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2988A - 벽면 마감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벽면 마감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2988A
KR20130022988A KR1020110086098A KR20110086098A KR20130022988A KR 20130022988 A KR20130022988 A KR 20130022988A KR 1020110086098 A KR1020110086098 A KR 1020110086098A KR 20110086098 A KR20110086098 A KR 20110086098A KR 20130022988 A KR20130022988 A KR 20130022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nel
unit
wall
wall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준호
Original Assignee
도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준호 filed Critical 도준호
Priority to KR1020110086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2988A/ko
Publication of KR20130022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3Joint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13Compressable seals of hollow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in several directions one of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Hooking means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마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위 패널들이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패널부, 이웃하는 상기 단위 패널들을 연결하는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 이웃하는 상기 단위 패널들 사이에 위치한 줄눈부, 상기 패널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제1 테두리 프레임, 상기 패널부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제2 테두리 프레임, 그리고 상기 패널부의 좌측 및 우측 테두리를 따라 각각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제3 테두리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벽면 마감 장치 및 그 시공 방법{wall finishing device and its constructing method}
본 발명은 벽면 마감 장치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부 벽면에 외장 패널들을 설치하여 외부 벽면을 마감 처리한다.
이러한 외장 패널들은 외부 벽면에 배열되고, 브래킷으로 벽면에 고정되어 있다. 외부 벽면에 배열되는 외장 패널들은 브래킷의 설치의 편의성, 외장 패널의 수축 및 팽창을 대비하여 이웃하는 외장 패널들은 소정 간격으로 떨어져 배열된다.
외장 패널이 간격을 두고 떨어져 형성된 틈새로 빗물 따위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틈새에 실리콘 따위를 도포한다.
상기 실리콘을 도포함에 있어, 먼저 외장 패널을 벽면에 설치한 뒤 그 틈새에 실리콘을 도포 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 증가와 더불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 되었다. 특히 좁은 틈새에 실리콘을 직접 도포해야 하므로 실리콘 도포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없었다.
특히, 실리콘이 손상된 경우, 틈새에 도포된 실리콘을 긁어 낸 다음 새로운 실리콘을 도포해야 하므로 실리콘의 유지보수에 따른 어려움이 있다.
또한, 실리콘은 시공 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실리콘 위에는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쌓이게 되었다. 오염물질들은 실리콘의 화학성분과 혼합되어 비가 내리게 되면 빗물에 의해 외장 패널의 외부면을 따라 흘러 내리다가 굳어 버리게 되면서 건물의 외관이 매우 불량하게 된다.
(특허 문헌1)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8794호 (외장패널 연결방법) 2010.09.10. (특허 문헌2)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4697호 (건축 외장재 고정 장치, 간격 조절 부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2011.07.26. (특허 문헌3)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7578호 (건물 외벽용 복층유리의 고정부재와 설치 구조) 2002.02.27. (특허 문헌4)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5354호 (건축물 외벽 마감판넬 연결 구조) 2004.06.28. (특허 문헌5)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4132호 (건축용 장식판넬의 고정부재) 2002.01.30. (특허 문헌6) 공개특허공보 제10-1989-0000746호 (타일이 붙어있는 구조체) 1989.03.16.
본 발명은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고 방수처리 가능한 벽면 마감 장치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시공성 및 공사 기간을 단축하는 벽면 마감 장치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장치는, 단위 패널들이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패널부, 이웃하는 상기 단위 패널들을 연결하는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 이웃하는 상기 단위 패널들 사이에 위치한 줄눈부, 상기 패널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제1 테두리 프레임, 상기 패널부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제2 테두리 프레임, 그리고 상기 패널부의 좌측 및 우측 테두리를 따라 각각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제3 테두리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벽면 마감 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의 연결로 상기 패널부의 일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 단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면 마감 장치는, 상기 패널부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의 일측이 분리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되어 있는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면 마감 장치는, 일측이 상기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타측이 벽면에 설치된 형강에 고정될 수 있는 패널부 설치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면 마감 장치는, 상기 벽면 마감 장치는 벽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연달아 배치될 수 있고, 연달아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벽면 마감 장치의 제1 테두리 프레임과 상기 제2 테두리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 패킹 및 연달아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벽면 마감 장치의 제3 테두리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테두리 프레임과 상기 제2 테두리 프레임은 서로 마주하며, 상기 제1 테두리 프레임과 마주하는 상기 제2 테두리 프레임의 일면에 상기 수평 패킹의 적어도 일부분이 끼움 결합되는 수평 패킹 끼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패킹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기 수평 패킹 끼움 홈에 끼움 결합된 수평 제1 부분 및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기 수평 제1 부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테두리 프레임에 접촉되어 눌릴 수 있는 수평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테두리 프레임과 마주하는 상기 제1 테두리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수평 패킹 끼움 홈에 삽입되는 끼움 바가 형성될 수 있다.
