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635A - 준설장치 - Google Patents
준설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39635A KR20130039635A KR1020110109141A KR20110109141A KR20130039635A KR 20130039635 A KR20130039635 A KR 20130039635A KR 1020110109141 A KR1020110109141 A KR 1020110109141A KR 20110109141 A KR20110109141 A KR 20110109141A KR 20130039635 A KR20130039635 A KR 201300396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hose
- water
- sediment
- deposit
- dredg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58—Submerged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56—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93—Component parts of suction heads, e.g. edges, strainers for preventing the entry of stone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06—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adapted for working ground under 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굴착장치가 개시된다. 본 굴착 장치는 펌프, 펌프와 연결되어 펌프 흡입력에 의해 바닥에 쌓여 있는 퇴적물을 흡입하는 퇴적물 흡입호스; 및 퇴적물이 쌓여 있는 바닥과 일정 거리 이격 위치되어 물을 흡입하는 물 흡입호스; 를 포함하며, 물 흡입호스의 일단부는 물을 흡수하고, 물 흡입호스의 타단부는 퇴적물 흡입호스와 연결되며, 그리고 퇴적물 흡입호스의 일단부는 바닥에 쌓여 있는 퇴적물을 흡입하고, 퇴적물 흡입호스의 타단부는 물 흡입호스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준설장치는 통상적으로 하천이나 바다 등을 굴착하여 굴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서 하천이나 바다의 바닥에는 오염물이 쌓이게 되고, 따라서 준설장치의 활용도는 점점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준설장치의 경우 굴착과정에 발생되는 오염물이 퍼지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어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굴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퇴적물을 보다 원활하게 흡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준설작업을 할 수 있는 굴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준설 바닥 환경에 따라 물 흡입량을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준설할 수 있는 굴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흡입되는 물이 퇴적물 흡입호스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효과적인 준설작업을 할 수 있는 굴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펌프;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진공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바닥에 쌓여 있는 퇴적물을 흡입하는 퇴적물 흡입호스; 및 퇴적물이 쌓여 있는 바닥과 일정 거리 이격 위치되어 물을 흡입하는 물 흡입호스; 를 포함하며, 상기 물 흡입호스의 일단부는 물을 흡수하고, 상기 물 흡입호스의 타단부는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와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의 일단부는 바닥에 쌓여 있는 퇴적물을 흡입하고,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의 타단부는 상기 물 흡입호스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물 흡입호스에서 물을 흡수하는 일단부에는 상기 물 흡입호스가 흡입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볼트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물 흡입호스에는 상기 물 흡입호스를 통해서 흡입되는 물이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물 역류 방지판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물 역류 방지판은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와 상기 물 흡입호스가 서로 연결되기 전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가 흡입하는 퇴적물 흡입량과 물 흡입호스가 흡입하는 흡입량간에는 소정의 비율이 유지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물 역류 방지판은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에 의해 흡입된 퇴적물과 상기 물 흡입호스에 의해 흡입된 물이 서로 만나기전의 위치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바닥에 쌓여 있는 퇴적물을 흡입하는 퇴적물 흡입호스; 및 퇴적물이 쌓여 있는 바닥과 일정 거리 이격 위치되어 물을 흡입하는 물 흡입호스; 를 포함하며,
