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0923A - 크라샤용 버켓 - Google Patents

크라샤용 버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0923A
KR20130030923A KR1020110094521A KR20110094521A KR20130030923A KR 20130030923 A KR20130030923 A KR 20130030923A KR 1020110094521 A KR1020110094521 A KR 1020110094521A KR 20110094521 A KR20110094521 A KR 20110094521A KR 20130030923 A KR20130030923 A KR 20130030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late
main body
bucket
shaf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5239B1 (ko
Inventor
상진옥
Original Assignee
상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진옥 filed Critical 상진옥
Priority to KR1020110094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239B1/ko
Publication of KR20130030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4Jaw crushers or pulverisers with single-act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라샤용 버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라샤용 버켓은 일측에는 굴삭기의 암과 연결되는 마운팅캡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장착되며 대접되게 배치되고 상부의 이격간격이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배열되어 상기 배출구와 통하도록 한 제1 및 제2가압판; 상기 제1가압판에 연결되며, 상기 제1가압판을 전,후진 구동시켜 원석에 대한 파쇄력을 발휘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라샤용 버켓{CRUSHER BUCKET}
본 발명은 크라샤용 버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석을 파쇄하도록 파쇄장치를 구비한 크라샤용 버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반을 굴삭기로 파내거나 하는 용도로 투스가 장착된 버켓을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덩어리가 큰 원석이 섞인 흙이나 원재료는 크라샤에 투입하여 잘게 부순 후 골재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크라샤에 의해 파쇄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32146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버켓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버켓몸체는 바닥부와 한쌍의 좌우 측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부에는 원석을 제외하고 토사가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서로 인접하여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바닥부에 복수개의 관통홀이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어 원석을 굴착할 때 토사나 이물질이 원석과 함께 담겨지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크기 이상의 원석을 골라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관통홀 보다 큰 원석은 다시 회수한 후 별도의 크라샤를 통해 분쇄시켜 재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버켓 내부에 파쇄성능을 갖는 파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입자가 큰 원석을 직접 파쇄하여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크라샤용 버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에는 굴삭기의 암과 연결되는 마운팅캡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장착되며 대접되게 배치되고 상부의 이격간격이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배열되어 상기 배출구와 통하도록 한 제1 및 제2가압판; 상기 제1가압판에 연결되며, 상기 제1가압판을 전,후진 구동시켜 원석에 대한 파쇄력을 발휘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샤용 버켓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판과 제2가압판의 하부 간격을 조절하도록 제1가압판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핸들을 갖는 간격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 형성된 장착대에 나사결합되며 후단에 상기 핸들이 형성된 나사축; 상기 나사축의 전단이 상기 제1가압판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며 일단에 유압모터가 장착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편심 결합되며 중간에 무게추가 편심되게 장착된 편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편심축이 제1가압판의 백플레이트에 연결된 브라켓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축의 타단에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보정하는 플라이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가압판은 하부에 무게로 인한 진동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고, 파쇄력을 증강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완충장치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장치는 상기 제1가압판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고리에 축핀으로 결합되는 연결편이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에 결합되는 축봉; 상기 축봉에 끼워지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지지되는 스위블조인트; 상기 스위블조인트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단에 핸들이 형성된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블조인트는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지지되도록 반구형의 오목부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오목부의 내주면에 스프링의 일단이 지지되어 곡률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켓 내부에 장착된 제1 및 제2가압판의 파쇄작동에 의해 원석을 잘게 부수어 배출시킬 수 있어 버켓에 원석을 채취한 후 곧바로 파쇄작업까지 일괄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작업능률이 종래에 비해 월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라샤용 버켓의 상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크라샤용 버켓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라샤용 버켓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구동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완충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라샤용 버켓의 상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크라샤용 버켓의 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라샤용 버켓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구동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완충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라샤용 버켓(A)은, 일측에는 굴삭기의 암과 연결되는 마운팅캡(11)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구(15)가 형성된 본체(1); 상기 본체(1) 내에 장착되며 대접되게 배치되고 상부의 이격간격이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배열되어 상기 배출구(15)와 통하도록 한 제1 및 제2가압판(3,5); 상기 제1가압판(3)에 연결되며 상기 제1가압판(3)을 전,후진 구동시켜 원석에 대한 파쇄력을 발휘하는 구동장치(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는 통상의 버켓과 동일한 구조이므로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전면부의 선단에는 땅을 파내거나 긁어내기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투스(12)가 부착되며, 후면부에는 마운팅캡(11)이 형성되므로, 상기 마운팅캡(11)에 축핀을 결합시켜 암에 부착된 커플러와 연결시킨다.
