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3130A - 플러그인 부싱 및 내전압 시험 방법 - Google Patents

플러그인 부싱 및 내전압 시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3130A
KR20130023130A KR1020120092442A KR20120092442A KR20130023130A KR 20130023130 A KR20130023130 A KR 20130023130A KR 1020120092442 A KR1020120092442 A KR 1020120092442A KR 20120092442 A KR20120092442 A KR 20120092442A KR 20130023130 A KR20130023130 A KR 20130023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plug
conductor
cable head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5323B1 (ko
Inventor
신 이마니시
노부유키 세마
Original Assignee
쇼와 전선 케이블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전선 케이블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쇼와 전선 케이블 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23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54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gas-insulated power appliances or vacuum g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6Construction of test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surfaces specially treated for preserving insulating properties, e.g. for protection against moisture, dirt,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전력 케이블 단말을 플러그인 타입으로 접속할 수 있는 케이블 헤드를 구비한 전력용 기기에 대해서 과전할 때의 공간 절약 및 작업 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플러그인 부싱 및 내전압 시험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플러그인 부싱을, 봉상의 내부 도체와, 내부 도체의 외주면에 상기 내부 도체의 양단이 노출하도록 형성되는 에폭시 부싱과, 에폭시 부싱의 기중측(氣中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절연 보강부와, 에폭시 부싱의 종단 접속측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절연 보강부와, 제2 절연 보강부를 케이블 헤드에 대해서 가압하는 압축 장치와, 내부 도체의 종단 접속측의 선단에 접속되어, 내부 도체와 종단 접속 구조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도체 플러그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또, 제1 절연 보강부의 전계 완화부와 제2 절연 보강부의 도전부가, 각각 에폭시 부싱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Description

플러그인 부싱 및 내전압 시험 방법{PLUG-IN BUSHING AND METHOD OF TESTING FOR WITHSTANDING VOLTAGE}
본 발명은, 가스 절연 개폐 장치(GIS:Gas Insulated Switch)나 변압기 등의 전력용 기기에 과전(課電)하기 위한 플러그인 타입의 부싱 및 이것을 이용한 내전압 시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변전(受變電) 설비에 이용되는 전력용 기기로서 6불화황(SF6) 등의 절연 가스를 봉입한 접지용기 내에, 차단기, 단로기, 모선(母線) 전선로, 피뢰기 등을 수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나, 코일 및 철심 등을 수용한 케이스 내에 절연 매체로서 6불화황(SF6) 가스 등의 절연 가스 또는 절연유를 봉입한 변압기가 알려져 있다. 가스 절연 개폐 장치나 변압기 등의 전력용 기기를 현지에 설치할 때에는, 내전압 시험을 행하여 사용에 견딜 수 있는 절연내력(絶緣耐力)을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종래, 가스 절연 개폐 장치나 변압기 등의 전력용 기기의 내전압 시험은, 예를 들면 기중절연(氣中絶緣) 구조를 가지는 시험용 부싱을, 일단측이 가스 절연된 기기내, 타단측이 기중(氣中)이 되도록 장착하고 기중측으로부터 과전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제1도).
또, 플러그인 타입의 전력 케이블 단말을 전력용 기기에 접속해서 행하는 전력용 기기의 내전압 시험은, 예를 들면 시험용 리드 케이블의 일단측에 설치된 종단 커넥터를 기기에 접속하고, 타단측에 설치된 기중(氣中) 종단 접속부로부터 과전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59-4790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7-270484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의 제1도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과전하는 기중측의 스페이스는 작아도 되지만, 시험용 부싱의 장착이나 분해 시에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내부 공간이 대기에 개방되어 버리기 때문에, 그때마다 절연 가스를 재봉입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막대한 노력이나 작업시간을 요하게 되어 작업 효율이 나쁘다. 변압기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특허 문헌 2에 기재한 방법에 의하면, 전력용 기기에 플러그인 타입으로 시험용 리드 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으므로, 절연 가스의 재봉입 처리를 행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렇지만, 전력용 기기의 내전압 시험 시에 시험용 리드 케이블을 배치하여 비교적 대형의 종단 접속부를 설치하기 때문에,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시험용 리드 케이블에 설치되는 기중 종단 접속부를, 열수축 튜브를 이용한 간이 타입의 것으로 대체하는 일도 행해지고 있지만, 이 경우도 역시 시험용 리드 케이블의 굽힘 반경을 고려하여 그만큼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가스 절연 개폐 장치나 변압기 등의 전력용 기기에 대해서 과전할 때의 공간 절약 및 작업 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플러그인 부싱 및 내전압 시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부싱은, 전력 케이블 단말을 플러그인 타입으로 접속할 수 있는 케이블 헤드를 구비한 전력용 기기에 과전하기 위한 플러그인 부싱으로서,
봉상의 내부 도체와,
상기 내부 도체의 외주면에, 상기 내부 도체의 양단이 노출하도록 형성되는 에폭시 부싱과,
상기 에폭시 부싱의 기중측(氣中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절연 보강부와,
상기 에폭시 부싱의 종단 접속측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절연 보강부와,
상기 제2 절연 보강부를 상기 케이블 헤드에 대해서 가압하는 압축 장치와,
상기 내부 도체의 종단 접속측의 선단에 접속되어, 상기 내부 도체와 상기 케이블 헤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도체 플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절연 보강부는 절연부와 전계 완화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절연 보강부는 절연 고무부와 도전부를 가지고,
상기 전계 완화부와 상기 도전부는, 각각 상기 에폭시 부싱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플러그인 부싱에 있어서, 후술하는 플랜지부를 경계로, 전력용 기기의 케이블 헤드에 장착하는 측을 '종단 접속측'이라 하고, 전압을 인가하는 측을 '기중측(氣中側)'이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전압 시험 방법은, 상기 플러그인 부싱을 상기 케이블 헤드에 장착하여 상기 전력용 기기에 과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부싱에 의하면, 가스 절연 개폐 장치나 변압기 등의 전력용 기기에 과전할 때, 과전용으로 전력 케이블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절약화를 꾀할 수 있다. 또, 가스 절연 개폐 장치 등의 절연 가스가 봉입된 전력용 기기에 플러그인 타입으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장착 작업이 극히 용이하고, 절연 가스의 재봉입 처리도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부싱에 의하면, 가스 절연 개폐 장치 등의 전력용 기기에 대해서 과전할 때의 공간 절약 및 작업 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내전압 시험 방법에 의하면, 전력용 기기에 과전하기 위한 플러그인 부싱의 장착 및 해체 작업이 개선되므로 현격하게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인 부싱을 접속할 수 있는 전력용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전력용 기기에 장착된 케이블 헤드의 확대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인 부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인 부싱의 종단 접속측의 확대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플러그인 부싱과 케이블 헤드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플러그인 부싱과 케이블 헤드의 접속부의 확대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인 부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의 실시형태]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인 부싱을 접속할 수 있는 전력용 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전력용 기기에 장착된 케이블 헤드의 확대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전력용 기기(100)는, 예를 들면 SF6 등의 절연 가스를 봉입한 접지용기(101)내에, 차단기(31), 단로기(32), 모선 전선로(33) 등의 충전부(3)를 수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이다. 전력용 기기(100)는, 충전부(3)를 수용하는 기기 수용부(100A)와, 충전부(3)에 과전하기 위한 전력 케이블(도시 생략)을 접속하는 접속부로서 엘레펀트(Elephant)부(100B)를 구비한다.
