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091A - 차량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091A
KR20130029091A KR1020127032958A KR20127032958A KR20130029091A KR 20130029091 A KR20130029091 A KR 20130029091A KR 1020127032958 A KR1020127032958 A KR 1020127032958A KR 20127032958 A KR20127032958 A KR 20127032958A KR 20130029091 A KR20130029091 A KR 20130029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mode
displayed
objects
graphic obj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2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947B1 (ko
Inventor
라이너 데만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30029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60K2360/1868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according to driving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방법에서는 제어 장치(3)를 사용하여 다수의 그래픽 객체들(10)을 표시 장치(1)에 의해 제1 표시 모드 또는 제2 표시 모드로 표시할 수 있고,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며, 제1 속도 범위에서는 그래픽 객체들(10)을 제1 표시 모드로 표시하고, 제2 속도 범위에서는 그래픽 객체들(10)을 제2 표시 모드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Description

차량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자동차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표시 계기들이 부속된 여러 정보 및 통신 영역들이 있다. 그들은 운전자 및 동승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그들은 내비게이션 또는 외부 세상과의 통신 시에 운전자를 지원한다. 표시는 특히 교통과 관련된 또는 운전과 관련된 차량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차량의 주시야 부근에는 소위 콤비 계기판이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콤비 계기판은 운전석에서 스티어링 휠의 배후에 위치하는데, 스티어링 휠의 개구부를 통해 콤비 계기판을 볼 수 있다. 콤비 계기판은 특히 속도, 연료 탱크 레벨, 냉각수 온도, 및 차량의 기타 운전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라디오 기능 및 오디오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끝으로, 전화, 내비게이션, 텔레매틱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메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로서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구성의 액정 디스플레이들이 사용된다.
차량은 흔히 센터 콘솔에 또는 센터 콘솔의 위에 조작 요소가 부속된 다기능 디스플레이를 또 다른 표시 장치로서 구비한다. 그러한 다기능 조작 요소는 예컨대 DE 199 41 955 A1에 개시되어 있다.
다수의 조작 및 표시 가능성을 일목요연하게 나타내기 위해, 흔히 계층적 메뉴 구조들이 사용된다. 메뉴는 다양한 메뉴 항목들 및 경우에 따라서는 메뉴 항목들에 할당된 그래픽들 또는 아이콘들을 표시한다.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또 다른 하위 메뉴 항목들을 갖는 하위 메뉴가 열린다. 그러한 구조는 다수의 계층 레벨들에 걸쳐 계속될 수 있다. 또한, 하위 메뉴 대신에, 메뉴 항목에 속한 정보를 나타내는 특정의 표시 이미지가 메뉴 항목에 할당될 수 있다.
자동차에서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의 구조에 대해 매우 특별한 요건이 주어진다. 즉, 자동차의 운전자가 간단하고도 직관적으로 정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정보가 표시되어야 한다. 특히, 운전자가 정보를 수용하는 것으로 인해 주행 중에 한눈을 파는 일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
DE 10 2007 039 442 A1로부터, 투시 기법으로 표현된 가상의 링 상에 그래픽 객체를 배치하여 나타내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거하여 가상의 링 상의 객체들이 회전 목마 형태로 회전하도록 그래픽 데이터를 변경하는, 자동차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와 같이 그래픽 객체들을 회전 목마 형태로 표현하는 것은 적은 수의 그래픽 객체들을 동시에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예컨대 자동차에서 통상적인 바와 같이 매우 많은 수의 그래픽 객체들을 상대적으로 작은 표시 화면에 동시에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주행 중에 운전자가 개개의 객체들을 파악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의 주행 중에 매우 많은 수의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표현된 정보를 가능한 한 신속하고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서두에 언급된 타입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방법 및 청구항 10의 특징들을 갖는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구성들 및 부가의 구성들이 종속 청구항들로부터 명확히 파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다수의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 장치에 의해 제1 또는 제2 표시 모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속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방법에서 제1 속도 범위에서는 그래픽 객체들을 제1 표시 모드로 표시하고, 제2 속도 범위에서는 그래픽 객체들을 제2 표시 모드로 표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2개의 표시 모드들을 그들이 정보를 표시하는 상황들에 맞춰 특정적으로 매칭한다. 이때, 하나의 표시 모드는 정차한 차량 또는 저속으로 이동하는 차량에서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하나의 표시 모드는 차량의 주행 중에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속도 범위들은 특히 배타적으로 분리된다. 즉, 속도 범위들은 교차하지 않는다. 속도 범위들은 서로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속도의 적어도 하나의 한계치를 초과하거나 그에 미달할 경우, 하나의 속도 범위로부터 다른 속도 범위로 바뀌어 그에 상응하게 표시 모드들도 바뀌게 된다. 그와 같이 하나의 표시 모드로부터 다른 표시 모드로 이행함에 있어서, 차량의 속도가 속도에 대한 한계치의 범위에 있을 때에 짧은 시간 간격 내에 표시 모드들 사이에서 여러 번 이쪽저쪽으로 바뀌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를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일 구성에 따르면, 속도의 적어도 하나의 한계치는 4 ㎞/h 내지 20 ㎞/h의 범위에 있다. 히스테리시스를 통과시키는 경우에는, 히스테리시스에 대한 2개의 한계치들이 그 범위에 있거나, 히스테리시스의 양 한계치들의 중간치가 그 범위에 있다. 속도의 한계치는 5 ㎞/h 내지 10 ㎞/h의 범위, 특히 5 ㎞/h 내지 8 ㎞/h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속도의 한계치에 대해 6 ㎞/h의 값이 바람직하다. 본 방법을 자동차에 적용할 경우, 표시 모드들 사이의 전환을 위한 속도의 한계치에 대해 그 값 또는 범위가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와 같이 하여, 특히 운전자가 정보를 수용하는 것으로 인해 자동차의 운전으로부터 한눈을 파는 일이 최대한으로 덜하게 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차량의 운전 시의 안전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구성에 따르면, 2개의 표시 모드들은 그래픽 객체들을 나타내는 것의 레이아웃에서만 상이하고, 그래픽 객체들의 내용에 있어서는 상이하지 않다. 2개의 표시 모드들에서 그래픽 객체들을 다른 방식으로 나타낼 수 있기는 하지만, 특히 동일한 수의 그래픽 객체들을 각각의 상이한 배치로 나타낸다.
