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980A - 떡을 포장하여 공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떡을 포장하여 공급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980A
KR20130029980A KR1020110093440A KR20110093440A KR20130029980A KR 20130029980 A KR20130029980 A KR 20130029980A KR 1020110093440 A KR1020110093440 A KR 1020110093440A KR 20110093440 A KR20110093440 A KR 20110093440A KR 20130029980 A KR20130029980 A KR 20130029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ake
container
nitrogen gas
primary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세열
강병환
Original Assignee
서세열
강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세열, 강병환 filed Critical 서세열
Priority to KR1020110093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9980A/ko
Publication of KR20130029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09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23L3/3418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in a controlled atmosphere, e.g. partial vacuum, comprising only CO2, N2, O2 or H2O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6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 B65D2585/68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kitchen devices, including unspecified devices, e.g. Haushaltgeräte
    • B65D2585/68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kitchen devices, including unspecified devices, e.g. Haushaltgeräte rice cake machines

Abstract

공장에서 제조된 떡을 1차포장용기에 질소가스가 충진된 상태로 밀봉되도록 포장 한 후 밀봉 포장된 상기 1차포장용기를 수분 통과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2차포장용기에 포장한 상태에서 판매처로 공급하는 1차유통단계와, 상기 판매처에서 상기 1차 및 2차포장용기에 수용된 상태의 떡을 중탕가열하고, 중탕가열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1차 및 2차포장용기로부터 인출된 떡을 간단히 후처리 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2차유통단계를 포함하여 떡의 유통기한이 효과적으로 연장되도록 하면서도 연장된 유통기한 동안 떡 고유의 품질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는 떡 제조 및 유통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떡 제조 및 유통방법{a rice cake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method}
본 발명은 떡 제조 및 유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떡의 유통기한이 효과적으로 연장되도록 하면서도 연장된 유통기한 동안 식감과 풍미 등을 포함하는 떡 고유의 품질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떡 제조 및 유통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전통음식인 떡은 찌는 떡, 치는 떡, 빚는 떡, 발효 떡, 지지는 떡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가 있고, 이러한 떡은 곡식 가루를 찌거나 익힌 뒤 치거나 모양을 빚어 만들거나 또는 지지거나 발효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상기 곡식 가루의 주원료로는 찹쌀이나 멥쌀가루와 같이 우리가 주식으로 이용하는 쌀이 된다.
예전의 경우 이러한 떡은 주로 명절이나 경조사 등의 행사 때만 만들어 먹는 음식이었으나, 최근에 보면 떡은 빵 등을 대신하여 일상에서 흔히 먹을 수 있는 먹거리가 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떡의 경우 빵을 비롯한 타 음식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민감한 식품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곰팡이나 효모 등의 미생물에 의해 쉽게 변질될 수 있고, 온도 변화에 따른 전분의 밀도 및 조직 변화로 인해 쉽게 경화되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통상 유통 기한이 매우 짧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다른 식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통기한이 짧은 떡은 한꺼번에 많은 량을 대량으로 제조하여 유통시키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대부분의 떡은 소규모의 제조업체에서 그날그날의 주문량과 주문 시간에 따라 소규모로만 제조되어 단기간에 걸쳐서만 유통되고 있는 형편이다.
