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748A - 전기 자동차 차체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748A
KR20130033748A KR1020110097622A KR20110097622A KR20130033748A KR 20130033748 A KR20130033748 A KR 20130033748A KR 1020110097622 A KR1020110097622 A KR 1020110097622A KR 20110097622 A KR20110097622 A KR 20110097622A KR 20130033748 A KR20130033748 A KR 20130033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member
mounting means
front side
electric vehicl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803B1 (ko
Inventor
이홍우
김재현
강연식
이현영
정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97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80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3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built up with interlaced cross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9Means for mounting load bea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62D24/04Vehicle body mounted on resilient suspension for movement relative to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Abstract

전기 자동차 특히, 전기 자동차 차체가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 차체는 그 실시 양태로서,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가 연계되고 프론트 사이드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제1 크로스 부재; 및, 상기 제1 크로스 부재와 상기 프론트 사이드 부재사이에 연결되는 제2 크로스 부재;를 포함하여 서브 바디부의 지지력을 증대토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특히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의 충돌 지지력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결국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충돌력 인가를 차단하여 운전자(탑승자)의 안정성을 확보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차체{Body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특히, 전기 자동차 차체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의 충돌 지지력을 높이도록 제공되어 운전자(탑승자)의 안정성을 확보 가능하게 한 전기 자동차 차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미래 환경을 위한 친환경적인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물론, 그 연구 개발이 집중적으로 자동차 제조사는 물론, 차체의 재료를 생산하는 제철공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이와 같은 전기 자동차는 내부에 배터리를 포함하여 필요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하여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동력으로 차량의 주행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배터리 관련 설계와 연구 개발이 집중되고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의 경우 모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기 하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의 경량화가 주행 성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특히 차체의 경량화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의 경우 차체 경량화를 실현하면서, 그 구조 강성의 유지는 물론, 충돌시 운전자(탑승자)의 안정성은 확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충돌 에너지의 흡수성 향상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전기 자동차의 전방 충돌시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의 차체 구조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종래의 경우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도 1의 도면부호 '10'참조)가 프론트 사이드 부재(도 1,3의 도면 부호 '20' 참조)에 연계 조립되고, 이들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에는 단순하게 프론트 사이드 부재사이를 횡방향(자동차의 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양단이 프론트 사이드부재사이에 접합된 크로스부재(미도시)가 연계되는 구조였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 단순하게 프론트 사이드부재사이에 조립되는 단순 크로스부재만으로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가 지지되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의 전방 충돌시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당 기술분야에서는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의 충돌 지지력을 높이도록 제공되어 운전자(탑승자)의 안정성을 확보 가능하게 한 전기 자동차 차체가 요구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가 연계되고 프론트 사이드 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제1 크로스 부재; 및,
상기 제1 크로스 부재와 상기 프론트 사이드 부재사이에 연결되는 제2 크로스 부재;
