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651A -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651A
KR20130025651A KR1020110089083A KR20110089083A KR20130025651A KR 20130025651 A KR20130025651 A KR 20130025651A KR 1020110089083 A KR1020110089083 A KR 1020110089083A KR 20110089083 A KR20110089083 A KR 20110089083A KR 20130025651 A KR20130025651 A KR 20130025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ode
field core
field
coil
electromagnetic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충한
정석제
정재휘
남궁규
김승길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9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5651A/ko
Publication of KR2013002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오드를 필드코어 내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다이오드의 외부 노출에 따른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상기 다이오드와 필드코어 간의 절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조립 공정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필드코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도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다이오드 설치 구조를 갖는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코일체의 바닥면에는 역기전압의 발생을 방지하여 전압을 정상 상태로 유지시키는 다이오드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과 필드코어 간의 사이에는 두 리드와이어가 각각 관통되는 관통공을 가지면서 상기 다이오드가 상기 필드코어의 내벽면에 접촉됨을 방지하는 장착부시가 설치되고, 상기 필드코어에는 상기 장착부시의 일부가 노출되는 노출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field coil assembly of electromagnetic clutch}
본 발명은 전자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이오드를 외부 충격이나 손상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다이오드의 조립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기 다이오드의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클러치는 엔진으로부터 압축기(혹은, 워터펌프)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장치이며, 상기한 전자 클러치에 사용되는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전원 공급시 필드 코일의 전자기 유도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한 필드코일 어셈블리로부터 제공되는 자기력에 의해 풀리(1)로 전달된 엔진의 구동력을 상기 압축기(2)의 구동축(3)으로 전달함에 따라 냉방 운전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공간을 가지는 필드코어(10)와, 상기 필드코어(10)의 수납 공간 내에 삽입되면서 보빈(21)에 코일(22)을 권선하여 만들어진 코일체(20)로 크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코일체(20)를 이루는 코일(22)의 두 끝단은 리드와이어(31,32)가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에는 역기전압의 발생을 방지하여 전압을 정상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다이오드(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다이오드(40)는 상기 코일체(20)를 이루는 코일(22)의 두 리드와이어(31,32) 간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두 리드와이어(31,32)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의 외부는 수축튜브(50)로 감싸여지면서 누전이 방지되도록 함과 더불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다이오드(40)에 대한 설치 구조는 상기 다이오드(40)가 실질적으로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외부에 위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외부 손상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한 다이오드(40)에 대한 설치 작업은 상기 수축튜브(50)를 씌운 다음 그에 열을 가하고 이후 식혀서 수축된 상태를 이루도록 진행됨에 따라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가짐과 더불어 열의 가열방향이나 상기 수축튜브(50)의 재질에 따라 수축튜브(50)의 수축률이 고르지 못한 현상이 발생되었고, 이의 경우 상기 리드와이어(31,32)와 상기 수축튜브(50) 사이에 틈새의 발생이 야기되어 산화부식 현상이 발생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리드와이어(31,32)는 커넥터(31a)와의 연결을 위한 길이의 관리와, 터미널(32a)과의 연결을 위한 길이의 관리 및 수축튜브(50)의 위치에 따른 길이의 관리 등 다양한 요소별 길이의 관리가 진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각 길이의 관리에 따라 야기되는 누적 공차로 인해 제품의 품질이 일정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전술된 종래의 두 리드와이어(31,32)는 핀(pin) 구조로 형성되면서 필드코어(10)에 형성되는 두 노출공(11,12)을 각각 통과하도록 구성됨을 고려할 때 코일체(20)를 필드코어(10)의 수납 공간 내에 장착하면서 각 리드와이어(31,32)를 각각의 노출공(11,12)에 일치시키기가 극히 어려워 서로 간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였던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오드를 필드코어 내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다이오드의 외부 노출에 따른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면서도 상기 다이오드와 필드코어 간의 절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조립 공정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필드코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도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다이오드 설치 구조를 갖는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따르면 수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필드코어와, 상기 필드코어의 수납 공간 내에 수납되면서 코일을 권선하여 만들어진 코일체와, 상기 코일체를 이루는 코일의 양 끝단에 각각 연결되는 리드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두 리드와이어는 상기 코일체의 각 부위 중 상기 필드코어의 내부를 향하는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필드코어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닥면에는 역기전압의 발생을 방지하여 전압을 정상 상태로 유지시키는 다이오드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과 상기 필드코어 간의 사이에는 상기 두 리드와이어가 각각 관통되는 관통공을 가지면서 상기 다이오드가 상기 필드코어의 내벽면에 접촉됨을 방지하는 장착부시가 설치되고, 상기 필드코어에는 상기 장착부시의 일부가 노출되는 노출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다이오드는 상기 두 리드와이어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이오드의 양단은 상기 두 리드와이어와 함께 상기 코일의 양 끝단에 각각 일괄적으로 결속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시는 상기 필드코어의 노출공에 안정적으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다이오드를 상기 필드코어와 절연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블록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각종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의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다이오드를 필드코어 내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다이오드의 외부 노출에 따른 손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발명의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다이오드가 고무재질로 형성된 장착부시에 의해 코일체를 이루는 보빈의 밀착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다이오드와 필드코어 간의 절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상기 다이오드로가 외부의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발명의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각 리드와이어를 장착부시에 우선적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필드코어의 노출공에 상기 장착부시를 결합하는 작업을 통해 코일체와 필드코어 간의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조립 시간을 확연히 단축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기술에 따른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가 압축기에 설치된 상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기술에 따른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이루는 리드와이어가 필드코어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중 코일체의 밀착면에 리드와이어 및 다이오드가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중 장착부시에 의한 리드와이어와 다이오드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중 장착부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전자 클러치는 압축기에 적용되는 전자 클러치임을 그 예로 한다.