물론 떡의 경우도 냉동 보관해 두었다가 다시 찌거나 전자레인지 등을 이용하여 데워 먹을 경우 변질의 우려가 없이 이용할 수 있기는 하지만, 이와 같이 떡을 증기로 다시 찌거나 전자레인지 등으로 재 가열하게 되면, 떡의 수분 함량이 과도하게 증가하면서 떡이 질어지거나 쉽게 경화되어 떡 고유의 쫄깃쫄깃한 식감과 풍미 등 떡의 전반적인 품질이 크게 저하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떡의 유통기한이 효과적으로 연장되도록 하면서도 연장된 유통기한 동안 식감과 풍미 등을 포함하는 떡 고유의 품질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떡 제조 및 유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떡 제조 및 유통방법은 공장에서 제조된 떡을 1차포장용기에 질소가스가 충진된 상태로 밀봉되도록 포장 한 후 밀봉 포장된 상기 1차포장용기를 수분 통과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2차포장용기에 포장한 상태에서 판매처로 공급하는 1차유통단계와, 상기 판매처에서 상기 1차 및 2차포장용기에 수용된 상태의 떡을 중탕가열하고, 중탕가열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1차 및 2차포장용기로부터 인출한 떡을 후처리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2차유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유통단계에서 떡은 질소가스공급용 포장장치에 의해 상기 1차포장용기에 포장되며, 상기 질소가스공급용 포장장치는 떡에 1차적으로 질소가스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질소가스공급유닛과, 질소가스공급유닛을 경유한 떡을 질소가스 분위기 속에서 상기 1차포장용기에 밀봉되도록 포장하는 질소가스포장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질소가스공급유닛은 떡 투입구와 떡 배출구를 구비하여 내부에 질소가스가 공급되도록 마련된 떡 이송통로와, 상기 떡 투입구를 통해 상기 떡 이송통로 내부로 유입된 떡을 상기 떡 배출구 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떡 이송통로 내부를 주행하도록 마련된 제1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포장용기는 상부로 개구된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개구를 밀폐시키도록 마련된 필름형태의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질소가스포장유닛은 떡이 포장되기 전 상태의 상기 용기부의 투입과 떡 포장이 완료된 상기 1차포장용기의 배출을 위한 용기 투입구와 용기 배출구를 구비하여 내부에 질소가스가 공급되도록 마련된 용기 이송통로와, 상기 용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용기 이송통로 내부로 유입된 용기부를 상기 용기 배출구 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용기 이송통로 내부를 주행하도록 마련된 제2컨베이어벨트와, 상기 떡 배출구를 통해 상기 질소가스공급유닛 외부로 배출된 떡을 상기 용기 투입구로 투입된 상기 용기부 내부에 수용시키도록 마련된 떡 수용기구와, 상기 용기 투입구와 상기 용기 배출구 사이의 상기 용기 이송통로 중도에 내부에 떡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이송통로를 따라 이송 중인 용기부의 개구에 상기 덮개를 밀폐 결합시키도록 마련된 덮개 결합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유통단계에서 상기 떡은 중탕가열장치를 통해 중탕 가열되고, 상기 중탕가열장치는 내부가 상부로 개방된 물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 상부에 상기 물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마련된 탱크뚜껑과, 상기 물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도록 마련된 전기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히터는 복수개의 상기 2차포장용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탱크뚜껑 하부에 상기 탱크뚜껑과 일체로 마련된 제1전기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탕가열장치는 탱크뚜껑을 승강 동작시키도록 마련된 승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히터는 상기 물수용공간 내벽 쪽에 설치되는 제2전기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전기히터는 상기 복수개의 2차포장용기를 다단으로 적재할 수 있는 형상을 이루도록 밴딩처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수용공간의 저부에는 상기 물수용공간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용팬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처리는 떡에 부재료를 첨가하고 떡의 모양을 성형하고 장식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유통단계는 상기 공장에서 가류 종류, 고물 류 및 씨앗 류를 포함하는 부재료를 1차포장용기에 질소가스가 충진된 상태로 밀봉되도록 포장 한 후 밀봉 포장된 상기 1차포장용기를 수분 통과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2차포장용기에 포장한 상태에서 판매처로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2차유통단계는 판매처에서 상기 1차 및 2차포장용기에 수용된 상태의 상기 부재료를 중탕가열하고, 중탕가열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1차 및 2차포장용기로부터 인출한 부재료를 후처리시 떡에 첨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떡 제조 및 유통방법은 공장에서 제조된 떡을 1차포장용기에 질소가스가 충진된 상태로 밀봉되도록 포장 한 후 밀봉 포장된 상기 1차포장용기를 수분 통과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2차포장용기에 포장한 상태에서 판매처로 공급하는 1차유통단계와, 상기 판매처에서 상기 1차 및 2차포장용기에 수용된 상태의 떡을 중탕가열하고, 중탕가열이 완료된 상태에서 1차 및 2차포장용기로부터 인출한 떡을 간단히 후처리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2차유통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장에서 제조된 떡이 판매처에서 중탕가열이 완료될 때까지 질소가스가 충진된 1차포장용기에 포장된 상태로 유통되고, 이에 따라 유통과정 중에 떡과 산소의 접촉이 억제되어 떡의 산패가 방지됨과 동시에 떡이 곰팡이나 효모 등의 미생물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지방, 계면활성제, 당류, 유기산과 같은 첨가물을 첨가하지 않고서도 전통적인 방식에 의해 제조된 떡의 유통기한을 큰 폭으로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떡 제조 및 유통방법에서는 판매처에서 떡이 1차 및 2차포장용기에 포장된 상태로 중탕 가열 방식에 의해 재가열되므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판매 직전 재 가열되는 과정에서도 떡과 수분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차단되어 떡이 질어지거나 경화됨이 없이 쫄깃쫄깃한 고유의 식감과 풍미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떡 유통방법에서 이용되는 1차포장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떡 유통방법에서 이용되는 질소가스공급용 포장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떡 유통방법에서 이용되는 질소가스공급용 포장장치에 있어서, 질소가스포장유닛의 덮개 결합기구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떡 유통방법에서 이용되는 2차포장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2차포장용기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떡 유통방법에서 이용되는 2차포장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2차포장용기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떡 유통방법에서 이용되는 중탕가열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로, 탱크뚜껑이 승강유닛에 의해 상승되어 저장탱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떡 유통방법에서 이용되는 중탕가열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로, 탱크뚜껑이 승강유닛에 의해 하강되어 저장탱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떡 유통방법에서 이용되는 중탕가열장치의 제1전기히터의 지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면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 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 및 유통방법은 공장에서 제조된 떡이 최종 소비자에게 공급되는 과정 사이의 유통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장에서 판매처로 유통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1차유통단계와, 판매처에서 떡을 간단히 중탕가열하고 후처리하여 소비자에게 유통되도록 하는 2차유통단계를 포함한다.
