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338A - 도로안전 표지판 및 그의 점멸방법 - Google Patents

도로안전 표지판 및 그의 점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338A
KR20130040338A KR1020110105027A KR20110105027A KR20130040338A KR 20130040338 A KR20130040338 A KR 20130040338A KR 1020110105027 A KR1020110105027 A KR 1020110105027A KR 20110105027 A KR20110105027 A KR 20110105027A KR 20130040338 A KR20130040338 A KR 20130040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ign
flashing
light emitting
bli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3317B1 (ko
Inventor
황용순
황동혁
박형일
Original Assignee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5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317B1/ko
Publication of KR20130040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30Arrangements interacting with transmitters or receivers otherwise than by visible means, e.g. using radar reflectors or radio transmi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도로에 배치되는 도로안전 표지판 및 그의 점멸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도로안전 표지판은, 태양전지에서 태양 광을 흡수하여 전원을 생성하는 태양전지모듈과, 생성된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표시부와, 이웃한 이전 표지판으로부터 점멸정보를 포함한 점멸신호를 수신하고 이웃한 다음 표지판으로 점멸신호를 송신하는 점멸신호 송수신부와, 수신된 점멸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이전 표지판으로부터 점멸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여 점멸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점멸신호에 따라 발광표시부를 점멸시킨 후 다음 표지판으로 점멸신호를 송신하며, 점멸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기저장된 점멸정보를 포함한 새로운 점멸신호를 생성하여 발광표시부를 점멸시키고 그 새로운 점멸신호를 다음 표지판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로안전 표지판 및 그의 점멸방법{SIGN BOARD FOR ROAD SAFETY AND POWER ON-OFF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로안전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도로안전 표지판에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전원을 공급하고 일부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점멸하도록 하는 도로안전 표지판 및 그의 점멸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안전 표지판은 주로 차량이 이용하는 도로에서 안전하고 원활한 도로교통을 확보하고 도로구조의 보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도로의 측면이나 차도의 위쪽에 설치된다. 이러한 도로안전 표지판은 방향표시, 이정표시, 경계표시, 노선표시, 보조표시 등으로 구분되며 차량 운전자나 통행자에게 각종 정보의 안내나 규제 등을 지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차량 운전자는 직선 형태의 도로와는 다르게 곡선 형태의 도로의 경우 전방 시야의 확보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운전하는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주간에는 노면이나 주변의 시설물 등을 기준으로 운전하지만 주변이 어두운 야간의 경우에는 노면이나 시설물 등에 의한 시선 유도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사고위험성이 높다. 특히 가로등이 없는 지역, 산길, 가드레일이 없는 도로에서는 운전자가 도로 상황을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위험성이 더욱 커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로의 중앙이나 도로 갓길에 도로를 따라 반사등 또는 점멸등을 설치하여 운전자가 도로 상황을 인지하도록 하여 도로를 안전하게 안내하도록 하고 있다. 반사등은 태양이나 차량의 전조등의 빛을 반사하여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오게 하고, 점멸등은 자체적으로 빛을 점멸함으로써 야간에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점멸등의 경우 동시점멸 또는 순차점멸 등을 통해 운전자가 쉽게 확인하여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도로안전 표지판은 주로 도로에 다수 개 설치되고 비나 눈, 바람 등 외부환경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손상이나 고장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특히, 도로안전 표지판을 도로를 따라 일렬로 연속해서 다수 설치하는 경우 이들 표지판은 이웃한 표지판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점멸하기 때문에 일부 표지판에 고장이 발생하면 해당 표지판뿐만 아니라 그 다음부터 연속된 표지판은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므로 점멸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최근에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도로안전 표지판이 제공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일부 표지판에 고장이 발생하면 이웃한 표지판으로 순차/동시 점멸, 12h/24h 점멸, 점멸주기 등의 점멸정보 및 발광소자의 온/오프를 위한 점멸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나머지 표지판은 점멸주기가 흐트러져 무작위로 점멸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오히려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도로를 따라 일렬로 설치된 다수의 도로안전 표지판 중에서 어느 일부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표지판이 안정적으로 점멸하도록 하여 운전자가 안정적으로 안내받을 수 있도록 하는 도로안전 표지판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도로안전 