상기 물 흡입호스의 일단부는 물을 흡수하고, 상기 물 흡입호스의 타단부는 상기 진공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의 일단부는 바닥에 쌓여 있는 퇴적물을 흡입하고,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의 타단부는 상기 물 흡입호스의 양단부 사이의 영역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는 상기 물 흡입호스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바닥에 쌓여 있는 퇴적물을 흡입하는 퇴적물 흡입호스; 및 퇴적물이 쌓여 있는 바닥과 일정 거리 이격 위치되어 물을 흡입하는 물 흡입호스; 를 포함하며,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의 일단부는 바닥에 쌓여 있는 퇴적물을 흡입하고,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의 타단부는 상기 진공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물 흡입호스의 일단부는 물을 흡수하고, 상기 물 흡입호스의 타단부는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의 양단부 사이의 영역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물 흡입호스는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퇴적물을 보다 원활하게 흡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준설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준설 바닥 환경에 따라 물 흡입량을 조절함으로써 효과적인 준설작업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되는 물이 퇴적물 흡입호스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효과적인 준설작업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준설 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준설 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준설 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보조 유입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보조 유입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보조 유입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도 14의 실시예에서 퇴적물 흡입호스(14)와 물 흡입호스(16)의 연결부분의 확대 단면도, 그리고
도 16은 도 14의 실시예에서 물 흡입호스(16)의 단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준설 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준설 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준설 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보조 유입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보조 유입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보조 유입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도 14의 실시예에서 퇴적물 흡입호스(14)와 물 흡입호스(16)의 연결부분의 확대 단면도, 그리고
도 16은 도 14의 실시예에서 물 흡입호스(16)의 단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가 선박(1)에 장착된 예를 나타낸다. 준설장치(100)는 선박(1)에 설치된 진공펌프(3)와 유입관(2)에 의해 연결되어, 하천, 바다, 호수, 또는 호소와 같이 바닥에 존재하는 오니나 오염물 등과 같은 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는 굴착부(60)를 구비하며, 바닥에 존재하는 오니나 오염물 등과 같은 물질을 파내며, 파낸 물질은 물과 함께 진공펌프(3)의 흡입력에 의해 유입관(2)을 통해 이동되어 외부(예를 들면 선박)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겠지만,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바닥에 존재하는 오니나 오염물 등을 파내어 외부로 이송시킨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는 바닥에 강한 조류가 존재하더라도 물 바닥을 팔 때 생길 수 있는 흙탕물이나 오염물이 주위로 퍼지지 않도록 하면서, 오염물 등을 흡입하여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는 바닥에 존재하는 오니나 오염물 등을 파낼때 별도의 진공펌프를 사용하지 않으며, 따라서 그러한 진공펌프로부터 생길 수 있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 준설장치는 유압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바닥의 오니나 오염물 등을 파내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 경우 유압 진공펌프로부터 기름과 같은 환경 오염 물질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는 그러한 진공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을 파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환경 오염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준설 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준설 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준설 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100)는 챔버(50), 지지대(10a, 10b, 10c, 10d), 굴착부(60), 블레이드(41), 및 블레이드(41)가 회전함에 따라 그 회전력을 굴착부(6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10a, 10b, 10c, 10d)는 경우에 따라서 설치되는 것으로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다. 도 11 내지 도 13은 지지대가 없는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파이프들 중 일부가 지지대의 역활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처럼 지지대 역활을 수행하는 파이프들은 고정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빗금친 파이프들이 지지대의 역활을 할 수 있으며, 이들 파이프들은 다른 파이프들과 같이 슬라이딩하지 않고 고정된 길이를 가지게 된다.
