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1327A -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시계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1327A
KR20130021327A KR1020120088134A KR20120088134A KR20130021327A KR 20130021327 A KR20130021327 A KR 20130021327A KR 1020120088134 A KR1020120088134 A KR 1020120088134A KR 20120088134 A KR20120088134 A KR 20120088134A KR 20130021327 A KR20130021327 A KR 20130021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display
watch
function
menu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3882B1 (ko
Inventor
시몬 스프린거
Original Assignee
더 스와치 그룹 리서치 앤 디벨롭먼트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스와치 그룹 리서치 앤 디벨롭먼트 엘티디 filed Critical 더 스와치 그룹 리서치 앤 디벨롭먼트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30021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1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7/00Indicating the time optically by electric means
    • G04C17/0091Combined electro-optical and electro-mechanical display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7/00Indicating the time optically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82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by building-up characters using a combination of indicating elements and by selecting desired characters out of a number of characters or by selecting indicating elements the positions of which represents the time, i.e. combinations of G04G9/02 and G04G9/08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6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functions not related to time can be display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2)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내에 몇몇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타임 베이스(32)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3)이 제공되며, 또한 제어 시스템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둘 이상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수단(51, 52) 및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4)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6)을 포함하는 시계(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계는 타임 베이스가 제공된 제어 시스템(3)에 의해 구동되는 둘 이상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1, 52)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간 표시를 제공하기 위한 제1 정상 작동 모드에 배열되고, 시계(1)는 제어 수단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부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값 또는 매개 변수 [val]를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4)에 나타내고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값 또는 매개변수와 상반되게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제어 수단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능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2의 특정 작동 모드에 배열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시계{TIMEPIECE WITH DISPLAY DEVICES}
본 발명은 타임 베이스를 포함하고 몇몇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열되며, 제어 시스템이 내부에 배열된 케이스를 포함한 시계에 관한 것이다. 시계는 또한 제어 시스템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적어도 2개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 및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한다. 시계는 상기 제어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몇몇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시계는 당업계에 공지되었다. 이 다수의 디스플레이는 침 및 예를 들어 시계 다이얼 아래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LCD 스크린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LCD 스크린은 다이얼 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가시가능하다. 이에 따라 이러한 시계는 침으로 시간 정보를 나타내고 LCD 스크린으로 그 외의 다른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공지된 변형예는 몇몇의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2개의 LCD 스크린을 포함하는 시계이다.
그러나, 이들 시계의 단점은 정보를 판독하기가 매우 복잡하다는데 있다. 게다가, 이들 시계의 LCD 스크린 또는 스크린들은 다수의 정보를 동시에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기능부가 사용되는 스크린(들)을 직관적으로 판독할 수 없다. 그 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계를 취급하고 제안된 다양한 기능부로부터 원하는 기능부를 선택하는데 혼란이 야기되며, 나타내진 다양한 정보를 판독하는데 혼란이 야기된다.
촉감성 시계 크리스털이 제공되고 LCD 스크린과 침을 포함하는 시계는 또한 당업계에 공지되었다. 이 시계는 몇몇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열된다. 정상 작동 모드에서, 침은 다이얼 상의 표시를 통해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제2 작동 모드에서, 사용자는 시계의 기능부들 중 하나의 기능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하나의 손가락으로 촉감성 크리스털을 작동시킴으로써 기능부를 선택한다. 다양한 허용가능한 기능부와 관련된 표시가 다이얼 상, 크리스털의 플랜지 또는 베젤 상에 배치된다. 원하는 기능부 상의 크리스털을 접촉하거나 또는 누르면 상기 기능부가 선택된다. 이에 따라 침의 움직임은 상기 선택된 기능부에 관한 표시를 가리킨다. 그 뒤, LCD 스크린은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결과치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 시계의 단점은 몇몇의 정보가 동시에 표시될 수 없는 데 있다. 게다가, 온도와 같은 정보 및 압력 정보를 동시에 나타낼 수 없다. 또한 예컨대, 평균 값, 순간 값 또는 그 외의 다른 데이터와 같은 상이한 온도 정보를 동시에 나타낼 수 없다. 이에 추가로, 계층 구조 정보, 즉 표시된 정보의 부분에 연계된 기능부 또는 메뉴를 나타낼 수 없다.
그러나, 이 시계는 제한된 개수의 기능부만을 갖는 추가 단점을 갖는다. 게다가, 다양한 기능부의 리스트가 시계 다이얼, 다이얼 플랜지 또는 베젤 상에 배치된다. 이들 요소의 표면적은 제한되는데, 이에 따라 기능부의 개수가 상기 요소 상의 허용가능한 표면적에 제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판독가능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동시에 다수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시계를 제안함으로써 전술된 단점을 극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시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계는 타임 베이스가 제공된 제어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둘 이상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간 표시(time indication)를 제공하기 위한 제1 정상 작동 모드에 배열되고, 시계는 제어 수단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부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값 또는 매개 변수를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에 나타내고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값 또는 매개변수와 상반되게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제어 수단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능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2의 특정 작동 모드에 배열된다.
이 시계의 선호되는 실시예는 종속항 제2항 내지 제16항의 주안점을 형성한다.
제1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시계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부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값 또는 매개 변수와 시계 기능부의 표시(indication)를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에 나타내고, 선택된 기능부의 표시와 상반되게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수단들 중 하나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수단과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값 또는 매개변수와 상반되게 그 외의 다른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어 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기능부를 선택할 수 있는 제2 특정 작동 모드에 배열된다.
제2 선호되는 실시에에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시계의 관통된 또는 반-투명 다이얼 아래에서 또는 다이얼 상에 배열된 몇몇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digital display sector)를 포함하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섹터는 상기 시계의 하나 이상의 기능부의 표시(indication) 또는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값 또는 매개변수를 나타내기 위해 제2 작동 모드에 배열된다.