표지판 중 일부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점멸가능하도록 하는 도로안전 표지판 및 그의 점멸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도로안전 표지판에서 각각 이웃한 표지판으로부터 점멸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새로운 점멸신호를 생성하고 그 점멸신호에 따라 점멸하도록 하고 다음 표지판으로 점멸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도로안전 표지판 및 그의 점멸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용전원이나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각각에 설치된 태양전지모듈을 통해 태양 광으로부터 전원을 독립적으로 생성하여 표지판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도로안전 표지판 및 그의 점멸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성된 전원의 일부를 축전지에 저장하고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성된 전원의 크기가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생성된 전원으로 점멸하고, 기준치보다 작으면 축전지의 전원으로 점멸하도록 하는 도로안전 표지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안전 표지판은,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표시부; 이웃한 이전 표지판으로부터 점멸정보를 포함한 점멸신호를 수신하고 이웃한 다음 표지판으로 상기 점멸신호를 송신하는 점멸신호 송수신부; 상기 수신된 점멸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이전 표지판으로부터 상기 점멸신호가 수신되는지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상기 점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점멸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표시부를 점멸시키고 상기 다음 표지판으로 상기 점멸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점멸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저장된 점멸정보를 포함한 새로운 점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새로운 점멸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표시부를 점멸시키고 상기 새로운 점멸신호를 상기 다음 표지판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한 도로안전 표지판은, 태양전지에서 태양 광을 흡수하여 전원을 생성하는 태양전지모듈; 및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성된 전원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전원을 상기 발광표시부로 공급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성된 전원의 크기를 검출하는 전원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원의 크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축전지에서 상기 발광표시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다르게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원의 크기가 상기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기준치 이상인 경우보다 상기 축전지에서 상기 발광표시부로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원의 크기가 상기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기준치 이상인 경우보다 상기 발광표시부의 점멸주기가 상대적으로 길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로안전 표지판의 점멸방법은,
발광표시부를 각각 포함하며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도로안전 표지판에서, 상기 표지판 각각은 이웃한 이전 표지판으로부터 점멸정보가 포함된 점멸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전 표지판에서 점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점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전 표지판으로부터 상기 점멸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점멸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표시부를 점멸시키고 상기 점멸신호를 이웃한 다음 표지판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전 표지판으로부터 상기 점멸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기저장된 점멸정보를 포함한 새로운 점멸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새로운 점멸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표시부를 점멸시키며 상기 새로운 점멸신호를 상기 이웃한 다음 표지판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태양전지에서 태양 광을 흡수하여 전원을 생성하는 태양전지모듈에서 축전지에 상기 생성된 전원을 저장하고 상기 축전지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발광표시부로 공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한 점멸방법은,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성된 전원의 크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전원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축전지에 상기 발광표시부로 상대적으로 큰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축전지에서 상기 발광표시부로 상대적으로 적은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검출된 전원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발광표시부의 점멸주기가 상대적으로 짧고 상기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발광표시부의 점멸주기가 상대적으로 길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도로안전 표지판 및 그의 점멸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안전 표지판에 태양전지모듈을 통해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적은 