상기 잔디 깍기(100)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더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 신호 또는 기저장된 스케줄에 따라서 소정의 장소에서 잔디의 절삭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커팅 장치(130) 및 이동 장치(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케이싱(110)의 외부, 예를 들면, 조작부 등에 설치되어 무선으로 상기 부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케이싱(110)에 대한 상기 커팅 장치(130)의 유동을 상기 센싱 장치(140)가 감지하였는지 여부에 따라서 비정상 상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비정상 상황의 발생 여부에 따라서 상기 커팅 장치(130) 또는/및 이동 장치(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이와 같은 비정상 상황에서 사용자의 부상이나 상기 커팅 장치(130) 등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팅 장치(130), 표시부(170) 및 이동 장치(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180)는, 비정상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커팅 장치(130)의 동작, 실질적으로 상기 커팅 모터(122)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비정상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표시부(170)가 비정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비정상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 장치(130), 실질적으로 상기 이동 모터(131)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비정상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입력부(160)가 기설정된 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감지 센서(150)가 감지한 상기 케이싱(110)과 지면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경우에는, 상기 잔디 깍기(100)가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장치(13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제어부(180)가 상기 이동 모터(131)가 현재의 회전 방향(이하에서는 '정방향'이라 칭함)의 반대 방향(이하에서는 '역방향'이라 칭함)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 센서(150)가 감지한 상기 케이싱(110)과 지면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이라는 것은, 사용자가 상기 비정상 상황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110)을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렸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기설정된 신호란, 예를 들면, 상기 입력부(160)가 상기 잔디 깍기(100)의 동작을 정지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에 의한 상기 커팅 장치(130), 표시부(170), 이동 장치(130)의 동작의 제어는, 동시 또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케이싱(110)에는 충전지가 구비된다. 상기 충전지는, 상기 커팅 장치(130) 및 이동 장치(130)를 포함하는 상기 잔디 깍기(100)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잔디 깍기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잔디 깍기의 제1실시예에서 비정상상황시 동작상태를 보인 제어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부(160)가 신호를 입력받으면, 잔디 깍기(100)가 동작하여 잔디를 깍는 작업이 수행된다.(S11)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장치(130), 실질적으로 이동 모터(13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잔디 깍기(100)가 일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커팅 장치(130)가 동작하여 상기 잔디 깍기(100)가 이동하면서 잔디를 깍는다.
한편 상기 커팅 장치(130), 실질적으로 블레이드(125)가 잔디를 절삭하는 과정에서 외부의 장애물 등과 상기 블레이드(125)가 접촉하는 비정상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커팅 장치(130), 실질적으로 모터 하우징(121)은 연결 부재(113)에 의하여 케이싱(110)에 대하여 유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즉 비정상 상황이 발생하면, 그 충격으로 상기 커팅 장치(130)가 상기 케이싱(110)에 대하여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커팅 장치(130)가 상기 케이싱(110)에 대하여 유동하면, 센싱 장치(140)가 이를 감지한다. 실질적으로, 모터 하우징(121)이 상기 케이싱(110)에 대하여 유동되면, 이에 연동하여 구동 레버(145)가 이동하여 센싱부(141)를 동작시킨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 장치(140)가 상기 케이싱(110)에 대한 상기 커팅 장치(130)의 유동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3)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 장치(140)가 상기 케이싱(110)에 대한 상기 커팅 장치(130)의 유동을 감지하면, 비정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커팅 장치(13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S15) 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커팅 장치(130)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블레이드(125)에 의하여 장애물이 튀어 나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와 같이 비정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장치(130), 실질적으로 이동 모터(131)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S17) 이와 같은 상기 이동 모터(131)의 동작의 정지는, 상술한 상기 커팅 장치(130)의 동작의 정지와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상기 커팅 장치(130)의 동작의 정지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비정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부(170)가 비정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19) 상기 표시부(170)에 의한 비정상 상황의 표시는, 상술한 상기 커팅 장치(130)의 동작의 정지와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상기 커팅 장치(130)의 동작의 정지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입력부(160)가 기설정된 신호를 입력받거나 감지 센서(150)가 감지한 상기 케이싱(110)과 지면 사이의 거리(L)가 기설정된 거리(L1)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1) 그리고 상기 제21단계에서, 상기 입력부(160)가 상기 잔디 깍기(100)의 동작의 정지를 위한 신호를 입력받지 않거나, 상기 감지 센서(150)가 감지한 상기 케이싱(110)과 지면 사이의 거리(L)가 기설정된 거리(L1)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케이싱(110)이 최초의 진행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장치(130)의 동작을 제어한다.