를 포함하여 서브 바디부의 지지력을 증대토록 구성된 전기 자동차 차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와 상기 제1 크로스 부재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부재에 구비되는 마운팅수단을 매개로 연계 조립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부재와 제1 크로스 부재 및, 제2 크로스부재들은 접합부위를 기준으로 삼각행태로 제공되어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의 충돌 지지력을 증대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크로스부재는 폐단 부재로 제공되고, 상기 제2 크로스부재는, 일체형 부재 또는 프론트 사이드부재와 제1 크로스 부재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분리형부재로 구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크로스부재는, 차체 폭방향으로 신장되는 메인부; 및, 상기 메인부의 양측에서 절곡 신장되면서 마운팅수단에 조립되는 마운팅수단 조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 크로스부재는 상기 메인부와 마운팅수단 조립부의 적어도 경계부위에 접합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크로스부재는, 상기 제1 크로스부재가 수용되면서 접합되는 단면상 일측이 개방되는 구조로 제공되되, 프론트 사이드부재와 플로어 판넬에 접합되는 접합 플랜지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서로 조립되는 마운팅수단과 제1 크로스부재중 적어도 제1 크로스부재에 접합되면서 마운팅수단의 내측에 제공되는 파이프너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너트에 상기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가 체결볼트를 매개로 조립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운팅수단은, 프론트 사이드 부재와 플로어 판넬에 접합되는 플랜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제1 크로스부재의 마운팅 조립부의 단부에 제공되면서 마운팅수단의 내측에서 지지되는 돌출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전기 자동차 차체의 경우, 특히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의 충돌 지지력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충돌력 인가를 차단하여 운전자(탑승자)의 안정성을 확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를 포함한 전기 자동차 차체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크로스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 크로스부재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본 발명에서 프론트 사이드부재와 제1ㅡ2 크로스부재의 삼각구조의 접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크로스부재와 마운팅수단을 통한 도 1의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의 접합 구조롤 도시한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크로스부재의 단부 마운팅 구조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본 발명 전기 자동차 차체와는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시한 구조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 전기 자동차의 차체를 구비하는 경우 전방 충돌전,후 상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모식도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전기 자동차 차치(1)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 차체(1)는 그 일 실시형태로서 전기 자동차의 전방측의 모터룸(구동모터와 서스펜션(조향부))측의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가 연계되고 프론트 사이드 부재(20)사이에 제공되는 제1 크로스 부재(50) 및, 상기 제1 크로스 부재(50)와 상기 프론트 사이드 부재(20)사이에 연결되는 제2 크로스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론트 사이드부재(20)는, 도 5 및 도 7과 같이, 양측 접합플랜지(미부호) 부분이 플로어 판넬(22)에 접합되어 제공될 수 있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론트 사이드부재의 상부로 플로어 판넬에는 보강부재('ㄷ'자 형상)가 프론트 사이드부재에 대향하여 플로어 판넬의 상부에 접합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 차체(1)의 경우 제1,2 크로스부재(50)(70)가 프론트 사이드 부재(20)와 연계 접합되되, 이들의 접합 구조에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가 연결되어, 충돌시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도 1에서 본 발명의 마운팅수단(90)과 제1,2 크로스부재(50)(70)는 도 3,4의 색과 동일한 색으로 나타내어 이해를 돕도록 하였다.
한편,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는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동모터와 연계되는 서스펜션이 연계되는 양측 서브 바디(12)의 힌지블록(16)들이 서스펜션(미도시)과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마운팅수단(90)과 연계되고, 서브 바디(12)의 일측으로 가로질러 횡방향의 크로스 바디(14)가 접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의 서브 바디(12)의 단부 힌지블록(16)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운팅수단(90)에 볼트(B)로서 체결되어 조립되게 된다.
결국, 도 1 및 도 3과 같이, 전기 자동차의 전방 층돌시 충돌력은 서스펜션을 통하여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를 통하여 플로어 판넬(22)측으로 전달되는 경우 운전자가 탑승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므로, 본 발명의 경우에는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가 연계되는 부분의 지지력을 증대시키어 탑승자 안전성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 차체(1)에서 상기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의 서브 바디(12)의 힌지블록(16)과 상기 제1 크로스 부재(50)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부재(20)에 접합 조립되는 마운팅수단(90)을 매개로 연계 조립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사이드부재(20)에 접합된 마운팅수단(90)과, 상기 마운팅수단(90)에 양단이 조립되는 제1 크로스 부재(50) 및, 상기 제1 크로스부재(50)와 프론트 사이드부재(20)사이에 연결 접합되는 제2 크로스부재(70)들은 그 접합부위 즉, 도 4에서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와 제1 크로스부재(50)가 접합되는 마운팅수단(90)의 접합점 P1과 제1,2 크로스부재(50)(70)간의 접합점 P2 및, 제2 크로스부재(70)와 프론트 사이드부재(20)간의 접합점 P3를 연계시키면(점선), 평면상 삼각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와 사이드 프론트부재 및, 제1,2 크로스부재들의 접합부위가 전방에서 가해지는 총돌력에 대하여 가장 반발 지지력을 안정적으로 확보 가능하게 하는 구조인 것이다.
