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1965A -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1965A
KR20130031965A KR1020110095557A KR20110095557A KR20130031965A KR 20130031965 A KR20130031965 A KR 20130031965A KR 1020110095557 A KR1020110095557 A KR 1020110095557A KR 20110095557 A KR20110095557 A KR 20110095557A KR 20130031965 A KR20130031965 A KR 20130031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rticle
display unit
recognition
se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1818B1 (ko
Inventor
오민진
강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5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818B1/ko
Priority to US13/613,216 priority patent/US9013273B2/en
Publication of KR20130031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8Sensor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에는, 전기제품의 관리 또는 처리를 위한 대상물로서 규정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물품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정보가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물품의 정보가 인식되는 단계; 및 인식된 물품의 정보가 상기 전기제품의 관리 또는 처리대상으로서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전기제품의 제어방법{A control method of electric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제품은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특정 대상물을 관리 또는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기제품이 냉장고(1)일 경우, 상기 냉장고(1)에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11,12)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11,12)에는, 냉장고(1)의 작동상태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8)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8)에는, 상기 저장실의 설정온도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와, 상기 설정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입력부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8)에는, 상기 저장실에 저장되는 물품 정보 또는 물품의 관리(처리)정보등은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다. 즉, 종래의 냉장고는 식품을 저장하는 수단으로서만 이용될 뿐, 상기 식품에 관한 관리 또는 처리 정보를 인식하지 않는다.
정리하면, 종래의 전기제품의 경우, 전기제품이 관리 또는 처리하고자 하는 특정 대상물의 관리정보 또는 처리정보등을 인식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이를 일일이 기억하거나 검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세히, 전기제품이 냉장고일 경우, 사용자가 냉장고에 저장되는 식품의 관리정보(보관량 또는 유통기한 정보등)를 기억하여야만 유통기한이 얼마남지 않은 식품을 소비하거나 보관량이 얼마남지 않은 식품에 대한 구매계획을 세울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전기제품이 세탁기일 경우, 사용자가 세탁물을 작동시키기 전에 세탁물의 재질 또는 세탁 방법등을 일일이 확인하여 세탁기를 작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전기제품이 조리기기일 경우, 사용자가 조리물을 조리하기 전에 음식물의 조리방법을 일일이 확인하여 조리기기를 작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기제품의 처리 대상물에 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에는, 전기제품의 관리 또는 처리를 위한 대상물로서 규정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물품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정보가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물품의 정보가 인식되는 단계; 및 인식된 물품의 정보가 상기 전기제품의 관리 또는 처리대상으로서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제품에 사용되는 특정 대상물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내용에 따라 상기 특정 대상물의 관리 또는 처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기제품 또는 단말기에 인식장치가 구비되어, 영수증, 식품 용기에 기재된 정보 또는 암호화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특정 대상물에 관한 정보 인식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식장치에 의하여 인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제품의 특성에 맞게 대상물을 관리 또는 처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 대상물의 관리 또는 처리오류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기억에 의존하거나 별도의 인식작업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대상물에 관한 정보가 전기제품 또는 단말기등에 인식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인식대상의 작용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식대상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의 작동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인식대상의 작용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3은 종래의 전기제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에는, 전기제품의 일례로서 냉기가 발생되며 대상물(식품)을 저장하는 냉장고(10)와, 상기 냉장고(1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식품과 관련한 정보를 인식하는 단말기(100) 및 상기 냉장고(10) 및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소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200)가 포함된다.