엘레펀트부(100B)에는 케이블 헤드(2)가 설치되고, 이 케이블 헤드(2)에 대응하는 종단 처리가 행해진 전력 케이블 단말을 플러그인 타입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력용 기기(100)의 통상 운전시는, 케이블 헤드(2)에 전력 케이블 단말이 접속된 상태로 사용된다.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케이블 헤드(2)는 기기측 부싱(21), 기기측 도체(22) 등을 구비한다.
기기측 부싱(21)은,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등의 경질의 절연체로 구성된 중공 형상의 성형체이다. 기기측 부싱(21)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통상의 헤드부(21a), 종 모양의 동체부(21b), 표면에 도전 도료가 도포되고, 선단 측에 벨 마우스(bell mouth) 형상의 오목부를 가지는 차폐부(21c), 지름 방향 바깥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 형상의 기기 고정부(21d), 및 절연통부(21e)를 가진다. 한편, 기기측 부싱(21)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기기 고정부(21d)는, 접지용기(101)의 개구(101a)에 걸리도록, 개구(101a)의 구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 차폐부(21c)로부터 기기 고정부(21d)의 볼트 삽입측에 걸친 외표면에는 도전 도료가 도포되어 도전층(도시 생략)이 형성된다. 이 도전층과 접지용기(101)가 당접함으로써, 차폐부(21c)의 외표면이 접지 전위가 된다. 절연통부(21e)는 기기 고정부(21d)의 후단측에 연장 설치된다. 절연통부(21e)의 외주면에는 도전층이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절연통부(21e)에 의해, 전력용 기기의 접지용기(101)측의 접지와 케이블 헤드(2)에 접속되는 플러그인 부싱(1)측의 접지는 절연된다.
기기측 부싱(21)은, 개구(101a)를 경유하여 접지용기(101)의 내부에 삽입된다. 접지용기(101) 또는 기기 고정부(21d)의 당접면에는 링상의 오목 홈(도시 생략)을 형성하고, 이 오목 홈에 O링이나 패킹 등의 씰 부재(도시 생략)가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기기 고정부(21d)를 접지용기(101)에 복수의 볼트로 조여줌으로써, 기기측 부싱(21)은 접지용기(101)에 기밀하게 고정된다. 즉, 접지용기(101)에 봉입되어 있는 절연 가스가 개구(101a)로부터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기기측 도체(22)는, 동, 동합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통전에 적합한 금속제의 부재이다. 기기측 도체(22)는, 몰드 성형에 의해 기기측 부싱(21)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기기측 도체(22)는, 기기측 부싱(21)의 선단부(21g)로부터 돌출하는 도체 인출부(22a), 기기측 부싱(21)의 헤드부(21a)의 내주면에 매설된 원통부(22b), 도체 인출부(22a)와 원통부(22b)를 연결하는 네크부(22c), 네크부(22c)로부터 기기측 부싱(21)의 수용구(21f)를 향해 돌출하는 걸림부(22d)를 가진다.
도체 인출부(22a)는, 접지용기(101)내에서 기기측의 고전압 도체(도시 생략)를 경유하여 충전부(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걸림부(22d)에는, 도전성의 링상 접촉자(23)(이른바 튤립 컨택트)의 일단측이 걸린다. 이 링상 접촉자(23)의 타단측에는, 전력 케이블에 접속된 도체 접속 단자(도시 생략)가 걸리거나 또는 플러그인 부싱(1)의 후술하는 도체 플러그(16)가 삽입된다. 기기측 도체(22)는 링상 접촉자(23)를 경유하여 플러그인 부싱(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력용 기기(100)는 전력 케이블을 플러그인 타입으로 접속할 수 있는 케이블 헤드(2)를 구비하고 있다. 또, 케이블 헤드(2)는 플러그인 부싱(1)의 종단 접속측을 삽입할 수 있는 기기측 부싱(21)과, 도체 플러그(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기측 도체(22)와, 일단이 기기측 도체(22)에 접속되고, 타단이 도체 플러그(16)에 접속되는 링상 접촉자(23)를 구비하고 있다.
전력용 기기(100)를 현지에 설치할 때에는, 내전압 시험이 행해져 사용에 견딜 수 있는 절연 내력을 유지하고 있는지가 확인된다. 이 내전압 시험을 행할 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인 부싱(1)이 이용된다.
또한, 엘레펀트부(100B)는 상하가 역전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통상시는 전력 케이블과의 접속 상태의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하방에 케이블 헤드(2)가 위치하는 상태로 되고(도 1 참조), 내전압 시험시에는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상방에 케이블 헤드(2)가 위치하는 상태로 된다(도 5 참조).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인 부싱(1)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플러그인 부싱(1)의 종단 접속측의 확대 도면이다. 이 플러그인 부싱(1)은 전력 케이블을 플러그인 타입으로 접속할 수 있는 케이블 헤드(2)를 구비한 전력용 기기(100)(도 1 참조)의 내전압 시험을 행할 때에, 전력용 기기(100)의 케이블 헤드(2)에 장착해서 과전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플러그인 부싱(1)에 있어서, 플랜지부(122)를 경계로 전력용 기기(100)의 케이블 헤드(2)에 장착하는 측을 '종단 접속측'이라 하고, 전압을 인가하는 측을 '기중측(氣中側)'이라 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케이블 헤드(2)에 삽입하는 측(도 3에서는 하방)을 '선단측', 반대측(도 3에서는 상방)을 '후단측'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플러그인 부싱(1)은, 내부 도체(11), 에폭시 부싱(12), 제1 절연 보강부(13), 제2 절연 보강부(14), 압축 장치(15), 도체 플러그(16) 등을 구비한다.
