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959A - 해동드립을 이용한 생천마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해동드립을 이용한 생천마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959A
KR20130037959A KR1020110102546A KR20110102546A KR20130037959A KR 20130037959 A KR20130037959 A KR 20130037959A KR 1020110102546 A KR1020110102546 A KR 1020110102546A KR 20110102546 A KR20110102546 A KR 20110102546A KR 20130037959 A KR20130037959 A KR 20130037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drip
lactic acid
extract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5788B1 (ko
Inventor
최재홍
Original Assignee
최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홍 filed Critical 최재홍
Priority to KR1020110102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788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8Orchidaceae (Orchid family)
    • A61K36/8988Gastrod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천마를 주원료로 하여 세척한 다음 건조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건조물을 급속 동결한 다음, 발효조 내에서 해동드립하여 진액을 추출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생천마 진액을 배양조 상에서 발효미생물과 증류수와 혼합한 다음, 발효에 필요한 질소원과 탄소원을 추가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의 혼합물을 생물반응기(bioreactor) 상에서 생물반응을 거쳐 액상화된 젖산발효산물을 생성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의 젖산발효산물을 급속멸균장치(Outoclave)를 이용하여 발효미생물을 멸균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의 젖산발효산물을 규조토 여과기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가열하여 25~60브릭스(Brix)를 지니도록 농축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제6단계의 발효추출물을 스프레이 드라이어(Spray dryer)를 이용하여 수분율 5~7%를 지니도록 건조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생천마를 급속 동결하여 해동드립(drip)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진액에 발효미생물을 통한 생물반응을 거쳐 발효한 발효추출물을 취득함에 따라, 생천마의 유용성분과 에르고티오닌(Ergothioneine=ERG)이 함유된 식품원료를 비롯하여 음용원료, 의약원료, 기능성식품 원료 및 향장원료 등 자유로운 제형 변화를 쉽게 할 수 있고, 생천마의 유용성분들이 인체 친화적인 물질로 바뀌어 랑게르한스 세포가 거부감을 없애면서 천마의 고분자물질이 나노화되어 인체에 쉽게 흡수되고, 저비용으로 고부가성 물질을 대량으로 양산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동드립을 이용한 생천마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Method for preparing fermented extract of Gastrodiae elata by using of drip}
본 발명은 생천마를 이용하여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천마를 급속 동결하여 해동드립(drip)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진액에 발효미생물을 통한 생물반응을 거쳐 발효한 발효추출물을 취득하여, 생천마의 유용성분과 에르고티오닌(Ergothioneine=ERG)이 함유된 식품원료를 비롯하여 음용원료, 의약원료, 기능성식품 원료 및 향장원료 등 자유로운 제형 변화를 할 수 있는 해동드립을 이용한 생천마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천마(天麻; Gastrodiae elata)는 난과에 속하는 다년생 고등식물(이 등, 2007)로 엽록소가 없어서 독자생존이 어려워 뽕나무버섯균(Armillaria mellea)과 공생(Kang, 2007; Kim 등, 2006; Sung, 1994; Sung 등, 1996; Hong 등, 2004; Kusano, 1911; Zhang 등, 1980)하면서 양분과 수분을 공급 받는 것이 밝혀져 있으며, 이후 뽕나무버섯균(Armillaria mellea)을 이용하여 천마의 인공재배(Kang 등, 2002)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천마는 뽕나무버섯균(A. mellea)과 함께 예로부터 중국 한국에서 한약제로 귀하게 사용되어 왔고, 신 농본초본에는 상약으로 분류되고 있다. 