상기 단말기(100)에는, 냉장고(10)에 저장되는 식품과 관련하여 소정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110) 및 상기 식품과 관련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 1 디스플레이부(12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단말기(100)는 이동 가능한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시스템(1)에는, 상기 단말기(100)와 서버(200) 사이에 규정되는 제 1 인터페이스(310)와, 상기 서버(200)와 냉장고(10) 사이에 규정되는 제 2 인터페이스(320) 및 상기 단말기(100)와 냉장고(10) 사이에 규정되는 제 3 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인터페이스(310,320,330)에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 방식으로서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및 인터넷(internet)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단말기(100)에는, 상기 냉장고(10) 또는 서버(2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통신부(130)와, 상기 제 1 통신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 또는 상기 단말기(100)의 작동 정보가 저장되는 제 1 메모리부(140)와, 상기 냉장고(10)에 저장되는 식품과 관련한 정보를 인식하는 인식장치(160) 및 상기 단말기(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말기제어부(150)가 포함된다.
상기 서버(200)에는, 상기 제 1 통신부(13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통신부(230) 및 상기 냉장고(10)에 저장되는 식품과 관련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240)가 포함된다.
상기 냉장고(10)에는, 상기 제 1 통신부(130) 또는 제 2 통신부(23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 통신부(30)와, 식품과 관련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는 제 2 디스플레이부(20)와, 상기 식품과 관련한 정보가 저장되는 제 2 메모리부(40) 및 냉장고(10)의 작동을 제어하는 냉장고제어부(50)가 포함된다.
상기 식품과 관련한 정보에는, 식품 자체정보 또는 식품 관리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자체정보에는 식품명, 식품량 또는 식품개수등이 포함되며, 식품 관리정보에는 냉장고 내에 저장되는 식품의 보관위치, 보관기간, 보관량 또는 보관방법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품과 관련한 정보는 소정의 인식 대상을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인식 대상에는, 영수증, 식품용기 또는 암호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 제 1 메모리부(140), 제 2 메모리부(40) 또는 데이터베이스(240)에는, 상기 식품과 관련한 정보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메모리부(140) 및 제 2 메모리부(40) 중 일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정보는 타 메모리부에 동기화(synchronization)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메모리부(140), 제 2 메모리부(40) 및 데이터베이스(240)를 합하여 "저장장치"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메모리부(140) 및 제 2 메모리부(40)가 동기화 되는 과정에서, 상기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40)가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단말기(100)와 냉장고(10)가 직접 통신하여, 상기 메모리부(40,140)들이 동기화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례로, 상기 단말기(100)를 통하여 인식된 정보는 상기 서버(200)로 전달되어 상기 냉장고(10)로 전송될 수도 있고, 상기 냉장고(10)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정보 중, 상기 단말기(100) 또는 냉장고(10)에 저장되지 않은 정보는 상기 단말기(100) 또는 냉장고(10)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 또는 냉장고(1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40)의 정보를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와 인식대상의 작용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식대상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에는, 인식대상(400)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장치(160)가 포함된다.
상기 인식 장치(160)는 상기 인식 대상(400)에 포함된 소정의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해된다. 상기 인식 장치(160)는 컨슈머블 리더(Consumable reader) 또는 컨슈머블 홀더(Consumable holder)라 이름할 수 있다.
여기서, "Consumable"은 냉장고에 저장되는 식품으로서 이해되며, 리더(reader)는 이러한 컨슈머블에 관한 정보를 읽어들이는 장치이고, 홀더(holder)는 그 내부에 식품을 포함(함유), 유지 또는 지지하는 장치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컨슈머블 리더에는, 촬영장치(카메라), RFID 리더 또는 바코드 리더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컨슈머블 홀더에는 선반 또는 바스켓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선반 또는 바스켓에는 식품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무게 센서에 의하여 식품의 무게가 읽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게 센서는 컨슈머블에 관한 소정 정보를 감지하는 점에서 컨슈머블 리더일 수도 있고, 식품을 지지하는 장치에 제공되는 점에서 컨슈머블 홀더일 수도 있다.
상기 인식대상(400)에는, 소정의 문자, 기호, 숫자, 형상, 색상 또는 도안이 기재되어 있는 영수증(41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문자, 기호, 형상, 색상 및 도안을 합하여, "약속된 정보"라 이름한다.