제3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은 시간 기호(hour symbol)와 같이 다이얼의 주연부(periphery)에 배열된 12개 이상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를 포함한다.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상기 시계는 3개의 침(hand)을 포함하고, 시계의 제2 작동 모드에서 제1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는 선택된 기능부의 표시 방향을 가리키도록 배열되고, 제2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는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제1 값 또는 제1 매개변수의 방향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되며, 제3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는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제2 값 또는 제2 매개변수의 방향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제3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는 제1 또는 제2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와 통합되도록 배열된다.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기능부는 다양한 메뉴 내에서 서로 그룹을 이루고, 상기 시계는 3개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를 포함하여 시계의 제2 작동 모드에서 제1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는 선택된 메뉴 중 하나의 메뉴의 표시 방향을 가리키고, 제2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는 선택된 기능부의 표시 방향을 가리키며, 제3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는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값 또는 매개변수의 방향을 가리킨다.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각각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는 시계 다이얼의 색상과 동일할 수 있는 제2 색상의 배경에 제1 색상의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배열된다.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의 형태, 개수, 크기, 제1 및 제2 색상 또는 위치는 선택된 메뉴 또는 기능부에 따라 변화한다.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는 침이다.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는 디스크이다.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은 몇몇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가 형성되는 단일의 기판의 형태를 갖는다.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다이얼 디스플레이 섹터는 관통된 다이얼에 의해 형성된다.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은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를 각각 형성하는 몇몇의 기판의 형태를 갖는다.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시계는 둘 이상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간 표시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제2 특정 작동 모드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이점은 사용자가 계층 구조 방식으로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몇몇 정보를 가시할 수 있는 데 있다. 게다가,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수단과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을 조합함으로써 디지털 디스플레이의 유연성이 침 또는 디스크로 인해 간단한 정보 디스플레이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예를 들어, 침과 같은 아날로그 디스플레이를 갖는 시계는 다수의 상이한 정보를 나타낼 수 없는 단점을 가지며, 이는 너무 많은 침이 필요로 하고 이에 따라 시계를 판독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역으로, 디지털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정보가 순차적으로 나타내지 질 수 있으며, 이는 디지털 스크린이 전체적으로 유연성을 가지며 상이한 눈금이 원하는 기능부에 따라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점은 다양한 정보가 계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어서 휴대용 대상물의 기능부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지고 판독가능하며 알아내기가 쉬워진다. 게다가, 상이한 메뉴의 다양한 기능부를 계층화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부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시계의 또 다른 이점은 이의 매력(attractiveness)이 향상되는데 있다. 게다가, 예를 들어, 시계 다이얼의 색상과 동일한 제2 색상의 배경에 제1 선택된 색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LCD 스크린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 다이얼이 흑색이라면, LCD 스크린 또는 스크린들은 정보가 흑색 배경에 밝은 색상으로 가시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이는 또한 가능한 LCD 스크린의 존재를 위장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시계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a) 시간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타임 베이스와 끼워맞춤된 제어 시스템에 의해 2개의 침이 구동되는 제1 정상 작동 모드로부터 제어 수단의 작동을 통한 제2 특정 작동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b) 제2 작동 모드에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상기 시계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부에 대한 표시를 자동으로 나타내는 단계,
c) 원하는 기능부의 표시 방향으로 제1 디스플레이 요소가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제어 수단을 구동시킴으로써 원하는 기능부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제2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2)가 나타내진 값 또는 매개변수의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값 또는 매개변수를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의 일 이점은 신속하고 용이하게 판독가능한 방식으로 몇몇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단순한 외관의 시계를 사용자가 가질 수 있다. 게다가, 2가지의 작동 모드는 상기 시계가 종래의 시계와 같이 표준 시간을 나타낼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제2 작동 모드에서 다양한 기능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정보의 판독가능성의 감소 및 다이얼의 오버로딩(overloading)을 방지한다.
이 방법의 선호되는 실시예는 제18항 내지 제23항의 종속항의 주안점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은 시계 다이얼의 주연부에 분포된 몇몇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를 포함하고, 제2 작동 모드에서 각각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는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하나의 값 또는 매개변수 또는 기능부들 중 하나의 기능부의 하나의 표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단계 c)와 단계 d) 사이에 방법은 선택된 기능부를 나타내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를 제외하고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 모두의 내용을 소거하는 단계(erasing)를 포함하고, 단계 d)에서 값의 범위는 미리 소거 또는 삭제된 일부 디스플레이 섹터에 의해 나타내지고, 초침(52)은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값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시계의 기능부는 상이한 메뉴로 서로 그룹을 이루고, 상기 방법은
a) 시간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타임 베이스와 끼워맞춤된 제어 시스템에 의해 2개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가 구동되는 제1 정상 작동 모드로부터 제어 수단의 작동을 통한 제2 특정 작동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b) 제2 작동 모드에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상기 시계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부에 대한 표시를 자동으로 나타내는 단계,
c) 제1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가 선택된 메뉴의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면서 제어 수단을 구동시킴으로써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d) 상기 시계가 수행할 수 있는 상기 메뉴 내에서 서로 그룹을 이루는 기능부에 대한 표시를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나타내는 단계,
e) 제2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가 원하는 기능부의 표시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제어 수단을 구동시킴으로써 원하는 기능부를 선택하는 단계, 및
f) 제3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가 표시된 값 또는 매개변수의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값 또는 매개변수를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자동으로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 c)와 단계 d) 사이에 선택된 메뉴를 나타내는 섹터를 제외하고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 모두의 내용을 소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d)에서 선택된 메뉴 내에서 서로 그룹을 이루는 기능부는 미리 소거 또는 제거된 특정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에 의해 나타내지고, 제2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는 선택된 기능부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단계 e)와 단계 f) 사이에 선택된 메뉴 및 선택된 기능부를 나타내는 섹터를 제외하고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 모두의 내용을 소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f)에서 값의 범위는 미리 소거 또는 제거되는 특정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에 의해 나타내지고, 제3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는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값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는 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는 디스크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계의 요소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계 제어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계의 간략화된 상면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계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계의 제1 실시예의 제1 대안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계의 제1 실시예의 제2 대안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계의 제2 실시예의 제1 대안예 및 제2 실시예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계의 제2 실시예의 제2 대안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a 내지 도 11d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계의 제2 실시예의 제2 대안예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a 내지 도 12d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계의 제2 실시예의 제2 대안예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계의 제2 실시예의 제2 대안예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계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시계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이 시계(1)는 제어 시스템(3)이 배열되는 시계 케이스(2)를 포함한다. 이 제어 시스템(3)은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수단(5) 및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4)을 제어한다. 제어 시스템(3)은 일반적으로 시계 케이스(2)의 외측에 배열된 제어 수단(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GPS 또는 측정 기구로서 기능을 하는 시계 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어 시스템(3)은 시계(1)의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또는 CPU(31)를 포함한다. 이 프로세서(31)는 시간 및 날짜와 같은 시간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타임 베이스(time base) 또는 진동자 회로(oscillator circuit)와 연계된다. 프로세서(31)는 또한 RAM 또는 ROM 메모리와 같은 저장 수단과 연계된다. 타임 베이스(32)에 의해 제공된 시간 표시(time indication)는 각각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34) 또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33)에 의해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수단(5) 또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4)에 전송된다. 이들 제어 수단(33, 34)은 프로세서(31)에 의해 전달된 정보를 변환하고 상기 정보를 아날로그/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에 전송하기 위해 배열된다.
그러나, 시간 정보, 즉 시간 또는 날짜는 단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정보가 아니다. 게다가, 제어 시스템(3)은 몇몇의 센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물리적 매개변수의 측정을 수행하고 시계 내에 배열되는 3개의 센서(35, 36, 3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센서가 온도를 측정하도록 배열되고, 하나의 센서가 압력을 측정하고, 하나의 센서가 지구의 자기장을 측정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들 센서(35, 36, 37)는 프로세서(31)에 의해 관리된다.
