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636B1 -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5636B1 KR101945636B1 KR1020170166462A KR20170166462A KR101945636B1 KR 101945636 B1 KR101945636 B1 KR 101945636B1 KR 1020170166462 A KR1020170166462 A KR 1020170166462A KR 20170166462 A KR20170166462 A KR 20170166462A KR 101945636 B1 KR101945636 B1 KR 1019456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 length
- displaying
- original
- mus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2—Chord or note indicators, fixed or adjustable, for keyboard of fingerboard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05—Musical accompaniment, i.e. complete instrumental rhythm synthesis added to a performed melody, e.g. as output by drum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은, 누구라도 한번 보면 특정 음의 길이와 속성 등을 알 수 있도록 간단한 도형과 글자만으로 표시함으로써, 음악에 대한 전문적인 학습 및 훈련이 없어도 직관적으로 이해가 가능하여, 다양한 국가, 문화권, 시대 및 장르 등에 상관없이 통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은, 음악을 제작하는 사람 또는 작곡자 등이 작업함에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기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악보 표시 방법(이하, "기보법"으로 호칭될 수 있음)에서 음(音)은 기본적으로 높이와 길이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서양 기보법의 경우 각기 다른 음의 길이를 나타내는 음표들을 음의 높낮이를 표시하는 5개의 선 위에 배치함으로써 음들을 기록하는 오선보를 사용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국악에서도 시대별로 다양한 기보법이 있는데, 세종대왕이 창안하여 오늘날까지도 사용되는 정간보(井間譜)가 있으며, 이는 음의 높이를 나타내는 문자를 격자로 된 칸에 넣어 칸의 수로 음의 길이를 표현한다.
특히, 수많은 기보법들 중 지역과 시대를 막론해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통용되고 있는 것은 서양 음악의 오선보다. 오선보는 원형의 머리에 기둥과 꼬리를 첨삭해 각기 다른 음의 길이를 나타내는 음표를 이용해, 그 머리 부분이 5개의 선들 혹은 선들 사이의 칸들 안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음의 높낮이를 구분하도록 고안되었다(도 1 참조). 이는 중세시대의 네우마(neuma)라는 사각형 형태의 음표로 표현되는 기보법에서 발전된 것인데, 2차원 평면에서 음표의 위치에 따라 음의 높낮이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고 세부적인 리듬까지도 모두 표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동양 음악에서는 주로 음정을 나타내는 글자를 격자구조 안에 배치시키고 격자의 개수로 음의 길이를 표시함으로써, 음악을 기록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정간보가 있다. 정간보의 경우, 한자들로 음정을 구분하고, 그 글자들을 사각형의 칸들 안에 어떻게 배치할 것인지에 따라 리듬이 결정된다(도 2 참조). 예를 들면, 한 칸에 한 글자를 넣는 경우는 한 박, 두 글자를 넣으면 한 박에 두 개의 음이 소리나는 것이고, 여러 칸에 한 글자만 있으면 해당하는 음정이 수 박 동안 소리나게 된다.
한편, 서양의 오선보가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국악에서도 정간보가 아닌 오선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국악에서 정간보 대신 오선보를 사용해 표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서양음악이 음악문화의 주류인 현 세대에서 오선보에 더 익숙한 음악소비자층과 국악이 더 쉽게 소통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된 현상이 단적으로 투영된 예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현재 오선보는 서양음악을 학습한 넓은 소비자층으로 인해 가장 용이한 그리고 통용되는 현대의 기보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선보를 대체 혹은 보완하기 위한 악보 표시 방법들이 제안된 적이 있었다.
특허문헌 1은 이러한 오선보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 문헌이다.
