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4456A -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 - Google Patents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4456A
KR20130024456A KR1020110087915A KR20110087915A KR20130024456A KR 20130024456 A KR20130024456 A KR 20130024456A KR 1020110087915 A KR1020110087915 A KR 1020110087915A KR 20110087915 A KR20110087915 A KR 20110087915A KR 20130024456 A KR20130024456 A KR 20130024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ble
panel
core
wood
composit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관
Original Assignee
이동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관 filed Critical 이동관
Priority to KR1020110087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4456A/ko
Publication of KR20130024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82Flush doors, i.e. with completely flat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 E06B2003/7051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of layered construction involving different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진 대리석 패널; 상기 대리석 판재의 일면에 접착되는 다공성의 허니콤구조 코어; 상기 허니콤구조 코어의 타면에 접착되는 목재 패널; 상기 대리석 패널, 코어 및 목재 패널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상기 대리석 패널, 코어 및 목재 패널의 형상 유지 및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감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측에 대리석 패널을 사용하여 대리석이 가지는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두께가 얇은 대리석 판재의 일면에 허니콤구조 코어를 접착함으로써 중량을 줄이면서 충분한 강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어, 적재 및 운반이 용이하고,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The complex door to use marble}
본 발명은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효과를 나타내면서, 싱크대나 신발장 또는 붙박이장에 사용할 수 있는 가볍고 견고한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탁이나 엘리베이터 내장재 또는 가정용 도어에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효과를 주기 위하여 대리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대리석을 도어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적당한 강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도어가 변형이 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종래 대리석을 이용한 기술은 다음과 같은 기술들이 제시되어 있다. 특허출원 10-2005-0082055호는 가구용 장식도어에 관한 발명으로서, 씽크대를 비롯한 주방가구, 붙박이장이나 장농, 서랍장을 비롯한 생활가구 등의 도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목재로 얇게 베이스판넬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판넬의 표면에 베이스판넬보다 면적이 작고 2~15mm의 두께로 얇게 형성한 석재판넬을 바인더를 이용하여 부착시킨 뒤,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이나 목재, 또는 합성수지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된 테두리를 설치하여 일체화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장식도어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목재로 된 베이스판넬과 석재판넬을 직접 사용하기 때문에 무게가 무거워진다는 문제점과 베이스판넬과 석재판넬이 직접 바인더로 붙어 있기 때문에 석재에 직접 가해지는 하중에 쉽게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허출원 제10-2005-0136062호는 외장패널에 관한 발명으로서, 판상의 석재; 석재의 한쪽 면에 부착되는 금속 판재; 및 금속 판재의 다른 면에 부착되는 금속 재질의 허니컴(Honeycomb) 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은 석재와 금속를 사용함으로써 패널 자체의 하중이 무거워지고,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기술들은 장식용 도어나 패널에 관한 것이나 상기의 기술에서 의해서는 싱크대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표면이 대리석으로 형성되어 미려하면서도 실용적인 견고한 도어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강성이 유지되고, 미려한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고 항상 일정한 평판을 유지할 수 있는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한 두께를 가진 대리석 패널; 상기 대리석 판재의 일면에 접착되는 다공성의 허니콤구조 코어; 상기 허니콤구조 코어의 타면에 접착되는 목재 패널; 상기 대리석 패널, 코어 및 목재 패널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상기 대리석 패널, 코어 및 목재 패널의 형상 유지 및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감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허니콤구조 코어는, 합성수지, 합성목재 또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허니콤구조로 사출성형하여 마련하거나, 합성목재인 MDF로 제조될 수 있다. 