이들 센서(35, 36, 37)는 제어 수단(6)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도록 의도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어 수단(6)은 예를 들어, 3개의 버튼(61, 62, 63)을 포함한다. 제어 수단(6)은 프로세서(31)를 작동시키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계(1)를 설정하거나 또는 이의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해 제어 시스템(3)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3개의 버튼(61, 62, 63)은 촉감 인터페이스(tactile interface)에 의해 대치되거나 또는 완성될 수 있다. 이 촉감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에 마주보게 배치된 용량성 또는 저항성 디스크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수단을 선택하기 위해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에 마주보게 배치된 용량성 또는 저항성 디스크를 압축하거나 또는 이와 접촉한다. 게다가, 제어 수단(6)은 메뉴 또는 기능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회전식 베젤(rotating bezel)을 포함한다.
센서(35, 36, 37)들 중 하나의 센서가 작동 시에, 상기 센서는 원하는 측정을 수행하고 이 측정 결과치를 프로세서(31)에 전송한다. 프로세서는 상기 정보를 디코딩하고 처리하여 이 정보를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수단(5) 또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4)에 전송한다. 따라서,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수단(5) 또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은 자동으로 변경된다.
판독가능하고 인식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고 모든 기능을 관리할 수 있도록,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수단(5)과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4)은 서로 협력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시계(1)의 다이얼(7)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된다. 본 발명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수단(5)은 침(hand)의 형태를 갖지만 디스크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를 포함한다. 하기 기술내용에서,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는 침일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3개의 침(51, 52, 53)이 시간, 분, 및 초를 각각 나타내기 위해 제공된다. 이들 침(51, 52, 53)은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34)에 의해 제어되는 전기 모터에 의해 각각 구동된다. 이에 따라, 침(51, 52, 53)은 서로 독립적일 수 있다. 그러나, 3개의 침(51, 52, 53)을 구동하기 위해 단지 하나의 모터만을 사용할 수 있다. 결합 시스템이 침을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4)은 하나 이상의 디지털 인디케이터(digital indicator, 41) 또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digital display sector)의 형태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다이얼(7)은 시권(hour circle)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다이얼(7)의 주연부에 배열된, 예를 들어, LCD 유형의 12개의 디지털 인디케이터(41)를 갖는다. 이들 LCD 인디케이터(41)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33)에 의해 제어되어 각각의 인디케이터(41)는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하다. 물론, 인디케이터(41)의 개수와 기술은 이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로, 인디케이터(41)는 개별적으로 제조되고, 각각의 인디케이터(41)는 자체 기판으로부터 제조된다. 또한, 인디케이터(41)는 동일한 기판으로 제조되지만 독립적인 어드레싱에 따라 각각의 영역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이 기판은 시계(1)의 다이얼(7)의 표면적과 동일한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이들 인디케이터 또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41)가 배열되어 이들의 존재가 가능한 사용자의 눈에 띄지 않을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이들은 제2 색상의 배경에 제1 색상의 정보를 나타내도록 배열된다.
제2 배경 색상이 시계 다이얼의 색상과 동일하도록 카무플라주(camouflage)가 구현된다. 제1 색상은 제2 색상과 대조를 이룬다. 예를 들어, 다이얼이 흑색일 때, 제2 색상은 흑색일 것이며, 제1 색상은 황색, 베이지색 또는 백색과 같은 밝은 색상일 것이다. 이는 그 뒤 인디케이터 또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41)의 존재가 주목되지 않거나 또는 거의 주목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정상 작동 모드에서, 제어 시스템(3)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 시계와 같이 작동되도록 시계에 작용한다. 따라서, 시계는 사용자에게 시간을 알려준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디지털 인디케이터(41)가 시계(1)의 다이얼(7)의 시권을 모사하도록 1과 12 사이의 숫자를 나타낸다. 침(51, 52, 53)은 프로세서(31)에 의해 제공된 시간 데이터에 따라 인디케이터(41)를 가리킨다. 이 디스플레이에 대한 개선은 일자(day)의 제1 부분에서 1시로부터 12시까지의 시간을 나타내고 그 후에 일자의 제2 부분에서 정오로부터 자정까지의 시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41)에 의해 특징으로 하는 12h - 24h 시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12h - 24h 디스플레이는, 시간이 1 시 내지 12 시의 기간 내에 포함될 때 인디케이터(41)가 1 시 내지 12 시의 시권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뒤, 인디케이터(41)는 시간이 이 기간 내에 포함될 때 12 시 내지 24 시의 시권을 나타낸다.
특정 제2 작동 모드에서, 시계(1)는 사용자가 통합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제1 단계에서, 사용자는 이 제2 작동 모드를 구동하기 위해 제어 수단(6)을 작동시킨다. 특히, 제어 수단(6)이 배열되어, 버튼(62)이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버튼(61, 63)이 제2 작동 모드를 구동하고 다양한 기능을 선택/구동하기 위해 배열된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단계를 형성하는, 제어 수단에 의한 이 구동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변경(modification)이 야기된다. 이 변경에 따라 모든 인디케이터(4b)가 꺼진다. 이 변경은 도 4b에서 가시되는데, 제2 단계에서 LCD 인디케이터(41)는 [fonc 3], [fonc 2] 및 [fonc 1] 사이의 다양한 허용가능한 기능부(function)를 자동으로 나타내고, 이 LCD 인디케이터의 위치는 예를 들어, 시간 표시 5 시, 6시 및 7 시에 대응된다. 그 뒤, 사용자는 제어 수단(6)을 구동시킴으로써 원하는 기능부를 선택한다. 도 4b의 예에서, 사용자가 기능부을 선택할 때, 시침(51)은 선택된 기능부에 대한 지점으로 자동으로 이동하고, 이 경우 이는 기능부 [fonc 3]를 가리킨다.
도 4c에 도시된 제3 단계에서, 그 외의 다른 인디케이터(41), 즉 LCD 인디케이터(41) - 이의 위치는 예를 들어, 8 시 내지 5 시 시간 표시에 대응됨 - 는 연속 범위의 값 [val 1] 내지 [val 9]를 자동으로 나타낸다. 이 범위의 값 [val]은 사용된 기능부에 의해 정해진다. 예를 들어, 온도 기능부(temperature function) 및 23.5°C의 측정된 온도의 경우, LCD 스크린은 값 [val 1]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41)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21°C 내지 값 [val 9]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41)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29°C 사이의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분침(52)은 그 뒤 측정된 값에 대한 지점으로 자동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에, 상기 분침(52)은 값 [val 3] 내지 [val 4] 사이를 가리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즉시 선택된 기능부과 측정된 값을 볼 수 있다. 기능부 [fonc]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41)는 특정 색상의 배경을 가질 수 있으며, 값 [val]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41)는 기능부 [fonc]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41)의 배경과 상이한 배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는 인디케이터(41)들 간의 식별을 향상시킨다. 이 형상은 당업자에 의해 고찰되거나 기술된 모든 변형예에서 채택될 수 있으며, 실제 값 [val]들 간의 식별로 확장될 수 있다.
초침(53)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침을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고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초침은 분침(52)과 통합되고 정보가 판독 시에 불편함을 야기하지 않는다.
