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6044A -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 - Google Patents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6044A
KR20130026044A KR1020110089393A KR20110089393A KR20130026044A KR 20130026044 A KR20130026044 A KR 20130026044A KR 1020110089393 A KR1020110089393 A KR 1020110089393A KR 20110089393 A KR20110089393 A KR 20110089393A KR 20130026044 A KR20130026044 A KR 20130026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ariable
adhesive
pushing
bookbi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5290B1 (ko
Inventor
정재만
Original Assignee
정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만 filed Critical 정재만
Priority to KR1020110089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290B1/ko
Publication of KR20130026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3/00Bookbinding presses; Joint-creasing equipment for bookbinding; Drying or setting devices for 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9/00Applying glue or adhesive peculiar to bookbinding

Landscapes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압착장치의 양측 압착판을 이용하여 제본할 집합인쇄물을 압착한 후 푸싱봉으로 가변판을 밀어 집합인쇄물 하단이 구부러지게 하여 개별 인쇄지 하단 양면에 접착제 도포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별 인쇄지 간의 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라 집합인쇄물에 대한 제본의 신뢰성과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제본할 집합인쇄물을 압착하는 압착장치의 양측 압착판 각 하단에 마주보게 구비되는 가변판 및 받침판과; 상기 가변판 및 받침판을 상기 양측의 압착판에 각각 연결하는 유동판과; 상기 가변판 외 측에 설치되어 가변판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푸싱봉을 가지고 가변판의 가변 상태를 집합인쇄물의 하단에 접착제가 도포될 때까지 유지시켜주는 걸림대가 설치된 푸싱장치로 구성한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Self-adhesive scope magnification system of bookbinding machine}
본 발명은 여러 장의 인쇄물(이하 '집합인쇄물'로 약칭함)을 한 권의 책자로 제본할 때 제본의 신뢰성 등을 확보할 수 있는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본기는 집합인쇄물(400)을 압착하는 압착판(11)(12)이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압착판(11)(12)을 가동하는 압착가동설비(20)를 구성한 압착장치(10)와; 상기 집합인쇄물(400) 하단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복 수개의 도포 롤러(201)를 가진 접착제도포장치(200)와; 접착제가 도포 된 집합인쇄물(400)을 부착하는 장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본기를 이용하여 집합인쇄물(400)을 한 권의 책자로 제본하고자 할 때에는 ①먼저 집합인쇄물(400)을 압착장치(10)의 양측 압착판(11)(12) 사이에 투입한 후 압착가동설비(20)로 양측의 압착판(11)(12)이 상대 압착판 방향으로 가동되도록 하여 집합인쇄물(400)을 압착하고 ②그 상태(집합인쇄물이 압착된 상태)에서 집합인쇄물을 접착제 도포장치로 이송하여 집합인쇄물(400) 하단에 접착제를 도포하며, ③접착제가 도포 된 집합인쇄물(400)을 접착장치로 이송하고 이어서 집합인쇄물(400) 하단을 가압하여 개별인쇄지(401) 하단이 부착되도록 하면 집합인쇄물을 제본할 수 있다. 이때 집합인쇄물에 표지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압착된 집합인쇄물(400)이 접착제 도포장치(200)를 거쳐 부착장치(300)에 이송될 때 그 이송은 정지 없이 달성되고, 또 집합인쇄물(400)이 접착제 도포장치(200)를 거치기는 것만으로 개별인쇄지(401) 하단이 서로 부착될 수 있는 것은 집합인쇄물(400)이 위 도포장치(200)를 지나갈 때 접착제가 개별인쇄지(401) 사이의 틈새(500)로 유입되어 개별인쇄지(401) 하단 양면에 도포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집합인쇄물(400)이 강한 압력으로 압착되면 개별인쇄지 사이의 틈새(500)가 매우 미세하여 그 틈새(500)로 유입되는 접착제의 유입 량이 적게 되고, 유입 량이 적다는 것은 곧 개별인쇄지(401) 하단 양면에 도포 되는 접착제의 도포 면적이 좁다는 것이며, 도포 면적이 좁게 되면 집합인쇄물(400)의 개별인쇄지(401) 간의 부착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대부분의 제본기들은 제본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위 기재에서 도면의 부재 명칭과 부호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과 동일하게 표기하였다.