내부 도체(11)는, 동, 동합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통전에 적합한 금속제의 봉상 부재이다. 내부 도체(11)의 선단(종단 접속측)에는 도체 플러그(16)가 접속되고, 후단(기중측)에는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리드 선이 접속된다.
에폭시 부싱(12)은 에폭시 수지로 구성되고, 양단으로부터 내부 도체(11)가 노출하도록, 몰드 성형에 의해 내부 도체(11)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에폭시 부싱(12)의 종단 접속측과 기중측의 사이에는, 종단 접속측 및 기중측보다 외경이 큰 플랜지부(122)가 형성된다. 에폭시 부싱(12)의 기중측의 외주면에 제1 절연 보강부(13)가 형성되고, 종단 접속측의 외주면에 제2 절연 보강부(14)가 형성된다.
또, 에폭시 부싱(12)에 있어서, 제1 절연 보강부(13)의 선단부(13a)로부터 제2 절연 보강부(14)의 후단부(14a)에 걸친 외주면에는, 예를 들면 도전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도전층(121)이 형성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전층(121)을 나타내는 점선을 에폭시 부싱(12)의 외주선보다 안쪽에 도시하고 있다. 도전층(121)을 접지 전위로 함으로써 에폭시 부싱(12)의 차폐층이 형성된다.
이 도전층(121)의 기중측 단부는, 제1 절연 보강부(13)의 전극(132) 선단측과 접촉하고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전극 테이퍼부(132a)를 형성한다. 이 경사에 의해, 도전층(121)의 기중측의 단부에 집중되는 전계가 완화된다. 또, 도전층(121)의 종단 접속측의 단부는, 제2 절연 보강부(14)의 도전부(142)와 접촉하고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테이퍼부를 형성한다. 이 경사에 의해, 도전층(121)의 종단 접속측의 단부에 집중되는 전계가 완화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절연 보강부(13)의 선단부(13a)로부터 제2 절연 보강부(14)의 후단부(14a)에 걸친 외주면에 도전층(121)을 형성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 도전층(121)을 중간에서 분리하여 종단 접속측의 접지층과 기중측의 접지층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절연부를 설치해도 좋다.
제1 절연 보강부(13)는, 전체적으로 방추 형상으로 형성된 콘덴서콘(CONDENSER CONE)이며, 에폭시 부싱(12)의 기중측에 끼워진다. 제1 절연 보강부(13)는 절연부(131)와 복수의 통 형상의 전극(132)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전극(132)의 선단측으로부터 중앙부는 전극 테이퍼부(132a)를 포함한 외경이 가장 큰 통 형상의 전극으로 구성되고, 중앙부로부터 후단측은 후단측을 향해 차례로 직경이 감소하는 복수의 원통상의 전극으로 구성된다. 절연부(131)는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절연성 고무 재료로 구성된다. 전극(132)은 절연성 고무 재료에 카본 블랙 등을 혼입하여 도전성을 부여한 도전성 고무 재료로 구성된다. 이 전극(132)이 제1 절연 보강부(13)의 전계 완화부가 된다.
전극(132)은, 인접하는 전극이 접촉하지 않고 길이 방향으로 일부 오버랩하도록 절연부(131)속에 매설된다. 또, 전극(132)의 선단측(외경이 가장 큰 통 형상의 전극의 선단측)은, 에폭시 부싱(12)에 형성된 도전층(121)의 기중측 단부에 접촉하도록 도전층(121)의 외주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전극(132) 중 외경이 가장 큰 통 형상의 전극이 접지 전위가 되고, 나머지 복수의 원통 형상의 전극이 전압 분담하여 콘덴서로서 기능한다. 제1 절연 보강부(13)(콘덴서콘)에 의해 기중측에 서의 전계의 국부적인 집중이 완화된다.
또한, 에폭시 부싱(12)과 콘덴서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 전극의 상대 위치나, 전극의 매수는 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제2 절연 보강부(14)는, 전체적으로 방추 형상으로 형성된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 고무),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무제의 스트레스 콘(stress cone)이며, 에폭시 부싱(12)의 종단 접속측에 끼워진다. 제2 절연 보강부(14)는, 절연성 고무 재료로 구성되는 선단측의 절연 고무부(141)와, 후단측의 도전부(142)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도전부(142)는 도전성 고무 재료로 구성되어 몰드 성형에 의해 절연 고무부(14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전부(142)는 도전성 고무 재료로 형성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절연성 고무 재료의 표면에 도전성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도전부(142)를 형성해도 좋다.
절연 고무부(141)와 도전부(142)는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 도전부(142)는 벨 마우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에폭시 부싱(12)에 형성된 도전층(121)에 접속된다. 제2 절연 보강부(14)에 의해, 종단 접속측에서의 전계의 국부적인 집중이 완화된다.
제2 절연 보강부(14)의 절연 고무부(141)의 외주는, 장착되는 케이블 헤드(2)의 수용구(21f)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압축 장치(15)에 의해 케이블 헤드(2)의 수용구(21f)에 가압된다.
압축 장치(15)는, 누름쇠(151), 스프링(152) 및 누름쇠 플랜지(153) 등을 구비한다. 압축 장치(15)는 고정쇠(41)에 의해 에폭시 부싱(12)에 고정된다.
누름쇠(151)의 선단측 개구(151a)는, 제2 절연 보강부(14)의 후단측 외주면(도전부(142)의 외주면)을 따라 나팔 형상으로 형성된다. 누름쇠(151)의 후단부(151b)에는 스프링 수용부(151c)가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된다. 이 스프링 수용부(151c)에 각각 코일 형상의 스프링(152)이 장착된다.
누름쇠 플랜지(153)의 후단부 내측에는, 스프링(152)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돌출부(153a)가 형성된다. 누름쇠 플랜지(153)의 후단부 외측에는, 볼트(43)를 조이기 위한 복수의 나사구멍(153b)이 동일 원주상에 형성된다. 또, 누름쇠 플랜지(153)의 선단부에는, 볼트(42)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삽입공(153c)이 동일 원주상에 형성된다.
