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181A -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181A
KR20130032181A KR1020110095941A KR20110095941A KR20130032181A KR 20130032181 A KR20130032181 A KR 20130032181A KR 1020110095941 A KR1020110095941 A KR 1020110095941A KR 20110095941 A KR20110095941 A KR 20110095941A KR 20130032181 A KR20130032181 A KR 20130032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aling member
bus
fixed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진
박승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5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2181A/ko
Publication of KR20130032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1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60J10/86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arranged on the opening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5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on or reduction of noise, e.g. of rattling or vibration of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6Seal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는, 차량의 주행 시, 버스의 도어 하부와 플로어 사이의 틈새로 외기와 각종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실내측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도어의 하단부에 설치된 도어암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DOOR SEALING DEVICE FOR BUS}
본 발명은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가 밀폐될 경우, 도어와 플로어 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밀폐시킴으로써, 외부소음 및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들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저상 버스는 장애자 등 탑승자의 편안한 탑승과 하차를 위하여 지면에서 차량바닥까지의 높이를 30㎝ 이내로 낮춘 저상 버스를 말한다.
따라서, 초저상 버스에는 계단이 없이 플로어(floor)가 형성되고, 승객들의 출입을 허용하는 도어는 차량의 내측으로 접어 개폐하는 스윙인도어가 채택됨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초저상 버스의 플로어는 도어의 내측으로 갈수록 다소 높게 경사각을 가지게 제작되는데, 이는 플로어상의 물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려한 구조이다.
즉, 초저상 버스의 플로어는 수평면에 비하여 약간의 경사각을 갖게 되는데, 이에 따라 차량의 내측으로 접혀 개폐되는 도어의 경우, 도어의 내측으로 갈수록 플로어의 수준이 높기 때문에 차량의 내측으로 접혀 열리는 스윙인도어 하단이 플로어의 바닥에 걸릴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초저상 버스는 스윙인도어의 하단에 브러쉬를 부착하여 문이 열릴 경우, 브러쉬의 끝단이 구부러지며 플로어와 접촉하게 되고, 문이 닫힐 경우, 브러쉬의 구부러진 부위가 펴지며 플로어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초저상 버스의 스윙인도어는 차량이 주행중인 경우, 밀려드는 바람이 강하여 브러쉬 사이의 공간을 통해 많은 바람이 들어오며, 바람을 통해 먼지 등이 내부로 유입될 소지가 있어 승객들의 위생상 건강에 좋지않다.
그리고 스윙인도어는 하단부에 부착된 브러쉬가 플로어에 쌓인 각종 이물질 및 먼지 등을 쓸면서 지나가기 때문에 이물질 등이 묻은 브러쉬의 색이 변하고, 브러쉬 내부에 진드기와 같은 미생물이 번식할 소지가 있다.
또한, 스윙인도어는 계속되는 개폐작동에 의하여 하단의 브러쉬가 자주 구부러지고 펴지기 때문에 브러쉬는 탄성을 잃고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브러쉬는 차량의 외부에서 볼 때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버스의 도어 개폐에 따라 회전하는 브러쉬를 도어 실내측 하부면에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시, 외기와 이물질들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을 잃고 구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는, 차량의 주행 시, 버스의 도어 하부와 플로어 사이의 틈새로 외기와 각종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어의 실내측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하단부에 설치된 도어암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실링부재의 적어도 일측에 대응하며, 상기 도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실링부재는 핀부재를 통해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는 상기 고정 실링부재가 설치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핀부재의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핀부재의 다른 일단부는 상기 고정 실링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실링부재는 상기 핀부재를 통해 상기 도어에 힌지 결합되며, 하단부의 형상이“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중앙부에 장착홈을 지닌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회전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실링부재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게 장착되며, 하단부의 형상이“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중앙부에 장착홈을 지닌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고정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실링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 실링부재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암에는 상기 도어의 열림 시, 상기 회전 실링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바이어스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실링부재에는 상기 바이어스부재와 접촉되는 지지 플레이트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고정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 실링부재 및 고정 실링부재를 감싸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버스의 도어 개폐에 따라 회전하는 브러쉬를 도어 실내측 하부면에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시, 외기와 이물질들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을 잃고 구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체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가 적용된 도어의 실내측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가 적용된 도어의 실외측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체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체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10)는 버스의 도어(1)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1)와 경사진 플로어(미도시)사이의 틈새로 외부소음 