또한 천마는 뽕나무버섯과 유사한 인체에 관한 기능이 있으며, 특히 항 혈전작용(Cho 등, 2008), 항산화작용(Heo 등, 2006), 신경전달 조절작용(Ha 등, 1997), 신경보호작용(Na 등, 2008), 인체생리조절 작용(Chung 와 Ji, 1996)이 있고, 뇌기능에 관여하는 물질이 다량 존재하여 중풍마비, 뇌졸중, 경련억제(Sung 등, 1997; Yong 등, 1999; Huh 등, 1995, 1998) 등의 뇌에 관한 한의학적으로 논문이 다수 발표되었고, 현재도 임상연구는 계속되고 있으며, 현대 의학적인 약리적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천마의 일반성분으로는 수분 2.12%, 조단백 4.41%, 조지방 1.20%, 조회분 2.52%, 조섬유 4.60% 이며(Kim 등, 2000; Shin 등, 1999; Ha 등, 1999), 영양성분으로는 gastrodin 0.25~0.67%, astrodiosid(ρ-hydroxybenzol), vanillyl alcohol, succinic acid, citric acid, palmitic acid, ρ-hydroxybenzyl aldenyde, 미량의 alkaloides, 비타민A 류 물질인 β-sitosterol. Coumarin 물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문, 1991) 이외에도, sterol류, cholesterol, ρ-hydroxylbenzyl alcohol, vanillin 등의 성분에 대하여도 알려져 있다.(Kim 등, 2000)
또한, 천마는 기생식물로 생육과정에 뽕나무버섯균사와 공생하는 관계로 천마 내에 A. mellea(뽕나무버섯균)이 함유(Kang, 2007; Kim 등,2000; Sung, 1994; Sung 등, 1996; Hong 등, 2004) 되어 있는데, 이는 아미노산 일종으로, 강력한 항산화제로 알려 있으며, 피부노화방지제 및 뇌혈류 흐름의 장애에 의해 나타나는 질병 등에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에르고티오닌(Ergothioneine)이 미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천마는 그동안 식품의약품 안정청의 식품불가 원료로 규제되어 오다가 2000년 9월 1일부터 식품불가 규제가 풀리게 되어(Kim 등, 2003), 식품사용 원료로 가능하게 되었다. 천마는 어떠한 물질에 의해 이러한 약성이 나타나는지 불투명하였지만, 근자에 국립 산림과학원 생물공학과, 화학미생물과의 연구에 의해 천마에 에르고티오닌(Ergothioneine=ERG)이 미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세계 최초로 발견되면서 천마의 귀중함이 재입증되었다.
이와 같이, 천마는 효과나 약성이 뛰어난 반면에 건조방법(Sung 등, 1995; Lee 등, 2003; Hong 등, 2006) 이나 추출방법(Lee 등, 2003)에 따라 좋지 못한 맛과 냄새(Kim 등, 2004; Kim 등, 2001; Lee 등, 2002; Lee 등, 2003)의 차이가 크게 변하는 관계로 식품으로 대중화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고, 현재 공급이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재배를 통한 대량생산 시대를 대비하여 대중적이고 고부가성인 건강식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외에도, 생천마에 함유된 진액을 이용한 가공식품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만, 특히 천마 진액에 함유된 전분에 의한 혼탁과, 끈적끈적한 뮤신질로 인해 가공 상에 문제가 발생되는 한편, 인체에 흡수가 느리고, 식음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제형의 변화가 어려워 대량으로 가공하여 양산하기에 곤란하므로 이를 활용하는데 있어 그 한계성을 보이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천마를 급속 동결하여 해동드립(drip)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진액에 발효미생물을 통한 생물반응을 거쳐 발효한 발효추출물을 취득함에 따라, 생천마의 유용성분과 에르고티오닌(Ergothioneine=ERG)이 함유된 식품원료를 비롯하여 음용원료, 의약원료, 기능성식품 원료 및 향장원료 등 자유로운 제형 변화를 쉽게 할 수 있고, 생천마의 유용성분들이 인체 친화적인 물질로 바뀌어 랑게르한스 세포가 거부감을 없애면서 천마의 고분자물질이 나노화되어 인체에 쉽게 흡수되고, 저비용으로 고부가성 물질을 대량으로 양산 가능한 해동드립을 이용한 생천마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생천마를 주원료로 하여 세척한 다음 건조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건조물을 급속 동결한 다음, 발효조 내에서 해동드립하여 진액을 추출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생천마 진액을 배양조 상에서 발효미생물과 증류수와 혼합한 다음, 발효에 필요한 질소원과 탄소원을 추가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의 혼합물을 생물반응기(bioreactor) 상에서 생물반응을 거쳐 액상화된 젖산발효산물을 생성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의 젖산발효산물을 급속멸균장치(Outoclave)를 이용하여 발효미생물을 멸균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의 젖산발효산물을 규조토 여과기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가열하여 25~60브릭스(Brix)를 지니도록 농축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제6단계의 발효추출물을 스프레이 드라이어(Spray dryer)를 이용하여 수분율 5~7%를 지니도록 건조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단계는 건조물을 -40℃~-70℃로 유지하여 4~30시간 급속 동결하고, 발효조 내에서 25℃~60℃로 유지하여 해동드립(drip)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단계는 생천마 진액에 발효미생물인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 꽃구름버섯(Stereum hirustum),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누룩곰팡이(Aspergillus oryzae), 말굽버섯(Fomes fomentarius), 동충하초(Coriolus sinensis), 바실러스(Bacillus)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을