특허문헌 1에 제안된 악보 표시 방법은, 소정간으로 평행하게 표시된 복수개의 기초선과, 인접 기초선간의 중앙에 상기 기초선과 평행하게 표시된 중앙선과, 상 기 기초선과 중앙선의 사이를 3등분하는 2개의 보조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초선, 중앙선, 보조선은 식별할 수 있는 태양으로 표시되어 음표 표시부를 구성하고, 상기 각 선상 및 인접선간에 음표를 표시하여 반음 상위한 음을 표시하고, 상기 기초선상에는 옥타브가 상위한 동일한 음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악보 표시 방법의 경우, 통용되고 있는 오선보에 기반하여 고안되었다고 하더라도 이 역시 모든 나라 혹은 장르의 음악에서 통용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오선보의 역사를 그 뿌리로 하고 있는 현대의 서양음악 장르들 중에서는 오선보로 표기하기 어려운 음악 혹은 음향들을 기록하기 위해 그림, 그래프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모든 문화권 혹은 장르의 음악들이 서양의 7음 음계나 국악의 5음 음계처럼 일정한 음높이로 구분되는 음정들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미분음을 사용하거나 음의 높낮이만으로 설명될 수 없는 특유적 음색, 즉 경적 소리와 새소리 등의 다양한 음향 혹은 소음이 음악의 재료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음들의 길이 또한 일정한 박(朴) 안에서 규정되지 않고 수초 혹은 수분 동안 지속되는 음으로 표현되어 규칙성을 가지는 리듬의 형태가 아닌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하여, 각 문화권 혹은 장르에 따라 다른 음악들의 기보법들을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기간의 학습이 선행되어야 하며, 그 나라 혹은 장르의 음악을 표기하기 위해 최적화되도록 고안되어 있는 기보법을 이용해 다른 음악을 온전히 표기해내는 것은 양식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서양음악의 기보법의 경우 12개의 반음 음계에 기초하고 있는데, 이 12개 반음들과는 음정의 주파수(frequency)가 조금씩 다른 음들을 사용하는 국악을 온전히 표현해낼 수 없다.
따라서, 현존하는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과 또한 그 음악을 향유하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기보법이 절실하게 필요한 현 실정에 부합하도록, 본 발명은 음의 높이와 음의 길이뿐만 아니라 음색과 같은 음의 속성까지도 표현할 수 있는, 그럼으로써 전문적인 훈련을 거치지 않아도 음악을 기록하고 또 기록된 음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그리고 다양한 문화권, 시대, 장르를 초월해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기보법을 제안하였다.
본 발명은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원 도형을 포함하는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 도형의 외부 전체 원주의 길이를 1박으로 하여 상기 원 도형의 일정 부분을 분할하는 추가 도형까지의 부채꼴의 호의 길이를 사용하여 음의 길이를 나타내는 단계; 및 상기 추가 도형 내부에 계이름, 주파수, 미분음 및 그림을 사용하여 음의 높이, 음색 및 음향의 음의 속성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이 소리 나는 구간 및 상기 음이 쉬는 구간을 각각 구분하여 상기 추가 도형 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이 소리 나는 구간 및 상기 음이 쉬는 구간을 각각 "O" 및 "X"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 도형을 기준으로 상기 원도형에 화음을 구성하는 음들을 복수의 원 도형으로 직선 또는 방사형으로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원 도형에 해당하는 음들이 동시에 울리는 것을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원 도형으로 표시된 여러 박으로 구성된 선율선(phrase)이 각기 다른 음역대에서 2개 이상으로서 성부를 이루며 동시에 울리는 경우, 상기 선율선들을 상하로 배치하여 성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시된 음의 길이를 본래의 길이보다 더 짧은 길이로 연주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추가 도형에 해당하는 길이의 비율만큼 음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 도형 원주 상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한 추가 도형을 시작음으로 지정하고, 상기 시작음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박자표를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박을 지시하는 원 도형에 포함된 음들 중 표시된 음의 길이가 지속되어야 하는 경우, 추가 도형을 점선으로 표기하여 이전 음이 다음 음의 길이만큼 지속되는 것을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이 꾸밈음일 경우, 상기 꾸밈음은 원 구조에 꾸밈음에 해당하는 음들을 별도의 축소된 원 구조를 사용하여 덧붙여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박의 원 도형 안의 음들이 정수비로 균등하게 분할되지 않거나 또는 1박에 해당하는 음의 길이가 전체 곡 안에서 유동적인 음악을 표기할 경우, 상기 원 도형의 반지름 및 원주의 길이를 변형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은, 누구라도 한번 보면 특정 음의 길이와 속성 등을 알 수 있도록 간단한 도형과 글자만으로 표시함으로써, 음악에 대한 전문적인 학습 및 훈련이 없어도 직관적으로 이해가 가능하여, 다양한 국가, 문화권, 시대 및 장르 등에 상관없이 통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은, 음악을 제작하는 사람 또는 작곡자 등이 작업함에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기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서양의 오선보에 의한 악보 표시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동양의 정간보에 의한 악보 표시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완성에 사용된 수학 공식을 나타낸 도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따른 음의 길이 및 음의 진행 방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소리나는 음, 쉬는 구간 및 지속되는 음들에 대한 표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음의 길이, 빠르기 등이 변형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음의 길이 및 음의 높이를 구조화한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음의 다양한 속성들을 표시한 예시적인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성부를 표시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화음을 표시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서양 음악에서의 스타카토에 대한 표시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박자표를 표시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이음줄을 표시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꾸밈음을 표시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을 사용하여 오선보에 의한 모짜르트 곡을 변형하여 표시한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을 사용하여 오선보와 정간보의 아리랑을 다양한 음정의 표기 방식을 적용하여 표시한 도이다.
