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312A -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312A
KR20130037312A KR1020110101652A KR20110101652A KR20130037312A KR 20130037312 A KR20130037312 A KR 20130037312A KR 1020110101652 A KR1020110101652 A KR 1020110101652A KR 20110101652 A KR20110101652 A KR 20110101652A KR 20130037312 A KR20130037312 A KR 20130037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late
glass fiber
frame
pipe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8660B1 (ko
Inventor
조봉현
Original Assignee
대현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현산업 (주) filed Critical 대현산업 (주)
Priority to KR1020110101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660B1/ko
Publication of KR20130037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PVC 등 열가소성 수지 재질로 된 관부재의 몸체판 외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Figure pat00002
형상의 보강돌기와 몸체판의 일측단에 외면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결합돌기가 돌출된 일측의 반대측 몸체판 타측단에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끝단부는 하부로 굴곡된 굴곡판이 구비되어 몸체판을 나선형으로 감아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서로 결합되고, 굴곡판은 보강돌기와 결합돌기 사이에 결합되는 관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외부의 충격에 대해 견고하며,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결합되고, 굴곡판은 보강돌기와 결합돌기 사이에 자동으로 결합되도록 와인딩장치로 관부재를 자동으로 나선형으로 성형하여 관부재로 일정한 직경의 관형상으로 연속 성형함으로써 상하수도관의 생산성이 뛰어나고, 필요한 길이로 상하수도관을 연속적으로 성형 생산할 수 있으며, 와인딩장치에서 나선형으로 성형된 관부재의 외경에 수지가 배합된 규사 등과 같은 규사를 충전하고, 규사가 충진된 관부재의 외경에 부직포 등 섬유재를 감아 섬유층을 형성하고, 섬유층의 외면에 수지가 도포된 유리섬유사를 감아 유리섬유사층이 형성된 상하수관을 제조함으로써 작업성이 뛰어나고,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제성이 뛰어난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WATER PIPE}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PVC 등 열가소성 수지 재질로 된 관부재의 몸체판 외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Figure pat00001
형상의 보강돌기와 몸체판의 일측단에 외면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결합돌기가 돌출된 일측의 반대측 몸체판 타측단에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끝단부는 하부로 굴곡된 굴곡판이 구비되어 몸체판을 나선형으로 감아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서로 결합되고, 굴곡판은 보강돌기와 결합돌기 사이에 결합되는 관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외부의 충격에 대해 견고하며,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결합되고, 굴곡판은 보강돌기와 결합돌기 사이에 자동으로 결합되도록 와인딩장치로 관부재를 자동으로 나선형으로 성형하여 관부재로 일정한 직경의 관형상으로 연속 성형함으로써 상하수도관의 생산성이 뛰어나고, 필요한 길이로 상하수도관을 연속적으로 성형 생산할 수 있으며, 와인딩장치에서 나선형으로 성형된 관부재의 외경에 수지가 배합된 규사 등과 같은 규사를 충전하고, 규사가 충진된 관부재의 외경에 부직포 등 섬유재를 감아 섬유층을 형성하고, 섬유층의 외면에 수지가 도포된 유리섬유사를 감아 유리섬유사층이 형성된 상하수관을 제조함으로써 작업성이 뛰어나고,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제성이 뛰어난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상하수도관은 PVC관, PE관, 주철관, 레진콘크리트관, 유리섬유관 등 여러종류가 있다.
상기 상하수도관으로 사용되는 PVC관의 경우 직경이 보통 30mm 미만의 관이 주로 사용되며, 직경이 300mm 이상의 관을 상하수도관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관의 두께가 두꺼워져야 하고, PVC강도와 매설에 따른 하중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중인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상하수도관은 합성수지 재질로 공장에서 일정한 길이(약 6m)로 생산하여 상하수도관이 설치되는 현장에서 연결구를 이용하여 필요한 길이로 연결하여 조립식으로 매설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상하수도관은 생산공장과 매설현장의 거리가 먼 경우 운송비가 상승하게 되어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하수도관을 생산한 후 장시간 보관하는 과정에서 햇빛에 노출되면 표면의 물성이 변화되어 표면이 부식되고, 심하면 상하수도관이 파손되어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상하수도관은 GRP(Glass Reinforced Polyester) 등 유리섬유관 재질로 상하수도관을 성형함으로써 내부로 흐르는 상하수의 유속에 의해 내주면이 마모되어 유리섬유가 물에 섞여 상수를 음용할 경우 유리섬유가 인체에 유입되어 발암 등 국민 건강을 해치게 되는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배경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PVC 등 열가소성 수지 재질로 된 관부재의 몸체판 외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보강돌기와 몸체판의 일측단에 외면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결합돌기가 돌출된 일측의 반대측 몸체판타측단에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끝단부는 하부로 굴곡된 굴곡판이 구비되어 몸체판을 나선형으로 감아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서로 결합되고, 굴곡판은 보강돌기와 결합돌기 사이에 결합되는 관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외부의 충격에 대해 견고한 상하수도관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몸체판 외면에 다수의 보강돌기가 돌출되고, 양측단에 각각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구비되고, 결합홈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단부가 외면으로 굴곡되는 굴곡판이 일체가 되도록 관부재를 압출하여 관부재가 견고하고, 관부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하수도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결합되고, 굴곡판은 보강돌기와 결합돌기 사이에 자동으로 결합되도록 와인딩장치로 관부재를 자동으로 나선형으로 성형함으로써 관부재로 일정한 직경의 관형상으로 연속 성형함으로써 상하수도관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필요한 길이로 상하수도관을 연속적으로 성형 생산할 수 있는 상하수도관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와인딩장치에서 관형상으로 나선형으로 성형된 관부재의 외경에 모래 또는 규사 등과 같은 규사층를 충전하고, 규사가 충진된 관부재의 외경에 부직포 등을 감아 섬유층을 형성하고, 섬유층의 외면에 수지가 도포된 유리섬유사를 감아 유리섬유사층을 형성하며, 유리섬유사층의 외면에 PET필름을 