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264B1 - 밀링바 체결용 보링아바 - Google Patents

밀링바 체결용 보링아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264B1
KR102029264B1 KR1020180001828A KR20180001828A KR102029264B1 KR 102029264 B1 KR102029264 B1 KR 102029264B1 KR 1020180001828 A KR1020180001828 A KR 1020180001828A KR 20180001828 A KR20180001828 A KR 20180001828A KR 102029264 B1 KR102029264 B1 KR 102029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oring
milling
fastener
bor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3866A (ko
Inventor
조권희
Original Assignee
조권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권희 filed Critical 조권희
Priority to KR1020180001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2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12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2Boring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링머신에 밀링바를 체결하여 밀링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밀링바 체결용 보링아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지의 보링머신 스핀들에 체결되어 밀링바를 체결시키는 보링아바에 관한 것으로, 외측과 내측으로 테이퍼 생크(Taper Shank)가 형성되는 보링아바를 구비하고, 상기 보링아바의 직경이 적은 쪽에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체결구를 끼우되 상기 체결구에 형성된 플렌지가 보링아바의 선단에 받쳐지게 하는 한편 상기 체결구의 선단에 형성된 나사부가 보링아바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하고, 상기 보링아바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밀링바가 체결구의 나사부에 결합되어 테이퍼 생크가 밀착되게 하고, 상기 보링아바에는 밀링바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돌출되어 고정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밀링바 체결용 보링아바{Boring arbor for fixing a milling bar}
본 발명은 보링머신에 밀링바를 체결하여 밀링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밀링바 체결용 보링아바에 관한 것이다.
보링머신은 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스핀들(Spindle)이 구비되고, 상기 스핀들에는 보링바가 결합되며, 상기 보링바는 드릴로 뚫은 구멍을 크게 하거나 구멍의 내벽면이 매끄럽지 못한 경우 절삭가공을 해줌으로써 구멍의 직경을 확장시키거나 내벽면의 조도를 높이는데 사용된다.
밀링머신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위에서 왕복 이동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을 왕복 이동시키는 이송 유니트와,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는 주축 헤드 어셈블리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주축 헤드 어셈블리에는 회전 운동하며 밀링 작업이 이루어지는 엔드밀 등의 밀링바를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밀링머신에서 밀링 작업을 위하여 사용되는 밀링바와, 보링머신에서 보링 작업을 위하여 사용되는 보링바는 스핀들에 결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보링바와 밀링바는 체결 방식과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밀링바를 보링 머신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없음은 물론 보링바를 밀링 머신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없으나, 기본적으로 보링바는 가격이 비싸고, 밀링바는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밀링바를 보링머신에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공구 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특히, 보링머신에서 밀링바를 이용한 작업이 필요할 경우, 별도의 보링바를 구매하지 않고도 기존의 밀링바를 보링머신에 장착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930397호(2010.01.06. 등록)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4-0016009호(2014.02.07 공개)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635462호(2016.06.27. 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732624호(2007.06.20. 등록)
본 발명은 보링머신에서 밀링바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링머신에 밀링바를 장착하는 보링아바를 스핀들에 체결함으로써, 보링머신에서 밀링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공지의 보링머신 스핀들에 체결되어 밀링바를 체결시키는 보링아바에 관한 것으로, 외측과 내측으로 테이퍼 생크(Taper Shank)가 형성되는 보링아바를 구비하고, 상기 보링아바의 직경이 적은 쪽에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체결구를 끼우되 상기 체결구에 형성된 플렌지가 보링아바의 선단에 받쳐지게 하는 한편 상기 체결구의 선단에 형성된 나사부가 보링아바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하고, 상기 보링아바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밀링바가 체결구의 나사부에 결합되어 테이퍼 생크가 밀착되게 하고, 상기 보링아바에는 밀링바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돌출되어 고정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밀링바를 보링아바에 끼워주되 체결구가 밀링바의 선단에 나사 결합되게 한 후 체결구 쪽으로 보링머신의 스핀들에 보링아바를 끼워주되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끼워지도록 결합시키게 되며, 상기 스핀들의 회전력은 보링아바와 결합돌기를 통하여 밀링바로 전달되고, 상기 밀링바에 끼워지는 바이트에 의해 공작물의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보링아바의 구멍에 끼워진 체결구가 밀링바를 고정시킨 후에는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보링아바의 구멍 외측으로 고정기어를 환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끼워지는 체결구에는 상기 고정기어의 내측에.끼워지는 고정핀이 돌출되게 함으로써, 체결구의 풀림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보링머신에 밀링바를 끼워서 작업을 하기 위한 것으로, 보링아바를 이용하여 밀링바를 체결한 후 보링아바를 보링머신의 스핀들에 체결함으로써 밀링바에 고정된 바이트를 이용하여 보링머신에서 밀링작업을 할 수 있으며, 가격이 저렴한 밀링바를 이용하여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격이 고가인 보링바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체결구가 밀링바에 결합을 완료한 상태에서는 체결구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면에서 고정핀을 돌출시켜 고정기어에 치합되게 한다.