상기 인식대상(400)에는, 식품을 내부에 수용하는 식품용기(4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용기(420)에는, 상기 약속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식대상(400)에는, 소정의 규칙에 의하여 암호화 된 암호화 정보(4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엄밀하게 말하면, 상기 암호화 정보(430)는 식품과 관련한 정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암호화 정보(430)에는, 바코드(Bar-code), QR 코드 또는 RFID 태그가 포함된다. 상기 암호화 정보(430)는 상기 영수증(410) 또는 식품용기(42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식대상(400)에 기재된 정보는 상기 인식장치(160)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약속된 정보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으며, 상기 암호화 정보(430)는 카메라, 바코드 리더 또는 RFID에 의하여 인식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의 작동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식장치의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단말기(100)를 조작하여 상기 인식장치(160)의 작동을 준비한다(S11).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하여 인식대상(140)을 확인한다(S12).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20)에 상기 인식대상(400)이 표시되어 포커싱되도록 하거나, 인식 작동, 일례로 카메라의 촬영작동을 수행하여 이미지를 획득(인식)한다(S13).
상기 제 1 메모리부(140) 또는 데이터 베이스(240)에는, 인식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식된 이미지(영상)을 해석하며, 해석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시킨다. 상세히, 상기 인식된 정보를 해석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 또는 서버(200)에는 "정보 인식 프로그램"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인식 프로그램은, 인식된 정보(이미지)를 해석하여, 상기 인식된 정보에 대응하는 "식품에 관련한 정보"로 변환한다.
변환된 "식품에 관련한 정보"는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표시되는 정보에는, 식품 자체정보(식품명, 식품량등) 또는 식품 관리정보(유통기한등)가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식품 자체정보 또는 식품 관리정보는 상기 제 1 메모리부(140) 또는 데이터 베이스(24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S14,S15).
변환된 텍스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며, 상기 제 1 메모리부(140) 또는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에 관한 정보는 상기 냉장고(10)에 동기화 되어 상기 제 2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될 수도 있다(S16).
상기 제 1 메모리부(140) 또는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정보는 냉장고(10)의 제 2 메모리부(40)로 동기화 될 수 있으며, 식품 관리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인식장치(160)의 제어를 통하여 냉장고(10)에 저장될 식품 정보를 인식한 경우, 인식된 정보는 상기 단말기(100), 냉장고(10) 또는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상세히, 인식된 정보에 관한 식품을 냉장고의 관리 대상에 포함시킬 것으로 결정(예를 들어, 소정 입력부 입력)하면, 결정된 정보는 상기 제 1 메모리부(140), 제 2 메모리부(40) 또는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될 수 있다.
식품이 냉장고에 저장(입고)되는 과정에서, 식품의 저장위치 또는 보관기간에 관련한 정보가 추가로 인식(수동입력 또는 자동인식)될 수 있으며, 추가로 인식된 정보는 해당 식품과 관련하여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동인식은, 상기 컨슈머블 리더 또는 컨슈머블 홀더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식품이 냉장고로부터 출고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식된 정보 또는 추가로 인식된 정보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20) 또는 제 2 디스플레이부(20)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식품이 냉장고로부터 출고 완료된 경우, 상기 인식된 정보 또는 추가로 인식되 정보는 삭제될 수 있다(S17).
이와 같이, 상기 인식장치(160)에서 인식 및 저장된 정보는 식품 관리를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냉장고(10)에 저장된 식품의 관리를 위하여, 원격 모니터링 또는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를 통하여 인식대상(400)에 기재된 물품 정보가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인식하고자 하는 물품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는 물품정보 표시부(121)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단말기(100)의 인식장치(160, 일례로, 카메라)를 상기 인식대상(400), 일례로 상기 영수증(410)에 맞추게 되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상기 영수증(410)에 표기된 물품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물품에 관한 정보에는, "바나나우유", "파인애플", "갈릭소스", "두루마리 휴지" 및 "삼겹살"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인식하고자 하는 물품정보의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하여 라인에 의하여 소정 영역이 설정되는 인식영역(122)이 표시된다. 상기 인식영역(122)은 사용자가 알아보기 용이하도록 박스 형상으로 표시된다. 상기 인식영역(122) 내에 하나의 물품정보, 일례로 상기 "바나나우유"가 위치하도록 상기 인식장치(160)를 위치조정 할 수 있다.