좌우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3 테두리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수직 패킹의 적어도 일부분이 끼움 결합되는 수직 패킹 끼움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패킹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이웃하는 상기 제3 테두리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눌릴 수 있는 수직 제1 부분 및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기 제1 부분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 패킹 끼움 홈에 끼움 결합된 수직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제1 부분은, 상기 수직 제2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눌림부 및 상기 한 쌍의 눌림부 사이에 위치하여 구부러져 있으며, 양단부가 상기 눌림부에 결합되어 상기 마주하는 눌림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면 마감 장치는, 이웃하는 상기 벽면 마감 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양단부가 상기 제1 테두리 프레임에 걸쳐 있는 빗물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에는 제1 줄눈 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과 마주하는 상기 줄눈부 일측에는 상기 제1 줄눈 결합 홈에 분리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은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장치는, 벽면에 설치된 형강에 고정되는 것으로, 단위 패널들이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패널부, 이웃하는 상기 단위 패널들을 연결하는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 이웃하는 상기 단위 패널들 사이에 위치한 줄눈부, 일측이 상기 패널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형강에 고정될 수 있는 제1 테두리 프레임, 일측이 상기 패널부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형강에 고정될 수 있는 제2 테두리 프레임, 일측이 상기 패널부의 좌측 및 우측 테두리를 따라 각각 배치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형강에 고정될 수 있는 제3 테두리 프레임, 그리고 일측이 상기 단위 패널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형강에 고정될 수 있는 패널부 설치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면 마감 장치는, 상기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에 의해 상기 패널부의 일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 단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부 설치 브래킷은, 상기 단위 패널 일면에 고정되어 있고 체결 홀이 형성된 고정 부재, 일측이 상기 고정 부재에 접해 있고 타측이 상기 형강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 앵글, 그리고 상기 고정 앵글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 홀에 체결된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면 마감 장치는, 상기 벽면 마감 장치는 벽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연달아 배치될 수 있고, 연달아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벽면 마감 장치의 제1 테두리 프레임과 상기 제2 테두리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 패킹 및 연달아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벽면 마감 장치의 제3 테두리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장치 시공 방법은, 단위 패널들을 연결하여 패널 유닛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널 유닛을 벽면을 따라 연달아 배치하고 연달에 배치된 상기 패널 유닛을 패널부 설치 브래킷으로 벽면에 설치된 형강에 고정하는 단계, 연달아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패널 유닛 사이에 수평 패킹을 결합하는 단계, 그리고 연달아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패널 유닛 사이에 수직 패킹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 유닛 형성 단계는, 단위 패널들을 간격을 두고 배열하고,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으로 이웃하는 상기 단위 패널들을 연결하여 패널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위 패널들 사이에 줄눈부를 배치하고, 상기 줄눈부의 일측을 상기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 상기 패널부 테두리를 따라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패널부 설치 브래킷을 설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에 의해 상기 패널부의 일면에 형성된 공간에 단열 부재를 배치하여 패널 유닛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 전에 상기 패널부의 테두리를 따라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을 상기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수평 패킹 결합 단계에서, 상기 수평 패킹은 연달아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패널 유닛의 제1 테두리 프레임과 상기 제2 테두리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테두리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수직 패킹 결합 단계에서, 상기 수직 패킹은 연달아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벽면 마감 장치의 제3 테두리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이 상기 제3 테두리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벽면 마감 장치는 단위 패널들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줄눈부와 배열된 벽면 마감 장치들 사이에 끼움 결합된 수직 패킹과 수평 패킹에 의하여 기밀성이 유지되어 벽면 내부로 빗물 따위가 유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줄눈부, 수직 패킹 그리고 수평 패킹을 끼움 결합함으로써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분리가 쉬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부를 벽면에 설치된 형강에 연결하는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이 절연체로 형성되어 패널부에서 발생한 열이 건물로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건물의 열이 패널부로 전달되지 않아 단열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패널들이 연결된 벽면 마감 장치를 생산 공장에서 조립 한 뒤 현장에서 시공하므로, 패널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사 기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장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장치가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벽면 마감 장치들 중 어느 하나를 확대한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IV-IV선을 따라 벽면 마감 장치를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V-V선을 따라 벽면 마감 장치를 자른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A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4에 도시한 B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5에 도시한 C부분 확대도.
도 9는 도 3에 도시한 D부분 확대도.
도 10은 도 5에 도시한 위치 E부분 확대로 위치 조절 장치가 승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위치 조절 장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위치 조절 장치 조립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위치 조절 장치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벽면 마감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6은 도 14에 도시한 F부분 확대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G부분 확대도.
도 18은 도 15에 도시한 H부분 확대도.
도 19는 도 14에 도시한 I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장치는 단위 패널들을 간격을 두고 배열하고, 배열되어 서로 이웃한 단위 패널들을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으로 연결하여 패널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단위 패널들 사이에 줄눈부를 배치하고, 줄눈부의 일측을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패널부 테두리를 따라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을 설치한다. 패널부 설치 브래킷을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에 의해 패널부의 일면에 형성된 공간에 단열 부재를 배치하여 패널 유닛을 완성한다.
한편,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을 배치하기 전에 패널부의 테두리를 따라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을 설치하고,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을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에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패널 유닛은 생산 공장에서 조립이 완료된 뒤 시공 현장으로 운반된다.
시공 현장으로 패널 유닛이 운반되면 패널 유닛을 건물의 외벽면 또는 내벽면을 따라 연달아 배치하고 연달에 배치된 패널 유닛을 패널부 설치 브래킷으로 벽면에 설치된 형강에 견고히 고정하여 시공한다.
그리고 연달아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패널 유닛 사이에 수평 패킹 결합한다. 또한, 연달아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는 패널 유닛 사이에 수직 패킹을 결합한다.
수평 패킹은 연달아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패널 유닛의 제1 테두리 프레임과 제2 테두리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제2 테두리 프레임에 고정된다. 수직 패킹은 연달아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는 벽면 마감 장치의 제3 테두리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이 제3 테두리 프레임에 고정한다.
아울러, 수직 패킹과 수평 패킹의 경우, 시공 현장에서 설치하지 않고 생산 공장에서 패널 유닛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벽면 마감 장치를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는 패널부(110), 줄눈부(120),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130), (140), (150), 패널부 설치 브래킷(160), 그리고 단열 부재(11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는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된다. 하나의 유닛은 벽면에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배열되어 벽면을 장식한다. 그리고 이웃하는 유닛 사이에는 수직 패킹(180) 및 수평 패킹(170)이 배치되어 있다.