물론 암에 부착된 커플러는 유압에 의해 작동됨으로써 본 발명의 크라샤용 버켓(A)을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1) 내에는 제1 및 제2가압판(3,5)이 삽입되어 장착된다.
제1 및 제2가압판(3,5)은 전체적으로 호형으로 된 강판재이며, 전면에는 파쇄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조(31)가 형성되고, 후면에 백플레이트(73a,73b)가 형성되어 본체(1)의 내면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가압판(3)은 본체(1)의 내측 후면부에 배치되고, 이에 대향되도록 제2가압판(5)은 본체(1)의 내측 전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가압판(3,5)은 개구부에 가까운 상부는 이격간격이 넓도록 하여 원석의 유입이 용이해지도록 하고, 하부의 배출구(15)로 갈수록 점차 이격간격이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원석을 최종적으로 작은 알갱이 형태로 점차적으로 파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제1가압판(3)에 구동장치(7)를 장착시킴으로써 제1가압판(3)이 제2가압판(5)에 대해 전,후진 작동되면서 제1 및 제2가압판(3,5) 사이의 간격 변화를 유발함으로써 이를 통과하는 원석을 가압시켜 파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장치(7)는, 상기 본체(1)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며 일단에 유압모터(72)가 장착된 구동축(70); 상기 구동축(70)에 편심 결합되며 중간에 무게추(75)가 편심되게 장착된 편심축(71);을 포함하고, 상기 백플레이트(73a)의 후면에 형성된 브라켓(74)에 상기 편심축(71)이 베어링(77)이 장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백플레이트(73a)의 전면에 제1가압판(3)이 결합되며, 제1가압판(3)의 후면에 형성된 체결편과 백플레이트(73a)의 전면에 형성된 체결편을 볼트로 체결시켜 결합이 완료된다.
따라서 유압모터(72)에서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구동축(70)이 회전되고, 상기 구동축(70)에 장착된 편심축(71)이 편심 회전되며, 이 편심 회전력은 무게추(75)에 의해 더욱 증폭된다.
따라서 편심축(71)의 편심 회전에 동반되어 브라켓(74) 및 백플레이트(73a) 및 제1가압판(3)이 동시에 타원형의 궤적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즉 제1가압판(3)이 제2가압판(5)과 근접되거나 멀어지는 타원형 궤적의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파쇄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축(70)의 타단에는 플라이휠(78)이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보정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가압판(3)과 제2가압판(5)의 하부 간격을 조절하도록 간격조절장치(4)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간격조절장치(4)는 제1가압판(3)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1)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핸들(41); 상기 본체(1)의 후면부에 형성된 장착대(19)에 나사결합되며 후단에 상기 핸들(41)이 형성된 나사축(42); 상기 나사축(42)의 전단이 상기 제1가압판(3)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간격조절장치(4)의 핸들(41)을 회전시켜 조이면 나사축(42)이 인입되고, 그 전단의 힌지부(43)에 연결된 제1가압판(3)이 전진하게 되어 제2가압판(5)과의 간격이 좁혀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핸들(41)을 풀어주면 나사축(42)이 인출되고, 그에 종동되어 제1가압판(3)이 후진되므로 제2가압판(5)과의 간격이 넓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가압판(3)은 하부에 무게로 인한 진동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고, 파쇄력을 증강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완충장치(6)가 포함된다.
즉 제1가압판(3)의 상부에 연결된 구동장치(7)로 인해 타격력이 발생되어 파쇄작동을 하는 동안 하부에 하중이 집중되므로 각종 연결부위에 부하가 증가되어 약한 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제1가압판(3)의 하부를 지지해줄 수 있도록 완충장치(6)가 요구된다.
상기 완충장치(6)는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제1가압판(3)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고리에 축핀으로 결합되는 연결편(61)이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61)에 결합되는 축봉(62); 상기 축봉(62)에 끼워지는 스프링(63); 상기 스프링(63)의 일단이 지지되는 스위블조인트(64);
상기 스위블조인트(64)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본체(1)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단에 핸들이 형성된 샤프트(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위블조인트(64)는 상기 스프링(63)의 일단이 지지되도록 반구형의 오목부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오목부의 내주면에 스프링(63)의 일단이 지지되어 곡률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가압판(3)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위치 이동에 수반하여 각도가 변경되는데 이러한 위치 이동과 각도 변경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스위블조인트(64)를 채용하였고, 스위블조인트(64)의 오목부에 의해 각도의 변동폭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65)의 핸들을 조이거나 풀어주어 상기 스위블조인트(64)를 전,후진시킴에 따라 스프링(63)의 장력의 강,약을 조절함으로써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굴삭기의 암에 본 발명에 따른 크라샤용 버켓(A)을 장착한다. 이는 마운팅캡(11)과 커플러 간의 결합에 의한다.
이후 본체(1)를 하방으로 향하여 그 선단의 투스(12)를 이용하여 땅을 파내거나 원석을 포함하는 흙을 긁어 담는다.
흙을 긁어 담으면서 본체(1)를 상방으로 회전시키고, 이후 구동장치(7)를 구동시켜 제1가압판(3)이 전후진 작동을 빠르게 반복하여 파쇄작동을 실시한다.
즉 구동장치(7)의 유압모터(72)가 회전 구동되고, 이에 종동되어 편심축(71)가 회전되며, 상기 편심축(71)에 결합된 무게추(75)가 편심회전되면서 백플레이트(73)을 주기적으로 타격하게 됨으로써 타격에 의한 충격이 백플레이트(73)에 연결된 제1가압판(3)에 전달되므로 제1 및 제2가압판(3,5) 사이에 담겨진 원석을 가압 파쇄시킬 수 있다.
파쇄된 원석은 하부의 배출구(15)를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크라샤를 이용하여 원석을 잘게 부순 후 버켓에 담아 진동에 의해 털어내면서 기준 크기 이하로 파쇄된 흙을 사용하던 방식을 비약적으로 개선하여 작업능률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 본체 3 : 제1가압판
4 : 간격조절장치 5 : 제2가압판
6 : 완충장치 7 : 구동장치
11 : 마운팅캡 15 : 배출구
41 : 핸들 42 : 나사축
43 : 힌지부 61 : 연결편
62 : 축봉 63 : 스프링
64 : 스위블조인트 65 : 샤프트
71 : 샤프트 72 : 유압모터
73 : 백플레이트 75 : 무게추
78 : 플라이휠