상기 물품정보가 인식영역(122)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설정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단말기(100)에 구비된 입력부를 누르면 물품정보의 인식작동이 수행된다. 상기 인식작동은, 상기 인식대상(400)에 기재된 정보를 해석하여 텍스트화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인식작동이 수행되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20)에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식품 목록이 표시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인식된 식품정보가 리스트화 되어 표시되는 목록 표시부(123) 및 특정 물품정보가 선택되어 인식되었음을 표시하는 인식결과 표시부(124)가 포함된다.
특정 물품정보, 일례로 "바나나우유"가 인식되면, 상기 인식결과 표시부(124)에는 "바나나우유가 선택되었음"이라는 메세지가 표시되고, 상기 목록 표시부(123)에는 인식된 물품정보, 즉 "바나나우유"가 목록에 포함된다. 상기 목록에 포함된 물품정보는 전기제품의 관리 또는 처리 대상물로서 상기 제 1 메모리부(14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부(120)에 물품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인식영역을 물품정보에 포커싱함으로써 해당 물품정보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실시예 내지 제 6 실시예를 차례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물품정보의 선택 또는 인식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제 1 실시예 또는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이전 실시예들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상기 인식대상(400)에 표기된 물품정보가 표시되는 물품정보 표시부(121)가 포함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물품정보 표시부(121)에 표시되는 물품정보는 상기 인식장치(160)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인식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정보를 선택하기 위하여 선택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선택수단에는, 터치펜, 사용자의 손 또는 입력부가 포함된다.
일례로,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다수의 물품정보 중 하나의 물품정보, 즉 "파인애플"에 근접한 한 지점을 터치(한번 클릭)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한 지점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영역에 위치한 물품정보가 인식될 대상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물품정보가 인식되면, 도 9와 같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인식된 물품 정보가 표시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된 물품정보는 설정시간이 경과하거나, 입력부를 통하여 소정 명령이 입력되었을 경우 인식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식결과 표시부(124)에는 "파인애플이 선택되었음"이라는 메세지가 표시되고, 상기 목록 표시부(123)에는 "파인애플"이 표시된다. 상기 목록 표시부(123)에 표시된 물품정보는 전기제품의 관리 또는 처리 대상물로서 상기 제 1 메모리부(140)에 저장된다.
한편, 도 8에는 상기 물품정보 표시부(121)에 표시된 다수의 물품 정보중 하나의 물품정보만을 터치하여 선택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다수의 물품정보가 터치되어 선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례로, 상기 "파인애플", "갈릭소스" 및 "삼겹살"을 차례로 선택하면, 상기 목록 표시부(123)에는 1. 파인애플, 2. 갈릭소스, 3. 삼겹살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부(120)에 물품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등의 방법에 의하여 관리 또는 처리하고자 하는 물품정보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상기 인식장치(160)를 통하여 획득된 영상, 즉 물품정보에 관한 영상이 표시되는 촬영정보 표시부(221) 및 상기 물품정보에 관한 영상을 촬상할 때 영상정보의 인식 진행률이 표시되는 인식진행률 표시부(222)가 포함된다.
상기 촬영정보 표시부(221)에 물품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촬상을 위한 소정의 입력부를 입력하면, 상기 물품정보를 목록상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 인식작동이 수행된다. 상기 정보 인식작동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인식진행률 표시부(222)에는 진행률, 일례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0%에서 100%까지의 진행률이 표시된다.
