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495A -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캐슬병 바이러스 또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캐슬병 바이러스 또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495A
KR20130039495A KR1020110104086A KR20110104086A KR20130039495A KR 20130039495 A KR20130039495 A KR 20130039495A KR 1020110104086 A KR1020110104086 A KR 1020110104086A KR 20110104086 A KR20110104086 A KR 20110104086A KR 20130039495 A KR20130039495 A KR 20130039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newcastle disease
virus
avian influenz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2851B1 (ko
Inventor
강병곤
강민기
김채현
Original Assignee
강병곤
선 바이오 (주)
강민기
김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곤, 선 바이오 (주), 강민기, 김채현 filed Critical 강병곤
Priority to KR1020110104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2851B1/ko
Publication of KR20130039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8Pueraria (kudz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동등, 황금, 생지황, 갈근, 감초 및 마늘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캐슬병 바이러스 또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캐슬병 바이러스 또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herbal extracts for inhibiting growth of Newcastle disease virus or Avian Influenza virus}
본 발명은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캐슬병 바이러스 및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뉴캐슬병((Newcastle Disease, ND)은 국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가축 질병 15종 중 하나로, 급성 열성 호흡기 질병이며, 면역이 없는 가금류에 감염되는 경우 100% 폐사하는 법정 제1종 전염병이다. 뉴캐슬병은 병원성이 강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악성 아시아형과 병원성이 약한 바이러스에 의해 일어나는 아메리카형이 있다. 우리나라는 뉴캐슬병 바이러스(Newcastle disease virus, NDV) 상재 지역이고, 우리나라와 활발한 교역을 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중국, 및 대만에는 다양한 뉴캐슬병 바이러스들이 유행하고 있어서 대한 잠재적인 위험 요인이 존재한다.
조류독감(Avian Influenza, AI)은 닭, 칠면조 등 가금류뿐 아니라 야생오리와 같은 야생 조류에서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vian influenza virus, AIV)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며, 드물게는 사람에게도 감염증을 일으킨다. 조류독감은 전파속도도 매우 빠른 것으로 나타나, 고병원성의 경우 치사율이 100%에 이를 만큼 전염성과 폐사율이 높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제1종 법정전염병으로 분류하고, 국제수역사무국(OIE)은 A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특히, 2003년말부터 2008년 2월까지 고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H5N1)가 인체에 감염된 사례가 376건이나 보고되었다.
뉴캐슬병 및 조류독감은 양계업계에서 가장 경계해야 하는 전염병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단 전파되기 시작하면 대부분의 닭이 폐사하므로, 이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방법이 시급하게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고, 잔류성이 없으면서 효과적으로 뉴캐슬병 및 조류독감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천연 약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인동등, 황금, 생지황, 갈근, 감초 및 마늘의 혼합 추출물이 뉴캐슬병 바이러스 및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캐슬병 바이러스 또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캐슬병 바이러스 또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금류에서 뉴캐슬병 또는 조류독감의 발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인동등, 황금, 생지황, 갈근, 감초 및 마늘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캐슬병 바이러스 또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뉴캐슬병(Newcastle disease)은 가금류에서 치명적이고 전염성이 강한 제 1종 가축 전염병으로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닭에 감염될 때는 100% 폐사를 초래하며, 면역력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은 경우 호흡기 및 소화기 장애와 산란율 저하를 초래한다. 일단 뉴캐슬병이 양계장에 전파되기 시작하면 대부분의 닭이 폐사하므로, 막대한 경제적인 피해를 일으키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조류독감(Avian influenza: AI 또는 Bird flu)은 닭, 오리, 거위, 칠면조와 같은 가금류 및/또는 야생조류 등에 감염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병의 하나이다. 증상은 감염된 바이러스의 병원성에 따라 다양하나, 대체로 호흡기 증상과 설사, 급격한 산란율의 감소를 초래한다.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조류독감이 발생하면 전량 도살 처분한다. 특히, 고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사람이 감염될 수도 있다.