측정된 값을 나타내는 단일의 인디케이터(41) 이의의 값 [val]의 범위를 갖는 이점은 일련의 측정 시에 판독이 단순화되는 것이다. 게다가, 연계된 값 [val]이 단지 약간만 변화하는 일련의 측정을 위해,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의 값 [val]은 상기 측정된 값을 가리키는 침(53)의 위치만이 변경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는 직관적이고, 사용자는 이 변경을 즉시 볼 수 있다. 온도 측정의 예에서, 23.5 °C의 측정된 값과 21 °C 내지 29 °C의 값의 범위에 따라, 제2 측정이 24°C의 값을 나타내고 제3 측정이 24.5°C를 나타내는 경우 인디케이터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정보는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서, 인디케이터(41)는 전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배열로 구성된다. 원리는 동일하게 유지되며, 제2 단계는 사용자가 기능부 [fonc]를 선택하고 시침(51)이 선택된 기능부 [fonc]를 가리키기 위해 자동으로 이동하며, 이 경우 예를 들어, 기능부 [fonc 3]를 가리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그러나, 제2 단계와 제3 단계 사이에서, 선택되지 않는 기능부 [fonc]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41)는 자동으로 소거되거나 또는 제거되며, 즉 도 5b에 도시된 예에서 인디케이터(41)는 기능부 [fonc 1] 및 기능부 [fonc 2]를 나타낸다. 이는 상기 기능부 [fonc]와 연계된 값[val]의 범위를 나타내기 위한 더 큰 수의 인디케이터(41)일 수 있다. 이 범위는 결론적으로 더 큰 수의 인디케이터(41)를 포함하고, 따라서 원하는 경우 값 [val]은 더 폭 넓거나 또는 더 정밀한 범위를 제공한다.
이는, 제3 단계에서 미리 자동으로 소거되거나(erase) 또는 제거될(extinguish) 수 있는 인디케이터(41)가 값 [val 1] 내지 [val 11]의 범위를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분침(52)은 사용자에 의한 임의의 동작 없이 측정된 값 [val]을 가리키기 위해 이동한다. 이 경우에, 상기 분침(52)은 값 [val 6]과 값 [val 6] 사이를 가리킨다. 인디케이터(41)는 이들이 연계되는 기능부 [fonc]에 따라 상이한 배경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각각의 인디케이터(41)가 특정 배경 색상을 갖는 기능부 [fonc]를 나타내는 상태에서 각각의 인디케이터(41)가 기능부 [fonc]에 용이하게 연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정보의 각각의 카테고리가 상기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정해진 배경 색상에 나타내질 수 있다.
2개의 침이 시침(51)과 분침(52)에 대해 사용되는 제1 실시예의 제1 대안예에서, 2 부분의 값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이얼(7)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인디케이터(41a)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중심 인디케이터(41a)는 선택된 기능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고, 2개의 이점을 갖는다. 게다가, 기능부 [fonc]가 선택되면, 우선적으로 상기 기능부가 보다 잘 식별될 수 있는데, 이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인디케이터(41a) 상에서 나타내지기 때문이다. 둘째로, 이 배열에 따라 모든 인디케이터(41)는 값 [val]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시침(51)과 분침(52)은 그 뒤 예를 들어, 원하는 값 및 측정된 값과 같은 상이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고 이동된다.초침(53)은 그 뒤 분침(52)과 통합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제2 대안예에서, 2가지의 상이한 기능부 [fonc]에 대한 적어도 2개의 값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이얼(7)은 제1 기능부 [fonc_1]와 제2 기능부 [fonc_2]를 나타내기 위한 2개의 중심 인디케이터(41a, 41b)를 갖는다. 사실상, 기능부 [fonc]는 우선적으로 인디케이터(41) 상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뒤에 인디케이터(41a) 상에 나타내질 제1 기능부 [fonc]를 선택한다. 그 뒤, 사용자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뒤에 인디케이터(41b) 상에 나타내질 제2 기능부 [fonc]를 선택한다. 그 뒤, 인디케이터(41)는 기능부 [fonc_3]에 대해 각각 값 [val 1] 내지 [val 6] 및 기능부 [fonc_1]에 대해 값 [val A] 내지 [val F]를 갖는 기능부 [fonc]에 각각 연계된 값 [val]의 범위를 각각 형성하는 두 그룹으로 분리된다. 각각의 시침(51)과 분침(52)은 그 뒤 기능부 [fonc3]에 연계된 계산되고 및/또는 측정된 결과치를 나타내기 위해 값 [val]의 범위에 연계된다(link). 시침(51)은 기능부 [fonc1]에 연계되고, 분침(52)은 기능부 [fonc3]에 연계된다. 따라서, 각각의 기능부 [fonc]와 연계된 인디케이터(41)는 서로 식별될 수 있는 것으로 고찰될 수 있다. 일 해결방법은 상이한 배경 색상을 사용함으로써 이들을 식별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초침(53)은 그 뒤 이동되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침(52)과 통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3개의 침(51, 52, 53)이 사용된다.
우선, 이 초침(5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기능부 [fonc]에 연계된 또 다른 값 [val]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 초침(53)은 임계값 또는 원하는 값 또는 앞서 측정된 값 [val]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41)에 의해 나타내진 범위의 눈금(scale)은 그 뒤 선택된 기능부 [fonc]와 연계된 이 새로운 값 [val]을 고려하여 사용자에 의한 임의의 동작 없이 변경된다. 변형예에서, 사용되지 않은 기능부 [fonc]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41)는 소거된다. 이는 더 큰 범위의 값 [val]이 수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하는 경우 범위가 넓어지고 더욱 정확해진다.
도 9에 도시된 제1 대안예에서, 제1 실시예의 제1 대안예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3 부분의 값 정보 [val]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이얼(7)은 중심 인디케이터(41a)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중심 인디케이터(41a)는 선택된 기능 [fonc]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인디케이터(41)는 값 [val]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반면 3개의 침(51, 52, 53)은 예를 들어, 원하는 값, 측정된 값 및 평균 값, 각각 [val 3], [val 5] 및 [val 8]과 [val 9] 사이에 포함된 값 [val]과 같은 상이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이 제2 실시예에 대한 제2 대안예에서, 초침(53)은 정보의 추가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게다가, 시계 내에 통합된 다양한 기능부 [fonc]는 상이한 메뉴 [menu]로 분포된다. "메뉴(Menu)"는 하나 이상의 공통 기준(common criterion)에 따라 그룹을 이루는 상이한 기능부 [fonc]의 그룹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능부는 사용된 센서(35, 36, 37)에 따라 서로 그룹을 이룰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제2 단계는 원하는 메뉴 [menu]를 선택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LCD 인디케이터(41)는 자동으로 상이한 메뉴 [menu]를 나타내며, 이 LCD 인디케이터의 위치는 예를 들어, 7시, 8시, 9시 및 10시 시간 표시에 대응한다. 시침(51)은 제어 수단(6)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 [menu](여기서 메뉴 [menu 1]임)를 가리키도록 자동으로 이동한다.