챔버(50)는 내부가 비어 있는 통형상을 가지며, 챔부(50)의 상부에는 개구부(16)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16)와 진공펌프(3)는 유입관(2)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며, 챔버(50)에 존재하는 오염물이나 물등은 개구부(16)를 통해서 진공펌프(3) 쪽으로 흡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챔버(50)의 개구부(16)와 진공펌프(3) 사이에는 블레이드(41)가 위치될 수 있다. 도 2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챔버(5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6)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 바가 설치되며, 바닥에서 흡입된 오염물이나 물등은 챔버(50)의 개구부를 통과하고, 원통형 바(36)를 통과한 후, 유입관(2)을 통하여 외부로 이동된다. 원통형 바의 모양은 선택적인 것으로 당업자가 실시 태양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원통형 바(36)는 선택적인 구성요소로서 경우에 따라서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진공펌프(3)와 챔버(50)의 개구부가 직접 연결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 바(36)와 유입관(2)이 만나는 부분에 블레이드(41)가 위치될 수 있다. 이로써, 유입관(2)으로 유입되는 물 및/또는 오염물에 의해서 블레이드(41)가 회전이 되며, 이 회전력은 동력 전달부(31)에 의해서 굴착부(60)로 전달되어, 굴착부(60)가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블레이드는 챔버 내부에 위치되도록 변형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블레이드는 진공펌프(3)의 흡입력에 의해서 흡입되는 물이나 오염물의 흐름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에 설치되더라도 본원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유입관(2)의 내부에 블레이드가 설치되는 경우도 가능할 것이며, 이 경우 동력 전달부가 그러한 블레이드의 회전력을 굴착부(6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챔버(50)는 챔버 본체와 메인 흡입구를 포함한다. 메인 흡입구는 챔버 본체와 연결되며, 메인 흡입구에 굴착부가 위치된다. 도 5와 도 9를 참조하면, 메인 흡입구와 굴착부의 위치를 이해할 수 있다. 즉, 굴착부는 메인 흡입구의 하단에 위치하며, 굴착부(60)에 의해 굴착되는 오염물이나 물의 대부분은 메인 흡입구를 통해서 흡입되며, 흡입된 물질들은 챔버 본체를 통과하여 유입관(2)으로 이동하고 이로써 외부로 이동된다. 여기서, 챔버 본체와 메인 흡입구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챔버(5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흡입구(20)를 포함한다. 이들 보조 흡입구(20)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챔버의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이프 형상의 보조 흡입구(20)는 메인 흡입구의 외주부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서, 메인 흡입구의 하단에 장착된 굴착부가 굴착하면서 발생되는 흙탕물이나 오염물이 퍼지지 않도록 하는 웰(wall)과 같은 역활을 할 수 있다. 나아가, 보조 흡입구(90)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형상으로서 관통홀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홀을 통해서 굴착부의 굴착에 의해 발생되는 흙탕물이나 오염물이 흡입될 수 있다. 즉, 보조 흡입구(90)는 그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보조적으로 흙탕물이나 오염물을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흡입구들 중 적어도 일부는 그 높이(H)가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2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2단 구성에 대하여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물 바닥은 평평하지 못하며 돌과 같은 지형 지물이 존재할 수 있다. 2단으로 구성된 보조 흡입구들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과 같은 지형 지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다이나믹하게 그 높이가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보조 흡입구들은 도 10(a)와 같은 2단구조(내부 슬라이드형 보조 흡입구)를 가지거나, 또는 도 10(c)와 같은 2단구조(외부 슬라이드형 보조 흡입구)를 가질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도 10(a)와 도 10(c)와 같은 2단 구조가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됨으로써 보조 흡입구들끼리 보다 밀접하게 인접할 수 있다. 보조 흡입구들이 밀접하게 인접하게 되면, 웰(well)로서의 작용을 보다 완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보조 흡입구는, 챔버와 연결된 제1 원통과 제1 원통의 내부에 위치되어 제1원통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제2원통으로 구성되며,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베어링 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보조 흡입구는, 챔버와 연결된 제1 원통과 제1 원통의 외부에 위치되어 제1원통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제2원통으로 구성되며,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베어링 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0a, 10b, 10c, 10d)는 챔버의 본체와 결합되어 챔버를 지지하는 역활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지지대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실시 환경에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 내지 도 13처럼, 보조 흡입구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지지대로서의 역활을 겸용토록 할 수 있다. 