합성수지로는 PE나 PP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코어를 허니콤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대리석을 포함한 전체 패널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대리석 패널과 허니콤구조 코어의 사이에 위치하여 허니콤구조 코어와 대리석 패널의 접착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부착되는 제1접착보조층;과, 허니콤구조 코어와 목재 패널의 사이에 위치하여 허니콤구조 코어와 목재 패널 간의 접착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부착되는 제2접착보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보조층을 더 형성함으로써 패널과 허니콤구조 코어 간의 접착면적을 넓혀 패널 간의 접착력을 증대시켜 구조물에 강성 및 안정성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제1접착보조층과 제2접착보조층은, 합성수지 필름 또는 부직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측은 코어에 부착되고 타측은 접착제에 의해 대리석 판재 또는 나무 판재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서 마감부재는, 대리석 패널, 허니콤 구조 코어 및 목재 패널이 안착되는 안착홈과, 안착홈의 중앙부에는 일정길이의 돌출편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면 몰딩;과, 인접한 측면 몰딩이 서로 접하는 모서리에 장착되어 모서리를 마감하는 모서리 몰딩;으로 구성되고, 허니콤 구조 코어의 테두리에는 돌출편이 삽입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은 대리석 패널, 허니콤구조 코어 및 목재 패널에 의해 이루어지는 두께에 해당하는 폭을 가지며, 안착홈의 중앙에 형성된 돌출편은 허니콤구조 코어에 삽입되어 전체적인 형상이 평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에 의해서도 문이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모서리 몰딩은, 외면이 라운드진 곡면이고, 내측이 상기 사이드 몰딩에 접하는 제1평면 및 제2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평면 및 제2평면에서 돌출되는 삽입돌출부가 상기 측면 몰딩의 안착홈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측면 몰딩의 모서리를 마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허니문 코어(20)의 일측에는 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는 보강부(8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복합도어에 연결부재인 경첩을 부착하는 경우, 허니문 코어만으로 구성되면 경첩의 결합력이 약화될 수 있기 때문에, 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는 보강부를 더 형성하여 경첩의 결합력을 강화시켜줄 수 있다. 보강부는 경첩이 설치되는 부분에만 형성되거나, 상부에서 하부까지 전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는, 외측에 대리석 패널을 사용하여 대리석이 가지는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그 두께가 얇은 대리석 판재의 일면에 허니콤구조 코어를 접착함으로써 중량을 줄이고 도어로 사용가능한 강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되어, 적재 및 운반이 용이하고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두꺼운 대리석 패널을 얇은 대리석 패널과 허니콤구조 코어로 대체함으로써, 대리석 패널의 가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리석을 표면에 사용함으로써 고급스러운 패널로써, 싱크대나 붙박이장의 도어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허니콤구조 코어 또는 대리석 패널이나 목재 패널의 휘어짐에 따른 도어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복합도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복합도어의 마감부재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복합도어의 모서리 몰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복합도어의 마감부재의 결합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복합도어의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허니문 코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기술적 특징이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복합도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복합도어의 마감부재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복합도어의 모서리 몰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복합도어의 마감부재의 결합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복합도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허니문 코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1)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복합도어(1)는, 일정두께를 가진 대리석 패널(10)과, 대리석 패널(10)의 일면에 접착되는 다공성의 허니콤구조 코어(20)와, 허니콤구조 코어(20)의 타면에 접착되는 일정두께의 목재 패널(30)과, 대리석 패널(10), 코어(20) 및 목재 패널(30)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대리석 패널, 코어 및 목재 패널의 형상 유지 및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감 부재(40)로 구성된다.
대리석 패널(10)은 일정두께를 가진 천연대리석을 사용할 수 있다. 대리석의 두께는 대략 5㎜ 내외로 할 수 있다. 대리석 패널(10)의 일면에는 허니콤 구조의 코어(20)가 접착된다.
허니콤구조 코어(20)는 도어의 전체 하중을 줄이기 위한 구성이다. 허니콤구조 코어(20)에 의해 다수의 통공(21)이 형성되며, 허니콤구조 코어(20)는 PE나 PP와 같은 합성수지재, 합성목재나 인조목재 또는 알루미늄 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허니콤구조 코어(20)를 상기 대리석 판재(10)의 일면에 접착시킴으로써 대리석 판재(10)에 미치는 외부 충격에 다하여 완충작용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알려진 바로는 허니콤구조가 구조적으로 안정된 것이며 변형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은 대리석 패널(10)을 사용하면서도 외부 충격에 대하여 충분한 강성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또한 상기 허니콤구조 코어(20)는 흡음재로서의 역할을 하며, 내부에 공기층을 포함하기 때문에 단열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그 허니콤구조 코어(20)를 폴리프로필렌이나 알루미늄으로 하는 경우, 수분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결로가 방지되어 공팡이 서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위생적인 특징이 있다.