도 10b에 도시된 제3 단계에서, 그 외의 다른 인디케이터(41), 즉 LCD 인디케이터(41)는 선택된 메뉴 [menu]와 연계된 기능부 [fonc]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되며, 이 인디케이터(41)의 위치는 11시 내지 6시의 시간 표시에 대응된다. 그 뒤,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부 [fonc]를 선택하고, 분침(52)은 그 뒤에 이 기능부 [fonc]를 가리키도록 이동한다.
도 10c에 도시된 제4 단계에서, 초침(53)은 선택된 기능부 [fonc]가 구동 시에 측정된 값 [val]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초침(53)은 베젤 또는 다이얼(7) 상에 인쇄된 눈금일 수 있는 값의 눈금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한다. 도 10c에 도시된 경우에, 사용자는 메뉴 [menu 1]로부터 기능부 [fonc 6]를 선택한다.
제2 대안예의 제1 변형예에 따라서, 도 11a에 도시된 제2 단계는 제2 대안예의 단계와 동일한데, 즉, 사용자는 원하는 메뉴 [menu]를 선택하고 시침(51)은 이 메뉴 [menu]를 자동으로 가리킨다.
도 11b에 도시된 제3 단계에서, 메뉴 [menu]를 나타내는데 사용되지 않는 인디케이터(41)는 선택된 메뉴 [menu]와 연계된 기능부 [fonc]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부 [fonc]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분침(52)은 기능부 [fonc]를 가리키도록 이동한다.
제3 단계와 제4 단계 사이에서, 선택된 기능부 [fonc]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41) 및 선택된 메뉴 [menu]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41)를 제외하고, 모든 인디케이터(41)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소거되거나 또는 제거된다. 그 뒤, 선택된 기능부 [fonc]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41)는 자동으로 소거되고, 이의 내용은 그 뒤 선택된 메뉴 [menu]을 지시하는 것에 이웃한 인디케이터(41)에 전달된다. 분침(52)은 이 인디케이터(41)를 가리키도록 자동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선택된 기능부 [fonc]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와 선택된 메뉴 [menu]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41)는 서로 나란히 배열된다.
도 11d에 도시된 제4 단계에서, 미리 소거된 인디케이터(41)는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값 [val]의 범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그 뒤, 초침(53)의 움직임은 선택된 기능부가 구동 시에 측정된 값 [val]이 사용자에게 알려지도록 기능부 [fonc]와 연계된 센서에 따라 제어 시스템(3)에 의해 제어된다.
제2 대안예의 제2 변형예에 따라서, 도 12a에 도시된 제2 단계는 제1 변형예의 단계와 동일하며, 즉, 사용자는 원하는 메뉴 [menu]를 선택하고, 이를 시침(53)이 자동으로 가리킨다.
제2 단계와 제3 단계 사이에서, 선택된 메뉴 [menu]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41)를 제외하고, 모든 인디케이터(41)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소거되거나 또는 제거된다.
도 12c에 도시된 제3 단계에서, 미리 소거 또는 제거된 인디케이터(41)는 선택된 메뉴 [menu]와 연계된 기능부 [fonc]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선택될 수 있는 11개의 기능부 [fonc]가 있다. 그 뒤,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부 [fonc]를 선택하고, 이에 따라 분침(52)은 이 기능부 [fonc]를 가리키기 위해 이동한다. 제2 단계와 제3 단계 사이의 중간 단계에 따라 보다 많은 기능부 [fonc]가 나타내질 수 있다.
제3 단계와 제4 단계 사이에서, 선택된 기능부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41) 및 선택된 메뉴 [menu]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41)를 제외하고, 모든 인디케이터(41)가 제어 시스템(3)에 의해 자동으로 소거되거나 또는 제거된다. 그 뒤, 기능부 [fonc]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41)는 소거되고, 이의 내용은 그 뒤 선택된 메뉴 [menu]을 지시하는 것에 이웃한 인디케이터(41)에 전달된다. 분침(52)은 이 인디케이터(41)를 가리키도록 자동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선택된 기능부 [fonc]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와 선택된 메뉴 [menu]를 지시하는 인디케이터(41)는 서로 나란히 배열된다.
도 12d에 도시된 제4 단계에서, 미리 소거된 인디케이터(41)는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값 [val]의 범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그 뒤, 초침(53)은 선택된 기능부 [fonc]가 구동 시에 측정된 값 [val]이 사용자에게 알려지도록 자동으로 이동한다.
이 제2 변형예는 단지 유용한 정보만이 나타내지고 이에 따라 향상된 판독성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3에 도시된 제3 변형예에서, 적어도 두 부분의 값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실시예의 제1 대안예의 원리가 사용되고, 다이얼(7)은 하나 이상의 중심 인디케이터(41a)를 추가로 포함된다. 이 중심 인디케이터(41a)는 메뉴가 선택 시에 메뉴 [menu]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인디케이터(41)는 그 뒤 원하는 기능 [fonc]의 선택을 위해 사용되고, 침(51)은 이 인디케이터(41)를 자동으로 가리킨다. 그 뒤, 그 외의 다른 인디케이터(41) 모두가 값 [val]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그 외의 다른 침(52, 53)은 예를 들어, 원하는 값 및 측정된 값과 같이 상이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다이얼(7)은 선택된 메뉴 [menu]와 선택된 기능부 [fonc]를 나타내기 위해 2개의 중심 인디케이터(41a, 41b)를 포함하는 것이 고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3개의 침(51, 52, 53)은 정보의 다양한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제4 변형예에서, 기능부에 연계된 값 정보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나타낼 수 있는 동시에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다이얼(7)은 선택된 메뉴 [menu] 및 선택된 기능부 [fonc]를 나타내기 위한 2개의 중심 인디케이터(41a, 41b)를 포함한다. 그 뒤, 인디케이터(41)는 이 기능부 [fonc]에 연계된 값 [val]의 범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초침(52)은 그 뒤 이 기능부 [fonc]의 성능으로부터 생성된 값을 자동으로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 2개의 침(51, 52)은 그 뒤 시간과 분을 각각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14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라서, 시계(1)는 제4 침(54)을 포함한다. 이 침(54)은 정상 작동 모드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 시간 구역(second time zone)의 인디케이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제2 작동 모드에서, 이 초침은 몇몇의 부분으로서 기능을 한다.
우선, 침(54)은 기능부와 연계된 값 [val]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실시예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사용된 기능부를 나타내는 침(51) 및 상기 기능부와 연계된 값을 나타내기 위한 3개의 침(52, 53, 54)을 갖는다.
제2 실시예의 제2 대안예를 참고하면, 기능부가 메뉴 내에 분포된 위치에서, 사용자는 선택된 기능부 [fonc]와 연계된 값을 나타내는 2개의 침(53, 54) 및 선택된 기능부 [fonc]와 선택된 메뉴 [menu]를 나타내기 위한 2개의 침을 가질 수 있다. 침(54)은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 원하는 값 또는 그 외의 다른 값을 나타내는 값 [val]을 가리킬 수 있다. 2개의 침(53, 54)이 10진 값(decimal value)을 나타내는 것이 고찰될 수 있다. 침들 중 하나의 침은 결과적으로 단위 번호(units number)를 가리키는 반면 그 외의 다른 침은 10진 값을 가리킨다.