이중 먼저 1차유통단계에서는 공장에서 제조된 떡(a)을 1차포장용기(10)에 질소가스가 충진된 상태로 밀봉되도록 포장 한 후 밀봉 포장된 상기 1차포장용기(10)를 수분 통과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2차포장용기(20)에 포장한 상태에서 판매처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떡(a)을 1차포장용기(10)에 질소가스가 충진된 상태로 밀봉되도록 포장하게 되면, 떡(a)과 산소의 접촉이 억제되어 떡(a)의 산패가 방지됨과 동시에 떡(a)이 곰팡이나 효모 등의 미생물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지방, 계면활성제, 당류, 유기산과 같은 첨가물을 첨가하지 않고서도 전통적인 방식에 의해 제조된 떡(a)의 유통기한을 큰 폭으로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떡(a)이 밀폐되도록 포장된 상태에서는 상당기간 전분의 밀도 및 조직변화도 억제되어 떡이 쉽게 경화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떡(a) 안에는 제조과정에서 기본적으로 산소가 존재하게 되어 산소와 떡(a)의 접촉을 100% 차단하기는 어려우므로, 1차포장용기(10) 내 질소가스의 충진량(부피백분율)은 90%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질소가스가 충진된 1차포장용기(10) 내에 밀폐된 떡의 유통기한은 상온에서는 2~3일 정도가 되고, 냉장보관 시에는 약 25~30일 정도가 된다. 따라서 2차유통단계에서 판매처에서는 떡을 보다 장기간 신선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1차유통단계에서 떡은 질소가스공급용 포장장치(100)를 통해 1차포장용기(10)에 포장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포장용기(10)는 상부로 개구된 용기부(11)와, 용기부(11)의 개구를 밀폐시키도록 마련된 덮개(12)로 구성된다.
용기부(11)는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을 통해 상부의 개구 둘레에 플랜지부(11a)를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용기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덮개(12)는 얇은 합성수지 필름 형태로 마련되어 테두리가 플랜지부(11a)에 열융착되는 방식을 통해 용기부(11)의 개구를 밀폐시키게 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소가스공급용 포장장치(100)는 떡(a)에 1차적으로 질소가스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질소가스공급유닛(110)과, 질소가스공급유닛(110)을 경유한 떡을 질소가스 분위기 속에서 1차포장용기(10)에 밀봉되도록 포장하는 질소가스포장유닛(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질소가스공급유닛(110)은 떡 투입구(111a)와 떡 배출구(111b)를 구비하여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내부에 질소가스가 공급되도록 마련된 떡 이송통로(111)와, 떡 투입구(111a)를 통해 상기 떡 이송통로(111) 내부로 유입된 떡을 떡 배출구(111b) 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떡 이송통로(111) 내부를 주행하도록 마련된 제1컨베이어벨트(112)를 포함한다.
떡 이송통로(111)는 장방형의 이송관체(113)를 통해 형성되며, 제1컨베이어벨트(112)는 떡 이송통로(111)의 바닥 쪽 저부를 떡 이송통로(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하도록 설치된다.
이송관체(113)의 상부 한 쪽에는 질소가스공급관(114)이 연결된다. 질소가스공급관(114)은 도시되지 않은 질소가스공급장치에 연결되어 떡 이송통로(111) 내부로 질소가스를 공급하게 되며, 이송관체(113) 일측에는 떡 이송통로(111) 내부의 질소가스량을 측정하기 위한 감지센서(115)가 마련된다.