Figure pat00001
~
Figure pat00002
의 개체수가 되도록 배양시켜 증류수와 혼합하여 pH 5.5~7을 지니도록 한 다음, 질소원과 탄소원 5~50%를 추가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단계의 질소원은 미강, 보리가루, 밀기울 중에서 1종을 택일하고, 탄소원은 사카로스, 말로즈, 올리고당 중에서 1종을 택일하여 생물반응이 잘 이루어지도록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단계는 혼합물을 생물반응기의 온도 18℃~50℃와, pH 5.5~7을 유지하는 무압의 조건 하에서 2~60일간 생물반응으로 발효하여 액상화된 젖산발효산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단계는 젖산발효산물을 급속멸균장치(Outoclave)를 이용하여 121℃~132℃의 온도로 10~30분간 생물반응시 투입된 발효미생물을 멸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해동드립을 이용한 생천마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생천마를 급속 동결하여 해동드립(drip)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진액에 발효미생물을 통한 생물반응을 거쳐 발효한 발효추출물을 취득함에 따라, 생천마의 유용성분과 에르고티오닌(Ergothioneine=ERG)이 함유된 식품원료를 비롯하여 음용원료, 의약원료, 기능성식품 원료 및 향장원료 등 자유로운 제형 변화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생천마의 유용성분들이 인체 친화적인 물질로 바뀌어 랑게르한스 세포가 거부감을 없애면서 천마의 고분자물질이 나노화되어 인체에 쉽게 흡수되고, 저비용으로 고부가성 물질을 대량으로 양산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생천마를 이용하여 발효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
도 2는 생천마를 이용하여 발효추출물을 제조과정을 나타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생천마를 이용하여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련되며, 즉 생천마를 급속 동결하여 해동 드립 후 생물반응을 통한 발효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추출물을 취득하는 방법에 관한다. 이러한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세척, 건조, 급속 동결, 해동드립, 발효미생물 투입, 생물반응에 의한 액체발효, 멸균, 여과, 농축, 건조단계를 거쳐 발효추출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제1단계는 생천마를 주원료로 하여 세척한 다음 건조한다. 제1단계는 주원료를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로, 생천마를 주원료로 하여 세척 및 건조한다. 이는 생천마를 물에 깨끗이 세척하고, 세척시 잔존하는 수분을 건조하며, 품질 안정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자동화 장치를 도입한다. 여기서, 이러한 제1단계에서 건조과정은 세척된 생천마의 겉의 물기가 마를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의 건조물을 급속 동결한 다음, 발효조 내에서 해동드립하여 진액을 추출한다. 제2단계는 건조단계를 거친 주원료(건조물)를 급속 동결한 다음 해동드립하는 단계로, 특히 주원료를 급속 동결 및 해동드립함에 있어서 생산성 향상 및 품질 안정을 위해 전용의 자동화 설비를 도입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제2단계는 건조물을 -40℃~-70℃로 유지하여 4~30시간 급속 동결하고, 발효조 내에서 25℃~60℃로 유지하여 해동드립(drip)을 진행한다. 이는 건조된 주원료, 즉 생천마를 1차적으로 -40℃~-70℃에서 급냉을 시행하고 4~30시간 급속으로 동결작업한다. 이어서, 2차적으로 동결된 생천마를 25℃~60℃로 유지하는 발효조를 이용하여 해동드립을 진행하여 생천마 내에서 진액을 자연 추출한다.(도 2)
여기서, 해동드립(drip)은 냉동한 식품을 해동하였을 때 분리 유출하는 액즙. 드립은 해동시 자연스럽게 유출하는 유출액 드립과 해동종료시에 압력(1~2kg/cm2)을 걸어 유출하여 나오는 압출액 드립으로 구별되는데, 양자를 합쳐서 총 드립이라고 한다. 드립은 식품을 냉동하였을 때의 빙결정의 생성에 따르는 조직의 파괴나 단백질의 냉동변성 등에 의해서 해동시에 식품 중에 수분이 유지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생긴다. 드립에는 물과 동시에 수용성 단백질이나 엑기스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해동드립양은 동결속도와 해동속도에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의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의 생천마 진액을 배양조 상에서 발효미생물과 증류수와 혼합한 다음, 발효에 필요한 질소원과 탄소원을 추가하여 혼합물을 생성한다. 제3단계는 제2단계의 해동드립으로 추출된 생천마 진액에 발효미생물, 증류수, 발효에 필요한 산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로, 품질 안정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해당 공정을 자동화한다.