도 1은, 서양의 오선보에 의한 악보 표시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동양의 정간보에 의한 악보 표시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완성에 사용된 수학 공식을 나타낸 도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따른 음의 길이 및 음의 진행 방향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소리나는 음, 쉬는 구간 및 지속되는 음들에 대한 표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음의 길이, 빠르기 등이 변형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음의 길이 및 음의 높이를 구조화한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음의 다양한 속성들을 표시한 예시적인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성부를 표시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화음을 표시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서양 음악에서의 스타카토에 대한 표시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박자표를 표시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이음줄을 표시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꾸밈음을 표시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을 사용하여 오선보에 의한 모짜르트 곡을 변형하여 표시한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을 사용하여 오선보와 정간보의 아리랑을 다양한 음정의 표기 방식을 적용하여 표시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상기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의 범위가 하기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악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음악에 사용되는 다양한 음들을 수학적인 개념을 도입하여 다양한 국가, 문화권, 시대 및 장르 등을 초월하여 통용될 수 있는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서양의 오선보의 경우, 머리의 색과 꼬리의 개수 등으로 표현되는 음표들의 이름과 그 의미, 그리고 오선보에서 줄과 칸의 위치에 따른 음정 등의 모든 기보법을 이해하고 학습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일정 수준 이상의 연주 혹은 창작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수개월 내지는 수년의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고, 이와 같은 기보법을 알지 못하는 일반인들의 경우 음악 활동에 소외되거나 배제된다.
현재 다양한 문화권과 시대의 음악들을 오선보로 표기해 통용하는 예들이 많지만 이 기보법의 양식에 포함되지 않은 기법과 개념까지 모두 표기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정간보에서 사용하는 선법의 음정은 오선보 선법의 음정들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아서 국악을 오선보로 완벽히 재현해낼 수는 없다. 또한 20세기 이후의 현대음악 중에서는 새로운 음향 매체 혹은 작곡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오선보를 사용해서 기록할 수 없는 음악들도 있는데, 전자음악의 경우 음향의 종류, 강도, 지속시간 등이 다른 음들이 시점을 달리해 제시되어 음향의 조합을 만들며, 이 경우 시간과 음향의 종류를 두 개의 축으로 하는 그래프로 음악을 시각화하기도 한다.
따라서, 다양한 시대나 문화권의 음악들은 공통적으로 음(音)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중점을 두는 요소와 표현 양식이 달라서, 이 기보법들을 모두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표기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고, 각각이 지닌 차이로 인해 기보법을 공유해 다른 양식의 음악을 완전히 표현하기는 어렵다.
본 발명자들은, 전체적으로 '용이성'과 '통합성'의 두 가지 관점에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을 완성하였다.