패널부(110)는 벽면을 보호하고, 건물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112),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113), 그리고 단열 부재(114)를 포함한다.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은 기설정된 넓이와 두께를 가지며, 정면에서 본 모양은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은 정사각 또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을 정면에서 본 모양이 사각형이 아닐 수도 있다.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은 금속, 석재, 목재, 유리, 합성수지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은 간격을 두고 사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배열된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은 시공의 편의를 위해 4개 1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 발명은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의 배열된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설치 조건에 따라 그 개수는 달라진다.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112)은 배열되어 이웃한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들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의 배면에 위치하여 일측과 타측이 이웃한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의 테두리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112)은 접착제로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에 결합되어 있다. 접착제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과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져 있다. 접착제가 소정의 두께를 가지므로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112)이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이에 따라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의 열이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112)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112)의 일측과 타측 끝은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의 배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구부려져 있다. 구부러진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112)의 일측과 타측 끝은 서로 마주하며, 마주하는 일측과 타측 끝은 다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에 따라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112)의 일측과 타측 끝에는 제1 결합부(112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112)의 가운데 부분은 이웃한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의 사이에 위치하며 그 부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줄눈 결합 홈(112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112)은 알루미늄 따위로 이루어져 압출 성형될 수 있다.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113)은 다수개가 배열되어 한 조를 이루는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11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따위로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에 결합되어 있다.
접착제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과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져 있다. 접착제가 소정의 두께를 가지므로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113)은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이에 따라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의 열이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113)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113)의 일측과 타측 끝은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의 배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구부러져 있다. 구부러진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113)의 일측과 타측 끝은 타측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에 따라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113)의 일측과 타측 끝에는 제2 결합부(11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113)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줄눈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줄눈부(120)는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들이 간격 두고 배열되면서 발생한 틈새에 배치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이웃한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들 사이에 위치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눈부(120)는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 사이에 위치하며, 일측이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112)과 마주한다. 줄눈부(120)는 알파벳 에이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112)과 마주하는 줄눈부(120)의 일측에는 제1 줄눈 결합 홈(112b)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 돌기(12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라이드 돌기(121)가 제1 줄눈 결합 홈(112b)에 슬라이드 결합되므로 줄눈부(120)의 분리 결합이 쉽다. 또한, 줄눈부(120)가 형상화 되어 있어 실리콘과 같이 도포 후 건조 시간이 발생하지 않아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들을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줄눈부(120) 결합에 따른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줄눈부(120)의 분리 결합이 쉬어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줄눈부(120)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줄눈부(120)가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 사이에 배치될 때 구겨지면서 눌릴 수 있다. 눌린 줄눈부(120)는 빗물 따위가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들의 배열된 틈새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다.
한편, 줄눈부(120)가 이웃한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 사이에 위치하므로,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의 배열된 모양에 따라 줄눈부(120)의 일부는 서로 접할 수 있다. 서로 접한 줄눈부(120)는 분리되지 않고 접착제 따위로 연결되어 있어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줄눈부(120)는 이웃한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들의 사이로 빗물 따위가 유입되지 않도록 기밀성을 유지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 테두리 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테두리 프레임(130)은 패널부(110)의 배면 상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113)에 접해 있다.
제1 테두리 프레임(130)의 일측에는 제2 결합부(113a)와 결합되는 제1 결합 홈(13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 홈(131)에 의하여 제1 테두리 프레임(130)은 패널부(110)의 상부 가장자리에 배치된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113)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드 결합된 제1 테두리 프레임(130)은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113)에서 분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테두리 프레임(130)의 일측 적어도 일부분은 패널부(110)의 상면을 덮고 있다.
아울러, 제1 테두리 프레임(130)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테두리 프레임(130)의 상면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유로()로 유입되어 배수될 수 있다.
한편, 제1 테두리 프레임(130)의 타측은 패널부(110)의 배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테두리 프레임(130)의 타측 일면에는 수직하게 돌출된 끼움 고정바(132)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2 테두리 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테두리 프레임(140)은 패널부(110)의 배면 하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113)에 접해 있다.
제2 테두리 프레임(140)의 일측에는 제2 결합부(113a)와 결합되는 제2 결합 홈(14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 홈(131)에 의하여 제2 테두리 프레임(140)은 패널부(110)의 하부 가장자리에 배치된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113)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드 결합된 제2 테두리 프레임(140)은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113)에서 분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테두리 프레임(140)의 일측 적어도 일부분은 패널부(110)의 저면을 덮고 있다.
제2 테두리 프레임(140)의 타측은 패널부(110)의 배면을 향해 복수 구부러져 수평 패킹 끼움 홈(142)이 형성되고, 복수 구부러진 제2 테두리 프레임(140)의 끝은 다시 패널부(110)의 배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제2 테두리 프레임(140)의 타측은 제1 테두리 프레임(130)의 타측과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제2 테두리 프레임(140)에는 수평 패킹(170)이 결합되어 있다. 수평 패킹(170)은 수평 제1 부분(171) 및 수평 제2 부분(172)을 포함한다.
수평 제1 부분(171)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수평 패킹 끼움 홈(142)에 끼움 결합되어 있다. 수평 제1 부분(171)을 정면에서 본 모양은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수평 제2 부분(172)은 수평 제1 부분(171)과 연결되어 있고 내부가 비어 있다. 수평 제2 부분(172)은 수평 패킹 끼움 홈(142) 외부에 위치한다. 수평 제2 부분(172)은 외력에 의하여 눌릴 수 있다. 수평 제2 부분(172)을 정면에서 본 모양은 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평 패킹(170)은 고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3 테두리 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테두리 프레임(15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패널부(110)의 배면 좌우 양측 테두리를 따라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3 테두리 프레임(15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113)에 접해 있다.
제3 테두리 프레임(150)의 일측에는 제2 결합부(113a)와 결합되는 제3 결합 홈(151)이 형성되어 있다. 제3 결합 홈(151)에 의하여 제3 테두리 프레임(150)은 패널부(110)의 좌 및 우측 테두리에 배치된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113)에 분리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드 결합된 제3 테두리 프레임(150)은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113)에서 분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3 테두리 프레임(150)의 일측 적어도 일부분은 패널부(110)의 좌우 측면을 덮고 있다.
제3 테두리 프레임(150)의 타측은 패널부(110)의 배면을 향해 복수 구부러져 수직 패킹 끼움 홈(152)이 형성되고, 복수 구부러진 제3 테두리 프레임(150)의 끝은 다시 패널부(110)의 배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제3 테두리 프레임(150)에는 수직 패킹(180)이 결합되어 있다. 수직 패킹(180)은 수직 제1 부분(181) 및 수직 제2 부분(182)을 포함한다.