그래픽 객체들은 특히 리스트 요소들을 갖는 리스트의 일부로서, 그래픽 객체들이 개개의 리스트 요소들에 할당된다. 즉, 그래픽 객체들은 표시 장치에 의해 리스트 요소들을 대표하는 것들로서 표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특히 리스트의 모든 그래픽 객체들을 동시에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속도에 의존하여 표시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레이아웃을 차량의 속도에 맞춰 맞춤식으로 매칭하는 것이 달성되고, 그에 따라 운전자가 항상 최적으로 정보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표시 모드들에서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들의 수는 특히 8개보다 많다. 9개 이상의 그래픽 객체들을 나타낼 경우, 전술한 한계치의 위의 속도로 주행하는 중에 운전자가 정보를 수용하여야 한다면 특정의 표현 방식들에서는 개개의 그래픽 객체들의 수용 및 구별이 어려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부가의 구성에 따르면, 하나의 표시 모드로부터 다른 표시 모드로 이행할 때에, 제어 장치는 하나의 표시 모드에서 나타낸 객체들이 중앙 영역에서 하나로 합쳐질 때까지 서로를 향해 이동하고, 이어서 다른 표시 모드에서의 화상 위치들 쪽으로 서로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한다. 이때, 특히 그래픽 객체들이 하나로 합쳐진 후에 짧은 시간 동안 내용이 빈 디스플레이가 재현되고, 이어서 그래픽 객체들이 다시 나타난다. 즉, 정보 내용의 수축이 먼저 표시되고, 이어서 정보 내용의 팽창이 표시된다. 그와 같이 하여, 특히 특정의 그래픽 객체가 선택되었는지 여부 및 표시 모드들에서의 표현 방식과는 상관이 없이 개개의 그래픽 객체들의 획일적 이동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그래픽 객체들이 하나의 표시 모드에서의 화상 위치들로부터 중앙 영역 쪽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가속한다. 또한, 그 후에 그래픽 객체들이 다른 표시 모드에서의 화상 위치들 쪽으로 서로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는 것을 감속한다. 그와 같이 하여, 뷰어(viwer)가 표시 모드들 사이의 이행을 매우 간단하고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이 달성되고, 그것은 특히 본 방법을 자동차에서 적용할 경우에 유리하다. 또한, 그래픽 객체들의 이동의 가속 또는 감속의 크기를 차량 속도의 크기에 의존하여 다르게 할 수 있다.
제1 표시 모드에서는, 그래픽 객체들을 예컨대 투시 기법으로 표현된 가상의 링 상에 배치하여 나타낸다. 이때,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면, 예컨대 DE 10 2007 039 442 A1에 구체적으로 개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객체가 투시 기법으로 표현된 링의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에 나타날 때까지 가상의 링 상의 그래픽 객체들이 회전 목마 형태로 회전하도록 표시가 변할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 모드에서는, 그래픽 객체들을 예컨대 서로 나란히 겹치지 않게 격자에 나타내는데, 각각의 그래픽 객체는 그래픽 객체의 선택과는 상관이 없이 격자에서 고정된 위치를 갖는다.
그러한 2개의 표시 모드들 사이의 이행 시에, 제어 장치는 특히 링 상에 나타낸 객체들이 중앙 영역에서 하나로 합쳐질 때까지 서로를 향해 이동하도록 표시 장치를 제어한다. 이어서, 그래픽 객체들이 격자에서의 화상 위치들 쪽으로 서로로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반대로, 격자에서의 화상으로부터 이행할 경우에는, 그래픽 객체들이 중앙 영역에서 하나로 합쳐질 때까지 서로를 향해 이동한다. 이어서, 그래픽 객체들이 링 상의 화상에서의 그 위치들 쪽으로 서로로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부가의 구성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표시 모드에서 그래픽 객체들의 적어도 일부에 할당된 문자 숫자 조합(alphanumeric) 요소들을 표시한다. 다른 표시 모드로 이행하는 동안, 그러한 문자 숫자 조합 요소들을 페이드 아웃(fade-out)하고, 경우에 따라 이행의 종료 후에 다시 페이드 인(fade-in) 한다.
차량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다수의 그래픽 객체들이 표시 장치에 의해 제1 또는 제2 표시 모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가 마련되고, 그 측정 장치는 제어 장치와 커플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1 속도 범위에서는 객체들이 제1 표시 모드로 표시되고 제2 속도 범위에서는 객체들이 제2 표시 모드로 표시되도록 제어 장치에 의해 표시 장치가 제어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특히 전술한 방법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치도 역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동일한 이점들을 갖는다.
표시 장치는 차량의 실내에서 표시 화면을 제공하는 임의의 타입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는 정보가 3차원으로 표시되는, 정보의 오토스테레오스코픽(autostereoscopic) 재현을 위한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끝으로, 표시 장치는 표시가 표면, 예컨대 차량의 윈드실드 유리 상에 투사되는 소위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또는 헤드다운 디스플레이(head-down display)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들 중에서,
도 1은 정보를 표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9는 일 양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면상의 화상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며,
도 10 내지 도 23은 제2 및 제3 양태들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에 의해 생성되는 표시 화면상의 화상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는 표시 화면(2)을 갖는 표시 장치(1)를 포함한다. 표시 화면(2)은 임의의 타입의 디스플레이,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는 예컨대 헤드업 디스플레이 또는 헤드다운 디스플레이와 같은 프로젝션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제어 장치(3)와 데이터 기술적으로 커플링된다. 제어 장치(3)는 표시 화면(2)상에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 장치(3)에 의해, 정적 표시 이미지들이 생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이한 표시 모드들 사이의 이행을 그래픽 객체들의 이동에 의해 시각화하는 애니메이션들도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애니메이션들은 특정의 표시 모드에서의 개개의 그래픽 객체들의 이동에 관한 것이거나, 하나의 표시 모드의 제1 화상으로부터 제2 화상으로의 그래픽 객체의 이동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애니메이션은 특히 유동적인 변화의 인상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애니메이션의 2개의 키 프레임(keyframe)들 사이에서 개개의 이미지들이 생성되는 소위 키 프레임 애니메이션(keyframe animation)일 수 있다. 키 프레임들 사이에서 생성되는 이미지들을 인비트윈(inbetween)들로도 지칭하고, 키 프레임 애니메이션의 생성을 트위닝(tweening)으로도 지칭한다. 그래픽 데이터의 생성을 위해 그리고 애니메이션의 실행을 위해, 제어 장치(3)는 메모리(5)와 연결되고, 시스템 시계(4)와 데이터 기술적으로 커플링된다.