이때, 상기 제3단계는 생천마 진액에 발효미생물인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 꽃구름버섯(Stereum hirustum),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누룩곰팡이(Aspergillus oryzae), 말굽버섯(Fomes fomentarius), 동충하초(Coriolus sinensis), 바실러스(Bacillus)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을
Figure pat00003
~
Figure pat00004
의 개체수가 되도록 배양시켜 증류수와 혼합하여 pH 5.5~7을 지니도록 한 다음, 질소원과 탄소원 5~50%를 추가하여 혼합물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3단계의 질소원은 미강, 보리가루, 밀기울 중에서 1종을 택일하고, 탄소원은 사카로스, 말로즈, 올리고당 중에서 1종을 택일하여 생물반응이 잘 이루어지도록 혼합한다.
이는 생천마 진액을 액상화하기 위해 발효미생물 중 유용성이 입증된 버섯균주와 유산균을 이용하여 증류수와 혼합한 다음 질소원과 탄소원을 혼합하여 생물반응이 잘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액상화된 발효산말을 생성하기 위해 생천마 진액에 1차적으로 배양조(급속배양기인 쉐이킹 인큐베이터)상에 상기의 발효미생물을
Figure pat00005
~
Figure pat00006
의 개체수가 되도록 대량으로 배양한 다음 증류수와 서로 혼합하여 pH 5.5~7을 지닌 혼합물을 생성한다. 이어서 발효에 필요한 질소원과 탄소원에서 1종을 택일하여 각각 5~50%를 추가하여 고루 잘 섞어주어 혼합물을 생성한다.
한편, 미생물로 사용되는 담자균류가 생성하는 2차대사산물에는 다른 균류에는 볼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미생물인 Coriolus versicolor, Stereum hirustum, Phellinus linteus, Aspergillus oryzae, Fomes fomentarius, Coriolus sinensis은 많은 대사산물을 가지고 있다. 이는 1차대사산물은 생물의 생존에 필수적인 물질로서 생리적 의의는 밝혀져 있으나 2차 대사산물의 의의는 아직 불명확하다. 외적에 대한 방어물질로서 항생물질로 연구가 되고 있으며, 생리활성에 대한 산물로 항 종양성 다당류, 항바이러스 물질, 항균성 물질, 효소저해제, 핵산관련물질, 아미노산 관련물질, 유기산, 식물 호르몬류, 그 외의 생리활성 물질로 펩타이드나 단백질계의 생리활성 물질들로 곤충, 선충, 점균 등에 작용하는 물질, 식물 생육저해물질, 비타민 B1 파쇄물질, 약리활성 물질 등 아직도 밝혀지지 않는 많은 부분들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유산균은 당류(糖類)를 분해하여 젖산을 만드는 작용(젖산발효)을 하는 세균의 총칭으로, 젖산발효를 일으키는 중요한 세균은 공 모양인 스트렙토코쿠스속(屬)과 막대모양인 락토바실루스속이다. 모두가 그램 양성이고 통성혐기성(通性嫌氣性)이다. 젖산발효에서는 6탄당 분자에서 2분자의 젖산이 생기는데, 이때 거의 부산물을 수반하지 않는 경우와 젖산 외에 알코올ㆍ아세트산ㆍ호박산ㆍ이산화탄소 등의 부산물을 수반하는 경우가 있다. 앞의 것을 정상 젖산발효 또는 호모젖산발효라고 하고, 여기에 관여하는 세균을 정상 젖산균이라 한다. 뒤에 것을 이형(異型)젖산발효 또는 헤테로젖산발효라고 하며, 여기에 관여하는 세균을 이형젖산균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제4단계는 상기 제3단계의 혼합물을 생물반응기(bioreactor) 상에서 생물반응을 거쳐 액상화된 젖산발효산물을 생성한다. 제4단계는 혼합물을 생물반응기 상에서 발효미생물 및 발효에 필요한 산물(질소원, 탄소원)과 생물반응을 거쳐 발효하여 액상화된 젖산발효산물을 생성하는 단계로, 품질 안정을 위해 해당 공정을 자동화한다.