수직 제1 부분(181)은 제3 테두리 프레임(150)의 외측에 위치하며 내부가 비어 있다. 수직 제1 부분(181)은 외력이 가해지면 눌릴 수 있다.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수직 제1 부분(181)이 자연스럽게 눌릴 수 있도록 수직 제1 부분(181)은 한 쌍의 눌림부(181a) 및 한 쌍의 연결부(181b)로 이루어져 있다.
한 쌍의 눌림부(181a)는 반 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한 쌍의 연결부(181b)는 한 쌍의 눌림부(181a) 사이에 위치하며 알파벳 유 형태로 구부러져 있다. 구부러진 눌림부(181a)의 양단부는 한 쌍의 눌림부(181a)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한 쌍의 연결부(181b)는 한 쌍의 눌림부(181a)를 완충 지지할 수도 있다.
수직 제2 부분(182)은 수직 제1 부분(181)의 양측에 위치하며 내부가 비어 있다. 수직 제2 부분(182)은 제3 테두리 프레임(150)의 수직 패킹 끼움 홈(152)에 끼움 결합되어 있다. 수직 제2 부분(182)을 정면에서 본 모양은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수직 패킹(180)은 고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130), (140), (150)은 열이나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의 열이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130), (140), (150)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의 열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130), (140), (150)은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113)에 연결되지 않고 패널부(110)의 테두리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130), (140), (150)은 접착제 따위로 패널부(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 설치 브래킷에 대하여 설명한다.
패널부 설치 브래킷(160)은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112)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패널부 설치 브래킷(160)의 일측은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112)의 제1 결합부(112a)에 접해 있으며, 접한 부분에는 제4 결합 홈(161)이 형성되어 있다. 제4 결합 홈(161)에 의하여 패널부 설치 브래킷(160)은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112)에 분리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패널부 설치 브래킷(160)은 알루미늄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열 부재(114)는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130), (140), (150)의 연결로 패널부(110)의 일면에 형성된 공간에 형성되어 있다. 단열 부재(114)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발포시킨 상태에서 고화 시킨 우레탄 폼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단열 부재(114)는 내열성, 내용제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유닛으로 이루어져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형강(20)에 간격을 두고 연달아 배치될 수 있다. 형강(20)은 벽면에 매설된 지지 장치(10)에 의하여 벽면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형강(20)은 벽면에 설치되지 않고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 장치(10)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를 상하 방향으로 연달아 배치할 때 흔들지 않고 형강(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벽면에 수직하게 배열된 형강(20)에는 흔들림 방지 부재(21)가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흔들림 방지 부재(21)는 홀(22a)이 형성된 플레이트(22)와 홀(22a)에 삽입되는 샤프트(23)를 포함한다.
플레이트(22)는 하부측에 배치된 벽면 마감 장치(100c)에 연결된 형강 내부에 결합되어 있고, 샤프트(23)는 상부측에 배치된 벽면 마감 장치(100a)가 연결된 형강 내부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벽면 마감 장치들이 배치될 때 샤프트(23)이 홀(22a)에 삽입되므로 벽면 마감 장치의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는다.
벽면에 연달아 배치되는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는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130), (140), (150)과 패널부 설치 브래킷(160)의 타측이 형강(20)에 고정된다. 이때 제1 테두리 프레임(130)과 제2 테두리 프레임(140)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형강(20)에 고정되고, 제3 테두리 프레임(150)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형강(20)에 고정된다. 그리고 패널부 설치 브래킷(160)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모든 형강(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130), (140), (150)이 절연체로 형성되고,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112)이 접착제에 의하여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므로 패널부(110)의 열이 벽면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벽면의 열이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부(110)의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가 간격을 두고 배열되면 수직 패킹(180, 도 7 참조)과 수평 패킹(170, 도 8 참조)은 이웃하는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의 사이에 위치하며 눌리게 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리고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를 배열할 때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는 제1 테두리 프레임(130)의 끼움 고정바(132)가 수평 패킹 끼움 홈(14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끼움 고정바(132)는 수평 패킹 끼움 홈(142)의 일측 내부면에 밀착된다.
연달아 배치된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들의 사이에 수직 패킹(180)과 수평 패킹(170)이 위치하므로 이웃하는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들의 사이에 기밀성이 유지된다. 이에 따라 패널부(110) 외벽을 타고 흐르는 빗물이 벽면으로 스며들지 않는다.
한편,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이웃하는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의 각 모서리부분이 접하는 부분에는 수평 패킹(170)과 수직 패킹(180)이 생략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평 패킹(170)과 수직 패킹(180)이 생략된 부분을 통해 빗물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수평 패킹(170)과 수직 패킹(180)이 생략된 부분에는 빗물 차단 부재(20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빗물 차단 부재(200)의 일부분은 유로(133)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빗물 차단 부재(200)는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빗물 차단 부재(200)는 양단부가 이웃한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의 제1 테두리 프레임(130)에 걸쳐 있다. 빗물 차단 부재(200)는 스테인리스 강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를 형강(20)에 고정하기 전에 위치 조절 장치(190)를 이용하여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의 수직 및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를 참고하여 위치 조절 장치(19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도 5에 도시한 위치 E부분 확대로 위치 조절 장치가 승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위치 조절 장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위치 조절 장치 조립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위치 조절 장치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 장치(190)는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우징(191), 사방 이동 부재(192), 그리고 승강부(193)를 포함한다.
하우징(191)은 벽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매설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191)은 돌출부에 매설되지 않고 벽면에 직접 매설될 수도 있다. 하우징(191)은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가 비어 있으며,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어 있다. 하우징(191)의 개방된 전면은 형강(20)에 고정되는 패널부(110)와 마주한다. 그리고 하우징(191)의 개방된 상면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덮개(191b)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191b)는 볼트 따위의 체결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191)의 내부 바닥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 홈(191a)이 형성되어 있다.