또한, 볼트(42)와 볼트(43)의 원주상의 위치는 간섭하지 않도록 어긋나게 한 위치가 된다. 또, 고정쇠(41)의 고정부(41a)의 볼트(4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볼트(42)를 케이블 헤드(2)에 장착할 수 있도록 노치부(도시 생략)가 마련된다.
고정쇠(41)는, 에폭시 부싱(12)의 플랜지부(122)의 외주에 위치하는 금속 원통부(41b)와, 금속 원통부(41b)의 선단측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측으로 튀어나오게 형성되어 누름쇠 플랜지(153)의 후단면에 당접하여 고정되는 고정부(41a)와, 금속 원통부(41b)의 후단측으로부터 지름 방향 안쪽으로 돌출해서 형성되어, 에폭시 부싱(12)의 플랜지부(122)의 후단면(기중측)에 걸리는 홀딩부(41c)를 구비한다. 고정쇠(41)의 고정부(41a)에서 누름쇠 플랜지(153)에 형성된 나사구멍(153b)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삽입공(41d)이 형성된다.
고정쇠(41)의 홀딩부(41c)를 에폭시 부싱(12)의 플랜지부(122)의 후단면(122a)(기중측)에 걸고, 이 상태로 고정부(41a)의 선단면을 누름쇠 플랜지(153)의 후단면에 당접시킨다. 그리고, 볼트(43)를 삽입공(41d)에 삽입하여 누름쇠 플랜지(153)의 나사구멍(153b)에 조여줌으로써, 고정쇠(41)가 누름쇠 플랜지(153)에 고정된다. 압축 장치(15)는 스프링(152)을 지지한 상태에서 에폭시 부싱(12)에 고정되게 된다.
또, 케이블 헤드(2)의 절연통부(21e)의 후단면에서 누름쇠 플랜지(153)에 형성된 삽입공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매립 금구(金具)(44)가 배치된다. 누름쇠 플랜지(153)의 삽입공(153c)에 볼트(42)를 삽입하고 이 볼트(42)를 매립 금구(44)에 조여줌으로써, 플러그인 부싱(1)이 케이블 헤드(2)에 장착된다. 이때, 압축 장치(15)에 의해, 제2 절연 보강부(14)가 케이블 헤드(2)측에 가압되고, 제2 절연 보강부(14)는 탄성변형하여 케이블 헤드(2)의 내면에 밀착하게 된다.
도체 플러그(16)는, 내부 도체(11)와 마찬가지로, 통전에 적합한 금속재료로 구성되어 내부 도체(11)의 선단에 접속된다. 도체 플러그(16)는 플러그인 부싱(1)의 케이블 헤드(2)로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내부 도체(11)의 선단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도체 플러그(16)는, 기기측 도체(22)에 접속되는 선단측의 소경부(小徑部)(16a)와, 내부 도체(11)에 접속되는 후단측의 대경부(大徑部)(16b)가 연장 설치된, 단면 'Y'자 형상의 부재이다.
대경부(16b)의 후단면 중앙에는 내부 도체(11)의 선단을 삽입하기 위한 도체 삽입 구멍(16c)이 형성된다. 또, 도체 삽입 구멍(16c)의 내주면에는 용수철 형상 접촉자(도시 생략)가 배치되는 오목 홈(16d)이 형성된다. 용수철 형상 접촉자로서는, 다점 접촉 방식 컨택트인 멀티 램 밴드(multilam band)(도시 생략)가 배치된다.
도체 플러그(16)의 대경부(16b)의 후단부 외주면에는, 지름 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 구멍(16e)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소(예를 들면 3군데)에 형성된다. 도체 플러그(16)의 도체 삽입 구멍(16c)에 내부 도체(11)의 선단을 삽입하고, 나사구멍(16e)에 고정 나사(도시 생략)를 삽입해서 조여줌으로써, 도체 플러그(16)는 내부 도체(11)에 나사로 고정되고 전기적으로도 접속된다. 도체 플러그(16)와 내부 도체(11) 사이에는 멀티 램 밴드(도시 생략)가 개재되므로 양자는 양호하게 도통된다.
여기서, 고정나사가 기기측 도체(22)의 후단부의 쉴드(shield)에 가까운 부분에 있으면, 쉴드 내로 들어가는 전계에 의해, 고정 나사가 돌기가 되어 부분 방전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래서, 나사구멍(16e)에 장착되는 고정 나사(도시 생략)가 케이블 헤드(2)의 기기측 도체(22)의 후단부의 쉴드(원호 형상 부분)보다 깊은 위치(수용구(21f)에서 보다 선단측의 위치)가 되도록 나사구멍(16e)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기기측 도체(22)의 쉴드 내로 들어가는 전계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된다.
또한, 용수철 형상 접촉자로서는, 멀티 램 밴드를 대신해서 발씰(BAL SEAL)을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는, 오목 홈(16d)은 발씰을 배치하는데 적합한 형상이 된다.
또, 용수철 형상 접촉자는, 도체 삽입 구멍(16c)의 내주면(오목 홈(16d))에 설치하고 있지만, 내부 도체(11)의 선단의 외주에 설치해도 좋다. 단, 에폭시 부싱(12)의 몰드 성형을 고려하면, 용수철 형상 접촉자는 본 실시형태처럼 도체 삽입 구멍(16c)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 홈(16d)에 설치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도체 플러그(16)와 에폭시 부싱(12)의 사이, 즉 에폭시 부싱(12)의 선단면에는 링상의 절연성 스톱퍼(19)가 설치된다. 절연성 스톱퍼(19)의 선단면은 도체 플러그(16)의 후단면에 당접한다. 또, 절연성 스톱퍼(19)의 후단면의 외주는, 여기서는 에폭시 부싱(12)의 선단부 외주를 덮도록 후단측으로 돌출해 있다. 이 절연성 스톱퍼(19)에 의해, 플러그인 부싱(1)을 케이블 헤드(2)에 장착했을 때에, 압축 장치(15)에 의해 가압되는 제2 절연 보강부(14)(스트레스 콘)가 선단측으로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 플러그인 부싱(1)을 케이블 헤드(2)에 삽입할 때에, 절연성 스톱퍼(19)가 케이블 헤드(2)의 내면에 슬라이딩 접촉하기 때문에, 케이블 헤드(2)의 내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체 플러그(16)에서 소경부(16a)가 연장 설치되는 부위가 되는 대경부(16b)의 선단면에는 단차부(숄더부)가 마련되고, 이 단차부에는 제1 절연체(18)가 설치된다. 여기서, 도체 플러그(16)의 대경부(16b)의 선단면 단차부의 외주와 제1 절연체(18)의 내주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제1 절연체(18)는, 예를 들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인 소마라이트(상품명)로 구성된다.