여기서, 말하는 액상화 젖산발효를 위한 생물반응기(bioreactor)는 생물반응의 적합한 온도범위는 10℃ 내지 60℃도정도이며, 살균된 연속교반식 생물반응기를 말한다. 생물반응기의 부피기준은 76%는 무 교반, 무 살균, 또는 호기성으로 설계된 것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무균유지가 가능한 생물반응기는 10%에 불가하다. 무균성 생물반응기는 항생제등의 고부가가치 산물에만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생물반응기(bioreactor)는 반응이 끝난 다음, 급속 멸균 단계가 따르기 때문에 무 교반, 무 살균, 또는 호기성으로 설계된 것들을 사용하여 편리하고 저렴한 생물반응 작업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4단계는 혼합물을 생물반응기의 온도 18℃~50℃와, pH 5.5~7을 유지하는 무압의 조건 하에서 2~60일간 생물반응으로 발효하여 액상화된 젖산발효산물을 생성한다. 이는 혼합물을 무압의 조건 하에서 온도 18℃~50℃, pH 5.5~7이 자동으로 관리되는 생물반응기에 투입하여 2~60일간 발효미생물인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 꽃구름버섯(Stereum hirustum),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누룩곰팡이(Aspergillus oryzae), 말굽버섯(Fomes fomentarius), 동충하초(Coriolus sinensis), 바실러스(Bacillus)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이 원활한 생물반응을 거쳐 젖산발효를 유도하여 유용물질이 생성되도록 하여 액상화된 젖산발효산물을 생성한다. 여기서, 액상화(액체)발효단계는 생물공정 응용분야에 대표적으로 상용되는 작업인 물질재료분야인 생분해 가능한 식품 부가물, 미네랄추출물과 유사한 작업이 진행된다.(도 2)
한편, 본 발명에 사용하고자 하는 담자균류, 유산균은 특히 2차 대사산물에 있어서 화학구조의 다양성과 종의 풍부함으로 인하여 산업적으로 가장 중요한 미생물로 인식되어 있다. 물질대사산물은 1차 대사산물, 2차대사산물로 나뉘며, 1차대사산물이란 동, 식물, 미생물에 보편적으로 들어 있는 가공 아미노산, 당질, 지질, 핵산 등 생체유지에 기본적인 역할을 하는 물질을 말하며, 2차대사산물은 주로 식물, 미생물에서 나타나는 알칼로이드, 테르펜, 플라보노이드, 항생물질 등의 다양한 화합물로 이들은 약용, 향료, 향장원료, 기능성 식품의 원료 등에 유용한 물질로 부각되고 있다. 앞으로도 담자균류, 유산균은 새로운 균주의 분리, 유전자 기능 등을 통하여 생물소재 산업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5단계는 상기 제4단계의 젖산발효산물을 급속멸균장치(Outoclave)를 이용하여 발효미생물을 멸균한다. 제5단계는 액상화된 젖산발효산물을 멸균하는 단계로, 특히 젖산발효산물을 멸균함에 있어 품질 안정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전용의 자동화 설비를 도입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제5단계는 젖산발효산물을 급속멸균장치(Outoclave)를 이용하여 121℃~132℃의 온도로 10~30분간 생물반응시 투입된 발효미생물을 멸균한다. 이는 액상 발효과정을 거친 젖산발효산물을 급속멸균장치(Outoclave)를 이용하여 121℃~132℃의 온도로 10~30분간 생물반응시 투입된 발효미생물인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 꽃구름버섯(Stereum hirustum),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누룩곰팡이(Aspergillus oryzae), 말굽버섯(Fomes fomentarius), 동충하초(Coriolus sinensis), 바실러스(Bacillus)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을 멸균한다.