뉴캐슬병 바이러스 및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뉴캐슬병 및 조류독감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인동등, 황금, 생지황, 갈근, 감초 및 마늘의 혼합 추출물이 뉴캐슬병 바이러스 및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동등(Lonicera japonica Thunberg)은 예로부터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산야지에서 자생하는 인동과의 반상록 덩굴성 관목 식물인 인동의 잎과 줄기로서, 약재로 널리 사용된 무독한 한방 생약이다. 인동등에 함유된 유효 성분으로는 아피게닌(Apigenin), 로니세린(Lonicerin), 루테오린(Luteolin)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가 있으며, 이들 플라보노이드에 의해 항염증 효과 및 항암 효과 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금은 꿀풀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금은 항균, 항바이러스 작용, 소염, 항알레르기 작용 및 해열 작용을 갖는다.
생지황은 지황(Rehmannia glutinosa) 뿌리의 날것을 의미하며, 성질이 차서 해열 작용이 뛰어나며, 허약 체질, 토혈, 코피, 자궁 출혈, 생리불순 및 변비의 치료에 사용한다.
갈근은 콩과에 속하는 칡(Pueraria thunbergiana BENTHAM)의 뿌리를 적당히 썰어서 건조한 것으로, 예로부터 생즙을 내서 먹거나 건조시켜 차로 마시기도 하고 전분을 내어 식품 등에 이용하기도 하였다. 주요성분으로는 다이드자인(daidzein), 다이드진(daidzin), 게니스테인(genistein), 파라쿠마릭산, 푸에라린, 케르세틴, 등이 있으며 예로부터 해독제, 구토방지제, 진경제, 강심제, 진통제, 정화제, 발한제, 해열제, 유즙분비제, 혈당강하제, 혈압강하제 등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감초는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북동부와 시베리아,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뿌리와 줄기 밑 부분을 감미제와 위궤양십이지장궤양의 치료제로 사용하며, 다른 약의 작용을 순하게 하므로, 한방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감초 추출물은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글라브렌(glabrene), 글라브리딘(glabridin), 히스파글라브리딘(hispaglabridin) A를 포함하는 다양한 폴리페놀(polyphenols)을 함유하고 있다.
마늘(Garlic, Allium sativum L.)은 백합과(Lilliaceae) 파속(Allium)에 속하는 식물로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가장 선호되는 양념으로 식용으로뿐만 아니라 민간치료제로도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오고 있다. 마늘의 유효성분으로 추정되는 물질인 알리인(alliin)은 마늘 본래의 성분으로 그 자체가 혈중지질 저하작용을 가지며, 조직이 파괴되면서 알리나아제(allinase)에 의해서 알리신(allicin)으로 분해된 후에도 항균성, 혈중지질 및 혈당의 저하작용 등 다양한 생물학적 효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이전에, 인동등, 황금, 생지황, 갈근, 감초 및 마늘의 혼합 추출물이 뉴캐슬병이나 조류독감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다는 것은 보고된 바 없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인동등, 황금, 생지황, 갈근, 감초 및 마늘의 혼합 추출물은 각각의 한약재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각 한약재를 혼합한 혼합물로부터 추출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추출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물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인동등, 황금, 생지황, 갈근, 감초 및 마늘을 다양한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의 추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인동등, 황금, 생지황, 갈근, 및 감초의 혼합 추출물과 마늘의 추출물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마늘 추출물은 침지 추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인동등, 황금, 생지황, 갈근, 감초 및 마늘을 1-20:20-40:10-30:1-20:20-40:20-40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의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인동등, 황금, 생지황, 갈근, 감초 및 마늘을 10:30:20:10:30:30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의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및 부탄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를 이용한 추출에 의해 수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각각 수분 함량이 5% 이하로 건조된 인동등, 황금, 생지황, 갈근, 및 감초를 준비하고 이들을 약 20 내지 40 메쉬(mesh)로 분쇄하고 혼합하는 단계, 약재 중량의 약 5 내지 10배량의 정제수 또는 정제수와 에탄올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 50 내지 100℃에서 2 내지 5시간 동안 열탕 추출하는 단계, 수득된 추출물을 