떡 투입구(111a)는 떡 이송통로(111)의 길이방향 일단에 제1컨베이어벨트(112)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되고, 떡 배출구(111b)는 떡 이송통로(111)의 길이방향 타단 쪽 이송관체(113) 측벽에 형성되며, 떡 투입구(111a)에는 떡 이송통로(111) 내부의 질소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커튼(116)이 설치된다.
따라서 제1컨베이어벨트(112)가 구동되고 떡 이송통로(111) 내부로 질소가스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컨베이어벨트(112) 위에 떡(a)을 순차적으로 올려놓게 되면, 제1컨베이어벨트(112)의 이송동작에 의해 떡(a)은 떡 투입구(111a)를 경유하여 떡 이송통로(111)로 투입되고, 떡 이송통로(111) 투입되어 떡 배출구(111b) 쪽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떡(a) 표면은 1차적으로 질소가스 분위기 속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질소가스포장유닛(120)은 용기부(11)의 투입과 포장이 완료된 1차포장용기의 배출을 위한 용기 투입구(121a)와 용기 배출구(121b)를 구비하여 내부에 질소가스가 공급되도록 마련된 용기 이송통로(121)와, 용기 투입구(121a)를 통해 용기 이송통로(121) 내부로 유입된 용기부(11)를 용기 배출구(121b) 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용기 이송통로(121) 내부를 주행하도록 마련된 제2컨베이어벨트(122)를 구비한다.
용기 이송통로(122)는 장방형의 이송관체(123)를 통해 형성되며, 제2컨베이어벨트(122)는 용기 이송통로(121)의 바닥 쪽 저부를 용기 이송통로(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하도록 설치된다.
이송관체(123)의 상부 한 쪽에는 질소가스공급관(124)이 연결되며, 이러한 질소가스공급관(124)은 상기 질소가스공급유닛(110)의 질소가스공급관(114)과 함께 상기 질소가스공급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용기 이송통로(121) 내부로 질소가스를 공급하게 된다. 이송관체(123) 일측에는 용기 이송통로(121) 내부의 질소가스량을 측정하기 위한 감지센서(125)가 마련되며, 상기 질소가스공급장치(미도시)는 상기 각 감지센서(115,125)에 의해 감지된 이송관체(113,123) 내부의 질소가스량을 체크하여 각 이송관체(113,123) 내부에 항시 미리 정해 놓은 일정량의 질소가스가 존재하도록 질소가스공급관(114,124)으로 공급되는 질소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된다.
용기 투입구(121a)와 용기 배출구(121b)는 용기 이송통로(121)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제2컨베이어벨트(122)의 이송방향으로 형성되고, 용기 투입구(121a)와 용기 배출구(121b)에는 각각 용기 이송통로(122) 내부의 질소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커튼(126a,126b)이 설치된다.
따라서 제2컨베이어벨트(122)가 구동되고 용기 이송통로(121) 내부로 질소가스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컨베이어벨트(122) 위에 용기부(11)를 순차적으로 올려놓게 되면, 제2컨베이어벨트(122) 상의 용기부(11)는 용기 투입구(121a)로 투입된 상태에서 용기 이송통로(121) 내부를 경유하여 용기 배출구(121b)를 통해 이송관체(123) 외부로 배출되며, 용기 이송통로(121) 내부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용기부(11) 내부는 질소가스가 충만된 상태가 된다.
