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6908A - 허스롤 - Google Patents

허스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6908A
KR20130036908A KR1020110101138A KR20110101138A KR20130036908A KR 20130036908 A KR20130036908 A KR 20130036908A KR 1020110101138 A KR1020110101138 A KR 1020110101138A KR 20110101138 A KR20110101138 A KR 20110101138A KR 20130036908 A KR20130036908 A KR 20130036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slider
roll body
flang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6439B1 (ko
Inventor
송호진
Original Assignee
대한동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동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동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1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439B1/ko
Priority to PCT/KR2012/008053 priority patent/WO2013051870A2/ko
Publication of KR20130036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2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 F27B9/2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 F27B9/2407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the conveyor being constituted by rollers (roller hearth furnac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06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 C21D9/0012Rolls; Roll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2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 F27D3/026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transport or conveyor rolls for furnaces; roller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허스롤의 몸체부에 플랜지를 밀착하기 위한 탄성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탄성체의 설치에 따라 허스롤의 전체적인 길이의 증가가 없도록 구성한 허스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기둥형상의 외형을 가진 롤몸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롤몸체의 양 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롤몸체를 지지하는 일측플랜지 및 타측플랜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일측플랜지 및 타측플랜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측회전축부와 타측회전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회전축부가 상기 일측플랜지를 관통하여 상기 일측플랜지가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축부; 상기 일측회전축부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중공부;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기 일측회전축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된 연결공; 상기 연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중공부 내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일측플랜지와 결합되어 있는 연결수단; 상기 중공부에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수단을 타측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슬라이더; 상기 회전축부에 고정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타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허스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허스롤{Hearth Roll}
본 발명은 제철소의 소둔로 등에서 설치되는 허스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허스롤의 플랜지에 탄성력을 부가하여 롤러몸체와 플랜지를 밀착시킴으로써 플랜지가 롤러몸체를 견고히 지지하고 플랜지에 결합된 회전축부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성한 허스롤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서 이루어지는 강판스트립의 열처리는 내부가 고온을 유지하는 소둔로에서 이루어지고, 소둔로 내부에서 이동하는 강판스프립을 지지하고 그 진행을 보조하기 위하여 허스롤(Hearth Roll)이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와 같은 허스롤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75986호에 개시되어 있고, 그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허스롤은 상기 타측 플랜지(2b) 내측에 연결되고 슬리브(1)를 지나 일측 플랜지(2a)와 일측 회전축(4a)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바(5)와, 상기 지지바(5) 외측 선단에 설치되는 스토퍼부재(7)와, 상기 지지바(5)에 끼워져 스토프부재(7)와 일측 회전축(5)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탄성스프링(6)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탄성스프링(6)의 탄성력이 일측 회전축(4a)에 가해져 일측 회전축(4a)에 설치된 일측 플랜지(2a)가 슬리브(1)를 가압하게 되고, 슬리브(1)가 일측 플랜지(2a)와 타측 플랜지(2b) 사이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그러나, 도 1의 허스롤의 구성은 일측 회전축(4a)의 외측으로 일측 회전축(4a)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스프링(6)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허스롤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고, 탄성스프링(6)이 노출됨으로써 파손의 위험 및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탄성스프링(6)의 노출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탄성스프링(6)을 커버하는 커버체를 별도로 구비하더라도 커버체를 구비하고 일측 회전축(4a) 주위에 커버체를 고정시키는 고정구조를 마련해야 하므로 구성을 복잡하게 하고 장치의 외형이 전체적으로 작고 간결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허스롤의 몸체부에 플랜지를 밀착하기 위한 탄성수단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탄성수단의 설치에 따라 허스롤의 전체적인 길이의 증가가 없도록 구성한 허스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기둥형상의 외형을 가진 롤몸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롤몸체의 양 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롤몸체를 지지하는 일측플랜지 및 타측플랜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일측플랜지 및 타측플랜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측회전축부와 타측회전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회전축부가 상기 일측플랜지를 관통하여 상기 일측플랜지가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축부; 상기 일측회전축부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중공부;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기 일측회전축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된 연결공; 상기 연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중공부 내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일측플랜지와 결합되어 있는 연결수단; 상기 중공부에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수단을 타측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슬라이더; 상기 회전축부에 