감아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나며, 나선형으로 성형된 관부재의 수평이 유지되는 상하수관을 제조함으로써 작업성이 뛰어나고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와인딩장치에서 관형상으로 나선형으로 성형된 관부재의 외경에 모래 또는 규사 등을 충전하여 규사층을 형성하고, 규사가 충진된 관부재의 외경에 부직포 등의 섬유재를 감아 섬유층을 형성하며, 섬유층의 외면에 유리섬유사를 감아 유리섬유사층이 형성된 상하수관을 자동으로 하나의 연속된 공정으로 생산함으로써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고, 생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어 경제성이 뛰어난 상하수도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와인딩장치에 관부재가 성형되어 인출시 내부에 다수의 관부재 지지바와 구비되어 관형상으로 성형된 상하수도관의 내주면을 지지함으로써 규사공급장치 및 섬유재 공급장치와 유리섬유사 공급장치로 상하수관이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는 상하수도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와인딩장치 고정프레임과 인출프레임 사이에 성형하고자 하는 상하수도관의 직경에 맞도록 다수의 지지로울러와 성형로울러, 이송로울러 및 가이드로울러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직경의 상하수도관을 나선형으로 성형할 수 있는 상하수도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판(110)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판(11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보강돌기(12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판(110)의 일측단에 하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30)가 구비되고, 결합돌기(130)가 돌출된 일측의 반대측 몸체판(110) 타측단에 결합돌기(130)와 대응되는 결합홈(140)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14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끝단부는 하부로 굴곡되어 보강돌기(120)와 결합돌기(130) 사이에 결합되는 굴곡판(150)이 구비되어 나선형으로 감아 관을 형성하는 관부재(100)와;
상기 관부재(100)의 외경으로 다수 보강돌기(120) 사이와 굴곡판(150) 내부에 충진되는 규사층(160)과;
상기 관부재(100)와 규사층(160)의 외경에 부직포의 섬유재가 나선형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섬유층(170)과;
상기 섬유층(170)의 외면에 실형태로 다수 개가 나선형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유리섬유사층(180)과;
상기 유리섬유사층(180)의 외면 나선형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PET필름층(1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섬유층(170)의 부직포이고, 상기 유리섬유사층(180)은 로빙사나 유리섬유사 중 어느 하나이면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판(11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보강돌기(12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판(110)의 일측단에 하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30)와 일측에 돌출된 결합돌기(130)의 반대측 몸체판(110)의 타측단에 결합돌기(130)와 결합되는 결합홈(140)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14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끝단부는 하부로 굴곡되어 보강돌기(120)와 결합돌기(130) 사이에 결합되는 굴곡판(150)이 구비된 관부재(100)를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압출기(200)와;
상기 압출기(200)에서 압출된 관부재(100)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300)와;
상기 냉각장치(300)에서 냉각된 관부재(100)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400)와;
상기 이송장치(400)에 의해 이송되는 관부재(100)의 양측단에 구비된 결합돌기(130)와 결합홈(140)이 결합되도록 몸체판(110)은 나선형으로 성형시켜 관형상으로 성형시키는 와인딩장치(500)와;
상기 와인딩장치(500)에서 나선형으로 성형되어 관형상으로 성형된 관부재(100)의 외경에 규사를 충진하는 규사 공급장치(600)와;
상기 규사 공급장치(600)에서 외경에 규사가 충진된 관부재(100)의 외면에 섬유재(710)가 나선형으로 감기도록 섬유재(710)를 공급하는 섬유재 공급장치(700)와;
상기 섬유재 공급장치(700)에서 외면에 나선형으로 감겨진 섬유재(710)의 외면에 유리섬유사(810)가 나선형으로 감기도록 유리섬유사(810)를 공급하는 유리섬유사 공급장치(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와인딩장치(500)는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510)과;
상기 고정프레임(510)에 전면으로 일정한 간격 이격되고, 중앙이 관부재(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관통된 인출공((521)이 구비된 인출프레임(520)과;
상기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외측 방사상의 위치에 한쌍으로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 사이에서 양측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에 각각 결합되어 관부재(100)의 몸체판(110) 외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로울러(530)와;
상기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한 쌍의 지지로울러(530) 내측 중앙 방사상의 위치에 일측단이 고정프레임(5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관부재(100)의 몸체판(110) 내면을 지지하여 몸체판(110)을 원통형으로 성형시키는 다수의 성형로울러(540)와;
상기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의 중심 하단부에 결합된 지지로울러 사이에 일측단이 고정프레임(510)에 회동가능하도록 일측단이 결합되어 관부재(100)의 몸체판(110)을 이송시키는 이송로울러(550)와;
상기 한쌍씩 구비된 다수의 지지로울러(530) 사이에 양측단이 고정프레임(610)과 인출프레임(520)에 각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 사이에 인출공(521) 방향으로 고정프레임(510)에서 인출프레임(520) 방향으로 나선상의 공간 위치에서 회동되면서 관부재(100)의 몸체판(110)이 나선형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로울러(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로울러(560)는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 사이에 양측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561)과;
상기 회동축(561)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회동로울러(562)와;
상기 회동로울러(562)의 외주면에 관부재(100)의 몸체판(110)에 돌출된 보강돌기(120)와 보강돌기(120) 사이 간격만큼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5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와인딩장치(500)는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방사상의 위치에 일측단은 고정프레임(510)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을 통과하여 전면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관형상으로 성형되어 인출공(521)으로 인출되는 관부재(100)의 몸체판(110) 내주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관부재 지지바(5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인딩장치(500)의 이송로울러(550)와 가이드 로울러(560)는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동되도록 하나의 회전모터(560)에 연결되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사 공급장치(800)는 다수의 유리섬유사 권취롤(820)과;
