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336A -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부품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336A
KR20130029336A KR1020120096895A KR20120096895A KR20130029336A KR 20130029336 A KR20130029336 A KR 20130029336A KR 1020120096895 A KR1020120096895 A KR 1020120096895A KR 20120096895 A KR20120096895 A KR 20120096895A KR 20130029336 A KR20130029336 A KR 20130029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ole
connector
contact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유키 나가타
다이스케 사사키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9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성을 지니는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된 본 발명의 커넥터는, 관통 구멍(111)과, 관통 구멍(111)의 주변부(112b)를 지니는 케이스(100); 케이스(100)의 관통 구멍(111)에 삽입된 선단부(211)와, 선단부(211)에 연접된 후단부(212)를 지니는 동체 본체(210)를 구비한 동체(200); 동체 본체(210)에 유지된 중간부(330)와, 케이스(100)의 관통 구멍(111) 내에 삽입된 접점부(310)와, 중간부(330)를 끼워서 접점부(310)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테일부(320)를 지니는 컨택트(300); 및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와 케이스(100)의 주변부(112b)를 접합하는 절연 수지제의 환 형상 접합부(50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부품{CONNECTOR AND ELECTORNIC COMPONE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부품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커넥터로서는, 스마트 폰 등의 휴대 단말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있다. 상기 커넥터에는 실리콘 수지제의 캡(cap)이 끼워맞추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커넥터로부터 휴대 단말 내부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JP 2001-250629 A
그런데, 캡이 커넥터에 끼워맞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이 잘못하여 물에 노출되면, 물이 커넥터로부터 휴대 단말 내부로 침입해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방수성을 지니는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부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커넥터는, 관통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의 주변부를 지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에 삽입된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에 연접(連接)된 후단부를 지니는 동체 본체를 구비한 동체(body); 상기 동체 본체에 유지된 중간부와,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 내에 삽입된 접점부와, 상기 중간부를 끼워서 상기 접점부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테일부를 지니는 컨택트; 및 상기 동체 본체의 후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를 접합하는 절연 수지제의 환 형상 접합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환 형상 접합부가, 동체 본체의 후단부와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를 접합하고 있으므로, 동체와 케이스 사이로부터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환 형상 접합부는, 아웃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작성가능한 절연 수지제이므로, 저비용으로 상기 커넥터의 방수성 및 방진성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동체는, 상기 동체 본체의 후단부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에 당접한(즉, 맞닿는) 맞닿음부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환 형상 접합부에 매설되어 있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맞닿음부가 환 형상 접합부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환 형상 접합부에 의한 동체 본체의 후단부와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 간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에 끼워맞추어져 있고 또한 상기 컨택트의 접점부를 둘러싸는 도전성을 지니는 통 형상의 차폐 케이스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동체 본체의 선단부는 상기 차폐 케이스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상기 환 형상 접합부가, 상기 동체 본체의 후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와 상기 차폐 케이스를 접합하고 있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환 형상 접합부가, 동체 본체의 후단부와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와 차폐 케이스를 접합하고 있으므로, 동체와 차폐 케이스 사이 및 케이스와 차폐 케이스 사이로부터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차폐 케이스에 의해 컨택트의 접점부가 둘러싸여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의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특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차폐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에 끼워맞추어진 통부와, 상기 통부에 연접되어,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에 걸어맞추어져 있고 또한 상기 환 형상 접합부에 매설된 걸어맞춤부를 지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차폐 케이스의 걸어맞춤부가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에 걸어맞추어져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의 조립 시 차폐 케이스의 케이스에 대한 위치 결정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게다가, 걸어맞춤부는 환 형상 접합부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환 형상 접합부에 의한 차폐 케이스와 동체 본체의 후단부와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 간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통부 측에 되접어 꺾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에 맞닿는 선단부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걸어맞춤부의 선단부를,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에 맞닿게 하는 것만으로, 상기 커넥터의 조립 시 차폐 케이스의 케이스에 대한 위치 결정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상기 차폐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에 끼워맞추어진 통부와, 상기 통부에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환 형상 접합부를 관통한 접속부를 지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접속부가 환 형상 접합부를 관통하고 있다. 즉, 접속부는 환 형상 접합부에 부분적으로 매설되어 있으므로, 환 형상 접합부에 의한 차폐 케이스와 동체 본체의 후단부와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 간의 접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속부는, 대략 U자 형상 또는 사행 만곡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고 또한 상기 환 형상 접합부에 매설된 만곡부를 지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대략 U자 형상 또는 사행 만곡 형상의 만곡부가 환 형상 접합부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만곡부의 환 형상 접합부에 대한 연면(沿面)거리(접촉 면적)를 증대시킬 수 있다. 만곡부와 환 형상 접합부의 수지 사이를 따라서 미소한 간극이 있었다고 해도, 상기 연면거리가 증대한 것에 의해, 상기 간극이 길어지므로, 해당 간극으로부터의 물 및/또는 분진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의 방수성 및 방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통부에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환 형상 접합부에 매설된 기단부와, 상기 환 형상 접합부에서 돌출한 선단부를 더 지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만곡부는, 상기 기단부와 상기 선단부에 현가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대략 U자 형상 또는 사행 만곡 형상의 만곡부가, 상기 기단부와 상기 선단부에 현가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단부 및 만곡부와, 환 형상 접합부의 수지 사이를 따라서 미소한 간극이 있었다고 해도, 해당 간극의 일부가 만곡부를 따라서 대략 U자 형상 또는 사행 만곡 형상으로 만곡된다. 즉, 상기 간극이 기단부, 만곡부 및 선단부를 따라서 일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으므로, 해당 간극으로부터의 물 및/또는 분진의 침입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의 방수성 및 방진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만곡부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제2대향부와, 상기 제1, 제2대향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제2대향부의 다른 쪽에 맞닿으며, 해당 제1, 제2대향부 사이에 간극을 생기게 하는 돌기를 지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환 형상 접합부의 수지가, 상기 간극에 충전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돌기가 상기 제1, 제2대향부의 다른 쪽에 맞닿는 것에 의해, 제1, 제2대향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있다. 상기 간극에 환 형상 접합부의 수지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만곡부의 환 형상 접합부에 대한 연면거리(접촉 면적)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의 방수성 및 방진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차폐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에 끼워맞추어진 통부와, 상기 통부에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환 형상 접합부에 매설된 고정부를 지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고정부는 환 형상 접합부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환 형상 접합부에 의한 차폐 케이스와 동체 본체의 후단부와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 간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동체 본체의 후단부의 외주면 상에 둘레방향으로 간극을 가지고 설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의 경우, 동체 본체의 후단부의 외주면 상에 둘레방향으로 간극을 가지고 설치된 복수의 맞닿음부가 환 형상 접합부에 매설되므로, 환 형상 접합부에 의한 차폐 케이스와 동체 본체의 후단부와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 간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동체 본체의 후단부의 외주면 상에 둘레방향으로 간극을 가지고 설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는 이웃하는 상기 맞닿음부 사이에 끼워맞춤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의 경우, 동체 본체의 후단부의 외주면 상에 둘레방향으로 간극을 가지고 설치된 복수의 맞닿음부가 환 형상 접합부에 매설되므로, 환 형상 접합부에 의한 차폐 케이스와 동체 본체의 후단부와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 간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차폐 케이스의 고정부가 이웃하는 상기 맞닿음부 사이에 끼워맞추어져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의 조립 시 차폐 케이스를 동체에 간단히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 및 맞닿음부 중 한쪽에는 볼록부가 설치되고, 다른 쪽에는 상기 볼록부가 끼워맞추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볼록부가 오목부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커넥터의 조립 시 동체를 케이스에 간단히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컨택트의 중간부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상기 동체 본체에 매립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컨택트의 중간부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동체 본체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커넥터의 방수성 및 방진성이 향상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케이스 및 환 형상 접합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도전성을 지니는 차폐 커버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차폐 커버에 의해 케이스 및 환 형상 접합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여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의 EMI 특성 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케이스, 동체 및 환 형상 접합부 중 적어도 하나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다른 수지 재료에 대한 밀착성 및 금속에 대한 밀착성이 양호하므로, 상기 커넥터의 방수성 및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인성도 다른 수지 재료에 비해서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의 비집어짐 강도(こじり强度)가 향상된다.