한편, 통상 급속 멸균이라 하면 온도 121도℃에서 10분~30분간, 132℃에서 10분~30분이 사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무살균, 또는 호기성으로 설계된 생물반응기(bioreactor)를 사용하므로 이보다 처리온도가 121℃~132℃의 온도에서 시간이 긴 10~30분 동안 처리하는 것을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제6단계는 상기 제5단계의 젖산발효산물을 규조토 여과기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가열하여 25~60브릭스(Brix)를 지니도록 농축한다. 제6단계는 액상화된 젖산발효산물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로, 특히 젖산발효산물을 여과 및 농축함에 있어서 생산성 향상을 위해 전용의 자동화 설비를 도입하는 것이 좋다. 이는 젖산발효산물을 1차적으로 규조토 여과기를 이용하여 생물반응이 완료된 생천마에 함유되어있는 고분자물질(전분)의 혼탁을 방지하여 투명한 생천마 진액을 얻기 위해 불순물을 여과한 다음, 2차적으로 증발 농축(evaporation)방법을 이용하여 고형분의 함량 25~60 Brix를 지니도록 농축한다.
즉, 발효가 완료된 액상 젖산발효산물은 많은 부유물질과 불투명한 액체상태의 물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규조토 여과기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거의 여과시켜 고형분이 투명한 수용성 물질의 상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액상 젖산발효산물을 농축하는데, 농축(Concentration)이라 함은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용액의 농도를 높여주는 조작으로 증발 농축(evaporation)방법으로 용액을 비점(끓는점)까지 가열하여, 기화에 의하여 용액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고형분의 함량이 25~60 Brix로 농축하여 발효추출물을 제공한다.(도 2)
본 발명의 제7단계는 상기 제6단계의 발효추출물을 스프레이 드라이어(Spray dryer)를 이용하여 수분율 5~7%를 지니도록 건조한다. 제7단계는 농축된 발효추출물을 건조하는 단계로, 농축된 발효추출물을 건조함에 있어서 생산성 향상을 위해 전용의 자동화 설비를 도입하는 것이 좋다. 이는 농축된 발효추출물을 저장, 포장, 수송 등의 경비를 절감하고 액체부피를 줄여 가용성 성분의 농도를 높여 응용범위를 높이고, 넓혀 용도를 다양화시키고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함수분율이 5~7%가 되도록 스프레이 건조 분말로 제조한다.
