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1978A - 블라인드 리벳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리벳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1978A
KR20130031978A KR1020110095585A KR20110095585A KR20130031978A KR 20130031978 A KR20130031978 A KR 20130031978A KR 1020110095585 A KR1020110095585 A KR 1020110095585A KR 20110095585 A KR20110095585 A KR 20110095585A KR 20130031978 A KR20130031978 A KR 20130031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t
shim
cylinder
flang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필
Original Assignee
정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필 filed Critical 정종필
Priority to KR1020110095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1978A/ko
Publication of KR20130031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083Self-drilling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개의 판재를 체결하는 블라인드 리벳에 있어서, 중심에 나사형의 너트부가 관통형성되고, 상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 하부면에는 쐐기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의 하부면이 상기 판재에 접촉시 외력에 의한 회전을 차단시키는 돌기가 형성된 원통과; 상기 너트부에 결합되는 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되며 중심부에 리벳 심 분리 절단 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드라이버 체결홈이 형성된 머리와, 상기 몸체 하부에 상기 몸체보다 직경이 큰 드릴 헤드가 형성된 리벳 심;으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의 너트부 나사는 상기 리벳 심의 드릴링 방향 회전시 상기 리벳 심이 상기 원통에서 탈출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져, 두개의 판재를 맞대고 상기 리벳 심을 수직으로 세운 후, 드라이버로 상기 리벳 심의 머리를 회전시키면 상기 리벳 심의 드릴 헤드에 의하여 두개의 판재를 드릴링시켜 관통되도록 하고, 상기 플랜지가 판재에 접촉되면 드라이버의 회전력이 상기 리벳 심 몸체에 전달되어 상기 리벳 심 몸체가 탈출되도록 하며, 상기 리벳 심의 탈출시에는 상기 드릴 헤드가 상기 원통 하단을 변형하여 리벳 심의 탈출 저항을 증가시켜 상기 리벳 심 분리 절단 홈에서 리벳 심 몸체가 끊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리벳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벳팅 작업시에 1차적인 드릴링 작업시 드라이버 방향과 2차적인 리벳 체결 작업시 드라이버 방향이 동일하여, 리벳 작업시에 드라이버의 방향 전환없이 리벳팅 작업이 완료되어 작업 속도를 개선하고 작업 공수를 절감시키는 블라인드 리벳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블라인드 리벳{(blind ribet}
본 발명은 두개의 판재를 체결하는 블라인드 리벳에 있어서, 중심에 나사형의 너트부가 관통형성되고, 상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 하부면에는 쐐기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의 하부면이 상기 판재에 접촉시 외력에 의한 회전을 차단시키는 돌기가 형성된 원통과; 상기 너트부에 결합되는 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되며 중심부에 리벳 심 분리 절단 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드라이버 체결홈이 형성된 머리와, 상기 몸체 하부에 상기 몸체보다 직경이 큰 드릴 헤드가 형성된 리벳 심;으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의 너트부 나사는 상기 리벳 심의 드릴링 방향 회전시 상기 리벳 심이 상기 원통에서 탈출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져, 두개의 판재를 맞대고 상기 리벳 심을 수직으로 세운 후, 드라이버로 상기 리벳 심의 머리를 회전시키면 상기 리벳 심의 드릴 헤드에 의하여 두개의 판재를 드릴링시켜 관통되도록 하고, 상기 플랜지가 판재에 접촉되면 드라이버의 회전력이 상기 리벳 심 몸체에 전달되어 상기 리벳 심 몸체가 탈출되도록 하며, 상기 리벳 심의 탈출시에는 상기 드릴 헤드가 상기 원통 하단을 변형하여 리벳 심의 탈출 저항을 증가시켜 상기 리벳 심 분리 절단 홈에서 리벳 심 몸체가 끊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리벳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벳은 각종 기계 장치 또는 구조물을 형성하는 데 이용되는 이음 방법으로 2개 이상의 판재를 일체형으로 체결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리벳 이음은 연결하고자 하는 판재에 드릴링 작업을 통해서 구멍을 형성시키고, 리벳을 상기 구멍에 끼워 넣은 다음에 망치나 기계적인 장치를 통해서 걸림턱 즉, 머리를 형성시켜서 고정하게 된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작업은 수작업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나, 연결 과정이 복잡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불량율이 크게 좌우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리벳팅 작업을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형태의 리벳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것이 중 하나가 블라인드 리벳이다.
