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8490A - 철도레일 점검공구 - Google Patents

철도레일 점검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490A
KR20130038490A KR1020110102877A KR20110102877A KR20130038490A KR 20130038490 A KR20130038490 A KR 20130038490A KR 1020110102877 A KR1020110102877 A KR 1020110102877A KR 20110102877 A KR20110102877 A KR 20110102877A KR 20130038490 A KR20130038490 A KR 20130038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railway rail
fastening member
groove
inspection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진호
김창희
신정상
오은덕
신동하
이오현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10102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8490A/ko
Publication of KR20130038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24Fixing or removing detachable fastening means or accessories thereof; Pre-assembling track components by detachable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레일의 점검 시 철도레일을 결합하는 클립 및 체결부재를 체결할 수 있는 철도레일 점검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을 결합하는 클립 및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철도레일 점검공구에 있어서, 막대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철도레일의 클립을 체결하는 갈고리부재, 상기 몸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재를 끼워 체결하는 상부 체결홈이 형성된 상부 스패너부, 및 상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체결홈과는 다른 크기의 하부 체결홈이 형성되는 하부 스패너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휴대가 용이하며,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레일 점검공구{a tool of railway rail}
본 발명은 철도레일의 점검 시 철도레일을 결합하는 클립 및 체결부재를 체결할 수 있는 철도레일 점검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레일은 클립 및 체결부재 예컨대, 볼트 또는 너트 등으로 결합되어 철도차량의 주행 시 진동에 의해 체결부재가 이탈되거나 체결된 체결부재의 체결이 풀릴 수가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순환하여 점검한다.
이러한 점검을 수행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점검공구로는 한국특허출원 제20-1998-0002504호의 "철도 레일용 팬플러"가 개시된 바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철도 레일용 팬플러는 철도레일을 지지하는 클립을 체결하는 것으로서, 손잡이가 상단에 형성되며 하단에 롤러가 회전자재토록 장착되는 갈고리지지대가 하단에 형성되는 자루(11); 상기 갈고리지지대 사이에 소정각도범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후크(14)가 단부에 형성된 갈고리(15); 상기 갈고리지지대에 고정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갈고리상면에 밀착되어 가압하는 소정형상의 걸림판(17); 상기 갈고리지지대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고정핀에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족답시 연동되는 상기 걸림판을 회동시켜 상기 후크를 부목쪽으로 회동시키는 발판(19); 및 상기 걸림판을 상기 갈고리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걸림판의 가압면이 상기 갈고리상면에 밀착된 상태를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하는 제 1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종래의 철도 레일용 팬플러는 갈고리(15)의 후크(14)를 클립에 걸고 자루(11)를 당기는 형태로 철도레일에서 체결이 풀려진 클립을 철도레일에 체결하였다.
한편, 철도레일을 점검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철도 레일용 팬플러 외에 볼트와 너트 같은 체결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다양한 크기의 복수 개의 스패너도 함께 휴대해야 한다.
하지만, 종래와 같이 팬플러와 스패너를 따로 휴대할 경우, 휴대가 불편하고, 하나의 스패너만 없어도 점검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많은 작업공구의 휴대로 인해 철도레일을 점검하는 점검자의 피로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철도차량의 접근 시 신속히 대피하기 어려워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점검공구 하나로 철도레일을 결합하는 체결부재를 모두 체결 또는 분해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휴대가 간편한 동시에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추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철도레일 점검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점검공구는 철도레일을 결합하는 클립 및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철도레일 점검공구에 있어서, 막대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철도레일의 클립을 체결하는 갈고리부재, 상기 몸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재를 끼워 체결하는 상부 체결홈이 형성된 상부 스패너부, 및 상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체결홈과는 다른 크기의 하부 체결홈이 형성되는 하부 스패너부를 포함한다.