첫째,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글자, 수의 개념, 도형 등의 기초적인 교육을 받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직관적으로 읽을 수 있는 기보법을 제안함으로써 노래하고, 연주하고, 작곡하는 등의 모든 음악활동을 함에 있어 기보법의 이해를 위해 소모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어떤 계층이든 쉽게 음악을 창작하고 향유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통합성의 관점에서는 어떤 문화권의 어떤 장르의 음악이든 기록할 수 있는 기보법을 제안함으로써 음악을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음악은 만국공용어라는 모토를 실질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은, 원 도형을 사용하고, 상기 원 도형의 외부 전체 원주의 길이를 1박으로 하여 상기 원 도형의 일정 부분을 분할하는 추가 도형까지의 부채꼴의 호의 길이를 사용하여 음의 길이를 나타내는 단계; 및 상기 추가 도형 내부에 계이름, 주파수, 미분음 및 그림을 사용하여 음의 높이, 음색 및 음향의 음의 속성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간이 실제로 음악에서 음의 길이를 지각하는 것과 동일한 맥락에서 음의 길이와 리듬을 시각화하였다.
시간의 분절과 비율을 음 길이를 설명하는 기본개념으로 하는 것은 오선보나 정간보와 동일하지만, 본 발명은 음들의 길이를 일정 속도로 움직이는 물체의 이동거리에 비유해 시각화하기 위해 아래 [수식 1]와 같은 속도, 거리, 시간에 대한 수학 공식을 적용하였다(도 3 참조).
[수식 1]
상기 수식 1에서, 어떤 물체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고 가정할 때, 그 물체의 이동 시간은 물체가 움직인 거리에 비례할 것이다. 음악에서의 박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가정할 때, 개별 음들의 지속 시간은 한 박에 해당하는 시간이 어떻게 분할되는지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고, 시간은 거리에 비례하므로 음의 지속시간은 박에 해당하는 거리 안에서 분할된 거리로 시각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수학적 공식을 적용하여,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음을 표현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간의 규칙성을 가지는 박과 박에 대한 음들의 분할을 표상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원의 둘레의 길이()와 부채꼴의 호의 길이()에 대한 아래 수식 2와 같은 공식을 적용하였다.
[수식 2]
상기 수식 2에서, 음악에서 1박이 원주의 길이만큼 지속되는 시간에 해당된다고 가정할 때, 그 박에 포함되는 음들은 일정한 비율로 분할될 수 있고, 이들은 각각 360°의 원 안에 개별 음들의 길이에 비례하는 호의 각으로 분할되어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와 같이, 원 안에서 첫 번째 음의 동그라미는 맨 하단에 위치하고, 이 시작점을 기준으로 각 음의 길이에 비례하는 각을 가지는 부채꼴의 호의 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그 음의 길이는 시작점의 동그라미가 다음 음에 해당하는 동그라미가 나오기 이전까지 원주를 따라 이동한 시간에 해당되며, 이는 호의 길이로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 박의 원은 그것이 몇 개의 그리고 어떤 길이의 음으로 정량적으로 분할되는지에 따라 360°는 여러 개의 부채꼴들로 분할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1박이 4개의 음으로 분할되는 리듬의 경우, 360°의 원은 90°(360°/4)의 각을 가지는 부채꼴로 분할되어 표현될 것이고, 각 부채꼴의 호의 길이를 이동하는 시간이 음의 길이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부채꼴의 각에 따라 1박에 분할되는 음의 수가 달라져 여러 종류의 음의 길이를 표시될 수 있고(도 5 참조), 이 음들은 일정한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은, 상기 음이 소리 나는 구간 및 상기 음이 쉬는 구간을 각각 구분하여 상기 추가 도형 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은, 상기 음이 소리 나는 구간 및 상기 음이 쉬는 구간을 각각 "O" 및 "X"로 구분할 수 있다.
음악이 일정한 시간 동안 지속되거나 휴지기를 가지는 음들로 구성되는 것을 고려할 때, 원 안에서 소리나는 음들의 구간과 쉬는 구간은 각각 O와 X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원 구조 안에서 분할된 부채꼴들에서 호의 시작점에 표기된 O와 X는 다음의 O, X가 제시되기 이전까지의 둘레만큼을 이동하고, 이것이 음의 길이 즉, 지속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지속되는 음이 나타나는 경우는 점선으로 같은 음높이의 동일한 음이 다음 리듬에도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표현할 수 있고, 이는 오선보의 붙임줄에 해당할 수 있다(도 7 참조).