(S23)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잔디 깍기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잔디 깍기의 제2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센싱 장치(190)를 구성하는 센싱부(191)가 발광부(192) 및 수광부(193)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192)는 빛을 발생시키고, 상기 수광부(193)는 상기 발광부(192)에서 발생된 빛을 수신한다. 그리고 회전 링(131)에는 차단 레버(195)가 구비된다. 상기 차단 레버(195)는 커팅 장치(130)의 케이싱()에 대한 유동에 의하여 상기 발광부(192)에서 발생되어 상기 수광부(193)에서 수신되는 빛의 경로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즉, 상기 차단 레버(195)는, 상기 수광부(193)가 상기 발광부(192)에서 발생된 빛을 수시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발광부(192)에서 발생되는 빛이 상기 수광부(193)에서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비정상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싱부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레버가 상기 커팅 장치, 실질적으로 상기 모터 하우징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상기 센싱부가 상기 모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 레버가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Claims (16)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잔디를 절삭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커팅 장치;
    상기 케이싱을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커팅 장치의 유동을 감지하는 센싱 장치;
    상기 센싱 장치가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케이싱의 유동을 감지하면, 상기 커팅 장치의 동작의 정지 및 상기 이동 장치의 동작의 정지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커팅 장치, 이동 장치, 센싱 장치 및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느 충전지; 를 포함하는 잔디 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장치는,
    상기 케이싱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모터 하우징; 및
    상기 모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을 위한 구동을 제공하는 커팅 모터; 를 더 포함하는 잔디 깍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는 연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케이싱에 연결되는 잔디 깍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장치는, 상기 블레이드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싱과 블레이드 사이에 위치되는 블레이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잔디 깍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는,
    상기 케이싱 및 커팅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센싱부; 및
    상기 케이싱 및 커팅 장치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커팅 장치의 유동에 연동하여 상기 센싱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는 구동 레버; 를 포함하는 잔디 깍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장치는,
    상기 케이싱 및 커팅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된 빛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센싱부; 및
    상기 케이싱 및 커팅 장치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커팅 장치의 유동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부에서 상기 수광부를 향하는 빛의 경로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차단 레버; 를 포함하는 잔디 깍기.
  7. 제 1 항에 있어서,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장치가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케이싱의 유동을 감지하면, 상기 표시부가 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잔디 깍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장치가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케이싱의 유동을 감지하면, 상기 커팅 장치의 동작의 정지 및 상기 이동 장치의 동작의 정지와 동시 또는 그 이후에 상기 표시부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잔디 깍기.
  9. 제 1 항에 있어서,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장치가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케이싱의 유동을 감지하면, 상기 커팅 장치의 동작의 정지 및 상기 이동 장치의 동작의 정지가 이루어진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입력부가 기설정된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를 제외한 경우에는, 상기 센싱 장치가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케이싱의 유동을 감지하기 전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케이싱이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잔디 깍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케이싱과 지면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장치가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케이싱의 유동을 감지하면, 상기 커팅 장치의 동작의 정지 및 상기 이동 장치의 동작의 정지가 이루어진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입력부가 기설정된 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감지 센서가 감지한 상기 케이싱과 지면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를 제외한 경우에는, 상기 센싱 장치가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케이싱의 유동을 감지하기 전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케이싱이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잔디 깍기.