첨부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크게 필드코어(100)와, 코일체(200)와, 한 쌍의 리드와이어(310,320)와, 다이오드(400) 및 장착부시(5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상기 필드코어(100)는 필드코어 어셈블리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자속의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풀리(도시는 생략됨) 내에 설치된다.
상기한 필드코어(100)는 중공의 링 구조로 형성되되, 후면(압축기와 대향되는 면과는 반대 방향측의 면)에는 후술될 코일체(200)의 수납을 위한 수납 공간을 가지면서 개방된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드코어(100)의 면상에는 노출공(101)이 형성되며, 상기 노출공(101)은 상기 필드코어(100)의 전후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코일체(200)는 전류의 인가에 의해 자속을 발생하는 구성으로, 보빈(210)과 상기 보빈(210)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빈(210)은 중공의 링 구조로 형성되되, 원주면에는 상기 코일(220)이 권선될 수 있도록 권치홈(211)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한 보빈(210)의 양측 바닥면(원주면과는 수직한 측 벽의 외면) 중 어느 한 바닥면(이하, “밀착면”이라 함)(212)에는 상기 권취홈(211) 내에 권선된 코일(220)의 양 끝단이 인출되는 두 인출공(213)이 서로 이격 형성된다.
상기한 코일체(200)는 상기 보빈(210)의 밀착면(212)이 상기 필드코어(100)의 수납 공간 내부를 향하는 상태로 수납되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한 쌍의 리드와이어(310,320)는 상기 인출공(213)을 통해 보빈(210)의 외부로 인출된 코일(220)의 양 끝단에 각각 결선되면서 전원 및 압축기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두 리드와이어(310,320) 중 어느 한 리드와이어(310)는 커넥터(311)를 통해 (+)극인 전원과 연결되고, 다른 한 리드와이어(320)는 터미널(321)을 통해 (-)극인 압축기와 연결된다.
상기한 두 리드와이어(310,320)의 끝단은 상기 보빈(210)의 각 바닥면 중 상기 필드코어(100)의 내부를 향하는 밀착면(212)으로부터 상기 필드코어(100)를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코일(220)과의 결선 부위로부터 절곡 형성된다.
특히, 상기 두 리드와이어(310,320)는 상기 절곡 부위가 서로 인접한 곳에 위치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조립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다이오드(400)는 상기 코일체(200)의 오프(off)시 역기전압의 발생을 방지하여 전압을 정상 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다이오드(400)는 상기 보빈(210)의 밀착면(212)에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이오드(400)가 상기 두 리드와이어(310,32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이때 상기 다이오드(400)의 양단은 상기 두 리드와이어(310,320)와 함께 상기 코일(220)의 양 끝단에 각각 일괄적으로 결속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상기 다이오드(400)의 일단과 어느 한 리드와이어(310)를 코일의 어느 한 측 끝단(221)에 일괄적으로 결속함과 더불어 상기 다이오드(400)의 타단과 다른 한 리드와이어(320)는 코일(220)의 다른 한 측 끝단(222)에 일괄적으로 결속함으로써, 단일의 작업(코일과 리드와이어 간을 연결하는 작업)으로 상기 다이오드(400)까지 동시에 결속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작업 시간의 단축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의 구조는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장착부시(500)는 상기 다이오드(400)가 상기 필드코어(100)의 내벽면에 접촉됨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필드코어(10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이 상기 다이오드(400)로 온전히 전달됨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다이오드(400)는 상기 보빈(210)의 밀착면(212)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장착부시(500)가 없을 경우 상기 필드코어(100)의 수납 공간 내벽면에 접촉되고, 이로 인한 누전의 문제점 및 필드코어(10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손상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부시(500)의 추가적인 제공을 통해 상기 다이오드(400)가 외부로부터 절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외부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장착부시(500)는 상기 필드코어(100)의 노출공(101)에 안정적으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다이오드(400)를 상기 필드코어(100)와 절연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블록으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특히, 상기한 장착부시(500)는 두 리드와이어(310,320)가 서로 절연된 상태로 한 번에 필드코어(100)를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함으로써, 조립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추가로 가진다.