상기 진행률이 100%에 해당되어 인식작동이 완료되면,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상기 촬영정보 표시부(221)에 표시되었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 정보가 표시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20)에는, 물품정보의 명칭이 표시되는 인식목록 표시부(223) 및 상기 인식목록 표시부(223)에 표시된 물품정보를 전기제품의 관리 또는 처리대상으로 포함시킬 지 여부를 선택하는 선택부(224)가 포함된다.
사용자는 선택수단, 즉 사용자의 손, 터치펜 또는 소정 입력부를 이용하여, 관리 또는 처리하고자 하는 물품정보에 대응하는 선택부(224)를 선택한다. 특정 물품정보를 선택하면,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택된 물품정보에 대응하는 선택부(224)에는, 체크 표시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20)에 구비된 확인 입력부(225)를 선택하면,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20)에는 물품정보를 리스트화 한 저장목록 표시부(226)가 표시된다. 상기 저장목록 표시부(226)에 표시된 물품 정보는, 전기제품의 관리 또는 처리를 위한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식장치(160)를 통한 촬영에 의하여 다수의 물품정보를 인식한 후 원하는 물품정보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상기 인식장치(160)를 통하여 촬상이 수행된 물품정보를 표시하는 촬영정보 표시부(221)가 포함된다.
사용자는, 선택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촬영정보 표시부(221)에 표시된 물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을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터치 펜등을 이용하여 물품정보의 일측에 규정된 터치 시작점(227a)으로부터 상기 물품정보의 타측에 규정된 터치 종료점(227b)까지 터치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물품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시작점(227a) 또는 터치 종료점(227b)은 어느 하나의 지점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물품정보를 선택하기 위하여 일정 영역을 규정하는 경계점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시작점(227a) 또는 터치 종료점(227b)은 제 1 디스플레이부(120)의 전체 표시영역 내에서, 사용자마다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물품정보의 내부 영역 또는 외부 영역에 규정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물품정보가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 상기 터치 시작점(227a) 및 터치 종료점(227b)은 가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5에는, 하나의 물품정보, 즉 "바나나우유"만을 선택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와는 달리 다수의 물품정보, 즉 "갈릭소스" 또는 "삼겹살"을 추가로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는 물품 정보가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는 것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정보를 차례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확인 입력부(225)가 입력되면,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인식된 물품정보가 차례로 표시되는 저장목록 표시부(226)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16에는, "바나나우유", "갈릭소스" 및 "삼겹살"이 차례로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되는 저장목록 표시부(226)가 도시된다.
이와 같이, 터치의 방법에 의하여 물품정보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상기 인식장치(160)를 통하여 촬상이 수행된 물품정보를 표시하는 촬영정보 표시부(221)가 포함된다.
사용자는, 선택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촬영정보 표시부(221)에 표시된 물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을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터치 펜등을 이용하여 일 물품정보에 규정된 터치 시작점(237a)으로부터 타 물품정보에 규정된 터치 종료점(237b)까지 터치를 수행함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시작점(237a) 및 터치 종료점(237b)은 서로 다른 다수의 물품정보를 한번에 선택하기 위하여 규정된 터치 포인트로 이해될 수 있다. 일례로, 다수의 물품정보가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경우, 상기 터치 시작점(237a) 및 터치 종료점(237b)은 서로 이격되어 세로 방향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물품정보를 터치한 상태에서, 다른 물품정보가 표시된 영역까지 터치 영역을 연장하게 되면, 상기 터치 영역내에 위치한 물품정보는 한번에 인식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물품정보를 용이하게 선택 및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터치 시작점(237a) 및 터치 종료점(237b)이 하나의 물품정보가 표시된 영역내에 위치한다면, 선택되는 물품정보는 1개일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정보가 선택된 상태에서 확인 입력부(225)가 입력되면,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인식된 물품정보가 차례로 표시되는 저장목록 표시부(226)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18에는, "바나나우유", "갈릭소스" 및 "삼겹살"이 상기 터치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되는 저장목록 표시부(226)가 도시된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인식대상(400), 일례로 영수증(410)에 기재된 물품정보의 양이 많은 경우 또는 영수증(410)의 길이가 길어서 한번에 모든 물품정보를 촬영하는 것이 제한되면, 여러번에 걸쳐 물품정보의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물품정보는 3번에 걸쳐 인식장치(160)를 통하여 촬상될 수 있으며, 촬상된 영상정보는 3개의 화면으로 