전술한 커넥터와, 상기 케이스에 외부에서 끼운 링 형상의 패킹을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발명의 양태에 의한 경우, 케이스에 외부에서 끼운 링 형상의 패킹을, 상기 커넥터와, 해당 커넥터가 내장되는 전자기기의 하우징 사이에 개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전자기기의 하우징 사이로부터의 침수 또는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양태의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커넥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1c는 상기 커넥터의 정면, 밑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1d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밑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차폐 커버를 제거하고 또한 환 형상 접합부를 투과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밑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차폐 커버를 제거하고 또한 환 형상 접합부를 투과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상기 커넥터의 도 1a 중의 3A-3A 단면도로서, 패킹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3b는 상기 커넥터의 도 1a 중의 3B-3B 단면도로서, 패킹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3c는 상기 커넥터의 도 1a 중의 3C-3C 단면도로서, 패킹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3d는 상기 커넥터의 도 1a 중의 3D-3D 단면도로서, 패킹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4a는 상기 커넥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b는 상기 커넥터의 정면, 밑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커넥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b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c는 상기 커넥터의 정면, 밑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d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밑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6a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차폐 커버를 제거하고 또한 환 형상 접합부를 투과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밑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차폐 커버를 제거하고 또한 환 형상 접합부를 투과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a는 상기 커넥터의 도 5a 중의 7A-7A 단면도로서, 패킹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7b는 상기 커넥터의 도 5a 중의 7B-7B 단면도로서, 패킹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7c는 상기 커넥터의 도 5a 중의 7C-7C 단면도로서, 패킹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7d는 상기 커넥터의 도 5a 중의 7D-7D 단면도로서, 패킹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8a는 상기 커넥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b는 상기 커넥터의 정면, 밑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커넥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9b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밑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a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평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차폐 커버 및 패킹을 제거하고 또한 환 형상 접합부를 투과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b는 상기 커넥터의 배면, 밑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차폐 커버 및 패킹을 제거하고 또한 환 형상 접합부를 투과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a는 상기 커넥터의 도 9a 중의 11A-11A 단면도로서, 패킹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11b는 상기 커넥터의 도 9a 중의 11B-11B 단면도로서, 패킹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11c는 상기 커넥터의 도 9a 중의 11C-11C 단면도로서, 패킹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11d는 상기 커넥터의 도 9a 중의 11D-11D 단면도로서, 패킹을 제거한 상태의 도면;
도 12a는 상기 커넥터의 정면, 평면 및 우측면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2b는 상기 커넥터의 정면, 밑면 및 좌측면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커넥터에 대해서 도 1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2b에 나타낸 커넥터는, 케이스(100)와, 동체(200)와, 복수의 컨택트(300)와, 차폐 케이스(400)와, 환 형상 접합부(500)와, 패킹(600)과, 차폐 커버(7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기 커넥터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 중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폭방향을 X, 전후 방향을 Y, 상하 방향을 Z로서 나타내고 있다. Y방향은 X방향에 대해서 직교하고 있고, Z방향은 X, Y방향에 대해서 직교하고 있다.
케이스(100)는, 도 2a, 도 2b,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등의 절연 수지제의 통이다. 케이스(100)는, 통 형상의 케이스 본체(110)와, 케이스 본체(110)에 외부에서 끼우도록 설치된 각진 환 형상의 프레임(120)을 지니고 있다. 케이스 본체(110)에는, 해당 케이스 본체(110)를 Y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4b에 나타낸 (112a)는 케이스 본체(110) 앞쪽(Y방향의 한쪽 측)의 관통 구멍(111)의 주변부이며, (112b)는 뒤쪽(Y방향의 다른 쪽 측)의 관통 구멍(111)의 주변부이다. 또한, 주변부(112b)가 특허청구범위의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에 상당하고 있다.
케이스 본체(110)에는, 도 1a 내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킹(600)이 외부에서 끼워져 있다. 이 패킹(600)은, 케이스 본체(110)와 상기 커넥터가 탑재되는 전자기기의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에 개재 가능해지고 있다. 패킹(600)이 케이스 본체(110)와 하우징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양자 사이로부터의 물이나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 본체(110)의 X방향의 양단면에는,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의 1쌍의 계지(係止; 걸림) 오목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10)의 하단부의 X방향의 양단부에는, Y방향으로 뻗는 1쌍의 계지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10) 내의 천장면에는, 도 3b 및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Y방향으로 뻗는 1쌍의 홈(115)과, 1쌍의 오목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16)는 홈(115)에 연통하고 있고 또한 뒤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차폐 케이스(400)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폐 케이스(400)는, 통부(410)와, 1쌍의 걸어맞춤부(420)와, 고정부(430)와, 1쌍의 접속부(440)를 지니고 있다. 통부(410)의 외형은 케이스 본체(110)의 관통 구멍(111)의 내형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통부(410)는 케이스 본체(110)의 관통 구멍(111)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통부(410)는, 상판(411)과, 밑판(412)과, 1쌍의 측판(413)을 지니고 있다. 상판(411)은, 도 3b 및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절상편(切り上げ片)(411a)과 1쌍의 접촉 정지부(411b)를 지니고 있다. 각 절상편(411a)은, 상판(411)의 일부를 잘라, 위쪽(Z방향의 한쪽 측)으로 만곡시킨 것이다. 절상편(411a)이 케이스 본체(110)의 홈(115)에 삽입되어 있다. 각 접촉 정지부(411b)는, 상판(411)의 절상편(411a)의 후방부분을 아래쪽(Z방향의 다른 쪽 측)으로 돌출 설치시킨 돌기이다.
각 걸어맞춤부(420)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부(410)의 측판(413)의 후단부에 연접되고, 외측 또한 전방으로 되접어 꺾인 대략 U자 형상의 조각(片) 부재이다. 걸어맞춤부(420)는 선단부(421)를 지닌다. 걸어맞춤부(420)는, 선단부(421)가 케이스 본체(110)의 주변부(112b)에 맞닿음으로써, 해당 주변부(112b)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고정부(430)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부(410)의 상판(411)의 후단부에 연접되어, Y방향으로 뻗는 직사각 형상의 판이다. 각 접속부(440)는, 통부(410)의 밑판(412)의 후단부에 연접되어, Y방향으로 뻗는 암(arm)이다. 접속부(440)는 기단부(441)와 선단부(442)를 지니고 있다. 접속부(440)는, 선단부(442)의 하부면의 높이 위치가, 컨택트(300)의 후술하는 테일부(320)의 하부면의 높이 위치와 같게 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동체(200)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등의 절연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동체(200)는, 동체 본체(210)와, 1쌍의 맞닿음부(221)와, 1쌍의 맞닿음부(222)와, 맞닿음부(223)와, 배면판(230)과, 설(舌)부(240)를 지니고 있다.
동체 본체(210)는,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의 내부형에 대응한 외형을 지니는 블록이다. 동체 본체(210)는, 선단부(211)와, 선단부(211)에 연접된 후단부(212)를 지니고 있다. 선단부(211)가 통부(410)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선단부(211)의 선단면의 위쪽부분에는, 1쌍의 오목부(211a)가 설치되어 있다. 차폐 케이스(400)의 접촉 정지부(411b)가 오목부(211a)에 삽입되어, 해당 오목부(211a)의 안쪽 측면에 맞닿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동체 본체(210)가 소정 이상, 통부(410) 내에 삽입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또한, 선단부(211)에는 평판 형상의 설부(240)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설부(240)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부(4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설부(240)의 하부면에는, Y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수용홈(241)이 형성되어 있다.
후단부(212)의 외주면에는, 1쌍의 맞닿음부(221), 1쌍의 맞닿음부(222) 및 맞닿음부(223)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맞닿음부(221), 맞닿음부(222) 및 맞닿음부(223)는 케이스(100)의 주변부(112b) 및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의 후단면에 맞닿고 있다. 맞닿음부(221)에는 돌출부(221a)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221a)는, 도 3b 및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의 1쌍의 오목부(116)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1쌍의 맞닿음부(221) 사이에는 간극(S1)이 형성되어 있다. 1쌍의 맞닿음부(221)와 1쌍의 맞닿음부(222) 사이에는 간극(S2)이 형성되어 있다. 1쌍의 맞닿음부(222)와 맞닿음부(223) 사이에는 간극(S3)이 형성되어 있다. 간극(S1)에는 차폐 케이스(400)의 고정부(430)가 삽입되어, 고정부(430)가 맞닿음부(221) 사이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간극(S2)에는 걸어맞춤부(420)가 삽입되어 있다. 간극(S3)에는 접속부(440)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간극(S3) 내에는, 접속부(440)의 기단부(441)가 배치되어 있다. 배면판(230)은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에 연접된 판이다. 이 배면판(230)과, 맞닿음부(221), (222) 사이에는, 도 2b, 도 3b 및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극이 생기고 있다. 배면판(230)의 하단부의 중앙부에는 절결부(2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231)에도 접속부(440)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각 컨택트(300)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컨택트(300)는,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점부(310)와, 테일부(320)와, 중간부(330)를 지니고 있다. 중간부(330)는 대략 L자 형상의 판으로서, 인서트 성형에 의해 동체(200)의 동체 본체(210) 및 배면판(230) 내에 매립되어, 해당 동체 본체(210) 및 배면판(230)에 유지되어 있다. 중간부(330)의 Y방향의 타단부(후단부)는, 배면판(230)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절결부(23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접점부(310)는, 중간부(330)의 Y방향의 일단(전단)부에 연접되고 또한 Y방향으로 뻗는 판으로서, 설부(240)의 수용홈(241)에 삽입되어 있다. 접점부(310)는,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에 둘러싸여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커넥터의 EMI 특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테일부(320)는 중간부(330)의 Y방향의 타단(후단)부에 연접되어, 해당 중간부(330)의 타단부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꺾어 구부린 판으로서, Y방향으로 뻗고 있다. 이와 같이 테일부(320)는, Y방향에 있어서 중간부(330)를 끼워서 접점부(310)의 반대쪽에 위치하고 있다.