상기 갈고리부재에는 상기 몸체에서 상기 갈고리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핀이 결합되는 힌지결합공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체결홈은 서로 다른 크기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상부 체결홈은 상기 체결부재의 폭이 30mm인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제1 체결홈, 상기 체결부재의 폭이 32mm인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제2 체결홈, 및 상기 체결부재의 폭이 40mm인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제3 체결홈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상부 체결홈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상부 체결홈은 다른 형상을 가지는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하도록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른 형상의 상부 체결홈은 상기 체결부재의 폭이 30mm이고,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체결홈은 상기 체결부재의 폭이 35mm의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철도레일을 결합하는 볼트 또는 너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레일 점검공구 하나로 철도레일을 결합하는 클립 및 체결부재를 모두 체결 또는 분해할 수 있어 철도레일의 점검 시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휴대가 용이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구의 휴대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도레일 점검공구인 팬플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점검공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점검공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점검공구를 구성하는 갈고리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점검공구로 클립을 체결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점검공구로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철도레일 점검공구(100)는 철도레일(200)을 점검 시 철도레일(200)을 침목(210)과 결합하는 클립(230), 및 철도레일(200)끼리 또는 철도레일(200)과 침목(210)을 결합하는 체결부재(250)가 풀렸을 경우, 체결부재(250)를 조이거나 클립(230)을 체결할 수 있는 공구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점검공구(100)는 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몸체(110)는 철도레일(200)을 결합하는 클립(230) 또는 체결부재(250)를 체결 시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체결하도록 길이가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몸체(110)는 하부에는 상기 몸체(110)를 수직으로 둘로 가르는 형태의 절개홈(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절개홈(111)이 형성된 몸체(110)의 부분에는 몸체(110)의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점검공구(100)는 갈고리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갈고리부재(130)는 일단이 하향 절곡된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갈고리부재(130)의 타단은 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갈고리부재(130)의 타단 부분에는 갈고리부재(130)를 관통하는 힌지결합공(131)이 형성되고, 갈고리부재(130)가 몸체(110)에 형성된 절개홈(111)에 끼워진 상태에서 힌지핀(190)이 힌지결합공(131)과 관통공을 함께 관통하는 형태로 갈고리부재(130)가 몸체(110)에 결합되어 몸체(110)에서 힌지핀(190)을 중심으로 갈고리부재(130)가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갈고리부재(130)는 몸체(110)에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공(131)이 갈고리부재(13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고리 부재(130)은 갈고리부재(130)의 끝단 부분에 위치되는 힌지결합공(131)에 힌지핀(190)이 끼워져 몸체(110)에 결합될 경우, 갈고리부재(130)의 갈고리 형상의 일단이 몸체(110)와 멀어져 길이가 길어지고, 갈고리부재(130)의 끝단 부분에 위치되는 힌지결합공(131) 보다 갈고리부재(130)의 내측에 위치되는 힌지결합공(131)에 힌지핀(190)이 끼워져 몸체(110)에 결합될 경우, 갈고리부재(130)의 갈고리 형상의 일단이 몸체(110)와 가까워져 그 길이가 짧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갈고리부재(130)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갈고리부재(130)로 클립(230)을 체결할 때, 몸체(110)가 지지되는 침목(210)의 크기에 따라 갈고리부재(130)의 길이를 조절하여 클립(230)을 체결하여 다양한 크기에 침목(210)에서도 클립(230)의 체결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점검공구(100)는 상부 스패너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상부 스패너부(150)는 철도레일(200)을 서로 체결하거나 철도레일(200)을 침목(210)에 결합하는 체결부재(250)를 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철도레일(200)을 서로 체결하거나 철도레일(200)을 침목(210)에 결합하는 체결부재(250)는 너트와 볼트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스패너부(150)에는 체결부재(250)가 끼워져 체결부재(250)를 체결할 수 있는 상부 체결홈(1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상부 체결홈(151)은 상부 스패너부(150)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상부 체결홈(151)은 서로 다른 크기의 상기 체결부재(250)를 체결하도록 각각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부 체결홈(151)은 예컨대, 실시예에서와 같이, 체결부재(250)의 폭이 32mm인 체결부재(250)를 체결할 수 있는 제1 체결홈(152)과 체결부재(250)의 폭이 30mm인 체결부재(250)를 체결할 수 있는 제2 체결홈(153)이 상부 스패너부(150)의 상단 부분에 형성되고, 체결부재(250)의 폭이 40mm인 체결부재(250)를 체결할 수 있는 제3 체결홈(154)이 상부 스패너부(150)의 측면 부분에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체결부재(250)의 폭은 체결부재(250)인 볼트의 머리의 폭 또는 너트의 폭을 의미한다.