또한, 입력 장치가 마련된다. 입력 장치는 특히 표시 화면(2)과는 별개로 마련되어 소위 터치패드를 형성하거나 표시 화면(2)상에 마련되어 소위 터치스크린을 제공하는 접촉 감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는 예컨대 특히 사용자의 손가락 끝과 같은 작동 요소가 접촉 감지 표면에 접근하는 것을 검출하는 접근 검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작동 요소가 접촉 감지 표면에 접근하는 것에 의존하여, 표시된 정보가 변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제스처를 검출하여 평가하는 공지의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손이 표시 화면(2)의 전방에서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표시 화면(2)의 전방의 일정한 체류 영역에서의 손의 3차원 위치가 검출되어 입력으로서 해석된다. 그 경우에는, 사용자가 표시 화면(2)을 접촉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다.
끝으로, 단계화된 조작 요소, 특히 기계적 조작 요소가 입력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기계적 조작 요소는 컨트롤 다이얼(control dial) 또는 공지의 조그 다이얼(jog dial)일 수 있다. 그러한 조작 요소에 의해, 표시 화면(2)상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들을 제어 동작시킬 수 있거나 변경할 수 있거나 선택할 수 있다.
제어 장치(3)는 표시 화면(2)상의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제어 장치(3)에 전달하는 또 다른 장치들과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는 차량, 특히 자동차에서 사용된다. 그 경우, 제어 장치(3)는 차량의 데이터 버스(6)와 연결된다. 데이터 버스(6)는 다시 차량의 다양한 장치들, 특히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7)와 커플링된다. 즉, 실제 차량 속도가 측정 장치(7)로부터 데이터 버스(7)를 통해 제어 장치(3)에 전달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1 양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장치 또는 방법은 차량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정보들은 계층적 구조로 표시된다. 계층적 구조에 대한 출발점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화면(2)상의 화상이다. 다수의 그래픽 객체들(10)이 투시 기법으로 나타낸 가상의 링 상에 나타나 있다. 그러한 투시 기법의 화상은 뷰어가 비스듬히 위로부터 링을 바라보는 것처럼 가상의 링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하나의 그래픽 객체(10)가 투시 기법의 화상의 포어그라운드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 있다. 뒤쪽으로는, 또 다른 그래픽 객체들(10)이 그 앞에 있는 객체들(10)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진 채로 나타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적으로 9개 이상의 그래픽 객체들(10)이 표시된다.
그래픽 객체들(10)은 버튼들로서 형성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 장치에 의해 그들을 마킹(marking)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버튼이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요소를 의미한다. 버튼은 선택될 수 있다는 점에서 순수한 정보 표시를 위한 요소들과 면들, 소위 표시 요소들 내지 표시 면들과는 구별된다. 버튼을 선택하면, 그에 할당된 기능이 실행된다. 기능은 정보 표시의 변경만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그 조작이 정보 표시에 의해 지원되는 장치들을 버튼들을 통해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버튼들은 종래의 기계적 스위치들을 대체한다. 버튼들은 자유롭게 프로그래밍 가능한 표시 화면(2)상에 임의로 생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버튼은 마킹될 수 있다. 그 경우, 할당된 기능은 아직 수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마킹된 버튼은 다른 버튼들과 대비하여 강조되어 나타난다. 버튼의 마킹 및/또는 선택은 커서 제어에 의해 또는 접촉 감지 표시 호면의 직접적인 조작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그래픽 객체들(10)은 사용자에게 객체의 기능에 대한 지시를 주는 심벌들을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몇 개의 그래픽 객체들(10)은 기능을 재차 문자 숫자 조합으로 설명하는 캡션(caption)들(11)을 갖는다. 투시 기법으로 도시된 링 상에 객체들(10)을 나타낼 경우, 특히 캡션들(11)은 포어그라운드에 나타난 객체들(10)에 대해 표시된다.
사용자는 투시 기법으로 나타낸 링 상의 객체들(10)을 입력 장치에 의해 회전 목마 형태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입력 장치에 의해 임의의 그래픽 객체들(10)을 포어그라운드로 가져와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는 차량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할당된 그래픽 객체(10)가 포어그라운드에 나타나 있고, 도 3에서는 차량의 운전 파라미터들의 각종 표시에 할당된 그래픽 객체(10)가 포어그라운드에 나타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표시 모드에서의 그래픽 객체들(10)의 표시 및 제어에 관한 상세한 사항은 DE 10 2007 039 442 A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그래픽 객체들(11)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1 표시 모드로만 나타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동일한 그래픽 객체들(10)이 다른 방식으로, 즉 다른 레이아웃으로 표시되는 제2 표시 모드가 정의된다. 즉, 8개를 넘는 그래픽 객체들(10)이 나타나 있는 경우에는 투시 기법으로 나타낸 제1 모드의 링 상의 표시를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중에 파악하여 조작하기 어려울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표시 모드를 차량 속도에 의존하여 자동으로 선택한다. 차량이 제1 속도 범위에서 이동하면, 그래픽 객체들(10)을 제1 표시 모드로 표시한다. 차량이 다른 제2 속도 범위에서 이동하면, 그래픽 객체들(10)을 후술할 제2 표시 모드로 나타낸다. 2개의 속도 범위들은 서로 인접하되, 한계 속도가 정의된다. 그러한 한계 속도를 초과하거나 그에 미달하면, 하나의 표시 모드로부터 다른 표시 모드로 자동으로 바뀐다. 한계 속도는 예컨대 4 ㎞/h 내지 20 ㎞/h의 범위, 특히 5 ㎞/h 내지 10 ㎞/h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 ㎞/h 내지 8 ㎞/h의 범위에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6 ㎞/h를 속도에 대한 한계치로 선택한다.