분배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서로 다른 물품정보를 표시하는 제 1 촬영정보 표시부(321), 제 2 촬영정보 표시부(322) 및 제 3 촬영정보 표시부(323) 중 하나의 촬영정보 표시부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120)의 하단에는, 3개의 화면 중 해당 화면의 순서를 나타내는 내용, 즉 "1/3", "2/3", "3/3"이 화면을 달리하여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수단을 이용하여 터치 또는 슬라이딩 조작함으로써, 화면을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촬영정보 표시부(321,322,323)에 표시된 물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물품정보를 선택 또는 인식하는 방법은, 이전의 실시예의 설명들을 원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다수의 물품정보를 용이하게 선택 또는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위 실시예들은 상기 물품정보가 냉장고에 저장될 식품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물품정보는 세탁기에서 처리될 의류정보일 수도 있고, 조리기기에서 조리될 음식물 정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과 인식대상의 작용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제품(10)에는, 인식대상(400)을 인식하기 위하여 작동되는 인식장치(260)가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냉장고(10)에는, 카메라, 바코드 리더 또는 RFID 리더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별도의 단말기(100)를 이용하지 않고, 전기제품(10)에 구비되는 인식장치(260)를 이용하여 직접 인식대상(400)에 포함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된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제품에서 관리 또는 처리될 식품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인식된 식품관련 정보는 상기 서버(200) 또는 단말기(10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전기제품(10)에서 관리 또는 처리될 물품을 위하여 상기 전기제품(10)을 원격 모니터링 또는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정리하면, 인식장치는 단말기(100) 또는 전기제품(10)에 구비될 수 있으므로, 물품정보의 영상을 획득하거나 인식하는 디스플레이부는 단말기(100)의 제 1 디스플레이부(120)일 수도 있고, 전기제품(10)의 제 2 디스플레이부(20)일 수도 있다.
1: 네트워크 시스템 10 : 전기제품
100 : 단말기 120 : 제 1 디스플레이부
160 : 인식장치 200 : 서버
400 : 인식대상 410 : 영수증

Claims (12)

  1. 전기제품의 관리 또는 처리를 위한 대상물로서 규정되는 하나 이상의 물품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물품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정보가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물품의 정보가 인식되는 단계; 및
    인식된 물품의 정보가 상기 전기제품의 관리 또는 처리대상으로서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정보가 선택되는 단계에는, 선택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물품의 정보가 선택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손, 터치 펜 및 미리 설정된 입력부가 포함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정보가 선택되는 단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규정되는 표시영역 중 인식하고자 하는 물품의 정보가 위치한 영역이 선택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정보가 위치한 영역이 선택되는 단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식영역이 표시되고, 상기 물품의 정보가 상기 인식영역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설정시간이 경과하거나, 별도의 입력부가 입력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정보가 위치한 영역이 선택되는 단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규정된 표시 영역 중 선택될 물품의 정보가 위치한 영역의 일측에 위치한 시작점으로부터 타측에 위치한 종료점까지 터치상태를 유지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점은 선택될 다수의 물품의 정보 중 일 물품의 정보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종료점은 상기 다수의 물품의 정보 중 타 물품의 정보의 일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물품의 정보는 한번에 선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정보가 위치한 영역이 선택되는 단계에는,
    상기 물품의 정보가 위치한 영역을 한번 클릭하는 것에 의하여 수행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정보가 선택되는 단계에는,
    상기 물품의 정보가 인식장치에 의하여 촬상되고,
    촬상된 물품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정보가 선택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정보가 선택되는 단계에는,
    상기 물품의 정보가 인식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고,
    표시된 물품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정보가 선택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물품의 정보가 인식되는 단계에는,
    정보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선택된 물품의 정보에 관한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시키는 단계가 포함되는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1020110095557A 2011-09-22 2011-09-22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101821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557A KR101821818B1 (ko) 2011-09-22 2011-09-22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US13/613,216 US9013273B2 (en) 2011-09-22 2012-09-13 Method of controlling electr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557A KR101821818B1 (ko) 2011-09-22 2011-09-22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965A true KR20130031965A (ko) 2013-04-01