또한 질소가스포장유닛(120)은 상기 떡 배출구(111b)를 통해 상기 질소가스공급유닛(110) 외부로 배출된 떡(a)을 상기 용기 투입구(121a)를 통과하여 용기 이송통로(121) 내부로 투입된 상기 용기부(11) 내부에 수용시키도록 마련된 떡 수용기구(130)와, 용기 투입구(121a)와 상기 용기 배출구(121b) 사이의 상기 용기 이송통로(121) 중도에 내부에 떡이 수용된 상태에서 용기 이송통로(121)를 따라 이송 중인 용기부(11)의 개구에 상기 덮개(12)를 밀폐 결합시키도록 마련된 덮개 결합기구(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떡 수용기구(130)는 떡 이송통로(111)의 떡 배출구(111b) 쪽 이송관체(113) 내벽에 설치된 유압실린더(131)를 구비한다. 이러한 유압실린더(131)는 제1컨베이어벨트(112)에 의해 떡 배출구(111b) 쪽으로 이송된 떡(a)을 떡 배출구(111b) 밀어서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용기 투입구(121a) 쪽 이송관체(123) 상면에는 떡 투입구(121c)가 형성되며, 떡 수용기구(130)는 용기 이송통로(121)의 떡 투입구(121c)와 상기 떡 이송통로(111)의 떡 배출구(111b) 사이를 밀폐하여 떡의 낙하동작을 안내함과 동시에 떡 배출구(111b) 및 떡 투입구(121c)를 통한 질소가스의 외부 유출이 방지되도록 마련된 안내관체(1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떡 배출구(111b)에서 배출된 떡(a)은 상기 떡 투입구(121c)로 낙하되어 용기 이송통로(121)의 용기 투입구(121a)로 투입된 용기부(11) 내부에 낙하되어 수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관체(113,123) 중 용기 이송통로(121)를 형성하는 이송관체(123)는 떡 이송통로(111)를 형성하는 이송관체(113) 하부 쪽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 결합기구(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포장용기의 덮개(12)를 형성하기 위한 필름 원단(f)이 감겨지도록 마련된 제1 및 제2권취롤러(141,142)와, 제1 및 제2권취롤러(141,142) 사이의 상부에 유압실린더(143)에 의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양 권취롤러(141,142) 사이의 원단(f)을 절단하여 덮개(12)를 형성함과 동시에 덮개(12)를 하부 쪽 용기부(11)의 플랜지(11a)에 열융착 방식으로 밀폐 결합시키는 절개식 가열부재(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권취롤러(141)에 감겨진 원단(f)은 제2권취롤러(142)의 구동시 제1권취롤러(141)에서 풀려지면서 제2권취롤러(142)에 되감기게 되며, 절개식 가열부재(144)는 전원을 인가 받아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유압실린더(143)에 의해 하강 동작되는 과정에서 제1권취롤러(141)에서 제2권취롤러(142) 쪽으로 감겨지는 원단(f)으로부터 덮개(12)를 절개하여 용기부(11) 개구에 밀폐 결합시키게 된다.
제2컨베이어벨트(122)는 상기 떡 수용기구(130)가 가동되어 상기 떡 투입구(121c)로 떡이 낙하되는 시점과 덮개(12)가 용기부(11)에 결합되도록 덮개 결합기구(140)의 절개식 가열부재(144)가 하강동작되는 시점에서 일시적으로 구동이 정지되도록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질소가스공급용 포장장치(100)를 이용하게 되면, 대량 생산된 떡을 질소가스가 충진된 1차포장용기(10)에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포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1차포장용기(10)에 포장된 상태의 떡(a)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2차포장용기(20)에 포장된 상태에서 판매처로 공급된다.
2차포장용기(20)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 또는 고강도 합성수지재질로 마련된 본체(21)와 커버(22)를 구비한다. 본체(21)는 내부에 떡(a)이 밀폐 포장된 복수개의 1차포장용기(10)를 수용하도록 상부로 개방된 박스형태로 마련되며, 커버(22)는 본체(21) 상부 일측에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커버(22) 상면에는 2차포장용기(20)의 운송시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 쌍의 손잡이(23)가 설치되며, 손잡이(23)는 2차포장용기(20)를 다단으로 적재할 경우를 대비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또 본체(21)와 커버(22)에는 전체적으로 고르게 복수개의 관통공(24)이 형성되며, 본체(21) 상부 타측과 커버(22) 사이에는 본체(21)의 개구를 덮은 상태로 커버(22)를 본체(21)에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구조의 잠금장치(25)가 설치된다.
또한 판매처에서 이루어지는 후처리 과정은 떡에 부재료를 첨가하는 공정을 포함하게 되고, 이때 사용되는 부재료로는 콩, 깨, 빵 등등 가류 종류와 팥, 수수, 녹두 등등 고물 류 및 해바라기 아몬드, 호두, 땅콩 등 씨앗 류 등이 되는데, 1차유통단계에서는 이러한 부재료도 질소가스가 충진된 상태로 포장하여 판매처로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부재료 역시 질소가스가 충진된 상기 1차포장용기(10)에 밀봉되도록 포장되고 2차포장용기(20)에 수용된 상태로 판매처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1차유통단계를 거쳐 판매처로 공급된 떡(a)은 판매처에서 1차 및 2차포장용기(10,20)에 수용된 상태 그대로 중탕가열장치(200)를 통해 중탕가열되고, 중탕가열이 완료된 상태에서 떡(a)이 밀폐포장된 1차포장용기(10)는 2차포장용기(20)로부터 인출되며, 이 상태의 떡은 다시 1차포장용기(10)로부터 인출되어 간단한 후처리 과정을 거쳐 최종 소비자에게 공급되는 2차유통단계를 거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2차유통단계에서 먼저 떡(a)은 판매처에 설치되는 상기 중탕가열장치(200)를 통해 중탕 가열되며, 이때 떡은 1차 및 2차포장용기(10,20)에 수용된 상태 그대로 중탕가열장치(200)에 투입되어 중탕 가열된다.