본 발명은 현재까지 제시된 제본기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집합인쇄물의 개별인쇄지에 대한 접착제 도포 면적을 넓혀 개별인쇄지 간의 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는,
제본할 집합인쇄물을 압착하는 압착장치의 양측 압착판 각 하단에 마주보게 구비되는 가변판 및 받침판과; 상기 가변판 및 받침판을 상기 양측의 압착판에 각각 연결하는 유동판과; 상기 가변판 외 측에 설치되어 가변판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푸싱봉을 가지고 가변판의 가변 상태를 집합인쇄물의 하단에 접착제가 도포될 때까지 유지시켜주는 걸림대가 설치된 푸싱장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압착장치의 양측 압착판을 이용하여 제본할 집합인쇄물을 압착한 후 푸싱봉으로 가변판을 밀어 집합인쇄물 하단이 구부러지게 함으로써 개별 인쇄지 하단 양면에 접착제 도포 면적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상기 효과는 개별 인쇄지 하단 양면에 대한 접착제 도포 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되어 개별 인쇄지 간의 부착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집합인쇄물을 제본한 후 제본된 집합인쇄물에서 개별 인쇄지가 자연적 혹은 작은 외력(개별 인쇄지를 당기는 힘 등)에 의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제본의 신뢰성과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작용되는 제본기 평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적용되는 제본기의 압착장치 단면 예시도
도 3은 도 2에서 압착판이 가동된 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집합인쇄물 하단이 구부러진 후 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이용한 집합인쇄물 하단이 제본되는 과정 예시도
도 6의 (가)는 도 4의 평면 예시도
(나)는 (가)의 작용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가변판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받침판 부분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은 집합인쇄물(400)을 압착하는 압착판(11)(12)이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압착판(11)(12)을 가동하는 압착가동설비(20)를 구성한 압착장치(10)와; 상기 집합인쇄물(400) 하단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복수 개의 도포 롤러(201)를 가진 접착제도포장치(200)와; 접착제가 도포 된 집합인쇄물(400)을 부착하는 장치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제본기를 토대로 한 것이다. 물론 위 제본기 외에도 위 압착장치를 가진 다양한 형태의 제본기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는, 제본기의 압착장치(10)를 구성하는 양측 압착판(11)(12) 직 하부에 가변판(30)과 받침판(40)을 마주보게 마련하고, 상기 가변판(30)과 받침판(40)을 상부 압착판(11)(12)에 한 개 이상의 유동판(50)으로 연결하여 양측 압착판(11)(12)과 가변판(30) 그리고 받침판(40)의 내면이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유동판(50)을 탄성을 가지는 재질의 금속으로 하면 가변판(30)과 받침판(40)에 가변 탄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고, 위 탄성은 가변판(30)과 받침판(40)에 밀림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져 해제될 때 가변판(30) 및 받침판(40)에 원상회복력을 발생시켜 가변판(30)과 받침판(40)이 자동적으로 상부 압착판(11)(12)과 일직선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은 한다.
다음으로 상기 가변판(30) 외 측의 제본기 프레임 상에 가변판(30) 방향과 가변판(30) 상대방향으로 왕복 작동하는 푸싱봉(62)을 가진 푸싱장치(60)를 설치하여 푸싱봉(62)이 가변판(30) 외면을 밀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변판(3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푸싱장치(60)에 가변판(30)의 가변 위치를 일정 시간(집합인쇄물 하단에 접착제가 도포 될 때까지 시간)동안 유지시켜주는 걸림대(631)를 구성한다.
상기 푸싱장치(60)는 여러 형태가 있겠으나, 제본기의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레일(70)과; 상기 레일(70)에 접속되어 레일(70)을 따라 슬라이드 하는 접속구(64)가 저면에 형성되고 선단에 가변판(30)의 가변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걸림대(631)가 설치된 설치판(63)과; 상기 설치판(63) 상면에 안착 고정되고 푸싱봉(62)이 양측으로 돌출되어 일 측 돌출 푸싱봉(62)이 제본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실린더(61)를 가진 푸싱장치(60)가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걸림대(631)는 압착장치(10)가 집합인쇄물(400)을 압착하여 접착제 도포장치(200)를 지나갈 때까지 즉, 집합인쇄물(400) 하단 전체가 위 도포장치(200)의 도포 롤러(201)를 완전히 지나갈 때까지 거리 만큼의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압착장치(10)로 집합인쇄물(400)을 압착하고, 압착된 집합인쇄물(400) 하단에 접착제 도포장치(200)로 접착제를 도포하며, 접착제가 도포된 집합인쇄물(400) 하단을 가압하여 집합인쇄물(400)의 제본을 완성하는 과정 중에서 집합인쇄물(400)을 양측 압착판(11)(12)으로 압착하면 압착판(11)(12)과 유동판(50)으로 연결됨으로써 내면이 압착판(11)(12)의 내면과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에 있는 가변판(30)과 받침판(40)이 압착판(11)(12)과 동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집합인쇄물(400) 하단 일면은 가변판(30) 내면에 밀착되고 상대 면은 받침판(40) 내면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푸싱장치(60)의 푸싱봉(62)을 작동시켜 푸싱봉(62)이 가변판(30) 외면을 밀게 하면 가변판(30)은 푸싱봉(62)의 푸싱력에 의하여 밀려 그 위치가 가변 되어 집합인쇄물(400) 하단을 첨부 도면 도 4와 같이 구부러지게 하고, 이때 받침판(40)은 가변판(30)에 의해 구부러지는 집합인쇄물(400)에 의해 밀려 그 위치가 가변 되면서 집합인쇄물(400) 하단을 받치게 된다.