상기 다수의 유리섬유사 권취롤(820)에서 풀려나오는 유리섬유사(810)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 홀더(830)와;
상기 가이드 홀더(830)를 통해 나오는 유리섬유사(810)가 통과하며 유리섬유사(810)의 표면에 수지가 도포되도록 하는 수지통(840)과;
상기 수지통(840)에서 나오는 유리섬유사(810)를 일렬로 정렬하여 관부재(100)의 섬유재(710)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감기도록 하는 정렬핀(8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판(11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보강돌기(12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판(110)의 일측단에 하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30)와 일측에 돌출된 결합돌기의 반대방향 몸체판(110) 타측단에 결합돌기(130)와 결합되는 결합홈(140)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14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끝단부는 하부로 성형되어 보강돌기(120)와 결합돌기(130) 사이에 결합되는 굴곡판(150)이 구비된 관부재(100)를 연속적으로 압출기(200)로 압출하는 단계;
상기 압출기(200)에서 압출된 관부재(100)를 냉각장치(300)로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냉각장치(300)에서 냉각된 관부재(100)를 이송장치(400)로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이송장치(400)에 의해 이송되는 관부재(100)를 와인딩장치(500)로 몸체판(110) 양측단에 각각 구비된 결합돌기(130)와 결합홈(140)이 결합되도록 몸체판(110)을 나선형으로 성형시켜 관 형상으로 성형시키는 단계;
상기 와인딩장치(500)에서 나선형으로 성형되어 관 형상으로 성형된 관부재(100)의 외경에 규사 공급장치(600)로 규사를 충진하여 규사층(16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규사 공급장치(600)에서 외경에 규사가 충진된 관부재(100)의 외면에 섬유재 공급장치(700)로 섬유재(710)를 나선형으로 감아 섬유층(17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섬유재 공급장치(700)에서 외면에 나선형으로 감겨진 섬유재(710)의 외면에 유리섬유사 공급장치(800)로 유리섬유사(810)를 나선형으로 감아 유리섬유사층(18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리섬유사 공급장치(800)에서 나선형으로 감겨진 유리섬유사층(180)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감아 PET필름층(19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기 이송장치(400)에 의해 이송되는 관부재(100)를 와인딩장치(500)로 몸체판(110) 양측단에 각각 구비된 결합돌기(130)와 결합홈(140)이 결합되도록 몸체판(110)을 나선형으로 성형시켜 관 형상으로 성형시키는 단계는 이송장치(400)에 의해 관부재(100)가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의 사이 내측 하부로 삽입되는 단계;
상기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의 사이 내측 하부로 삽입되는 관부재(100)는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의 사이 하부에 구비된 한쌍의 지지로울러(530)와 이송로울러(550) 사이로 삽입되어 이송로울러(550)에 의해 이송되는 단계;
상기 이송로울러(550)에 의해 이송되는 관부재(100)는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좌측 방사상의 위치에 한쌍으로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에 양측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관부재(100)의 몸체판(110) 외면을 지지하는 한쌍을 이루는 다수의 지지로울러(530)와 상기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한쌍의 지지로울러(530) 내측 중앙 방사상의 위치에 일측단이 고정프레임(5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관부재(100)의 몸체판(110) 내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성형로울러(540) 사이로 이송되며 원통형으로 성형되는 단계;
상기 원통형으로 관부재(100)가 성형되면서 몸체판(110)에 구비된 다수의 보강돌기(120)는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한쌍 지지로울러(530) 사이에 양측단이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 사이에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고정프레임(510)에서 인출프레임(520) 방향으로 나선상의 공간 위치에서 회동되는 가이드로울러(560)의 가이드 돌기(563) 사이로 삽입되면서 관부재(100)의 몸체판(110)이 나선형으로 이송되면서 성형되는 단계;
상기 관부재(100)가 나선형으로 성형되면서 몸체판(100)의 일측에 구비된 결합돌기(130)가 나선형으로 성형된 타측의 결합홈(140)에 결합되는 단계;
상기 나선형으로 성형되면서 결합돌기(130)와 결합홈(140)이 결합되어 관형상으로 성형된 관부재(100)가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0)을 통해 인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관부재의 몸체판 외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보강돌기와 몸체판의 일측단에 외면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결합돌기가 돌출된 일측의 반대측 몸체판타측단에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끝단부는 하부로 굴곡된 굴곡판이 구비되어 몸체판을 나선형으로 감아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서로 결합되고, 굴곡판은 보강돌기와 결합돌기 사이에 결합되는 관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누수를 방지하며 외부의 충격에 대해 견고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몸체판 외면에 다수의 보강돌기가 돌출되고, 양측단에 각각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구비되고, 결합홈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끝단부가 외면으로 굴곡되는 굴곡판이 일체가 되도록 관부재를 압출하여 관부재가 견고하고, 관부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결합되고, 굴곡판은 보강돌기와 결합돌기 사이에 자동으로 결합되도록 와인딩장치로 관부재를 자동으로 나선형으로 성형함으로써 관부재로 일정한 직경의 관형상으로 연속 성형함으로써 상하수도관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필요한 길이로 상하수도관을 연속적으로 성형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와인딩장치에서 관형상으로 나선형으로 성형된 관부재의 외경에 모래 또는 규사 등을 충전하여 규사층을 형성하고, 규사가 충진된 관부재의 외경에 부직포 등 섬유재를 감아 섬유층을 형성하며, 섬유층의 외면에 수지가 도포된 유리섬유사를 감아 유리섬유사층을 형성하고, 유리섬유사층의 외면에 PET필름을 감아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나며, 나선형으로 성형된 관부재의 수평이 유지되는 상하수도관을 제조함으로써 작업성이 뛰어나고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와인딩장치에서 관형상으로 나선형으로 