도 1은 보링머신에 보링바가 체결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보링머신에 보링바와 보링아바가 체결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링아바 체결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링아바에 밀링바가 끼워지는 상태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링아바에 밀링바가 체결된 상태를 보이는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보링아바가 스핀들에 체결된 상태를 보인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분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조립 단면도
본 발명은 보링머신에 밀링바를 체결하여 작업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저렴한 밀링바를 이용하여 고가의 보링바를 사용하지 않고도 작업이 가능한 것이어서, 간단한 보링아바의 사용으로 보링머신에서 밀링작업이 가능한 동시에 저렴한 공구를 활용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링머신의 스핀들에 보링아바를 체결하여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보링아바에는 밀링바가 결합되게 함으로써, 밀링바를 보링머신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외측과 내측으로 테이퍼 생크(Taper Shank)가 형성되는 보링아바는 상하가 관통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측으로 체결구가 끼워지되 상기 체결구는 선단에 회전력 전달을 위한 일자 구조를 갖추는 플렌지를 형성하여 보링아바의 상측에 받쳐지게 하는 한편 하측은 보링아바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링아바의 하측에는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고정시키고, 상기 보링아바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밀링바는 외측으로 테이퍼 생크가 형성되는 한편 상측에는 체결구의 나사부가 끼워지게 되며, 밀링바의 하측으로 바이트를 끼워서 가공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보링머신의 스핀들은 공지의 장치로써 보링바가 결합되는 한편 본 발명의 보링아바가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 보링아바의 테이퍼 생크에 의해 스핀들에 고정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은 공지의 사실이고, 본 발명의 밀링바도 밀링머신에 체결되어 사용되는 공지의 구성인 것으로, 본 발명은 공지의 보링머신에 공지의 밀링바를 보링아바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보링머신에서 밀링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체결구가 밀링바에 결합을 완료한 상태에서는 체결구에서 고정핀을 돌출시켜 보링아바에 형성된 고정기어에 치합되게 함으로써 체결구의 풀림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공지된 보링머신(10)의 스핀들(20)에 공지의 밀링바(50)를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링아바(30)에 관한 것으로, 보링아바(30)는 내외측으로 각각 테이퍼 생크(31)(32)를 형성하여 외측의 테이퍼 생크(31)는 스핀들(20)에 끼워져 체결되고, 내측의 테이퍼 생크(32)는 밀링바(50)의 테이퍼 생크(51)가 끼워져 체결되며, 상기 보링아바(30)의 상측, 즉, 직경이 좁은 쪽에는 내외부가 관통하는 구멍(34)을 형성한 후 상기 구멍(34)에 체결구(35)를 끼워주되 상기 체결구(35)의 상측은 플렌지(37)에 의해 보링아바(30)에 받쳐지는 한편 스핀들(20)에 끼워지고 하측은 나사부(36)가 형성된 채로 보링아바(30)의 내부로 돌출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체결구(35)는 보링아바(30)의 선단에서 외측으로 빠질 수는 있으나, 플렌지(37)에 의해 내측으로 일정 거리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체결구(35)의 선단은 스핀들(20)에 끼워지면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보링아바(30)는 하측으로 밀링바(50)가 끼워지게 되고, 선단 하측으로는 양쪽으로 결합돌기(33)를 고정시킴으로써, 밀링바(50)에 형성된 결합홈(53)에 결합돌기(33)가 끼워지면서 회전력을 확실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밀링바(50)는 일측으로 형성된 테이퍼 생크(51)가 보링아바(30)의 내측에 형성된 테이퍼 생크(32)와 밀착되는 것으로, 밀링바(50)는 체결구(35)에 형성된 나사부(36)가 선단에 나사 결합되면서 밀링바(50)가 보링아바(30)의 내측으로 끼워지게 되고, 이때 테이퍼 생크(51)(32)가 서로 밀착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는 한편 결합돌기(33)가 결합홈(53)에 끼워지게 된다.