둘째로, 이 침(54)은 서브-메뉴 [s-menu] 또는 기능부 [fonc]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서브-메뉴(sub-menu")"는 더 작은 그룹 내에 동일한 그룹의 기능부 [fonc]의 분포를 의미하며, 각각의 그룹은 이의 자체 기준(criteria)을 갖는다. 시계의 기능부는 메뉴 [menu]와 서브-메뉴 [s-menu]로 분류될 수 있어서 계층 구조(hierarchy)의 더욱 완벽한 시스템이 허용될 수 있다. 따라서, 3개의 침(51, 52, 53)은 메뉴 [menu], 서브-메뉴 [s-menu] 및 기능부 [fonc]를 가리킬 필요가 있으며, 침(54)은 기능부와 연계된 값 [val]을 가리킨다. 이 형상에서, 비사용 인디케이터(41)를 점차 소거 또는 제거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원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정보가 나타내지는 동시에 판독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시계는 우선적으로 다양한 메뉴 [menu]를 나타내기 위해 배열된다. 사용자는 메뉴 [menu]를 선택하여 선택된 메뉴 [menu]와 연계된 서브-메뉴 [s-menu]가 나타내진다. 서브-메뉴 [s-menu]가 선택되면, 선택된 메뉴 [menu] 또는 서브-메뉴 [s-menu]인 정보의 부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41)가 소거된다(erase). 디스플레이는 변경되어서 선택된 메뉴 [menu] 및 서브-메뉴 [s-menu]와 연계된 이 정보가 이웃한 인디케이터(41) 중 하나의 인디케이터 상에 나타내진다. 선택된 서브-메뉴 [s-menu]와 연계된 기능부 [fonc]는 나머지 인디케이터(41) 상에 자동으로 나타내진다.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부 [fonc]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의 변경이 야기된다. 이 자동식 변경은 비사용 인디케이터(41)를 소거하는 단계로 구성되며, 즉, 인디케이터(41)는 선택되지 않은 기능부 [fonc]를 나타낸다. 선택된 기능부 [fonc]의 디스플레이는 선택된 서브-메뉴 [s-menu]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또는 선택된 메뉴 [menu]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에 나란한 인디케이터(41)에 전달된다. 디스플레이의 이 변경에 따라 인디케이터(41)는 값 [val]의 범위를 자유롭게 나타낸다. 최종 이용가능한 침(54)은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값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이 제4 침(54)은 추가 정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능부의 가능한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 제4 침(54)에 따라 값을 각각 갖는 2개의 기능부 [fonc]가 나타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1)는 하나의 색상의 순간 온도와 또 다른 색상의 평균 온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보가 명확히 판독될 수 있다.
이 제3 실시예의 대안예에서, 시계는 2개의 상이한 기능부 [fonc]의 경우 값 정보 [val]의 둘 이상의 부분을 나타내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이얼(7)은 제1 기능부 [fonc1] 및 제2 기능부 [fonc2]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2개의 인디케티어(41)를 포함한다. 그 뒤, 그 외의 다른 인디케이터(41)는 기능부 [fonc]와 각각 연계된 값 [val]의 범위를 각각 형성하는 두 그룹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침(51, 52)은 기능부 [fonc]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41)들 중 하나의 인디케이터를 가리킨다. 그 뒤, 침(53, 53)은 기능부 [fonc]와 연계된 결과치를 나타내기 위해 값 [val]의 범위의 값을 각각 자동으로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제2 작동 모드에서 시간 및 분의 디스플레이가 유지된다. 시침(51)과 분침(52)은 그 뒤 시간과 분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다. 그 뒤, 사용자는 기능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초침(53)은 그 뒤 측정된 값 [val]을 가리키기 위해 자동으로 이동한다. 이 값 [val]은 인디케이터(41)에 의해 나타내진 값 [val]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가장 단순한 경우에, 제1 작동 모드에서 시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41)는 다양한 기능부 [fonc]를 나타내기 위한 제2 작동 모드의 활성화 중에 소거된다. 기능부가 선택되면, 인디케이터(41)는 그 뒤 값 [val]의 범위를 나타낸다. 또 다른 경우,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4)은 두 시리즈의 인디케이터(41), 즉 시권을 나타내기 위한 제1 시리즈 및 값 [val]의 범위를 나타내기 위한 제2 시리즈를 포함한다.
당업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변경 및/또는 개선 및/또는 조합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전술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현될 수 있음이 자명할 것이다.
또한 시계는 12개 초과의 인디케이터(4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계는 예를 들어, 16개의 인디케이터(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12개의 인디케이터는 시권을 형성하고 4개의 그 외의 다른 인디케이터는 시권 내의 원(circle)에 분포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원의 반경은 상기 시침(51)의 반경과 동일하다. 상이한 원 내에 배열된 다양한 인디케이터(41)를 가질 수 있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인디케이터의 각 원은 침의 반경 중 하나의 반경과 동일한 반경을 갖는다. 물론, 인디케이터(41)는 시권에 대해 상이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41)는 다이얼의 중심에 대하여 중심에서 벗어나지만 원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41)는 다이얼의 중심은 아니지만 그 외의 다른 위치에 배열되는 침(51, 52, 53)과 다이얼의 중심에 대해 중심에서 벗어난 원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침(51, 52, 53)은 인디케이터(41)에 의해 형성된 원의 중심에 배열되고, 인디케이터(41)의 원의 반경은 침(52, 53)들 중 하나의 침의 길이와 동일하다.
또한, 정상 작동 모드로부터 특정 작동 모드로 변화하는 동안 시간 표시가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특정 작동 모드가 더 이상 수행되지 않고 작동 모드가 재차 정상적으로 수행될 때, 시간 표시가 재차 나타내진다. 이 시간 표시는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31)에 의해 자동으로 업데이트된다.
또한, 인디케이터의 배경 색상은 하나의 인디케이터로부터 또 다른 인디케이터로 변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가 기호 및/또는 색상에 의해 나타내질 수 있다. 추가로, 제1 작동 모드로부터 제2 작동 모드로 변화하는 제어 수단(6)의 작동에 따라 인디케이터(41) 상의 정보의 언어(language)가 변경될 수 있다. 그 뒤, 아라비아, 중국, 일분 또는 로마 문자 또는 임의의 그 외의 다른 가능한 언어로 나타내진 정보를 볼 수 있다.