플러그인 부싱(1)을 케이블 헤드(2)에 장착할 때, 도체 플러그(16)의 대경부(16b)가 기기측 부싱(21)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삽입된다. 이 때, 대경부(16b)의 숄더부가 기기측 부싱(21)의 내주면에 접촉하면, 기기측 부싱(21)의 내주면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여기서는 대경부(16b)의 숄더부에 제1 절연체(18)를 설치하였으므로, 도체 플러그(16)의 삽입에 수반하여 기기측 부싱(21)의 내주면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체 플러그(16)에서, 소경부(16a)의 선단에는 제2 절연체(17)가 설치된다. 여기서, 도체 플러그(16)의 선단면에 설치된 나사부와 제2 절연체(17)의 후단면에 설치된 나사구멍이 나사 결합되고 있다. 제2 절연체(17)는, 예를 들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인 소마라이트(상품명)로 구성된다.
플러그인 부싱(1)을 케이블 헤드(2)에 장착할 때, 도체 플러그(16)의 소경부(16a)가 링상 접촉자(23)(튤립 컨택트)의 후단부에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통상, 케이블 헤드(2)에 전력 케이블 단말을 장착할 경우, 전력 케이블 단말측의 도체 접속 단자에는, 링상 접촉자(23)에 의한 홀딩 구조를 마련하기 때문에 걸림부(22d)와 마찬가지로 지름 방향 외주로 돌출한 걸림 구조가 마련되어, 도체 접속 단자의 선단면과 기기측 도체(22)의 걸림부(22d)는 접촉하지 않는 구조로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러그인 부싱(1)의 도체 플러그(16)(소경부(16a))에는 링상 접촉자(23)(튤립 컨택트)에 걸리게 하기 위한 걸림 구조를 마련하지 않고, 플러그인 부싱(1)을 케이블 헤드(2)에 장착할 때, 기기측 도체(22)(걸림부(22d))에 플러그인 부싱(1)의 선단(제2 절연체(17))이 닿음으로써, 플러그인 부싱(1)의 삽입이 완료된 것을 확인한다. 그 때문에, 기기측 도체(22)에 도체 플러그(16)가 직접 닿는 구조로 하면 기기측 도체(22)가 손상될 염려가 있다. 여기서는, 기기측 도체(22)와 도체 플러그(16)의 선단의 사이에 제2 절연체(17)가 개재되므로, 플러그인 부싱(1)의 케이블 헤드(2)로의 삽입에 수반해 기기측 도체(22)가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기기측 도체(22)에 도체 플러그(16)가 직접 닿는 구조로 하면, 과전(課電)되었을 때에 도체 플러그(16)로부터 기기측 도체(22)에 직접 또는 링상 접촉자(23)를 경유하여 전류가 흐른다(분류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단락 사고 등에 의해 대전류가 흐르면, 통전부가 고온이 되어 기기측 도체(22) 및 도체 플러그(16)가 용융될 염려가 있다. 여기서는, 도체 플러그(16)와 기기측 도체(22) 사이에 제2 절연체(17)가 개재됨으로써, 도체 플러그(16)와 기기측 도체(22)는 직접 도통하지 않고 링상 접촉자(23)를 경유하여 도통한다. 즉, 분류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단락 사고 등이 일어나더라도 기기측 도체(22) 및 도체 플러그(16)가 용융되는 일은 없다.
도 5는 케이블 헤드와 플러그인 부싱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케이블 헤드와 플러그인 부싱의 접속부의 확대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것처럼, 전력용 기기(100)의 내전압 시험시에는 케이블 헤드(2)가 상방에 위치하도록(케이블 헤드(2)의 선단측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엘레펀트부(100B)가 회동된다. 그리고, 전력용 기기(100)의 케이블 헤드(2)에 플러그인 부싱(1)이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전력용 기기(100)의 케이블 헤드(2)에, 기기측 부싱(21)의 수용구(21f)로 플러그인 부싱(1)이 삽입된다. 플러그인 부싱(1)은, 제2 절연체(17)가 기기측 도체(22)의 걸림부(22d)의 단면에 닿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링상 접촉자(23)(튤립 컨택트)의 후단부(도 6에서는 상측) 내주면이 도체 플러그(16)의 선단부(여기서는 소경부(16a)의 선단부) 외주에 접촉한다.
그리고, 기기측 부싱(21)의 후단면(절연통부(21e))에 매설된 매립 금구(44)에 누름쇠 플랜지(153)를 볼트(42)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때, 플러그인 부싱(1)에 미리 끼워 둔 압축 장치(15)에 의해, 제2 절연 보강부(14)는 선단측(도 6에서는 하측)에 가압되고 탄성변형되어 케이블 헤드(2)의 내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인 부싱(1)의 케이블 헤드(2)로의 장착 작업은 극히 간단하다.
케이블 헤드(2)에 플러그인 부싱(1)을 장착한 상태에서, 기기측 부싱(21)의 헤드부(21a)에 대응하는 수용구(21f)에는 도체 플러그(16)가 위치한다. 바꾸어 말하면, 기기측 도체(22)의 원통부(22b)의 내주에 도체 플러그(16)가 위치한다. 기기측 부싱(21)의 동체부(21b)로부터 차폐부(21c)에 걸친 부위에 대응하는 수용구(21f)에는 제2 절연 보강부(14)가 위치한다. 기기측 부싱(21)의 기기 고정부(21d)로부터 절연통부(21e)에 걸친 부위에 대응하는 수용구(21f)에는 압축 장치(15)가 위치한다.
압축 장치(15)에 의해, 제2 절연 보강부(14)가 기기측 부싱(21)을 향해 가압되어, 제2 절연 보강부(14)와 기기측 부싱(21)의 계면에 소정의 면압(面壓)이 부여되기 때문에 종단 접속측에서의 절연 성능이 확보된다.
또, 플러그인 부싱(1)의 기중측은, 에폭시 부싱(12) 자체의 절연 내력과, 제1 절연 보강부(13)의 콘덴서에 의한 전압 분담으로 절연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인 부싱(1)은, 종단 접속측, 기중측에서 충분한 절연 성능을 가지므로, 내전압 시험 등 전력용 기기(100)에 과전할 때에 극히 유용하다.