이렇게 집합인쇄물(400) 하단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압착장치(10)를 접착제 도포장치(200) 방향으로 이송하면 접착제 도포장치(200)는 하단이 구부러진 집합인쇄물(400) 하단에 접착제를 도포하게 된다. 이 경우 집합인쇄물(400) 하단의 구부러진 상태는 집합인쇄물 하단 전체에 접착제가 도포 될 때까지 유지되어야 하는데, 그 유지는 가변판(30)이 푸싱장치(60)의 걸림대(631)에 걸려져 있기 때문이다(첨부 도면 도 6의 (가) 참조).
상기와 같이 집합인쇄물(400) 하단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접착제의 도포가 완료되면 집합인쇄물(400) 하단은 원상복귀된 후 부착장치에서 집합인쇄물(400)의 개별 인쇄지(401)가 부착되는데, 집합인쇄물(400) 하단의 원상복귀 작용은 첨부 도면 도 6의 (나)와 같이 가변판(30)이 푸싱장치(60)의 걸림대(631)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가변판, 집합인쇄물 하단, 받침판의 자중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가변판(30)과 받침판(40)의 가변 및 원상복귀 작용형태는 유동판(50)으로 인하여 시계 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동판(50)을 탄성을 가진 금속재질로 하면 유동판(50)은 가변판(30) 및 받침판(40)의 위치가 가변될 때에는 탄성이 발휘되고. 위 탄성은 자중에 의해 원상복귀하는 가변판(30) 등의 원상복귀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원상복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또 가변판(30) 등이 자중으로 원상복귀할 때 가변판(30) 등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음은 물론 가변판(30)과 받침판(40)을 처음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도 한다.
한편 가변판(30)이 연결되는 일 측 압착판(11)에 스토퍼(111)를 설치하여 가변판(30)이 푸싱장치(60) 방향으로 가변 될 수 없도록 하고, 받침판(40)의 외면 중앙에는 중량체(42)를 설치하여 유동판(50)에 굳이 탄성을 부여하지 않더라도 자중에 의해 원상복귀하는 가변판(30)과 받침판(40)을 처음의 위치에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가변판(30)과 받침판(40) 내면이 압착판(11)(12)의 내면과 수직으로 일직 선상이 되도록 하는 작용을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받침판(40)의 중량체(42)는 중앙에 구멍(421)을 형성하여 상기 구멍(421)을 받침판(40) 외면 중앙 상단에 형성되는 장치봉(41)에 끼우면 중량체(42)의 위치를 장치봉(41) 상에서 변경시킬 수 있게 되어 중량체(42)의 위치 조절로 받침판(40) 정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푸싱장치(60), 가변판(30), 받침판(40), 유동판(50)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와 그에 따른 작용으로 집합인쇄물(400) 하단을 구부러지게 하면 집합인쇄물(400)의 개별 인쇄지(401) 사이 틈새(600)가 집합인쇄물(400) 하단이 구부러지기 전의 틈새(500) 보다 넓어져 개별 인쇄지(401) 하단 사이로 접착제의 유입 량을 늘일 수 있게 되어 개별 인쇄지(401) 하단 양면에 대한 접착제 도포 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집합인쇄물(400)을 구성하는 개별 인쇄지 들의 부착을 현재까지의 제본기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압착장치 11,12 : 압착판
111 : 스토퍼 20 : 압착가동설비
30 : 가변판 40 : 받침판
41 : 장치봉 42 : 중량체
421 : 구멍 50 : 유동판
60 : 푸싱장치 61 : 실린더
62 : 푸싱봉 63 : 설치판
631 : 걸림대 64 : 접속구
70 : 레일 200 : 접착제 도포장치
201 : 도포 롤러 300 : 부착장치
400 : 집합인쇄물 401 : 개별 인쇄지
500, 600 : 틈새

Claims (6)

  1. 제본할 집합인쇄물(400)을 압착하는 압착장치(10)의 양측 압착판(11)(12) 각 하단에 마주보게 구비되는 가변판(30) 및 받침판(40)과; 상기 가변판(30) 및 받침판(40)을 상기 양측의 압착판(11)(12)에 각각 연결하는 유동판(50)과; 상기 가변판(30) 외 측에 설치되어 가변판(3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푸싱봉(62)을 가지고 가변판(30)의 가변 상태를 집합인쇄물(400)의 하단에 접착제가 도포될 때까지 유지시켜주는 걸림대(631)가 설치된 푸싱장치(6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푸싱장치(60)를 제본기의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레일(70)과; 상기 레일(70)에 접속되어 레일(70)을 따라 슬라이드 하는 접속구(64)가 저면에 형성되고 선단에 가변판(30)의 가변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걸림대(631)가 설치된 설치판(63)과; 상기 설치판(63) 상면에 안착 고정되고 푸싱봉(62)이 양측으로 돌출되어 일 측 돌출 푸싱봉(62)이 제본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실린더(6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유동판(50)을 탄성을 가진 금속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가변판(30)이 연결되는 일 측 압착판(11)에 스토퍼(111)를 설치하여 가변판(30)이 푸싱장치(60) 방향으로 가변 될 수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받침판(40)의 외면에 중량체(4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중량체(42) 중앙에 구멍(421)을 형성하여 구멍(421)을 받침판(40) 외면 중앙 상단에 형성되는 장치봉(41)에 끼워 중량체(42)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