성형된 관부재의 외경에 모래 또는 규사 등을 충전하여 규사층을 형성하고, 규사가 충진된 관부재의 외경에 부직포 등 섬유재를 감아 섬유층을 형성하고, 섬유층의 외면에 수지가 도포된 유리섬유사를 감아 유리섬유사층을 형성하며, 유리섬유사층의 외면에 PET필름이 감겨진 상하수도관을 자동으로 하나의 연속된 공정으로 생산함으로써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고, 생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어 경제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와인딩장치에 관부재가 성형되어 인출시 내부에 다수의 관부재 지지바와 구비되어 관형상으로 성형된 상하수도관의 내주면을 지지함으로써 공급장치 및 섬유재 공급장치와 유리섬유사 공급장치로 상하수관이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이송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와인딩장치 고정프레임과 인출프레임 사이에 성형하고자 하는 상하수도관의 직경에 맞도록 다수의 지지로울러와 성형로울러, 이송로울러 및 가이드로울러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직경의 상하수도관을 나선형으로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관의 하부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관의 관부재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관의 관부재가 결합된 상태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관의 측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관의 제조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관 제조장치 중 와인딩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관 제조장치 중 와인딩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관 제조장치 중 와인딩장치의 전면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관 제조방법 중 압출기에서 관부재가 압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관 제조방법 중 관부재가 와인딩장치로 삽입되는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관 제조방법 중 관부재가 와인딩장치로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관 제조장치 중 와인딩장치의 회전모터와 체인 연결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관 제조방법 중 와인딩장치에 의해 관부재가 나선형을 성형성형되어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관 제조방법 중 와인딩장치에 의해 나선형을 성형성형되어 인출되는 관부재를 나타낸 예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관 제조방법 중 관부재의 외주면에 규사층과 섬유층, 섬유층이 형성되는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관 제조장치 중 공급장치와 섬유재 공급장치는 나타낸 예시도.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관 제조장치 중 유리섬유사 공급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1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와인딩장치에 관부재 지지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와인딩장치에 관부재 지지바가 결합된 상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2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다양한 직경 크기로 관부재를 나선형으로 성형할 수 있는 와인딩장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71은 체인 스플라켓이며, 572는 체인이다.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의 관부재(100)는 도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판(110)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판(11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보강돌기(12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판(110)의 일측단에 하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30)가 구비되고, 결합돌기(130)가 돌출된 일측의 반대측 몸체판(110) 타측단에 결합돌기(130)와 대응되는 결합홈(140)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14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끝단부는 하부로 굴곡되어 보강돌기(120)와 결합돌기(130) 사이에 결합되는 굴곡판(15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130)의 끝단부에는 원형으로 좌우가 돌출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합홈(140)에도 상기 결합돌기(130)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쉽게 결합돌기(130)가 결합홈(14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관부재(100)는 나선형으로 성형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부재(100)의 양측단에 구비된 결합돌기(130)와 결합홈(140)이 결합되도록 몸체판(110)은 나선형으로 성형시켜 와인딩장치(500)로 성형하면 원통형의 상하수도관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관부재(100)는 발암 등 유해성이 있는 유리섬유(GRP)이 아닌 PVC 재질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관부재를 나선형으로 성형하는 단계는 후술되는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관부재(100)의 외경, 즉 다수 보강돌기(120) 사이와 굴곡판(150) 내부에는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 또는 규사 등이 충진되어 규사층(16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규사층(160)을 형성하는 규사에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하여 관부재(100)의 보강돌기(120) 사이에 도포된 후 보강돌기(120) 사이에서 분리되지 않고 접착될 수 있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부재(100)와 규사층(160)의 외경에 섬유재가 나선형으로 감겨져 섬유층(170)이 형성되고, 상기 섬유층(170)의 외면에는 실형상으로 다수 개가 나선형으로 감겨져 유리섬유사층(18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섬유층(170)의 부직포 등과 같은 섬유재는 표면에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도포된 부직포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유리섬유사층(180)은 로빙사나 유리섬유사 중 어느 하나로 실시하며, 유리섬유사에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도포하여 섬유층(170)의 외면에 유리섬유사층(180)이 형성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리섬유사층(180)의 외면에는 나선형으로 감겨겨지는 PET필름층(190)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 제조장치는 도 5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판(11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보강돌기(12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판(110)의 일측단에 하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30)와 일측에 돌출된 결합돌기(130)의 반대측 몸체판(110)의 타측단에 