고정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타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허스롤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중공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일측 단부에서 개방구를 가지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회전축부의 일측 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개방구를 막는 플러그인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플랜지에 지지되고 상기 롤몸체 및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롤몸체 및 상기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상기 중공부까지 연장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바의 일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인 것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슬라이더는 일측의 단부가 상기 탄성수단을 지지하고 타측의 단부는 상기 연결수단이 안착되는 오목한 연결수단안착부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롤몸체와, 상기 롤몸체를 양측에서 밀착하여 지지하는 일측 및 타측 플랜지와, 상기 일측 및 타측 플랜지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부를 구비하는 허스롤에 있어서, 상기 일측 플랜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회전축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면을 따라 상기 일측 플랜지가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일측 플랜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회전축부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일측 플랜지와 체결되도록 연결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공 내에서 상기 회전축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상기 중공부 내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연결수단을 타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일측 플랜지를 상기 롤몸체에 밀착시키는 가압장치가 설치된 허스롤을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서 가압장치는 상기 연결수단에 접촉 또는 결합되어 상기 연결수단을 타측 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슬라이더와, 상기 중공부에서 상기 회전축부에 고정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타측 방향의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플랜지에 고정되고 상기 롤몸체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롤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중공부까지 연장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연결수단에 접촉 또는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가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관통되어 상기 연결수단을 상기 타측 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슬라이더와, 상기 지지바의 일측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수단과,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타측 방향의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허스롤은, 탄성수단이 허스롤의 회전축부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회전축부를 연장하여 구성하거나, 허스롤의 전체적인 길이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스프링의 외부노출이 없고 회전축부에 의해 보호되고 있으므로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이나 이물질의 끼임에 의한 작동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며, 별도의 보호커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허스롤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가압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가압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가압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가압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가압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가압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스롤의 가압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스롤(10)은 롤몸체(20)와, 상기 롤몸체(20)를 양측에서 밀착하여 지지하는 일측 및 타측플랜지(31,33)와, 상기 일측 및 타측플랜지(31,33)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부(40)를 구비한다.
상기 롤몸체(20)는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원기둥형상의 외형을 가진다. 상기 롤몸체(20)는 회전축(11)이 중심에 배치되는 회전축부(40)를 따라 다수의 세라믹디스크가 적층되어 원기둥형상을 이루는 구조이며, 상기 세라믹디스크는 회전축(1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후 표면을 연마하여 롤몸체(2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롤몸체(20)는 상기 구성 외에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몸체(20′)의 외면을 형성하는 원통형상의 슬리브(25)와 슬리브(25)의 내부에 샤프트(24)가 끼워진 구성이다. 상기 샤프트(24)의 중심부에는 지지바(12)가 관통하도록 끼워질 수 있고, 또는 도 2와 같은 회전축부(40)가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일측 및 타측플랜지(31,33)는 상기 회전축(11)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상기 롤몸체(20)의 양 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롤몸체(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일측 및 타측플랜지(31,33)의 선단 외주면에는 롤몸체(20)와 접촉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고 롤몸체(20)의 양단부가 플랜지(31,33)에 안착될 수 있도록 환형테 형상으로 돌출된 부분(31b)의 내측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은 롤몸체(20)의 양단의 모따기된 부분(21)과 밀착된다.
상기 일측플랜지(31)는 회전축부(40)가 관통하고 회전축부(40)의 표면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연결수단(35)이 삽입되어 슬라이더(51)와 결합되기 위하여 일측플랜지(31)를 측방향에서 관통하는 연결수단장착공(31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부(40)는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허스롤(10)에 회전력을 부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플랜지(31)에서 돌출되는 일측회전축부(41)와 타측플랜지(33)에서 돌출되는 타측회전축부(43)를 포함한다. 상기 일측회전축부(41)는 일측플랜지(31)가 회전축(1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플랜지(31)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타측회전축부(43)는 타측플랜지(33)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회전축부(41)와 타측회전축부(43)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롤몸체(20)도 회전축부(40)가 관통하고 있고, 회전축부(40)의 표면상에서 롤몸체(20)가 회전축(11)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일측과 타측의 의미는 일방향과 그것에 반대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일측”이라는 용어가 포함되어 기재된 모든 기재들에서 동일한 한쪽 편을 일관되게 의미하는 것이고, “타측”이라는 용어가 여러 곳에서 기재되면 “타측”이라는 용어가 포함된 기재들은 “타측”의 방향이 서로 간에 항상 동일한 방향이 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부(40)는 일측플랜지(31)로부터 돌출되고 일측 단부에서 개방된 중공부(45)를 가진다.