사방 이동 부재(192)는 하우징(191)의 내부에 위치하여 바닥면에 놓여 있다. 사방 이동 부재(192)는 하부 몸체(192a) 및 상부 몸체(192d)를 포함한다.
하부 몸체(192a)는 하우징(191) 내부에 위치하여 저면이 하우징(191)의 내부 바닥면에 밀착되어 있다. 하부 몸체(192a)의 양측에는 폭 방향을 따라 체결 홀(192b)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 홈(191a)은 하부 몸체(192a)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체결 홀(192b)은 하우징(191)의 레일 홈(191a)과 교차된다.
한편, 레일 홈(191a)에 머리부가 결합된 볼트가 체결 홀(192b)을 관통한다. 하부 몸체(192a)의 상면에는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가 배치되어 있다. 너트를 볼트에 헐겁게 체결하면 하부 몸체(192a)는 하우징(19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볼트의 머리부는 레일 홈(191a)에 가이드 되어 이동한다. 그리고 볼트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하부 몸체(192a)는 체결 홀(192b)의 범위 내에서 폭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하부 몸체(192a)의 가운데 부분에는 상하 관통된 고정 홀(192c)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몸체(192d)는 하부 몸체(192a)의 상면에 놓여 있다. 이때 상부 몸체(192d)는 하부 몸체(192a)에 용접 따위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몸체(192d)의 가운데 부분에는 고정 홀(192c)과 연통되는 관통 홀(192e)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홀(192e)의 직경은 고정 홀(192c)의 직경보다 작다.
승강부(193)는 일측이 사방 이동 부재(192)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패널부(110)에 연결되어 있다. 승강부(193)는 승강 조절 부재(193a) 및 승강 브래킷(193c)을 포함한다.
승강 조절 부재(193a)는 고정 홀(192c)에 머리부가 결합된 볼트로 이루어져 있다. 볼트의 끝은 관통 홀(192e)을 관통하여 상부 몸체(192d)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의 끝단에는 다각 홈(193b)이 형성되어 있다. 다각 홈(193b)에는 육각 렌치와 같은 수 공구(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될 수 있다. 승강 조절 부재(193a)는 고정 홀(192c)에 위치한 상태에서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승강 브래킷(193c)은 일측이 하우징(191)의 개방된 전면을 통하여 하우징(191) 내부에 위치한다. 하우징(191) 내부에 위치한 승강 브래킷(193c)의 일측은 승강 조절 부재(193a)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 브래킷(193c)의 타측은 패널부(110)의 배면에 브래킷 따위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승강 브래킷(193c)의 타측은 패널부(110)의 배면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승강 브래킷(193c)은 승강 조절 부재(193a)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한다.
이에 따라, 사방 이동 부재(192)가 하우징(191)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움직이면 패널부(110)의 수직 상태를 조절하게 되며, 승강 조절 부재(193a)의 회전으로 승강 브래킷(193c)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여 패널부(110)의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조절 장치(190)를 이용하여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의 수직, 수평 상태를 조절한 뒤 형강(20)에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112)과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130), (140), (150)을 고정하여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를 벽면에 설치한다.
이와 같은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는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들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줄눈부(120)와 배열된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들 사이에 끼움 결합된 수직 패킹(180)과 수평 패킹(170)에 의하여 기물성이 유지되어 벽면 내부로 빗물 따위가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이웃하는 단위 패널(111a), (111b), (111c), (111d) 사이에 줄눈부(120)를 끼움 결합되고, 이웃하는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 사이에 수직 패킹(180)과 수평 패킹(170)을 끼움 결합 하므로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분리가 쉬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아울러, 벽면 마감 장치(100a), (100b), (100c), (100d)를 생산 공장에서 조립한 뒤 시공 현장으로 운반하여 벽면에 설치하면 패널 조립에 따른 시간을 줄일 수 있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벽면 마감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벽면 마감 장치(300a, 300b)의 패널부(310), 줄눈부(320),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350), 패널부 설치 브래킷(360), 그리고 단열 부재(31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벽면 마감 장치(300a, 300b)는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된다. 하나의 유닛은 벽면에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배열되어 벽면을 장식한다. 그리고 이웃하는 유닛 사이에는 수직 패킹(380) 및 수평 패킹(370)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310)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한 패널부(110) 실시예에 대체로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310)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의 패널부(110)의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113)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310)는 단위 패널(311a), (311b),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312), 그리고 단열 부재(313)를 포함한다.
단위 패널(311a), (311b)은 기설정된 넓이와 두께를 가지며, 정면에서 본 모양은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단위 패널(311a), (311b)은 간격을 두고 사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312)은 배열되어 이웃한 단위 패널(311a), (311b)들을 서로 연결한다. 도 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312)은 단위 패널(311a), (311b)의 배면에 배치되어 양단부가 이웃한 단위 패널(311a), (311b)의 테두리에 걸쳐있다. 이때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312)의 양단부는 단위 패널(311a), (311b)의 배면에 접착제 따위로 직접 연결된다.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312)의 가운데 부분은 이웃한 단위 패널(311a), (311b)의 사이에 위치하며 그 부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줄눈 결합 홈(312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줄눈부(320)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의 줄눈부(120)와 기능적으로 동일하나, 모양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줄눈부(320)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패널(311a), (311b)들이 간격 두고 배열되면서 발생한 틈새에 배치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이웃한 단위 패널(311a), (311b)들 사이에 위치한다. 줄눈부(320)는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단위 패널(311a), (311b) 사이에 위치하면서 곡면 형태로 구부러진다.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312)과 마주하는 줄눈부(320)의 일측에는 제2 줄눈 결합 홈(312a)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2 슬라이드 돌기(321)가 형성되어 있다. 줄눈부(320)는 고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테두리 프레임(330)은 도 1 내디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의 제1 테두리 프레임(130)과 기능적으로 동일하나 패널부(310)와 결합되는 구조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테두리 프레임(330)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부(310)의 배면 상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접착제 따위로 패널부(310)의 상부 테두리에 직접 결합되어 있다.