또한, 하나의 표시 모드로부터 다른 표시 모드로의 이행에 있어, 예컨대 2 ㎞/h 내지 5 ㎞/h의 범위에 있을 수 있는 히스테리시스를 통과시킬 수 있다. 예컨대, 6 ㎞/h의 한계 속도에서 2 ㎞/h의 히스테리시스가 정의되면, 차량 속도가 8 ㎞/h를 초과할 경우에 표시 모드가 바뀐다. 그러나 이어서 속도가 다시 감소하면, 속도가 4 ㎞/h에 미달할 경우에 비로소 표시 모드가 바뀐다. 이어서 차량 속도가 다시 증가하면, 8 ㎞/h의 속도에서야 비로소 다시 표시 모드가 바뀐다. 즉, 히스테리시스에 대해, 중간 한계 속도의 위아래로 2개의 한계 속도들이 정의된다.
차량 속도를 측정 장치(7)로부터 연속적으로 제어 장치(3)에 전달한다. 차량 속도에 대한 한계치를 초과하거나 그에 미달하면, 제어 장치(3)는 하나의 표시 모드로부터 다른 표시 모드로의 이행을 위한 애니메이션을 생성한다. 즉, 표시 화면(2)상의 표시가 급작스럽게 변하는 것이 아니라, 유동적인 이행으로 변하여 사용자가 계층적 표시 구조에서의 방향성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하, 도 3에 도시된 제1 표시 모드로부터 도 9에 도시된 제2 표시 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에서는, 도 3에 도시된 표시가 정차 시에 표시 화면(2)상에 표시된다. 이제, 운전자가 차량을 이동시키기 시작하여 제1 표시 모드로부터 제2 표시 모드로의 이행에 대한 한계 속도를 초과하게 된다. 그러한 한계 속도의 초과는 측정 장치(7)로부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어 장치(3)에 의해 파악된다. 그러면 제어 장치(3)는 애니메이션, 즉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픽 객체들(10)의 이동을 생성한다.
먼저, 포어그라운드에 나타난 3개의 그래픽 객체들(10)(도 4)의 캡션들(11)이 사라진다. 이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객체들(10)이 표시 화면(2)의 중앙 영역에서 하나로 합쳐질 때까지 서로를 향해 이동한다. 그러한 합쳐짐이 끝났을 때에, 경우에 따라서는 짧은 시간 동안 내용이 빈 표시가 표시 화면(2)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그래픽 객체들(10)이 다시 나타난다. 이후, 그래픽 객체들(10)은 제2 표시 모드에서의 화상의 위치들 쪽으로 서로로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그러한 그래픽 객체들(10)의 팽창이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 9는 제2 표시 모드에서의 표시의 끝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래픽 객체들(10)은 제2 표시 모드에서는 서로 나란히 겹치지 않게 격자로 나타난다. 이때, 격자에서는 그래픽 객체들 중의 어느 하나의 선택과는 상관이 없이 각각의 그래픽 객체에 고정된 위치가 할당된다. 격자 화상에서 그래픽 객체들(10)의 이동이 종료하면, 최종적으로 모든 그래픽 객체들(10)에 대해 캡션들(11)이 표시된다.
제2 표시 모드에서는, 차량의 운전자가 모든 그래픽 객체들(10)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정의 객체(10)를 선택하는데 운전자의 집중력이 매우 적게 요구되고, 그에 따라 운전자가 그래픽 객체(10)의 선택으로 인해 운전 과정으로부터 한눈을 팔지 않게 된다. 제2 표시 모드로 나타난 바와 같은 정보를 신속하고도 직관적인 수용하는 것은 모든 그래픽 객체들(10)이 겹침 없이 동일한 크기로 나타나 있다는 점에 의해 지원된다. 또한, 사용자는 격자 화상에서 매우 간단하게 방향을 잡을 수 있는데, 왜냐하면 여러 그래픽 객체들(10)이 격자에서 사용자가 여러 번 사용 후에도 알아차릴 수 있는 고정된 위치를 갖기 때문이다.