이와 같이 1차포장용기(10)에 밀폐 포장된 상태의 떡을 중탕가열장치(200)에 의해 중탕가열하게 되면, 1차포장용기(10) 내부의 떡(a)은 재가열되어 바로 먹기 적당한 상태가 되고, 이때 재가열되는 과정에서 떡(a)은 수분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차단되어 더 질어지거나 경화게 됨이 없이 고유의 쫄깃쫄깃한 식감과 풍미를 제조된 직후 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공장에서 납품 받은 상태 그대로 떡(a)이 밀폐 포장된 1차포장용기(10)를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2차포장용기(20)를 중탕가열장치의 열수 속에 넣어 떡을 중탕 가열시키게 되면, 중탕가열 과정이 간편하고 단조롭게 되어 떡(a)을 보다 쉽게 재가열할 수 있게 되며, 이때 복수개의 관통공(24)을 구비하는 2차포장용기(20)는 중탕 가열시 1차포장용기(10)에 열수가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면서도 얇은 합성수지 재질의 1차포장용기(10)를 보호하여 과도한 열에 의해 1차포장용기(10)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탕가열장치(200)는 내부가 상부로 개방된 물수용공간(210a)을 형성하는 저장탱크(210)와, 상기 저장탱크(210) 상부에 물수용공간(210a)을 개폐하도록 마련된 탱크뚜껑(220)과, 물수용공간(210a)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도록 마련된 전기히터(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221은 중탕가열장치(200)의 전반적인 조작을 위한 컨트롤부를 가리킨다.
따라서 저장탱크(210)에 물을 공급하고 전기히터(230)를 가동시키게 되면, 물수용공간(210a)의 물은 가열되어 열수를 형성하게 된다.
판매처에서 보다 신속하게 고객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떡의 재가열 시간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전기히터(230)는 2차포장용기(20)를 지지하도록 탱크뚜껑(220) 하부에 탱크뚜껑(220)과 일체로 마련되어 열전도 방식으로 2차포장용기(20)를 가열하게 되는 제1전기히터(240)와, 물수용공간(210a) 내벽 둘레 쪽에 설치되는 제2전기히터(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물수용공간(210a)의 물은 제1 및 제2전기히터(240,250)를 통해 동시에 가열된다.
열수의 온도를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올리기 위해 제2전기히터(250)는 중탕 가열 동작 여부와 상관없이 물수용공간(210a)의 물이 30~40℃ 정도를 유지하도록 항시 가동되며, 제1전기히터(240)는 물수용공간(210)의 열수의 온도를 짧은 시간에 100℃ 이상으로 가열시킬 수 있도록 중탕 가열시에만 제2전기히터(250)보다 높은 온도로 가동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물수용공간(210a) 저부의 저장탱크(210) 바닥면에는 물수용공간(210)의 물을 순환시켜 열수가 물수용공간(210a)의 열수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되도록 하는 순환용 팬(260)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중탕 가열과정에서 열수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탱크뚜껑(220)에는 소정의 증기배출공(221)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제1전기히터(240)는 양단 사이가 상하방향으로 다단을 이루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지지부(241)를 형성하도록 마련되고, 각 지지부(24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평면 상에서 다수회 밴딩처리 되어 2차포장용기(20)를 상부에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복수개의 2차포장용기(20)를 다단으로 적재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제1전기히터(240)는 전원 쪽과 연결되는 양쪽 단부가 탱크뚜껑(220)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탱크뚜껑(220)과 일체를 이루게 된다. 참고로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270)은 중탕 가열시 상기 각 지지부(241) 위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된 금속재질 또는 고강도 합성수지재질의 트레이를 가리키며, 중탕 가열시 각 2차포장용기(20)는 이러한 트레이(270)에 지지된 상태로 지지부(241)에 올려질 수 있다.
