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287A - 과전류 제한 장치를 포함하는 ldo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과전류 제한 장치를 포함하는 ldo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287A
KR20130032287A KR1020120105733A KR20120105733A KR20130032287A KR 20130032287 A KR20130032287 A KR 20130032287A KR 1020120105733 A KR1020120105733 A KR 1020120105733A KR 20120105733 A KR20120105733 A KR 20120105733A KR 20130032287 A KR20130032287 A KR 20130032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voltage
current
output current
pass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4272B1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주)제퍼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퍼로직 filed Critical (주)제퍼로직
Publication of KR20130032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7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feedback circu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9/025Current limitation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LDO 전원 장치가 개시된다. 출력 전압을 피드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부, 피드백된 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그 차이에 대응하는 값을 증폭하는 에러 증폭부, 및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고 에러 증폭부의 출력값을 게이트로 입력받는 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LDO(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회로로서, 출력 전류를 감지하는 출력 전류 감지부, 및 출력 전류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 될 때 입력단과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사이에 미리 설정된 전압을 인가하는 출력 전류 제한부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출력 전류가 일정 수준 이상 흐르는 것을 감지해서 출력단의 패스 트랜지스터의 입력전압(VGS)을 일정하게 고정함으로써 출력 전류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과전류 제한 장치를 포함하는 LDO 전원 장치{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with Current Limiter }
본 발명은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LDO(Low dropout regulator)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출력 전류가 과도하게 흐르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장치가 부가된 LDO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전원 장치 중에서 LDO(Low dropout regulator) 회로의 개념도이다. 전원 장치 LDO는 출력 전압의 피드백(feedback) 신호(도 1에서 A)와 기준 전압(1도의 VREF)전압의 차이를 에러 증폭기(103)에서 입력받아 패스 트랜지스터(101)의 입력 전압 (VGS) 전압으로 출력 전류를 조절한다. 이때 패스 트랜지스터는 입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전류를 내보는데, 입력 전압이 일정하면 전류도 일정하게 된다.
예를 들면 출력 전압의 피드백(feedback) 신호가 기준 전압보다 낮으면 에러 증폭기는 VGS를 크게 해서 출력 전류를 증가시킨다. 증가된 출력 전류는 저항 R1과 R2로 흘러, 출력 전압의 피드백(feedback) 신호를 다시 증가시킨다. 반대로 A의 피드백(feedback) 신호가 기준전압보다 낮다면 에러 증폭기는 VGS를 줄여 출력 전류를 줄인다.
감소된 출력 전류는 다시 피드백(feedback) 전압 A를 낮추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feedback 전압 A는 기준전압과 같아져, 출력 전압 Vout = (1 + R1/R2)*Vref 가되어, R1과 R2를 조절하여 원하는 전압을 정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LDO에는 출력에 큰 용량성 부하가 연결되는데, LDO가 처음 기동시 이 용량성 부하에 설정된 전압을 충전하기 위해 과도한 전류가 흐른다. 이때 흐르는 과도한 전류가 각 소자의 정격 용량을 초과할 경우 소자가 손상이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LDO의 출력 전류를 제한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출력 전류를 일정 수준 이상 흐르지 못하게 제한하여 시스템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LDO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LDO 전원 장치는, 출력 전압을 피드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부, 피드백된 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그 차이에 대응하는 값을 증폭하는 에러 증폭부, 및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고 에러 증폭부의 출력값을 게이트로 입력받는 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LDO(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회로로서, 출력 전류를 감지하는 출력 전류 감지부, 및 출력 전류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 될 때 입력단과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사이에 미리 설정된 전압을 인가하는 출력 전류 제한부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출력 전류가 일정 수준 이상 흐르는 것을 감지해서 출력단의 패스 트랜지스터의 입력전압(VGS)을 일정하게 고정함으로써 출력 전류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력 전류가 일정 수준 이상 흐르는 것을 감지해서 출력단의 패스 트랜지스터의 입력전압(VGS)을 일정하게 고정함으로써 출력 전류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출력 전류가 정격 전류 이상 흐르지 않게 하기 때문에, 주위 장치를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LDO 전원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과도 전류 제한 장치가 포함된 전원 회로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출력전류 감지 장치의 예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전압원 장치의 예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패스트랜지스터 입력전압을 샘플/홀딩하는 장치의 예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에 출력전류를 감지하는 장치(400)와 그리고 패스 트랜지스터(101)의 입력 전압을 일정하게 인가해 주는 전압원(300) 그리고 스위치(106)로 구성된다. 만약 출력 전류가 일정한 전류 이상이 되면, 스위치(106)가 온(on)되어 패스 트랜지스터(101)의 입력에는 전원(300)에 의해 적절한 전압이 인가되어 출력 전류를 제한한다.