Claims (23)

  1. 케이스(2)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내에 몇몇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타임 베이스(32)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3)이 제공되며, 또한 제어 시스템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둘 이상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수단(51, 52) 및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4)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6)을 포함하는 시계(1)로서,
    상기 시계는 타임 베이스가 제공된 제어 시스템(3)에 의해 구동되는 둘 이상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1, 52)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간 표시를 제공하기 위한 제1 정상 작동 모드에 배열되고, 시계(1)는 제어 수단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부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값 또는 매개 변수 [val]를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4)에 나타내고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값 또는 매개변수와 상반되게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제어 수단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능부 [fonc]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2의 특정 작동 모드에 배열되는 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시계(1)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부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값 또는 매개 변수와 시계 기능부의 표시를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4)에 나타내고, 선택된 기능부의 표시와 상반되게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수단들 중 하나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수단과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값 또는 매개변수와 상반되게 그 외의 다른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어 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기능부를 선택할 수 있는 제2 특정 작동 모드에 배열되는 시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은 시계의 관통된 또는 반-투명 다이얼 아래에서 또는 다이얼 상에 배열된 몇몇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를 포함하고, 각각의 디스플레이 섹터는 상기 시계의 하나 이상의 기능부의 표시 또는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값 또는 매개변수를 나타내기 위해 제2 작동 모드에 배열되는 시계.
  4. 제3항에 있어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은 시간 기호와 같이 다이얼의 주연부에 배열된 12개 이상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를 포함하는 시계.
  5. 제4항에 있어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은 다이얼의 주연부에 배열된 12개 이상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에 의해 형성된 원의 내측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시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는 3개의 침(51, 52, 53)을 포함하고, 시계의 제2 작동 모드에서 제1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1)는 선택된 기능부의 표시 방향을 가리키도록 배열되고, 제2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2)는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제1 값 또는 제1 매개변수의 방향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되며, 제3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3)는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제2 값 또는 제2 매개변수의 방향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되는 시계.
  7. 제6항에 있어서, 제3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3)는 제1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1) 또는 제2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2)와 통합되도록 배열되는 시계.
  8. 제1항에 있어서, 기능부는 다양한 메뉴 내에서 서로 그룹을 이루고, 상기 시계는 3개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1, 52, 53)를 포함하여 시계의 제2 작동 모드에서 제1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1)는 선택된 메뉴의 표시 방향을 가리키고, 제2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2)는 선택된 기능부의 표시 방향을 가리키며, 제3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3)는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값 또는 매개변수의 방향을 가리키는 시계.
  9.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41)는 시계 다이얼의 색상과 동일할 수 있는 제2 색상의 배경에 제1 색상의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배열되는 시계.
  10. 제9항에 있어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의 형태, 숫자, 개수, 제1 및 제2 색상 또는 위치는 선택된 메뉴 또는 기능부에 따라 변화하는 시계.
  11. 제1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는 침(hand)인 시계.
  12. 제1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는 디스크인 시계.
  13. 제1항에 있어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은 몇몇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가 형성되는 단일의 기판의 형태를 갖는 시계.
  14. 제13항에 있어서, 다이얼 디스플레이 섹터는 관통된 다이얼에 의해 형성되는 시계.
  15. 제1항에 있어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은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를 각각 형성하는 몇몇의 기판의 형태를 갖는 시계.
  16. 제1항에 있어서, 시계는 둘 이상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1, 52)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간 표시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제2 특정 작동 모드에 배열되는 시계.
  17. 케이스(2)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내에 제어 시스템(3)이 제공되며, 상기 제어 시스템은 타임 베이스(32)를 포함하고 몇몇의 기능부 [fonc]를 수행할 수 있도록 배열되며, 또한 제어 시스템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둘 이상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수단(51, 52) 및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6)을 포함하는 시계(1)의 작동 방법으로서,
    a) 시간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타임 베이스와 끼워맞춤된 제어 시스템에 의해 2개의 침이 구동되는 제1 정상 작동 모드로부터 제어 수단의 작동을 통한 제2 특정 작동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b) 제2 작동 모드에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상기 시계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부에 대한 표시 [val]를 자동으로 나타내는 단계,
    c) 원하는 기능부의 표시 방향으로 제1 디스플레이 요소(51)가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제어 수단을 구동시킴으로써 원하는 기능부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제2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2)가 나타내진 값 또는 매개변수의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값 또는 매개변수를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41)은 시계 다이얼의 주연부에 분포된 몇몇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를 포함하고, 제2 작동 모드에서 각각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는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하나의 값 또는 매개변수 또는 기능부들 중 하나의 기능부의 하나의 표시를 나타내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단계 c)와 단계 d) 사이에 선택된 기능부를 나타내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를 제외하고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 모두의 내용을 소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d)에서 값의 범위는 미리 소거 또는 삭제된 일부 디스플레이 섹터에 의해 나타내지고, 초침(52)은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값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시계(1)의 기능부는 상이한 메뉴로 서로 그룹을 이루고, 상기 방법은
    a) 시간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타임 베이스(32)와 끼워맞춤된 제어 시스템(3)에 의해 2개의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1, 52)가 구동되는 제1 정상 작동 모드로부터 제어 수단(6)의 작동을 통한 제2 특정 작동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b) 제2 작동 모드에서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상기 시계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부에 대한 표시 [val]를 자동으로 나타내는 단계,
    c) 제1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1)가 선택된 메뉴의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면서 제어 수단을 구동시킴으로써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d) 상기 시계가 수행할 수 있는 상기 메뉴 내에서 서로 그룹을 이루는 기능부에 대한 표시를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나타내는 단계,
    e) 제2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2)가 원하는 기능부의 표시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제어 수단을 구동시킴으로써 원하는 기능부를 선택하는 단계, 및
    f) 제3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3)가 표시된 값 또는 매개변수의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값 또는 매개변수를 디지털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자동으로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단계 c)와 단계 d) 사이에 선택된 메뉴를 나타내는 섹터를 제외하고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 모두의 내용을 소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d)에서 선택된 메뉴 내에서 서로 그룹을 이루는 기능부는 미리 소거 또는 제거된 특정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에 의해 나타내지고, 제2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2)는 선택된 기능부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단계 e)와 단계 f) 사이에 선택된 메뉴 및 선택된 기능부를 나타내는 섹터를 제외하고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 모두의 내용을 소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계 f)에서 값의 범위는 미리 소거 또는 제거되는 특정 디지털 디스플레이 섹터에 의해 나타내지고, 제3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53)는 선택된 기능부와 연계된 값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는 침인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디스플레이 요소는 디스크인 방법.