그 후, 경우에 따른 히스테리시스의 고려하에 차량이 다시 한계 속도에 미달하게 되면, 제어 장치(3)는 제2 표시 모드로부터 제1 표시 모드로의 반대의 애니메이션을 생성한다. 이때, 그래픽 객체들(10)은 도 9에 도시된 격자 화상으로부터 중앙 영역에서 하나로 합쳐질 때까지 서로를 향해 이동하고, 이어서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 상의 위치들 쪽으로 다시 팽창한다. 그러한 반대의 애니메이션에서도 역시, 캡션들(10)은 페이드 아웃되었다가 끝 상태에서 다시 페이드 인된다. 격자 화상에서 하나의 객체(10)가 마킹되었다면, 그 객체(10)는 제1 표시 모드의 링 상의 화상에서 포어그라운드에 나타난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장치에 의해 역시 수행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사용은 차량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장치와 방법은 임의의 장치들, 특히 뮤직 플레이어, 이동 전화, 또는 이동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은 휴대용 장치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차량에서의 사용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2 양태는 표시 화면(2)상의 제1 화상으로부터 표시 화면(2)상의 제2 화상으로의 이행에 관한 것이다. 제1 화상은 도 2,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또는 제2 표시 모드에서의 표시일 수 있다. 제2 화상은 예컨대 그래픽 객체(10)의 콘텍스트(context)에 관한 것이다. 제2 화상은 특히 사용자가 입력 장치에 의해 그래픽 객체(10)를 선택한 후에 표시된다. 즉, 그 경우에는 변경된 레이아웃만이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정보 내용도 표시된다. 그러나 그 경우에도 역시 표시 화면(2)상의 표시의 급작스러운 변경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이하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화상으로부터 제2 화상으로의 유동적인 이행이 일어난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시로부터 출발하여 사용자가 "라디오"라는 명칭을 가진 그래픽 객체(10)를 선택하면, 제어 장치(3)는 그래픽 객체들(10)이 서로로부터 떨어져 밖으로 이동하는 애니메이션을 생성한다. 짧은 시간 동안 내용이 빈 표시가 표시 화면(2)상에 표시된다. 이어서, 제2 화상의 여러 다른 그래픽 객체들(20)이 표시 화면(2)상에서 그 최종 위치 쪽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2 양태에서 중요한 것은 새로 표시된 그래픽 객체들(20)의 이동, 특히 그 이행 시에 사용자에게 주의를 끌게 하는 것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주된 객체의 이동이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이행에서는, 라디오 기능에 대해 표시 화면(2)에서 표시줄(21)이 안쪽으로 이동한다. 그러한 표시줄(21)은 개개의 라디오 방송국을 나타내는 다수의 그래픽 객체들(20)을 포함한다. 표시줄(21)은 본 이행에서는 특정의 이동 패턴으로 표시 화면(2)상에서 이동한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그래픽 객체들(20)을 포함한 표시줄(21)이 오른쪽으로부터 화살표(A)의 방향으로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 상태에서 총 6개의 그래픽 객체들(20)이 표시줄(21)에 나타날 때까지 점점 더 많은 그래픽 객체들(20)이 출현하게 된다. 또한, 표시줄(21)의 이동에 따라, 또 다른 표시 요소들 또는 버튼들(22, 23, 24)이 페이드 인된다.
표시줄(21)이 수행하는 이동 패턴은 그것이 그래픽 객체들(20) 중의 하나를 제2 화상에서 입력 장치에 의한 입력에 의거하여 조작하는 경우에 제2 화상에서 수행되는 이동 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다른 라디오 방송국에 대한 또 다른 그래픽 객체(20)가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는 표시줄(20) 상의 그래픽 객체들(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그래픽 객체들(20)의 이동은 화살표(A)의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도 이뤄진다. 즉, 제1 화상으로부터 제2 화상으로의 이동 시에, 제2 화상에서 그래픽 객체들(20)이 어떻게 이동할 수 있는지가 이미 그래픽 객체들(20)을 포함한 표시줄(21)의 이동을 통해 뷰어에게 전달된다. 따라서 이행의 방식이 동시에 제2 화상 타입에서의 리스트의 그래픽 객체들(20)의 이동에 대한 조작 안내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도 13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그래픽 객체들(20)을 왼쪽으로 이동시켜 다른 라디오 방송국에 대한 다른 그래픽 요소들(20)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그래픽 객체들(20)을 문지르는 제스처에 의해 예컨대 화살표(B)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경우, 라디오 방송국들을 갖는 리스트는 그래픽 객체(20)가 각각 그에 할당되는 총 18개의 리스트 엔트리들을 포함한다. 화살표(B)의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문지르는 제스처에 의해, 사용자는 그에 상응하게 리스트 엔트리들의 표시를 바꿀 수 있다. 이때, 화살표(B)의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의 그러한 이동의 이동 패턴은 라디오 방송국에 대한 그래픽 객체들(20)의 화상으로의 이행 시에 화살표(A)의 방향으로의 이동 패턴과 일치한다. 리스트 엔트리들이 다른 이동 패턴으로 변경되는 경우, 예컨대 선회 이동 또는 회전 이동으로 변경되는 경우, 라디오 방송국들을 포함한 제2 화상 타입으로의 이행도 역시 그래픽 객체들(20)을 포함한 리스트가 표시 화면(2)상에서 선회 이동 또는 회전 이동으로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이뤄진다.
끝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장치에 의해 역시 수행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3 양태를 도 12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한 제3 양태도 역시 차량에서의 사용과는 상관이 없다. 제3 양태는 특히 휴대용 기기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라디오 방송국들을 나타내는 총 18개의 그래픽 객체들(20)이 표시 화면(2)상에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표시 화면(2)은 18개의 객체들(20) 모두를 동시에 나타내기에 충분할 만큼 크지 않다. 따라서 표시 화면(2)상에는 항상 그래픽 객체들(20)의 전체 집합 중에서 단지 순전한 부분 집합만이 표시된다. 표시되는 부분 집합은 입력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조작 과정을 통해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3 양태는 표시된 객체들(20)의 부분 집합을 변경할 수 있고, 전체 집합 내에서 어떤 부분 집합이 현재 표시되는지를 사용자에게 시각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그래픽 객체들을 포함한 집합의 부분 집합만이 표시 화면(2)상에 표시될 경우, 종래에는 소위 스크롤 바(scroll bar)가 그래픽 요소로서 뷰어에게 표시되었다. 그러한 스크롤 바는 2개의 그래픽 부분 요소들을 포함한다. 한편으로 그 길이가 전체 집합의 크기를 나타내는 바가 표시되고, 다른 한편으로 그 길이가 표시된 부분 집합의 길이를 나타내고 바에 대한 그 상대 위치가 전체 집합 내에서 표시된 부분 집합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뷰어에게 시각화하는 마크가 바 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그 경우에는, 표시되는 집합이 정해진 순서를 따르게 된다.
제3 양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시각화의 방식이 다음과 같이 변형된다.
그래픽 객체들(20)은 n개의 배타적 부분 집합들로 분할된다. 이때, n은 2보다 큰 자연수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그래픽 객체들(20)의 전체 집합이 총 18개의 객체들(20)을 포함한다. 그러한 전제 집합은 3개의 배타적 부분 집합들로 분할된다. 제1 부분 집합은 1번 내지 6번의 그래픽 객체들(20)을 포함하고, 제2 부분 집합은 7번 내지 12번의 그래픽 객체들(20)을 포함하며, 제3 부분 집합은 13번 내지 18번의 그래픽 객체들(20)을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오 방송국에 대한 그래픽 객체들(20)의 표시의 아래에 2개의 부분 요소들로 분할된 그래픽 요소가 위치한다. 제1 그래픽 부분 요소는 변형된 표시줄(24)이다. 표시줄(24)은 다시 서로 떨어져 배치된 총 n개의 세그먼트들로 분할된다. 즉, 본 경우에는 3개의 세그먼트들(25, 26, 27)이 표시된다.