블라인드 리벳은 헤드와 리벳 몸체 및 절단 홈으로 이루어진 리벳 심과, 상기 리벳 심에 가결합되는 확장 원통으로 구성되며, 이 블라인드 리벳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두 개 이상의 판재에 체결구멍을 천공하고, 이 체결구멍에 블라인드 리벳의 헤드 부분을 삽입한 다음, 별도의 공구(일반적으로 공압 공구를 이용함)를 사용하여 리벳 심을 당겨서 확장 원통 하부에 머리를 성형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기술들은 리벳팅 전용 공구를 이용하여야 하며, 작업 숙련도를 요하고 작업 노력이 크게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개특허 10-2011-0090255를 선출원한 바 있다.
이하 도 7과 함께 상기 선출원의 블라인드 리벳을 살펴보면, 상기 상기 선출원의 블라인드 리벳은 리벳 심(20)과 원통(10)으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10)의 상단부에는 플랜지(12)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2)의 하부면에는 돌기(12a)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12a)는 상기 플랜지(12)의 하부면에 쐐기 형상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원통(10)의 중심에는 왼나사형의 너트부(11)가 관통형성되며, 리벳 심(20)은 상기 너트부(11)에 결합되는 나사부(22b)가 외주면에 형성된 몸체(22)와 상기 몸체(22)의 상부에 드라이버 체결홈(24a24a)이 형성된 머리(24)와 상기 몸체(22) 하부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드릴 날부(26)로 이루어진다.
상기 나사부(22b)는 너트부와 동일하게 왼쪽 나사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22)에는 분리 절단 홈(22a)이 형성되고, 상기 원통(10)의 하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개홈(16)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16)은 하부 머리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원통(10)의 하부가 잘 변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분리 절단 홈(22a)은 하부 머리를 성형한 후 몸체(22)가 절단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블라인드 리벳은 체결하고자하는 두개의 판재인 제1부재(1)와 제2부재(2)를 겹쳐높은 상태에서 리벳이 체결되는 위치에 블라인드 리벳의 드릴 날부(26)를 위치시켜서 드라이버(DD)를 이용하여 회전시켜서 구멍(H)을 성형하게 된다.(여기서, 이용되는 드라이버(DD)는 자동 및 수동으로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블라인드 리벳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드릴링 작업이 완료되면, 플랜지(12)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된 돌기(12a)가 제1부재의 상부면에 접촉하게 되며, 하부 머리를 성형하기 위해서 드라이버를 반대로(시계 방향) 회전시키면, 리벳 심이 회전되면서 드릴 날부(16)에 의해서 원통의 하부에 하부 머리(10a)가 성형된다.
이때 수직으로 절개된 절개홈(16)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원통 하부가 변형된다.
다음으로 일정한 형태로 원통 하부의 변형이 이루어지면, 몸체에 형성된 분리 절단 홈(22a)에 의해서 리벳 심이 분리되면서 작업이 완료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선출원의 경우에는 리벳 작업시에 드라이버의 방향을 바꾸어야 하므로 작업 속도와 공수 추가의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 20-2003-0016573 공개특허번호 10-2011-009025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리벳 작업시에 드라이버의 방향 전환없이 리벳팅 작업이 완료되어 작업 속도를 개선하고 작업 공수를 절감시키는 블라인드 리벳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개의 판재를 체결하는 블라인드 리벳에 있어서, 중심에 나사형의 너트부가 관통형성되고, 상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 하부면에는 쐐기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의 하부면이 상기 판재에 접촉시 외력에 의한 회전을 차단시키는 돌기가 형성된 원통과; 상기 너트부에 결합되는 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되며 중심부에 리벳 심 분리 절단 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드라이버 체결홈이 형성된 머리와, 상기 몸체 하부에 상기 몸체보다 직경이 큰 드릴 헤드가 형성된 리벳 심;으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의 너트부 나사는 상기 리벳 심의 드릴링 방향 회전시 상기 리벳 심이 상기 원통에서 탈출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져, 두개의 판재를 맞대고 상기 리벳 심을 수직으로 세운 후, 드라이버로 상기 리벳 심의 머리를 회전시키면 상기 리벳 심의 드릴 헤드에 의하여 두개의 판재를 드릴링시켜 관통되도록 하고, 상기 플랜지가 판재에 접촉되면 드라이버의 회전력이 상기 리벳 심 몸체에 전달되어 상기 리벳 심 몸체가 탈출되도록 하며, 상기 리벳 심의 탈출시에는 상기 드릴 헤드가 상기 원통 하단을 변형하여 리벳 심의 탈출 저항을 증가시켜 상기 리벳 심 분리 절단 홈에서 리벳 심 몸체가 끊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리벳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원통의 하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리벳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통의 플랜지 아래 외측에는 상기 원통과 슬립되는 외통이 더 추가 형성되어 드라이버로 판재를 관통할 때, 상기 원통의 판재에 대한 마찰 저항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리벳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통의 하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리벳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리벳팅 작업시에 1차적인 드릴링 작업시 드라이버 방향과 2차적인 리벳 체결 작업시 드라이버 방향이 동일하여, 리벳 작업시에 드라이버의 방향 전환없이 리벳팅 작업이 완료되어 작업 속도를 개선하고 작업 공수를 절감시키는 블라인드 리벳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의 사용예시도.