한편, 상부 스패너부(15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 체결홈(151) 중 하나 이상의 상부 체결홈(151)은 다른 형상을 가지는 체결부재(250)를 체결하도록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부 스패너부(150)의 상단부분에 형성되는 30mm의 폭을 가지는 체결부재(250)를 체결하도록 형성된 제2 체결홈(153)은 통상의 육각형상의 볼트와 너트와는 달리 볼트의 머리 부분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볼트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너트를 체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점검공구(100)는 하부 스패너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스패너부(170)는 상기 하부 체결부재(250)를 체결할 수 있다. 이때, 하부 스패너부(170)에 형성되는 하부 체결홈(171)의 크기는 상부 스패너부(150)에 형성되는 상부 체결홈(151)의 크기와는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부 스패너부(170)에 형성되는 하부 체결홈(171)은 상부 스패너부(150)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 체결홈(151) 즉, 제1 체결홈(152), 제2 체결홈(153) 및 제3 체결홈(154)의 크기와는 달리 체결부재(250)의 폭이 35mm를 가지는 체결부재(250)를 체결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점검공구(100)는 막대형상의 몸체(110)의 상단에 체결부재(250)를 체결할 수 있는 상부 체결홈(151)이 복수 개가 형성된 상부 스패너부(150)가 구비되고, 몸체(110)의 하단에는 상부 스패너부(150)에 형성된 상부 체결홈(151)과는 다른 크기의 하부 체결홈(171)이 형성된 하부 스패너부(170)가 구비된다.
그리고, 몸체(110)의 하부에는 몸체(110)에 형성된 절개홈(111)에 갈고리부재(130)가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핀(190)이 몸체(110)의 관통공 및 갈고리부재(130)의 힌지결합공(131)을 관통하여 체결하는 형태로 갈고리부재(130)가 몸체(110)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갈고리부재(130)에는 복수 개의 힌지결합공(131)이 형성되어 힌지결합공(131)을 조절하여 힌지핀(190)을 재결합하는 형태로 갈고리부재(130)의 끝단에 형성된 갈고리 형상의 부분이 몸체(110)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길이조절을 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철도레일 점검공구(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목(210)에 철도레일(200)을 결합하는 클립(230)을 체결할 경우, 갈고리부재(130)의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을 클립(230)에 걸치고, 몸체(110)의 하단 즉, 하부 스패너부(170)를 침목(210)에 지지한 상태에서 몸체(110)의 상단부분을 클립(230)이 체결되는 방향으로 당겨 클립(230)을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침목(210)의 폭 예컨대, 서로 폭이 달리 형성되는 나무 침목(210) 또는 콘크리트 침목(210)에 따라 즉, 하부 스패너부(170)가 지지되는 침목(210)의 측면과 클립(230)의 사이에 거리에 따라 힌지결합공(131)의 위치를 조절하여 힌지핀(190)을 결합하는 형태로 갈고리부재(130)의 길이를 조절하여 클립(230)을 체결할 수 있다.
한편, 상부 스패너부(150)에 형성된 상부 체결홈(151)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부 체결홈(151)과 대응되는 크기의 체결부재(250)를 끼우고 몸체(110)의 하부 스패너부(170)가 형성된 부분을 당기거나 미는 형태로 몸체(110)를 회전시켜 체결부재(250)를 체결하거나 체결부재(250)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스패너부(150)에 형성되는 복수 상부 체결홈(151) 중 30mm의 폭을 가지는 체결부재(250)를 체결할 수 있는 제1 체결홈(152)으로는 예컨대, 철도레일(200)을 결합하는 육각형상의 탄성 휠볼트, 텅레일 멈춤쇠 볼트, 탄성 가이드레일 볼트, 침목(210)의 개량신축 볼트 및 이와 체결되는 동일한 크기의 너트 등을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32mm의 폭을 가지는 체결부재(250)를 체결할 수 있는 제2 체결홈(153)으로는 철도레일(200)을 결합하는 사각형상의 N볼트, 절연볼트 및 이와 체결되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의 너트 등을 체결할 수 있다.
또한, 40mm의 폭을 가지는 체결부재(250)를 체결할 수 있는 제3 체결홈(154)으로는 철도레일(200)을 결합하는 육각형상의 휠볼트, 가이드레일볼트, 50kg단신축 등을 체결할 수 있다.