상기 중공부(45)는 회전축부(40)의 내부에서 회전축(11) 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부(40)의 일측에서 개방구(41c)를 가진다. 중공부(45)는 회전축부(40)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측플랜지(31)가 설치되는 위치까지의 일측회전축부(41)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중공부(45)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회전축부(40)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연결공(41a)이 형성된다. 연결공(41a)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장공의 형태가 바람직하고, 그 장공은 회전축(11) 방향으로 그 길이방향이 배치된다. 또한, 연결공(41a)은 중공부(45)로부터 일측회전축부(41)를 관통시켜, 일측회전축부(41)의 중간에 상하로 2개가 설치되어 연결수단(35)이 일측플랜지(31)를 관통하는 연결수단장착공(31a)과 상하의 연결공(41a)을 통과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연결수단(35)은 연결공(41a) 내에서 회전축부(40)의 길이방향 즉, 회전축(11)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수단(35)은 일측플랜지(31)와 중공부(45) 내부의 슬라이더(51)를 연결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연결수단(35)은 일측플랜지(31)의 연결수단장착공(31a)을 관통할 수 있는 나사봉이 바람직하고, 연결공(41a)을 통해 중공부(45)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연결수단(35)은 후술하는 슬라이더(51)가 밀어내는 힘을 중공부(45) 내에서 일측플랜지(31)에 전달하도록 일측플랜지(31)에 결합된 상태이다.
한편, 상기 중공부(45)에는 상기 연결수단(35)을 타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일측플랜지(31)를 상기 롤몸체(20)에 밀착시키기 위한 가압장치(50)가 설치된다.
상기 가압장치(50)는 슬라이더(51)와, 고정수단(54)과, 슬라이더(51)와 고정수단(54)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수단(53)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51)는 중공부(45)에 삽입되어 회전축(1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고 관통되도록 형성된 결합공(51a)에 연결수단(35)이 통과함으로써 슬라이더(51)와 일측플랜지(31)가 연결수단(35)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51)가 일측플랜지(31)에 결합된 연결수단(35)을 타측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54)은 회전축부(40)의 일측 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탄성수단(53)의 일단을 지지한다. 상기 고정수단(54)은 중공부(45)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구(41c)를 막는 플러그가 바람직하고, 내부의 탄성수단 등의 부품 교체 및 설치시에 회전축부(40)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나선결합 등으로 고정된다.
상기 탄성수단(53)은 코일스프링이 가장 바람직하고, 슬라이더(51)와 고정수단(54)에 의해 양측이 지지된다. 탄성수단(53)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수단(54)이 일측회전축부(4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탄성수단(53)은 슬라이더(51)에 회전축부(40)의 타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회전축부(40)의 중공부(45) 내에서 탄성수단(53)이 슬라이더(51)를 회전축부(40)의 타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받게 되고, 슬라이더(51)는 연결공(41a)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연결수단(35)을 매개로 일측플랜지(31)를 롤몸체(20) 방향으로 밀어 낼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부(40) 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롤몸체(20)는 타측플랜지(33)에 밀착됨과 함께 일측플랜지(31)도 밀착하게 되어 회전축부(40)의 회전력이 롤몸체(20)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슬라이더(51)의 구성을 변형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51′)에 연결수단(35)이 관통하여 설치되지 않고, 슬라이더(51′)의 타단에 연결수단(35)이 안착되는 오목한 연결수단안착부(51′c)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수단안착부(51′c)가 설치됨으로써 연결수단(35)과 안정적인 접촉이 가능한 상태에서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더(51′)에 연결수단(35)이 관통하여 결합하지 않고 일단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탄성수단(53)이나 슬라이더(51′)의 교체작업이 용이해 질 수 있다. 즉, 파손이나 손상된 탄성수단(53) 및 슬라이더(51′)의 교체를 위해 일측플랜지(31)와 연결수단(35)의 결합상태를 해제할 필요가 없고, 회전축부(40) 일측의 단부에서 고정수단(54)만을 제거한 후 탄성수단(53)과 슬라이더(51)의 제거 및 재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고정수단(54)으로 사용되는 플러그가 나선결합되어 있으므로 그 삽입정도에 따라 탄성수단(53)의 탄성력의 크기조절도 가능하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는 타측플랜지(33)에 지지 또는 고정되고 롤몸체(20′) 및 슬라이더(51″)를 관통하는 지지바(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바(12)는 롤몸체(20′)를 이루는 샤프트(24)와 슬라이더(51″)의 중심에 설치되는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는 것으로 지지바(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롤몸체(20′) 및 슬라이더(51″)가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12)는 롤몸체(20′) 및 슬라이더(51″)를 관통하여 중공부(45)까지 연장되어 있다. 중공부(45)에 위치하는 지지바(12)의 일측 단부에는 스토퍼(12a)가 설치되어 탄성수단(53′)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탄성수단(53)은 스토퍼(12a)와 슬라이더(51″)에 의해 양측이 지지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51″)는 지지바(12)가 관통하는 중심공이 회전축(11)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지지바(12)가 끼워지고, 슬라이더(51″)의 상하면에는 일측플랜지(31)를 관통하여 끼워진 연결수단(35′)이 상하면의 나선결합공(51″a)에 각각 나선결합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탄성수단(53′)이 지지바(12)의 스토퍼(12a)에 일측 단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더(51″)를 밀게 되면 슬라이더(51″)와 연결수단(35′)에 의해 결합된 일측플랜지(31)가 롤몸체(20′)를 밀어 밀착된다.