환 형상 접합부(500)는, 도 2a, 도 2b,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웃 인서트 성형에 의해 작성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등의 절연 수지제의 각진 환 형상체로서, 케이스(100)의 주변부(112b)와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의 후단면과 동체(200)의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의 외주면을 접합하고 있다. 환 형상 접합부(500)는, 동체(200)의 후단부(212)를 덮고 있다. 환 형상 접합부(500) 내에는, 1쌍의 맞닿음부(221), 1쌍의 맞닿음부(222), 맞닿음부(223), 배면판(230), 걸어맞춤부(420), 고정부(430) 및 접속부(440)의 기단부(441)가 매립되어 있다. 환언하면, 환 형상 접합부(500)의 수지는, 간극(S1) 내지 (S3) 및 배면판(230)과 맞닿음부(221), (222) 사이의 간극에 충전되어, 1쌍의 맞닿음부(221), 1쌍의 맞닿음부(222), 맞닿음부(223), 배면판(230), 걸어맞춤부(420), 고정부(430) 및 접속부(440)의 기단부(441)를 덮고 있다. 단, 배면판(230)의 후단면은 환 형상 접합부(500)로부터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접속부(440)의 선단부(442)는, 환 형상 접합부(500)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즉, 접속부(440)는, 환 형상 접합부(500)를 관통하고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환 형상 접합부(500)의 내부 형상은,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 상에 위치하는 1쌍의 맞닿음부(221), 1쌍의 맞닿음부(222), 맞닿음부(223), 배면판(230), 1쌍의 걸어맞춤부(420), 고정부(430), 1쌍의 접속부(440)의 기단부(441), 간극(S1) 내지 (S3) 및 배면판(230)과 맞닿음부(221), (222) 사이의 간극의 형상에 대응한 요철이다.
차폐 커버(700)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을 향하는 대략 U자 형상의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다. 차폐 커버(700)는, 대략 U자 형상의 커버 본체(710)와, 1쌍의 제1, 제2계지편(720), (730)과, 4개의 접속편(740)을 지니고 있다. 커버 본체(710)는, 상판과, 이 상판의 X방향의 양단부에 연접되고 또한 해당 상판에 대해서 직각으로 꺾어 구부린 1쌍의 측판을 지니고 있다. 이 커버 본체(710)가 케이스(100)의 케이스 본체(110)의 후단부 및 환 형상 접합부(500)를 덮고 있다. 이 상태에서, 커버 본체(710)가 컨택트(300)의 중간부(330)를 씌우고 있다. 제1계지편(720)은 커버 본체(710)의 측판의 일부를 안쪽으로 잘라 일으킨 조각 부재이다. 제1계지편(720)은, 케이스 본체(110)의 계지오목부(113)에 걸려 있다. 제2계지편(730)은 커버 본체(710)의 측판의 하단의 중앙부에 연접되고 또한 해당 측판에 대해서 안쪽으로 직각으로 꺾어 구부린 조각 부재이다. 제2계지편(730)은 케이스 본체(110)의 계지홈(114)에 걸려 있다. 접속편(740)은, 커버 본체(710)의 측판의 하단의 양단부에 연접되고 또한 해당 측판에 대해서 바깥쪽으로 직각으로 꺾어 구부린 조각 부재이다. 접속편(740)의 하부면의 높이 위치는, 컨택트(300)의 테일부(320)의 하부면의 높이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의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금속판이 프레스 성형됨으로써 작성된 컨택트(300)를 준비한다. 그 후, 컨택트(300)를 도시하지 않은 금형에 넣어서 절연 수지를 유입시키고, 인서트 성형을 행한다. 상기 절연 수지가 동체(200)로서 성형된다. 이 때, 컨택트(300)의 중간부(330)가 동체(200)의 동체 본체(210) 및 배면판(230) 내에 각각 매립되어, 유지된다. 접점부(310)는 동체(200)의 설부(240)의 수용홈(241)에 각각 삽입된다. 테일부(320)는 동체(200)의 배면판(230)의 하단부의 후방에 배치된다.
그 후, 금속판이 프레스 성형됨으로써 작성된 차폐 케이스(400)를 준비한다. 그 후, 동체(200)의 설부(240) 및 동체 본체(210)의 선단부(211)를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에 삽입한다. 그러면, 동체(200)의 선단부(211)가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에 끼워맞추어지고, 설부(240) 및 컨택트(300)의 접점부(310)가 통부(410) 내에 배치된다. 이 때, 동체(200)의 맞닿음부(221), (222), (223)가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의 후단면에 맞닿는다. 차폐 케이스(400)의 접촉 정지부(411b)가 동체(200)의 오목부(211a)에 삽입되고, 해당 오목부(211a)의 안쪽 측면에 맞닿는다. 차폐 케이스(400)의 고정부(430)가 1쌍의 맞닿음부(221) 사이에 끼워맞추어진다. 차폐 케이스(400)의 1쌍의 걸어맞춤부(420)가, 1쌍의 맞닿음부(221)와 1쌍의 맞닿음부(222) 사이의 간극(S2)에 삽입된다. 차폐 케이스(400)의 접속부(440)가, 1쌍의 맞닿음부(222)와 맞닿음부(223) 사이의 간극(S3)을 관통하여, 접속부(440)의 기단부(441)가 간극(S3) 내에 위치한다.
그 후, 도시하지 않은 금형에 절연 수지를 유입시키고, 사출 성형된 케이스(100)를 준비한다. 이 케이스(100)의 케이스 본체(110)에는, 패킹(600)이 외부에서 끼워져 있다. 그 후,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를 케이스(100)의 관통 구멍(111)에 끼워맞춤시킨다. 그러면, 동체(200)의 맞닿음부(221), (222), (223)가 케이스(100)의 주변부(112b)에 맞닿고, 차폐 케이스(400)의 걸어맞춤부(420)가 케이스(100)의 주변부(112b)에 맞닿는다. 이것과 함께, 동체(200)의 볼록부(221a)가 케이스(100)의 오목부(116)에 끼워맞추어진다. 이 때, 동체(200)의 설부(240), 컨택트(300)의 접점부(310) 및 동체 본체(210)의 선단부(211)가 케이스(100)의 관통 구멍(111) 내에 배치된다.
그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짜맞추어진 케이스(100), 동체(200), 컨택트(300) 및 차폐 케이스(400)를, 도시하지 않은 금형 내에 넣고,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의 외주면의 주변에 절연 수지를 유입시켜, 아웃 인서트 성형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절연 수지가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의 외주면 상에 환 형상 접합부(500)로서 성형된다. 이 때, 환 형상 접합부(500)가,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의 외주면을, 케이스(100)의 주변부(112b) 및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의 후단면에 접합시킨다. 이것과 함께, 환 형상 접합부(500) 내에, 1쌍의 맞닿음부(221), 1쌍의 맞닿음부(222), 맞닿음부(223), 배면판(230), 1쌍의 걸어맞춤부(420), 고정부(430) 및 1쌍의 접속부(440)의 기단부(441)가 매설(내장)된다.
그 후, 금속판이 프레스 성형됨으로써 작성된 차폐 커버(700)를 준비한다. 그 후, 차폐 커버(700)의 1쌍의 제2계지편(730)을 케이스(100)의 1쌍의 계지홈(114)에 삽입한다. 그러면, 차폐 커버(700)의 제1계지편(720)이 케이스(100)의 계지오목부(113)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차폐 커버(700)의 커버 본체(710)가 케이스 본체(110)의 후단부 및 환 형상 접합부(500)에 씌워진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짜맞추어진 커넥터를 상기 전자기기의 기판에 실장하는 순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커넥터를 기판 상에 배치한다. 이 때, 컨택트(300)의 테일부(320)를 기판의 신호 전극에 각각 접촉시킨다. 차폐 케이스(400)의 접속부(440)를 기판의 접지 전극에 각각 접촉시킨다. 차폐 커버(700)의 접속편(740)을 기판의 다른 접지 전극에 각각 접촉시킨다. 그 후, 컨택트(300)의 테일부(320)를 기판의 신호 전극에 각각 땜납 접속시킨다. 차폐 케이스(400)의 접속부(440)를 기판의 접지 전극에 각각 땜납 접속시킨다. 차폐 커버(700)의 접속편(740)을 기판의 다른 접지 전극에 각각 땜납 접속시킨다.