및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들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10)는 탄성을 잃고 구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10)는 회전 실링부재(11)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회전 실링부재(11)가 설치되는 부분을 실내측으로 정의하고, 그 반대측을 실외측이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실링부재(11)는 버스의 도어(1) 실내측 하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 시, 상기 도어(1)와 플로어 사이의 틈새로 외기와 각종 이물질들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1)의 실내측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한편, 상기 도어(1)의 하단부에는 도어암(3)이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암(3)은 도어(1)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도어(1)의 열림 시, 실내측 하부에 설치된 회전 실링부재(11)를 밀어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 실링부재(11)는 도어(1)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13)와, 회전 플레이트(13)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회전 브러쉬(1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13)는 도어(1)의 실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하단부가 “ㄷ”자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 브러쉬(15)가 장착되는 장착홈(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브러쉬(15)는 장착홈(17)에 장착되어 외기와 각종 이물질들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 브러쉬(15)의 소재는 솔부재, 고무부재, 실리콘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실링부재(11)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 회전 플레이트(13)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핀부재(19)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핀부재(19)는 회전 실링부재(1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단부가 회전 실링부재(11)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 실링부재(11)를 기준으로 적어도 일측에 대응하며, 도어(1)의 실내측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실링부재(2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 실링부재(21)는 도어(1)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고정 플레이트(23)와, 고정 플레이트(23)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고정 브러쉬(2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23)는 핀부재(19)의 돌출된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 플레이트(13)의 일측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1)의 실내측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13)와 동일하게 하단부가 “ㄷ”자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 브러쉬(25)가 장착되는 장착홈(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러쉬(25)는 상기 회전 브러쉬(15)와 마찬가지로 장착홈(17)에 장착되어 외기와 각종 이물질들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 브러쉬(25)의 소재는 솔부재, 고무부재, 실리콘부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실링부재(11)를 사이에 두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핀부재(19)의 돌출된 다른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27)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10)는 판스프링(2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29)은 양단부 사이의 중앙부가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측 단부가 도어(1)에 장착되고, 다른 일측 단부가 회전 플레이트(13)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판스프링(29)은 도어의 개폐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실링부재(11)를 정위치로 복원시키고, 도어(1)의 닫힘 시, 주행 중 외부환경에 의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10)는 바이어스부재(3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어스부재(33)는 도어암(3)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어 도어(1)의 열림 시, 실내측 하부에 설치된 상기 회전 실링부재(11)를 밀어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바이어스부재(33)는 도어암(3)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실링부재(11)의 후면에는 바이어스부재(33)와 접촉되는 지지 플레이트(3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1)는 바이어스부재(33)가 회전 실링부재(11)를 밀어 상방향으로 회전 시킬 때, 상기 회전 실링부재(11)와 바이어스부재(33)의 부품간 간섭 및 마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반원의 형상인 스테인레스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10)는 커버부재(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35)는 도어(1)의 실내측 하부면에 고정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 실링부재(11) 및 고정 실링부재(21)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재(35)는 도어(1)의 개폐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실링부재(11)와 고정되게 장착된 고정 실링부재(21)를 외부조건으로부터 보호하고, 차량에 탑승한 승객들의 발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의 장착방법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의 작동상태도이고,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체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10)는 상기 회전 실링부재(11)를 사이에 두고, 도어(1)의 하부 일측에는 고정 실링부재(21)가 고정되게 장착되고, 다른 일측에는 고정 브라켓(27)이 고정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의 하부 양측에 장착된 고정 실링부재(21)와 고정 브라켓(27)사이로 회전 실링부재(11)가 연결되는데, 상기 회전 실링부재(11)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 실링부재(11)의 상부에 핀부재(19)가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핀부재(19)는 회전 실링부재(11)를 기준으로 양단이 돌출되게 연결되고, 돌출된 양단부는 상기 고정 실링부재(21)와 고정 브라켓(27)에 고정되게 장착되어 회전 실링부재(11)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장착된 상태에서, 도어(1)와 회전 플레이트(13)의 양면에 수직방향으로 판스프링(29)이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판스프링(29)은 도어의 개폐작동에 따라 변형되는 회전 실링부재(11)를 정위치로 복원시키고, 도어(1)의 닫힘 시, 주행 중 외부환경에 의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1)의 하단부에 연결된 도어암(3)에 바이어스부재(33)가 