비용으로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도로안전 표지판에서 일부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안정적인 점멸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안전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성되는 전원의 크기가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축전지에 저장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시간, 날씨 등에 따라 태양전지모듈에서의 전원 생산량이 적더라도 도로안전 표지판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도로에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도로안전 표지판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안전 표지판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안전 표지판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안전 표지판의 점멸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로안전 표지판의 점멸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도로에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도로안전 표지판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안전 표지판(100, 이하, 편의상 '표지판'이라 칭함)은 차량(10)의 주행방향에 따라 도로(20)를 따라 일렬로 다수 개로 배치되어 점멸함으로써, 특히 야간이나 우천시 차량(10)의 안전운행을 위해 도로(20)의 상황을 안내한다. 본 발명에서 표지판(100)의 점멸은 내부에 마련된 발광소자에 전원이 온/오프(on/off)되는 것, 즉 발광소자가 켜지고 꺼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발광소자는 빛을 발광하는 소자로서 예컨대, 발광다이오드(LED), 면광원, 백라이트 광원 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표지판(100)에서 동시점멸은 모든 표지판(100)이 동시에 온/오프되는 것을 의미하고, 순차점멸은 다수의 표지판(100)이 순차적으로 온/오프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다수의 표지판(100)에서 제1 표지판(101)이 점멸(on/off)된 후 제2 표지판(102)이 점멸(on/off)되고, 계속해서 제3,4,5,.. 표지판(103~105)이 차례대로 점멸(on/off)되는 것이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의 표지판(100)을 구간별로 구분하고 각 구간 내에서 동시점멸 또는 순차점멸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표지판(100)의 점멸시간, 점멸주기 등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표지판(100)은 서로 이웃한 표지판(100)끼리 점멸신호를 송수신한다. 예컨대, 제1 표지판(101)은 제2 표지판(102)으로 점멸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제2 표지판(102)은 이웃한 이전 표지판인 제1 표지판(101)로부터 점멸신호를 수신하여 그 수신된 점멸신호에 따라 점멸하고, 이웃한 다음 표지판인 제3 표지판(103)으로 점멸신호를 전송한다. 동일하게 제3 표지판(103)로 수신된 점멸신호에 따라 점멸하고 제4 표지판(104)로 점멸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처음과 마지막 표지판의 경우는 다르다. 즉, 첫 번째 표지판은 점멸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며 점멸정보를 포함하여 점멸신호를 생성하여 다음 표지판으로 전송하고, 마지막 표지판은 이전 표지판으로부터 점멸신호를 수신하지만 다음 표지판이 없으므로 점멸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새로운 점멸신호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로안전 표지판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안전 표지판(100)은 태양전지모듈(110), 축전지(120), 발광표시부(130), 점멸신호 송수신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도로안전 표지판(100)은 전원검출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태양전지모듈(110)은 태양 광을 흡수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표지판(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한다. 태양전지모듈(110)에서 생성되는 전원은 직류 전원으로서 내부의 변환회로에 의해 도로안전 표지판(100)에 필요한 교류 전원으로 변환된다. 여기서, 태양전지모듈(110)은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의 일례이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용전원이나 별도의 전원발생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축전지(120)는 일례로 태양전지모듈(110)에서 생성된 전원을 저장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용전원 등을 별도로 저장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태양전지모듈(110)에서 생성된 전원을 저장하면서 발광표시부(130)로 저장된 전원을 공급한다. 이는 발광표시부(130)를 점등함과 동시에 태양전지모듈(110)에서 생성되는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발광표시부(130)는 축전지(1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입력되는 점멸신호에 따라 점멸된다. 발광표시부(130)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발광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표시부(130)는 후술하는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멸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점멸신호 송수신부(140)는 자신과 이웃한 이전 표지판(1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점멸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와, 다른 이웃한 다음 표지판(100")으로 점멸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송수신되는 점멸신호에는 발광표시부(130)의 점멸정보가 포함된다.
저장부(150)는 점멸신호 송수신부(140)에 수신되는 점멸신호에 포함된 점멸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점멸정보는 12h/24h 점멸, 순차/동시 점멸, 점멸주기 등을 포함한다.