또한, 제2 그래픽 부분 요소로서 마크(28)가 표시된다. 표시하려는 그래픽 객체들(20)의 부분 요소를 변경하기 위한 조작 과정이 수행되지 않으면, 마크(28)는 항상 세그먼트들(25, 26, 27) 중의 하나와 일치하게 표시된다. 마크(28)가 세그먼트(25) 상에 표시되어 있으면, 첫 번째 6개의 라디오 방송국들에 대한 그래픽 객체(20)가 표시되고 있음이 뷰어에게 시각화되고, 마크(28)가 세그먼트(26) 상에 표시되어 있으면, 두 번째 6개의 라디오 방송국들에 대한 그래픽 객체(20)가 표시되고 있음이 뷰어에게 시각화되며, 마크(28)가 세그먼트(27) 상에 표시되어 있으면, 세 번째 6개의 라디오 방송국들에 대한 그래픽 객체(20)가 표시되고 있음이 뷰어에게 시각화된다.
사용자는 조작 과정을 통해 표시되는 부분 집합을 변경할 수 있다. 입력 장치가 예컨대 표시 화면(2)상에 접촉 감지 표면을 포함하면, 문지르는 제스처에 의해 부분 집합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표시로부터 출발하여, 사용자는 예컨대 자신의 손가락 끝으로 그래픽 객체들(20)을 포함한 표시줄(21)을 접촉하고, 도 13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끝을 화살표(B)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표시 화면(2)상의 접촉 감지 표면에서의 그러한 손가락 끝의 이동은 제어 장치(3)에 의해 파악되고, 이어서 제어 장치(3)는 표시 화면(2) 상에 나타나는 표시를 그에 상응하게 변경한다. 즉, 손가락 끝의 이동에 의해, 그래픽 객체들(20)이 화살표(B)의 방향으로 거의 무단으로 이동한다. 그에 상응하게, 표시줄(24) 상의 마크(28)가 반대 방향으로 무단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마크(28)는 어느 부분 집합 또는 그래픽 객체들(20)을 포함한 표시줄(21)의 어느 부분이 현재 표시되는지를 항상 뷰어에게 나타내게 된다.
표시줄(21)의 영역에서 손가락을 화살표(B)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대신에, 사용자는 표시줄(21) 상에 표시된 그래픽 객체들(20)을 포함한 부분 집합을 변경하는 동시에 표시줄(24) 상의 마크(28)를 거의 무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마크(28)의 영역에서 표시 화면(2)을 접촉하여 손가락 끝을 그에 상응하게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크롤 바와는 달리, 조작 과정의 종료 후에 마크(28)가 표시줄(24)의 세그먼트들(25 내지 27)에 대한 마크(28)의 상대 위치에 의존하여 자동으로 세그먼트들 중의 하나(25, 26, 또는 27) 상으로 이동한다. 마크(28)는 특히 조작 과정의 종료 시에 마크(28)에 의해 가장 많이 덮여 있는 세그먼트(25, 26, 또는 27) 상으로 이동한다. 그에 상응하게, 그래픽 객체들(20)을 포함한 부분 집합은 마크(28)가 세그먼트(25) 상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1 부분 집합이 표시되고 마크(28)가 세그먼트(26) 상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2 부분 집합이 표시되며 마크(28)가 세그먼트(27) 상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3 부분 집합이 표시되도록 이동한다. 이때, 조작 과정이 종료될 경우에, 마크(28)는 해당 세그먼트(25, 26, 또는 27) 상으로 전혀 도약하지 않는다. 오히려, 해당 위치로의 마크(28)의 애니메이션, 특히 감속된 이동이 수행된다. 그래픽 객체들(20)의 위치들도 해당 부분 집합이 표시될 때까지 마찬가지로 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표시 가능한 부분 집합들이 미리 정해진다. 사용자가 조작 과정을 통해 그 부분 집합들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없다. 본 경우, 예컨대 조작 과정이 종료된 후에 3번 내지 8번의 라디오 방송국들에 대한 그래픽 객체들(20)이 동시에 나타날 수는 없다.
문지르는 제스처 대신에, 사용자는 부분 집합을 변경하기 위해 표시줄(24)의 특정의 세그먼트(25, 26, 또는 27)를 살짝 건드릴 수 있다. 즉, 세그먼트들(25 내지 27)과 마크(28)가 입력 장치에 의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소위 버튼들로서 형성된다.