제1 테두리 프레임(330)의 타측은 패널부(310)의 배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테두리 프레임(330)의 타측 일면에는 수직하게 돌출된 끼움 고정바(33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테두리 프레임(340)은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의 제2 테두리 프레임(140)과 기능적으로 동일하나 패널부(310)와 결합되는 구조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테두리 프레임(340)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부(310)의 배면 하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접착제 따위로 패널부(310)의 하부 테두리에 직접 결합되어 있다.
제2 테두리 프레임(340)의 타측은 패널부(310)의 배면을 향해 복수 구부러져 수평 패킹 끼움 홈(341)이 형성되고, 복수 구부러진 제2 테두리 프레임(340)의 끝은 다시 패널부(310)의 배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 패킹 끼움 홈(341)에는 수평 패킹(370)의 일측 적어도 일부분이 끼움 결합되어 있다. 수평 패킹(370)의 타측은 외력에 의하여 눌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수평 패킹(370)은 고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수평 패킹(370)은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의 수평 패킹(170)과 대체로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테두리 프레임(350)은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의 제3 테두리 프레임(150)과 기능적으로 동일하나 패널부(310)와 결합되는 구조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테두리 프레임(350)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패널부(310)의 배면 좌우 양측 테두리를 따라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때 제3 테두리 프레임(350)의 일측이 접착제 따위로 패널부(310)에 직접 결합되어 있다.
제3 테두리 프레임(350)의 타측은 패널부(310)의 배면을 향해 복수 구부러져 수직 패킹 끼움 홈(351)이 형성되고, 복수 구부러진 제3 테두리 프레임(350)의 끝은 다시 패널부(310)의 배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 패킹 끼움 홈(351)에는 수직 패킹(380)의 일측 적어도 일부분이 끼움 결합되어 있다. 수직 패킹 끼움 홈(351)의 타측은 외력에 의하여 눌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수평 패킹(370)은 고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수직 패킹(380)은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의 수직 패킹(180)과 대체로 동일하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350)은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의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130), (140), (150)과 대체로 동일한 열이나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 설치 브래킷에 대하여 설명한다.
패널부 설치 브래킷(360)은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350)과 더불어 패널부(310)를 형강(2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312)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패널부 설치 브래킷(360)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361), 고정 앵글(362), 그리고 체결 부재(363)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361)는 일측이 단위 패널(311a), (311b)의 배면에 적어도 일부분이 매설되어 있다. 고정 부재(361)의 가운데 부분에는 체결 홀(361a)이 형성되어 있다. 단위 패널(311a), (311b)에 매설된 고정 부재(361)는 접착제 따위로 단위 패널(311a), 311b)에 고정될 수도 있다.
고정 앵글(362)은 니은자 형태로 구부러져 있으며 일측이 고정 부재(361)의 타측에 밀착되어 있다.
체결 부재(363)는 고정 앵글(362)과 고정 부재(361)를 연결하는 것으로, 일측이 고정 앵글(362)을 관통하여 고정 부재(361)에 체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열 부재(313)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의 단열 부재(114)와 대체로 동일하다. 즉,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350)의 연결로 패널부(310)의 일면에 형성된 공간에 형성되어 있다. 단열 부재(313)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발포시킨 상태에서 고화 시킨 우레탄 폼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단열 부재(313)는 내열성, 내용제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벽면 마감 장치(300a, 300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유닛으로 이루어져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형강(20)에 간격을 두고 연달아 배치될 수 있다. 형강(20)은 벽면에 매설된 지지 장치(10)에 의하여 벽면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
벽면에 연달아 배치되는 벽면 마감 장치(300a, 300b)는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350)과 패널부 설치 브래킷(360)의 타측이 형강(20)에 고정된다.
이때 제1 테두리 프레임(330)과 제2 테두리 프레임(340)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형강(20)에 고정되고, 제3 테두리 프레임(350)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형강(20)에 고정된다. 그리고 패널부 설치 브래킷(360)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모든 형강(20)에 고정될 수 있다.
벽면 마감 장치(300a, 300b)가 간격을 두고 배열되면 수평 패킹(370, 도 18 참조)과 수직 패킹(380, 도 19 참조)은 이웃하는 벽면 마감 장치(300a, 300b)의 사이에 위치하며 눌리게 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리고 벽면 마감 장치(300a, 300b)를 배열할 때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벽면 마감 장치(300a, 300b)는 제1 테두리 프레임(330)의 끼움 고정바(331)가 수평 패킹 끼움 홈(34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끼움 고정바(331)는 수평 패킹 끼움 홈(341)의 일측 내부면에 밀착된다.
연달아 배치된 벽면 마감 장치(300a, 300b)들의 사이에 수직 패킹(380)과 수평 패킹(370)이 위치하므로 이웃하는 벽면 마감 장치(300a, 300b)들의 사이에 기밀성이 유지된다. 이에 따라 패널부(310) 외벽을 타고 흐르는 빗물이 벽면으로 스며들지 않는다.
한편, 수평 패킹(370)과 수직 패킹(380)이 생략된 부분에는 빗물 차단 부재(400)가 설치되어 있다. 빗물 차단 부재(400)는 양단부가 이웃한 벽면 마감 장치(300a, 300b)의 제1 테두리 프레임(330)에 걸쳐 있다. 빗물 차단 부재(400)는 스테인리스 강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 차단 부재(400)는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의 빗물 차단 부재(200)와 대체로 동일하다.