제어부(160)는 수신부를 통해 이웃한 이전 표지판(100')으로부터 점멸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점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점멸신호에 따라 발광표시부(130)를 점멸시키고 송신부를 통해 이웃한 다음 표지판(100")으로 상기 점멸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수신부를 통해 이웃한 이전 표지판(100')으로부터 점멸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점멸정보를 포함하여 새로운 점멸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점멸신호에 따라 발광표시부를 점멸시키고 송신부를 통해 이웃한 다음 표지판(100")으로 그 새로운 점멸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전원검출부(170)는 태양전지모듈(110)에서 생성된 전원의 크기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전원검출부(170)는 태양전지모듈(110)에서 생성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생성되는 전원의 생산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160)는 전원검출부(170)에서 검출된 전원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축전지(120)에서 상대적으로 큰 전원이 발광표시부(130)로 공급되도록 제어하고, 반대로 기준치보다 작으면 축전지(120)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전원이 발광표시부(130)로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다른 예에서 제어부(160)는 전원검출부(170)에서 검출된 전원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발광표시부(130)의 점멸주기가 상대적으로 짧도록 점멸을 제어하고, 반대로 기준치보다 작으면 발광표시부(130)의 점멸주기가 길도록 점멸을 제어한다. 이는 비, 눈이 오는 날씨, 태양이 구름에 가리거나 태양이 없는 밤에는 태양 광의 흡수가 적으므로 태양전지모듈(110)에서의 전원 생산량이 적고, 이 경우에 발광표시부(120)로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가 일정값(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므로 전력소비량을 절감하기 위해 축전지(120)에서 발광표시부(130)의 점멸에 필요한 전원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안전 표지판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는 설명의 편의상 5개의 표지판(100a~100e)만 도시하고 있고, 모두 정상작동되다가 가운데의 제3 표지판(100c)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가정한다
첫 번째인 제1 표지판(100a)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점멸정보를 포함하여 점멸신호를 생성한다. 점멸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초기에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제1 표지판(100a)은 이러한 점멸신호에 의해 점멸된다. 점멸시에 12h/24h 점멸, 점멸주기, 동시점멸, 순차점멸 등의 점멸정보에 맞춰 점멸된다. 이어, 제1 표지판(100a)은 이러한 점멸신호를 이웃한 다음 표지판인 제2 표지판(100b)으로 전송한다.
제2 표지판(100b)은 이전 표지판인 제1 표지판(100a)으로부터 전송된 점멸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점멸신호에 따라 점멸된다. 이때의 점멸도 역시 점멸신호에 포함된 점멸정보에 맞추어 점멸된다. 제2 표지판(100b)도 다음 표지판인 제3 표지판(100c)으로 점멸신호를 전송한다.
그런데, 제3 표지판(100c)은 고장이 발생하였으므로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전 표지판인 제2 표지판(100b)에서 전송한 점멸신호를 수신하지도 못할 뿐만 아니라 다음 표지판인 제4 표지판(100d)로 점멸신호를 전송하지도 못한다(도면에서 A 참조).
그러면, 제4 표지판(100d)은 일정한 시간 동안 점멸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내부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새로운 점멸신호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새로운 점멸신호에 따라 점멸한다. 이때, 생성된 점멸신호에는 기저장된 점멸정보가 포함된다. 제4 표지판(100d)은 새로 생성된 점멸신호를 이웃한 다음 표지판인 제5 표지판(100e)로 전송한다.
마지막 제5 표지판(100e)은 제4 표지판(100d)으로부터 수신된 점멸신호에 따라 점멸한다. 이때, 제5 표지판(100e)이 마지막이므로 점멸신호는 더 이상 전송하지 않는다. 만약, 다음 표지판이 더 있다면 위와 동일한 과정으로 점멸신호를 계속해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표지판(100)이 모두 정상상태일 경우에는 처음과 마지막을 제외하고는 모두 이전 표지판로부터 점멸신호를 수신하여 점멸신호에 따라 점멸하고 다음 표지판으로 점멸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일부 표지판(100)에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이 발생한 표지판의 다음 표지판에서 새로운 점멸신호를 생성하여 그 생성된 점멸신호에 따라 점멸하고 계속해서 다음 표지판으로 점멸신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표지판(100)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그 이후에도 계속 점멸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도로안전 표지판의 점멸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참조하면, 발광표시부(130)를 각각 포함하며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도로안전 표지판(100)에 각각 전원을 인가한다(S101). 각 표지판(100)은 이웃한 이전 표지판(100')으로부터 점멸정보가 포함된 점멸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한다(S103).
