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944A - 장단 가락보 및 장단 가락보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장단 가락보 및 장단 가락보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944A
KR20130039944A KR1020110104633A KR20110104633A KR20130039944A KR 20130039944 A KR20130039944 A KR 20130039944A KR 1020110104633 A KR1020110104633 A KR 1020110104633A KR 20110104633 A KR20110104633 A KR 20110104633A KR 20130039944 A KR20130039944 A KR 20130039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note
displaying
rhythm
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5646B1 (ko
Inventor
김영옥
Original Assignee
김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옥 filed Critical 김영옥
Priority to KR1020110104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646B1/ko
Publication of KR20130039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2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 G09B15/026Non-electrically oper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01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chords
    • G09B15/004Non-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 G09B15/007Non-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using disc-shaped boards
    • G09B15/008Non-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using disc-shaped boards with indication of the keys or strings to be played on instru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보를 대신할 수 있는 장단가락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표를 나타내도록 그려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형을 포함하며, 도형 내부에 음계를 기재하고, 도형을 분할하거나 복수 개 잇달아 적음으로써 음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단 가락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장단 가락보 및 장단 가락보 표시 장치{A NOVEL SCORE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SAME}
본 발명은 악보를 대신할 수 있는 장단가락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양 음악의 경우 오선지에 소정의 기호로 음의 높낮이와 길이를 표시하여 악보를 작성한다. 그러나 유아들이나 피아노 교습 등을 받지 않은 초보자들이 이러한 악보를 읽는 것이 쉽지 않으며, 계명을 읽는 등의 악보 읽기에 어려움을 느껴 음악 자체와 멀어지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국악기인 장구에서 사용되는 장단 가락보는, 우리나라 구음의 리듬만을 표기하고 있어 음의 높낮이를 구별하기 힘들며, 특히 어린아이들이 율명을 보고 연주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우리나라 전통 악기인 장구의 정간보를 참조로 하여, 초보자가 쉽게 이해하고 연주할 수 있는 악보인 장단 가락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형화된 그림에 높낮이를 표기하여 오선 악보를 읽지 않아도 쉽게 연주할 수 있는 장단 가락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표를 나타내도록 그려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형을 포함하며, 도형 내부에 음계를 기재하고, 도형을 분할하거나 복수 개 잇달아 적음으로써 음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단 가락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도형 내부에 기재된 음계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점을 찍음으로써 옥타브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단 가락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점, 화살표, 물결무늬, 올림표, 내림표, 및 도돌이표를 도형 안 또는 도형 밖에 기재함으로써, 각각 3연음, 붙임줄, 트릴, 올림음, 내림음 및 도돌이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단 가락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꾸밈음은, 도형 앞에 원래 도형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도형 및 음계를 기재함으로써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단 가락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5선 악보를 제1항 내지 제4항에 기재된 장단 가락보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단 가락보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장단 가락보는 도형화된 그림에, 높낮이를 계명으로 표기하여 오선 악보를 읽지 않아도 초보자도 쉽게 악보를 읽고 연주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장단 가락보 표시 장치는, 오선 악보를 장단 가락보로 변환하여 표시해줌으로써, 초보자도 쉽게 악보를 읽고 연주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단가락보에서 기본적인 음의 표시 방법을 기존의 악보와 비교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단가락보에서 응용된 음의 표시 방법을 기존의 악보와 비교한 도면,
도 4는 기존의 오선 악보로 raindrops kepp falling on my head의 일부를 5중주 악보로 표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단가락보로 raindrops kepp falling on my head의 일부를 5중주 악보로 표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단 가락보에 대해 설명한다.
초보자가 악보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정간보에서는 연주해야 되는 음가 이해를 무늬로 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장단 가락보에서는 무늬는 생략하는 대신 도형으로 음의 길이를 표시하고, 도형 안에 계명을 적음으로써 리듬과 음의 높낮이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형은 원형으로 표시하였으며, 원 하나가 4분음표 하나에 대응한다. 또한 쉼표는 흑색으로 표시한다. 8분음표의 경우, 원의 반을 검게 칠하여 음을 8분음만 연주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16분음표의 경우, 원의 1/4만 남기고 나머지 3/4는 검게 칠함으로써 16분음만을 연주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트릴을 연주해야하는 음은 (~)표기한다. 오르프 악기에서 옥타브의 음은 두 옥타브 영역안에 있음으로 옥타브 위의 음은 표시는 위의 점(·)으로 약속하고, 가온음계보다 낮은 옥타브의 음은 계명 아래에 점을 찍고, 가온음계보다 높은 옥타브의 음은 계명 위에 점을 찍음으로써 옥타브 표시를 한다.
셋잇단음표는 연주해야하는 계명에 (∴)로 표기하거나, 세 음을 모두 적어주며 붙임줄은 ( → ) 연결하여 표기하기로 한다. 또 타악기의 연주는(*)로 표기하며 트레몰로는 (~)로 오르프악기와 통일한다. 4연음, 껑충 리듬 등은 원을 분할한 뒤에 분할된 금을 기준으로 간격을 줌으로써 음을 각각 연주해주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또한 화음은 도형 안에 상,하로 함께 연주되어야 할 음을 모두 적어줌으로써 표시한다. 올림표와 내림표도 도형 안의 계명 위에 각각 올림표와 내림표를 적어주고, 도돌이표도 오선 악보와 동일한 도돌이표를 사용한다. 꾸밈음은, 본 음을 표시하는 도형 앞에 더 작은 도형으로 계명을 적어줌으로써 표시한다.
이러한 장단가락보의 표시 예로, 도 4에 도시된 Raindrops keep falling on my head의 5선 악보를 장단 가락보로 만든 것이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오선악보에 대한 통상적 사용을 위한 장단 가락보의 제안은 유아들로부터 음악교육을 받지 않은 초등부와 장년에 이르기까지 도형화된 장단 가락보를 인식함으로써 쉽게 연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장단 가락보를 표시해주는 장치로,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장단 가락보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제어부는 5선 악보를 인식하여, 각각의 음과 장단을 장단 가락보로 변환한 다음, 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한다.