이하, 상기 커넥터에 플러그를 접속하는 수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플러그를 상기 커넥터의 통부(410) 내에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플러그의 컨택트가 상기 커넥터의 컨택트(300)의 접점부(310)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플러그와 상기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상과 같은 커넥터에 의한 경우, 환 형상 접합부(500)가,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를 케이스(100)의 관통 구멍(111)의 주변부(112b) 및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의 후단면에 접합하고 있으므로, 동체(200)와 케이스(100) 사이, 동체(200)와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 사이 및 케이스(100)와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 사이로부터 물이 침입하는 것과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환 형상 접합부(500)는,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 주변에 아웃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상기 커넥터의 방수성 및 방진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 환 형상 접합부(500) 내에는, 1쌍의 맞닿음부(221), 1쌍의 맞닿음부(222), 맞닿음부(223), 배면판(230), 1쌍의 걸어맞춤부(420), 고정부(430) 및 1쌍의 접속부(440)의 기단부(441)가 매설되어 있다. 따라서, 환 형상 접합부(500)에 의한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와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와 케이스(100)의 주변부(112b) 간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를 케이스(100)의 관통 구멍(111) 내에 끼워맞출 때, 동체(200)의 맞닿음부(221), (222), (223)가 케이스(100)의 주변부(112b)에 맞닿고, 차폐 케이스(400)의 걸어맞춤부(420)가 케이스(100)의 주변부(112b)에 맞닿는 동시에, 동체(200)의 볼록부(221a)가 케이스(100)의 오목부(116)에 끼워맞추어진다. 따라서, 동체(200) 및 차폐 케이스(400)의 케이스(100)에 대한 위치 결정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 케이스(100), 동체(200) 및 환 형상 접합부(500) 중 적어도 하나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다른 수지 재료에 대한 밀착성 및 금속에 대한 밀착성이 양호하므로, 상기 커넥터의 방수성 및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인성도 다른 수지 재료에 비해서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의 비집어짐 강도가 향상된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커넥터에 대해서 도 5a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6b에 나타낸 커넥터는, 기판의 오목부 또는 구멍에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해당 기판에 접속되는 미드 마운트 타입(Mid Mount Type)인 점에서, 실시예 1의 커넥터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커넥터는, 미드 마운트 타입에 적응시키기 위해서, 케이스(100')의 형상, 동체(200')의 형상, 컨택트(300')의 형상, 차폐 케이스(400')의 형상, 환 형상 접합부(500')의 형상 및 차폐 커버(700')의 형상이 실시예 1의 커넥터와 상이한 이외에, 나머지 부분은 실시예 1의 커넥터와 같은 구성이다. 이하, 그 상위점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실시예 1과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커넥터의 케이스, 동체, 컨택트, 차폐 케이스, 환 형상 접합부 및 차폐 커버에 대해서는, '표시를 붙여서 실시예 1의 커넥터의 케이스, 동체, 컨택트, 차폐 케이스, 환 형상 접합부 및 차폐 커버와 구별한다.
케이스(100')는, 계지오목부(113')가 케이스 본체(110')의 X방향의 양단면이 아니라, 케이스 본체(11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케이스(100)와 상이하다. 그것 이외에 대해서는, 케이스(100')는 케이스(100)와 동일한 구성이다. 도 5a 내지 도 8b에 있어서, (120')는 프레임이다. (111')는 관통 구멍이다. (112a'), (112b')는 관통 구멍의 주변부이다. (114')는 계지홈이다. (115')는 홈이다. (116')는 오목부이다.
차폐 케이스(400')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폐 케이스(400')는,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부(410')와, 걸어맞춤부(420')와, 1쌍의 고정부(430')와, 1쌍의 접속부(440')를 지니고 있다. 통부(410')는, 상판(411')의 후단부의 중앙부에 하나의 접촉 정지부(411b')가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통부(410)와 상이하다. 그것 이외에 대해서는, 통부(410')는 통부(410)와 마찬가지 구성이다.
걸어맞춤부(420')는, 통부(410')의 상판(411')의 후단부의 중앙부에 연접되고, 위쪽 또한 전방으로 되접어 꺾인 대략 U자 형상의 조각 부재이다. 걸어맞춤부(420')는,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체(200')의 1쌍의 맞닿음부(221') 사이의 간극(S1')에 삽입되어 있다. 걸어맞춤부(420')는, 선단부(421')가 케이스 본체(110')의 주변부(112b')에 맞닿음으로써, 해당 주변부(112b')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1쌍의 고정부(430')는, 통부(410')의 밑판(412')의 후단부에 연접되어, Y방향으로 뻗는 직사각 형상의 판이다. 고정부(430')는, 1쌍의 맞닿음부(222')와 맞닿음부(223') 사이의 간극(S3')에 삽입되어, 맞닿음부(222')와 맞닿음부(223') 사이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1쌍의 접속부(440')는, 통부(410')의 1쌍의 측판(413')의 후단부에 연접되어, Y방향으로 뻗는 암이다. 접속부(440')는 기단부(441')와 선단부(442')를 지니고 있다. 접속부(440')는, 1쌍의 맞닿음부(221')와 1쌍의 맞닿음부(222') 사이의 간극(S2')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접속부(440')의 기단부(441')는 간극(S2') 내에 배치되어 있다. 기단부(441')가 환 형상 접합부(500')에 매설되고, 선단부(442')가 환 형상 접합부(500')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즉, 접속부(440')는 환 형상 접합부(500')를 관통하고 있다. 접속부(440')는, 선단부(442')의 하부면의 높이 위치가 컨택트(300')의 테일부(320')의 하부면의 높이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동체(200')는, 다음의 2가지 점에서, 동체(200)와 상이하다. 그것 이외에 대해서는, 동체(200')는 동체(200)와 같은 구성이다. 첫번째 상위점은, 동체 본체(210')의 선단부(211')의 위쪽 중앙부에 오목부(211a')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접촉 정지부(411b')가 오목부(211a')에 삽입되어, 해당 오목부(211a')의 안쪽 측면에 맞닿아 있다. 두번째 상위점은, 배면판(230')의 1쌍의 절결부(231')가 해당 배면판(230')의 X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절결부(231')가 배면판(230')의 상기 양단부의 간극(S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간극(S2') 및 절결부(231')에 접속부(440')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또한, 도 5a 내지 도 8b에 있어서, (240')가 설부, (241')가 수용홈이다.
컨택트(300')는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컨택트(300')는,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일부(320') 및 중간부(330')의 형상이 컨택트(300)의 테일부(320) 및 중간부(330)와 상이하다. 그것 이외에 대해서는, 컨택트(300')는 컨택트(300)와 같은 구성이다. 중간부(330')는, 중앙부가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된 판으로서, 동체(200')의 동체 본체(210') 및 배면판(230') 내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립되어, 해당 동체, 본체(210') 및 배면판(230')에 유지되어 있다. 테일부(320')는 중간부(330')의 Y방향의 타단(후단)부에 연접되고 또한 Y방향으로 뻗는 직선 형상의 판으로서, 배면판(230')으로부터 Y방향의 다른 쪽 측(후방 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환 형상 접합부(500')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아웃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등의 절연 수지제의 각진 환 형상체이다. 환 형상 접합부(500')는, 내부형상이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 상에 위치하는 1쌍의 맞닿음부(221'), 1쌍의 맞닿음부(222'), 맞닿음부(223'), 배면판(230'), 걸어맞춤부(420'), 1쌍의 고정부(430'), 1쌍의 접속부(440')의 기단부(441'), 간극(S1') 내지 (S3') 및 후술하는 간극의 형상에 대응한 요철 형상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환 형상 접합부(500)와 상이하다. 상기 간극은, 배면판(230')과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 상의 돌기(맞닿음부(221'), (222'), (223')) 간의 간극이다. 환 형상 접합부(500') 내에는, 1쌍의 맞닿음부(221'), 1쌍의 맞닿음부(222'), 맞닿음부(223'), 배면판(230'), 걸어맞춤부(420'), 1쌍의 고정부(430') 및 1쌍의 접속부(440')의 기단부(441')가 매립되어 있다. 그것 이외에 대해서는, 환 형상 접합부(500')는 환 형상 접합부(500)와 같은 구성이다.