결합돌기(130)와 결합되는 결합홈(140)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14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끝단부는 하부로 굴곡되어 보강돌기(120)와 결합돌기(130) 사이에 결합되는 굴곡판(150)이 구비된 관부재(100)를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압출기(2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압출기(200)에서 압출된 관부재(100)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300)와 상기 냉각장치(300)에서 냉각된 관부재(100)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4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400)에 의해 이송되는 관부재(100)의 양측단에 구비된 결합돌기(130)와 결합홈(140)이 결합되도록 몸체판(110)은 나선형으로 성형시켜 관형상으로 성형시키는 와인딩장치(50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510)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프레임(510)에 전면으로 일정한 간격 이격되고, 중앙이 관부재(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관통된 인출공((521)이 구비된 인출프레임(5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외측 방사상의 위치에 한쌍으로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 사이에서 양측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에 각각 결합되어 관부재(100)의 몸체판(110) 외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로울러(530)가 구비되고, 상기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한 쌍의 지지로울러(530) 내측 중앙 방사상의 위치에 일측단이 고정프레임(5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관부재(100)의 몸체판(110) 내면을 지지하여 몸체판(110)을 원통형으로 성형시키는 다수의 성형로울러(5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의 중심 하단부에 결합된 지지로울러 사이에 일측단이 고정프레임(510)에 회동가능하도록 일측단이 결합되어 관부재(100)의 몸체판(110)을 이송시키는 이송로울러(550)와; 상기 한쌍씩 구비된 다수의 지지로울러(530) 사이에 양측단이 고정프레임(610)과 인출프레임(520)에 각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 사이에 인출공(521) 방향으로 고정프레임(510)에서 인출프레임(520) 방향으로 나선상의 공간 위치에서 회동되면서 관부재(100)의 몸체판(110)이 나선형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로울러(5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로울러(560)는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 사이에 양측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561)이 구비되고, 상기 회동축(561)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회동로울러(562)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로울러(562)의 외주면에 관부재(100)의 몸체판(110)에 돌출된 보강돌기(120)와 보강돌기(120) 사이 간격만큼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56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와인딩장치(500)에서 나선형으로 성형되어 관형상으로 성형된 관부재(100)의 외경에 규사를 충진하는 규사 공급장치(600)가 구비되고, 상기 규사 공급장치(600)에서 외경에 규사가 충진된 관부재(100)의 외면에 부직포 등의 섬유재(710)가 나선형으로 감기도록 섬유재(710)를 공급하는 섬유재 공급장치(700)가 구비된다.
이때 섬유재 공급장치(7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재(710)가 권취된 섬유재 권취롤(720)이 구비되고, 상기 섬유재 권취롤(720)에 귀치된 섬유재(710)를 관부재(100)의 외경에 감기도록 이송시키는 섬유재 이송로울러(73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섬유재 공급장치(700)에서 외면에 나선형으로 감겨진 섬유재(710)의 외면에 유리섬유사(810)가 나선형으로 감기도록 유리섬유사(810)를 공급하는 유리섬유사 공급장치(8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섬유사(810)가 권취된 다수의 유리섬유사 권취롤(820)이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유리섬유사 권취롤(820)에서 풀려나오는 유리섬유사(810)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 홀더(830)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홀더(830)를 통해 나오는 유리섬유사(810)가 통과하며 유리섬유사(810)의 표면에 수지가 도포되도록 하는 수지통(840)과 상기 수지통(840)에서 나오는 유리섬유사(810)를 일렬로 정렬하여 관부재(100)의 섬유재(710)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감기도록 하는 정렬핀(850)이 구비된다.
한편 와인딩장치(500)는 도 18과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방사상의 위치에 일측단은 고정프레임(510)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을 통과하여 전면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관형상으로 성형되어 인출공(521)으로 인출되는 관부재(100)의 몸체판(110) 내주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관부재 지지바(58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관부재 지지바(580)는 은 와인딩장치(500)에 관부재(100)가 성형되어 인출공(521) 인출시 관형상으로 성형된 상하수도관의 관부재(100) 내주면을 지지함으로써 규사 공급장치(600) 및 섬유재 공급장치(700)와 유리섬유사 공급장치(800)로 상하수관이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와인딩장치(500)의 이송로울러(550)와 가이드 로울러(56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동되도록 고정프레임 후면으로 노출되는 체인 스플라켓(572)을 설치하고, 하나의 회전모터(560)에 체인(572)으로 연결하여 연동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기(200)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판(11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보강돌기(12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판(110)의 일측단에 하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30)와 일측에 돌출된 결합돌기의 반대방향 몸체판(110) 타측단에 결합돌기(130)와 결합되는 결합홈(140)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14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끝단부는 하부로 성형되어 보강돌기(120)와 결합돌기(130) 사이에 결합되는 굴곡판(150)이 구비된 관부재(100)를 연속적으로 압출한다.
상기 압출기(200)에서 압출된 관부재(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장치(300)를 통과시키면서 냉각시킨다.
상기 냉각장치(300)에서 냉각된 관부재(100)는 도 10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장치(400)로 이송시키고, 상기 이송장치(400)에 의해 이송되는 관부재(100)는 와인딩장치(500)로 몸체판(110) 양측단에 각각 구비된 결합돌기(130)와 결합홈(140)이 결합되도록 몸체판(110)을 나선형으로 성형시켜 관 형상으로 성형시킨다.