상기 S103단계에서, 이전 표지판(100')으로부터 점멸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점멸정보를 저장하고(S105), 그 점멸신호에 따라 발광표시부(130)를 점멸시킨다(S107). 이후, 점멸신호를 이웃한 다음 표지판(100")으로 전송한다(S109).
반대로, 상기 S103단계에서, 이전 표지판(100')으로부터 점멸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표지판(100)은 기저장된 점멸정보를 포함한 새로운 점멸신호를 생성하고(S111), 생성된 점멸신호에 따라 발광표시부(130)를 점멸시킨다(S113). 그리고, 생성된 새로운 점멸신호를 이웃한 다음 표지판(100")으로 전송한다(S115).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로안전 표지판의 점멸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서 설명한 도로안전 표지판(100)의 점멸과정 중 태양전지모듈(110)에서 생성된 전원의 크기를 검출한다(S201). 이때, 검출된 전원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S203) 상기 기준치보다 크면 축전지(120)에서 상대적으로 큰 전원을 발광표시부(130)로 공급하여 발광표시부(130)를 점멸시키고(S205), 반대로 기준치 이하이면 축전지(170)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전원을 발광표시부(130)로 공급하여 발광표시부(130)를 점멸시킨다(S207). 이때의 점멸은 상기한 점멸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S205 단계의 경우에 S207 단계에 비해 발광표시부(130)의 점멸주기가 상대적으로 짧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이는 제어부(160)가 축전지(120)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통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발광표시부(130)의 온/오프 주기를 제어함으로써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는 직선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곡선형태로 형성된다. 대부분의 큰 도로에는 가로등이 설치되어 있으나, 작은 도로나 한적한 도로에는 가로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고위험이 따른다. 이를 위하여 도로를 따라 도로안전 표지판의 설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본 발명은 도로를 따라 일렬로 설치된 다수의 도로안전 표지판 중 일부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다시 안정적으로 점멸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특히 야간 운전자에게 도로를 정확하고 안전하게 안내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주로 야간에 운행하는 물류이송 분야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것이다.
100, 100', 100" : 도로안전 표지판 110 : 태양전지모듈
120 : 축전지 130 : 발광표시부
140 : 점멸신호 송수신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70 : 전원검출부

Claims (9)

  1.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표시부;
    이웃한 이전 표지판으로부터 점멸정보를 포함한 점멸신호를 수신하고 이웃한 다음 표지판으로 상기 점멸신호를 송신하는 점멸신호 송수신부;
    상기 수신된 점멸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이전 표지판으로부터 상기 점멸신호가 수신되는지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상기 점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점멸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표시부를 점멸시키고 상기 다음 표지판으로 상기 점멸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점멸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저장된 점멸정보를 포함한 새로운 점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새로운 점멸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표시부를 점멸시키고 상기 새로운 점멸신호를 상기 다음 표지판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도로안전 표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태양전지에서 태양 광을 흡수하여 전원을 생성하는 태양전지모듈; 및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성된 전원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전원을 상기 발광표시부로 공급하는 축전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전 표지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성된 전원의 크기를 검출하는 전원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원의 크기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축전지에서 상기 발광표시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전 표지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원의 크기가 상기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기준치 이상인 경우보다 상기 축전지에서 상기 발광표시부로 공급되는 전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안전표지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검출부에서 검출된 전원의 크기가 상기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상기 기준치 이상인 경우보다 상기 발광표시부의 점멸주기가 상대적으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전 표지판.