차폐 커버(700')는,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을 향하는 대략 U자 형상의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판이다. 차폐 커버(700')는, 대략 U자 형상의 커버 본체(710')와, 제1계지편(720')과, 1쌍의 제2계지편(730')과, 1쌍의 접속편(741'), (742')을 지니고 있다. 커버 본체(710')는, 상판과, 이 상판의 X방향의 양단에 연접되고 또한 해당 상판에 대하여 직각에 꺾어 구부린 1쌍의 측판을 지니고 있다. 이 커버 본체(710')가 케이스(100')의 케이스 본체(110')의 후단부 및 환 형상 접합부(500')에 씌워져 있다. 제1계지편(720')은 커버 본체(710')의 상판의 일부를 안쪽으로 잘라 일으킨 조각 부재이다. 제1계지편(720')은, 케이스 본체(110')의 계지오목부(113')에 걸려 있다. 제2계지편(730')은, 커버 본체(710')의 측판의 하단부에 연접되고 또한 해당 측판에 대해서 안쪽으로 직각으로 꺾어 구부린 조각 부재이다. 제2계지편(730')은 케이스 본체(110')의 계지홈(114')에 걸려 있다. 접속편(742')은, 커버 본체(710')의 측판의 후단부를 잘라, 해당 후단부를 거의 L자 형상으로 꺾어 구부린 조각 부재이다. 접속편(741')은 커버 본체(710')의 측판 전단부의 일부를 외측으로 잘라 일으킨 조각 부재이다.
전술한 구성의 커넥터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립된다. 이하, 상기 커넥터를 전자기기의 기판에 실장하는 순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커넥터를 기판의 오목부 또는 구멍 내에 배치한다. 그러면, 컨택트(300')의 테일부(320')가 기판의 오목부 또는 구멍의 가장자리부의 신호 전극에 각각 접촉한다. 차폐 케이스(400')의 접속부(440')가 기판의 상기 가장자리부의 접지 전극에 각각 접촉한다. 차폐 커버(700')의 접속편(741')이 기판의 가장자리부의 다른 접지 전극에 각각 접촉한다. 차폐 커버(700')의 접속편(742')이 기판의 가장자리부의 관통 구멍 또는 계지 구멍에 각각 삽입된다. 그 후, 컨택트(300')의 테일부(320')를 기판의 신호 전극에 각각 땜납 접속시킨다. 차폐 케이스(400')의 접속부(440')를 기판의 접지 전극에 각각 땜납 접속시킨다. 차폐 커버(700')의 접속편(741')을 기판의 다른 접지 전극에 각각 땜납 접속시킨다. 차폐 커버(700')의 접속편(742')을 기판의 관통 구멍에 각각 땜납 접속시킨다. 또한, 차폐 커버(700')의 접속편(742')이 기판의 계지 구멍에 각각 삽입되어 있을 경우에는, 접속을 필요로 한다.
이하, 상기 커넥터에 플러그를 접속하는 순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플러그를 상기 커넥터의 통부(410') 내에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플러그의 컨택트가 상기 커넥터의 컨택트(300')의 접점부(310')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플러그와 상기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상과 같은 커넥터에 의한 경우, 환 형상 접합부(500')가,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를 케이스(100')의 관통 구멍(111')의 주변부(112b') 및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의 후단면에 접합시키고 있으므로, 동체(200')와 케이스(100') 사이, 동체(200')와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 사이 및 케이스(100')와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 사이로부터 물이 침입하는 것과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환 형상 접합부(500')는,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 둘레에 아웃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저비용으로 상기 커넥터의 방수성 및 방진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환 형상 접합부(500') 내에는, 1쌍의 맞닿음부(221'), 1쌍의 맞닿음부(222'), 맞닿음부(223'), 배면판(230'), 걸어맞춤부(420'), 1쌍의 고정부(430') 및 1쌍의 접속부(440')의 기단부(441')가 매설(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환 형상 접합부(500')에 의한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와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와 케이스(100')의 주변부(112b') 간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를 케이스(100')의 관통 구멍(111') 내에 끼워맞출 때, 동체(200')의 맞닿음부(221'), (222'), (223')가 케이스(100')의 주변부(112b')에 맞닿고, 차폐 케이스(400')의 걸어맞춤부(420')가 케이스(100')의 주변부(112b')에 맞닿는 동시에, 동체(200')의 볼록부(221a')가 케이스(100')의 오목부(116')에 끼워맞춤된다. 따라서, 동체(200') 및 차폐 케이스(400')의 케이스(100')에 대한 위치 결정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 케이스(100'), 동체(200') 및 환 형상 접합부(500') 중 적어도 하나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다른 수지 재료에 대한 밀착성 및 금속에 대한 밀착성이 양호하므로, 상기 커넥터의 방수성 및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는 인성도 다른 수지 재료에 비해서 우수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의 비집어짐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컨택트(300')의 중간부(330')의 중앙부가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 중간부(330')가 동체(200')의 동체 본체(210') 및 배면판(230') 내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중간부(330')의 환 형상 접합부(500')에 대한 연면거리(접촉 면적)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중간부(330')와, 환 형상 접합부(500')의 수지 사이를 따라서 미소한 간극이 있었다고 해도, 연면거리를 따라서 상기 간극이 길어진다. 또, 상기 간극의 일부가 중간부(330')를 따라서 만곡되어, 상기 간극이 일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간극으로부터 물이나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커넥터의 방수성 및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커넥터에 대해서 도 9a 내지 도 12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낸 커넥터는, 케이스(100'')의 형상, 동체(200'')의 형상, 차폐 케이스(400'')의 형상 및 환 형상 접합부(500'')의 형상이 실시예 2의 커넥터와 상이한 이외에, 실시예 2의 커넥터와 거의 같은 구성이다. 이하, 그 상위점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실시예 2와 중복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커넥터의 케이스, 동체, 차폐 케이스 및 환 형상 접합부에 대해서는, ''표시를 붙여서 실시예 2의 커넥터의 케이스, 동체, 차폐 케이스 및 환 형상 접합부와 구별한다.
케이스(100'')는,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의 후단부에 접속 볼록부(117'')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케이스(100')와 상이하다. 그것 이외에 대해서는, 케이스(100'')는, 케이스(100')와 거의 같은 구성이다. 접속 볼록부(117'')는, 케이스 본체(110'')의 후단부 이외의 부분보다도 외형이 작은 통이다. 관통 구멍(111'')은, 케이스 본체(110'')(접속 볼록부(117'')를 포함함)를 Y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접속 볼록부(117'')의 관통 구멍(111'')의 주변부가, 관통 구멍(111'')의 뒤쪽의 주변부(112b')로 되어 있다. 프레임(120'')은, 케이스 본체(110'')의 전단부에 외부에서 끼우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9a 내지 도 12b에 있어서, (112a'')는 관통 구멍의 주변부이다. (113'')는 계지오목부, (114'')는 계지홈, (115'')는 홈, (116'')는 오목부이다. 본 실시예 3에서는, 홈(115'') 및 오목부(116'')는, 하나의 직사각 형상의 긴 홈을 구성하고 있다.
차폐 케이스(400'')는,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접속부(440')의 형상이 1쌍의 접속부(440')의 형상과 상이한 이외에, 차폐 케이스(400')와 대략 같은 구성이다. 또, 도 9a 내지 도 12b 중의 (410'')는 통부, (411'')는 통부의 상판, (412'')는 통부의 밑판, (413'')는 통부의 측판, (411a'')는 절상편, (411b'')는 접촉 정지부, (420'')는 걸어맞춤부, (421'')는 걸어맞춤부의 선단부, (430'')는 고정부이다.
각 접속부(440'')는, 도 10a, 도 10b,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부(441'')와 선단부(442'')와 만곡부(443'')를 지니고 있다. 기단부(441'')는 통부(410'')의 측판(413'')의 후단부에 연접된 판이다. 만곡부(443'')는, 기단부(441'')와 선단부(442'')에 현가되고 또한 기단부(441'')와 선단부(442'')가 일직선 형상으로 위치하지 않도록 만곡된 대략 U자 형상의 판이다. 만곡부(443'')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제2대향부(443a''), (443b'')와, 제1, 제2대향부(443a''), (443b'') 사이에 형성된 대략 U자 형상의 절곡부(443c'')를 지니고 있다(도 11a 및 도 11c 참조). 제1대향부(443a'')는 절곡부(443c'')의 일단부와 기단부(441'')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Z방향으로 뻗는 판이다. 제1대향부(443a'')는, 기단부(441'')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꺾여 구부려져 있다. 제2대향부(443b'')는 절곡부(443c'')의 타단부로부터 제1대향부(443a'')를 따라서 Z방향으로 뻗는 판이다. 제1대향부(443a'')에는, 제2대향부(443b'') 측에 볼록한 돌기(443a1'')가 형성되어 있다(도 11c 참조). 돌기(443a1'')가 제2대향부(443b'')에 맞닿음으로써, 제1, 제2대향부(443a''), (443b'') 사이에 간극(S4'')이 생기고 있다. 선단부(442'')는, 제2대향부(443b'')에 연접되어, Y방향으로 뻗는 판이다. 선단부(442'')는 제2대향부(443b'')에 대해서 대략 직각이다. 선단부(442'')는, 기단부(441'')에 대해서 X방향으로 변위되고 또한 Y방향에 있어서 해당 기단부(441'')와 일직선 형상으로 위치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선단부(442'')의 하부면의 높이 위치는, 컨택트(300')의 테일부(320')의 하부면의 높이 위치와 같게 설정되어 있다.