아울러, 하부 스패너부(170)에 형성된 하부 체결홈(171)으로는 하부 체결홈(171)과 대응되는 크기의 체결부재(250)를 하부 체결홈(171)에 끼우고 몸체(110)의 상부 스패너가 형성된 부분을 당기거나 미는 형태로 몸체(110)를 회전시켜 체결부재(250)를 체결하거나 체결부재(250)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하부 스패너부(170)에 형성된 하부 체결홈(171)으로는 철도레일(200)을 결합하는 체결부재(250) 중 35mm의 폭을 가지는 체결부재(250)인 나무 침목의 개량신축볼트 등을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레일 점검공구는 하나의 점검공구(100)로 철도레일(200)을 결합하는 모든 체결부재(250) 및 클립(230)을 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휴대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휴대가 간편하여 철도레일(200)을 점검하는 점검자의 심신의 피로도를 낮추고 철도차량이 접근 시 신속히 대피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철도레일 점검공구 110: 몸체
111: 절개홈 130: 갈고리부재
131: 힌지결합공 150: 상부 스패너부
151: 상부 체결홈 152: 제1 체결홈
153: 제2 체결홈 154: 제3 체결홈
170: 하부 스패너부 171: 하부 체결홈
190: 힌지핀 200: 철도레일
210: 침목 230: 클립
250: 체결부재

Claims (8)

  1. 철도레일을 결합하는 클립 및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철도레일 점검공구에 있어서,
    막대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하부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철도레일의 클립을 체결하는 갈고리부재,
    상기 몸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재를 끼워 체결하는 상부 체결홈이 형성된 상부 스패너부, 및
    상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체결홈과는 다른 크기의 하부 체결홈이 형성되는 하부 스패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점검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부재에는
    상기 몸체에서 상기 갈고리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핀이 결합되는 힌지결합공이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점검공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체결홈은
    서로 다른 크기로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점검공구.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상부 체결홈은
    상기 체결부재의 폭이 30mm인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제1 체결홈, 상기 체결부재의 폭이 32mm인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제2 체결홈, 및 상기 체결부재의 폭이 40mm인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제3 체결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점검공구.
  5. 제3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상부 체결홈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상부 체결홈은 다른 형상을 가지는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하도록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점검공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형상의 상부 체결홈은 상기 체결부재의 폭이 30mm이고,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점검공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체결홈은 상기 체결부재의 폭이 35mm의 상기 체결부재를 체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점검공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철도레일을 결합하는 볼트 또는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점검공구.
KR1020110102877A 2011-10-10 2011-10-10 철도레일 점검공구 KR20130038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877A KR20130038490A (ko) 2011-10-10 2011-10-10 철도레일 점검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877A KR20130038490A (ko) 2011-10-10 2011-10-10 철도레일 점검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490A true KR20130038490A (ko) 2013-04-18

Family

ID=4843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877A KR20130038490A (ko) 2011-10-10 2011-10-10 철도레일 점검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84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948A (ko) * 2015-01-06 2016-07-15 한국철도공사 탈선복구용 유압실린더 지지대
KR101650047B1 (ko) 2015-07-28 2016-08-22 한국철도공사 레일 저부 캐치용 공구
KR101668090B1 (ko) 2015-07-28 2016-10-20 한국철도공사 철도보수용 다용도 공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948A (ko) * 2015-01-06 2016-07-15 한국철도공사 탈선복구용 유압실린더 지지대
KR101650047B1 (ko) 2015-07-28 2016-08-22 한국철도공사 레일 저부 캐치용 공구
KR101668090B1 (ko) 2015-07-28 2016-10-20 한국철도공사 철도보수용 다용도 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4445C (en)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or removal of railway track fasteners
US8485452B2 (en) Guard rail apparatus for guiding derailed wheels
KR20130038490A (ko) 철도레일 점검공구
MY151911A (en) Device for fastening railway rails
JP6149018B2 (ja) 軌間整正器
KR100835188B1 (ko) 크레인용 레일 고정장치
KR200462781Y1 (ko) 레일 조립대의 개량 구조
JP6402401B2 (ja) レール間幅規定装置
KR20140002905U (ko) 각도 조절 스패너
JP3172020U (ja) ガードレール用ボルト及びガードレール接続構造
JP2007085038A (ja) まくらぎ締結装置
JP2008094162A (ja) 自動車ボディの鈑金用牽引装置
CN215923142U (zh) 一种钢管防滚装置
JP5129947B2 (ja) 足場固定装置におけるキャッチクランプ
JP6144187B2 (ja) レール用安全帯取付具
JP2010242328A (ja) マクラギの移動防止具
JP5852762B1 (ja) レール座屈および移動防止用保安装置
JP3861247B2 (ja) 覆工板の締結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19439B1 (ko) 스탠션 바
JP5618841B2 (ja) 仮置き台用クランプ
JP4473659B2 (ja) 軌道対応型接地金具
KR20130038980A (ko) 중량장비용 구름방지 스토퍼
KR20100068671A (ko) 행거
KR20120110907A (ko) 원형 칼날 이송용 지그
KR101524515B1 (ko) 스탠션 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