이와 같이, 플러그인 부싱(1)은, 봉상의 내부 도체(11)와, 내부 도체(11)의 외주면에 내부 도체(11)의 양단이 노출하도록 형성되는 에폭시 부싱(12)과, 에폭시 부싱(12)의 기중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절연 보강부(13)와, 에폭시 부싱(12)의 종단 접속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절연 보강부(14)와, 제2 절연 보강부(14)를 케이블 헤드(2)에 대해서 가압하는 압축 장치(15)와, 내부 도체(11)의 종단 접속측의 선단에 접속되어, 내부 도체(11)와 기기측 도체(22)(케이블 헤드(2))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도체 플러그(16)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1 절연 보강부(13)의 전극(132)(전계 완화부)과 제2 절연 보강부(14)의 도전부(142)는, 각각 에폭시 부싱(1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도전층(12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플러그인 부싱(1)에 의하면, 가스 절연 개폐 장치나 변압기 등의 전력용 기기(100)에 과전할 때, 전압을 인가하는 기중측에 종단 접속부를 설치한 전력 케이블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절약화를 꾀할 수 있다. 또, 가스 절연 개폐 장치나 가스 절연 변압기 등의 절연 가스가 봉입된 전력용 기기(100)에 플러그인 타입으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장착 작업이 극히 용이하고, 절연 가스의 재봉입 처리도 불필요하게 된다. 또, 해체 작업도 용이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플러그인 부싱(1)측에 링상 접촉자(23)가 걸리는 구조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는, 플러그인 부싱(1)의 선단(제2 절연체(17))이 기기측 도체(22)(걸림부(22d))의 단면에 닿게 해서 삽입된 것을 확인하므로, 장착 작업은 보다 용이하게 되고, 플러그인 부싱(1)이 링상 접촉자(23)에 걸리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극히 용이하게 해체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가스 절연 개폐 장치 등의 전력용 기기(100)에 대해서 과전할 때의 공간 절약 및 작업 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 플러그인 부싱(1)을 이용한 내전압 시험 방법에 의하면, 전력용 기기(100)에 과전하기 위한 플러그인 부싱(1)의 장착 및 해체 작업이 전술한 바와 같이 개선되므로, 작업 효율이 현격히 향상하고, 극히 간단하게 전력용 기기(100)의 내전압 시험을 실시할 수 있다.
[제2의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7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플러그인 부싱의 제2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동 도면에 있어서, 도 3, 도 4 및 도 6과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설명의 편의상, 플러그인 부싱(5)에 있어서, 플랜지부(522)를 경계로 전력용 기기(100)의 케이블 헤드(2)에 장착하는 측을 '종단 접속측'이라 하고, 전압을 인가하는 측을 '기중측'이라 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케이블 헤드(2)에 삽입하는 측(도 7에서는 아래쪽)을 '선단측', 반대측(도 7에서는 윗쪽)을 '후단측'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것처럼, 플러그인 부싱(5)은, 내부 도체(11), 에폭시 부싱(52), 제1 절연 보강부(53), 제2 절연 보강부(14), 압축 장치(15), 도체 플러그(16) 등을 구비한다.
에폭시 부싱(52)은, 에폭시 수지로 구성되어, 양단으로부터 내부 도체(11)가 노출되도록, 내부 도체(11), 에폭시 부싱(52) 및 차폐 금구(532)는 몰드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에폭시 부싱(52)의 종단 접속측과 기중측 사이에는, 종단 접속측 및 기중측보다 외경이 큰 플랜지부(522)가 형성된다. 또, 차폐 금구(532)는 플랜지부(522)의 외주면에 위치하고, 후단측(기중측)은 에폭시 부싱(52)에 매설된다. 에폭시 부싱(52)의 기중측의 외주면에 제1 절연 보강부(53)가 몰드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종단 접속측의 외주면에 제2 절연 보강부(14)가 형성된다.
또, 에폭시 부싱(52)에서, 제1 절연 보강부(53)의 선단부(53a)(차폐 금구(532)의 선단면)로부터 제2 절연 보강부(14)의 후단부(14a)에 걸친 외주면에는, 예를 들면 도전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도전층(521)이 형성된다. 또한,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전층(521)을 나타내는 점선을, 에폭시 부싱(52)의 외주선보다 안쪽에 도시하고 있다. 도전층(521)을 접지 전위로 함으로써 에폭시 부싱(52)의 차폐층이 형성된다.
이 도전층(521)의 기중측의 단부는, 제1 절연 보강부(53)의 차폐 금구(532)의 선단면과 접촉한다. 차폐 금구(532)의 후단측(통 형상부(532a))에는 전계 완화 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에, 도전층(521)의 기중측의 단부에서의 전계 집중이 완화된다. 또, 도전층(521)의 종단 접속측의 단부는 제2 절연 보강부(14)의 도전부(142)와 접촉하고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테이퍼부를 형성한다. 이 경사에 의해, 도전층(121)의 종단 접속측의 단부에 집중하는 전계가 완화된다.
제1 절연 보강부(53)는, 에폭시 부싱(52)의 기중측의 외주면에 몰드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플러그인 부싱(5)의 기중측에서 폴리머 투관(套管)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절연 보강부(53)는, 폴리머 피복체(531)와 차폐 금구(532)를 구비한다. 폴리머 피복체(531)는 실리콘 고무 등의 고분자 절연 재료로 구성된다. 차폐 금구(532)는, 절연성 고무 재료에 카본 블랙 등을 혼입하여 도전성을 부여한 도전성 고무 재료로 구성된다. 이 차폐 금구(532)가 제1 절연 보강부(53)의 전계 완화부가 된다.
폴리머 피복체(531)는, 에폭시 부싱(52)의 기중측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그 외주에는 복수개의 벽부가 폴리머 피복체(5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띄우고 형성되어 있다.
차폐 금구(532)는, 에폭시 부싱(52)의 기중측의 선단측에 내부 도체(11)와 동심으로 매설된 통 형상부(532a)와, 통 형상부(532a)의 선단측에 연장 설치되고 후단면이 폴리머 피복체(531)의 선단부와 당접하는 중간부(532b)와, 중간부(532b)의 선단측에 연장 설치되고 에폭시 부싱(52)의 플랜지부(522)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금속 플랜지부(532c)를 구비한다.