즉, 상기 두 리드와이어(310,320)는 핀(pin) 구조로 형성됨을 고려할 때 종래에는 필드코어(100)에 형성되는 노출공을 두 개로 형성함과 더불어 서로 간은 절연을 위해 이격되도록 구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코일체(200)를 필드코어(100)의 수납 공간 내에 장착하면서 각 리드와이어(310,320)를 각각의 노출공에 일치시키기가 극히 어려워 서로 간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부시(500)에 상기 두 리드와이어(310,320)가 각각 관통되는 관통공(510)을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필드코어(100)에는 상기 장착부시(500)가 관통되는 노출공(101)을 형성함으로써, 코어체(200)와 필드코일(100) 간의 결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보빈(210)을 준비한 상태에서 상기 보빈(210)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권취홈(211) 내에 코일(220)을 권선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권선한 코일(220)의 양 끝단은 상기 보빈(210)의 인출공(213)을 통해 상기 보빈(210)의 밀착면(212)으로 인출한 후 서로 인접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인접한 코일(220)의 양 끝단(221,222) 중 어느 한 끝단(221)에 어느 한 리드와이어(310) 및 다이오드(400)의 어느 한 끝단을 동일 클램프로써 일괄 결속하고, 상기 인접한 코일(220)의 양 끝단(221,222) 중 다른 한 끝단(222)에는 다른 한 리드와이어(320) 및 다이오드(400)의 다른 한 끝단을 또 다른 동일 클램프로써 일괄 결속한다.
따라서, 상기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코일체(200)가 완성되며, 이때의 두 리드와이어(310,320)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보빈(210)의 밀착면(212)이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다이오드(400)는 상기 두 리드와이어(310,320) 사이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완성된 코일체(200)에 장착부시(500)를 결합한다.
즉, 상기 두 리드와이어(310,320)를 상기 장착부시(500)의 두 관통공(510)에 각각 관통시킴으로써 서로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다이오드(400)는 상기 장착부시(500)와 상기 보빈(210)의 밀착면(212) 사이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장착부시(500)가 결합된 코일체(200)를 필드 코어(100)의 수납 공간 내에 장착한다.
이는, 상기 장착부시(500)가 결합된 측인 보빈(210)의 밀착면(212)을 상기 필드코어(100)의 수납 공간 내부를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수납 공간 내에 수납시킴과 더불어 상기 장착부시(500)는 상기 필드코어(100)에 형성된 노출공(101)을 관통하여 필드코어(100)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시(500)는 상기 노출공(101)에 끼워진 상태로 그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의 경우 다이오드(400)는 상기 장착부시(500)가 노출공(101)에 끼워짐으로 인해 발생되는 장착부시(500)의 압축력을 제공받게 됨으로써 상기 보빈(210)의 밀착면(212)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필드코어(100)의 수납 공간 내부를 에폭시(도시는 생략됨)로 몰딩시킴으로써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대한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조립 완료된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각 리드와이어(310,320)에는 커넥터 및 터미널을 각각 결합함으로써 압축기와의 접지나 외부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시(500)의 각 부위 중 상기 보빈(210)의 밀착면(212)을 향하는 벽면(다이오드가 밀착되는 측의 벽면)에는 상기 다이오드(400)의 수용을 위한 수용홈(520)이 더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장착부시(500)는 비록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하더라도 블록의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장착부시(500)를 필드코어(100)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제공되는 가압력이나, 혹은 압축기의 동작 중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이 상기 다이오드(400)로 전달되어 상기 다이오드(400)의 손상을 야기할 우려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다이오드(400)는 상기 장착부시(500)의 수용홈(520) 내에 일부 수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장착부시(500)를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이나 진동 혹은, 충격은 상기 수용홈(520)의 구조로 인해 일차적인 저감이 이루어진 상태로 상기 다이오드(400)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다이오드(400)의 안정적인 고정 상태 유지가 가능하면서도 상기 다이오드(400)의 손상은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 장착부시(500)는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의 블럭으로만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원형이나 여타의 다각 블럭으로도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다이오드(400)를 필드코어(100) 내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다이오드(400)의 외부 노출에 따른 손상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이오드(400)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장착부시(500)에 의해 코일체(200)를 이루는 보빈(210)의 밀착면(21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다이오드(400)와 필드코어(100) 간의 절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상기 다이오드(400)가 외부의 진동 및 충격을 제공받음이 방지된다.