보링아바(30)에 결합된 밀링바(50)에는 바이트(52)가 고정되어 보링머신(10)의 스핀들(20) 회전에 의해 보링아바(30)와 밀링바(5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바이트(52)에서 가공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보링머신(10)에서 밀링바(50)를 이용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링아바(30)의 구멍(34) 외측으로 환형의 고정기어(61)를 형성하고, 상기 구멍(34)에 끼워지는 체결구(35)에는 고정핀(62)을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하여 고정핀(62)이 돌출될 때 고정기어(61)에 치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핀(62)은 스프링(63)에 탄지된 채로 체결구(35)에 함몰되어 설치되고, 상기 고정핀(62)은 플렌지(37)의 외측에서 밀음핀(64)을 끼우거나 빼냄으로써 체결구(35)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함몰되게 된다.
체결구(35)가 구멍(34)에 끼워진 상태에서 밀링바(50)을 체결할 때에는 고정핀(62)이 스프링(63)에 의해 함몰된 상태를 유지하고, 밀링바(50)의 고정이 완료된 후에는 렌치로 밀음핀(64)을 밀어 넣음으로써 고정핀(62)이 스프링(63)을 압착시키며 체결구(35)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고정기어(61)에 치합됨으로써 움직임이 방지되고, 체결구(35)를 풀을 때는 밀음핀(64)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핀(62)이 체결구(35)의 내측으로 함몰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공지된 스핀들(20)에 공지의 보링바(40)를 체결하여 보링 작업을 하는 것과, 스핀들(20)에 체결된 보링바(40)를 분리한 후 새로운 보링바(40)를 연결하는 과정은 공지의 사실이며, 밀링바(50)의 구조도 공지의 사실인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공지의 밀링바(50)를 보링머신(10)의 공지된 스핀들(20)에 체결하여 작업이 가능토록 하는 보링아바(30)에 관한 것이어서, 스핀들(20)과 보링바(40) 및 밀링바(50)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고, 보링아바(30)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보링아바(30)는 보링머신(10)의 스핀들(20)에 밀링바(50)를 체결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보링아바(30)에 밀링바(50)를 내삽시키되 밀링바(50)의 선단에 체결구(35)의 나사부(36)를 끼워서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체결구(35)의 플렌지(37)가 보링아바(30)의 선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밀링바(50)에 나사 결합되며, 이때, 밀링바(50)가 보링아바(30)의 내부에서 테이퍼 생크(32)(51)가 밀착된 채로 고정된다.
밀링바(50)은 선단에 체결구(35)의 나사부(36)를 끼운 채로 체결구(35)를 회전시킴으로써 밀링바(50)가 보링아바(30)에 끼워지게 되고, 이때, 체결구(35)의 플렌지(37)가 보링아바(30)에 받쳐진 채로 나사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밀링바(50)의 테이퍼 생크(51)와 보링아바(30)의 테이퍼 생크(32)가 밀착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밀링바(50)에는 바이트(52)를 끼워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밀링바(50)가 보링아바(30)에 끼워질 때, 밀링바(50)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홈(53)은 보링아바(30)의 하측에 돌출되게 고정된 결합돌기(33)에 끼워지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보링아바(30)의 회전력은 밀링바(50)로 확실하게 전달된다.