  11. 제어부가, 케이싱이 이동하면서 잔디를 절삭하도록 이동 장치 및 커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감지 장치가,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커팅 장치의 유동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 장치가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커팅 장치의 유동을 감지하면, 상기 커팅 장치 및 이동 장치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잔디 깍기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커팅 장치의 유동을 감지하면, 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잔디 깍기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표시부의 동작의 제어는,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커팅 장치 및 이동 장치의 동작의 정지와 동시 또는 그 이후에 이루어지는 잔디 깍기 제어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커팅 장치 및 이동 장치의 동작이 정지된 후, 상기 센싱 장치가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케이싱의 유동을 감지하기 전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케이싱이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잔디 깍기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팅 장치 및 이동 장치의 동작이 정지된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입력부가 기설정된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를 제외한 경우에만, 상기 센싱 장치가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케이싱의 유동을 감지하기 전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케이싱이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잔디 깍기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감지 센서가, 상기 케이싱과 지면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팅 장치 및 이동 장치의 동작이 정지된 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입력부가 기설정된 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감지 센서가 감지한 상기 케이싱과 지면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상인 경우를 제외한 경우에만, 상기 센싱 장치가 상기 케이싱에 대한 상기 케이싱의 유동을 감지하기 전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케이싱이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잔디 깍기 제어 방법.
KR1020110105124A 2011-10-14 2011-10-14 잔디 깍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22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124A KR101322550B1 (ko) 2011-10-14 2011-10-14 잔디 깍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124A KR101322550B1 (ko) 2011-10-14 2011-10-14 잔디 깍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395A true KR20130040395A (ko) 2013-04-24
KR101322550B1 KR101322550B1 (ko) 2013-11-04

Family

ID=4844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124A KR101322550B1 (ko) 2011-10-14 2011-10-14 잔디 깍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5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585A (ko) 2016-11-24 2018-06-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골프장 그린 잔디깍기장치
KR20180085581A (ko) 2017-01-19 2018-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구동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동화 잔디 깎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369B1 (ko) * 2016-11-24 2018-09-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잔디깎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0244B2 (ja) * 1990-12-11 1999-06-23 井関農機株式会社 無人走行作業車
JP4754859B2 (ja) 2005-04-12 2011-08-24 株式会社ニッカリ 草刈機及び電動草刈機
KR101001076B1 (ko) * 2008-09-18 2010-12-1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잔디깍기장치
KR101202399B1 (ko) * 2009-04-28 2012-11-20 주식회사 하나팜 농업용 잔디 예초 모우어 로봇 및 그의 주행 안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585A (ko) 2016-11-24 2018-06-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골프장 그린 잔디깍기장치
KR20180085581A (ko) 2017-01-19 2018-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구동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전동화 잔디 깎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2550B1 (ko) 2013-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0004B2 (en) Lawn mower robot
US10674660B2 (en) Autonomous lawn mower with movable cover
US10716254B2 (en) Lawn mower robot
US9033079B2 (en) Wheel assembly of mobile robot
US20180184584A1 (en) Lawn mower robot
EP2425700A2 (en) Switch unit for a device, in particular a lawnmower
WO2015040987A1 (ja) 自走式草刈機
US9226444B2 (en) Battery powered lawn care vehicle with efficient drive controller
KR101322550B1 (ko) 잔디 깍기 및 그 제어 방법
EP3549429B1 (en) Lawn mower robot
WO2016140236A1 (ja) 芝刈機
US20170042085A1 (en) Robotic work tool
JP2016195546A (ja) 自走式草刈機
CN104115621B (zh) 360゜全方位障碍物检测机构及带有该机构的智能割草机
EP3593615A1 (en) Garden tool and toppling prevention method therefor
EP2210466B1 (en) Cutting device for lawn-mowers and lawn-mower comprising said device
KR20210114527A (ko) 커팅날이 구비된 전동 작업기
JP2016120583A (ja) 刃砥ぎ装置、充電装置及び自律走行車ユニット
CN113115620B (zh) 割草机、割草机器人和户外行走类动力工具
KR102463317B1 (ko) 잔디깎기 로봇
KR102354130B1 (ko) 잔디깎기 로봇
KR20130061962A (ko) 잔디 깍기의 경계 인식 시스템
KR102072687B1 (ko) 잔디깎기 로봇
US20240180073A1 (en) Robotic lawnmower
CN215774295U (zh) 移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