이때 상기 이송장치(400)에 의해 이송되는 관부재(100)를 와인딩장치(500)로 몸체판(110) 양측단에 각각 구비된 결합돌기(130)와 결합홈(140)이 결합되도록 몸체판(110)을 나선형으로 성형시켜 관 형상으로 성형시키는 단계는 이송장치(400)에 의해 관부재(100)가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의 사이 내측 하부로 삽입되고, 상기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의 사이 내측 하부로 삽입되는 관부재(100)는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의 사이 하부에 구비된 한쌍의 지지로울러(530)와 이송로울러(550) 사이로 삽입되어 이송로울러(550)에 의해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로울러(550)에 의해 이송되는 관부재(100)는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좌측 방사상의 위치에 한쌍으로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에 양측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관부재(100)의 몸체판(110) 외면을 지지하는 한쌍을 이루는 다수의 지지로울러(530)와 상기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한쌍의 지지로울러(530) 내측 중앙 방사상의 위치에 일측단이 고정프레임(5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관부재(100)의 몸체판(110) 내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성형로울러(540) 사이로 이송되며 원통형으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 원통형으로 관부재(100)가 성형되면서 몸체판(110)에 구비된 다수의 보강돌기(120)는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한쌍 지지로울러(530) 사이에 양측단이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 사이에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고정프레임(510)에서 인출프레임(520) 방향으로 나선상의 공간 위치에서 회동되는 가이드로울러(560)의 가이드 돌기(563) 사이로 삽입되면서 관부재(100)의 몸체판(110)이 나선형으로 이송되면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관부재(100)가 나선형으로 성형되면서 몸체판(100)의 일측에 구비된 결합돌기(130)가 나선형으로 성형된 타측의 결합홈(140)에 결합되고, 상기 나선형으로 성형되면서 결합돌기(130)와 결합홈(140)이 결합되어 관형상으로 성형된 관부재(100)가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0)을 통해 인출된다.
또한 상기 와인딩장치(500)에서 나선형으로 성형되어 관 형상으로 성형된 관부재(100)의 외경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사 공급장치(600)로 모래 또는 규사 등과 같은 규사를 충진하여 규사층(160)을 형성하고, 상기 규사 공급장치(600)에서 외경에 규사가 충진된 관부재(100)의 외면에 섬유재 공급장치(700)로 섬유재(710)를 나선형으로 감아 섬유층(17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섬유재 공급장치(700)에서 외면에 나선형으로 감겨진 섬유재(710)의 외면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섬유사 공급장치(800)로 유리섬유사(810)를 나선형으로 감아 유리섬유사층(18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유리섬유사 공급장치(800)는 다수의 유리섬유사 권취롤(820)에 권취된 유리섬유사(810)가 풀리면서 유리섬유사(810)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 홀더(830)를 통과하고, 가이드 홀더(830)를 통과한 유리섬유사(810)는 수지통(840)을 통과하면서 표면에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침투된 상태에서 다수의 정렬핀(850) 사이를 통과하면서 정렬되어 관부재(100)의 섬유재(710)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감기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리섬유사층(180)의 외면에는 PET필름 공급장치(900)에서 PET필름이 공급되어 나선형으로 감겨 PET필름층(190)이 형성됨으로써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나는 상하수도관이 완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와인딩장치(50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 사이에 성형하고자 하는 상하수도관의 직경에 맞도록 다수의 지지로울러(530)와 성형로울러(540), 이송로울러(550) 및 가이드로울러(560)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직경의 상하수도관을 나선형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실시할 수 있다.
100 : 관 부재
110 : 몸체판 120 : 보강돌기
130 : 결합돌기 140 : 결합홈
150 : 굴곡판 160 : 규사층
170 : 섬유층 180 : 유리섬유사층
190 : PET필름층
200 : 압출기
300 : 냉각장치
400 : 이송장치
500 : 와인딩장치
510 : 고정프레임 520 : 인출프레임
530 : 지지로울러 540 : 성형로울러
550 : 이송로울러 560 : 가이드로울러
561 : 회동축 562 : 회동로울러
563 : 가이드돌기 570 : 회전모터
600 : 공급장치
700 : 섬유재 공급장치
710 : 섬유재 720 : 섬유재 권취롤
730 : 섬유재 이송로울러
800 : 유리섬유사 공급장치
810 : 유리섬유사 820 : 유리섬유사 귄취롤
830 : 가이드 홀더 840 : 수지통
850 : 정렬핀
900 : PET필름 공급장치

Claims (11)

  1.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판(110)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판(11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보강돌기(12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판(110)의 일측단에 하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30)가 구비되고, 결합돌기(130)가 돌출된 일측의 반대측 몸체판(110) 타측단에 결합돌기(130)와 대응되는 결합홈(140)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14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끝단부는 하부로 굴곡되어 보강돌기(120)와 결합돌기(130) 사이에 결합되는 굴곡판(150)이 구비되어 나선형으로 감아 관을 형성하는 관부재(100)와;
    상기 관부재(100)의 외경으로 다수 보강돌기(120) 사이와 굴곡판(150) 내부에 충진되는 규사층(160)과;
    상기 관부재(100)와 규사층(160)의 외경에 섬유재가 나선형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섬유층(170)과;
    상기 섬유층(170)의 외면에 실형태로 다수 개가 나선형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유리섬유사층(180)과;
    상기 유리섬유사층(170)의 외면 나선형으로 감겨져 형성되는 PET필름층(1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사층(180)은 표면에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도포된 유리섬유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사층(180)은 로빙사나 유리유리섬유사 중 어느 하나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4. 상하수도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판(11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보강돌기(12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판(110)의 일측단에 하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30)와 일측에 돌출된 결합돌기(130)의 반대측 몸체판(110)의 타측단에 결합돌기(130)와 결합되는 결합홈(140)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14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끝단부는 하부로 굴곡되어 보강돌기(120)와 결합돌기(130) 사이에 결합되는 굴곡판(150)이 구비된 관부재(100)를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압출기(200)와;