이같이, 밀링바(50)가 결합된 보링아바(30)는 스핀들(20)에 체결하는 것으로, 보링아바(30)의 체결구(35)가 스핀들(20)의 내측을 향한 상태에서 보링아바(30)를 스핀들(20)에 끼워서 보링아바(30)의 테이퍼 생크(31)가 스핀들(20)의 내부에 밀착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스핀들(20)에 끼워진 보링아바(30)는 테이퍼 생크(31)의 밀착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별도의 공구를 이용한 분리작업을 하기 전에는 스핀들(20)에서 보링아바(30)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스핀들(20)에 보링아바(30)를 이용하여 밀링바(50)를 체결한 후에는 보링머신(10)의 스핀들(20)을 회전시킴으로써 작업 대상물에 밀링바(50)에 고정된 바이트(52)를 이용한 작업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보링머신(10)에서 밀링바(50)를 이용한 작업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가격이 비싼 보링바(40)를 사용하지 않고, 가격이 저렴한 밀링바(50)를 이용하여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또한, 보링머신(10)에서 밀링 작업이 필요할 경우에도 밀링머신을 사용하지 않고도 본 발명의 보링아바(30)를 이용하여 밀링바(50)를 체결시킴으로써 밀링작업이 가능한 것이어서, 효과적으로 보링머신(10)을 이용한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밀링바(50)를 이용한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스핀들(20)의 회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분리도구를 이용하여 보링아바(30)를 분리시킨 후 체결구(35)를 회전시켜 밀링바(50)와 보링아바(30)를 분리시키면 작업이 완료되고, 보링머신(10)의 스핀들(20)에는 공지의 보링바(40)를 체결하여 보링작업이 이루어지게 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35)가 구멍(34)에 끼워진 상태에서 밀링바(50)을 체결할 때에는 고정핀(62)이 스프링(63)에 의해 함몰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체결구(35)를 회전시켜 밀링바(50)를 고정시키고, 밀링바(50)의 고정이 완료된 후에는 렌치로 밀음핀(64)을 돌려 밀어넣으면 고정핀(62)이 스프링(63)을 압착시키며 체결구(35)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고정기어(61)에 치합됨으로써 체결구(35)의 움직임이 방지된다.
밀링바(50)을 풀어낼 때는 렌치로 밀음핀(64)을 전술된 바의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후퇴시키면, 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핀(62)이 체결구(35)의 내측으로 함몰되고, 이로 인하여 체결구(35)는 자유 회전이 가능하다.
10 : 보링머신 20 : 스핀들
30 : 보링아바 31,32 : 테이퍼 생크
33 : 결합돌기 35 : 체결구
40 : 보링바 50 : 밀링바
51 : 테이퍼 생크 52 : 바이트
53 : 결합홈 61 : 고정기어
62 : 고정핀 63 : 스프링
64 : 밀음핀

Claims (4)

  1. 보링머신(10)의 스핀들(20)에 밀링바(50)를 체결시키는 보링아바(30)는 외측과 내측으로 테이퍼 생크(31)(32)를 형성하고,
    상기 보링아바(30)에 끼워지는 밀링바(50)의 외측에 형성되는 테이퍼 생크(51)는 보링아바(30)의 테이퍼 생크(32)와 밀착되면서 밀링바(50)가 보링아바(30)의 내측으로 끼워지게 하고,
    상기 보링아바(30)의 선단에는 내부와 관통되는 구멍(34)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34)에 끼워져 보링아바(30)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밀링바(50)를 나사 결합시키는 체결구(35)는 보링아바(30)의 선단에 플렌지(37)로 받쳐지면서 하부가 보링아바(3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하되 상기 체결구(35)의 선단에는 밀링바(50)를 나사 결합시키는 나사부(36)를 형성하고,
    상기 보링아바(30)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돌기(33)를 형성하되 상기 결합돌기(33)는 밀링바(50)가 보링아바(30)에 끼워질 때 밀링바(50)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53)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바 체결용 보링아바.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보링아바(30)의 구멍(34) 외측으로 환형의 고정기어(61)를 형성하고, 상기 구멍(34)에 끼워지는 체결구(35)에는 고정핀(62)을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하여 고정핀(62)이 돌출될 때 고정기어(61)에 치합되게 하고, 상기 고정핀(62)은 스프링(63)에 탄지된 채로 체결구(35)에 함몰되게 설치하고, 상기 고정핀(62)은 플렌지(37)의 외측에서 밀음핀(64)을 끼우거나 빼냄으로써 체결구(3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고정기어(61)에 치합되거나 함몰되어 체결구(35)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바 체결용 보링아바.