KR1020120088134A 2011-08-22 2012-08-13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시계 KR101373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78312.2A EP2562609B1 (fr) 2011-08-22 2011-08-22 Pièce d'horlogerie à dispositifs d'affichage
EP11178312.2 2011-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1327A true KR20130021327A (ko) 2013-03-05
KR101373882B1 KR101373882B1 (ko) 2014-03-12

Family

ID=4465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134A KR101373882B1 (ko) 2011-08-22 2012-08-13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시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201401B2 (ko)
EP (1) EP2562609B1 (ko)
JP (1) JP5580373B2 (ko)
KR (1) KR101373882B1 (ko)
CN (1) CN102955422B (ko)
HK (1) HK118311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294B1 (ko) * 2014-02-27 2015-06-16 양선종 기계식 쿼츠 운동 스마트 워치 하이브리드
KR20160123937A (ko) * 2015-04-17 201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12747A (ko) * 2018-07-26 2020-02-05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누팍투레 홀로게레 스위세 아날로그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시계의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의 치환을 위한 방법 및 연관된 시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8768A (ja) * 2010-05-28 2011-12-0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160031B2 (ja) * 2012-06-06 2017-07-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指針表示装置
US20140293755A1 (en) * 2013-03-28 2014-10-02 Meta Watch Oy Device with functional display and method for time management
CH708234B1 (fr) * 2013-06-27 2015-05-15 Soprod Sa Dispositif portatif multifonctions contrôlé par information externe.
CN104019839A (zh) * 2014-02-27 2014-09-03 昆山洛博格机械技术咨询有限公司 多功能仪表显示器
KR102258579B1 (ko) * 2014-08-29 2021-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워치형 단말기
KR20160030821A (ko) * 2014-09-11 2016-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US10114342B2 (en) * 2014-09-11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US9785123B2 (en) * 2014-09-26 2017-10-10 Intel Corporation Digital analog display with rotating bezel
EP3002640B1 (en) * 2014-09-30 2021-12-01 Frédérique Constant S.A. Watch having distinct display modes and a mode indicator
US20160327915A1 (en) 2015-05-08 2016-11-10 Garmin Switzerland Gmbh Smart watch
CH711345A1 (fr) 2015-07-21 2017-01-31 Soprod Sa Système multifonctions comprenant une montre avec un affichage mécanique et électro-optique.
CN105159046B (zh) * 2015-09-08 2017-12-01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指针式智能手表及其显示方法
JP2017078675A (ja) * 2015-10-22 2017-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端末装置
JP1570042S (ko) * 2016-01-28 2017-02-20
AU201614768S (en) * 2016-03-01 2016-10-12 Omega Sa Omega Ag Omega Ltd Bezel for a watch
WO2017189004A1 (en) 2016-04-29 2017-11-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emporal calendar timepiece
EP3330809B1 (fr) * 2016-12-01 2019-10-16 Omega SA Montre comportant un dispositif d'affichage de quantième
KR20190059137A (ko) * 2017-11-22 2019-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 이동 단말기
JP7124838B2 (ja) * 2020-02-25 2022-08-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指針表示装置及び指針動作制御方法
FI4109183T3 (fi) * 2021-06-25 2024-05-03 Eta Sa Mft Horlogere Suisse Osoittimia ja digitaalinäyttöruudun yhdistävä kellon osa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357Y2 (ja) * 1987-04-15 1994-04-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ワ−ルドタイム表示機能付アナログ電子時計
JP3699646B2 (ja) * 1999-12-27 2005-09-28 リズム時計工業株式会社 目安針付高精度目覚し時計
US6556222B1 (en) * 2000-06-30 2003-04-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ezel based input mechanism and user interface for a smart watch
CH697272B1 (fr) * 2002-07-19 2008-07-31 Asulab Sa Pièce d'horlogerie électronique comportant un mode de jeu.
US6791903B2 (en) * 2002-09-04 2004-09-14 Asulab S.A. Electronic diving watch with analog display
US7266051B2 (en) * 2003-05-20 2007-09-04 Timex Group B.V. Method and construction for autocalibrating an actuation mechanism in an electronic device
US7113450B2 (en) * 2003-05-20 2006-09-26 Timex Group B.V.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display functionality
DE602005022402D1 (de) * 2005-03-09 2010-09-02 Eta Sa Mft Horlogere Suisse Elektronische Uhr mit Kompassfunktion
JP2007057274A (ja) * 2005-08-22 2007-03-08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
CH707467B1 (fr) * 2005-09-13 2014-07-15 Lvmh Swiss Mft Sa Montre avec affichage multifonctionnel.
KR100801650B1 (ko) * 2007-02-13 200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서의 기능 실행 방법
US20090040879A1 (en) * 2007-08-10 2009-02-12 Galie Louis M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display functionality
JP4462338B2 (ja) * 2007-11-27 2010-05-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時計、電子時計の時刻修正方法、電子時計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537706B1 (ko) * 2009-04-16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817048B2 (en) * 2009-07-17 2014-08-26 Apple Inc. Selective rotation of a user interface
JP5321654B2 (ja) * 2011-08-01 2013-10-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指針式電子時計
EP2574995B1 (fr) * 2011-09-28 2020-06-17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Pièce d'horlogerie électromécanique dotée d'une fonction additionnel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294B1 (ko) * 2014-02-27 2015-06-16 양선종 기계식 쿼츠 운동 스마트 워치 하이브리드
KR20160123937A (ko) * 2015-04-17 2016-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와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12747A (ko) * 2018-07-26 2020-02-05 에타 쏘시에떼 아노님 마누팍투레 홀로게레 스위세 아날로그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시계의 시간 디스플레이 모드의 치환을 위한 방법 및 연관된 시계
US11906938B2 (en) 2018-07-26 2024-02-20 Eta Sa Manufacture Horlogere Suisse Method for permutation of the time display mode of an electronic watch with an analogue display, and the associated wa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04180B2 (en) 2015-08-11
US9201401B2 (en) 2015-12-01
EP2562609B1 (fr) 2014-04-09
CN102955422B (zh) 2014-11-26
CN102955422A (zh) 2013-03-06
EP2562609A1 (fr) 2013-02-27
KR101373882B1 (ko) 2014-03-12
US20130051189A1 (en) 2013-02-28
US20150131412A1 (en) 2015-05-14
JP5580373B2 (ja) 2014-08-27
HK1183117A1 (en) 2013-12-13
JP2013044753A (ja) 201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882B1 (ko)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시계
US10248227B2 (en) Wearable terminal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7940604B2 (en) Dial indicator display device
US20140293755A1 (en) Device with functional display and method for time management
US9651922B2 (en) Wristwatch with a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isplaying on a touch-screen watch
US20060092770A1 (en) Information displays and methods associated therewith
CN101206455B (zh) 指针式显示装置
KR101134698B1 (ko) 골프 점수를 카운트하도록 손목에 착용될 수 있는 전자시계
US10551797B2 (en) Time display, method of presenting time information and timekeeping devices
JP2009534662A (ja) 多機能腕時計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60070723A (ko) 외부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다기능 휴대용 장치
US10054906B2 (en) Wearable terminal apparatus
US10048652B1 (en) Analog timepiece with steps illustrating arrangement
EP1586009B1 (en) Time display apparatus
JP6307577B2 (ja) 時計
EP3002640B1 (en) Watch having distinct display modes and a mode indicator
CN218767825U (zh) 组合显示指针和数字显示屏幕的时计
JP2013104863A (ja) 電子時計
CH705395A2 (fr) Pièce d'horlogerie à dispositifs d'affichage.
WO2020118379A1 (en) A secondary indication
JPH11287875A (ja) 時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