결국, 본 발명 전기 자동차의 차체(1)는 적어도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를 전방 충돌시에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예를 들어, 도 8a 및 도 8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의 충돌전,후에도 본 발명의 제1 크로스부재(50)와 제2 크로스부재(70)의 접합 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8a의 전기 자동차의 충돌 전에 비하여, 도 8b의 전기 자동차의 충돌후에는 본 발명의 제1,2 크로스부재(50)(70)의 전방으로 모터룸 측의 부품들이 찌그러지짐에도 불구하여, 본 발명의 상기 제1,2 크로스부재(50)(70)는 안정적으로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를 지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의 차체(1)의 경우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와 연계되는 부재들의 접합 구조를 개선하고, 새로운 부재들을 제공하여, 최적의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 차체(1)에서 위에서 설명한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에 대한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의 제1 크로스부재(50)는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서, 전기 자동차 차체의 폭방향으로 신장되는 메인부(52) 및, 상기 메인부의 양측에서 절곡 신장되면서 중앙측에 양측의 코너부를 형성하고, 단부가 프론트 사이드부재(20)에 견고하게 접합되는 마운팅수단(90)에 조립되는 마운팅수단 조립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 사시도로 구분하여 도시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1 크로스부재(50)는, 기본적으로 앞에서 설명한 메인부(52)와 마운팅수단 조립부(54)를 포함하나, 그 단부(50a)(50b)의 구조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우측에 도시한 제1 크로스부재(50)는 단부(50a)가 끝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방향으로 형성되나, 도 2에서 좌측에 도시한 제1 크로스부재(50)는 그 단부(50a)가 절곡되지 않는 구조의 차이가 있는 것이다.
즉, 단부(50a)가 절곡된 구조의 제1 크로스부재는 단부가 절곡되어 프론트 사이드부재측을 향하므로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프론트 사이드부재와 단부가 추가 접합되는 구조이므로 구조 강도가 더 보강되는 이점을 제공하나, 접합 작업이 다소 복잡한 것이다.
반대로, 단부(50b)가 절곡되지 않은 제1 크로스부재는 마운팅수단과의 접합만이 가능하지만 접합 작업이 간단하고, 특히 크로스부재를 하이드로포밍을 통하여 제작하는 경우, 그 성형 구조를 단부가 절곡된 크로스부재 보다는 쉽게 할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도 2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단부 형태에 따른 제1 크로스부재는 차체 조건이나 설계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되면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사이드부재(20)에 일단이 접합되는 상기 제2 크로스부재(70)는, 상기 제1 크로스부재(50)의 메인부(52)와 마운팅수단 조립부(54)의 절곡된 코너부분인 경계부위에 접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 크로스부재(7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프론트 사이드부재(20)에 접합되는 한편, 다단은 상기 제1 크로스부재(50)의 메인부(52)와 마운팅수단 조립부(54)의 절곡된 경계부위에 접합되는 서로 분할된 부재들을 이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크로스부재(70)들을 도 3과는 다르게 일체형으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나, 경량화를 위하여 분리되고 길이를 줄인 2개의 제2 크로스부재(70)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 크로스부재(70)들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형강 구조 형태로 제공되어 내측의 공간(미부호)에 제1 크로스부재(50)가 삽입되어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 차체(1)에서, 상기 제1 크로스부재(50)는, 하나의 튜브 구조체가 하이드로 포밍 작업을 통하여 제공되거나, 판재를 롤 포밍을 통하여 폐단구조로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폐단 구조의 제1 크로스부재(50)들은 메인부(52)와 절곡된 마운팅수단 조립부(54)로 구분되기는 하지만, 일체형 구조이고, 이와 같은 제1 크로스부재(50)의 마운팅수단 조립부(54)의 중앙에는 도3과 같이 프론트 사이드부재(20)가 제공되는 플로어 판넬(22)의 종방향(전기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돌부(22a)에 대응하기 위한 상하방향의 다른 절곡부(58)가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제1 크로스부재(70)의 마운팅 조립부(54)의 마운팅수단에 접합되는 단부에는 마운팅수단(90)의 내측에 포위 접합되는 돌출단부(56)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크로스부재는 전체적인 형상이 다른 마운팅수단이나 부재들 간 접합구조를 견고하게 하고, 특히 돌출단부(56)는 마운팅수단(90)의 내측에서 돌출된부분으로 제공되면서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의 힌지블록(16)이 볼트(B)로서 체결되는 부분의 강도도 증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도 3을 포함하여 도 5에서는 도 1에서 설명한 사스펜션 서브 바디부(10)의 메인 바디(12)의 일측 힌지블록(16)이 볼트(B)로서, 프론트 사이드부재(20)에 접합된 마운팅수단(90)에 조립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 및 도 5와 같이, 서브 바디부의 메인 바디의 일측 힌지블록(16)은 제1 크로스부재(50)의 조립부(54)의 단부가 접합된 마운팅수단(90)의 파이프너트(110)에 체결되는 볼트(B)로서 분해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파이프너트(110)는 내측에 볼트가 체결되는 스크류(S)가 형성되어 볼트 체결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파이프너트(110)는 도 5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적어도 마운팅수단의 내측에 제공되는 제1 크로스부재(50)의 마운팅수단 조립부(54)의 단부에 CO2 용접이나 레이져 용접을 통하여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
물론, 파이프너트(110)는 제1 크로스부재 뿐만 아니라, 마운딩수단(90)에도 접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마운팅수단(9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 사이드부재(20)와 플로어 판넬(22)에 접합되기 위한 접합 플랜지(92)들을 포함하여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제2 크로스부재(70)도 접합플랜지(72)들을 포함하여 프론트 사이드부재(20)와 플로어 판넬(22)에 견고하게 접합되게 된다.