KR1020180001828A 2018-01-05 2018-01-05 밀링바 체결용 보링아바 KR102029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828A KR102029264B1 (ko) 2018-01-05 2018-01-05 밀링바 체결용 보링아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828A KR102029264B1 (ko) 2018-01-05 2018-01-05 밀링바 체결용 보링아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866A KR20190083866A (ko) 2019-07-15
KR102029264B1 true KR102029264B1 (ko) 2019-10-07

Family

ID=6725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828A KR102029264B1 (ko) 2018-01-05 2018-01-05 밀링바 체결용 보링아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5146A (zh) * 2019-09-19 2019-12-31 石钢京诚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镗床刀杆卡紧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136Y1 (ko) * 2000-12-26 2001-09-25 류시환 고정볼트의 풀림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0739U (ja) * 1982-03-23 1983-10-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引きネジ式テ−パシヤンク付工具
KR100732624B1 (ko) 2006-01-04 2007-06-27 (주)코리아테크닉스 공구홀더용 아바
KR100930397B1 (ko) 2007-12-24 2010-01-06 안성윤 기계가공공구의 퀵 체인저
KR20090108205A (ko) * 2008-04-11 2009-10-15 주식회사 코리아이엔지 절삭가공용 테이퍼홀더
KR20140016009A (ko) 2012-07-30 2014-02-07 (주)전진티티에스 피치의 차이를 이용한 콜렛과 아바의 결합구조
KR101635462B1 (ko) 2016-04-11 2016-07-01 주식회사 정한 보링바용 연결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5136Y1 (ko) * 2000-12-26 2001-09-25 류시환 고정볼트의 풀림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866A (ko) 201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6877B1 (en) Bit or tool extens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514117A (en) Quick-change tool holder and tool
US9022703B2 (en) Hole saw assembly
JP4213341B2 (ja) 工具継手
US9364903B2 (en) Drill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0081394A1 (zh) 一种自紧钻夹头
KR20110052476A (ko) 칩 제거 기계가공용 회전가능 공구와 이 공구를 위한 탈착형 상부 및 본체
US6223375B1 (en) Drilling and fastener driving tool
US7448834B2 (en) Tool clamping device
KR102029264B1 (ko) 밀링바 체결용 보링아바
KR101044046B1 (ko) 회전공구용 공구홀더
US20050105974A1 (en) Tool and method for the machine working of workpieces
US4509887A (en) Means for connecting a male part to a female part
US5782591A (en) Universal tool holding device for use with a power-driven, rotatable spindle machine
CA2665716A1 (en) Tool coupling
US748398A (en) Drill-chuck.
US20080224425A1 (en) Tool chucking apparatus
CA1220058A (en) Drive attachment for a power drill or like tool
KR20090108205A (ko) 절삭가공용 테이퍼홀더
US7172377B2 (en) Router or cutter bit chuck or extension
KR20130017970A (ko) 절삭헤드가 분리가능한 드릴공구
KR100609937B1 (ko) 절삭가공공구
KR102102949B1 (ko) 인서트 백 카운터 바
KR20090035757A (ko) 손상된 나사의 제거 및 잠금을 위한 비트
US2593907A (en) Safety friction tool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