그리고 벽면 마감 장치(300a, 300b)를 형강(20)에 고정하기 전에 위치 조절 장치(390)를 이용하여 벽면 마감 장치(300a, 300b)의 수직 및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조절 장치(390)의 구조는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의 위치 조절 장치(390)와 대체로 동일하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조절 장치(390)는 벽면에 설치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하우징(361), 하우징(361) 내부에 좌우,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사방 이동 부재(362), 그리고 일측이 사방 이동 부재(36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타측이 패널부(310)에 연결된 승강 부(39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벽면 마감 장치(300a, 300b)는 단위 패널(311a), (311b)들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줄눈부(320)와 배열된 벽면 마감 장치(300a, 300b)들 사이에 끼움 결합된 수직 패킹(380)과 수평 패킹(370)에 의하여 기물성이 유지되어 벽면 내부로 빗물 따위가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이웃하는 단위 패널(311a), (311b) 사이에 줄눈부(320)를 끼움 결합되고, 이웃하는 벽면 마감 장치(300a, 300b) 사이에 수직 패킹(380)과 수평 패킹(370)을 끼움 결합 하므로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분리가 쉬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지지 장치 20: 형강
100a, 100b, 100c, 100d: 벽면 마감 장치
110: 패널부
111a, 111b, 111c, 111d: 단위 패널
112: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 112a: 제1 결합부 112b: 제1 줄눈 결합 홈
113: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 113a: 제2 결합부
114: 단열 부재
120: 줄눈부 121: 제1 슬라이드 돌기
130: 제1 테두리 프레임 131: 제1 결합 홈 132: 끼움 고정바 133: 유로
140: 제2 테두리 프레임 141: 제2 결합 홈 142: 수평 패킹 끼움 홈
150: 제3 테두리 프레임 151: 제3 결합 홈 152: 수직 패킹 끼움 홈
160: 패널부 설치 브래킷 161: 제4 결합 홈
170: 수평 패킹 171: 수평 제1 부분 172: 수평 제2 부분
180: 수직 패킹 181: 수직 제1 부분 181a: 눌림부 181b: 연결부 182: 수직 제2 부분
190: 위치 조절 장치
191: 하우징 191a: 레일 홈 191b: 덮개
192: 사방 이동 부재 192a: 하부 몸체 192b: 체결 홀 192c: 고정 홀 192d: 상부 몸체 192e: 관통 홀
193: 승강부 193a: 승강 조절 부재 193b: 다각 홈 193c: 승강 브래킷
200: 빗물 차단 부재
300a, 300b: 벽면 마감 장치
310: 패널부
311a, 311b: 단위 패널
312: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 312a: 제2 줄눈 결합 홈
313: 단열 부재
320: 줄눈부 321: 제2 슬라이드 돌기
330: 제1 테두리 프레임 331: 끼움 고정바
340: 제2 테두리 프레임 341: 수평 패킹 끼움 홈
350: 제3 테두리 프레임 351: 수직 패킹 끼움 홈
360: 패널부 설치 브래킷
361: 고정 부재 361a: 체결 홀 362: 고정 앵글 363: 체결 부재
370: 수평 패킹
380: 수직 패킹
390: 위치 조절 장치
391: 하우징 392: 사방 이동 부재 393: 승강부
400: 빗물 차단 부재

Claims (22)

  1. 단위 패널들이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패널부,
    이웃하는 상기 단위 패널들을 연결하는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
    이웃하는 상기 단위 패널들 사이에 위치한 줄눈부,
    상기 패널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제1 테두리 프레임,
    상기 패널부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제2 테두리 프레임, 그리고
    상기 패널부의 좌측 및 우측 테두리를 따라 각각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제3 테두리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벽면 마감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의 연결로 상기 패널부의 일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 단열 부재를 더 포함하는 벽면 마감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패널부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의 일측이 분리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되어 있는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벽면 마감 장치.
  4. 제3항에서,
    일측이 상기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타측이 벽면에 설치된 형강에 고정될 수 있는 패널부 설치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벽면 마감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벽면 마감 장치는 벽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연달아 배치될 수 있고,
    연달아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벽면 마감 장치의 제1 테두리 프레임과 상기 제2 테두리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 패킹
    연달아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벽면 마감 장치의 제3 테두리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패킹
    을 더 포함하는
    벽면 마감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 테두리 프레임과 상기 제2 테두리 프레임은 서로 마주하며, 상기 제1 테두리 프레임과 마주하는 상기 제2 테두리 프레임의 일면에 상기 수평 패킹의 적어도 일부분이 끼움 결합되는 수평 패킹 끼움 홈이 형성되어 있는 벽면 마감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수평 패킹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기 수평 패킹 끼움 홈에 끼움 결합된 수평 제1 부분 및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기 수평 제1 부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테두리 프레임에 접촉되어 눌릴 수 있는 수평 제2 부분
    을 포함하는
    벽면 마감 장치.
  8. 제6항에서,
    상기 제2 테두리 프레임과 마주하는 상기 제1 테두리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수평 패킹 끼움 홈에 삽입되는 끼움 바가 형성되어 있는 벽면 마감 장치.
  9. 제5항에서,
    좌우 방향에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3 테두리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수직 패킹의 적어도 일부분이 끼움 결합되는 수직 패킹 끼움 홈이 형성되어 있는 벽면 마감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수직 패킹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이웃하는 상기 제3 테두리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여 눌릴 수 있는 수직 제1 부분 및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기 제1 부분 양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 패킹 끼움 홈에 끼움 결합된 수직 제2 부분
    을 포함하는
    벽면 마감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수직 제1 부분은,
    상기 수직 제2 부분과 연결되어 있고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눌림부 및
    상기 한 쌍의 눌림부 사이에 위치하여 구부러져 있으며, 양단부가 상기 눌림부에 결합되어 상기 마주하는 눌림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
    를 포함하는
    벽면 마감 장치.
  12. 제5항에서,
    이웃하는 상기 벽면 마감 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양단부가 상기 제1 테두리 프레임에 걸쳐 있는 빗물 차단 부재를 더 포함하는 벽면 마감 장치.
  13. 제1항에서,
    상기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에는 제1 줄눈 결합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과 마주하는 상기 줄눈부 일측에는 상기 제1 줄눈 결합 홈에 분리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벽면 마감 장치.
  14. 제1항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은 절연체로 형성되어 있는 벽면 마감 장치.