결국,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 차체(1)에서는,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의 메인 바디(12))가 연계 조립되고 프론트 사이드부재(20)에 접합된 마운팅수단(90)과, 마운팅수단(90)사이에 접합되는 제1 크로스부재(50) 및 제1 크로스부재(50)와 프론트 사이드부재(20)사이에 접합되는 제2 크로스부재(70)들의 상호 유기적인 접합 구조를 제공하여, 매우 안정적으로 서브 바디부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크로스부재(5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부(52)에서 절곡된 마운팅수단 조립부(54)로 구성되어 평면상 벌어진 'U'자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더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형태의 제1 크로스부재의 메인부와 조립부의 절곡된 경계부위에 프론트 사이드부재와 접합되는 분할된 제2 크로스부재(70)들이 접합되므로,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를 매우 견고하게 지지하여, 충돌시 플로어 판넬 측의 운전자가 탑승자로의 충돌력 인가를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크로스부재(70)의 제1 크로스부재(5)의 접합부위의 하측에는 앞에서 설명한 플로어 판넬(22)의 횡방향 돌출부(22a)에 대응하는 단턱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도 7에서는 본 발명 제1 크로스부재(50)가 도 5 및 도 6과 같은 단부에 돌출단부(56)를 형성하지 않고, 도 2에서 좌측에 도시한 단부(50b)가 절곡되지 않는 형태의 제1 크로스부재(50)의 마운팅수단 접합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파이프너트(110)는 제1 크로스부재(50)의 단부를 관통하여 접합되고,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의 힌지블록(16)이 볼트(B)를 통하여 체결될 수 있고, 파이프 너트에는 나사부(S)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운팅수단(90)의 접합 플랜지(92)들이 각각 프론트 사이드부재(20)와 플로어 판넬(22)에 접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
즉, 도 7의 경우, 제1 크로스부재(50)의 마운팅수단 접합 구조는 견고하게 하면서 접합 작업은 용이하게 할 것이다.
이때, 도 5 및 도 7에서, 제1 크로스부재에 파이프너트(110)가 접합되고, 파이프너트(110)에 볼트(B)를 매개로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의 힌지블록(16)이 연계되는 경우, 충돌력이 바디부를 통하여 제1 크로스부재(50)로 전달되므로, 본 발명의 제1,2 크로스부재와 마운팅수단을 통한 조립 구조에 따른 서브 바디부 지지력을 높이는 경우 전기 자동차 차체 특히, 모터룸 측의 차체의 충돌 지지력이 높아지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차체
10....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 20.... 프론트 사이드 부재
50.... 제1 크로스 부재 50a,50b.... 제1 크로스부재의 단부
52.... 메인부 54.... 마운팅수단 조립부
70.... 제2 크로스 부재 72,92.... 접합 플랜지
90.... 마운팅수단 110.... 파이프 너트

Claims (9)

  1.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가 연계되고 프론트 사이드부재(20)사이에 제공되는 제1 크로스 부재(50); 및,
    상기 제1 크로스 부재(50)와 상기 프론트 사이드 부재(20)사이에 연결되는 제2 크로스 부재(70);
    를 포함하여 서브 바디부의 지지력을 증대토록 구성된 전기 자동차 차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와 상기 제1 크로스 부재(50)는, 상기 프론트 사이드 부재(20)에 구비되는 마운팅수단(90)을 매개로 연계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차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부재(20)와 제1 크로스 부재(50) 및, 제2 크로스부재(70)들은 접합부위를 기준으로 삼각형태로 제공되어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의 충돌 지지력을 증대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차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로스부재(50)는 폐단 부재로 제공되고, 상기 제2 크로스부재(70)는, 일체형 부재 또는 프론트 사이드부재와 제1 크로스 부재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분리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차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로스부재(50)는, 차체 폭방향으로 신장되는 메인부(52); 및,
    상기 메인부의 양측에서 절곡 신장되면서 마운팅수단(90)에 조립되는 마운팅수단 조립부(54);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2 크로스부재는 상기 메인부와 마운팅수단 조립부의 적어도 경계부위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차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크로스부재(70)는, 상기 제1 크로스부재(50)가 수용되면서 접합되는 단면상 일측이 개방되는 구조로 제공되되, 프론트 사이드부재(20)와 플로어 판넬(22)에 접합되는 접합 플랜지(72)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차체.