동체(200'')는,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하의 2가지 점에서 동체(200')와 상이한 이외에, 동체(200')와 거의 같은 구성이다. 첫번째 상위점은, 맞닿음부(221'')의 외측의 단부가 절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맞닿음부(221'') 사이의 간극(S1'')에는, 도 1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폐 케이스(400'')의 걸어맞춤부(420'')가 삽입되어 있다. 맞닿음부(221'')에도, 맞닿음부(221')와 마찬가지로, 볼록부(22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221a'')가 케이스(100'')의 오목부(116'')에 끼워맞추어져 있다(도 11b 참조).
두번째 상위점은, 배면판(230'')의 X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된 1쌍의 절결부(231'')가 위쪽(Z방향의 한쪽 측)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절결부(231)와, 맞닿음부(221'')의 전술한 절결부와,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 X방향의 양단부의 외측 공간이, 접속부(440'')의 기단부(441'') 및 만곡부(443'')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으로 된다. 또, 도 9a 내지 도 12b에 있어서, (211'')는 동체 본체의 선단부, (222''), (223'')가 맞닿음부, (240'')가 설부, (241'')가 수용홈이다. (S3'')는 1쌍의 맞닿음부(222'')와 맞닿음부(223'') 간의 간극이다.
환 형상 접합부(500'')는, 도 10a, 도 10b,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아웃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된 폴리아마이드계 수지 등의 절연 수지제의 밑바닥을 지닌 각진 환 형상체이다. 환 형상 접합부(500'')는, 이하의 두 가지 점이 환 형상 접합부(500')와 상이한 이외에, 환 형상 접합부(500')와 거의 같은 구성이다.
첫번째 상위점은, 환 형상 접합부(500'') 내에, 케이스(100'')의 접속 볼록부(117''), 동체(200'')의 1쌍의 맞닿음부(221''), 1쌍의 맞닿음부(222''), 맞닿음부(223''), 배면판(230''), 차폐 케이스(400'')의 걸어맞춤부(420''), 고정부(430''), 접속부(440'')의 기단부(441'') 및 접속부(440'')의 만곡부(443'')가 매립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 때문에, 환 형상 접합부(500'')의 내부형상은,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 상에 위치하는 1쌍의 맞닿음부(221''), 1쌍의 맞닿음부(222''), 맞닿음부(223''), 배면판(230''), 걸어맞춤부(420''), 1쌍의 고정부(430''), 1쌍의 접속부(440'')의 기단부(441''), 만곡부(443''), 간극(S1''), 간극(S3''), 간극(S4'') 및 후술하는 간극의 형상에 대응한 요철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간극은, 배면판(230'')과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 상의 돌기(맞닿음부(221''), (222''), (223'')) 사이의 간극이다. 또한, 간극(S1''), 간극(S3''), 간극(S4'') 및 상기 간극에는 환 형상 접합부(500'')의 수지가 충전되어 있다.
두번째 상위점은, 환 형상 접합부(500'') 내에, 배면판(230'')의 후단면이 매립되어 있다는 점이다. 환언하면, 환 형상 접합부(500'')는 배면판(230'')의 후단면을 덮고 있다. 환 형상 접합부(500'')의 하단부의 X방향의 양단부에는, Y방향으로 뻗고 또한 계지홈(114'')에 연속하는 1쌍의 계지홈(510'')이 형성되어 있다. 차폐 커버(700')의 제2계지편(730')이 계지홈(114''), (510'')에 걸려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의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금속판이 프레스 성형됨으로써 작성된 컨택트(300')를 준비한다. 그 후, 컨택트(300')를 도시하지 않은 금형에 넣어서 절연 수지를 유입시키고, 인서트 성형을 행한다. 상기 절연 수지가 동체(200'')로서 성형된다. 이 때, 컨택트(300')의 중간부(330')가 동체(200'')의 동체 본체(210'') 및 배면판(230'') 내에 각각 매립되어, 유지된다(도 11d 참조). 접점부(310')는 동체(200'')의 설부(240'')의 수용홈(241'')에 각각 삽입된다. 테일부(320'')는 동체(200'')의 배면판(230'')으로부터 돌출한다.
그 후, 금속판이 프레스 성형됨으로써 작성된 차폐 케이스(400'')를 준비한다. 그 후, 동체(200'')의 설부(240'') 및 동체 본체(210'')의 선단부(211'')를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에 삽입한다. 그러면, 동체(200'')의 선단부(211'')가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에 끼워맞추어지고, 설부(240'') 및 컨택트(300')의 접점부(310')가 통부(410'') 내에 배치된다. 이 때, 동체(200'')의 맞닿음부(221''), (222''), (223'')가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의 후단면에 맞닿는다. 차폐 케이스(400'')의 접촉 정지부(411b'')가 동체(200'')의 오목부(211a'')에 삽입되고, 해당 오목부(211a'')의 안쪽 측면에 맞닿는다(도 11d 참조). 차폐 케이스(400'')의 고정부(430'')가 1쌍의 맞닿음부(221'') 사이의 간극(S3')'에 삽입되어, 맞닿음부(222'')와 맞닿음부(223'') 사이에 끼워맞춤된다(도 10b 참조). 차폐 케이스(400'')의 걸어맞춤부(420'')가, 1쌍의 맞닿음부(221'') 사이의 간극(S1'')에 삽입된다(도 10a 참조). 차폐 케이스(400'')의 접속부(440'')의 기단부(441'') 및 만곡부(443'')가 동체(200'')의 수용 공간에 삽입된다. 접속부(440'')의 선단부(442'')는 동체(200'')의 수용 공간에서부터 뒤쪽으로 돌출한다.
그 후, 도시하지 않은 금형에 절연 수지를 유입시키고, 사출 성형된 케이스(100'')를 준비한다. 이 케이스(100'')의 케이스 본체(110'')에는, 패킹(600')이 외부에 끼워져 있다. 그 후,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를 케이스(100'')의 관통 구멍(111'')에 끼워맞춤시킨다. 그러면,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체(200')의 맞닿음부(221''), (222''), (223'')가 케이스(100'')의 주변부(112b'')에 맞닿고, 차폐 케이스(400'')의 걸어맞춤부(420'')가 케이스(100'')의 주변부(112b'')에 맞닿는다. 이것과 함께, 동체(200'')의 볼록부(221a'')가 케이스(100'')의 오목부(116'')에 끼워맞춤된다. 이 때, 동체(200'')의 설부(240''), 컨택트(300'')의 접점부(310'') 및 동체 본체(210'')의 선단부(211'')가 케이스(100'')의 관통 구멍(111'') 내에 배치된다.
그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짜맞추어진 케이스(100''), 동체(200''), 컨택트(300'') 및 차폐 케이스(400'')를, 도시하지 않은 금형 내에 넣고,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의 외주면의 주변 및 배면판(230'')의 후단면의 뒤쪽에 절연 수지를 유입시키고, 아웃 인서트 성형을 행한다. 상기 절연 수지가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의 외주면 및 배면판(230'')의 후단면을 덮는 환 형상 접합부(500'')로서 성형된다. 이것에 의해, 환 형상 접합부(500'')가, 동체 본체(210'')의 후단부(212')의 외주면을, 케이스(100'')의 접속 볼록부(117''), 주변부(112b'') 및 차폐 케이스(400'')의 통부(410'')의 후단면에 접합시킨다. 이것과 함께, 환 형상 접합부(500'') 내에, 접속 볼록부(117''), 1쌍의 맞닿음부(221''), 1쌍의 맞닿음부(222''), 맞닿음부(223''), 배면판(230''), 차폐 케이스(400'')의 걸어맞춤부(420''), 고정부(430''), 접속부(440'')의 기단부(441'')및 접속부(440'')의 만곡부(443'')가 매립된다. 컨택트(300')의 테일부(320') 및 접속부(440'')의 선단부(442'')가 환 형상 접합부(50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그 후, 금속판이 프레스 성형됨으로써 작성된 차폐 커버(700')를 준비한다. 그 후, 차폐 커버(700')의 1쌍의 제2계지편(730')을 케이스(100'')의 1쌍의 계지홈(114'') 및 환 형상 접합부(500'')의 1쌍의 계지홈(510'')에 삽입한다. 그러면, 차폐 커버(700')의 제1계지편(720')이 케이스(100'')의 계지오목부(113'')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차폐 커버(700')의 커버 본체(710')가 케이스 본체(110'')의 프레임(120'')보다 뒤쪽 부분 및 환 형상 접합부(500'')에 씌워진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커넥터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자기기의 기판에 실장된다.