또 복수개의 2차포장용기(20)의 경우 과도한 무게로 인해 판매처의 작업자가 동시에 들어올리기 어려우므로, 중탕가열장치(200)는 제1전기히터(240)가 일체로 장착된 탱크뚜껑(220)을 승강 동작시키도록 마련된 승강유닛(28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승강유닛(280)은 저장탱크(210) 양측의 지면에 입설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281)와, 각 지지대 상단에 연결된 승강용 도르래(282)와, 승강용 도르래(282)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283)와, 승강용 도르래(282)와 탱크뚜껑(220)을 연결하는 승강용 와이어(2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83)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용 와이어(284)가 승강용 도르래(282)에 감거나 풀리는 동작을 통해 탱크뚜껑(220)은 자동적으로 승강하면서 저장탱크(210) 상부의 개구를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판매처에서 떡을 중탕 가열하고자 할 경우 먼저 작업자는 저장탱크(210)가 개방되도록 탱크뚜껑(220)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제1전기히터(240)의 각 지지부(241)에 2차포장용기(20)를 올려놓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저장탱크(210)가 폐쇄되도록 탱크뚜껑(220)을 하강시키게 되면, 복수개의 2차포장용기(20)는 동시에 저장탱크(210)의 열수 속으로 침지되면서 바로 중탕 가열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제2전기히터(250)는 계속 가열동작되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 제1전기히터(240)를 구동시키게 되면, 물수용공간(210a)의 물은 순간적으로 높은 온도의 열수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열수는 관통공(24)을 통해 각 2차포장용기(20) 내부로 유입되어 2차포장용기(20) 속 1차포장용기(10) 표면을 가열하게 되며, 이에 따라 1차포장용기(10) 속 떡(a)은 신속하게 중탕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중탕 가열이 완료된 상태에서 판매처 작업자는 다시 승강유닛(280)을 동작시켜 저장탱크(210)가 개방되도록 탱크뚜껑(220)을 상승시키고, 각 2차포장용기(20)를 개방하여 내부의 1차포장용기(10)를 인출하게 된다.
이후 판매처 작업자는 1차포장용기(10)를 개방하여 떡(a) 외부로 인출한 상태에서 떡(a)의 종류에 따라 떡(a)에 부재료를 첨가하거나 떡(a) 모양을 다듬고 성형하거나 떡(a) 표면을 장식하는 후처리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제2유통단계는 이러한 후처리 과정을 거친 떡을 소비자에게 공급함으로써 종료된다.
2차유통단계에서 후처리 과정 중 이용되는 부재료는 떡과 동일한 방식으로 중탕가열된 상태로 떡(a)에 첨가될 수 있으며, 떡의 종류별 특성에 따라 상기 후처리 공정은 생략이 가능하다.
10: 1차포장용기 20: 2차포장용기
100: 질소가스공급용 포장장치 110: 질소가스공급유닛
120: 질소가스포장유닛 200: 중탕가열장치

Claims (11)

  1. 공장에서 제조 된 떡을 1차포장용기에 질소가스가 충진된 상태로 밀봉되도록 포장 한 후 밀봉 포장된 상기 1차포장용기를 수분 통과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2차포장용기에 포장한 상태에서 판매처로 공급하는 1차유통단계와,
    상기 판매처에서 상기 1차 및 2차포장용기에 수용된 상태의 떡을 중탕가열하고, 중탕가열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1차 및 2차포장용기로부터 인출한 떡을 후처리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2차유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의 제조 및 유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유통단계에서 떡은 질소가스공급용 포장장치에 의해 상기 1차포장용기에 포장되며,
    상기 질소가스공급용 포장장치는 떡에 1차적으로 질소가스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질소가스공급유닛과, 질소가스공급유닛을 경유한 떡을 질소가스 분위기 속에서 상기 1차포장용기에 밀봉되도록 포장하는 질소가스포장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 및 유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가스공급유닛은 떡 투입구와 떡 배출구를 구비하여 내부에 질소가스가 공급되도록 마련된 떡 이송통로와, 상기 떡 투입구를 통해 상기 떡 이송통로 내부로 유입된 떡을 상기 떡 배출구 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떡 이송통로 내부를 주행하도록 마련된 제1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 및 유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1차포장용기는 상부로 개구된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개구를 밀폐시키도록 마련된 필름형태의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질소가스포장유닛은 떡이 포장되기 전 상태의 상기 용기부의 투입과 떡 포장이 완료된 상기 1차포장용기의 배출을 위한 용기 투입구와 용기 배출구를 구비하여 내부에 질소가스가 공급되도록 마련된 용기 이송통로와, 상기 용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용기 이송통로 내부로 유입된 용기부를 상기 용기 배출구 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용기 이송통로 내부를 주행하도록 마련된 제2컨베이어벨트와, 상기 떡 배출구를 통해 상기 질소가스공급유닛 외부로 배출된 떡을 상기 용기 투입구로 투입된 상기 용기부 내부에 수용시키도록 마련된 떡 수용기구와, 상기 용기 투입구와 상기 용기 배출구 사이의 상기 용기 이송통로 중도에 내부에 떡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 이송통로를 따라 이송 중인 용기부의 개구에 상기 덮개를 밀폐 결합시키도록 마련된 덮개 결합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 및 유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유통단계에서 상기 떡은 중탕가열장치를 통해 중탕 가열되고,