  7. 제2항에 있어서,
    서로 조립되는 마운팅수단(90)과 제1 크로스부재(70)중 적어도 제1 크로스부재에 접합되면서 마운팅수단의 내측에 제공되는 파이프너트(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 너트부재(110)에 상기 서스펜션 서브 바디부(10)가 체결볼트(B)를 매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차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수단(90)은, 프론트 사이드 부재(20)와 플로어 판넬(22)에 접합되는 플랜지부(92)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차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로스부재(70)의 마운팅 조립부(54)의 단부에 제공되면서 마운팅수단(90)의 내측에서 지지되는 돌출단부(5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차체.
KR1020110097622A 2011-09-27 2011-09-27 전기 자동차 차체 KR101304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622A KR101304803B1 (ko) 2011-09-27 2011-09-27 전기 자동차 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622A KR101304803B1 (ko) 2011-09-27 2011-09-27 전기 자동차 차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748A true KR20130033748A (ko) 2013-04-04
KR101304803B1 KR101304803B1 (ko) 2013-09-05

Family

ID=48436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622A KR101304803B1 (ko) 2011-09-27 2011-09-27 전기 자동차 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8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87978A (ja) * 2017-04-28 2018-11-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JP2019010999A (ja) * 2017-06-30 2019-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CN110816667A (zh) * 2018-08-07 2020-02-2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前部结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9538C2 (de) * 1991-09-05 1993-11-18 Porsche Ag Fahrschemel für ein Kraftfahrzeug
JP4479299B2 (ja) * 2004-03-26 2010-06-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KR20100068817A (ko) * 2008-12-15 2010-06-24 주식회사 포스코 후륜 구동 차량의 리어 서브 프레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87978A (ja) * 2017-04-28 2018-11-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JP2019010999A (ja) * 2017-06-30 2019-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CN110816667A (zh) * 2018-08-07 2020-02-2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前部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803B1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36300B (zh) 能量吸收下边梁总成
JP5696793B2 (ja) 車体構造
US20160068195A1 (en) Battery arrangement in a two-track vehicle
JP5761444B2 (ja) 車体構造
JP2019093829A (ja) 車両前部構造、及び車両前部連結方法
EP4056456B1 (en) Support device for vehicle battery pack and electric vehicle
JP2021054103A (ja) 電動車両のボディ
KR101304803B1 (ko) 전기 자동차 차체
JP2016068850A (ja) 車両駆動用バッテリの取付構造
KR101325380B1 (ko) 전기 자동차의 언더 바디
JP6974512B2 (ja) 車両のフロア構造
KR101272006B1 (ko) 전기 자동차 차체
JP5637057B2 (ja) 車体構造
KR20190079777A (ko) 측방 차체 보강구조
US20230001986A1 (en) Chassis assembly for a vehicle
JP5692043B2 (ja) 車体構造
JP2020044872A (ja) 車両の下部構造
WO2022113509A1 (ja) 電動トラック
JP5505287B2 (ja) 後部車体構造
JP5699966B2 (ja) 車体構造
JP2024030194A (ja) バッテリ支持装置
JP2023122976A (ja) 車体前部構造
JP2023122913A (ja) 車体前部構造
JP2023122978A (ja) 車体前部構造
JP2023122974A (ja) 車体前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