또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은, 상기 1박을 지시하는 원 도형에 포함된 음들 중 표시된 음의 길이가 지속되어야 하는 경우, 추가 도형을 점선으로 표기하여 이전 음이 다음 음의 길이만큼 지속되는 것을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모든 음악이 규칙성을 가지는 박을 기본으로 하는 것이 아니며, 박의 개념을 가진다고 하더라도 박의 기준 또한 악곡 안에서 가변적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은, 1박의 길이를 지시하는 원주의 길이는 반지름을 통해, 원주 안의 분할되는 부채꼴의 호의 길이는 호의 반지름과 호의 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음악의 종류에 따라 박의 유무, 박의 길이, 리듬의 불규칙적 분절 등이 모두 유동적으로 변형되어 표현될 수 있도록 음의 길이, 빠르기, 1박 안에서 분절되는 음들까지도 음악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하였다(도 8 내지 도 10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1박의 원 도형 안의 음들이 정수비로 균등하게 분할되지 않거나 또는 1박에 해당하는 음의 길이가 전체 곡 안에서 유동적인 음악을 표기할 경우, 상기 원 도형의 반지름 및 원주의 길이를 변형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오선보에서 음의 높이는 2차원의 평면상에 있는 5개의 선들 안에서의 음표의 물리적 위치에 근거해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문화권 안에서 태어날 때부터 관습적으로 학습된 것으로 실제 음의 주파수의 고저가 물리적 위치의 고저와 시각적으로 일치한다고 할 수는 없다. 또한, 모든 소리는 주파수(frequency)를 가지고 있지만 그 음을 대표적으로 규정짓는 음의 속성은 주파수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경적소리와 같은 음은 주파수가 아니라 음색에 대한 단어로서 표현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음의 재료가 다른, 다양한 음향들을 사용하는 음악들을 고려해볼 때, 통상적으로 음을 표현하는 기본적인 요소인 음의 길이와 높낮이는 그 재료의 속성까지는 지시하지 못하므로, 다양한 문화권과 장르의 모든 음악을 표기하기 위해서는 음의 높낮이를 포함해 그 음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속성까지도 모두 표기할 수 있는 기보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 음의 길이와 음의 높이의 관계를 2가지 형태로 구조화하였다(도 11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 도 10과 같이 박을 지시하는 원 구조 안에서 개별 음의 시작점에 위치한 동그라미 안에 그 음의 높이뿐만 아니라 음색과 같은 속성들을 직접 표기해 넣을 수 있도록 하였다(도 12 참조).
도 1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 계이름의 경우 모든 나라의 언어로 번역되어 표기할 수 있으며, 계이름뿐만이 아니라 주파수로도 표기할 수 있어 서양 음악의 선법에서의 계이름의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는 국악 선법의 음정들과 현대 음악의 미분음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음악적 요소로 작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경적소리, 개 짓는 소리, 더 나아가 소음 등의 다양한 음향들도 문자 혹은 음색에 해당되는 그림을 이용해 표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 통상적인 악보를 기준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을 음이 진행되는 것으로 표기하고자 할 때, 원 구조 안의 동그라미들은 하단의 시작음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표기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선율로 표현될 수 있는 악곡이 아니라 여러 성부를 가지는 경우, 각각의 성부는 선율의 기본구조를 상하로 배치함으로써 표시할 수 있는데, 동그라미들이 진행되는 회전방향은 시계방향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유동적으로 변형해 적용할 수 있다(도 13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 여러 개의 성부의 곡이 아닌 간헐적으로 화음이 제시되는 악곡의 경우 상기 원 도형의 동그라미를 기준으로 이 동그라미에 화음을 구성하는 음들을 여러 개의 동그라미로 직선 혹은 방사형으로 연결함으로써 동시에 여러 개의 음이 동시에 울리는 화음을 표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원의 구조에 연결된 동그라미를 화음의 최상성부 음으로 할 수 있다(도 14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 상기 표시된 음의 길이를 본래의 길이보다 더 짧은 길이로 연주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원 도형에 해당하는 길이의 비율만큼 음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동그라미로 표현되는 음이 서양 음악의 스타카토와 같이, 주법의 변화로 인해 본래의 길이보다 더 짧은 길이로 연주되어야 하는 경우 동그라미에 해당하는 길이의 비율만큼 음영으로 표시함으로써 연주시의 길이를 제안할 수 있다. 