차폐 금구(532)의 후단부(통 형상부(532a)의 후단부)는 단면 원호상이기 때문에, 차폐 금구(532)는 전계 완화 구조를 가지며 에폭시 부싱(52)의 기중측의 전계를 완화한다.
압축 장치(15)는, 누름쇠(151), 스프링(152) 및 누름쇠 플랜지(153) 등을 구비한다. 압축 장치(15)는 차폐 금구(532)에 의해 에폭시 부싱(52)에 고정된다.
누름쇠 플랜지(153)의 후단부 내측에는, 스프링(152)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돌출부(153a)가 형성된다. 누름쇠 플랜지(153)의 후단부 외측에는 볼트(45)를 조여주기 위한 복수의 나사구멍(153b)이 동일 원주상에 형성된다. 또, 누름쇠 플랜지(153)의 선단부에는, 볼트(42)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삽입공(153c)이 동일 원주상에 형성된다.
또한, 볼트(42)와 볼트(45)의 원주상의 위치는 간섭하지 않도록 어긋난 위치로 된다. 또, 차폐 금구(532)의 금속 플랜지부(532c)의 볼트(4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볼트(42)를 케이블 헤드(2)에 장착시킬 수 있도록 노치 부분(도시 생략)이 마련된다. 차폐 금구(532)의 금속 플랜지부(532c)의 선단면에는 볼트(45)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삽입공이 동일 원주상에 형성된다.
볼트(45)를 차폐 금구(532)의 금속 플랜지부(532c)의 삽입공에 삽입하고 누름쇠 플랜지(153)의 나사 구멍(153b)에 조여줌으로써, 누름쇠 플랜지(153)가 차폐 금구(532)에 고정된다. 압축 장치(15)는 스프링(152)을 지지한 상태에서 에폭시 부싱(52)에 고정되게 된다.
플러그인 부싱(5)의 종단 접속측의 그밖의 구성 및 케이블 헤드(2)로의 장착 방법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의 플러그인 부싱(1)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의 플러그인 부싱(5)과 제1 실시형태의 플러그인 부싱(1)의 종단 접속측의 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제2 실시형태의 플러그인 부싱(5)의 기중측의 구조에 수반하는 효과 및 내전압 시험 방법으로서의 효과는, 제1 실시형태의 플러그인 부싱(1)과 동일하다. 플러그인 부싱(5)의 기중측은 몰드에 의해 일체 성형하고 있으므로, 플러그인 부싱(1)의 기중측의 절연 성능에 비해 보다 안정된 기중측의 전기 특성이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된 발명을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플러그인 부싱(1),(5)은, 내전압 시험시뿐만 아니라, 전력용 기기(100)에 상시 과전하는 부싱으로서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플러그인 부싱(1),(5)의 후단(기중측)에는, 가공선, 인입선 등이 접속된다. 플러그인 부싱(1)의 경우는, 특히 옥내에 설치되는 전력용 기기(100)로의 과전에 이용할 경우에, 자외선에 의해 고무제의 제1 절연 보강부(13)가 열화되는 일도 없기 때문에 매우 적합하다. 또, 플러그인 부싱(5)의 경우는 기중측에서 폴리머 투관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플러그인 부싱(1)에 비해 상시 과전하는 부싱으로서 매우 적합하다.
이상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여겨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는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5 플러그인 부싱
2 케이블 헤드
3 충전부
11 내부 도체
12, 52 에폭시 부싱
13, 53 제1 절연 보강부
14 제2 절연 보강부
15 압축 장치
16 도체 플러그
17 제2 절연체
18 제1 절연체
19 절연성 스톱퍼
21 기기측 부싱
22 기기측 도체
23 링상 접촉자
41 고정쇠
42 볼트
43 볼트
44 매립 금구
45 볼트
100 전력용 기기
100A 기기 수용부
100B 엘레펀트부
101 접지용기
121, 521 도전층
122, 522 플랜지부
131 절연부
132 전극
141 절연 고무부
142 도전부
151 누름쇠
152 스프링
153 누름쇠 플랜지
531 폴리머 피복체
532 차폐 금구

Claims (10)

  1. 전력 케이블 단말을 플러그인 타입으로 접속할 수 있는 케이블 헤드를 구비한 전력용 기기에 과전하기 위한 플러그인 부싱으로서,
    봉상의 내부 도체와,
    상기 내부 도체의 외주면에, 상기 내부 도체의 양단이 노출하도록 형성되는 에폭시 부싱과,
    상기 에폭시 부싱의 기중측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절연 보강부와,
    상기 에폭시 부싱의 종단 접속측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2 절연 보강부와,
    상기 제2 절연 보강부를 상기 케이블 헤드에 대해서 가압하는 압축 장치와,
    상기 내부 도체의 종단 접속측의 선단에 접속되어, 상기 내부 도체와 상기 케이블 헤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도체 플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절연 보강부는 절연부와 전계 완화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절연 보강부는 절연 고무부와 도전부를 가지고,
    상기 전계 완화부와 상기 도전부는, 각각 상기 에폭시 부싱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부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보강부가 고무제 콘덴서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부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 보강부의 상기 절연부는 폴리머 피복체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절연 보강부의 상기 전계 완화부는 차폐 금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부싱.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헤드는, 상기 플러그인 부싱의 종단 접속측을 삽입할 수 있는 기기측 부싱과, 상기 도체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기측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도체 플러그는, 상기 기기측 도체에 접속되는 소경부와, 상기 내부 도체에 접속되는 대경부를 가지고,
    상기 소경부가 연장 설치되는 부위의 상기 대경부의 선단면에, 제1 절연체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부싱.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헤드는, 상기 플러그인 부싱의 종단 접속측을 삽입할 수 있는 기기측 부싱과, 상기 도체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기측 도체와, 일단이 상기 기기측 도체에 걸리고 타단이 상기 도체 플러그에 걸리지 않고 접속되는 링상 접촉자를 구비하고,
    상기 도체 플러그의 선단에는 제2 절연체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부싱.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헤드는, 상기 플러그인 부싱의 종단 접속측을 삽입할 수 있는 기기측 부싱과, 상기 도체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기측 도체와, 일단이 상기 기기측 도체에 걸리고 타단이 상기 도체 플러그에 걸리지 않고 접속되는 링상 접촉자를 구비하고,
    상기 도체 플러그의 선단에는 제2 절연체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부싱.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러그인 부싱을 상기 케이블 헤드에 부착하여, 상기 전력용 기기에 과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기기의 내전압 시험 방법.