Claims (8)

  1. 굴삭기의 암에 연결되는 버켓에 있어서,
    상기 굴삭기의 암과 연결되는 마운팅캡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장착되며 대접되게 배치되고, 상부의 이격간격이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배열되어 상기 배출구와 통하도록 한 제1 및 제2가압판 및,
    상기 제1가압판에 연결되며 상기 제1가압판을 전,후진 구동시켜 원석에 대한 파쇄력을 발휘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샤용 버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판과 제2가압판의 하부 간격을 조절하도록 제1가압판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핸들을 갖는 간격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샤용 버켓.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상기 본체의 후면부에 형성된 장착대에 나사결합되며 후단에 상기 핸들이 형성된 나사축;
    상기 나사축의 전단이 상기 제1가압판의 후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샤용 버켓.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에 결합되며 일단에 유압모터가 장착된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편심 결합되며 중간에 무게추가 편심되게 장착된 편심축을 포함하고,
    상기 편심축이 상기 제1가압판과 연결된 브라켓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샤용 버켓.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 결합되어 회전운동을 보정하는 플라이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샤용 버켓.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판은 하부에 무게로 인한 진동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고, 파쇄력을 증강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도록 본체에 장착된 완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샤용 버켓.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장치는,
    상기 제1가압판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고리에 축핀으로 결합되는 연결편이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에 결합되는 축봉;
    상기 축봉에 끼워져 결합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지지되는 스위블조인트;
    상기 스위블조인트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고, 타단에 핸들이 형성된 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샤용 버켓.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조인트는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지지되도록 반구형의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내주면에 스프링의 일단이 지지되어 곡률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샤용 버켓.
KR1020110094521A 2011-09-20 2011-09-20 크라샤용 버켓 KR101335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521A KR101335239B1 (ko) 2011-09-20 2011-09-20 크라샤용 버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521A KR101335239B1 (ko) 2011-09-20 2011-09-20 크라샤용 버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923A true KR20130030923A (ko) 2013-03-28
KR101335239B1 KR101335239B1 (ko) 2013-11-29

Family

ID=4818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521A KR101335239B1 (ko) 2011-09-20 2011-09-20 크라샤용 버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2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88103S1 (en) 2015-07-01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B20152029A1 (it) * 2015-07-09 2017-01-09 Mecc Breganzese S P A Benna frantumatr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2542B2 (ja) 2003-09-03 2009-07-08 株式会社中山鉄工所 破砕バケット
JP4213576B2 (ja) 2003-12-05 2009-01-2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作業装置
JP5300230B2 (ja) 2007-09-03 2013-09-25 ウエダ産業株式会社 バケット型ジョークラッシャ
JP2010064008A (ja) * 2008-09-11 2010-03-25 Ueda Sangyo Kk バケット型ジョークラッシャ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88103S1 (en) 2015-07-01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239B1 (ko)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1980B2 (ja) 破砕機の破砕蓋付バケット
KR20210022386A (ko) 파쇄장치를 구비한 크라샤 버켓
CN101829612A (zh) 颚式振动破碎机
CN202831028U (zh) 一种多功能振击锤
KR101335239B1 (ko) 크라샤용 버켓
JP4108545B2 (ja) 破砕バケット
CN207430409U (zh) 一种新型锤式破碎机
CN101417252A (zh) 一种单质体振动破碎机
CN2912833Y (zh) 简易沙石筛
JP5595771B2 (ja) 破砕補助装置
US4989797A (en) Single swing jaw crushing apparatus with an unobstructed feed opening
CN202831027U (zh) 一种新型振击锤
JP2006175371A (ja) 破砕装置
CN214765662U (zh) 用于矿石破碎机的稳定平衡装置
CN210303801U (zh) 一种矿用振动碎石机及挖掘机
RU85363U1 (ru) Молотковая дробилка
CN211164667U (zh) 一种水泥搅拌机进料辅助装置
JP4292542B2 (ja) 破砕バケット
KR20060004081A (ko) 이동식 롤 크러셔
JP2006150236A (ja) 破砕装置
CN202238129U (zh) 振动颚式破碎机
CN217615047U (zh) 破碎机
CN216260940U (zh) 一种轻巧型的液压粉碎斗
CN102852178A (zh) 一种新型振击锤
JP3393759B2 (ja) 破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