  15. 벽면에 설치된 형강에 고정되는 것으로,
    단위 패널들이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는 패널부,
    이웃하는 상기 단위 패널들을 연결하는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
    이웃하는 상기 단위 패널들 사이에 위치한 줄눈부,
    일측이 상기 패널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형강에 고정될 수 있는 제1 테두리 프레임,
    일측이 상기 패널부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형강에 고정될 수 있는 제2 테두리 프레임,
    일측이 상기 패널부의 좌측 및 우측 테두리를 따라 각각 배치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형강에 고정될 수 있는 제3 테두리 프레임, 그리고
    일측이 상기 단위 패널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형강에 고정될 수 있는 패널부 설치 브래킷
    을 포함하는 벽면 마감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에 의해 상기 패널부의 일면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 단열 부재를 더 포함하는 벽면 마감 장치.
  17. 제15항에서,
    상기 패널부 설치 브래킷은
    상기 단위 패널 일면에 고정되어 있고 체결 홀이 형성된 고정 부재,
    일측이 상기 고정 부재에 접해 있고 타측이 상기 형강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 앵글, 그리고
    상기 고정 앵글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 홀에 체결된 체결 부재
    를 포함하는
    벽면 마감 장치.
  18. 제15항에서,
    상기 벽면 마감 장치는 벽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연달아 배치될 수 있고,
    연달아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벽면 마감 장치의 제1 테두리 프레임과 상기 제2 테두리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수평 패킹 및
    연달아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벽면 마감 장치의 제3 테두리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수직 패킹
    을 더 포함하는
    벽면 마감 장치.
  19. 단위 패널들을 연결하여 패널 유닛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널 유닛을 벽면을 따라 연달아 배치하고 연달에 배치된 상기 패널 유닛을 패널부 설치 브래킷으로 벽면에 설치된 형강에 고정하는 단계,
    연달아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패널 유닛 사이에 수평 패킹을 결합하는 단계, 그리고
    연달아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패널 유닛 사이에 수직 패킹을 결합하는 단계
    을 더 포함하는 벽면 마감 장치 시공 방법.
  20. 제19항에서,
    상기 패널 유닛 형성 단계는,
    단위 패널들을 간격을 두고 배열하고,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으로 이웃하는 상기 단위 패널들을 연결하여 패널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위 패널들 사이에 줄눈부를 배치하고, 상기 줄눈부의 일측을 상기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
    상기 패널부 테두리를 따라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위 패널 결합 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패널부 설치 브래킷을 설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에 의해 상기 패널부의 일면에 형성된 공간에 단열 부재를 배치하여 패널 유닛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벽면 마감 장치 시공 방법.
  21. 제20항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을 배치하는 단계 전에 상기 패널부의 테두리를 따라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테두리 프레임을 상기 패널부 테두리 프레임에 설치하는 벽면 마감 장치 시공 방법.
  22. 제19항에서,
    상기 수평 패킹 결합 단계에서, 상기 수평 패킹은 연달아 배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패널 유닛의 제1 테두리 프레임과 상기 제2 테두리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2 테두리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수직 패킹 결합 단계에서, 상기 수직 패킹은 연달아 배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벽면 마감 장치의 제3 테두리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이 상기 제3 테두리 프레임에 고정되는
    벽면 마감 장치 시공 방법.
KR1020110086098A 2011-08-26 2011-08-26 벽면 마감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20130022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098A KR20130022988A (ko) 2011-08-26 2011-08-26 벽면 마감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098A KR20130022988A (ko) 2011-08-26 2011-08-26 벽면 마감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988A true KR20130022988A (ko) 2013-03-07

Family

ID=4817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098A KR20130022988A (ko) 2011-08-26 2011-08-26 벽면 마감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29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043B1 (ko) * 2013-03-20 2013-09-12 (주)세정건설 오목줄눈용 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노출 콘크리트 오목줄눈 모듈화 시공방법
CN109903686A (zh) * 2017-12-11 2019-06-18 深圳市大族元亨光电股份有限公司 Led箱体及led显示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043B1 (ko) * 2013-03-20 2013-09-12 (주)세정건설 오목줄눈용 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노출 콘크리트 오목줄눈 모듈화 시공방법
CN109903686A (zh) * 2017-12-11 2019-06-18 深圳市大族元亨光电股份有限公司 Led箱体及led显示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1378B1 (ko) 슬라브 옥상 스틸방수 시스템
JP2018035662A (ja) 振動吸収用耐震パネルを備えた壁体断熱システム組立体
US20180132428A1 (en) Building Structure, Building and Greenhouse
JP6054117B2 (ja) サイディング外壁パネル仕様の外壁構造
WO2006090195A1 (en) Support structure and profile rail therefore
KR20130022988A (ko) 벽면 마감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2157128B1 (ko) 조립이 용이한 용마루 구조
JP6779062B2 (ja) 屋外構造物及び屋外構造物の構築方法
KR20100098799A (ko) 건물의 벽체 구조물
JP7426464B2 (ja) 簡易建物
KR100968018B1 (ko) 원형관 골조용 외장판넬 체결구
KR100557478B1 (ko) 아치지붕구조와 이를 이용한 아치지붕의 시공방법
KR101736715B1 (ko) 가변조립식 기둥과 지붕으로 구성된 옥외용 퍼걸러
KR102242199B1 (ko) 건축용 석재 복합패널
KR101792193B1 (ko) 하우스 시공방법
KR200449646Y1 (ko) 간이구조물용 조립식 기둥
JP7005870B2 (ja) 建物の止水構造
JP3936634B2 (ja) テンショントラス構造体およびカーテンウォール
JP2020084492A (ja) 簡易建物
KR102656282B1 (ko) 공장 제작형 외단열 패널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패널 시공 방법
JP6535199B2 (ja) 屋根構築物
KR20200016456A (ko) 조립식 건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274452B1 (ko) 조립식 건축 외장패널
JP6963997B2 (ja) 仮設建物の壁構造
KR102225363B1 (ko) 나사 조립식 구조를 갖는 건축용 하지틀 및 그 하지틀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