    상기 중탕가열장치는 내부가 상부로 개방된 물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 상부에 상기 물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마련된 탱크뚜껑과, 상기 물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도록 마련된 전기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히터는 복수개의 상기 2차포장용기를 지지하도록 상기 탱크뚜껑 하부에 상기 탱크뚜껑과 일체로 마련된 제1전기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 및 유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탕가열장치는 탱크뚜껑을 승강 동작시키도록 마련된 승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 및 유통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히터는 상기 물수용공간 내벽 쪽에 설치되는 제2전기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 및 유통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히터는 상기 복수개의 2차포장용기를 다단으로 적재할 수 있는 형상을 이루도록 밴딩처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 및 유통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물수용공간의 저부에는 상기 물수용공간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용팬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 및 유통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는 떡에 부재료를 첨가하고 떡의 모양을 성형하고 장식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 및 유통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유통단계는 상기 공장에서 가류 종류, 고물 류 및 씨앗 류를 포함하는 부재료를 1차포장용기에 질소가스가 충진된 상태로 밀봉되도록 포장 한 후 밀봉 포장된 상기 1차포장용기를 수분 통과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2차포장용기에 포장한 상태에서 판매처로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2차유통단계는 판매처에서 상기 1차 및 2차포장용기에 수용된 상태의 상기 부재료를 중탕가열하고, 중탕가열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1차 및 2차포장용기로부터 인출한 부재료를 후처리시 떡에 첨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의 제조 및 유통방법.
KR1020110093440A 2011-09-16 2011-09-16 떡을 포장하여 공급하는 방법 KR20130029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440A KR20130029980A (ko) 2011-09-16 2011-09-16 떡을 포장하여 공급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440A KR20130029980A (ko) 2011-09-16 2011-09-16 떡을 포장하여 공급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980A true KR20130029980A (ko) 2013-03-26

Family

ID=48179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440A KR20130029980A (ko) 2011-09-16 2011-09-16 떡을 포장하여 공급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99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107B1 (ko) * 2013-12-31 2014-05-16 코리아팩라인 주식회사 식품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107B1 (ko) * 2013-12-31 2014-05-16 코리아팩라인 주식회사 식품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8572A (en) Process for baking muffins in disposable baking tray
CN108719368B (zh) 用于制备和分配焙烤食品的装置
US200501234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processing of packaged products
US4805524A (en) Process for preparing elaborated food products and installation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KR102312169B1 (ko) 나물 자동 포장장치를 이용한 자동 포장방법
KR20140137918A (ko) 포장밥의 정량투입장치
KR20110032998A (ko) 식품 살균 장치
KR20130029980A (ko) 떡을 포장하여 공급하는 방법
JP2011030449A (ja) 食品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5717707B2 (ja) 食品処理装置
KR102116811B1 (ko) 밀봉 도시락 제조방법
JP3799055B2 (ja) レトルト食品用自動販売機
US20100047402A1 (en) Energy-Differential Microwaveable Food Package
CN100473289C (zh) 包装米饭制造装置
CN111838545A (zh) 一种保鲜粽的加工工艺
JP3104137U (ja) パック米飯製造装置
KR20130094230A (ko) 포장 쌀밥의 제조 방법
JP3119239U (ja) パック米飯製造装置
CN216486616U (zh) 智慧自助餐饮系统
JP3616038B2 (ja) 成型加工食品の真空凍結乾燥方法および成型加工食品の真空凍結乾燥装置
JP4414264B2 (ja) 米飯加工方法及び装置
JPH07194353A (ja) パック食品の加熱調理方法及びその装置
US20150157033A1 (en) Seafood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s of Processing Seafood
CN210635103U (zh) 一种真空包装米的装载设备
CN101415338A (zh) 能在常温保存的、包装好的面食制品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