이하, 상기 커넥터에 플러그를 접속하는 순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플러그를 상기 커넥터의 통부(410'') 내에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플러그의 컨택트가 상기 커넥터의 컨택트(300')의 접점부(310')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플러그와 상기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상과 같은 커넥터에 의한 경우, 실시예 2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만곡부(443'')가, 기단부(441'')와 선단부(442'')에 현가되고 또한 기단부(441'')와 선단부(442'')가 일직선 형상으로 위치하지 않도록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단부(441'') 및 만곡부(443'')와, 환 형상 접합부(500'')의 수지 사이를 따라서 미소한 간극이 있었다고 해도, 해당 간극의 일부가 만곡부(443'')를 따라서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된다. 즉, 상기 간극이 일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으므로, 해당 간극으로부터 물이나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환 형상 접합부(500'') 내에는, 차폐 케이스(400'')의 대략 U자 형상의 만곡부(443'')가 매립되어 있다. 만곡부(443')의 제1, 제2대향부(443a''), (443b'') 사이의 간극(S4'')에는, 환 형상 접합부(500'')의 수지가 충전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부(440'')의 만곡부(443'')의 환 형상 접합부(500'')에 대한 연면거리(접촉 면적)를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연면거리를 따라서 상기 간극이 길어지므로, 이 점에서도 상기 간극으로부터 물이나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환 형상 접합부(500'')가 케이스(100'')의 접속 볼록부(117'')를 덮고 있다. 이상의 내용으로부터, 상기 커넥터의 방수성 및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전술한 커넥터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케이스는, 통 형상의 케이스 본체와, 케이스 본체에 외부에서 끼우도록 설치된 각진 환 형상의 프레임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케이스는, 관통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의 주변부를 지니는 통 형상에 한해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3에서는, 케이스(100'')는, 케이스 본체(110'')의 후단부에 접속 볼록부(117'')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접속 볼록부는, 실시예 1 및 2와 같이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2의 케이스에 접속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접속 볼록부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환 형상 접합부에 의해 덮인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동체는, 선단부 및 후단부를 지니는 동체 본체와, 복수의 맞닿음부와, 배면판과, 설부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동체는, 동체 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동체 본체가 케이스의 관통 구멍에 삽입된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에 연접된 후단부를 지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맞닿음부, 배면판 및/또는 설부는 생략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맞닿음부가 동체 본체의 후단부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맞닿음부에 형성된 볼록부가, 케이스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맞추어지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케이스에 형성된 볼록부가 맞닿음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끼워맞추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커넥터는 차폐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차폐 케이스는 생략가능하다. 이 경우, 동체 본체의 선단부는, 케이스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한 임의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삽입의 일례로서, 동체 본체의 선단부를 케이스의 관통 구멍에 끼워맞추어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차폐 케이스는, 통부와, 걸어맞춤부와, 고정부와, 접속부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차폐 케이스는, 케이스의 관통 구멍에 끼워맞추어고 있고 또한 상기 컨택트의 접점부를 둘러싸는 도전성을 지니는 통 형상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차폐 케이스는, 절연 수지제의 통의 내면 또는 외면에 도전성을 지니는 금속을 증착시킨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걸어맞춤부, 고정부 및/또는 접속부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걸어맞춤부 및 고정부는, 동체의 이웃하는 맞닿음부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고 또한 환 형상 접합부에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걸어맞춤부 및/또는 고정부는, 접속부가 차폐 케이스의 통부에 연접되고 또한 환 형상 접합부에 매설될 수 있는 것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걸어맞춤부는 대략 U자 형상의 조각 부재이며 또한 선단부가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에 맞닿고(걸어맞춤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걸어맞춤부는,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에 걸어맞춤될 수 있는 것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통부 측에 되접어 꺾인 걸어맞춤부의 선단부가,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걸어맞춤 구멍에 끼워맞추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걸어맞춤부를 대략 L자 형상으로 해서,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에 맞닿거나, 또는, 걸어맞춤 오목부 또는 걸어맞춤 구멍에 끼워맞추어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접속부는, 기단부가 동체의 이웃하는 맞닿음부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고 또한 동체에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 3에서는, 접속부는, 기단부 및 만곡부가 동체의 수용 공간에 배치되고 또한 동체에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접속부는, 차폐 케이스의 통부에 연접되고 또한 환 형상 접합부를 관통할 수 있는 것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3에서는, 접속부의 만곡부는, 기단부와 선단부 사이에 현가되어 있고 또한 기단부와 선단부가 일직선 형상으로 위치하지 않도록 만곡된 대략 U자 형상의 판인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만곡부는, 대략 U자 형상 또는 사행 만곡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어 환 형상 접합부에 매설될 수 있는 것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대략 U자 형상 또는 사행 만곡 형상의 만곡부가 통부에 연접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기단부는 생략된다. 또, 실시예 1의 접속부(440)가 대략 U자 형상 또는 사행 만곡 형상의 만곡부를 지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1의 통부(410)에 대략 U자 형상 또는 사행 만곡 형상의 만곡부가 연접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만곡부는, 기단부와 선단부가 일직선 형상으로 위치하도록 대략 U자 형상 또는 사행 만곡 형상으로 만곡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더라도, 선단부와 기단부 사이에 대략 U자 형상 또는 사행 만곡 형상의 만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단부 및 만곡부와 환 형상 접합부의 수지 사이를 따라서 생기는 미소한 간극은 만곡부를 따라서 대략 U자 형상 또는 사행 만곡 형상으로 만곡된다. 또, 대략 U자 형상 또는 사행 만곡 형상의 만곡부가 환 형상 접합부에 매립됨으로써, 해당 만곡부의 환 형상 접합부에 대한 연면거리가 증대한다. 이 연면거리를 따라서 상기 간극이 길어진다. 따라서, 상기 간극으로부터 물이나 분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접속부의 선단부는, 적어도 일부가 환 형상 접합부로부터 돌출하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3에서는, 제1대향부(443a'')의 돌기(443a1'')가, 제2대향부(443b'')에 맞닿음으로써, 제1, 제2대향부(443a''), (443b'') 사이에 간극(S4'')이 생기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돌기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돌기는, 제1, 제2대향부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제2대향부의 다른 쪽에 맞닿으며, 해당 제1, 제2대향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게 하는 것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돌기가 제2대향부에 형성되고, 제1대향부에 맞닿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대향부의 돌기가 제2대향부에 맞닿는 동시에, 제2대향부의 돌기가 제1대향부에 맞닿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만곡부가 사행 만곡 형상일 경우 또는 만곡부가 통부에 직접 형성될 경우더라도, 해당 만곡부는, 제1, 제2대향부와, 제1, 제2대향부 중 적어도 한쪽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제2대향부의 다른 쪽에 맞닿으며, 해당 제1, 제2대향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게 하는 돌기를 지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환 형상 접합부는,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와 차폐 케이스의 통부의 후단면과 동체의 동체 본체의 후단부의 외주면을 접합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환 형상 접합부는, 동체 본체의 후단부와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를 접합하는 절연 수지제의 환 형상체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차폐 케이스가 생략될 경우에는, 환 형상 접합부는, 동체 본체의 후단부와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를 접합하는 절연 수지제의 환 형상체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컨택트의 중간부가 동체의 동체 본체 및 배면판에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컨택트의 중간부는 동체의 동체 본체에 유지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컨택트의 중간부가 동체 본체에만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컨택트의 중간부가 동체 본체부의 압입 구멍에 압입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컨택트의 중간부와 동체 본체부의 압입 구멍 사이를 접착제 등으로 봉합하여, 커넥터의 방수성 및 방진성을 향상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컨택트의 접점부는, 동체의 설부의 수용 홈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접점부는, 케이스의 관통 구멍 내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컨택트의 테일부는, 중간부를 끼워서 접점부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것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커넥터는, 차폐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차폐 커버는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차폐 커버는, 케이스 및 환 형상 접합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또한 도전성을 지니는 것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차폐 커버는, 절연 수지에 도전 금속을 증착시킨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패킹이 케이스 본체에 외부에서 끼여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패킹은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커넥터의 각 부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수 및 배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이며, 마찬가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100', 100'': 케이스
110, 110', 110'': 케이스 본체
111, 111', 111'': 관통 구멍
112b, 112b', 112b'': 주변부
120, 120', 120'': 프레임
200, 200', 200'': 동체
210, 210', 210'': 동체 본체
211, 211', 211'': 선단부
212, 212', 212'': 후단부
221, 221', 221'': 맞닿음부
222, 222', 222'': 맞닿음부
223, 223', 223'': 맞닿음부
230, 230', 230'': 배면판
240, 240', 240'': 설부
300, 300': 컨택트
310, 310': 접점부
320, 320': 테일부
330, 330': 중간부
400, 400', 400'': 차폐 케이스
410, 410', 410'': 통부
420, 420', 420'': 걸어맞춤부
430, 430', 430'': 고정부
440, 440', 440'': 접속부
441, 441', 441'': 기단부
442, 442', 442'': 선단부
443'': 만곡부
443a'': 제1대향부
443a1'': 돌기
443b'': 제2대향부
443c'': 절곡부
500, 500', 500'': 환 형상 접합부
600, 600': 패킹
700, 700': 차폐 커버

Claims (18)

  1. 관통 구멍과, 해당 관통 구멍의 주변부를 지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에 삽입된 선단부와, 해당 선단부에 연접(連接)된 후단부를 지니는 동체 본체를 구비한 동체(body);
    상기 동체 본체에 유지된 중간부와,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 내에 삽입된 접점부와, 해당 중간부를 끼워서 상기 접점부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테일부를 지니는 컨택트; 및
    상기 동체 본체의 후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를 접합하는 절연 수지제의 환 형상 접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는, 상기 동체 본체의 후단부 상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에 맞닿는 맞닿음부를 더 지니고 있고,
    상기 맞닿음부는 상기 환 형상 접합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에 끼워맞추어져 있고 또한 상기 컨택트의 접점부를 둘러싸는 도전성을 지니는 통 형상의 차폐 케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동체 본체의 선단부는 상기 차폐 케이스에 끼워맞추어져 있으며,
    상기 환 형상 접합부가, 상기 동체 본체의 후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와 상기 차폐 케이스를 접합하고 있는 것인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에 끼워맞추어진 통부와,
    상기 통부에 연접되어,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에 걸어맞추어져 있고 또한 상기 환 형상 접합부에 매설된 걸어맞춤부를 지니고 있는 것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통부 측으로 되접어 꺾여 있고 또한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에 맞닿는 선단부를 지니고 있는 것인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에 끼워맞추어진 통부와,
    상기 통부에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환 형상 접합부를 관통한 접속부를 지니고 있는 것인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대략 U자 형상 또는 사행 만곡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또한 상기 환 형상 접합부에 매설된 만곡부를 지니고 있는 것인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통부에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환 형상 접합부에 매설된 기단부와, 상기 환 형상 접합부로부터 돌출된 선단부를 더 지니고 있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기단부와 상기 선단부에 현가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서로 대향하는 제1, 제2대향부; 및
    상기 제1, 제2대향부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제2대향부 중 다른 쪽에 맞닿아서, 해당 제1, 제2대향부 사이에 간극을 생기게 하는 돌기를 지니고 있으며,
    상기 환 형상 접합부의 수지는 상기 간극에 충전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에 끼워맞추어진 통부와,
    상기 통부에 연접되어 있고 또한 상기 환 형상 접합부에 매설된 고정부를 지니고 있는 것인 커넥터.