KR101821818B1 KR101821818B1 (ko) 2018-01-24

Family

ID=47910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557A KR101821818B1 (ko) 2011-09-22 2011-09-22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13273B2 (ko)
KR (1) KR101821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5471A1 (ko) * 2019-01-08 2020-07-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2410B (zh) * 2012-09-28 2017-05-17 Lg电子株式会社 电器产品
US20140168396A1 (en) * 2012-12-18 2014-06-1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viewing contents of a refrigerator appliance
EP2778586A1 (de) * 2013-03-15 2014-09-17 Diehl AKO Stiftung & Co. KG Kältegerät, insbesondere Haushaltskältegerät
JP6313014B2 (ja) * 2013-08-27 2018-04-1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冷蔵庫
DE202013104657U1 (de) * 2013-10-15 2013-10-23 Nsc Med Gmbh Modulares Kühl-Lagersystem
CN103604271B (zh) * 2013-11-07 2016-04-13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冰箱的食品识别方法
KR20160096487A (ko) * 2015-02-05 2016-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품 보관용 저장 용기, 그 저장 용기의 관리 방법 및 냉장고
JP6447334B2 (ja) * 2015-04-14 2019-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5318651A (zh) * 2015-11-17 2016-02-10 慈溪中家院电器检测服务有限公司 基于智能冰箱和智能终端的商品数据录入方法
US11016634B2 (en) * 2016-09-01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storage system having a display
US10283082B1 (en) 2016-10-29 2019-05-07 Dvir Gassner Differential opacity position indicator
CN108397974A (zh) * 2017-02-04 2018-08-14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食品管理方法及装置
US10724757B2 (en) * 2017-02-07 2020-07-28 Prince Castle LLC Refrigeration system and device
EP3381837B1 (en) * 2017-03-31 2021-12-15 H24Invent Srl System for preserving foodstuffs
EP3502980A1 (en) * 2017-12-21 2019-06-26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Communication system, a method of communication and a refrigerator
JP6500253B2 (ja) * 2018-01-29 2019-04-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在庫管理システム
CN108469147B (zh) * 2018-03-13 2020-12-22 合肥美的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rfid智能冰箱的食材管理系统及冰箱
KR102551358B1 (ko) * 2018-09-21 2023-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내 객체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499773B2 (en) * 2019-03-29 2022-11-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aging articles in refrigerator
CN110806062A (zh) * 2019-09-27 2020-02-18 安徽龙多智控科技有限公司 冰柜温度的智能调控系统
WO2022231021A1 (ko) * 2021-04-27 2022-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7576B1 (en) * 1999-09-21 2001-12-04 Fujitsu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xpiration-dated products utilizing an electronic receipt
US20020011923A1 (en) * 2000-01-13 2002-01-31 Thalia Products, Inc. Appliance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 And Appliance For Use In Same
US6785670B1 (en) * 2000-03-16 2004-08-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ally initiating an internet-based search from within a displayed document
JP2002022177A (ja) * 2000-07-12 2002-01-23 Dainippon Printing Co Ltd 調理情報および食品情報の配信・管理システム
JP4507392B2 (ja) * 2000-11-15 2010-07-21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US6609078B2 (en) * 2001-02-21 2003-08-19 Emerson Retail Services, Inc. Food quality and safety monitoring system
US7137077B2 (en) * 2002-07-30 2006-11-14 Microsoft Corporation Freeform encounter selection tool
US6982640B2 (en) * 2002-11-21 2006-01-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FID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food freshness
US20050137943A1 (en) * 2003-12-17 2005-06-23 Nc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a search for articles within a storage facility