1 ㎛ 여지를 통해 여과시키는 단계, 및 여과액을 100℃ 이상의 고온에서 농축시키는 단계에 의해 수득된 제1 혼합 추출물과 다진 생마늘을 중량의 약 2배 내지 5배량의 에탄올에 충분한 시간 동안 침지시켜 추출하는 단계 및 수득된 추출물을 1 ㎛ 여지를 통해 여과시키는 단계에 의해 수득된 마늘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적합한 추출 용매 및 조건을 선택할 수 있고, 단계를 추가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액상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액상 제형의 조성물은 음수에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1.0%의 비율로 첨가하여 경구 투여될 수 있다. 0.1% 미만의 양을 혼합하는 경우, 뉴캐슬병 바이러스 또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 활성의 강도가 미약하고, 1.0% 초과의 경우, 양의 증가에 따른 효과 증가의 정도가 미약하여 경제성이 떨어지고, 기호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조류 중에서 뉴캐슬병 바이러스 또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감염성 및 전염성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뉴캐슬병 또는 조류독감 및 이들과 연관된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인동등, 황금, 생지황, 갈근, 감초 및 마늘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캐슬병 바이러스 또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용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금류에서 뉴캐슬병 또는 조류독감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가금류는 닭, 오리, 메추라기, 및 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음수에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1.0%의 비율로 첨가하여 경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 방식 및 투여량은 대상 가금류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동등, 황금, 생지황, 갈근, 감초 및 마늘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캐슬병 바이러스 또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용 조성물은 뉴캐슬병 바이러스 또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상기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으로부터 조류를 보호하고, 약제에 대한 내성을 포함한 부작용 및 잔류 약제에 의한 축산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 없이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한약재 혼합 추출물의 제조
인동등, 황금, 생지황, 갈근, 및 감초를 수분 함량이 5% 이하인 건조 상태로 각각 10 kg, 30 kg, 20 kg, 10 kg, 및 30 kg 씩 준비하고, 이들을 각각 20 메쉬(mesh) 정도로 분쇄하였다. 분쇄된 한약재를 추출 탱크에 넣고, 정제수 300 kg과 에탄올 700 kg을 넣고 60℃에서 120분간 열탕 추출시켰다. 수득된 추출액을 1 ㎛ 여지를 통해 여과시키고, 여과액의 총 부피가 100 kg이 되도록 100℃ 이상의 고온에서 농축하여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생마늘 30 kg을 준비하고 이를 잘게 다진 후, 에탄올 80 kg에 침지시켰다. 7일 동안 침지 추출한 후, 수득된 마늘의 추출액을 1 ㎛ 여지를 통해 여과시켜 60 kg의 마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된 인동등, 황금, 생지황, 갈근 및 감초의 혼합 추출물과 마늘 추출물을 혼합하여 한약재 혼합 추출물(이하에서 "항바이러스 조성물"로 지칭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바이러스 증식 억제 활성 측정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뉴캐슬병 바이러스(Newcastle Disease Virus, NDV) 및 조류독감 바이러스(Avian Influenza Virus, AIV)의 증식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뉴캐슬병 바이러스(B1)와 조류독감 바이러스(H9N2)는 국립수의과학검역원으로부터 분양받았다.
2-1. 뉴캐슬병 바이러스( NDV )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NDV 증식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사용 전에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여과한 후, 각각 10배, 100배, 및 500배 희석하였다. NDV(104 EID(egg infectious dose)50/1.0 ml)를 상기 조성물의 원액, 10배, 100배, 및 500배 희석액과 각각 1:1의 부피 비율로 혼합하고, 4℃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그 후, 상기 혼합액들을 각각 5개의 11일령의 부화란(Lohmann종의 SF(무균) 종란, VALO SPF Egg (U.S.A.))의 계태아 요막강에 0.2 ml씩 접종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NDV만을 접종했고, 음성 대조군은 인산염 완충 염수(PBS)만을 접종했다. 접종 후 37℃의 항온실에서 7일간 배양하면서 매일 검란을 실시하였다. 접종 후 24시간 내에 죽은 발육란은 사고사로 간주하고 시험에서 제외시켰다.