  8. 제4항에 기재된 플러그인 부싱을 상기 케이블 헤드에 부착하여, 상기 전력용 기기에 과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기기의 내전압 시험 방법.
  9. 제5항에 기재된 플러그인 부싱을 상기 기기측 도체에 닿는 위치까지 삽입하여 상기 케이블 헤드에 부착하고, 상기 전력용 기기에 과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기기의 내전압 시험 방법.
  10. 제6항에 기재된 플러그인 부싱을 상기 기기측 도체에 닿는 위치까지 삽입하여 상기 케이블 헤드에 부착하고, 상기 전력용 기기에 과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기기의 내전압 시험 방법.
KR1020120092442A 2011-08-26 2012-08-23 플러그인 부싱 및 내전압 시험 방법 KR101915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84756A JP5414754B2 (ja) 2011-08-26 2011-08-26 プラグインブッシング及び耐電圧試験方法
JPJP-P-2011-184756 2011-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130A true KR20130023130A (ko) 2013-03-07
KR101915323B1 KR101915323B1 (ko) 2018-11-05

Family

ID=48010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442A KR101915323B1 (ko) 2011-08-26 2012-08-23 플러그인 부싱 및 내전압 시험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414754B2 (ko)
KR (1) KR1019153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40663A1 (en) * 2013-08-23 2015-02-25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Connector apparatus for measuring cable degradation
KR20200114712A (ko) 2019-03-29 2020-10-07 대한전선 주식회사 건식 플러그-인 부싱, 그 제조방법 및 이와 같은 부싱을 포함하는 고전압 설비
KR20200114713A (ko) 2019-03-29 2020-10-07 대한전선 주식회사 고전압 설비용 건식 플러그-인 부싱
US11215251B2 (en) 2018-12-14 2022-01-04 Hyundai Motor Company Brake dis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0744B (zh) * 2013-05-09 2015-08-19 国家电网公司 一种用于狭窄地的35kV中压电缆临时接线方法
CN107274981B (zh) * 2017-07-07 2023-07-11 长园电力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电缆附件试验的仿真电缆及电缆附件的检测方法
CN112993769B (zh) * 2021-04-13 2023-03-17 青岛美莱轨道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力配电柜的线缆快速安装检测装置
JP7173388B1 (ja) 2021-09-14 2022-11-16 日立金属株式会社 碍管ユニッ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4332A (ja) * 1997-08-07 1999-02-26 Toshiba Henden Kiki Technol Kk ブッシング
JP2008220124A (ja) * 2007-03-07 2008-09-18 Swcc Showa Cable Systems Co Ltd ケーブル終端接続部
JP2011087447A (ja) * 2009-10-19 2011-04-28 Toshiba Corp 架空線取合いブッシン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032Y2 (ja) * 1988-04-27 1994-07-06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架橋ポリエチレン電力ケーブルの接続端末構造
JP3032462B2 (ja) * 1996-03-08 2000-04-17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高圧ケ−ブルの機器への接続構造
JP2003189453A (ja) * 2001-12-13 2003-07-04 Hitachi Cable Ltd 電力ケーブル終端接続部の組み立て方法
JP2003272760A (ja) * 2002-03-19 2003-09-26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ケーブル接続部及び絶縁栓
KR100905020B1 (ko) * 2007-08-07 2009-06-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스위치기어의 모선연결장치 및 그의 모선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4332A (ja) * 1997-08-07 1999-02-26 Toshiba Henden Kiki Technol Kk ブッシング
JP2008220124A (ja) * 2007-03-07 2008-09-18 Swcc Showa Cable Systems Co Ltd ケーブル終端接続部
JP2011087447A (ja) * 2009-10-19 2011-04-28 Toshiba Corp 架空線取合いブッシン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40663A1 (en) * 2013-08-23 2015-02-25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Connector apparatus for measuring cable degradation
US11215251B2 (en) 2018-12-14 2022-01-04 Hyundai Motor Company Brake dis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114712A (ko) 2019-03-29 2020-10-07 대한전선 주식회사 건식 플러그-인 부싱, 그 제조방법 및 이와 같은 부싱을 포함하는 고전압 설비
KR20200114713A (ko) 2019-03-29 2020-10-07 대한전선 주식회사 고전압 설비용 건식 플러그-인 부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14754B2 (ja) 2014-02-12
JP2013046549A (ja) 2013-03-04
KR101915323B1 (ko)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3130A (ko) 플러그인 부싱 및 내전압 시험 방법
US8759683B2 (en) Spark-over prevention device for high-voltage bushing
CN207366687U (zh) 一种电缆t型头现场耐压检测装置
CN210575709U (zh) 一种38kV户外用固封极柱
KR100980568B1 (ko) 폴리머 부싱 및 그 폴리머 부싱을 이용한 케이블 종단 접속기
CN102388514B (zh) 连接气体绝缘开关柜与空气绝缘开关柜的套管
JP5555365B2 (ja) プラグインブッシング及び耐電圧試験方法
CN103399179A (zh) 盆式绝缘子中均压屏蔽环超高频信号引出装置
CN103743978B (zh) 一种充气式开关柜用的多功能测试装置
CN106054044B (zh) 充气柜用绝缘试验装置
US3466593A (en) Termination
KR101650306B1 (ko) 계기용 변압 변류기용 부싱
CN207303817U (zh) 复合绝缘开关柜
JP2013078209A (ja) 気中終端用ポリマー套管及びケーブル終端接続部
JP3349275B2 (ja) ケーブルヘッド用エレファント部
CN101789292A (zh) 一种组合电器出线套管
CN201601012U (zh) 一种gis用电压互感器
CN101465522B (zh) 矩形母线与屏蔽罩连接的弹性卡件及母线绝缘套管组件
KR101649863B1 (ko) 에폭시몰드 캐니스터 퓨즈홀더
JP5097248B2 (ja) ケーブル終端接続部
AU2011203124B2 (en) Device for electric connection of a conductor such as that of an electric bushing belonging to the insulating enclosure of an electric switchgear apparatus to a conductor such as a cable
JP5878099B2 (ja) 電力用同軸ケーブルの端末接続部
CN219811667U (zh) 一种绝缘导线穿刺接地线装置
KR101283642B1 (ko) 절연 리드선이 부착된 피뢰기 일체형 컷 아웃 스위치
CN209150668U (zh) 33kvct套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