US7751624B2 (en) * 2004-08-19 2010-07-06 Nextac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document search and report generation
KR100761019B1 (ko) * 2005-12-30 2007-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냉장고의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식재료 물품관리방법
US8063735B2 (en) * 2006-03-29 2011-11-22 SIS X-Ray Products, Inc. Remotely actuated refrigerator lock with thermal spoilage protection
US7729941B2 (en) * 2006-11-17 2010-06-01 Integrated Illumination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lighting systems to enhance brand recognition
US8689132B2 (en) * 2007-01-07 2014-04-01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electronic documents and lists
KR100901020B1 (ko) * 2007-08-23 2009-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880486B1 (ko) * 2007-10-08 200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090099873A1 (en) * 2007-10-10 2009-04-16 Karl Vincent Kurple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Calorie, Nutritent, and Expense of Food Consumption and Effect on Long Term and Short Term State
US8199019B2 (en) * 2007-11-19 2012-06-12 Compx International Inc. Field retrofittable refrigerator lock with temperature monitoring, temperature based access control and alarming
US7792709B1 (en) * 2008-10-08 2010-09-07 Trandal David S Methods and systems for receipt management and price comparison
JP5348999B2 (ja) * 2008-10-20 2013-11-20 アルパイ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KR101517083B1 (ko) * 2009-05-11 2015-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JP5436039B2 (ja) * 2009-05-14 2014-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311893B2 (en) * 2009-06-19 2012-11-13 Roland Schoettl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selected topics to interested users
US20100331043A1 (en) * 2009-06-23 2010-12-30 K-Nfb Reading Technology, Inc. Document and image processing
KR20110047349A (ko) * 2009-10-30 2011-05-09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와 가압을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10402847B2 (en) * 2009-11-20 2019-09-03 Mobisave Llc System and method of electronically verifying required proof-of-performance to secure promotional rewards
US8773370B2 (en) * 2010-07-13 2014-07-08 Apple Inc. Table editing systems with gesture-based insertion and deletion of columns and row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5471A1 (ko) * 2019-01-08 2020-07-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의 내부 공간을 관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1818B1 (ko) 2018-01-24
US9013273B2 (en) 2015-04-21
US20130076488A1 (en)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1965A (ko)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101774054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3176690B (zh) 显示控制设备、显示控制方法和程序
KR101863894B1 (ko) 연속 디스플레이 선반 에지 라벨 디바이스
US2021033486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guide system
US9224123B2 (en) Electric produc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128470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indicating virtual storage of consumable items
EP3182651A1 (en)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cataloged smart devices
CN106255977B (zh) 用于执行可变数据捕获过程的装置和方法
JP2023153397A (ja) 加熱調理器
JP2016085673A (ja) 介護記録用携帯端末のためのプログラム
KR102009933B1 (ko) 냉장고
CN105297293A (zh) 缝纫机系统、缝纫机
KR20150005800A (ko) 원격 제어 가능한 가전 기기와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가전 기기 관리 시스템
WO2017164050A1 (ja) 加熱調理器、加熱調理器の制御方法及び加熱調理システム
CN115272516A (zh) 项目进度的可视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046507B1 (ko) 전기 제품의 제어방법
KR102046502B1 (ko) 전기 제품의 제어방법
CN109594281B (zh) 一种衣物识别系统及衣物识别方法
KR102067817B1 (ko) 전기 제품의 제어방법
CN110794704A (zh) 烹饪参数的确定方法、烹饪装置以及计算机存储介质
JP2013186484A (ja) コーディネート支援装置、コーディネート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コーディネート支援システム
CN109891873A (zh) 提供关于对象的信息的方法
JP6069016B2 (ja) 調理履歴記録装置
CN108095341A (zh) 一种智能衣柜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