접종 후 24시간 후부터 7일의 배양기간 중에 죽은 접종란은 모두 4℃에 보관하였다. 7일의 배양기간 후에 생존한 모든 발육란과 4℃에 보관된 죽은 접종란에서 각각 요막강액를 채취하고, 요막강액 중 10% 닭적혈구를 사용하여 평판혈구응집반응을 실시하여 뉴캐슬병 바이러스의 존재 유무를 조사하였다. 각 희석 배수의 용액을 접종한 5개의 계태아에서 2개 이상에서 증식이 인정되지 않는 경우를 유효희석배수로 판정하였다. 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았다.
접종액 NDV 양성 종란수/접종 종란 수 (폐란수)
NDV + 항바이러스 조성물 원액 0/5 (0)
NDV + 10배 희석액 0/5 (1)
NDV + 100배 희석액 0/5 (0)
NDV + 500배 희석액 1/5 (0)
NDV (양성 대조군) 5/5 (5)
PBS (음성 대조군) 0/5 (0)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테스트된 모든 희석비율에서 뉴캐슬병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을 보였다.
2-2. 조류독감 바이러스( AIV )
상기 2-1에서 뉴캐슬병 바이러스를 조류독감 바이러스(AIV)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여 실시예 1의 항바이러스 조성물의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에 요약된다.
접종액 AIV 양성 종란수/접종 종란 수 (폐란수)
AIV + 항바이러스 조성물 원액 0/5 (0)
AIV + 10배 희석액 0/5 (1)
AIV + 100배 희석액 1/5 (0)
AIV + 500배 희석액 2/5 (0)
AIV (양성 대조군) 5/5 (5)
AIV (음성 대조군) 0/5 (0)
표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항바이러스 조성물은 테스트된 모든 희석비율에서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을 보였다.

Claims (6)

  1. 인동등, 황금, 생지황, 갈근, 감초 및 마늘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캐슬병 바이러스 또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인동등, 황금, 생지황, 갈근, 감초 및 마늘을 1-20:20-40:10-30:1-20:20-40:20-40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의 추출물인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인동등, 황금, 생지황, 갈근 및 감초의 혼합 추출물과 마늘 추출물을 혼합한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및 부탄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를 이용한 추출에 의해 수득된 것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음수에 0.1 내지 1.0%의 비율로 첨가하여 경구 투여되는 것인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늘 추출물은 침지 추출에 의해 제조된 것인 조성물.
KR1020110104086A 2011-10-12 2011-10-12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캐슬병 바이러스 또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용 조성물 KR101322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086A KR101322851B1 (ko) 2011-10-12 2011-10-12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캐슬병 바이러스 또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086A KR101322851B1 (ko) 2011-10-12 2011-10-12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캐슬병 바이러스 또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495A true KR20130039495A (ko) 2013-04-22
KR101322851B1 KR101322851B1 (ko) 2013-10-28

Family

ID=48439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086A KR101322851B1 (ko) 2011-10-12 2011-10-12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캐슬병 바이러스 또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28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5342A (zh) * 2013-04-17 2013-09-11 徐宏蕾 一种治疗感冒的组合物
CN104524500A (zh) * 2014-12-15 2015-04-22 黄平县鸿合综合发展有限公司 一种治疗鸡瘟的中药配方
CN107594127A (zh) * 2017-11-01 2018-01-19 黄业钧 一种用于预防禽流感病毒的中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9620884A (zh) * 2019-01-28 2019-04-16 孟繁华 一种靶向治疗禽流感的活性组合物的制备方法
CN117017973A (zh) * 2023-08-23 2023-11-10 广东省第二人民医院(广东省卫生应急医院) 光甘草定在制备治疗或预防流感病毒的药物中的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1986A (zh) * 2013-07-19 2014-11-26 河南联合英伟饲料有限公司 一种用于防治禽流感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590492B1 (ko) * 2014-05-30 2016-02-01 선 바이오(주) 발효된 천연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균소독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9206B1 (ko) 2014-10-06 2016-11-24 한국 한의학 연구원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CN104800819B (zh) * 2015-05-18 2018-05-29 九江牧威利元科技中心(普通合伙) 一种治疗鸡瘟的中药制剂