서양 음악에서 스타카토 주법은 그 길이에 따라서 (1/2), ∨ (1/4), (3/4)의 여러 상징부호로 표기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 스타카토 주법을 원 구조를 이용해 음의 길이와 동일한 맥락에서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도 15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 상기 원 도형 원주 상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한 추가 도형을 시작음으로 지정하고, 상기 시작음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박자표를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원 도형을 선으로 연결하는 기준은 기본적으로 2/3, 3/4, 4/4 등의 기본 박의 개념에 근거하지만, 악곡의 구조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도 16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 상기 복수의 원 도형으로 표시된 여러 박으로 구성된 선율선(phrase)이 각기 다른 음역대에서 2개 이상으로서 성부를 이루며 동시에 울리는 경우, 상기 선율선들을 상하로 배치하여 성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는 도 17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 상기 음이 꾸밈음일 경우, 상기 꾸밈음은 원 구조에 꾸밈음에 해당하는 음들을 별도의 축소된 원 구조를 사용하여 덧붙여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는 도 18에 나타내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은, 다양한 악기의 주법 및 음향을 표기하기 위해 전술한 기본 표시 방법이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으며 이 기본 표시 방법에 기존 악보들에서의 빠르기와 악상 등의 나타냄 말을 차용해 자유롭게 표기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을 사용하여 오선보에 의한 양손으로 연주하도록 작곡된 두 성부의 피아노곡인 모짜르트 곡을 변형하여 표시한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을 사용하여 오선보와 정간보의 아리랑을 다양한 음정의 표기 방식을 적용하여 표시한 도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은, 누구라도 한번 보면 특정 음의 속성 등을 알 수 있도록 간단한 도형만으로 표시함으로써, 음악에 대한 전문적인 학습 및 훈련이 없어도 직관적으로 이해가 가능하여, 다양한 국가, 문화권, 시대 및 장르 등에 상관없이 통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은, 음악을 제작하는 사람 또는 작곡자 등이 작업함에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기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 원 도형을 포함하는 악보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 도형의 원주 상의 상단 또는 하단에 시작음을 지정하는 시작 도형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원 도형의 외부 전체 원주의 길이를 1박으로 하고 상기 시작 도형을 기준으로 추가 도형까지의 부채꼴의 호의 길이를 사용하여 음의 길이를 나타내도록, 상기 원 도형을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추가 도형을 상기 원 도형의 원주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시작 도형 또는 상기 추가 도형 내부에 계이름, 주파수, 미분음 및 그림을 사용하여 음의 높이, 음색 및 음향의 음의 속성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1박의 원 도형 안의 음들이 정수비로 균등하게 분할되지 않거나 또는 1박에 해당하는 음의 길이가 전체 곡 안에서 유동적인 음악을 표기할 경우, 상기 원 도형의 반지름 및 원주의 길이를 변형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 소리 나는 구간 및 상기 음이 쉬는 구간을 각각 구분하여 상기 시작 도형 또는 상기 추가 도형 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 소리 나는 구간 및 상기 음이 쉬는 구간을 각각 "O" 및 "X"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 도형을 기준으로 상기 원도형에 화음을 구성하는 음들을 복수의 원 도형으로 직선 또는 방사형으로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원 도형에 해당하는 음들이 동시에 울리는 것을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원 도형으로 표시된 여러 박으로 구성된 선율선(phrase)이 각기 다른 음역대에서 2개 이상으로서 성부를 이루며 동시에 울리는 경우, 상기 선율선들을 상하로 배치하여 성부를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음의 길이를 본래의 길이보다 더 짧은 길이로 연주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시작 도형 또는 상기 추가 도형에 해당하는 길이의 비율만큼 음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도형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박자표를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박을 지시하는 원 도형에 포함된 음들 중 표시된 음의 길이가 지속되어야 하는 경우, 상기 시작 도형 또는 상기 추가 도형을 점선으로 표기하여 이전 음이 다음 음의 길이만큼 지속되는 것을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 꾸밈음일 경우, 상기 꾸밈음은 원 구조에 꾸밈음에 해당하는 음들을 별도의 축소된 원 구조를 사용하여 덧붙여 표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보 표시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6462A KR101945636B1 (ko) | 2017-12-06 | 2017-12-06 |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6462A KR101945636B1 (ko) | 2017-12-06 | 2017-12-06 |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5636B1 true KR101945636B1 (ko) | 2019-02-07 |
Family