지지대로서의 역활을 겸용하는 보조 흡입구들(도 11에서 빗금친 부분)은, 오염물 등을 흡입함과 동시에 웰(well)로서의 역활을 수행하며, 나아가 지지대로서의 역활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보조 흡입구는 그 높이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지지대로서의 역활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부(31)는 블레이드(41)의 회전력을 굴착부(60)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동력 전달부(31)는 블레이드(41)와 연결되는 제1 회전축(32), 제1 회전축(32)과 결합된 제1기어, 제1기어와 결합된 체인(31), 체인(31)과 결합된 제2기어, 제2 기어와 결합된 제2 회전축(37)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2 회전축은 굴착부(60)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메인 흡입구와 보조 흡입구를 통해서 흡입된 물이나 오니 등과 같은 흡입물질은 진공펌프(3)에 의해 흡입되어 이동되면서 블레이드(41)를 회전시킨다. 블레이드(41)의 회전은 제1 회전축(32), 제1기어, 체인(31), 제2기어, 및 제2 회전축을 통해서 전달되어 굴착부(60)가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 전달부는 반드시 체인일 필요는 없으며, 와이어나 복수개의 기어들을 통해서 구성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41)의 회전력을 굴착부(61)로 전달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동력 전달부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커플러(80)는 유입관(2)과 원통형 바 사이에 위치되며, 유입관(2)과 원통형 바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커플러(80)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유입관이 원통형 바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블레이드(41)는 원통형 바의 일단에 위치되어, 원통형 바를 통과하는 흡입물질의 흐름에 의해 회전이 용이하도록 중심축과, 그 중심축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가 결합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블레이드의 회전력을 동력 전달부가 굴착부로 전달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과 같이 도시한 이유는, 블레이드의 회전력을 굴착부로 전달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동력 전달부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챔버 본체, 메인 유입구, 및 보조 유입구가 표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유입구의 하단에 굴착부가 설치되며, 굴착부가 굴착한 물질들은 물과 함께 메인 유입구로 유입되어, 챔버 본체를 통과하고, 이후, 블레이드(미도시)를 회전시키면서 유입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보조 유입구는 메인 유입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굴착부가 굴착한 물질들이 퍼지지 않도록 하는 웰의 기능을 수행하며, 동시에 보조적으로 굴착부가 굴착한 물질들을 흡입할 수 있다. 즉, 보조 유입구는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고, 원통의 측면에는 홀이 형성되어 그 홀을 통해서 굴착부가 굴착한 물질들이 흡입될 수 있다.
도 9에서 보조 유입구에 형성된 홀의 방향이 정면을 향하도록 도시하였지만,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그렇게 도시한 것으로서, 보조 유입구에 형성된 홀의 방향은 메인 유입구를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진공펌프(3)에 의해 발생된 흡입력이 챔버와, 메인 유입구와 보조 유입구까지 미치도록, 챔버, 메인 유입구, 및 보조 유입구가 연결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보조 유입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조 유입구는 2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물의 바닥과 닿는 부분은 도 10의 (b)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의 (b)와 같이 돌이 있는 위치에 보조 유입구가 위치되는 경우는, 자동적으로 그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높이가 원활하게 조절되도록 베어링 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구성도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보조 흡입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보조 흡입구가 메인 흡입구를 둘러싸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3개층으로 둘러싸고 있지만, 4개층, 5개층,... 10개층... 등등 상황에 따라서 더 많은 층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조 흡입구의 층이 많이 구성될 수도록, 굴착부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의 움직임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1을 계속 참조하면,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겸용하는 보조 흡입구(빗금친 부분)가 포함되며, 이들 보조 흡입구 역시 보조적으로 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겸용하는 보조 흡입구(빗금친 부분)는 도 10과 같이 높이가 조절되지 않고 고정적인 길이가 가지도록 구성된다.