CN104826064B (zh) * 2015-05-18 2018-05-29 九江牧威利元科技中心(普通合伙) 一种预防鸭瘟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7126482A (zh) * 2017-04-14 2017-09-05 新疆农业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家禽感冒的兽药及制备方法
KR20240045546A (ko) 2022-09-30 2024-04-08 (주)예스킨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445B1 (ko) * 2009-10-26 2010-04-02 주식회사 중앙백신연구소 감초로부터 얻은 조류, 돼지 인플루엔자 및 신종플루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KR101170965B1 (ko) * 2009-11-19 2012-08-03 주식회사 옵티팜솔루션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돼지유행성설사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5342A (zh) * 2013-04-17 2013-09-11 徐宏蕾 一种治疗感冒的组合物
CN104524500A (zh) * 2014-12-15 2015-04-22 黄平县鸿合综合发展有限公司 一种治疗鸡瘟的中药配方
CN107594127A (zh) * 2017-11-01 2018-01-19 黄业钧 一种用于预防禽流感病毒的中药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9620884A (zh) * 2019-01-28 2019-04-16 孟繁华 一种靶向治疗禽流感的活性组合物的制备方法
CN117017973A (zh) * 2023-08-23 2023-11-10 广东省第二人民医院(广东省卫生应急医院) 光甘草定在制备治疗或预防流感病毒的药物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2851B1 (ko) 201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851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뉴캐슬병 바이러스 또는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증식 억제용 조성물
Yasmin et al. Herbal extracts as antiviral agents
CN1879745B (zh) 一种治疗禽病毒性疾病的中兽药散剂
KR100721703B1 (ko) 오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CN101007067A (zh) 用于禽类抗病毒药物及其制备方法
Chollom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and antiviral potential of aqueous leaf extract of Psidium guajava against newcastle disease virus in ovo
CN1879814B (zh) 禽用抗病毒药物及其制备方法
CN107382474A (zh) 一种中药肥料的生产方法
CN1330330C (zh) 抗病毒药物组合物、制备方法及用途
KR100769050B1 (ko) 오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CN1883610B (zh) 治疗禽类病毒性疾病的中兽药及其制备方法
Shawa et al. rine shrimp lethality and phytochemical determination of aqueous extracts of Senna singueana, Musa paradisiaca, and Ziziphus mucronata in Malawi.
CN101259160B (zh) 治疗禽类病毒性疾病的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CN103239518B (zh) 治疗禽流感的中药组合物
KR101109415B1 (ko) 가금류의 뉴캐슬병 바이러스에 대한 살바이러스 효능이 있는 가금용 사료첨가제 및 이를 함유한 사료조성물
RU2303992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молодняка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животных и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респираторных болезней телят с его применением
CN105617325A (zh) 一种治疗家禽痢疾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Shahzad et al. Some ethanobotanically important plants from Cholistan area for anti avian influenza virus (AIV) H9N2 screening.
KR100736159B1 (ko) 상사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0740563B1 (ko) 상사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CN101982188B (zh) 唐古特青兰在制备治疗畜禽病毒性传染病的药物中的应用
CN104840591A (zh) 一种具有防治新城疫功效的中药组合物
Amjad et al. In vivo concurrent efficacy of purified Immunoglobulins and Licorice (Glycyrrhiza glabra) root extracts against Newcastle Disease Virus
CN108904650A (zh) 一种防治传染性喉气管炎的双黄连口服液及其制备方法
RU2311190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молодняка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животных и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вирусных респираторных болезней телят с его применени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