즉, 농축된 발효추출물을 스프레이 드라이어 분말로 건조함에 따라 저장, 포장, 수송 등의 경비를 절감하면서 액체부피를 줄여 가용성 성분의 농도를 높여 응용범위를 높이고, 향장원료 ,식품원료 및 의약원료에 활용할 수 있는 등 용도를 다양화시키고, 저장성을 향상하여 최적의 효용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액체발효의 생물반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은 발효함에 따라, 생천마를 이용하여 해동드립하여 제조된 발효추출의 용도에 있어서, 생천마의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진 진액을 맑고 투명한 물질을 얻을 수 있으며, 유효 물질의 분자의 사슬을 나노단위의 적은 단위로 만들고 천마에 미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에르고티오닌(Ergothioneine=ERG) 조성물을 인체에 유용하게 이용되며, 향장원료로 사용할 시 피부모공으로 흡수가 되어 피부노화를 억제하고, 음용시 장내에 흡수되어 뇌혈류에 작용을 빠르게 만들어 유효 성분이 인체에 더욱 효과적인 작용을 제공하고, 이외에도 식품원료, 의약원료 및 기능성식품 원료 등에도 병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생천마에 함유되어 있는 진액을 기계적인 방법을 통하여 파쇄나 착즙 등을 통하지 않고 생천마를 급속동결하여 해동하는 과정에서 드립이 일어날 수 있도록 만들고 드립과정에 흘러나오는 생천마 진액을 얻기 위해 먼저 생천마를 깨끗이 세척하고 세척된 생천마의 겉의 물기가 마를 수 있도록 건조한 다음 급속동결이 되도록 -40℃~-70℃에서 급냉하고 4~30시간 동결작업을 마친 다음 동결된 생천마를 발효조 내에서 25℃~60℃상에서 해동드립(drip)을 유도하고 드립(drip)시 흘러나오는 생천마의 추출물에 미생물을
Figure pat00007
~
Figure pat00008
를 증류수와 혼합한 뒤, pH 5.5~7 발효에 필요한 질소원은 미강, 보리가루, 밀기울 중 1종을 택하고 탄소원으로 사카로스, 말로즈, 올리고당 등에서 1종을 택하여 5~50%가 되게 투입하여 천마에 함유되어있는 고분자물질(전분)의 혼탁을 방지하여 투명한 천마진액을 추출할 수 있고, 천마가공에서 문제가 되는 끈적한 뮤신질을 해결하므로 고부가성이며, 좋은 품질의 발효추출액을 제공하는데 기술의 중요성이 있다.
다시 설명하면, 급속동결된 생천마를 발효조 내에서 25℃~60℃상에서 해동드립(drip) 과정에 발효미생물을 첨가하여 1차적으로 심부배양작업하고, 2차적으로 생물반응기에서 액체반응을 통하여 젖산발효를 유도하여, 생천마에서 흘러나오는 진액의 고분자물질을 나노물질로 변환하는 생물공정과정을 거친다. 1, 2차의 생물공정작업이 끝난 생천마 진액의 고분자물질이 나노화되어 인체에 쉽게 흡수되는 반면 천마의 유용성분들이 인체 친화적인 물질로 바뀌어 랑겔한스가 거부감을 없애는데 장점이 있고, 또한 에르고티오닌(Ergothioneine=ERG)이 다량 생성된 생물반응 후 발효추출물을 향장원료, 식품원료 및 의약원료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생천마를 주원료로 하여 세척한 다음 건조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건조물을 급속 동결한 다음, 발효조 내에서 해동드립하여 진액을 추출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생천마 진액을 배양조 상에서 발효미생물과 증류수와 혼합한 다음, 발효에 필요한 질소원과 탄소원을 추가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의 혼합물을 생물반응기(bioreactor) 상에서 생물반응을 거쳐 액상화된 젖산발효산물을 생성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의 젖산발효산물을 급속멸균장치(Outoclave)를 이용하여 발효미생물을 멸균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의 젖산발효산물을 규조토 여과기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다음, 가열하여 25~60브릭스(Brix)를 지니도록 농축하는 제6단계; 및
    상기 제6단계의 발효추출물을 스프레이 드라이어(Spray dryer)를 이용하여 수분율 5~7%를 지니도록 건조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동드립을 이용한 생천마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건조물을 -40℃~-70℃로 유지하여 4~30시간 급속 동결하고, 발효조 내에서 25℃~60℃로 유지하여 해동드립(drip)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동드립을 이용한 생천마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생천마 진액에 발효미생물인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 꽃구름버섯(Stereum hirustum),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누룩곰팡이(Aspergillus oryzae), 말굽버섯(Fomes fomentarius), 동충하초(Coriolus sinensis), 바실러스(Bacillus)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을
    Figure pat00009
    ~
    Figure pat00010
    의 개체수가 되도록 배양시켜 증류수와 혼합하여 pH 5.5~7을 지니도록 한 다음, 질소원과 탄소원 5~50%를 추가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동드립을 이용한 생천마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질소원은 미강, 보리가루, 밀기울 중에서 1종을 택일하고, 탄소원은 사카로스, 말로즈, 올리고당 중에서 1종을 택일하여 생물반응이 잘 이루어지도록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동드립을 이용한 생천마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혼합물을 생물반응기의 온도 18℃~50℃와, pH 5.5~7을 유지하는 무압의 조건 하에서 2~60일간 생물반응으로 발효하여 액상화된 젖산발효산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동드립을 이용한 생천마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젖산발효산물을 급속멸균장치(Outoclave)를 이용하여 121℃~132℃의 온도로 10~30분간 생물반응시 투입된 발효미생물을 멸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동드립을 이용한 생천마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10102546A 2011-10-07 2011-10-07 해동드립을 이용한 생천마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335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546A KR101335788B1 (ko) 2011-10-07 2011-10-07 해동드립을 이용한 생천마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546A KR101335788B1 (ko) 2011-10-07 2011-10-07 해동드립을 이용한 생천마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959A true KR20130037959A (ko) 2013-04-17
