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393A -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393A
KR20130028393A KR1020110091909A KR20110091909A KR20130028393A KR 20130028393 A KR20130028393 A KR 20130028393A KR 1020110091909 A KR1020110091909 A KR 1020110091909A KR 20110091909 A KR20110091909 A KR 20110091909A KR 20130028393 A KR20130028393 A KR 20130028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view
output
production
automatic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항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8393A/ko
Publication of KR20130028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3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7Mechanical parametric or variational desig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 제작을 위한 도면의 출력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되, 덕트에 대한 정보가 상세하고 일괄적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업무 효율성 및 작업 생산성이 극대화되도록 한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덕트 3D 모델링을 위한 각종 정보(두께,사이즈,재질 등)를 입력하는 입력단계;덕트 설치를 위한 덕트 시스템이 프로그래밍 되는 프로그래밍 단계; 덕트 한 개(piece), 덕트 전체 라인(HVAC), 덕트 전체 라인의 어느 지점(branch)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덕트 선택 단계;덕트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각 덕트의 뷰(view)를 어레인지(arrange) 하는 덕트 어레인지 단계;어레인지 된 각 덕트의 뷰에 치수가 표현되는 치수기입 단계;각 덕트를 구성하는 부재(시트,보강재,플랜지,볼트 등)에 이름을 부여하는 레이블링 단계;각 덕트의 뷰에 표시된 부재의 물량을 산출하는 물량 산출 단계;덕트 제작 도면이 출력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Automatic output method for duct manufacturing drawing}
본 발명은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 제작에 필요한 최종 도면이 자동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수, 발전 및 일반 건축물의 경우 공기를 열매체로 이용하는 대류현상을 이용한 공기조화(HVAC ; Heating, Ventilating, Air Conditioning) 설비를 갖추고 있는데, 이 경우 덕트(DUCT) 설비는 공기의 분배 및 공기 반송을 위한 통로로 이용되는 등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 설비와 관련하여,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공조산업과 관련이 있는 공공기관, 단체 등을 중심으로 덕트와 관련된 규격들이 작성되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 향상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덕트 시스템에 있어서, 각 구역으로 유도되는 덕트의 크기는 덕트의 길이를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제한요소 등으로 인해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대적인 HVAC 시스템이 복합적인 제어요소를 고려하여 개량됨에 따라, 다수의 개별 구역 내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덕트의 종류, 크기, 설치 위치 등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즉, 공기 흐름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이 덕트의 종류, 크기, 설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든 사항을 고려하여 덕트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프로그램을 이용한 모델링 작업을 통해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제작하고자 하는 덕트의 크기, 종류, 재질 등을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덕트의 제작도면이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덕트 제작을 위한 종래 방법에는 덕트 제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수치 들이 자동으로 출력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덕트를 구성하는 각 부재들의 치수 및 정보 등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화면상에서 직접 상기 부재에 일일이 마킹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일련의 수작업들은 작업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업무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작업자의 작업 생산성을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덕트 제작에 필요한 덕트의 각종 정보 및 치수 등이 일괄적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업무시간을 단축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덕트 제작을 위한 작업 생산성을 극대화한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덕트 3D 모델링을 위한 각종 정보(두께,사이즈,재질 등)를 입력하는 입력단계;덕트 설치를 위한 덕트 시스템이 프로그래밍 되는 프로그래밍 단계; 덕트 한 개(piece), 덕트 전체 라인(HVAC), 덕트 전체 라인의 어느 지점(branch)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덕트 선택 단계;덕트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각 덕트의 뷰(view)를 어레인지(arrange) 하는 덕트 어레인지 단계;어레인지 된 각 덕트의 뷰에 치수가 표현되는 치수기입 단계;각 덕트를 구성하는 부재(시트,보강재,플랜지,볼트 등)에 이름을 부여하는 레이블링 단계;각 덕트의 뷰에 표시된 부재의 물량을 산출하는 물량 산출 단계;덕트 제작 도면이 출력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어레인지 단계에서 마련되는 각 덕트의 뷰는 삼각법으로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이블링 단계는, 덕트에 이웃하는 인접덕트를 알 수 있도록, 상기 덕트의 단부에 인접덕트의 이름을 마킹 하는 작업을 더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3D 모델링된 덕트에 대한 도면 출력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업무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덕트가 설치된 라인, 덕트 한 개 등에 대한 각 치수 및 정보들이 모두 표시되어 일괄적으로 출력됨으로써,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일일이 상기 치수 및 정보 등을 입력해야 했던 것에 비해 작업 편의성이 증대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덕트 제작 관련한 도면의 출력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되, 각 정보들이 마킹된 상태로 출력됨으로써, 업무에 대한 효율성이 증대됨은 물론,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작업 생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 중, 덕트 선택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 중, 물량산출단계를 나타낸 디스플레이 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방법에 의해 출력된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은 덕트 제작에 대한 각종 정보들이 하나의 도면에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절감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인 특징이 있다.