ID=65366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6462A KR101945636B1 (ko) | 2017-12-06 | 2017-12-06 |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5636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767904A (zh) * | 2021-01-26 | 2021-05-07 | 顾国祥 | 基于声源提取的自学习乐谱转化系统 |
KR20220001099A (ko) | 2020-06-29 | 2022-01-05 | 이율경 | 구획칸과 색상 및 문자로 표기된 악보 |
KR20230121408A (ko) * | 2022-02-11 | 2023-08-18 | 한금채 | 판소리음계 표시방법 및 이러한 판소리음계가 표시된 판소리 교재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5646B1 (ko) * | 2011-10-13 | 2013-08-09 | 김영옥 | 장단 가락보 및 장단 가락보 표시 장치 |
-
2017
- 2017-12-06 KR KR1020170166462A patent/KR1019456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5646B1 (ko) * | 2011-10-13 | 2013-08-09 | 김영옥 | 장단 가락보 및 장단 가락보 표시 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1099A (ko) | 2020-06-29 | 2022-01-05 | 이율경 | 구획칸과 색상 및 문자로 표기된 악보 |
CN112767904A (zh) * | 2021-01-26 | 2021-05-07 | 顾国祥 | 基于声源提取的自学习乐谱转化系统 |
KR20230121408A (ko) * | 2022-02-11 | 2023-08-18 | 한금채 | 판소리음계 표시방법 및 이러한 판소리음계가 표시된 판소리 교재 |
KR102633631B1 (ko) | 2022-02-11 | 2024-02-06 | 한금채 | 판소리음계 표시방법 및 이러한 판소리음계가 표시된 판소리 교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inderman | The Creative Process in Music from Mozart to Kurtág | |
KR101945636B1 (ko) | 만국 공용 악보 표시 방법 | |
Kippen | Hindustani tala | |
Miller et al. | Southeast Asian Musics: An Overview | |
Bell | Rhythmic gesture in classic ballet: Awakening Tchaikovsky’s Sleeping Beauty | |
Carter | Cambridge | |
Blankenhorn | Verse structure and performance in Scottish Gaelic vernacular poetry | |
De Bièvre | Open, mobile and indeterminate forms | |
Trinastic | Dissonant Harmony and “Seed-Tones”: Organicism in the Piano Music of Dane Rudhyar | |
Nafziger | The masses of Haydn and Schubert: a study in the rise of romanticism | |
Lester | Brahms's Violin Sonatas: Style, Structure, Performance | |
Stewart | Midpoint Notation: An experimental music notation system at the intersection of graphic notation and conventional Western notation | |
Thomas | Interpretative issues in performing contemporary piano music. | |
Grazzini | Reconstructing the improvised keyboard prelude of the French baroque | |
Sun | The Development of Cycles of 24 Preludes by Russian Composers with Special Attention to Shostakovich’s 24 Preludes, Op. 34 | |
da Costa | Basque and Modernist Influences in Gabriel Erkoreka’s Works for Solo Piano (1994-2019) | |
Brancaleone | Camargo Guarnieri's Twenty Estudos: A commitment to Brazilian nationalism and virtuosity | |
Golubkova | The Theory of Intonation: Boris Asafiev and the Russian Piano School Tradition | |
Galama | Reconsidering Brazilian Representations in Choros No. 5 and Bachianas Brasileiras No. 4 for Piano by Heitor Villa-Lobos | |
Apostolou | Leo Ornstein: the rise and fall of a forgotten genius. Early modernism, Hebraic elements, and stylistic evolution in his pianistic idiom | |
Allen | Toward a Musical Grammar: Text-Tune Relationships and Reductive Transformations in Ligeti’s Sonate pour Viola | |
Chacko | Beyond the myth of East-West hybridity: An analysis of Lou Harrison's works for gamelan and Western instruments | |
Biggs | Julia Perry's Stabat Mater, Black Cultural History, and the Lynching of Christ | |
Podgurski | Polymetric layering and tonal language in the piano etudes of György Ligeti | |
Heister et al. | The Principle of Sharpening (II): Crystallization.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Musical Shap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