KR101335788B1 KR101335788B1 (ko) 2013-12-02

Family

ID=48438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546A KR101335788B1 (ko) 2011-10-07 2011-10-07 해동드립을 이용한 생천마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7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289A1 (ko) * 2017-10-25 2019-05-02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장건강 및 장개선 효능을 가지는 수수 및 팥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996B1 (ko) * 1999-06-28 2002-05-08 류인덕 미생물 발효를 이용한 뽕잎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0752623B1 (ko) * 2005-12-30 2007-09-11 (주)필리엠에스피 미생물 발효공정을 이용한 천연발모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의해 제조된 천연발모제
KR20100047354A (ko) * 2008-10-29 2010-05-10 송호엽 미생물을 이용한 숙근성 약용근(인삼, 천마, 맥문동, 사삼 등)을 고상직접발효 방법으로 Saponin(사포닌) 다당체 미네랄 비타민류 항산화성 물질등의 회수율을 높이어 추출하는 제조방법
KR101015860B1 (ko) 2010-08-10 2011-02-23 김정임 천마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289A1 (ko) * 2017-10-25 2019-05-02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장건강 및 장개선 효능을 가지는 수수 및 팥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6255A (ko) * 2017-10-25 2019-05-07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장건강 및 장개선 효능을 가지는 수수 및 팥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788B1 (ko)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4513B2 (en) Method for fermentation and cultivation, fermented plant extract, fermented plant extract powder,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extract of fermented plant
KR101054041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발효산물과 발효추출물을 대량가공 하는 제조방법 및 조성물
JP5667358B2 (ja) 柑橘類果皮の麹菌発酵組成物
CN105146614A (zh) 一种功能性钙果酵素、酵素饮料及其生产方法
KR101238968B1 (ko) 에르고티오닌이 함유된 산삼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148513B1 (ko) 천마를 활용한 에르고티오닌 증강조성물 제조방법
KR101799424B1 (ko) 황기 발효산물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10820612B2 (en) Method for producing fermented bamboo extract and immunostimulating agent
CN110495611A (zh) 一种提高海参营养保健功效的工艺
KR20080004515A (ko) 유산균 배양에 의해 얻어지는 혈압 저하제
KR20130037956A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알칼리 액상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335788B1 (ko) 해동드립을 이용한 생천마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045011B1 (ko) 비타민나무를 이용한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335732B1 (ko) 울금을 이용한 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760174B1 (ko) 버섯균주를 이용한 우엉 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CN110791407B (zh) 一种黑变红枣枣醋及其由黑变红枣枣醋制备的醋蛋液
CN106937731A (zh) 蜂王幼虫粉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937255B1 (ko) 흑마늘을 이용한 저분자량의 분획된 생리활성 농축분획액의제조방법
KR20170031569A (ko) 여주와 어성초를 이용한 삼투압 효소 발효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50073438A (ko) 미생물을 이용한 단삼 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RU255612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настоя чайного гриба
TWI458438B (zh) Fermentation and culture methods, plant fermentation extracts, plant fermentation extract powders, and plant fermentation extract complexes
KR20150049442A (ko) 발효홍삼을 이용한 생약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약조성물
KR20160034009A (ko) 천년초를 이용한 액상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CN109329919A (zh) 一种苹果复合酵素饮料产品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