  6. 발광표시부를 각각 포함하며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도로안전 표지판에서,
    상기 표지판 각각은 이웃한 이전 표지판으로부터 점멸정보가 포함된 점멸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전 표지판에서 점멸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점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전 표지판으로부터 상기 점멸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점멸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표시부를 점멸시키고 상기 점멸신호를 이웃한 다음 표지판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전 표지판으로부터 상기 점멸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기저장된 점멸정보를 포함한 새로운 점멸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새로운 점멸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표시부를 점멸시키며 상기 새로운 점멸신호를 상기 이웃한 다음 표지판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도로안전 표지판의 점멸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태양전지에서 태양 광을 흡수하여 전원을 생성하는 태양전지모듈에서 축전지에 상기 생성된 전원을 저장하고 상기 축전지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발광표시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전 표지판의 점멸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성된 전원의 크기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전원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축전지에 상기 발광표시부로 상대적으로 큰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축전지에서 상기 발광표시부로 상대적으로 적은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전 표지판의 점멸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전원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발광표시부의 점멸주기가 상대적으로 짧고 상기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발광표시부의 점멸주기가 상대적으로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안전 표지판의 점멸방법.
KR1020110105027A 2011-10-14 2011-10-14 도로안전 표지판 및 그의 점멸방법 KR101313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027A KR101313317B1 (ko) 2011-10-14 2011-10-14 도로안전 표지판 및 그의 점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5027A KR101313317B1 (ko) 2011-10-14 2011-10-14 도로안전 표지판 및 그의 점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338A true KR20130040338A (ko) 2013-04-24
KR101313317B1 KR101313317B1 (ko) 2013-10-14

Family

ID=48440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027A KR101313317B1 (ko) 2011-10-14 2011-10-14 도로안전 표지판 및 그의 점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3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819B1 (ko) 2017-08-11 2018-03-08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광섬유 발광형 표지 장치
WO2019083060A1 (ko) * 2017-10-25 2019-05-02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광섬유 발광형 표지 장치
KR101937974B1 (ko) 2018-05-08 2019-01-14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광섬유 발광형 표지 장치
KR102022217B1 (ko) 2019-04-10 2019-11-04 조선이공대학교산학협력단 고속도로 풍속 안내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3975A (ja) * 1996-09-25 1998-06-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視線誘導標システム
JP3634557B2 (ja) * 1997-05-14 2005-03-30 積水樹脂株式会社 自発光式道路標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3317B1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482B1 (ko) 교통신호 시스템
US11227492B2 (en) Solar induction lamp and induction system using same
KR101313317B1 (ko) 도로안전 표지판 및 그의 점멸방법
ES2387364B1 (es) Modulo electronico y metodo utilizado para el balizado de la punta de pala
KR101279166B1 (ko) 유에스엔 태양광 가로등의 점등제어장치
KR101228274B1 (ko) 교통안내 제공 시스템
KR20100067957A (ko) 풍력발전을 이용한 안전운전 장치 및 방법
JP2008158755A (ja) 点灯制御システム
KR20130034427A (ko)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종합 교통안전 관리 시스템
KR102360401B1 (ko) 배터리 잔량에 의한 밝기제어와 보행자 및 신호대기자 조사가 가능한 태양광 횡단보도 조명시스템
KR20220007273A (ko) 점멸 유도패널
KR101030282B1 (ko) 컬러변경 기능을 갖는 시선 유도등 제어장치
KR101141304B1 (ko) 순차점멸 방식 점멸등 및 이를 이용한 도로안내 시스템
KR20160082185A (ko) 곡선도로용 안전표지 시스템
KR20110007430U (ko) 시인성이 향상된 교통표지장치
KR20190140797A (ko) 능동형 스마트 가로등
KR101608263B1 (ko) 자가 진단기능을 갖는 경광등 및 전광판 시스템
KR101009048B1 (ko) 터널 조명시스템과 그 시공방법
KR200465502Y1 (ko) 압전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안개 유도등 시스템
KR20080005934U (ko) 태양전지식 MCU(Micro Control Unit) 도로표지병
KR20090035304A (ko) 자전거 표시판이 구비된 신호등
CN203836834U (zh) 一种用于道路发光的激光装置
KR20200109560A (ko)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KR102370371B1 (ko) 도로 결빙구간 능동 감시 동작형 안전등화장치
KR20150120904A (ko) 하이브리드 자가 발전 시스템을 가진 횡단보도 안전용 엘이디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