  11.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동체 본체의 외주면 상에 둘레방향으로 간극을 지니고 설치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12.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동체 본체의 외주면 상에 둘레방향으로 간극을 지니고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차폐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에 끼워맞추어진 통부; 및
    상기 통부에 연접되어, 이웃하는 상기 맞닿음부 사이에 끼워맞추어지고 또한 상기 환 형상 접합부에 매설된 고정부를 지니고 있는 것인 커넥터.
  13. 제2항,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 및 맞닿음부 중 한쪽에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상기 볼록부가 끼워맞추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의 중간부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상기 동체 본체에 매립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환 형상 접합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도전성을 지니는 차폐 커버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동체 및 환 형상 접합부의 적어도 하나가 폴리아마이드계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외부에서 끼운 링 형상의 패킹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120096895A 2011-09-14 2012-09-03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부품 KR201300293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00358 2011-09-14
JPJP-P-2011-200358 2011-09-14
JP2012004883A JP2013077540A (ja) 2011-09-14 2012-01-13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JP-P-2012-004883 2012-0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336A true KR20130029336A (ko) 2013-03-22

Family

ID=4680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895A KR20130029336A (ko) 2011-09-14 2012-09-03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부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065442A1 (ko)
EP (1) EP2571107A3 (ko)
JP (1) JP2013077540A (ko)
KR (1) KR20130029336A (ko)
CN (1) CN103001059A (ko)
TW (1) TW2013304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127B1 (ko) * 2013-08-07 2014-06-2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방수형 리셉터클 커넥터
KR101448257B1 (ko) * 2013-11-05 2014-10-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방수형 리셉터클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259B1 (ko) * 2012-10-11 2019-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실링 장치
WO2014103591A1 (ja) * 2012-12-28 2014-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US9905944B2 (en) * 2013-07-19 2018-02-27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TWM484217U (zh) * 2014-02-26 2014-08-11 Advanced Connectek Inc 防水型插座電連接器
WO2015164538A1 (en) 2014-04-23 2015-10-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 cap and shielded terminals
JP5813847B1 (ja) * 2014-10-27 2015-11-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CN204361372U (zh) * 2014-11-14 2015-05-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M497869U (zh) * 2014-12-05 2015-03-21 Simula Technology Inc 具內縮形接地腳之防水連接器
CN104538782B (zh) * 2014-12-19 2023-05-05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防水型插座电连接器
CN104733882B (zh) * 2015-03-09 2024-05-03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直立型插座电连接器
CN104752888A (zh) * 2015-03-31 2015-07-01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防水与防干扰的插座电连接器
US9887485B2 (en) * 2016-03-07 2018-02-06 Amphenol Corporation Ruggedized electrical connector
USD807300S1 (en) 2016-03-07 2018-01-09 Amphenol Corporation Ruggedized connector
USD807832S1 (en) 2016-03-07 2018-01-16 Amphenol Corporation Ruggedized connector
CN107404032A (zh) * 2016-05-20 2017-11-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107404034B (zh) * 2016-05-20 2019-07-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7546536B (zh) * 2016-06-28 2020-07-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EP3483985B1 (en) 2016-07-27 2023-08-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Power adapter, mobile terminal, power interfa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18018954A1 (zh) 2016-07-27 2018-02-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源适配器、移动终端、电源接口及其制造方法
WO2019056786A1 (zh) * 2017-09-21 2019-03-28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Usb连接器
US10340622B2 (en) * 2017-10-15 2019-07-02 Lg Electronics Inc. Input-output por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7235455B2 (ja) * 2018-08-13 2023-03-08 Kyb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193352B (zh) * 2018-11-14 2023-08-11 广东德昌电机有限公司 连接头、具有该连接头的电机端盖和具有该端盖的电机
USD944206S1 (en) * 2020-01-03 2022-02-22 The Noco Company Electrical por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649Y2 (ja) * 1990-04-02 1997-04-23 住友電装 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のシール構造
JP3991546B2 (ja) 1999-12-28 2007-10-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のコネクタカバー及びコネクタ部防水構造
JP2002134219A (ja) * 2000-10-30 2002-05-10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及び該防水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04327169A (ja) * 2003-04-23 2004-11-18 Yazaki Corp パッキンとパッキンを備えたコネクタ
CN2850038Y (zh) * 2005-10-31 2006-12-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DE102006017448A1 (de) * 2006-04-13 2007-10-18 Robert Bosch Gmbh Stecker mit Mattendichtung
JP5058870B2 (ja) * 2008-04-15 2012-10-24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JP5485731B2 (ja) * 2010-02-02 2014-05-07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型シールドコネクタ
CN201725958U (zh) * 2010-06-04 2011-01-26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防水电连接器
CN201820953U (zh) * 2010-08-06 2011-05-04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防水型通用串行总线连接器
US7922535B1 (en) * 2010-11-05 2011-04-1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127B1 (ko) * 2013-08-07 2014-06-2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방수형 리셉터클 커넥터
WO2015020435A1 (ko) * 2013-08-07 2015-02-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방수형 리셉터클 커넥터
KR101448257B1 (ko) * 2013-11-05 2014-10-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방수형 리셉터클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65442A1 (en) 2013-03-14
CN103001059A (zh) 2013-03-27
EP2571107A2 (en) 2013-03-20
TW201330402A (zh) 2013-07-16
JP2013077540A (ja) 2013-04-25
EP2571107A3 (en)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9336A (ko) 커넥터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부품
JP7103454B2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TWI545848B (zh) Connector and electronic parts with the connector
US10361519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 assembly with sandwiching type shielding plate set
KR101946857B1 (ko)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
CN110915068B (zh) 连接器组件
US9972950B2 (en) Shield case,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KR101471283B1 (ko) 커넥터 장치
US11303070B2 (en) Connector and outer conductor
US20200036140A1 (en) Connector
KR20170036529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및 rf 커넥터 일체형 커넥터 조립체
CN112993654A (zh) 连接器
TWM521821U (zh) 電連接器
KR20120031115A (ko) 차폐 케이스, 커넥터 및 전자기기
JP5868140B2 (ja) 同軸ケーブル接続モジュール、同軸ケーブル用多極コネクタ及び多極複合コネクタ
TWI558003B (zh)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combination
CN107453115B (zh) 连接器
TWI606644B (zh) 連接器裝置
US11177607B2 (en) Connector structure and housing
WO2016152283A1 (ja) コネクタ
US9240647B2 (en)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 connectable to the same
JP6319657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CN210628602U (zh) 电连接器
CN218005296U (zh) 连接器
CN210628562U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