특히, 각 리드와이어(310,320)를 장착부시(500)에 우선적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필드코어(100)의 노출공(101)에 상기 장착부시(500)를 결합하는 작업을 통해 코일체(200)와 필드코어(100) 간의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조립 시간을 확연히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100. 필드코어 101. 노출공
200. 코일체 210. 보빈
211. 권취홈 212. 밀착면
213. 인출공 220. 코일
221,222. 코일의 끝단 310,320. 리드와이어
400. 다이오드 500. 장착부시
510. 관통공 520. 수용홈

Claims (4)

  1. 수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필드코어(100)와, 상기 필드코어(100)의 수납 공간 내에 수납되면서 코일(220)을 권선하여 만들어진 코일체(200)와, 상기 코일체(200)를 이루는 코일(220)의 양 끝단에 각각 연결되는 리드와이어(310,320)를 포함하여 구성된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두 리드와이어(310,320)는 상기 코일체(200)의 각 부위 중 상기 필드코어(100)의 내부를 향하는 바닥면(212)으로부터 상기 필드코어(100)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닥면(212)에는 역기전압의 발생을 방지하여 전압을 정상 상태로 유지시키는 다이오드(400)가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212)과 상기 필드코어(100) 간의 사이에는 상기 두 리드와이어(310,320)가 각각 관통되는 관통공(510)을 가지면서 상기 다이오드(400)가 상기 필드코어(100)의 내벽면에 접촉됨을 방지하는 장착부시(500)가 설치되고,
    상기 필드코어(100)에는 상기 장착부시(500)의 일부가 노출되는 노출공(101)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400)는
    상기 두 리드와이어(310,32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400)의 양단은 상기 두 리드와이어(310,320)와 함께 상기 코일(220)의 양 끝단에 각각 일괄적으로 결속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시(500)는 상기 필드코어(100)의 노출공(101)에 안정적으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다이오드(400)를 상기 필드코어(100)와 절연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블록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KR1020110089083A 2011-09-02 2011-09-02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KR20130025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083A KR20130025651A (ko) 2011-09-02 2011-09-02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083A KR20130025651A (ko) 2011-09-02 2011-09-02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651A true KR20130025651A (ko) 2013-03-12

Family

ID=48177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083A KR20130025651A (ko) 2011-09-02 2011-09-02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56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149A (ko) * 2014-02-26 2015-09-03 우리산업홀딩스 주식회사 필드코일 어셈블리
KR20170030238A (ko) 2015-09-09 2017-03-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 클러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149A (ko) * 2014-02-26 2015-09-03 우리산업홀딩스 주식회사 필드코일 어셈블리
KR20170030238A (ko) 2015-09-09 2017-03-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 클러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6108B2 (en) Stator, method for manufacturing stator, and motor
US20120306297A1 (en) Switched reluctance motor
US20140306569A1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otor
JP4339027B2 (ja) ステータ
US11095178B2 (en) Motor having concentratedly-wound stator coil
KR102103436B1 (ko) 모터용 스테이터 어셈블리
JP2009038199A (ja) 点火コイル
JP2017070108A (ja) モータおよびモータの製造方法
US20140001914A1 (en) Stator for an electric motor and method for producing a stator for an electric motor
JP6406142B2 (ja) 直流モータ
WO2017038341A1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20130025651A (ko) 전자 클러치용 필드코일 어셈블리
JP6846911B2 (ja) 磁極、磁極を配置した固定子、固定子を備えた回転電機および固定子の製造方法
KR101470073B1 (ko)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JP2008014184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KR101992208B1 (ko) 스텝 액츄에이터
US6456181B2 (en) Ignition coil
JP2016171691A (ja) 直流モータ
US20210099040A1 (en) Stator and motor
JP2004040948A (ja) モータ
JP7250548B2 (ja) 電磁式アクチュエータ
KR100666962B1 (ko) 고온 초전도 코일들 간의 접합구조
KR200410748Y1 (ko) 돌극형 발전기의 회전자 코어 구조
JP2015095944A (ja) 回転電機
KR19990000264U (ko) 전자석 클러치용 계자코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