세그먼트들(25, 26, 27)의 연장 또는 길이에 대한 마크(28)의 연장, 즉 본 경우에는 특히 마크(28)의 길이가 집합의 그래픽 객체들의 총수에 대한 현재 표시된 부분 집합의 그래픽 객체들(20)의 수를 뷰어에게 직관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나타내게 된다. 마크(28)를 세그먼트들(25 내지 27)과 구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마크(28)는 예컨대 다른 색, 다른 투명도, 또는 다른 음영 채움으로 나타내질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3 양태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그래픽 객체들(20)이 선형 일차원 표시줄(21) 상에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차원 격자로 표시된다. 본 경우, 라디오 방송국들에 대한 그래픽 객체들(20)의 전체 집합은 27개의 그래픽 객체들(27)을 포함한다. 그러한 27개의 그래픽 객체들(20)은 각각 9개의 그래픽 객체들(20)을 포함한 4개의 부분 집합들로 분할된다. 그에 상응하게, 표시줄(24)은 4개의 세그먼트들(29 내지 32)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줄(24) 상에는 마크(28)가 표시된다. 도 20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 장치에 의해 예컨대 표시줄(24) 상의 마크(28)를 이동시킴으로써, 표시된 부분 집합을 라디오 방송국들에 대한 첫 번째 9개의 그래픽 객체들(20)로부터 라디오 방송국들에 대한 세 번째 9개의 그래픽 객체들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크(28)의 이동은 거의 무단으로 가능하다. 조작 과정의 종료 후에, 마크(28)는 그리고 그에 상응하게 표시된 그래픽 객체들은 9개의 그래픽 객체들(20)을 포함한 미리 정해진 부분 집합이 표시되도록 애니메이션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1 양태에서는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제2 및/또는 제3 양태에서도, 측정 장치(7)로부터 제어 장치(3)에 전달되는 차량의 속도가 그래픽 객체들의 애니메이션들의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높은 차량 속도에서는 애니메이션들이 낮은 차량 속도에서보다 더 빨리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높은 차량 속도에서는, 운전자가 느린 차량 속도에서보다는 더 짧은 시간 동안만 표시 화면(2)을 중단없이 바라보면 되게 된다. 따라서 그와 같이 차량 속도에 맞춰 매칭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 속도와 상관없이 애니메이션에서의 동일한 이동 구간을 인지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그것은 표시 내용의 변경 시에 운전자가 방향을 잡고 변경된 정보 내용을 신속하고도 직관적으로 파악하도록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애니메이션의 파라미터들이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특징을 이룰 수 있다. 그러한 파라미터들을 결정함에 있어서는, 특히 어떻게 하여야 차량의 운전자가 주행 중에 정보를 특히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지가 감안된다.
1: 표시 장치 2: 표시 화면
3: 제어 장치 4: 시스템 시계
5: 메모리 6: 데이터 버스
7: 차량 속도 측정 장치 10: 그래픽 객체
11: 문자 숫자 조합 캡션 20: 그래픽 객체
21, 24: 표시줄 22, 23: 표시 요소
25, 26, 27: 표시줄(24)의 세그먼트 28: 마크
29, 30, 31, 32: 표시줄(24)의 세그먼트

Claims (10)

  1. 차량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 제어 장치(3)를 사용하여 다수의 그래픽 객체들(10)을 표시 장치(1)에 의해 제1 표시 모드 또는 제2 표시 모드로 표시할 수 있고,
    -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며,
    - 제1 속도 범위에서는 그래픽 객체들(10)을 제1 표시 모드로 표시하고, 제2 속도 범위에서는 그래픽 객체들(10)을 제2 표시 모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속도 범위를 배타적으로 분리시켜 속도의 적어도 하나의 한계치를 초과하거나 그에 미달할 경우에 하나의 속도 범위로부터 다른 속도 범위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의 표시 모드로부터 다른 표시 모드로의 이행 시에 히스테리시스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속도의 적어도 하나의 한계치는 4 ㎞/h 내지 20 ㎞/h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 모드들에서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들의 수는 8개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표시 모드로부터 다른 표시 모드로의 이행 시에, 제어 장치(3)는 하나의 표시 모드에서 표시된 그래픽 객체들(10)이 중앙 영역에서 하나로 합쳐질 때까지 서로를 향해 이동하고 이어서 다른 표시 모드의 화상에서의 위치들 쪽으로 서로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도록 표시 장치(1)를 제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그래픽 객체들이 하나의 표시 모드의 화상에서의 위치들로부터 중앙 영역 쪽으로 서로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가속하고, 그 후에 그래픽 객체들이 다른 표시 모드의 화상에서의 위치들 쪽으로 서로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는 것을 감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표시 모드에서는 그래픽 객체들(10)을 투시 기법으로 그려진 가상의 링 상에 배치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표시 모드에서는 그래픽 객체들(10)을 서로 나란히 겹치지 않게 격자로 나타내되, 그래픽 객체(10)의 선택과는 상관없이 각각의 그래픽 객체(10)에 격자에서의 고정된 위치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방법.
  10. - 표시 장치(1),
    - 표시 장치(1)의 표시를 제어하되, 다수의 그래픽 객체들(10)이 표시 장치(1)에 의해 제1 표시 모드 또는 제2 표시 모드로 표시될 수 있게 하는 제어 장치(3), 및
    -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제어 장치(3)와 커플링된 측정 장치(7)를 포함하는, 차량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 제어 장치(3)에 의해, 제1 속도 범위에서는 그래픽 객체들(10)이 제1 표시 모드로 표시되고, 제2 속도 범위에서는 그래픽 객체들(10)이 제2 표시 모드로 표시되도록 표시 장치(1)를 제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 장치.