도 3은 출력 전류를 감지하는 장치(400)의 예시이다. 이 장치는 패스 트랜지스터(101)의 입력 전압과 같은 전압이 트랜지스터(401)에 입력되므로 트랜지스터(401)와 패스 트랜지스트(101)의 W/L(채널 넓이/채널길이)의 비율에 비례해서 전류 I1이 흐른다.
만약 (101)과 (401) 의 W/L의 비가 1000 : 1 이면, Iout : I1 = 1000 : 1이 된다. 전류 I1이 전류원(403)에서 미리 설정된 전류 I2의 크기보다 크면 비교기(402)에서 스위치(106)을 온(ON)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미리 설정된 전류 I2의 값은 출력전류가 제한치에 흐를 때 트랜지스트 401에 흐르는 전류 값으로 설정한다.
도 4는 도 2의 전류원(300)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장치는 다이오드(301) n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으로, 스위치 (106)가 온(on)되면, 이 다이오드가 일정한 전압을 낼 수 있게 바이어스 전류(302)가 연결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바이어스 전류원(302)는 버퍼(Buffer; 102) 내의 전류원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독자 전류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전류원(300)의 또 다른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이 장치는 전압을 저장할 수 있는 커패시터(311)과 스위치(312)로 구성되어 있는데, 과도 출력 전류가 흐를 때 바로 직전의 패스 트랜지스터 입력 전압을 샘플링(Sampling)해서, 출력 전류가 과도 전류 이상 흐를 때 그 전압으로 계속 유지(Holding)하여 전류를 제한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LDO에는 출력에 큰 용량성 부하가 연결되는데, LDO가 처음 기동시 이 용량성 부하에 설정된 전압을 충전하기 위해 과도한 전류가 흐른다. 이때 흐르는 과도한 전류가 각 소자의 정격 용량을 초과할 경우 소자가 손상이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LDO의 출력전류를 제한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원장치 중에서 LDO의 출력전류를 일정전류 이상 흐르지 못하게 제한하여 시스템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준 전압과 출력 전압을 피드백한 전압을 비교하여 그 차이에 해당하는 값을 출력하는 에러 증폭기, 이 출력을 받아 패스 트랜지스터로 입력하는 버퍼, 이 신호를 입력을 받아 출력을 내보내는 패스 트랜지스터와 출력전압을 피드백하는 전압 분배기, 그리고 출력전류 제한 장치로 구성되는 전원장치에서, 출력 전류 제한 장치는 출력 전류를 감지하는 장치, 출력 전류가 특정 값 이상이 될 때 패스 트랜지스터 입력단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는 장치로 구성되어, 전원장치의 출력전류가 일정한 전류 이상일 때 출력전류를 제한한다.
2. 출력전류를 감지하는 장치는, 패스트랜지스터의 입력 전압을 입력받아 전원 장치 출력 전류와 비례하는 전류를 내는 장치, 이 전류와 기준 전류를 비교해서 정상 상태와 과도 전류 상태에 따라 스위치를 온/오프하는 장치로 구성된다.
3. 출력 전류를 감지하는 장치는 패스트랜지스터의 입력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정상 상태와 과도 전류 상태를 판단하는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4. 패스 트랜지스터 입력단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는 장치는 전압원과 스위치로 구성된다. 과도 전류 상태일 때, 스위치가 패스 트랜지스터의 입력단에 일전한 전압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5. 전압원 구성은 전원전압에서 일정한 값을 차감한 전압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6. 전원 전압에서 일정한 값을 차감한 전압을 출력하는 장치의 구성은, n개의 다이오드 혹은 그에 준하는 장치가 직렬로 연결되고, 그 장치에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장치로 구성된다.
7. 바이어스를 인가하는 장치는 독립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버퍼단의 바이어스 회로를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다.