상기 롤몸체(20′)를 이루는 샤프트(24)는 지지바(12)에 끼워져 이동가능하므로 롤몸체(20′)는 타측으로 약간 이동하면서 타측플랜지(33)에 밀착되고, 양측에서 일측플랜지(31)와 타측플랜지(33)가 밀착하여 회전축부(40)의 회전력이 롤몸체(20′)에 전달될 수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44는 개방부를 막는 플러그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슬리브 2a,2b; 플랜지
4a,4b; 회전축 5,12; 지지바
6; 탄성스프링 7; 스토퍼부재
10; 허스롤 11; 회전축
12a; 스토퍼 20,20′; 롤몸체
21; 모따기된 부분 24; 샤프트
25; 슬리브 31,33; 플랜지
31a; 연결수단장착공 31b; 돌출된 부분
35,35′; 연결수단 40; 회전축부
41; 일측회전축부 41a; 연결공
41c; 개방구 43; 타측회전축부
44; 플러그 45; 중공부
50,50′; 가압장치 51,51′,51″; 슬라이더
51a; 결합공 51″a; 나선결합공
51′c; 연결수단안착부 53,53′; 탄성수단
54; 고정수단

Claims (9)

  1.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기둥형상의 외형을 가진 롤몸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롤몸체의 양 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롤몸체를 지지하는 일측플랜지 및 타측플랜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일측플랜지 및 타측플랜지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측회전축부와 타측회전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회전축부가 상기 일측플랜지를 관통하여 상기 일측플랜지가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축부;
    상기 일측회전축부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설치되는 중공부;
    상기 중공부로부터 상기 일측회전축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된 연결공;
    상기 연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중공부 내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일측플랜지와 결합되어 있는 연결수단;
    상기 중공부에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수단을 타측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슬라이더;
    상기 회전축부에 고정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타측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스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일측 단부에서 개방구를 가지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회전축부의 일측 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개방구를 막는 플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스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플랜지에 지지 또는 고정되고 상기 롤몸체 및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롤몸체 및 상기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상기 중공부까지 연장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바의 일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스토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스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일측의 단부가 상기 탄성수단을 지지하고 타측의 단부는 상기 연결수단이 안착되는 오목한 연결수단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스롤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롤몸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되 상기 롤몸체가 상기 회전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스롤
  6. 롤몸체와,
    상기 롤몸체를 양측에서 밀착하여 지지하는 일측 및 타측 플랜지와,
    상기 일측 및 타측 플랜지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부를 구비하는 허스롤에 있어서,
    상기 일측 플랜지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회전축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면을 따라 상기 일측 플랜지가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일측 플랜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회전축부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을 통과하여 상기 일측 플랜지와 체결되도록 연결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공 내에서 상기 회전축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상기 중공부 내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부에는 상기 연결수단을 타측 방향으로 밀어내어 상기 일측 플랜지를 상기 롤몸체에 밀착시키는 가압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스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롤몸체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롤몸체는 상기 회전축부 상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스롤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연결수단에 접촉 또는 결합되어 상기 연결수단을 타측 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슬라이더와,