KR1020110089393A 2011-09-05 2011-09-05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 KR101405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393A KR101405290B1 (ko) 2011-09-05 2011-09-05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393A KR101405290B1 (ko) 2011-09-05 2011-09-05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044A true KR20130026044A (ko) 2013-03-13
KR101405290B1 KR101405290B1 (ko) 2014-06-19

Family

ID=48177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393A KR101405290B1 (ko) 2011-09-05 2011-09-05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2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9618A (zh) * 2017-03-03 2017-05-31 无锡市翱宇特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安全环保订书机
CN108556506A (zh) * 2018-04-23 2018-09-21 山东职业学院 一种会计票据涂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7799A (ja) * 1983-01-10 1984-07-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製本装置
JP3324684B2 (ja) * 1997-07-14 2002-09-17 小林記録紙株式会社 製本機における用紙束のクランプ方法並びにクランプ装置
JP4707906B2 (ja) 2001-09-28 2011-06-22 株式会社イセトー 用紙綴じ装置
JP2008296536A (ja) 2007-06-04 2008-12-1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製本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9618A (zh) * 2017-03-03 2017-05-31 无锡市翱宇特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安全环保订书机
CN108556506A (zh) * 2018-04-23 2018-09-21 山东职业学院 一种会计票据涂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5290B1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90537A3 (en) Sheet creaser, sheet conveyer, sheet finishe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creasing method
EP1616714A3 (en) Punching and binding system and elements thereof
EP1759870A3 (en) Bookbin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WO2008008177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amping a substrate
KR101405290B1 (ko)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
EP0142240B1 (en) Apparatus for binding sheets together
JP4847630B2 (ja) 合紙製本機
EP1739037A3 (en) Paper sheet supply apparatus
US20040240966A1 (en) Systems and methods of binding a plurality of text bodies
US7503554B2 (en) Book finishing station with heating element and method of use
KR101311434B1 (ko) 제본기의 접착제 도포범위 확대장치
CN209904306U (zh) 一种新型会计账本装订夹
EP1759871A3 (en) An apparatus for binding sheets
WO2004041545A1 (ja) 二つ折り製本方法及びその製本装置
CN107471850B (zh) 装订装置
CN211106465U (zh) 一种会计凭证夹
CN113002139B (zh) 一种便于铺盖热熔胶粉的烫画机
JP2007090781A (ja) 製本システム、製本方法および製本機
CN110091639A (zh) 一种会计用打孔装置
JP2000015953A (ja) 製本方法及びその製本装置
CN201061938Y (zh) 财务凭证装订装置
JPH0329169Y2 (ko)
CN218430702U (zh) 一种用于照片直接对裱成册的热熔胶装置
CN210101089U (zh) 一种经济管理用的票据夹
JP2504564B2 (ja) 写真綴じ装置の縁辺揃え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