KR1020127032958A 2010-05-18 2011-03-31 차량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42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20894.9 2010-05-18
DE102010020894A DE102010020894A1 (de) 2010-05-18 2010-05-18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zeigen von Informationen in einem Fahrzeug
PCT/EP2011/001621 WO2011144274A1 (de) 2010-05-18 2011-03-31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zeigen von informationen in einem 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091A true KR20130029091A (ko) 2013-03-21
KR101442947B1 KR101442947B1 (ko) 2014-09-22

Family

ID=4406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958A KR101442947B1 (ko) 2010-05-18 2011-03-31 차량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21342B2 (ko)
EP (1) EP2571712B1 (ko)
KR (1) KR101442947B1 (ko)
CN (1) CN103003088B (ko)
DE (1) DE102010020894A1 (ko)
WO (1) WO20111442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20895A1 (de) * 2010-05-18 2011-11-24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einer Benutzerschnittstelle
US9360940B2 (en) * 2011-11-14 2016-06-07 Google Inc. Multi-pane interface
DE102012021627A1 (de) * 2012-11-06 2014-05-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nzeigen von Informationen in einem Fahrzeug und Vorrichtung zum Steuern der Anzeige
DE102013000132B4 (de) 2013-01-05 2023-11-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zeigen von Informationen einer Funktionseinrichtung eines Fahrzeugs
USD766279S1 (en) * 2013-12-26 2016-09-13 Sony Corporation Display panel or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457662B2 (en) * 2014-07-09 2016-10-0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Presenting a dynamic range based on an operating parameter of a vehicle
JP6621998B2 (ja) * 2015-04-22 2019-12-18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CN105346392B (zh) * 2015-11-11 2018-10-09 湖南汽车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车用互动仪表和汽车
DE102016213314A1 (de) * 2016-07-21 2018-01-2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ystem zur Aktivierung eines hochautomatisierten Fahrbetriebs bei einem Kraftfahrzeug
DE102016219681A1 (de) * 2016-10-11 2018-04-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kennen einer Positionsänderung eines zumindest teilweise abgeschalteten Fahrzeugs
JP6825901B2 (ja) * 2016-12-22 2021-02-03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表示装置
US10899273B2 (en) 2017-12-04 2021-01-26 Flex-N-Gate Advanced Product Development Llc Integrated display light assembly
AU2019216700A1 (en) 2019-08-16 2021-03-04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Gaming device with upgradeable symbol awards
USD956060S1 (en) * 2019-08-16 2022-06-28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21195309A1 (en) 2020-03-25 2021-09-30 Flex-N-Gate Advanced Product Development, Llc Hybrid lamp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3685B2 (ja) 1993-10-04 2004-05-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車両用画像データ演算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9123848A (ja) * 1995-11-06 1997-05-13 Toyota Motor Corp 車両用情報表示装置
DE19754249B4 (de) * 1997-12-06 2005-05-19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optischen Rangierhilfe für ein Kraftfahrzeug
DE19941955B4 (de) 1999-09-03 2007-10-04 Volkswagen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Multifunktionsbedienelementes für ein Kraftfahrzeug
EP1207072B1 (en) * 2000-11-20 2004-10-06 ArvinMeritor Technology, LLC Vehicle dat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ata display
US6591168B2 (en) * 2001-08-31 2003-07-08 Intellisist,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able mobile user interface
US7253833B2 (en) * 2001-11-16 2007-08-07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Vehicle periphery visual recognition system, camera and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apparatus and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system
JP2004061648A (ja) * 2002-07-25 2004-02-26 Denso Corp 地図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TW566031B (en) * 2002-08-16 2003-12-11 Benq Corp Mobile phone and related method capable of displaying customized animation
JP3945445B2 (ja) * 2003-04-21 2007-07-1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DE10346511B4 (de) * 2003-10-02 2008-01-31 Daimler Ag Vorrichtung zur Verbesserung der Sichtverhältnisse in einem Kraftfahrzeug
JP4476687B2 (ja) * 2004-05-07 2010-06-09 株式会社ナビタイムジャパン 携帯ナビゲーション端末および地図表示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20060213100A1 (en) * 2004-12-21 2006-09-28 Mccann Keith H Electronic display system
JP4596910B2 (ja) * 2004-12-28 2010-12-15 日産ライトトラック株式会社 車両情報表示装置
DE102005061505B4 (de) * 2005-12-22 2018-04-12 Audi Ag Verfahren zum Bereitstellen von Informationen in einem Fahrzeug
DE102008016527B4 (de) * 2007-04-03 2018-12-13 Denso Corporation Fahrzeug-Messgeräte-Einheit und Anzeigevorrichtung
DE102007039445A1 (de) * 2007-08-21 2009-02-26 Volkswagen Ag Verfahren zum Anzeigen von Informationen in einem Kraftfahrzeug für einen Bedienzustand und einen Anzeigezustand und Anzeigeeinrichtung
DE102007039442A1 (de) * 2007-08-21 2009-02-26 Volkswagen Ag Verfahren zum Anzeigen von Informationen in einem Fahrzeug und Anzeige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WO2009046743A1 (en) * 2007-10-12 2009-04-16 Nokia Corporation Improved user interface scrolling
IL187029A0 (en) * 2007-10-30 2008-02-09 Haim Brody Speed deviation indicator
KR100977385B1 (ko) * 2008-04-10 2010-08-20 주식회사 팬택 위젯형 대기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를이용한 대기화면 제어 방법
JP4840413B2 (ja) * 2008-07-02 2011-12-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表示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表示用プログラム
JP5029673B2 (ja) * 2009-10-30 2012-09-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機
US9007193B2 (en) * 2010-05-27 2015-04-14 Revivermx, Inc. Method and system for rendering content on the exterior of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44274A1 (de) 2011-11-24
US20130057400A1 (en) 2013-03-07
DE102010020894A1 (de) 2011-11-24
EP2571712A1 (de) 2013-03-27
US9221342B2 (en) 2015-12-29
EP2571712B1 (de) 2018-05-16
CN103003088A (zh) 2013-03-27
CN103003088B (zh) 2016-08-31
KR101442947B1 (ko) 201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947B1 (ko) 차량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09024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8001807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arranged in lists
US891008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operating device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2483680B (zh) 用于显示信息的方法和设备
CN105051670B (zh) 用于车辆的信息反映系统和为车辆的用户提供信息的方法
JP6326637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02177041A (zh) 用于尤其是在车辆中显示信息的方法和装置
KR102082555B1 (ko) 목록에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93860B1 (ko)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0139988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arranged in lists
JP2016097928A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
CN204055393U (zh) 能自由编程的组合仪表
KR101418189B1 (ko) 리스트들에서의 내비게이팅을 위한 조작 장치, 그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조작 장치를 구비한 차량
JP2018195134A (ja) 車載用情報処理システム
CN107977179B (zh) 在车辆中跨屏幕地显示和/或操作的方法和装置
JP2020160856A (ja) 表示制御装置、gui装置、方法、及びguiプログラム
JP4802160B2 (ja) 車載用入力装置
JP7388362B2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載機器操作システム、方法、及びguiプログラム
JP2011107900A (ja) 入力表示装置
JP4802161B2 (ja) 車載用入力装置
JP2020086883A (ja) 表示制御装置、機器操作システム、方法、及びguiプログラム
KR101886011B1 (ko) 작동 방법 및 작동 장치
JP2012053561A (ja) 回転入力装置
JP2020035080A (ja) 車両用表示装置、車両用表示装置の制御方法、車両用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