상기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덕트의 3D 모델링을 위한 각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단계를 수행한다.(S10)
이때, 덕트를 모델링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각 정보의 입력 내용은 두께, 사이즈, 재질 등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덕트에 대한 모델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단계가 수행된다.(S20)
이때, 초기 입력 값과 같은 값이 들어가는 항목은 입력하지 않아도 초기 입력한 값으로 자동으로 입력된다.
또한, 덕트에 대한 모델링은, 덕트 한 개에 대한 모델링이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덕트가 설치되고자 하는 위치에 전체적으로 설치되는 덕트 라인에 대한 모델링도 이루어지게 된다.
예컨대, 선박의 엔진룸 또는 선박의 선실에 설치되는 덕트 및 이 덕트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시스템을 형성하는 덕트 전체라인(HVAC)이 모델링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모델링 된 덕트에 대한 도면을 출력하기 위하여, 어떠한 도면을 출력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을 하는 덕트 선택 단계가 수행된다.(S30)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덕트 한 개(piece)에 대한 모델링은 물론, 복수의 덕트가 연결되어 하나의 덕트 라인(HVAC)을 형성하게 되는데, 작업 조건에 따라 한 개 또는 몇 개의 덕트(piece) 도면을 출력할 것인지 또는, 라인 전체에 대한 덕트(HVAC) 도면을 출력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덕트 한 개(piece) 또는 덕트 전체 라인(HVAC) 외에도, 덕트 w전체 라인 중 어느 한 지점(branch)에 대해서도 선택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덕트 선택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라인(HVAC), 덕트라인의 어느 지점(branch), 단위 덕트(piece) 등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원하는 덕트에 대한 도면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덕트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덕트의 뷰(view)가 어레인지 되는 단계가 수행된다.(S40)
이는, 덕트에 대한 최종 출력도면에서 상기 덕트에 대한 정보를 세밀하고 정확하게 보여두기 위함이다.
이때, 각 덕트에 대한 뷰는 삼각법으로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덕트에 대하여, 입체도, 정면도, 평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가 표현되도록 상기 덕트의 뷰를 어레인지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삼각법에 의해 덕트의 뷰가 어레인지 된 후, 상기 각각의 뷰에 치수가 기입되는 치수기입 단계가 수행된다.(S50)
치수기입 단계에서는 덕트의 각 뷰 마다, 덕트의 길이치수, 브랜치(branch)를 위한 치수, 덕트의 유로를 구성하는 오프닝홀(opening hole)치수, 보강재 치수 등의 기입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치수 기입단계가 이루어짐으로써, 덕트 제작의 최종도면 출력시 작업자는 최종도면을 통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각 덕트를 구성하는 부재에 대하여 이름을 부여하는 레이블링(labeling) 단계가 수행된다.(S60)
레이블링 단계에서는 각 덕트를 구성하는 패널, 보강재, 플랜지, 가스켓, 볼트, 오프닝홀, 테스트홀(test hole) 등 각 덕트를 구성하는 부재의 정보를 위하여 이름을 부여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레이블링 단계에서, 각 덕트를 구성하는 부재마다 이름이 부여됨으로써, 덕트제작을 위한 최종도면에도 이름이 마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레이블링 단계에서는, 덕트 전체 라인(HVAC)을 구성하기 위한 덕트 연결시 상기 덕트에 이웃하는 인접덕트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 수 있도록 덕트의 각 단부에 각각, 인접덕트의 이름을 표시하는 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한 개의 덕트만 출력되더라도, 상기 덕트에 대한 정보는 물론, 상기 덕트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덕트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각 덕트를 구성하는 부재에 대한 물량이 산출되는 단계가 수행된다.(S70)
상기 레이블링 단계에서 이름이 부여된 덕트의 각 부재는, 그에 대한 정보가 각각 BOM(Bill of Materials) 테이블에 기록이 되는데, 이 과정에서 각 부재들의 물량이 얼만큼 소요되는 지에 대한 물량이 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BOM 테이블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이름, 규격, 길이, 재질, 중량 등이 기록이 되며, 최종도면에 상기한 내용이 표시되어 제공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일련의 과정이 단계적으로 수행된 후에는, 덕트 제작을 위한 최종 도면이 출력되는 도면출력 단계가 수행된다.(S80)
상기 도면출력 단계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에 대한 정보가 상세하게 기록된 덕트 도면이 일괄적으로 출력됨을 알 수 있다.