장착되며, 상기 바이어스부재(33)와 회전 실링부재(11)의 부품간 간섭 및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 실링부재(11)의 후면에 지지 플레이트(31)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도어(1)의 하부에 장착된 회전 실링부재(11) 및 고정 실링부재(21)를 감싸는 형태로 커버부재(35)가 도어(1)의 하부면 전체에 고정되게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10)는 도어(1)의 개폐에 따라 상기 도어(1)와 도어암(3)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고, 도어암(3)에 장착된 바이어스부재(33)가 도어(1)의 열림 시, 회전 실링부재(11)를 밀어 상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가 닫히게 될 때에는 도어암(3)이 멀어지면서 회전 실링부재(11)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 판스프링(29)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 실링부재(11)가 원위치로 이동되며, 차량 주행 중에 발생하는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10)는 도어(1)의 개폐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실링부재(11)를 도어(1)의 실내측 하부면에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시, 외기와 이물질들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 실링부재(11)가 판스프링(29)을 통해 고정되므로, 탄성을 잃고 구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도어 3...도어암
10...도어 실링 장치 11...회전 실링부재
13...회전 플레이트 15...회전 브러쉬
17...장착홈 19...핀부재
21...고정 실링부재 23...고정 플레이트
25...고정 브러쉬 27...고정 브라켓
29...판스프링 31...지지 플레이트
33...바이어스부재 35...커버부재

Claims (10)

  1. 차량의 주행 시, 버스의 도어 하부와 플로어 사이의 틈새로 외기와 각종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어의 실내측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도어의 하단부에 설치된 도어암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실링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실링부재의 적어도 일측에 대응하며, 상기 도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실링부재는 핀부재를 통해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는 상기 고정 실링부재가 설치되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핀부재의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핀부재의 다른 일단부는 상기 고정 실링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실링부재는,
    상기 핀부재를 통해 상기 도어에 힌지 결합되며, 하단부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중앙부에 장착홈을 지닌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회전 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실링부재는,
    상기 도어에 고정되게 장착되며, 하단부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중앙부에 장착홈을 지닌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고정 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 실링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 실링부재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암에는 상기 도어의 열림 시, 상기 회전 실링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바이어스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실링부재에는 상기 바이어스부재와 접촉되는 지지 플레이트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고정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 실링부재 및 고정 실링부재를 감싸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
KR1020110095941A 2011-09-22 2011-09-22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 KR201300321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941A KR20130032181A (ko) 2011-09-22 2011-09-22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941A KR20130032181A (ko) 2011-09-22 2011-09-22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181A true KR20130032181A (ko) 2013-04-01

Family

ID=4843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941A KR20130032181A (ko) 2011-09-22 2011-09-22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21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9406A (ko) 2016-09-12 2018-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도어 하부 실링 장치
KR20180136699A (ko) * 2017-06-15 2018-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단의 실링구조가 개선된 차량의 폴딩도어
KR20190110339A (ko) 2018-03-20 2019-09-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스윙인 도어 실링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9406A (ko) 2016-09-12 2018-03-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도어 하부 실링 장치
KR20180136699A (ko) * 2017-06-15 2018-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단의 실링구조가 개선된 차량의 폴딩도어
KR20190110339A (ko) 2018-03-20 2019-09-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스윙인 도어 실링 장치
US11135908B2 (en) 2018-03-20 2021-10-05 Hyundai Motor Company Sealing device of swing-in door for b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300276B2 (en) Skirt for slide-glide door
KR102506764B1 (ko) 버스용 스윙인 도어 실링 장치
TWI545032B (zh) 擺動門之密封總成
KR20130032181A (ko) 버스용 도어 실링 장치
CA2922281C (en) Door seal assembly
JP5860425B2 (ja) 開き戸
JP2007138663A (ja) スライド・スイング式ドア
KR101557986B1 (ko) 회전 개폐식 창호시스템
KR101627692B1 (ko) 슬라이딩 자동문 밀폐장치
KR200399555Y1 (ko) 도어의 열림각도 제어장치
JP6052809B2 (ja) 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カバーのコーナー被覆構造
JP5483551B2 (ja) ドアレール清掃装置
JP3533571B2 (ja) 耐震上吊り引き戸構造
CN218991432U (zh) 一种门下口密封装置
KR200254820Y1 (ko) 도어의 하부공간 차단장치
KR100820465B1 (ko) 버스의 사이드 창문
KR200369692Y1 (ko) 출입문 안전장치
JPH0512088Y2 (ko)
KR101997282B1 (ko) 도어 체커 일체형 도어 힌지 장치
KR200150549Y1 (ko) 조작력이 향상된 힌지브라켓트를 구비한 아암레스트
KR20060020721A (ko) 틈새차단 문
KR20090008929U (ko) 외부 유리창 청소장치
KR200415986Y1 (ko) 틈새차단 문
JPH03250178A (ja) ドアの吊車装置
JP2000170433A (ja) 上吊り式引き戸のがたつき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