허니콤구조 코어(20)의 저면에는 목재 패널(30)이 접착된다. 목재 패널(30)은 허니콤구조 코어(2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의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외측에서 드러나지 않도록 내측에 힌지를 결합할 때 목재 패널(30)을 사용하여 시공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되어 있는 대리석 패널(10), 허니콤구조 코어(20) 및 목재 패널(30)을 고정하기 위해 마감 부재(40)가 사용된다. 마감 부재(40)는 측면 몰딩(50)과 모서리 몰딩(60)으로 구성된다. 측면 몰딩(50)은 대리석 패널(10), 허니콤구조 코어(20) 및 목재 팬널(30)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안착홈(51)과, 안착홈(51)의 상하로 형성되어 적층구조의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안착홈벽(52)과, 안착홈(51)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돌출편(53)으로 형성된다. 돌출편(53)은 안착홈벽(52)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허니콤구조 코어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허니콤구조 코어(20)에는 돌출편(53)이 삽입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22)이 형성된다. 측면 몰딩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 몰딩(50)의 돌출편(53)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결모양 또는 요철모양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몰딩(60)은, 외측이 라운드진 곡면(61)이며, 측면 몰딩(50)과 접하는 내측이 제1평면(62)과 제2평면(63)이며, 제1평면(62)과 제2평면(63)이 직각을 이루는 바디부(64)와, 상기 바디(64)의 상기 제1평면(62)과 제2평면(63)에서 각각 복수로 돌출되어, 측면 몰딩(50)과 허니콤구조 코어(20)의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65)가 마련된다. 따라서, 측면 몰딩(50)과 측면 몰딩(50)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은 라운딩되어 도어(1)가 견고하고 미려하게 마감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도어(1')는, 도 1의 실시예의 구성인 대리석 패널(10)과 허니콤구조 코어(20)의 사이 및 허니콤구조 코어(20)와 목재 패널(30) 사이에 각각 제1접착보조층(71)과 제2접착보조층(72)을 더 포함한다. 제1접착보조층(71)과 제2접착보조층(72)은 각각 접촉면적이 적은 허니콤구조 코어(20)를 대리석 패널(10) 및 목재 패널(30)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제1접착보조층(71)과 제2접착보조층(72)은 얇게 형성되며, 접착제로 용이한 접착특성을 나타내는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예로는 합성수지 필름이나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허니콤구조 코어(20)의 양면에 제1접착보조층(71)과 제2접착보조층(72)을 미리 접착한 상태에서, 그 제1접착보조층(71)과 제2접착보조층(72)에 각각 대리석 패널(10)과 목재 패널(30)을 접착시키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허니콤구조 코어(2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보다 견고한 접착이 가능하게 된다.
그 이외의 구성들은 위에서 언급한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허니문 코어(20)의 일측에 보강부(80)를 더 형성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을 장착하는 경우 더 도어와 경첩을 더 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된 보강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부분이 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구성되므로, 경첩을 고정하는 경우 나사나 못 등이 보강부에 더 강하게 결합되어 경첩이 빠지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강부(80)는 상기 도면과 같이 경첩이 장착되는 부위에 형성되거나, 상하로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보강부(80)가 형성되는 곳은 허니문 코어(20)의 일측이 절단되어 보강부 장착홈(23)이 형성된다. 또한, 보강부(80)를 상하로 길게 형성할 경우에는 허니문 코어를 짧게 형성하여, 상하로 허니문 코어(20)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보강부 장착홈(23)은 하나의 홈으로 길게 상하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단순한 설계변경에 해당하는 자명한 사항에 불과하다.
상기 도 1과 도 6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복합도어는, 신발장, 붙박이장 또는 싱크대의 도어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도어를 통해서 견고하면서도 미려한 미감을 주는 도어를 형성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대리석 패널 20:허니콤구조 코어
21:통공 22:삽입홈
23 : 보강부 장착홈 30:목재 패널
40:마감 부재 50:측면 몰딩
51:안착홈 52:안착홈벽
53:돌출편
60:모서리 몰딩
71:제1접착보조층 72:제2접착보조층
80 : 보강부

Claims (7)

  1. 일정두께를 가진 대리석 패널(10);
    상기 대리석 패널(10)의 일면에 접착되는 다공성의 허니콤구조 코어(20);
    상기 허니콤구조 코어(20)의 타면에 접착되는 일정두께의 목재 패널(30);
    상기 대리석 패널(10), 코어(20) 및 목재 패널(30)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상기 대리석 패널(10), 코어(20) 및 목재 패널(30)의 형상 유지 및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감 부재(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니콤구조 코어(20)는,
    합성수지, 합성목재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리석 패널(10)과 허니콤구조 코어(2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허니콤구조 코어(20)와 상기 대리석 패널(10)의 접착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부착되는 제1접착보조층(71);과,
    상기 허니콤구조 코어(20)와 상기 목재 패널(3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허니콤구조 코어(20)와 상기 목재 패널(30)간의 접착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부착되는 제2접착보조층(7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보조층(71)과 제2접착보조층(72)은,
    합성수지 필름 또는 부직포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부재(40)는,
    상기 대리석 패널(10), 허니콤 구조 코어(20) 및 목재 패널(30)이 안착되는 안착홈(51)과, 상기 안착홈(51)의 중앙부에는 일정길이의 돌출편(5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면 몰딩(50);과, 인접한 측면 몰딩(50)이 서로 접하는 모서리에 장착되어 모서리를 마감하는 모서리 몰딩(60);으로 구성되고,
    상기 허니콤 구조 코어(20)의 테두리에는 상기 돌출편(53)이 삽입고정될 수 있는 삽입홈(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몰딩(60)은,