도 7은 선출원(공개특허번호 10-2011-0090255)의 분해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 리벳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원통(10)과 리벳 심(20)과 외통(10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두개의 판재인 제1 부재(1)와 제2 부재(2)를 체결하는 블라인드 리벳에 관한 것으로서,본 출원인의 선출원특허(공개특허번호 10-2011-0090255)와 구조가 큰 부분에서 일치하며, 다만, 외통(100)이 추가되고, 상기 원통(10)과 리벳 심(20)의 나사 체결 방향이 다르다.
본 발명의 원통(10)은 중심에 나사형의 너트부(11)가 관통형성되고, 상단에는 플랜지(12)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2) 하부면에는 쐐기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플랜지(12)의 하부면이 상기 판재에 접촉시 외력에 의한 회전을 차단시키는 돌기(1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10)의 하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개홈(16)이 형성되어 리벳 체결 작업 과정에서 하부 리벳 머리 성형이 안내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리벳 심(20)은 상기 너트부(11)에 결합되는 나사부(22b)가 외주면에 형성되며 중심부에 리벳 심 분리 절단 홈(22a)이 형성된 몸체(22)와, 상기 몸체(22)의 상부에 드라이버 체결홈(24a)이 형성된 머리(24)와, 상기 몸체(22) 하부에 상기 몸체(22)보다 직경이 큰 드릴 헤드(2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원통(10)의 너트부(11)는 상기 리벳 심(20)의 드릴링 방향 회전시 상기 리벳 심(20)이 상기 원통(10)에서 탈출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지는데, 선출원특허(공개특허번호 10-2011-0090255)의 경우에는 드릴링 방향과 반대 방향일 경우에 상기 리벳 심(20)이 상기 원통(10)에서 탈출하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선등록 특허는 원통(10)의 너트부(11)와 리벳 심의 나사부(22b)가 드릴링 작업시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지고, 본 발명의 경우에는 원통(10)의 너트부(11)와 리벳 심의 나사부(22b)가 드릴링 작업시 탈출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원통(10)의 플랜지(12) 아래 외측에 상기 원통(10)과 슬립되는 외통(100)이 더 추가 형성되어 드라이버(D)로 판재를 관통할 때, 상기 원통(10)에 판재에 의한 마찰 저항을 차단하여 드릴링 회전력이 상기 리벳 심(2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외통(100)의 하단에도, 수직방향으로 외통 절개홈(160)이 형성되어 리벳 체결 작업 과정에서 하부 리벳 머리 성형(10a)이 안내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며, 이하 본 발명의 실시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최초 작업 과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판재(상부 제1 부재(1)와 하부 제2 부재(2))를 맞대고 상기 리벳 심(20)을 수직으로 세운 후, 드라이버(D)로 상기 리벳 심(20)의 머리를 회전시키면 상기 리벳 심(20)의 드릴 헤드(26)에 의하여 두개의 판재를 드릴링시켜 도 4와 같이 관통된다.
이때 드릴링에 관여하는 힘은 수직으로 드라이버(D)를 누르는 힘과 리벳 심(20)의 드릴 헤드 회전력이 되며, 원통(10)은 외통(100)에 슬립되어 드라이버의 회전력이 리벳 심(20)에 전달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2)가 판재(제1 부재(1)에 접촉되면 상기 플랜지(12) 하부면의 돌기(12a)에 의하여 원통의 회전이 차단되어 상기 드라이버(D)의 회전력이 비로소 상기 리벳 심(20) 몸체에 전달된다.
상기 리벳 심(20)에 전달된 드라이버(D)의 회전력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벳 심 몸체(22)가 원통(10)에서 탈출되도록 하며, 상기 리벳 심(20)의 탈출시에는 상기 드릴 헤드(26)가 상기 원통 하단을 변형하여 리벳 심(20)의 탈출 저항을 증가시킨다.
상기 리벳 심(20)의 탈출 저항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벳 심 분리 절단 홈(22a)에서 리벳 심 몸체(22)가 끊어지도록 하여 리벳 체결 작업이 종료된다.