Claims (5)

  1. 음표를 나타내도록 그려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형;을 포함하며,
    도형 내부에 음계를 기재하고, 도형을 분할하거나 복수 개 잇달아 적음으로써 음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단 가락보.
  2. 제1항에 있어서,
    도형 내부에 기재된 음계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점을 찍음으로써 옥타브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단 가락보.
  3. 제1항에 있어서,
    점, 화살표, 물결무늬, 올림표, 내림표, 및 도돌이표를 도형 안 또는 도형 밖에 기재함으로써, 각각 3연음, 붙임줄, 트릴, 올림음, 내림음 및 도돌이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단 가락보.
  4. 제1항에 있어서,
    꾸밈음은, 도형 앞에 원래 도형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도형 및 음계를 기재함으로써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단 가락보.
  5.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5선 악보를 제1항 내지 제4항에 기재된 장단 가락보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단 가락보 표시 장치.
KR1020110104633A 2011-10-13 2011-10-13 장단 가락보 및 장단 가락보 표시 장치 KR101295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633A KR101295646B1 (ko) 2011-10-13 2011-10-13 장단 가락보 및 장단 가락보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633A KR101295646B1 (ko) 2011-10-13 2011-10-13 장단 가락보 및 장단 가락보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944A true KR20130039944A (ko) 2013-04-23
KR101295646B1 KR101295646B1 (ko) 2013-08-09

Family

ID=48439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633A KR101295646B1 (ko) 2011-10-13 2011-10-13 장단 가락보 및 장단 가락보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3198A (zh) * 2020-05-12 2020-09-01 浙江大学 一种midi的节奏型识别方法及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636B1 (ko) * 2017-12-06 2019-02-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1285Y2 (ja) * 1993-05-13 1998-09-21 憲治 永瀬 楽 譜
JP2002311947A (ja) * 2001-04-16 2002-10-25 Shinko Music Pub Co Ltd 楽器教習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3198A (zh) * 2020-05-12 2020-09-01 浙江大学 一种midi的节奏型识别方法及应用
CN111613198B (zh) * 2020-05-12 2023-09-08 浙江大学 一种midi的节奏型识别方法及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646B1 (ko) 201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4625B2 (en) Digital sight-singing piano with a fixed-solfège keyboard, continuous keys and adjustable tones by kneading piano keys
US8039721B2 (en) Kit and method for learning to play an instrument
Bagchee Nad
US20080072738A1 (en) Isomorphic Solfa Music Notation and Keyboard
JP2013515288A (ja) 教育用弦楽器タッチスクリーンシミュレーション
CN201017624Y (zh) 无键位弦乐器音准、视奏辅助练习装置
Miller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music theory
US8431807B1 (en) Magic key of learning
KR101295646B1 (ko) 장단 가락보 및 장단 가락보 표시 장치
KR20190112931A (ko) 악보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연주악보교재
WO2017150963A1 (en) A color coded music notation system
JP2011525250A (ja) 楽典を表示するための装置
Biamonte Musical representation in the video games Guitar Hero and Rock Band
CN208014363U (zh) 一种弹奏音高可调且唱名恒定的键盘视唱琴
CN106098037A (zh) 一种乐曲演奏提示平台的生成方法
Vorderman Help Your Kids with Music, Ages 10-16 (Grades 1-5): A Unique Step-by-Step Visual Guide & Free Audio App
Phillips et al. Sound Innovations for String Orchestra: Conductor's Score, Book 1: Learn How to Play with this String Orchestra Method for Beginning Musicians
Kuo Strategies and methods for improving sight-reading
CN202512869U (zh) 10孔民谣口琴
JP6155458B1 (ja) ビートチャート数字譜
WO2017150964A1 (en) Display for musical instrument using audio visual notation system
JP7280424B1 (ja) 音符カードを用いたバイオリン用運指トレーニングツール
Ployhar Band today
JP2581285Y2 (ja) 楽 譜
Harlow et al. 5.4 Figured Bass Notation: Tuto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