    외면(61)이 라운드진 곡면이고, 내측이 상기 측면 몰딩(50)에 접하는 제1평면(62) 및 제2평면(6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평면(62) 및 제2평면(63)에서 돌출되는 삽입돌출부(65)가 상기 측면 몰딩의 안착홈(51)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측면 몰딩(50)의 모서리를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허니문 코어(20)의 일측에는 목재 또는 합성목재로 이루어지는 보강부(8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
KR1020110087915A 2011-08-31 2011-08-31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 KR20130024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915A KR20130024456A (ko) 2011-08-31 2011-08-31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915A KR20130024456A (ko) 2011-08-31 2011-08-31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456A true KR20130024456A (ko) 2013-03-08

Family

ID=4817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915A KR20130024456A (ko) 2011-08-31 2011-08-31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4456A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544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이 부착된 방화문
KR20160116547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이 부착된 가구
KR20160116548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이 부착된 붙박이장
KR20160116554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이 부착된 방문
KR20160116552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장식용 패널
KR20160116557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이 부착된 엘레베이터의 내부벽체
KR20160116545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이 부착된 씽크대
KR20160116549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이 부착된 조명등
KR20160116556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이 부착된 신발장
KR20160116546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이 부착된 책상
KR20160116542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
KR20160116553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이 사용된 냉장고의 문
KR20160116543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천정재
KR20160119522A (ko) 2015-04-06 2016-10-14 최중갑 화강석복합패널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화강석복합패널
KR20160119521A (ko) 2015-04-06 2016-10-14 최중갑 대리석 복합패널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대리석 복합패널
CN107762353A (zh) * 2017-10-25 2018-03-06 肖文哲 一种钢木装甲门及其加工方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6544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이 부착된 방화문
KR20160116547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이 부착된 가구
KR20160116548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이 부착된 붙박이장
KR20160116554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이 부착된 방문
KR20160116552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장식용 패널
KR20160116557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이 부착된 엘레베이터의 내부벽체
KR20160116545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이 부착된 씽크대
KR20160116549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이 부착된 조명등
KR20160116556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이 부착된 신발장
KR20160116546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이 부착된 책상
KR20160116542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
KR20160116553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석재복합패널이 사용된 냉장고의 문
KR20160116543A (ko) 2015-03-30 2016-10-10 최중갑 석재복합패널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천정재
KR20160119522A (ko) 2015-04-06 2016-10-14 최중갑 화강석복합패널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화강석복합패널
KR20160119521A (ko) 2015-04-06 2016-10-14 최중갑 대리석 복합패널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다층 수지시트패널이 접합된 대리석 복합패널
CN107762353A (zh) * 2017-10-25 2018-03-06 肖文哲 一种钢木装甲门及其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4456A (ko) 대리석을 이용한 복합도어
KR102048667B1 (ko) 조립식 부재, 다층형 보드 그리고 상기 조립식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패널 형상 부재
CA2361320C (en) Improvement in the assembly structure of a high door
US20090324872A1 (en) Panel with paper honeycomb cores using as a table top
JP3213998U (ja) 片側フラッシュ構造の扉パネル
JPS60501077A (ja) 吸音構造物とその製造方法
US20060003155A1 (en) Composite core stiffened structures for lamination and tiling
KR200478900Y1 (ko) 현관용 목재 도어
KR20240027707A (ko) 기계식 잠금 디바이스 및 연관된 조립된 물품을 포함하는 패널들
KR20090061167A (ko) 마감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레일지지대가 구비된 붙박이장
KR101169308B1 (ko) 가구용 복합 상판
KR200434569Y1 (ko) 가구용 패널의 측면 마감부재
KR20080091935A (ko) 주방 및 인테리어 도어 및 그 제작방법
KR100864533B1 (ko) 책상용 상판 및 그 제조방법
JP5243320B2 (ja) 収納付き壁および収納付き壁の施工方法
KR200383195Y1 (ko) 건축 구조물용 마감재의 결합구조
CN212958294U (zh) 一种组合式结构门板
KR200491815Y1 (ko) 가구용 패널
CN215926541U (zh) 一种抗变形效果好的建筑保温装饰板
JP2023140539A (ja) 天板及びその製造方法
GB2454514A (en) An edge-sealed table top board with paper honeycomb core
US20220338632A1 (en) Construction panel with modular lattice/composite design
KR200495840Y1 (ko) 개선된 모서리를 갖는 가구용 패널
KR101035658B1 (ko) 엘피엠 절곡 내장재,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구 및 건축 구조체 마감 방법
JP2005052548A (ja) 合成板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