이상과 같은 리벳 체결 작업을 살펴보면 리벳을 두개의 부재에 관통시키기 위한 드릴링 작업시의 드라이버 방향과 원통 하단을 변형하여 리벳을 체결시키기 위한 드라이버 방향이 동일하여, 전체적인 리벳팅 작업이 드라이버로 본 발명을 밀어넣는 것만으로 종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원통
112: 나사부
12: 플랜지
12a: 돌기
16: 절개홈
20: 리벳 심
22: 몸체
22a: 분리 절단 홈
22b: 나사부
24: 머리
24a: 드라이버 체결홈
26: 드릴 날부
100 : 외통
160 : 외통 절개홈

Claims (4)

  1. 두개의 판재를 체결하는 블라인드 리벳에 있어서,
    중심에 나사형의 너트부가 관통형성되고, 상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 하부면에는 쐐기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의 하부면이 상기 판재에 접촉시 외력에 의한 회전을 차단시키는 돌기가 형성된 원통과;
    상기 너트부에 결합되는 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되며 중심부에 리벳 심 분리 절단 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드라이버 체결홈이 형성된 머리와, 상기 몸체 하부에 상기 몸체보다 직경이 큰 드릴 헤드가 형성된 리벳 심;
    으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의 너트부 나사는 상기 리벳 심의 드릴링 방향 회전시 상기 리벳 심이 상기 원통에서 탈출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져,
    두개의 판재를 맞대고 상기 리벳 심을 수직으로 세운 후, 드라이버로 상기 리벳 심의 머리를 회전시키면 상기 리벳 심의 드릴 헤드에 의하여 두개의 판재를 드릴링시켜 관통되도록 하고, 상기 플랜지가 판재에 접촉되면 드라이버의 회전력이 상기 리벳 심 몸체에 전달되어 상기 리벳 심 몸체가 탈출되도록 하며, 상기 리벳 심의 탈출시에는 상기 드릴 헤드가 상기 원통 하단을 변형하여 리벳 심의 탈출 저항을 증가시켜 상기 리벳 심 분리 절단 홈에서 리벳 심 몸체가 끊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리벳.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의 하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리벳.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의 플랜지 아래 외측에는
    상기 원통과 슬립되는 외통이 더 추가 형성되어
    드라이버로 판재를 관통할 때, 상기 원통의 판재에 대한 마찰 저항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리벳.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의 하단에는,
    수직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리벳.
KR1020110095585A 2011-09-22 2011-09-22 블라인드 리벳 KR20130031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585A KR20130031978A (ko) 2011-09-22 2011-09-22 블라인드 리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585A KR20130031978A (ko) 2011-09-22 2011-09-22 블라인드 리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978A true KR20130031978A (ko) 2013-04-01

Family

ID=4843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585A KR20130031978A (ko) 2011-09-22 2011-09-22 블라인드 리벳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197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772A1 (ko) * 2016-10-19 2018-04-26 주식회사 토비스 터치패널 고정장치
KR200490658Y1 (ko) 2019-03-04 2019-12-13 주식회사 신우산업 블라인드 리벳
CN115135887A (zh) * 2020-04-22 2022-09-30 宝马股份公司 用于设置螺纹的铆钉元件
KR102598438B1 (ko) * 2023-07-06 2023-11-06 김정숙 패널 체결부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772A1 (ko) * 2016-10-19 2018-04-26 주식회사 토비스 터치패널 고정장치
KR200490658Y1 (ko) 2019-03-04 2019-12-13 주식회사 신우산업 블라인드 리벳
CN115135887A (zh) * 2020-04-22 2022-09-30 宝马股份公司 用于设置螺纹的铆钉元件
KR102598438B1 (ko) * 2023-07-06 2023-11-06 김정숙 패널 체결부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8063B2 (en) Steel pipe coupling device for steel pipes
US7594455B2 (en) Fastener removing tool
KR20130031978A (ko) 블라인드 리벳
US20060251490A1 (en) Blind fastener and method of removing it from a workpiece
JP2006529021A (ja) ブラインド締結具および該ブラインド締結具を据付ける方法
AU2007213931A1 (en) Blind rivet and associated method
JP2007290107A (ja) 位置決めピン用引き抜き装置
US20180250800A1 (en) Fastener device with cam assembly
KR101144294B1 (ko) 블라인드 리벳
JP4453108B1 (ja) 釘抜き取り装置及び釘抜き取り方法
KR20180072501A (ko) 전동공구용 앵커 펀치
US6363768B1 (en) Precision bucking bar
EP3577317A1 (en) Fastener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KR101145195B1 (ko) 다기능 망치
KR20180009895A (ko) 블라인드 리벳
KR102029264B1 (ko) 밀링바 체결용 보링아바
JPH07508575A (ja) 自己ドリリング中空リベット
KR102056294B1 (ko) 블라인드 리벳
TWI810133B (zh) 模板連結工具
JP6836784B2 (ja) アンカー打込み工具
US11673242B2 (en) Fastener device with cam assembly
JPH05157108A (ja) リベット
KR102659908B1 (ko) 코아드릴용 코아망치셋
CN210025086U (zh) 一种方便组装的内六角螺丝批
JP5436617B2 (ja) リベット取外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