8. 전원 전압에서 일정한 값을 차감한 전압을 출력하는 장치의 구성은 과도 상태 직전에 패스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전압을 샘플링하는 장치와 그 값을 유지(홀딩)하는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 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출력 전압을 피드백하는 출력 전압 피드백부;
    상기 피드백된 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그 차이에 대응하는 값을 증폭하는 에러 증폭부; 및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에러 증폭부의 출력값을 게이트로 입력받는 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LDO(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회로로서,
    출력 전류를 감지하는 출력 전류 감지부; 및
    상기 출력 전류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 될 때 상기 입력단과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사이에 미리 설정된 전압을 인가하는 출력 전류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제한 장치를 포함하는 LDO 전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류 제한부는,
    상기 출력 전류와 비례하는 비례 전류를 생성하는 비례 전류 생성부; 및
    상기 비례 전류를 미리 설정된 비교 기준값과 비교하는 전류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제한 장치를 포함하는 LDO 전원 장치.
KR1020120105733A 2011-09-22 2012-09-24 과전류 제한 장치를 포함하는 ldo 전원 장치 KR101394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553 2011-09-22
KR20110095553 2011-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287A true KR20130032287A (ko) 2013-04-01
KR101394272B1 KR101394272B1 (ko) 2014-05-13

Family

ID=4843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733A KR101394272B1 (ko) 2011-09-22 2012-09-24 과전류 제한 장치를 포함하는 ldo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2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6546A (zh) * 2013-07-20 2013-10-02 福州大学 双高电源电压输入下具有限流保护的低压差稳压电路
US9590496B2 (en) 2013-12-16 2017-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oltage regulator and power delivering device therewith
CN108471230A (zh) * 2018-06-02 2018-08-31 丹阳恒芯电子有限公司 一种应用于物联网的过流保护电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377Y1 (ko) 1997-07-16 1999-09-01 윤종용 전원공급장치의 과부하 보호회로
US6381114B1 (en) 2000-03-31 2002-04-30 Micro Motion, Inc. Integrated current source feedback and current limiting element
JP5009669B2 (ja) * 2007-04-05 2012-08-22 ローム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6546A (zh) * 2013-07-20 2013-10-02 福州大学 双高电源电压输入下具有限流保护的低压差稳压电路
CN103336546B (zh) * 2013-07-20 2015-07-22 福州大学 双高电源电压输入下具有限流保护的低压差稳压电路
US9590496B2 (en) 2013-12-16 2017-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Voltage regulator and power delivering device therewith
CN108471230A (zh) * 2018-06-02 2018-08-31 丹阳恒芯电子有限公司 一种应用于物联网的过流保护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4272B1 (ko) 201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7699B (zh) 低壓差線性穩壓器
TWI547783B (zh) 具有基於負載阻抗的電流及電壓返送之電壓調節器
JP5014194B2 (ja)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KR102052896B1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US20160043539A1 (en) Short-circuit protection for voltage regulators
US10203710B2 (en) Voltage regulator with output capacitor measurement
KR102110109B1 (ko) 스위칭 레귤레이터 및 전자 기기
US20070206338A1 (en) Circuit Protection Method, Protection Circuit and Power Supply Device Using The Protection Circuit
US10599171B2 (en) Load-dependent control of parallel regulators
TW201737008A (zh) 具有改善之電源供應抑制之低壓降電壓調節器
JP2005086843A (ja) 電力供給源の出力制御装置
EP2408095A2 (en) Circuit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DC/DC converter
KR102225712B1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CN109343644B (zh) 一种自动调节限流保护电路
US10312899B2 (en) Over-voltage clamp circuit
US20130176007A1 (en) Low-dropout regulator overshoot control
US10587110B2 (en) Over voltage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JP2014179079A (ja) 電流制限器を有する電圧レギュレータ
US20150227147A1 (en) Load dependent biasing cell for low dropout regulator
US10216207B2 (en) Overvoltage clamp in regulators
JP2013003700A (ja) レギュレータ用半導体集積回路
KR101394272B1 (ko) 과전류 제한 장치를 포함하는 ldo 전원 장치
JP4589240B2 (ja) クランプ回路および試験信号発生装置
KR101030958B1 (ko) 저전압 레귤레이터의 과전류 보호회로
TWI695246B (zh) 電壓調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