도 4에서는, 덕트선택 단계에서 한 개의 덕트만을 선택한 것을 가정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덕트 선택 단계에서 선택되는 덕트의 범위 및 개수에 따라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도면은 달라질 수 있다.
즉, 덕트의 개수에 따라,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도면의 장수 역시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방법은 덕트 제작을 위한 도면의 출력이 상세하고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되,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업무에 대한 효율성이 높아지고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덕트 3D 모델링을 위한 각종 정보(두께,사이즈,재질 등)를 입력하는 입력단계;
    덕트 설치를 위한 덕트 시스템이 프로그래밍 되는 프로그래밍 단계;
    덕트 한 개(piece), 덕트 전체 라인(HVAC), 덕트 전체 라인의 어느 지점(branch)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덕트 선택 단계;
    덕트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각 덕트의 뷰(view)를 어레인지(arrange) 하는 덕트 어레인지 단계;
    어레인지 된 각 덕트의 뷰에 치수가 표현되는 치수기입 단계;
    각 덕트를 구성하는 부재(시트,보강재,플랜지,볼트 등)에 이름을 부여하는 레이블링 단계;
    각 덕트의 뷰에 표시된 부재의 물량을 산출하는 물량 산출 단계;
    덕트 제작 도면이 출력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인지 단계에서 마련되는 각 덕트의 뷰는 삼각법으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블링 단계는,
    덕트에 이웃하는 인접덕트를 알 수 있도록, 상기 덕트의 단부에 인접덕트의 이름을 표시하는 작업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
KR1020110091909A 2011-09-09 2011-09-09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 KR201300283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909A KR20130028393A (ko) 2011-09-09 2011-09-09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909A KR20130028393A (ko) 2011-09-09 2011-09-09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393A true KR20130028393A (ko) 2013-03-19

Family

ID=4817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909A KR20130028393A (ko) 2011-09-09 2011-09-09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83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406B1 (ko) * 2018-02-19 2018-07-06 장영권 J-tag 작업의 자동화 방법
CN112487576A (zh) * 2020-11-26 2021-03-12 新拓三维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管路逆向建模方法
KR20210153222A (ko) * 2020-06-10 2021-12-17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Bim 시스템을 활용한 덕트 설계 방법
CN114429639A (zh) * 2022-01-27 2022-05-03 广联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管线标注识别方法及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406B1 (ko) * 2018-02-19 2018-07-06 장영권 J-tag 작업의 자동화 방법
KR20210153222A (ko) * 2020-06-10 2021-12-17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Bim 시스템을 활용한 덕트 설계 방법
CN112487576A (zh) * 2020-11-26 2021-03-12 新拓三维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管路逆向建模方法
CN112487576B (zh) * 2020-11-26 2024-04-02 新拓三维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管路逆向建模方法
CN114429639A (zh) * 2022-01-27 2022-05-03 广联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管线标注识别方法及装置
CN114429639B (zh) * 2022-01-27 2024-05-03 广联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管线标注识别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051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on simulation
Shirkavand et al. Defects at handover in Norwegian construction projects
KR20130028393A (ko) 덕트 제작도면 자동출력 방법
US20150073576A1 (en) Construction process management system and construction process management method
KR101256324B1 (ko)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의 이용방법
US9760257B2 (en) Installation guide system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50125238A (ko) Bim 서버의 데이터를 큐알 코드에 연동하는 장치와 방법 및 bim 전용 큐알 코드가 세겨진 인쇄물
Laine et al. Benefits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s in energy analysis
CN113408092A (zh) 一种基于bim模型的建筑物水暖电管线布线方法及系统
JP2001188812A (ja) 工業化注文住宅設計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191473B2 (en) Job plan display system
KR101992694B1 (ko) 다중배관 가상단면을 이용한 배관 전산 설계방법
KR20130037581A (ko) 파이프라인 iso 도면 출력방법
US8855972B2 (en) Manufacture of heat trace cable, design, installation, and management, and method thereof
KR101285019B1 (ko) 공기 조화기의 설치가이드 시스템
KR20160131192A (ko) 철근가공 통합관리 시스템
JP4528259B2 (ja) 工業化注文住宅設計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6417541B2 (ja) 情報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6129691A (ja) 空調熱源システムの評価方法
KR20130044562A (ko) 서포트 제작도면 자동출력방법
KR20110091123A (ko) 선박용 컨트롤 파이프 모델링 시스템
JP6133763B2 (ja) 生産情報管理装置、生産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79187A (ko) 선박 건조용 최적화 도면시스템
JP6979274B2 (ja) 作業予定範囲可視化装置および作業予定範囲可視化方法
JP2006039617A (ja) 工程設計業務を支援する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