    상기 중공부에서 상기 회전축부에 고정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타측 방향의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스롤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플랜지에 지지 또는 고정되고 상기 롤몸체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롤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중공부까지 연장되는 지지바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장치는,
    상기 연결수단에 접촉 또는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가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관통되어 상기 연결수단을 상기 타측 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슬라이더와,
    상기 지지바의 일측의 단부에 고정된 스토퍼와,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상기 타측 방향의 탄성력을 부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스롤
KR1020110101138A 2011-10-05 2011-10-05 허스롤 KR10126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138A KR101266439B1 (ko) 2011-10-05 2011-10-05 허스롤
PCT/KR2012/008053 WO2013051870A2 (ko) 2011-10-05 2012-10-04 허스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138A KR101266439B1 (ko) 2011-10-05 2011-10-05 허스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908A true KR20130036908A (ko) 2013-04-15
KR101266439B1 KR101266439B1 (ko) 2013-05-22

Family

ID=48044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138A KR101266439B1 (ko) 2011-10-05 2011-10-05 허스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66439B1 (ko)
WO (1) WO201305187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308A (ko) *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포스코 열처리로의 허스롤
KR20180102278A (ko) * 2017-03-07 2018-09-17 주식회사 포스코 걸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6947B (zh) * 2018-08-30 2019-12-20 深圳市拉普拉斯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多轴可调的悬挂支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9945Y2 (ko) * 1977-02-25 1982-09-02
JP3362620B2 (ja) * 1996-12-24 2003-01-07 日本鋼管株式会社 炉内搬送ロール
KR100476282B1 (ko) * 2002-11-05 2005-03-11 대한동방 주식회사 고온로용 세라믹 롤
KR100742852B1 (ko) 2005-09-13 2007-07-25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의 허스롤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308A (ko) *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포스코 열처리로의 허스롤
KR20180102278A (ko) * 2017-03-07 2018-09-17 주식회사 포스코 걸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51870A2 (ko) 2013-04-11
WO2013051870A3 (ko) 2013-05-30
KR101266439B1 (ko) 201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439B1 (ko) 허스롤
JP2012507316A5 (ko)
US10276968B2 (en) Holding frame for plug connector modules
US8627548B2 (en) Aligning multiple pivot pin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1448698B1 (ko) 허스롤
CN106537012A (zh) 用于阀致动器的引导元件和设置有所述引导元件的致动器
JP2018156064A5 (ko)
MX2019002236A (es) Mecanismo de bloqueo de elemento de filtro para servicio de limpieza.
KR20160098437A (ko) 풍력 터빈 변속기용 샤프트-베어링-서브어셈블리
PT11037T (pt) Dispositivo de articulação para um braço de toldo retráctil
US9072488B2 (en) Post frame for X-ray apparatus and ceiling type X-ray apparatus with the same
US20150093172A1 (en) Self-adjusting paper bucket for a printer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elf-adjusting paper bucket
JP2012153519A (ja) 巻取カラー
WO2009050650A3 (en) Birdcage coil with improved homogeneity and reduced sar
CA2965701C (en) Percutaneous lead interface
CN103976692A (zh) 伸缩管
CN217953518U (zh) 传感器装置
JP2007115919A (ja) タップ選択器
JP2007009920A (ja) 半径方向の支持力強化を有する弁ばね受
JP6191510B2 (ja) 通信光検知用アダプタ及び通信光検知構造
US20160256236A1 (en) Apparatus for aligning a dental drill
JP2007163468A (ja) 測定装置の移送および組み付けのための保持装置
JP2011115868A (ja) ころ軸受製造装置及びころ軸受の製造方法
PL1502528T3 (pl) Urządzenie do zaparzania kawy z wymienną kasetą filtracyjną
JP2009511287A (ja) ディープローリングツールのディープローリングローラ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