도 11에서는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겸용하는 보조 흡입구가 메인 흡입구의 최외곽에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구성에만 본원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메인 흡입구의 최외곽 뿐만 아니라 메인 흡입구 가까이를 둘러싸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11을 계속 참조하면,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겸용하지 않는 보조 흡입구의 경우는, 도 10(a)나 도 10(c)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이 교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술한 보조 흡입구의 구성은 도 10의 도시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의 높이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보조 흡입구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흡입구는 다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흡입구를 둘러싸는 제1 보조 흡입구계층, 제1 보조 흡입구계층을 둘러싸는 제2 보조 흡입구계층, 제2 보조 흡입구계층을 둘러싸는 제3 보조 흡입구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제1 보조 흡입구계층과 제2 보조 흡입구계층 사이에는 적어도 1개층이상의 흡입구계층이 위치될 수 있고, 제2 보조 흡입구계층과 제3 흡입구계층 사이데는 적어도 1개층이상의 흡입구계층이 위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에 사용되는 보조 흡입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보조 흡입구의 관통홀의 위치가 다양하게 위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메인 흡입구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가까운 보조 흡입구들은 관통홀의 위치가 메인 흡입구를 향하도록 하였고, 상대적으로 먼 보조 흡입구들은 관통홀의 위치가 메인 흡입구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하였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지지대를 구비하지 않은 준설장치의 사시도로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준설장치와 비교할 때 지지대가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서로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도 13의 준설장치에 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5의 것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한편, 도2 내지 도4, 도13를 참조하여 도시한 준설장치에서, 베어링, 체인, 기어, 및 와이어 등의 부품과 물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베어링, 체인, 기어, 및 와이어가 소정의 밀폐용 박스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5는 도 14의 실시예에서 퇴적물 흡입호스(14)와 물 흡입호스(16)의 연결부분의 확대 단면도d이고, 도 16은 도 14의 실시예에서 물 흡입호스(16)의 단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바닥의 퇴적물을 흡입하기 위한 퇴적물 흡입호스(14)가 물을 흡입하기 위한 물 흡입호스(16)에 비스듬하게 연결되어 있다. 흡입호스(14,16)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두 개의 흡입호스(14,16)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바닥의 퇴적물을 보다 원활하게 준설하기 위한 것이다. 즉, 예컨대 바닥이 뻘과 같이 흡입이 잘 되지 않는 퇴적물로 되어 있을 경우, 퇴적물 흡입호스(14)만이 있다면 흡입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도14의 실시예에서는 물 흡입호스(16)가 함께 설치되어 있어 물도 함께 흡입하기 때문에, 퇴적물을 보다 원활히 준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퇴적물 흡입호스와 물 흡입호스의 직경비는 대략 7대 3이다.
또한 도15에서 알 수 있듯이, 물 흡입호스의 단부에 볼트 형상의 부재가 나사결합 등의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볼트 형상의 부재는 내부가 관통되어 있고 물을 흡입할 수 있는 개구부를 가지며, 이 개구부의 직경 K를 조절함으로써, 물 흡입호스로 흡입할 수 있는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예에 따르면, 퇴적물 흡입호스가 흡입하는 퇴적물 흡입량과 물 흡입호스가 흡입하는 흡입량간의 비율은, 미리 정한 소정의 비율일 수 있다.