    상기 압출기(200)에서 압출된 관부재(100)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300)와;
    상기 냉각장치(300)에서 냉각된 관부재(100)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400)와;
    상기 이송장치(400)에 의해 이송되는 관부재(100)의 양측단에 구비된 결합돌기(130)와 결합홈(140)이 결합되도록 몸체판(110)은 나선형으로 성형시켜 관형상으로 성형시키는 와인딩장치(500)와;
    상기 와인딩장치(500)에서 나선형으로 성형되어 관형상으로 성형된 관부재(100)의 외경에 규사를 충진하는 규사 공급장치(600)와;
    상기 규사 공급장치(600)에서 외경에 규사가 충진된 관부재(100)의 외면에 섬유재(710)가 나선형으로 감기도록 섬유재(710)를 공급하는 섬유재 공급장치(700)와;
    상기 섬유재 공급장치(700)에서 외면에 나선형으로 감겨진 섬유재(710)의 외면에 유리섬유사(810)가 나선형으로 감기도록 유리섬유사(810)를 공급하는 유리섬유사 공급장치(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제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장치(500)는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510)과;
    상기 고정프레임(510)에 전면으로 일정한 간격 이격되고, 중앙이 관부재(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관통된 인출공((521)이 구비된 인출프레임(520)과;
    상기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외측 방사상의 위치에 한쌍으로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 사이에서 양측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에 각각 결합되어 관부재(100)의 몸체판(110) 외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로울러(530)와;
    상기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한 쌍의 지지로울러(530) 내측 중앙 방사상의 위치에 일측단이 고정프레임(5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관부재(100)의 몸체판(110) 내면을 지지하여 몸체판(110)을 원통형으로 성형시키는 다수의 성형로울러(540)와;
    상기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의 중심 하단부에 결합된 지지로울러 사이에 일측단이 고정프레임(510)에 회동가능하도록 일측단이 결합되어 관부재(100)의 몸체판(110)을 이송시키는 이송로울러(550)와;
    상기 한쌍씩 구비된 다수의 지지로울러(530) 사이에 양측단이 고정프레임(610)과 인출프레임(520)에 각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 사이에 인출공(521) 방향으로 고정프레임(510)에서 인출프레임(520) 방향으로 나선상의 공간 위치에서 회동되면서 관부재(100)의 몸체판(110)이 나선형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로울러(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울러(560)는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 사이에 양측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561)과;
    상기 회동축(561)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회동로울러(562)와;
    상기 회동로울러(562)의 외주면에 관부재(100)의 몸체판(110)에 돌출된 보강돌기(120)와 보강돌기(120) 사이 간격만큼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5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제조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장치(500)는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방사상의 위치에 일측단은 고정프레임(510)에 결합되고, 타측단은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을 통과하여 전면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관형상으로 성형되어 인출공(521)으로 인출되는 관부재(100)의 몸체판(110) 내주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관부재 지지바(5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제조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장치(500)의 이송로울러(550)와 가이드 로울러(560)는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동되도록 하나의 회전모터(560)에 연결되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제조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사 공급장치(800)는 다수의 유리섬유사 권취롤(820)과;
    상기 다수의 유리섬유사 권취롤(820)에서 풀려나오는 유리섬유사(810)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다수의 가이드 홀더(830)와;
    상기 가이드 홀더(830)를 통해 나오는 유리섬유사(810)가 통과하며 유리섬유사(810)의 표면에 수지가 도포되도록 하는 수지통(840)과;
    상기 수지통(840)에서 나오는 유리섬유사(810)를 일렬로 정렬하여 관부재(100)의 섬유재(710)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감기도록 하는 정렬핀(8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제조장치.
  10. 상하수도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판(110)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보강돌기(12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판(110)의 일측단에 하부로 돌출되는 결합돌기(130)와 일측에 돌출된 결합돌기의 반대방향 몸체판(110) 타측단에 결합돌기(130)와 결합되는 결합홈(140)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14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끝단부는 하부로 성형되어 보강돌기(120)와 결합돌기(130) 사이에 결합되는 굴곡판(150)이 구비된 관부재(100)를 연속적으로 압출기(200)로 압출하는 단계;
    상기 압출기(200)에서 압출된 관부재(100)를 냉각장치(300)로 냉각시키는 단계;
    상기 냉각장치(300)에서 냉각된 관부재(100)를 이송장치(400)로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이송장치(400)에 의해 이송되는 관부재(100)를 와인딩장치(500)로 몸체판(110) 양측단에 각각 구비된 결합돌기(130)와 결합홈(140)이 결합되도록 몸체판(110)을 나선형으로 성형시켜 관 형상으로 성형시키는 단계;