또한 도15 및 도16에 도시한 것처럼, 물 흡입호스에서 퇴적물 흡입호스와 결합되는 부분 및 물 흡입호스의 단부 사이에 물역류 방지판(18)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방지판(18)에 의해, 물 흡입호스로 흡입된 물이 퇴적물 흡입호스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를 계속 참조하면, 흡입호스(14)는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준설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서의 유입관(2)은 흡입호스(14)에 해당할 수 있다. 흡입호스(14)에 연결되는 준설장치는 도 1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준설장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준설장치가 아닌 다른 준설장치와 흡입호스(14)가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퇴적물 흡입호스(14)는 진공펌프(20)의 흡입력에 의해 바닥에 쌓여 있는 퇴적물을 흡입하며, 물 흡입호스(16)는 퇴적물이 쌓여 있는 바닥과 일정 거리 이격 위치되어 물을 흡입한다. 여기서, 물 흡입호스(16)의 일단부는 물을 흡수하고, 물 흡입호스(16)의 타단부는 퇴적물 흡입호스(14)와 연결되며, 퇴적물 흡입호스(14)의 일단부는 바닥에 쌓여 있는 퇴적물을 흡입하고, 퇴적물 흡입호스(14)의 타단부는 물 흡입호스(16)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 역류 방지판(18)은 물 흡수호스(16)에 위치하되, 퇴적물 흡입호스(14)와 물 흡입호스(16)가 서로 연결되기 전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 역류 방지판(18)은 물 흡수호스(16)에 위치하되, 퇴적물 흡입호스(14)에 의해 흡입된 퇴적물과 물 흡입호스(16)에 의해 흡입된 물이 서로 만나기전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물 흡입호스(12)가 메인으로 진공펌프(20)와 연결되고, 퇴적물 흡입호스(16)가 물 흡입호스(12)의 양단부 사이의 영역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물 흡입호스(12)의 일단부는 물을 흡입하고, 타단부는 진공펌프(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들 단부 사이의 영역에 퇴적물 흡입호스(16)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퇴적물 흡입호스(16)가 메인으로 진공펌프(20)와 연결되고, 물 흡입호스(12)가 퇴적물 흡입호스(16)의 양단부 사이의 영역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퇴적물 흡입호스(16)의 일단부는 최적물을 흡입하고, 타단부는 진공펌프(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들 단부 사이의 영역에 물 흡입호스(12)가 연결될 수 있다.
준설장치: 100
챔버: 50
지지대: 10a, 10b, 10c, 10d
굴착부: 60
블레이드: 41
챔버: 50
지지대: 10a, 10b, 10c, 10d
굴착부: 60
블레이드: 41
Claims (10)
- 펌프;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펌프 흡입력에 의해 바닥에 쌓여 있는 퇴적물을 흡입하는 퇴적물 흡입호스; 및
퇴적물이 쌓여 있는 바닥과 일정 거리 이격 위치되어 물을 흡입하는 물 흡입호스; 를 포함하며,
상기 물 흡입호스의 일단부는 물을 흡수하고, 상기 물 흡입호스의 타단부는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와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의 일단부는 바닥에 쌓여 있는 퇴적물을 흡입하고,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의 타단부는 상기 물 흡입호스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흡입호스에서 물을 흡수하는 일단부에는 상기 물 흡입호스가 흡입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볼트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흡입호스에는 상기 물 흡입호스를 통해서 흡입되는 물이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물 역류 방지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역류 방지판은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와 상기 물 흡입호스가 서로 연결되기 전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가 흡입하는 퇴적물 흡입량과 물 흡입호스가 흡입하는 흡입량간에는 소정의 비율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역류 방지판은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에 의해 흡입된 퇴적물과 상기 물 흡입호스에 의해 흡입된 물이 서로 만나기전의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 - 펌프;
상기 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바닥에 쌓여 있는 퇴적물을 흡입하는 퇴적물 흡입호스; 및
퇴적물이 쌓여 있는 바닥과 일정 거리 이격 위치되어 물을 흡입하는 물 흡입호스; 를 포함하며,
상기 물 흡입호스의 일단부는 물을 흡수하고, 상기 물 흡입호스의 타단부는 상기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의 일단부는 바닥에 쌓여 있는 퇴적물을 흡입하고,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의 타단부는 상기 물 흡입호스의 양단부 사이의 영역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는 상기 물 흡입호스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 - 펌프;
상기 펌프의 흡입력에 의해 바닥에 쌓여 있는 퇴적물을 흡입하는 퇴적물 흡입호스; 및
퇴적물이 쌓여 있는 바닥과 일정 거리 이격 위치되어 물을 흡입하는 물 흡입호스; 를 포함하며,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의 일단부는 바닥에 쌓여 있는 퇴적물을 흡입하고,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의 타단부는 상기 펌프에 연결되고,
상기 물 흡입호스의 일단부는 물을 흡수하고, 상기 물 흡입호스의 타단부는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의 양단부 사이의 영역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물 흡입호스는 상기 퇴적물 흡입호스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4237 | 2011-10-12 | ||
KR20110104237 | 2011-10-12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9635A true KR20130039635A (ko) | 2013-04-22 |
Family
ID=466886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9139A KR101152558B1 (ko) | 2011-10-12 | 2011-10-25 |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준설장치 |
KR1020110109141A KR20130039635A (ko) | 2011-10-12 | 2011-10-25 | 준설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9139A KR101152558B1 (ko) | 2011-10-12 | 2011-10-25 |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준설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115255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2571B1 (ko) * | 2014-01-24 | 2014-05-30 | 김상환 | 굴착 및 전진이 가능한 굴착부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준설장치 |
KR101402453B1 (ko) * | 2014-01-24 | 2014-06-03 | 김상환 | 친환경 수중 준설장치 |
KR101980524B1 (ko) | 2018-10-19 | 2019-05-21 | (주)동명엔터프라이즈 | 지중시설 유발오염 및 예측 탐지를 통한 토양/지하수 오염방지 장치 |
KR102289154B1 (ko) | 2020-07-31 | 2021-08-13 | (주)동명엔터프라이즈 | 유해물질저장탱크 주변 오염 및 오염위치 탐지 시스템 |
CN113279447A (zh) * | 2021-05-09 | 2021-08-20 | 蔡锟鹏 | 一种水利机械清淤装置 |
CN113585383A (zh) * | 2021-08-25 | 2021-11-02 | 邸红波 | 一种环保工程用河道清淤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53716B2 (ja) | 1998-08-28 | 2002-12-03 | 株式会社大林組 | ヘドロの処理方法 |
KR200233363Y1 (ko) | 2001-03-06 | 2001-09-28 | 신동훈 | 호소의 바닥침전물 제거장치 |
-
2011
- 2011-10-25 KR KR1020110109139A patent/KR10115255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10-25 KR KR1020110109141A patent/KR2013003963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52558B1 (ko) | 2012-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39635A (ko) | 준설장치 | |
CN106120938A (zh) | 一种自行式底泥分离收集装置 | |
KR102068673B1 (ko) | 준설용 컷터 | |
JP6139540B2 (ja) | 水底トレンチ掘削装置 | |
US20110042284A1 (en) | Dredging apparatus | |
KR101424881B1 (ko) | 환경오염을 막기 위한 차단벽이 설치된 준설장치 | |
KR102005683B1 (ko) | 하수관거 무인 준설장치 | |
JP5703110B2 (ja) | 埋設型有孔管による固定式浚渫装置と浚渫工法 | |
JP7252099B2 (ja) | 浚渫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浚渫システム | |
CN207499026U (zh) | 外海深水先铺碎石基床面清淤系统及清淤船 | |
KR101402571B1 (ko) | 굴착 및 전진이 가능한 굴착부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준설장치 | |
KR101402453B1 (ko) | 친환경 수중 준설장치 | |
KR20150088519A (ko) | 친환경 수중 준설장치 | |
KR101148748B1 (ko) | 수륙양용 준설선을 이용한 토양 준설공법 | |
KR20150088517A (ko) | 굴착 및 전진이 가능한 굴착부 및 이를 이용한 수중 준설장치 | |
KR20150094103A (ko) | 굴착물 이송이 용이한 수중 준설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송파이프 | |
KR102346580B1 (ko) | 연약 지반 및 협소 수로용 준설선 | |
KR20050066021A (ko) | 준설용 진공흡입장치 | |
JP2024053739A (ja) | 浚渫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る浚渫装置 | |
CN209924005U (zh) | 用于受限工作面的港池疏浚系统 | |
KR960005437Y1 (ko) | 양수장치를 구비한 준설기 | |
JPH10121511A (ja) | 運河底部浚渫装置 | |
KR200346983Y1 (ko) | 준설용 진공흡입장치 | |
CN221480907U (zh) | 一种具有过滤功能的港口航道清淤机 | |
JPH02243830A (ja) | 高濃度浚渫排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