    상기 와인딩장치(500)에서 나선형으로 성형되어 관 형상으로 성형된 관부재(100)의 외경에 규사 공급장치(600)로 규사를 충진하여 규사층(16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규사 공급장치(600)에서 외경에 규사가 충진된 관부재(100)의 외면에 섬유재 공급장치(700)로 섬유재(710)를 나선형으로 감아 섬유층(17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섬유재 공급장치(700)에서 외면에 나선형으로 감겨진 섬유재(710)의 외면에 유리섬유사 공급장치(800)로 유리섬유사(810)를 나선형으로 감아 유리섬유사층(18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리섬유사 공급장치(800)에서 나선형으로 감겨진 유리섬유사층(180)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감아 PET필름층(19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이송장치(400)에 의해 이송되는 관부재(100)를 와인딩장치(500)로 몸체판(110) 양측단에 각각 구비된 결합돌기(130)와 결합홈(140)이 결합되도록 몸체판(110)을 나선형으로 성형시켜 관 형상으로 성형시키는 단계는 이송장치(400)에 의해 관부재(100)가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의 사이 내측 하부로 삽입되는 단계;
    상기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의 사이 내측 하부로 삽입되는 관부재(100)는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의 사이 하부에 구비된 한쌍의 지지로울러(530)와 이송로울러(550) 사이로 삽입되어 이송로울러(550)에 의해 이송되는 단계;
    상기 이송로울러(550)에 의해 이송되는 관부재(100)는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좌측 방사상의 위치에 한쌍으로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에 양측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관부재(100)의 몸체판(110) 외면을 지지하는 한쌍을 이루는 다수의 지지로울러(530)와 상기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한쌍의 지지로울러(530) 내측 중앙 방사상의 위치에 일측단이 고정프레임(5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관부재(100)의 몸체판(110) 내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성형로울러(540) 사이로 이송되며 원통형으로 성형되는 단계;
    상기 원통형으로 관부재(100)가 성형되면서 몸체판(110)에 구비된 다수의 보강돌기(120)는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한쌍 지지로울러(530) 사이에 양측단이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프레임(510)과 인출프레임(520) 사이에 인출공(521)을 중심으로 고정프레임(510)에서 인출프레임(520) 방향으로 나선상의 공간 위치에서 회동되는 가이드로울러(560)의 가이드 돌기(563) 사이로 삽입되면서 관부재(100)의 몸체판(110)이 나선형으로 이송되면서 성형되는 단계;
    상기 관부재(100)가 나선형으로 성형되면서 몸체판(100)의 일측에 구비된 결합돌기(130)가 나선형으로 성형된 타측의 결합홈(140)에 결합되는 단계;
    상기 나선형으로 성형되면서 결합돌기(130)와 결합홈(140)이 결합되어 관형상으로 성형된 관부재(100)가 인출프레임(520)의 인출공(5210)을 통해 인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제조방법.
KR1020110101652A 2011-10-06 2011-10-06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308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652A KR101308660B1 (ko) 2011-10-06 2011-10-06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652A KR101308660B1 (ko) 2011-10-06 2011-10-06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312A true KR20130037312A (ko) 2013-04-16
KR101308660B1 KR101308660B1 (ko) 2013-09-13

Family

ID=4843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652A KR101308660B1 (ko) 2011-10-06 2011-10-06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53394A (zh) * 2023-08-22 2023-09-15 江西强发科技有限公司 一种缠绕管道修复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73388A (zh) * 2016-11-01 2017-01-04 厦门腾达祥管业有限公司 Pvc玻璃钢复合管连续缠绕成型装置
CN106273384A (zh) * 2016-11-01 2017-01-04 厦门腾达祥管业有限公司 玻璃钢管连续缠绕成型工艺
CN106764126B (zh) * 2017-01-25 2019-03-29 高其容 一种hdpe中空壁缠绕排水管生产设备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271B2 (ja) * 1988-09-30 1995-02-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螺旋管形成用帯状体および螺旋管の製造方法
JP2001159476A (ja) 1999-09-22 2001-06-12 Sekisui Chem Co Ltd 既設管路のライニング施工方法
KR101084042B1 (ko) * 2008-12-02 2011-11-16 동원철강 주식회사 복합수지관 연속 제조방법
KR101111447B1 (ko) * 2009-08-31 2012-02-15 (주) 삼정디씨피 유리섬유 피복관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53394A (zh) * 2023-08-22 2023-09-15 江西强发科技有限公司 一种缠绕管道修复装置
CN116753394B (zh) * 2023-08-22 2023-10-31 江西强发科技有限公司 一种缠绕管道修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660B1 (ko) 201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660B1 (ko) 상하수도관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38020B1 (ko) 에프알피 파이프의 제조 장치
US99627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 pipe carcass using multiple strips of material
KR101925246B1 (ko) 전선배관 일체형 전선 케이블 및 그 제작 장치
KR20190031419A (ko) 이송필름을 이용한 강화플라스틱 파이프 연속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5387291B (zh) 高压软管及其生产方法
CN104441672B (zh) 一种钢带增强体的塑料波纹管及其制造工艺和设备
KR100875279B1 (ko) 광케이블 다중관 성형장치 및 성형 방법
CN103648671A (zh) 用于由连续成型且螺旋形的条带生成管状体的机器的条带引导系统
CN115871187B (zh) 一种用于对复合管材进行周向包覆纤维和塑料的生产线
CN203331406U (zh) 聚乙烯玻璃钢螺旋波纹管生产装置
KR101094779B1 (ko) 복합 단면 구조를 이루는 코러게이트 합성 수지관 성형장치
KR101145247B1 (ko) 유리섬유직물을 이용하여 강도를 향상시킨 합성수지관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합성수지관
KR100894522B1 (ko) 차수막 이중벽 관 성형장치 및 성형 방법
KR20150001159A (ko)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된 중공 관체의 제조장치
JP6485762B1 (ja) 金属又は合成繊維の線材補強の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管の製造方法
WO19820042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ollow article
CN210884751U (zh) 一种建筑工地水管卷收装置
RU107803U1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неметаллической арматуры
KR100422901B1 (ko)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CN211591287U (zh) 一种柔性复合高压输送管缠绕机
CN210453189U (zh) 一种悬辊制管机
CN106378924B (zh) 纤维增强内衬复合管及其制造方法与设备
KR100462438B1 (ko) 섬유강화 플라스틱 소재의 관 제조장치
CN207448917U (zh) 玻璃钢管道生产用淋胶铺膜一体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